KR102192585B1 -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585B1
KR102192585B1 KR1020180072664A KR20180072664A KR102192585B1 KR 102192585 B1 KR102192585 B1 KR 102192585B1 KR 1020180072664 A KR1020180072664 A KR 1020180072664A KR 20180072664 A KR20180072664 A KR 20180072664A KR 102192585 B1 KR102192585 B1 KR 102192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management server
displ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631A (ko
Inventor
권정열
Original Assignee
권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정열 filed Critical 권정열
Priority to KR1020180072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5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02Recording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2001/0415Recording geometries or arrangements for recording reflection hologr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된 프레임영역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프레임영역에 위치하여 전시상품이 안착되는 안착베이스; 상기 몸체의 프레임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 상기 안착베이스와 디스플레이수단의 사이에 위치하고, 일영역이 투과성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영상이 반사되는 반사수단; 및 상기 몸체에 실장되고, 통신망을 통해 스트리밍영상을 제공하는 관리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된 스트리밍영상을 가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출력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시상품과 함께 전시상품의 각 전시방향으로 반사되어 전시상품(D)의 전시시점 상에 오버랩(Overwrap)된 형태로 제공되는 소개 텍스트, 이미지, 영상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로부터 스트리밍(Streaming)하여 제공함으로써, 전시상품의 교체 또는 영상의 수정 등에 따른 신규 영상 적용 시, 설치 위치별로 방문하여 영상이 저장된 저장장치를 직접 연결하여 신규 영상을 적용시키던 종래기술에 비해, 적은 관리인원으로도 신속하고 효율적인 적용이 가능하며, 고유한 식별정보가 부여되고,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가 관리서버에 업로드 된 영상을 식별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스트리밍하고,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에 따른 제어정보 또한 식별정보를 통해 분류하여 수신함으로써, 관리서버를 통한 복수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대다 관리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HOLOGRAPHIC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품의 판매처 등에서는 새로운 제품의 출시 시에, 실제 제품을 전시하여 이용자가 직접 만져보거나 조작하는 등, 이용자가 직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제품의 기능 및 성능에 대해 이용자가 이해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을 홍보하여 왔다.
이용자가 직접적인 체험함으로써 습득한 이해의 정도는 타인의 설명 또는 기타 인쇄물 등의 정보보다 더 효과적이지만, 수많은 이용자가 체험하는 과정에서 전시된 제품이 도난당하거나, 제품의 작동 이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제품을 전시하는 주체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로부터 비교적 현실적으로 해결 가능한 방안은 제품의 실측크기를 가지는 목업(Mock-up)제품을 전시하고, 제품의 기능 및 사양에 대한 정보는 별도의 수단을 통해 제공하는 방법과 실제 제품을 별도의 잠금장치가 마련된 투명 진열장에 배치시킨 뒤, 작동되는 영상만을 반복하여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최근에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반사와 투과가 이루어지는 투과성재질의 반사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을 반사판에 조사하고, 반사판의 후방에 전시하고자 하는 상품을 배치시켜, 정적인 제품상에 동적인 효과 및 제품에 관련한 내용을 포함하는 영상을 투사시킨 홀로그램 기법을 적용시킴으로써, 제품의 실제모습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제품과 관련된 내용과 해당 제품에 심미감을 더하는 효과를 통해 제품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기술(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이 게시된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전시된 제품(이하, ‘전시상품’이라 함.)이 전시되는 방향과 그에 따라 배치되는 반사판의 위치를 미리 확인한 영상제작자가, 영상이 반사될 위치에 따라 영상을 분할하고, 분할된 영상과 전시상품의 형상을 확인해가면서 영상을 제작해야하고, 제작된 영상을 이동식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해당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방문하여 장치에 연결시키거나 복사하여 장치를 통해 재생시키는 방식으로 영상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영상의 상이 맺히는 위치 자체에 문제가 발생되었거나, 전시시점상의 영상과 전시상품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영상을 제작하는 사람이 현장에 방문하여 해당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근거로 수정 또는 재제작이 이루어져야 했기 때문에, 영상의 수정 또는 신규 영상이 요청될 경우, 상기와 같은 방식이 되풀이될 수밖에 없었으며, 만약 장치가 반사판의 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 출력영역 크기 등의 사양이 다르게 마련될 경우, 영상제작 과정에서 각 사양에 따라 추가적인 보정을 실시하여야 했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이 적용된 장치의 수가 증가할수록 영상제작 및 적용에 소용되는 시간적, 인적 낭비 또한 증대되고, 그로 인해 영상제공에 관련된 비용 또한 높아질 수밖에 없어 해당 장치를 통해 전시상품과 전시상품에 관련된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부담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반사판에 반사된 영상으로 인해 내부의 전시상품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전시상품이 위치하는 곳에 조명이 위치되어야 했으며, 다양한 방향에서 전시상품의 관람이 가능하고, 각 방향으로 반사된 영상이 제공되어야하는 홀로그램 기법의 특성상, 전시상품 및 영상 관람 시에 조명에 의해 눈부심을 유발시킴으로 인한 전시효과 저하를 방지하여야하기에, 내부에 조명을 적용시킬 수 있는 공간 또한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종래기술에서는, 전시상품의 상부 방향으로 광이 조사되도록 조명을 전시상품의 상부에 위치시켜 전시방향으로의 눈부심 발생을 방지하였으나, 전시상품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상부로부터 제공되는 조명에 의해 전시상품 상에 음영지역(그림자)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시상품의 시인성이 떨어지며, 전시상품의 음영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조명의 세기를 강하게 증가시킬 경우, 반사판에 반사된 영상이 반사판 내부의 밝기로 인해 흐리게 제공될 수 있어, 전시상품에 대한 정보 및 심미감 제공의 효과가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반사판은 내부에 위치한 전시상품이 투과되어 보이면서도, 외부 면으로는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반사시켜 제공하여야하기 때문에, 반사판 또한 긁힘 및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아크릴(Acryl)보다 유리재질의 하프 미러(Half-mirror)가 적용될 수 있으나, 종래기술이 적용된 장치가 전시상품의 전시에 사용될 경우, 이를 관람하는 이용자 또는 관리소홀로 인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사판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수단이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수단은 각 전시방향으로 소정의 반사 각도를 이루며 위치된 반사판이, 측면에 위치한 또 다른 반사판과 접합된 형태로 마련되기 때문에, 파손된 반사판과 동일한 여분의 반사판이 준비되어있고 반사판 간의 접합을 해제하거나 접합시키는 도구가 모두 갖추어져있지 않은 한, 어느 하나의 반사판이 파손될 경우, 반사수단 전체를 교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교체비용이 발생하여, 장치 사용자의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0999576 (등록일 2010. 12. 02) 한국등록특허 10-1571413 (등록일 2015. 11. 18)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영상의 제공 및 수정에 소요되는 시간, 인적자원 및 비용을 최소화하고, 일대다 관리가 가능하며, 서로 다른 사양을 가진다하더라도, 추가적인 보정 없이도 동일한 영상출력이 가능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시상품 및 전시상품에 관련한 영상의 모두의 시인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고, 생산성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개방된 프레임영역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프레임영역에 위치하여 전시상품이 안착되는 안착베이스; 상기 몸체의 프레임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 상기 안착베이스와 디스플레이수단의 사이에 위치하고, 일영역이 투과성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영상이 반사되는 반사수단; 및 상기 몸체에 실장되고, 통신망을 통해 스트리밍영상을 제공하는 관리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된 스트리밍영상을 가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출력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고유한 식별정보를 가지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스트리밍영상을 제공받으며, 제공받은 스트리밍영상을 상기 반사수단 및 디스플레이수단에 대응되게 가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은,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디스플레이수단과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디스플레이수단, 반사수단 및 전시상품에 대한 정보를 통해 스트리밍영상 가공방식에 따른 가공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부; 상기 정보생성부로부터 생성된 가공정보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된 스트리밍영상을 가공하는 가공부; 및 상기 통신부, 연결부, 정보생성부 및 가공부를 제어하고, 상기 가공부로부터 가공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하며, 고유한 식별정보가 저장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생성부를 제어하여,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의 출력영역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반사수단의 반사판 형태 및 수에 대한 반사정보와 상기 전시상품의 외관 및 상기 안착베이스 상의 3차원 안착위치에 따른 상품정보를 수신하여 가공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공부를 제어하여, 상기 정보생성부로부터 생성된 가공정보로부터 상기 반사수단의 반사판 수를 확인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의 영상출력 영역 상에서 영상이 출력될 출력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의 출력 해상도와 전시상품에 대한 외관 사양 및 안착위치를 확인하여, 설정된 출력영역 내 영상의 출력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된 스트리밍영상의 좌우를 반전(Horizontal flip)시킨 반전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가공부를 통해 상기 출력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출력영역 내의 영상 출력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안착베이스는 상기 몸체의 개방된 프레임영역의 하면에 위치하며, 전시상품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이 포함된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시상품과 함께 전시상품의 각 전시방향으로 반사되어 전시상품(D)의 전시시점 상에 오버랩(Overwrap)된 형태로 제공되는 소개 텍스트, 이미지, 영상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로부터 스트리밍(Streaming)하여 제공함으로써, 전시상품의 교체 또는 영상의 수정 등에 따른 신규 영상 적용 시, 설치 위치별로 방문하여 영상이 저장된 저장장치를 직접 연결하여 신규 영상을 적용시키던 종래기술에 비해, 적은 관리인원으로도 신속하고 효율적인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 각각 고유한 식별정보가 부여되고, 홀로그램 디스플레이장치가 관리서버에 업로드 된 영상을 식별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스트리밍하고,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에 따른 제어정보 또한 식별정보를 통해 분류하여 수신함으로써, 관리서버를 통한 복수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대다 관리의 편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수단, 반사판의 수, 반사판의 형태, 전시상품의 외관 및 전시위치에 따른 개별적 사양을 확인하여, 관리서버로부터 스트리밍 된 영상을 각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에 따라 자체적으로 가공하여 최적의 영상을 출력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사양을 가지는 다양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마다 적용될 영상을 직접 제작할 때에 소요되는 시간, 인원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에 따른 영상제작의 제약조건이 완화되며, 서로 다른 사양을 가지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범용적인 영상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시상품의 하부방향으로 조명이 제공되고, 전시상품의 하부에서 제공되는 조명의 일부를 상부로 전달하여 전시상품으로 반사시켜 제공함으로써, 반사수단으로 구획된 내부영역 상에 조명을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고, 일 방향으로만 조명이 제공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전시상품의 음영영역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반사수단에 반사된 영상 제공에 균일성 보장되고 전시상품의 시인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시상품의 전시시점 상에 영상의 상이 맺히도록 반사시키는 반사수단에서 각 전시방향에 배치되는 반사판이 상호 접합된 형태로 마련되지 않고, 연결부재가 전시상품의 전시 및 반사된 영상 제공에 가장 적은 영향을 끼치는 각 반사판의 측면을 상호 연결시키고,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반사판의 상부를 고정부재가 고정시킴에 따라, 특정 반사판의 오염, 훼손 등이 발생할 경우에도 해당 반사판만을 교체하면 되어,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지보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부재 및 연결부재가 각 반사판을 고정시키는 역할 외에도 하부방향으로 제공되는 광을 전시상품의 상부 방향으로 제공하는 광 전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함에 따라, 전시상품과 전시상품이 안착되는 내부공간 상에 광을 균일하게 제공하기 위한 조명의 배치가 단순해짐에 따라, 조명 교체 등을 위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및 보수 난이도가 낮아져 생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사수단과 안착베이스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공부를 통한 화질향상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디스플레이수단이 전시상품의 전시방향 후방에 배치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디스플레이수단이 전시상품의 하방에 배치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관리서버(200)로부터 스트리밍된 영상을 가공하여, 전시상품(D)을 관람하는 이용자의 시선(Line of sight)상에 가공된 영상을 반사시켜 실물인 전시상품(D)과 영상을 동시에 제공하며, 몸체(110), 안착베이스(120), 디스플레이수단(130), 반사수단(140) 및 제어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개방된 프레임영역을 가지는 구조체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10)가 개방된 프레임영역을 가진다 함은, 후술될 디스플레이수단(130), 반사수단(140) 및 전시상품(D)이 안착될 안착베이스(120)가 배치되고, 전시상품(D)이 안착되는 안착베이스(120)에 대향되도록 상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수단(130)을 지지하면서 전시상품(D)의 전시방향에 대응되는 측면의 중심영역이 삭제된 골조(骨組)구조를 가짐을 의미한다.
이때, 몸체(110)는 후술될 제어유닛(150)이 실장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되, 프레임영역이 직육면체 골조구조로 마련되며, 디스플레이수단(130)이 배치되는 상면과 외부로부터 전시상품(D)의 육안확인 및 디스플레이수단(130)으로부터 출력된 영상의 반사가 이루어지는 반사수단(140)의 반사판이 위치되는 면이 삭제된 형태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며, 측면의 구조 또한 상술한 중심영역이 삭제된 형태 또는 디스플레이수단(130)과 안착베이스(120)가 각각 위치되며 상호 분리된 상면 구조와 하면 구조에서 상호 대응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모서리가 봉 형상의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몸체(110)는 전시상품(D)의 전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스탠드구조물(미도시)의 상부에 놓일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몸체(110)의 하단부가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안착베이스(120)는 몸체(110)의 프레임영역에 위치하여 전시상품이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베이스(120)는 상술한 몸체(110)의 개방된 프레임영역의 하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안착베이스(120)는 전시상품(D)이 거치 고정되는 거치수단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안착베이스(120)는 몸체의 개방된 프레임영역의 하면에 위치하며, 상방으로 광이 조사되는 판형태의 하부플레이트(121), 하부플레이트(121)의 상부에 위치하여, 전시상품(D)이 거치 고정되며 하부플레이트(121)보다 작은 판형으로 마련되는 거치플레이트(122) 및 거치플레이트(122)의 중심축에 고정되어 거치플레이트(122)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부플레이트(121)는 거치플레이트(122)에 거치 고정된 전시상품(D)의 하부에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RGB LED(LC)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RGB LED(LC)의 상측에 복수의 RBG LED(LC)로부터 조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반투과성 재질의 판이 추가적으로 결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거치플레이트(122)는 하부플레이트(121)의 상부에 위치하며, 구동부재(123)에 의해 하부플레이트(121)의 상측에서 전시상품(D)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거치플레이트(122)는 투광성 재질로 마련되어, 하부플레이트(121)에서 조사된 광이 거치플레이트(122)에 의해 차단되어 전시상품(D)에 음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수단(130)은 몸체(110)의 프레임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수단(130)은 LCD 모니터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사수단과 안착베이스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반사수단(140)은 안착베이스(120)와 디스플레이수단(130)의 사이에 위치하고, 일영역이 투과성 재질로 마련되어 디스플레이수단(130)으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반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반사수단(140)은 전시상품(D)의 전시방향과 영상을 반사시키는 반사판(141)과 각 반사판(141)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42)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반사판(141)은 디스플레이수단(130)으로부터 출력된 영상의 상이 또렷하게 맺힐 수 있도록, 외면에 반사영역을 가지는 하프-미러(Half-mirror)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42)는 각 반사판(141)의 상측방향에 각 반사판(141)을 고정시키되, 내부에는 하부플레이트(121)로부터 조사된 광을 거치플레이트(122)에 거치된 전시상품(D)의 상부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내측에 반사면을 가지는 반사갓 등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42)로부터 반사된 광을 집중하거나, 반사판(141)의 외부 방향으로 산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부재(142)와 인접한 반사판(141)의 상측에는 반사필름 또는 산란방지 필름 등이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반사수단(140)의 형태는 전시상품(D)의 전시방향과 디스플레이수단(130)으로부터 출력될 영상을 제공된 영상을 반사시킬 영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시상품(D)이 단방향 또는 서로 마주보는 양방향으로만 전시되어야할 경우, 전시방향으로만 영상을 반사시켜 이용자에게 제공하면 되므로, 반사판(141)은 전시방향의 안착베이스(120)의 외곽에 접촉되고 안착베이스(120)와 예각을 이루며 고정부재(142)에 고정되는 사각 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적어도 셋 이상의 방향으로 전시되는 경우, 각 반사판(141)은 전시방향의 안착베이스(120)의 외곽에 접촉되며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되어, 각 반사판(141)의 안착베이스(120)와 예각을 이루며 빗변이 서로 맞닿은 또는 고정된 상태로 고정부재(142)에 의해 고정되는 유사 다각뿔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반사수단(140)은 반사판(141)이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마련될 경우, 각 반사판(141)의 빗변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 양측에 반사판(141)의 빗변이 삽입되는 삽입 홈을 가지는 연결부재(14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43)는 연결부재(143)의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광을 전달하는 내부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143)는 내부에 위치하여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광을 전달하는 광섬유(143a)가 포함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부플레이트(121)에는 연결부재(143)의 단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RGB LED(LO)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하부플레이트(121)의 해당영역은 반투과성 재질의 판이 삭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부플레이트(121)와 접촉되는 연결부재(143)의 단부에는 하부플레이트(121)로부터 제공된 광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부재(143)의 하단부가 해당 영역에 배치되는 RGB LED(LO)의 측면 일부를 감싸는 연질의 결합구조로 마련되거나, 해당 영역의 하부플레이트(121)에 연결부재(143)가 걸려서 고정되는 걸이 홈 또는 걸이 홀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부플레이트(121)에서 중심영역에 배치되는 RGB LED(LC)는 확산성 RGB LED로 마련되고, 하부플레이트에서 연결부재(143)의 위치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RGB LED(LO)의 경우 직진성 RGB LED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부플레이트(121)에서 조사된 광이 복수의 반사판(141)에 의해 구획된 내부 공간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연결부재(143)를 통해 고정부재(142)에 도달함으로써, 돔 조명방식으로 고정부재(142)에서 반사된 광이 전시상품(D)의 상부로 제공되어, 전시상품(D)의 상부 음영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각 반사판(141)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접촉면에 별도로 접합 또는 접착되지 않고, 고정부재(142) 및 연결부재(14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됨에 따라, 특정 반사판(141)의 파손 시에도 이의 교체가 용이하고, 반사판(141)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어, 반사판(141)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고, 하부플레이트(121)에서 조사된 광을 고정부재(142)의 반사면에 전달하는 연결부재(143)가 각 반사판(141)의 외곽에 해당하는 영역에 배치됨에 따라, 이용자의 전시상품(D) 및 반사판(141)에 반사된 영상 확인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전시상품(D)의 음영불균형 발생을 최소화하여 전시상품(D)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유닛(150)은 몸체(110)에 실장되고, 통신망을 통해 스트리밍영상을 제공하는 관리서버(200)와 통신하며, 관리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스트리밍영상을 가공하여 디스플레이수단(130)에 출력시킬 수 있으며, 통신부(151), 연결부(152), 정보생성부(153), 가공부(154) 및 제어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1) 통신망에 연결되어 관리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51)는 유·무선 통신방식으로 관리서버(200)와 통신하여, 관리서버(200)에 저장된 영상을 실시간 스트리밍하고, 관리서버(2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영상의 안정적인 스트리밍을 위해 유선 통신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51)는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모듈과 이더넷 케이블이 연결되는 단자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52)는 디스플레이수단(13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52)는 디스플레이수단(130)과 HDMI, DVI, RGB 케이블 등과 같은 영상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며, 영상 케이블을 통한 연결 시에, 디스플레이수단(130)으로부터 디스플레이수단(130)의 출력영역 크기에 대한 디스플레이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연결부(152)가 확인하는 디스플레이정보는 디스플레이수단(130)의 출력 해상도(Resolution)에 대한 정보 또한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정보(130)는 상술한 연결부(152)를 통해 디스플레이수단(130)으로부터 확인하는 것 외에도, 통신부(151)를 통해 관리서버(200)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도 있으며, 연결부(152)의 구성이 디스플레이수단(130)으로부터 디스플레이정보를 수신하기에 적합한 프로토콜방식을 취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정보는 연결부(152) 통한 디스플레이수단(130)으로부터의 확인 또는 통신부(151)를 통한 관리서버(200)로부터의 확인이 결정되며, 이는 후술할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연결부(1520를 통해 디스플레이정보를 확인하는 것에 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연결부(152)는 후술할 가공부(154)에 의해 가공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수단(13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공된다 함은, 가공부(154)에서 가공된 최종 영상이 디스플레이수단(130)에 출력되도록 데이터통신을 수행함을 의미한다.
정보생성부(153)는 디스플레이수단(130), 반사수단(140) 및 전시상품(D)에 대한 정보를 통해 스트리밍 영상 가공방식에 따른 가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가공정보는 통신부(151)를 통해 관리서버(200)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가공하여, 디스플레이수단(130)에 가공한 영상이 출력되는 형태 및 위치를 결정짓는 정보이다.
이때, 정보생성부(153)는 후술할 제어부(155)의 제어에 의해, 연결부(152)를 통해 디스플레이수단(130)의 출력영역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정보를 확인하고, 통신부(151)를 통해 관리서버(200)로부터 반사수단(140)의 반사판(141) 형태 및 수에 대한 반사정보와 전시상품(D)의 외관 및 안착베이스(120) 상의 3차원(X, Y, Z축) 안착위치에 따른 상품정보를 수신하여 가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정보생성부(153)에서 생성하는 가공정보는, 전시상품(D)의 위치와 디스플레이수단(130) 및 반사판(141)의 형태에 따라 최종적으로 반사판(141)에 반사되어 이용자에게 제공될 영상에서, 반사 영상의 제공위치를 전시상품(D)의 위치에 일치시키기 위해, 후술할 가공부(154)가 관리서버(200)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가공하는 과정에서의 기준이 되는 정보이다.
가공부(154)는 정보생성부(153)를 통해 생성된 가공정보를 통해, 관리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스트리밍영상을 가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가공부(154)는 소정의 데이터저장영역을 가지며, 통신부(151)를 통해 관리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스트리밍영상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정보생성부(153)로부터 생성된 가공정보에 따라 스트리밍영상을 가공할 수 있다.
이때, 가공부(154)는 가공정보에 기반한 스트리밍영상의 가공 이후에 후술될 제어부(155)의 제어에 따라, 연결부(152)로부터 확인된 디스플레이수단(130)의 출력해상도로부터,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수단(130)에 출력될 가공 영상에서 소정의 시간주기별 프레임 이미지(Frame image)를 추출하고, 해당 이미지 내에서 각 픽셀(Pixel)과 해당 픽셀에 이웃한 픽셀 간의 색 변화량을 검출하여 화질열화 가능성을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가공 영상의 전체 또는 부분적인 화질 향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공부를 통한 화질향상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상술한 가공부(154)의 화질 향상 기법에 대해,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 3의 (a)는 디스플레이수단(130)의 출력영역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가공부(154)는 도 3의 (a)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수단(130)에서 출력된 가공 영상이 각 반사판(141) 단위로 나누어진 가공 영상이 반사판(141)에 반사되어 상이 맺힐 때, 반사거리가 가장 먼 각 반사판(141) 단위의 가공 영상에서의 하단영역(B)에 대해 가공 영상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프레임 간격으로 프레임 이미지를 추출한다.
이후, 도 3의 (b)에서와 같이, 추출된 이미지에서의 에지(edge)를 검출하며, 에지부분에 해당하는 픽셀(이하, ‘기준픽셀(PT)’이라 함.)과 해당 픽셀에 적어도 2픽셀 단위로 인접한 픽셀(이하, ‘인접픽셀(PN)’이라 함.) 각각의 RGB(Red, Gren, Blue)정보를 통해 색 변화량을 검출하여 색 변화량이 소정의 수치 이상일 경우, 도 4의 (c)에서와 같이, 인접픽셀(PN) 중 기준픽셀(PT)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인접픽셀(PN)을 기준픽셀(PT)과 인접픽셀(PN)의 중간 RGB값을 가지는 중간픽셀(PH)로 변경하여, 에지의 표현을 명확히 함으로써, 가공 영상의 출력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관리서버(200)에 스트리밍영상과 함께, 해당 스트리밍영상에서 중요한 정보(예를 들어, 텍스트)가 포함된 프레임 영역과 해당 정보가 위치하는 영상 내 위치(영역)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제공될 경우, 가공부(154)는 앞서 서술한 영역 외에도 관리서버(200)로부터 스트리밍영상과 함께 제공된 정보를 통해, 상술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해당 영역의 화질을 향상시켜 스트리밍영상을 가공할 수 있다.
제어부(155)는 통신부(151), 연결부(152), 정보생성부(153) 및 가공부(154)를 제어하며, 가공부(154)로부터 가공된 영상을 연결부(152)를 통해 디스플레이수단(13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5)는 고유한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통신부(151)를 통해 관리서버(200)로부터 업로드된 스트리밍영상과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해당 스트리밍영상에 관련된 정보 또한 해당 식별정보에 따라 분별하여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5)는 관리서버(200)에 업로드 된 복수의 스트리밍영상 중, 특정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할당된 스트리밍영상을 선별하여 수신하고, 가공부(154)를 제어하여 정보생성부(153)를 통해 생성된 가공정보를 통해 스트리밍영상을 가공하고, 최종적으로 가공부(154)로부터 가공된 영상을 연결부(152)를 통해 디스플레이수단(130)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155)는 별도의 저장영역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어, 최초 가공부(154)를 통해 가공된 영상을 저장하여, 이후에는 디스플레이수단(130)을 통해 해당 영상을 반복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고, 가공된 영상을 관리서버(2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5)는 관리서버(200)로부터 스트리밍영상과 스트리밍영상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때, 스트리밍영상에 관련된 정보에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한 가공 영상 출력 시에, 하부플레이트(121)를 통한 RGB LED를 통한 광 조사 및 거치플레이트(122)의 회전속도 및 방향에 대한 제어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부(155)는 확인된 제어정보를 통해, 스트리밍영상의 가공 이후,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한 가공 영상 출력 시에, 하부플레이트(121) 및 구동부재(123)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디스플레이수단이 전시상품의 전시방향 후방에 배치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디스플레이수단이 전시상품의 하방에 배치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몸체(110′), 안착베이스(120′), 디스플레이수단(130′), 반사수단(140′), 제어유닛(150′) 및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 상, 앞선 실시예에서 이미 언급되거나 중첩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 상, 생략하거나 축약하도록 하며, 앞선 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지는 내용만을 중점적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는 전시상품(D)의 전시방향을 기준으로 후면에 배치되며, 복수의 영상케이블이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어유닛(150′)에 연결되어, 제어유닛(150′)을 통해 관리서버(200)로부터 반사판(141′)에 반사되어 제공될 대상 영상을 스트리밍데이터 형태로 수신한 뒤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맞게 가공하여 디스플레이수단(130′)을 통해 출력하고,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에 출력되기 위한 스트리밍영상을 수신하여 반사판(141′)에 반사되는 가공 영상과 전시상품(D)의 후면방향에서 출력되는 배경영상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반사수단(140′)은 전시상품(D)의 전시방향 후면에 위치하는 반사판(141′)이 삭제된 형태로 마련되며, 이때, 보조디스플레수단(160′)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연결부재(143′)는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에 고정 또는 결합되는 구조로 마련되거나,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에 연결부재(143′)의 삽입 홈의 형상과 대응되는 브라켓이 적용된 상태로 몸체(110′)에 고정됨으로써,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이 고정된 연결부재(143′)와 고정부재(142′)를 통해 각 반사판(141′)의 고정력 또한 증진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150′)은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의 배경영상 출력영역이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의 양측에 고정된 연결부재(143′)로 구획되는 내부영역 상에 한정되도록, 관리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스트리밍 영상을 가공하여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에 출력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은 전시상품(D)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하부플레이트(121′)는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의 외곽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고, 거치플레이트(122′) 및 구동부재(123′)는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의 영상 출력면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어유닛(150′)에 연결되어, 제어유닛(150′)을 통해 관리서버(200)로부터 반사판(141′)에 반사되어 제공될 대상 영상을 스트리밍데이터 형태로 수신하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맞게 가공한 이후에 가공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수단(130′)을 통해 출력하고,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에 출력되기 위한 스트리밍영상을 수신하여 반사판(141′)에 반사되는 가공 영상과 전시상품(D)의 하단방향에서 출력되는 배경영상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몸체(110″), 안착베이스(120″), 디스플레이수단(130″), 반사수단(140″), 제어유닛(150″), 제1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 및 제2 보조디스플레이수단(17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마찬가지로, 앞선 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지는 내용만을 중점적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제1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은 전시상품(D)의 전시방향을 기준으로 후면에 배치되고, 제2 보조디스플레이수단(170″)은 전시상풍(D)의 하단에 배치되어, 각각 제어유닛(150″)에 연결됨으로써, 제어유닛(150″)이 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디스플레이수단(130″), 제1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 및 제2 보조디스플레이수단(170″) 각각에 대응되는 영상을 스트리밍데이터 형태로 수신하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맞게 가공한 이후에 가공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수단(130″)을 통해 출력하고, 제1 및 제2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 170″)에 출력되기 위한 스트리밍영상을 수신하여, 반사판(141″)에 반사되는 가공 영상과 전시상품(D)의 후면 및 하단방향에서 출력되는 배경영상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수단(140″)은 전시상품(D)의 전시방향 후면에 위치하는 반사판(141″)이 삭제된 형태로 마련되며, 이때, 제1 보조디스플레수단(160″)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연결부재(143″)는 제1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에 고정 또는 결합되는 구조로 마련되거나, 제1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에 연결부재(143″)의 삽입 홈의 형상과 대응되는 돌출구조 또는 브라켓이 적용된 상태로 몸체(110″)에 고정될 수 있어, 제1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이 고정된 연결부재(143″)와 고정부재(142″)를 통해 각 반사판(141″)의 고정력 또한 증진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150″)은 제1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의 배경영상 출력영역이 제1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의 양측에 고정된 연결부재(143″)로 구획되는 내부영역 상에 한정되도록, 관리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스트리밍 영상을 가공하여 제1 보조디스플레이수단(160″)에 출력시킬 수도 있다.
이때, 하부플레이트(121″)는 제2 보조디스플레이수단(170″)의 외곽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고, 거치플레이트(122″) 및 구동부재(123″)는 제2 보조디스플레이수단(170″)의 영상 출력면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시상품과 함께 전시상품의 각 전시방향으로 반사되어 전시상품(D)의 전시시점 상에 오버랩(Overwrap)된 형태로 제공되는 소개 텍스트, 이미지, 영상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로부터 스트리밍(Streaming)하여 제공함으로써, 전시상품의 교체 또는 영상의 수정 등에 따른 신규 영상 적용 시, 설치 위치별로 방문하여 영상이 저장된 저장장치를 직접 연결하여 신규 영상을 적용시키던 종래의 기술에 비해, 적은 관리인원으로도 신속하고 효율적인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 고유한 식별정보가 저장되어있고, 홀로그램 디스플레이장치가 관리서버에 업로드 된 영상을 식별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스트리밍하고,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에 따른 제어정보 또한 식별정보를 통해 분류하여 수신함으로써, 관리서버를 통한 복수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대다 관리의 편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수단, 반사판의 수, 반사판의 형태, 전시상품의 외관 및 전시위치에 따른 개별적 사양을 확인하여, 관리서버로부터 스트리밍 된 영상을 각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에 따라 자체적으로 가공하여 최적의 영상을 출력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사양을 가지는 다양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마다 적용될 영상을 직접 제작할 때에 소요되는 시간, 인원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에 따른 영상제작의 제약조건이 완화되며, 서로 다른 사양을 가지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범용적인 영상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시상품의 하부방향으로 조명이 제공되고, 전시상품의 하부에서 제공되는 조명의 일부를 상부로 전달하여 전시상품으로 반사시켜 제공함으로써, 반사수단으로 구획된 내부영역 상에 조명을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고, 일 방향으로만 조명이 제공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전시상품의 음영영역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반사수단에 반사된 영상 제공에 균일성 보장되고 전시상품의 시인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시시점 상에 영상의 상이 맺히도록 반사시키는 반사수단에서 각 전시방향에 배치되는 반사판이 상호 접합된 형태로 마련되지 않고, 연결부재가 전시상품의 전시 및 반사된 영상 제공에 가장 적은 영향을 끼치는 각 반사판의 측면을 상호 연결시키고,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반사판의 상부를 고정부재가 고정시킴에 따라, 특정 반사판의 오염, 훼손 등이 발생할 경우에도 해당 반사판만을 교체하면 되어,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지보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부재 및 연결부재가 각 반사판을 고정시키는 역할 외에도 하부방향으로 제공되는 광을 전시상품의 상부 방향으로 제공하는 광 전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함에 따라, 전시상품과 전시상품이 안착되는 내부공간 상에 광을 균일하게 제공하기 위한 조명의 배치가 단순해짐에 따라, 조명 교체 등을 위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및 보수 난이도가 낮아져 생산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1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몸체
120 : 안착베이스
121 : 하부플레이트
122 : 거치플레이트
123 : 구동부재
130 : 디스플레이수단
140 : 반사수단
141 : 반사판
142 : 고정부재
143 : 연결부재
143a : 광섬유
150 : 제어유닛
151 : 통신부
152 : 연결부
153 : 정보생성부
154 : 가공부
155 : 제어부
100′ : 제2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몸체
120′ : 안착베이스
121′ : 하부플레이트
122′ : 거치플레이트
123′ : 구동부재
130′ : 디스플레이수단
140′ : 반사수단
141′ : 반사판
142′ : 고정부재
143′ : 연결부재
150′ : 제어유닛
151′ : 통신부
152′ : 연결부
153′ : 정보생성부
154′ : 가공부
155′ : 제어부
160′ : 보조디스플레이수단
100″ : 제3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몸체
120″ : 안착베이스
121″ : 하부플레이트
122″ : 거치플레이트
123″ : 구동부재
130″ : 디스플레이수단
140″ : 반사수단
141′ : 반사판
142′ : 고정부재
143′ : 연결부재
150″ : 제어유닛
151″ : 통신부
152″ : 연결부
153″ : 정보생성부
154″ : 가공부
155″ : 제어부
160″ : 제1 보조디스플레이수단
170″ : 제2 보조디스플레이수단
200 : 관리서버
D : 전시상품
LC : 하부플레이트에서 중심영역에 배치되는 RGB LED
LO : 하부플레이트에서 연결부재의 위치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RGB LED
B : 하단영역
PT : 기준픽셀
PN : 인접픽셀
PH : 중간픽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개방된 프레임영역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프레임영역에 위치하여 전시상품이 안착되는 안착베이스;
    상기 몸체의 프레임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
    상기 안착베이스와 디스플레이수단의 사이에 위치하고, 일영역이 투과성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영상이 반사되는 반사수단; 및
    상기 몸체에 실장되고, 통신망을 통해 스트리밍영상을 제공하는 관리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된 스트리밍영상을 가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출력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고유한 식별정보를 가지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스트리밍영상을 제공받으며, 제공받은 스트리밍영상을 상기 반사수단 및 디스플레이수단에 대응되게 가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출력시키며,
    상기 제어유닛은,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수단과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수단, 반사수단 및 전시상품에 대한 정보를 통해 스트리밍영상 가공방식에 따른 가공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부와, 상기 정보생성부로부터 생성된 가공정보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된 스트리밍영상을 가공하는 가공부와, 상기 통신부, 연결부, 정보생성부 및 가공부를 제어하고, 상기 가공부로부터 가공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제공하며, 고유한 식별정보가 저장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생성부를 제어하여,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의 출력영역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반사수단의 반사판 형태 및 수에 대한 반사정보와 상기 전시상품의 외관 및 상기 안착베이스 상의 3차원 안착위치에 따른 상품정보를 수신하여 가공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공부를 제어하여, 상기 정보생성부로부터 생성된 가공정보로부터 상기 반사수단의 반사판 수를 확인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의 영상출력 영역 상에서 영상이 출력될 출력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의 출력 해상도와 전시상품에 대한 외관 사양 및 안착위치를 확인하여, 설정된 출력영역 내 영상의 출력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된 스트리밍영상의 좌우를 반전(Horizontal flip)시킨 반전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가공부를 통해 상기 출력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출력영역 내의 영상 출력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베이스는 상기 몸체의 개방된 프레임영역의 하면에 위치하며, 전시상품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이 포함된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072664A 2018-06-25 2018-06-25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92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664A KR102192585B1 (ko) 2018-06-25 2018-06-25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664A KR102192585B1 (ko) 2018-06-25 2018-06-25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631A KR20200000631A (ko) 2020-01-03
KR102192585B1 true KR102192585B1 (ko) 2020-12-17

Family

ID=69155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664A KR102192585B1 (ko) 2018-06-25 2018-06-25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717B1 (ko) * 2022-12-02 2023-09-27 한국전자기술연구원 360도 윈도우 홀로그램 관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83665B (zh) * 2021-04-28 2022-07-01 北京博导前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全息投影的多功能黑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576B1 (ko) 2009-04-10 2010-12-08 주식회사 마이마스 반사형 홀로그램 장치
KR101571413B1 (ko) 2015-08-06 2015-11-24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반사형 홀로그램 장치
KR20170082338A (ko) * 2016-01-06 2017-07-14 (주)젬백스테크놀러지 홀로그램 기반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170131790A (ko) * 2016-05-20 2017-11-30 김수연 홀로그램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의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유튜브, [online], 2014. 05. 08., [2019. 04. 23. 검색], 인터넷: <URL: https://www.youtube.com/watch?v=CZhjEQuR_f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717B1 (ko) * 2022-12-02 2023-09-27 한국전자기술연구원 360도 윈도우 홀로그램 관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631A (ko) 2020-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3648B1 (en) Tiled displays using multiple display panels over monolithic backlight modules
US6843564B2 (en) Three-dimensional image projection employing retro-reflective screens
JP4128008B2 (ja) 3d画像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8459455A (zh) 一种投影显示系统
CN106662773A (zh) 定向防窥显示器
WO2015043098A1 (zh) 一种多视角裸眼立体显示系统及其显示方法
CN101511036A (zh) 一种基于led的彩色全景视场三维显示装置
JPH04504786A (ja) 三次元ディスプレイ装置
CN101341743B (zh) 用于产生环境照明的分层光导
CN106068533A (zh) 定向显示器的控制
EP1411732A3 (en) Display systems using organic laser light sources
CN104583844B (zh) 光定向调制显示器
WO2006047488A3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s
KR102192585B1 (ko)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CN109870818B (zh) 一种高亮度增强现实3d显示装置及方法
CN106125315A (zh) 显示装置及方法
WO2020237923A1 (zh) 一种显示面板、显示方法及显示系统
US9491444B2 (en) Auto-multiscopic 3D display system
KR20170082338A (ko) 홀로그램 기반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CN103064244B (zh) 基于高速投影机的真彩色360°三维显示装置和方法
US20180348533A1 (en)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of display system
CN110750041A (zh) 基于空间光调制器的光场三维成像装置及系统
US11145228B1 (en) Immersive display structure
US9762892B2 (en) Auto-multiscopic 3D display and camera system
CN201965399U (zh) 反射型微型投影机用光学引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