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548U -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548U
KR20200000548U KR2020180004084U KR20180004084U KR20200000548U KR 20200000548 U KR20200000548 U KR 20200000548U KR 2020180004084 U KR2020180004084 U KR 2020180004084U KR 20180004084 U KR20180004084 U KR 20180004084U KR 20200000548 U KR20200000548 U KR 202000005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input
setting
me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378Y1 (ko
Inventor
이종하
전홍락
유광택
이정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피에스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피에스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180004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378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5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5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3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Abstract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는, 설치하고자 하는 전력량계에 해당되는 고객별 기본 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설치하고자 하는 전력량계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고객별 기본 값을 설정하고, 설정한 고객별 기본 값을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전력량계에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HANDHELD SETTING UNIT FOR WATT HOUR METER}
본 고안은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량계 부설 시 기본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상기 전력량계에 입력하는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량계는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는 장치로, 사용자가 컴퓨터, 텔레비전 등과 같은 다양한 전기 장치들 또는 전자 장치들을 사용할 때에 소비되는 전력량을 측정한다. 통상적으로, 전력량계는 일반 가정뿐만 아니라 전기를 사용하는 곳이라면 반드시 설치해야 하고, 전기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전기 요금을 부과하는 자료로 사용된다.
이러한 전력량계는 전력선과 직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력선의 전압과 전류를 공급받아 원형의 계측판을 돌리는 기계식과 수치를 직접 나타내는 디지털식이 사용되고 있다. 전력량계의 종류로는 단상 2선식, 3상 3선식, 3상 4선식 등이 있으며, 통상 박스형상으로 외관이 형성되고서 내부공간에 계측판이 구비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하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부하측 전선과 공급측 전선이 끼워지는 다수개의 단자홈을 갖춘 단자대를 포함하고 있다.
전력을 사용하는 개소에 전력량계를 설치한 다음, 단자대의 단자홈에 부하측 전선과 공급측 전선의 노출된 도체부를 삽입하고 단자대에 설치된 단자볼트를 조이면, 전력을 사용하는 개소의 사용된 전력량이 하우징의 계측판 또는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전력량계는 동작방법에 따라 유도형 전력량계, 전자식 전력량계로 분류될 수 있다. 전자식 전력량계와 유도형 전력량계는 가정 및 산업 현장에 설치되어 전기 사용량을 측정한다는 점에서는 그 기능이 동일하다. 그러나, 전자식 전력량계는 유도형 전력량계와는 달리 전력과 관련된 각종 다양한 값들을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전자식 전력량계는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원격검침시스템과 접목되어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설정부를 포함하여 계기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식 전력량계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전자식 전력량계에 대한 신규고객, 검정만료 및 고장발생 등으로 전력량계를 부설할 때, 전력량계의 설정부를 통해 기본정보를 기록하는데, 작업자가 하나하나의 전력량계를 수작업으로 입력해야 했다. 즉, 전력량계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모뎀커버를 분리하고, 배터리를 연결하며, 단자커버를 분리하고 전원을 연결하며, 현재 날짜, 현재 시간, 정기검침일, 계량종별, 송수전모드, T/S 설정, 계량모드 및 최초 통전 등에 대한 설정 과정을 수행한 후, 전원을 분리하고 단자커버를 설치하며 모뎀커버를 설치하고 봉인하는 과정이 필요하였다. 이때, 상기와 같은 설정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특히 집단 계기 출고 시에는 단순작업을 반복하여 휴먼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3024호(공고일 : 2016.12.07.공고)인 "전자식 전력량계"가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전력량계 부설 시 기본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상기 전력량계에 입력하는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는, 설치하고자 하는 전력량계에 해당되는 고객별 기본 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설치하고자 하는 전력량계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고객별 기본 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고객별 기본 값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전력량계에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고객별 기본 값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항목 및 전력량계 순환항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전원 온/오프 및 데이터 송수신 완료 여부를 나타내는 LED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설정항목별 내용, 순환항목별 내용, 데이터 송수신 실패 여부, 통신 여부, 설정할 계량종별, 입력부 동작 및 순환항목 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입력부는, 설정항목 및 순환항목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스위치와, 전력량계로부터 상기 전력량계에 설정된 고객별 기본 값을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설치하고자 하는 전력량계에 설정하기 위한 고객별 기본 값을 일괄입력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체설정스위치와, 전원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어부는, 기본모드 및 설정모드에 따라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따른 동작을 다르게 하고, 상기 입력부가 입력되는 시간을 기준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따른 동작을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이동스위치가 기준시간 이상 입력되는 경우, 설정모드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전체설정스위치가 기준시간 이상 입력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전력량계에 고객별 기본 값을 일괄입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전력량계로부터 상기 전력량계에 설정된 고객별 기본 값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고객별 기본 값을 저장한 전력량계에 해당되는 고객과 동일 유형의 고객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저장한 고객별 기본 값을 상기 동일 유형의 고객의 전력량계에 일괄입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날짜, 현재시간, 계기 프로그램ID, 정기검침일, 송·수전모드, 계량모드, 계량종별 및 부가신호 사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는, 전력량계 부설 시 기본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상기 전력량계에 입력함으로써, 전력량계에 기본정보를 기록하는 과정이 단축되도록 하여 전력량계 부설 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설정시간 감소 및 대기시간 제거로 소요 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는, 신속하고 정확한 업무처리로 인적실수를 예방할 수 있고, 내부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는, 전력량계 출고시간이 감소되어, 업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업무관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적자원 활용성 증가로 비전문가의 업무 대체가 가능함에 따라 계기담당자가 고유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업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설정값 입력 단순화를 통해 인적실수를 예방하여 오입력으로 발생할 수 있는 요금문제를 최소화함으로써, 고객의 만족도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의 입력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의 설정항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의 입력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의 설정항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는, 입력부(10), 펌웨어입력부(20), 배터리부(30), 통신부(40), 제어부(50), LED표시부(60) 및 디스플레이부(70)를 포함한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전기 서비스 제공자에서 전기 판매 시 전기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 간 공정한 거래체계 확립을 위해 부설하는 저압고객용 전력량계 부설 시 소요되는 시간의 단축을 통해 작업자 업무효율을 높이기 위한 휴대용 설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본 실시예의 휴대용 설정 장치에는 전력량계의 기본 순환항목을 출력하는 기본모드와 전력량계의 고객별 기본 값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항목을 출력하는 설정모드가 있으며, 순환항목 및 설정항목은 현재 모드에 따른 차이가 있고 그 항목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순환항목 및 설정항목은 현재날짜, 현재시간, 계기 프로그램ID, 정기검침일, 송ㅇ수전모드, 계량모드, 계량종별 및 부가신호 사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설정항목에 대해 미리 설정하여 전력량계에 송출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설치하고자 하는 전력량계에 해당되는 고객별 기본 값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가 입력부(10)를 통해 고객별 기본 값을 조정하고, 미리 설정할 고객별 기본 값을 입력하면, 제어부(50)가 상기 입력된 고객별 기본 값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하거나 통신부(40)를 통해 연결하여 상기 설치하고자 하는 전력량계에 송출하게 된다.
또한, 입력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항목 및 순환항목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스위치(11)와, 전력량계로부터 상기 전력량계에 설정된 고객별 기본 값을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전력량계에 송출하기 위해 미리 설정한 고객별 기본 값을 일괄입력 할 수 있는 전체설정스위치(12)와,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는 전원 온/오프 스위치(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0)는 각 스위치의 기능을 표시할 수 있고, 누름버튼 스위치, 토글 스위치, 멤브레인 스위치, 터치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스위치의 기능에 따라 스위치의 구성을 달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입력부(10) 및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7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입력부(10) 및 디스플레이부(7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입력부(10)를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본 고안에서 이동스위치(11)는 설정항목 또는 순환항목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적어도 4개 이상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스위치는 상(▲) 이동스위치(11a), 하(▼) 이동스위치(11b), 좌(◀) 이동스위치(11c) 및 우(▶) 이동스위치(11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이동스위치(11)는 현재 모드가 기본모드 또는 설정모드인지에 따라 기능이 달라질 수 있고, 작업자가 각각의 이동스위치(11)를 입력하는 시간에 따라 기능이 달라질 수 있다.
즉, 기본모드에서 작업자가 이동스위치(11)를 기준시간 이상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4개의 이동스위치(11a, 11b, 11c, 11d)가 공통적으로 설정모드에 진입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시간은 3초로 설정할 수 있으나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작업자가 기본모드에서 이동스위치(11)를 기준시간 미만으로 입력하는 경우와, 작업자가 설정모드에서 이동스위치(11)를 기준시간 미만으로 입력하는 경우, 각각의 이동스위치(11)는 다른 기능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 이동스위치(11a)는 순환항목 이동 기능과, 설정하기 위한 고객별 기본 값을 증가 또는 위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포함하고, 하 이동스위치(11b)는 최초통전 기능과, 설정하기 위한 고객별 기본 값을 감소 또는 아래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좌 이동스위치(11c)는 부가신호입력 기능과, 설정하기 위한 고객별 기본 값에 대해 왼쪽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우 이동스위치(11d)는 시간입력 기능과, 설정하기 위한 고객별 기본 값에 대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10)의 전체설정스위치(12)는 통신부(40)를 통해 연결된 전력량계로부터 상기 전력량계에 설정된 고객별 기본 값의 전체설정에 대해 복사하여 읽어오거나, 전력량계에 고객별 기본 값의 전체설정을 일괄입력 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이다. 이때, 전체설정스위치(12)는 현재 모드가 기본모드 또는 설정모드인지에 따라 다른 기능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고, 작업자가 상기 전체설정스위치(12)를 입력하는 시간에 따라 다른 기능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전체설정스위치(12)는 작업자가 전체설정 읽기 기능 및 전체설정 쓰기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의 입력의 차이에 의해 달라지는 기능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펌웨어입력부(20)는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의 펌웨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단자이다.
배터리부(30)는 배터리 또는 그 외 전원 장치가 연결되는 것으로,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에 전원을 제공하는 수단이며, 그 구현 형태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부(40)는 설치하고자 하는 전력량계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전력량계의 몸체에 부설되어 있는 계기 입출력 포트와 RS-485 통신선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송출하거나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전력량계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연결 방법이라면, 상기 통신부(40)의 통신 연결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LED표시부(60)는 전원 온/오프 및 데이터 송수신 완료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부로, 녹색 및 적색 LED램프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작업자가 입력부(10)의 전원 온/오프 스위치(13)를 입력하여 전원을 온 시키면, 제어부(50)는 LED표시부(60)의 두 개의 LED를 점등시키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소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전력량계에 고객별 기본 값을 입력하거나 전력량계로부터 고객별 기본 값을 다운로드 하는 경우,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료(성공)되면 녹색 LED를 5번 점멸 시키고,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완료되지 못한 경우 적색 LED를 5번 점멸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데이터 송수신 완료 여부에 대해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별 기본 값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항목 및 순환항목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설정항목별 내용, 순환항목별 내용, 데이터 송수신 실패 여부, 통신 여부, 설정할 계량종별, 입력부 동작 및 순환항목 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부(70)에 표시되는 구성은 한정되지 않고, 펌웨어입력부(20)를 통한 업데이트를 통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70)는 LCD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입력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70)는 순환항목 번호 표시부(71), 이동스위치 동작 표시부(72), 계량종별 표시부(73), 디스플레이 내용 표시부(74), 통신 표시부(75) 및 에러 표시부(76)를 포함한다.
순환항목 번호 표시부(7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70)에 현재 출력되는 순환항목 또는 설정항목에 해당하는 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날짜가 출력되는 경우, 기본모드에서는 O1, 설정모드에서는 S1을 표시하고, 현재시간이 출력되는 경우, 기본모드에서는 O2, 설정모드에서는 S2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계기 프로그램ID, 정기검침일, 송ㅇ수전모드, 계량모드 및 계량 종별 중 하나가 출력되는 경우, 기본모드에서는 O3, 설정모드에서는 S3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부가신호사용여부가 출력되는 경우, 기본모드에서는 O4, 설정모드에서는 S4를 표시할 수 있다.
이동스위치 동작 표시부(72)는 설정모드 진입 후 입력부(10)의 이동스위치(11)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방향에 해당하는 화살표를 표시할 수 있다.
계량종별 표시부(73)는 전력량계에 설정할 계량종별을 표시하는 것으로, 예컨대, 1종일 때는 A가 표시되고, 2종일 때는 AB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50)는 현재시간에 해당하는 시간대가 함께 점멸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내용 표시부(74)는 설정항목별 내용 또는 순환항목별 내용이 표시되는 것이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날짜, 현재시간, 계기 프로그램ID, 정기검침일, 송ㅇ수전모드, 계량모드, 계량종별 및 부가신호사용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현재 설정 상태에 대한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통신 표시부(75)는 통신부(40)를 통해 전력량계와 통신이 시작되면, 제어부(50)에 의해 통신 여부를 나타내는 통신 아이콘이 점멸되고, 통신이 끝나면 상기 통신 아이콘이 소등된다.
에러 표시부(76)는 데이터 송수신 실패 여부를 표시하는 것으로, 이때 제어부(50)는 전력량계에 고객별 기본 값을 입력하거나 전력량계로부터 고객별 기본 값을 다운로드 하는 경우,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완료되지 못하면, LED표시부(60)의 적색 LED와 함께 에러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적색 LED는 5번 점멸 시킨 후 소등하나, 에러 표시부(76)의 에러 아이콘은 다음 통신이 시작될 때까지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고객별 기본 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고객별 기본 값을 통신부(40)를 통해 연결된 전력량계에 송출한다.
제어부(50)는 현재 모드가 기본모드 또는 설정모드인지에 따라 입력부(10)의 입력에 따른 동작을 다르게 하고, 입력부(10)가 입력되는 시간을 기준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입력부(10)의 입력에 따른 동작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는 현재 모드가 기본모드인 경우, 상 이동스위치(11a)가 3초 미만 입력되면 순환항목을 이동시키고, 3초 이상 입력되면 통신부(40)를 통해 연결된 전력량계를 초기화 시키고 설정모드에 진입한다. 또한, 제어부(50)는 현재 모드가 설정모드인 경우에는 상 이동스위치(11a)가 3초 미만 입력되면 설정하기 위한 고객별 기본 값을 증가 또는 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현재 모드가 기본모드인 경우, 하 이동스위치(11b)가 3초 미만 입력되면 통신부(40)를 통해 연결된 전력량계에 최초통전 명령을 전달하고, 3초 이상 입력되면 설정모드에 진입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현재 모드가 설정모드인 경우에는 하 이동스위치(11b)가 3초 미만 입력되면 설정하기 위한 고객별 기본 값을 감소 또는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현재 모드가 기본모드인 경우, 좌 이동스위치(11c)가 3초 미만 입력되면 통신부(40)를 통해 연결된 전력량계에 현재 설정된 부가신호를 입력하고, 3초 이상 입력되면 설정모드에 진입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현재 모드가 설정모드인 경우에는 좌 이동스위치(11c)가 3초 미만 입력되면 설정하기 위한 고객별 기본 값에 대해 왼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부가신호는 타임스위치개폐신호, 원격부하개폐신호 및 부하제한설정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현재 모드가 기본모드인 경우, 우 이동스위치(11d)가 3초 미만 입력되면 통신부(40)를 통해 연결된 전력량계에 현재 설정된 시간을 입력하고, 3초 이상 입력되면 설정모드에 진입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현재 모드가 설정모드인 경우에는 우 이동스위치(11d)가 3초 미만 입력되면 설정하기 위한 고객별 기본 값에 대해 오른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 내용 표시부(74)의 6개의 숫자 중 현재 설정하고자 하는 숫자에 대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데, 좌 이동스위치(11c)가 입력되는 경우 왼쪽으로 이동시키고, 우 이동스위치(11d)가 입력되는 경우 오른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현재 모드가 기본모드인 경우, 전체설정스위치(12)가 3초 미만 입력되면 통신부(40)를 통해 연결된 전력량계로부터 상기 전력량계에 설정된 고객별 기본 값의 전체설정에 대해 복사하여 읽어올 수 있고, 3초 이상 입력되면 상기 통신부(40)를 통해 연결된 전력량계에 고객별 기본 값의 전체설정을 일괄입력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는 현재 모드가 설정모드인 경우에는 전체설정스위치(12)가 3초 미만 입력되면 다음 항목으로 설정항목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모드가 설정모드인 경우 입력부(10) 각각의 스위치가 3초 이상으로 입력되는 경우, 설정모드가 종료되고 기본모드로 전환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통신부(40)를 통해 연결된 전력량계에 설정된 고객별 기본 값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고객별 기본 값을 저장한 전력량계에 해당되는 고객과 동일 유형의 고객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저장한 고객별 기본 값을 상기 동일 유형의 고객의 전력량계에 일괄입력 할 수 있다. 예컨대, 다세대 등 집단고객이거나 같은 지역 등 동일유형의 고객은 같은 고객별 기본 값을 입력하게 되는데, 이를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하여, 입력부(10)의 전체설정스위치(12)가 한 번 입력되는 것만으로도, 각각의 전력량계에 일괄적으로 고객별 기본 값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계량종별을 1종 또는 2종을 사용하는 저전압용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 현재 설정된 계량종별을 전력량계에 입력할 때, 전력량계가 3종이나 4종인 경우 전력량계는 현재 3종 또는 4종의 계량종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력량계가 3종이나 4종일 때 전력량계로부터 설정된 고객별 기본 값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현재 설정된 1종 또는 2종의 계량종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부가신호에 대해 사용하지 않거나 타임스위치개폐신호(tS)로 사용하는 경우에만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는, 전력량계 부설 시 기본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상기 전력량계에 입력함으로써, 전력량계에 기본정보를 기록하는 과정이 단축되도록 하여 전력량계 부설 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설정시간 감소 및 대기시간 제거로 소요 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는, 신속하고 정확한 업무처리로 인적실수를 예방할 수 있고, 내부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는, 전력량계 출고시간이 감소되어, 업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업무관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적자원 활용성 증가로 비전문가의 업무 대체가 가능함에 따라 계기담당자가 고유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업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설정값 입력 단순화를 통해 인적실수를 예방하여 오입력으로 발생할 수 있는 요금문제를 최소화함으로써, 고객의 만족도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입력부
11 : 이동스위치
11a, 11b, 11c, 11d : 상, 하, 좌, 우 이동스위치
12 : 전체설정스위치
13 : 전원 온/오프 스위치
20 : 펌웨어입력부
30 : 배터리부
40 : 통신부
50 : 제어부
60 : LED표시부
70 : 디스플레이부
71 : 순환항목 번호 표시부
72 : 이동스위치 동작 표시부
73 : 계량종별 표시부
74 : 디스플레이 내용 표시부
75 : 통신 표시부
76 : 에러(ERROR) 표시부

Claims (9)

  1. 설치하고자 하는 전력량계에 해당되는 고객별 기본 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설치하고자 하는 전력량계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고객별 기본 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고객별 기본 값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전력량계에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고객별 기본 값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항목 및 전력량계 순환항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전원 온/오프 및 데이터 송수신 완료 여부를 나타내는 LED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설정항목별 내용, 순환항목별 내용, 데이터 송수신 실패 여부, 통신 여부, 설정할 계량종별, 입력부 동작 및 순환항목 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설정항목 및 순환항목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스위치와, 전력량계로부터 상기 전력량계에 설정된 고객별 기본 값을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설치하고자 하는 전력량계에 설정하기 위한 고객별 기본 값을 일괄입력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체설정스위치와, 전원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본모드 및 설정모드에 따라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따른 동작을 다르게 하고, 상기 입력부가 입력되는 시간을 기준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따른 동작을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이동스위치가 기준시간 이상 입력되는 경우, 설정모드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전체설정스위치가 기준시간 이상 입력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전력량계에 고객별 기본 값을 일괄입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전력량계로부터 상기 전력량계에 설정된 고객별 기본 값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고객별 기본 값을 저장한 전력량계에 해당되는 고객과 동일 유형의 고객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저장한 고객별 기본 값을 상기 동일 유형의 고객의 전력량계에 일괄입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날짜, 현재시간, 계기 프로그램ID, 정기검침일, 송·수전모드, 계량모드, 계량종별 및 부가신호 사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
KR2020180004084U 2018-09-03 2018-09-03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 KR2004973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084U KR200497378Y1 (ko) 2018-09-03 2018-09-03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084U KR200497378Y1 (ko) 2018-09-03 2018-09-03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548U true KR20200000548U (ko) 2020-03-11
KR200497378Y1 KR200497378Y1 (ko) 2023-10-25

Family

ID=69767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084U KR200497378Y1 (ko) 2018-09-03 2018-09-03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37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340A (ko) * 2020-06-10 2021-12-17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363253B1 (ko) * 2020-11-06 2022-02-15 천일계전(주) 휴대용 계량자료 설정장치 그 설정방법
KR20220162464A (ko) * 2021-06-01 2022-12-08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 설정 장치
KR102598610B1 (ko) * 2023-07-18 2023-11-07 제이앤디전자(주) 전력량계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3555A (ja) * 2003-06-12 2005-01-06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電子式電力量計
JP2017101948A (ja) * 2015-11-30 2017-06-08 中国電力株式会社 計量器管理システム及び計量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3555A (ja) * 2003-06-12 2005-01-06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電子式電力量計
JP2017101948A (ja) * 2015-11-30 2017-06-08 中国電力株式会社 計量器管理システム及び計量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340A (ko) * 2020-06-10 2021-12-17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363253B1 (ko) * 2020-11-06 2022-02-15 천일계전(주) 휴대용 계량자료 설정장치 그 설정방법
KR20220162464A (ko) * 2021-06-01 2022-12-08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 설정 장치
KR102598610B1 (ko) * 2023-07-18 2023-11-07 제이앤디전자(주) 전력량계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378Y1 (ko)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0548U (ko) 전력량계용 휴대 설정 장치
US8188883B2 (en) Utility meter with communication system displays
US7962299B2 (en) Electricity metering
US20040150384A1 (en) Electrical service disconnect having tamper detection
US20170219378A1 (en) External access to meter display
CA2756431C (en) Gateway mirroring of metering data between zigbee networks
US8744788B2 (en) Micro-meter for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US20110077878A1 (en) Power supply with data communications
JP6272653B2 (ja)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方法、および電力管理システム
KR200360131Y1 (ko)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KR102013580B1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자동 설정 시스템
JP6264700B2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エネルギー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1340311A2 (en) Auxiliary metering apparatus and methods
KR102075660B1 (ko) 전력량계 순회 점검 시스템
CA2934892C (en) Utility meter emulation mode system and method
KR101120886B1 (ko) 에너지 관리 시스템, 에너지 관리 장치, 에너지 관리 방법
KR101071431B1 (ko) 에너지 관리 시스템, 에너지 관리 장치, 에너지 관리 방법
US4424454A (en) Electrical time switch
KR102531479B1 (ko) 전력량계 설정 장치
KR20110075671A (ko) 콘센트형 전력요금 표시장치
CN210348779U (zh) 载波抄控器切换装置
JP2012083199A (ja) 電子式指示計器
JP2018072357A (ja)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方法、および電力管理システム
KR102235254B1 (ko) 계량기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Raman et al. Energy Forecast Mobile Application for Smart Panel via Bluetooth using Modbus Protoc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