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227U - 유자망 - Google Patents

유자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227U
KR20200000227U KR2020180003335U KR20180003335U KR20200000227U KR 20200000227 U KR20200000227 U KR 20200000227U KR 2020180003335 U KR2020180003335 U KR 2020180003335U KR 20180003335 U KR20180003335 U KR 20180003335U KR 20200000227 U KR20200000227 U KR 202000002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mesh
support rope
longitudinal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3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196Y1 (ko
Inventor
백종진
Original Assignee
백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진 filed Critical 백종진
Priority to KR20201800033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196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2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2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1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12Nets held vertically in the water, e.g. se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자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물망의 특정 부위에 손상이 발생되더라도 손상부위가 전체적으로 확대되지 않도록 하고, 그물망에 호 형상의 체류공간이 자연스럽게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수중에 부설된 상태 및 그물의 인양시에 어류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자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자망은 그물실에 의해 다수의 그물코가 마련되도록 면상구조로 형성된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지지로프; 상기 그물망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하지지로프; 상기 상지지로프와 상기 하지지로프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일측지지로프; 상기 상지지로프와 상기 하지지로프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타측지지로프; 상기 일측지지로프와 상기 타측지지로프에 연결되고 상기 그물망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횡조절로프; 및 상기 상지지로프와 상기 하지지로프에 연결되고 상기 그물망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종조절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횡조절로프와 상기 종조절로프는 상기 그물망에 볼록한 체류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그물꼬에 꿰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자망{DRIFT GILL NET}
본 고안은 유자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물망의 특정 부위에 손상이 발생되더라도 손상부위가 전체적으로 확대되지 않도록 하고, 그물망에 호 형상의 체류공간이 자연스럽게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수중에 부설된 상태 및 그물의 인양시에 어류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자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를 포획하는 그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일정한 장소에 일정기간 부설해 두고 어획하는 정치망, 수건 모양으로 그물을 수면에 수직으로 펼쳐서 조류를 따라 흘려보내면서 어류가 그물코에 꽂히게 하여 어획하는 유자망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유자망은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망(1)의 하부에 여러개의 추(4)가 고정되고 상부에 지지로프(2)와 부자(3)를 고정한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어망의 인양시 인양 롤러(6)와 압접되어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92990호로 개시된 바와 같은 유자망이 제안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92990호에 따른 유자망은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망(1)의 상부에 보호어망(1A)을 연결하는 한편 지지로프(2)에 여러개의 부자(3)를 끈(5)으로 느슨하게 고정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92990호에 따른 유자망은 끈(5)에 의해 부자(3)가 지지로프(2)에 느슨하게 고정되어 있어 인양시 유자망이 인양 롤러와 압접되어 파손되는 형상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으나 이하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는 한계점이 있다.
전술한 종래 유자망들은 인양시 또는 부설된 상태에서 특정 부위의 그물코가 파단될 경우 인접하는 그물코들이 연이어 파단되면서 전체적으로 손상부위 확대됨에 따라 보수가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어망 전체를 폐기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유자망은 수중에 부설된 상태에서 조류에 의해 부자(3)를 포함하는 어망의 상부가 조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어망(1)이 하부 추(4)를 기준으로 전체적인 형상이 대각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므로 어류를 쉽게 포획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 유자망은 인양시에도 어망(1)의 형태가 평면 구조이므로 그물코에 꿰어진 어류가 쉽게 이탈되므로 안정적인 어업활동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92990호 "유자망"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6-0080909호 "자망 전용 매듭그물감"
본 고안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물망의 특정 부위에 손상이 발생되더라도 손상부위가 전체적으로 확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업 실패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고,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유자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그물망에 호 형상의 체류공간이 자연스럽게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수중에 부설된 상태 및 그물의 인양시에 어류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유자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유자망은 그물실에 의해 다수의 그물코가 마련되도록 면상구조로 형성된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지지로프; 상기 그물망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하지지로프; 상기 상지지로프와 상기 하지지로프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일측지지로프; 상기 상지지로프와 상기 하지지로프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타측지지로프; 상기 일측지지로프와 상기 타측지지로프에 연결되고 상기 그물망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횡조절로프; 및 상기 상지지로프와 상기 하지지로프에 연결되고 상기 그물망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종조절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유자망은 그물실에 의해 다수의 그물코가 마련되도록 면상구조로 형성된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지지로프; 상기 그물망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하지지로프; 상기 상지지로프와 상기 하지지로프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일측지지로프; 상기 상지지로프와 상기 하지지로프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타측지지로프; 상기 일측지지로프와 상기 타측지지로프에 연결되고 상기 그물망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횡조절로프; 및 상기 상지지로프와 상기 하지지로프에 연결되고 상기 그물망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종조절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횡조절로프와 상기 종조절로프는 상기 그물망에 볼록한 체류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그물꼬에 꿰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횡조절로프와 상기 종조절로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그물코의 가로, 세로 성형율이 동일한 상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배치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그물망의 길이나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횡조절로프와 상기 종조절로프는 상기 그물코의 가로, 세로 성형율이 동일한 상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배치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그물망의 길이나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로프가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유자망은 상기 횡조절로프와 상기 종조절로프의 교차지점에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조절로프결속부재를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자망은 상기 횡조절로프와 상기 종조절로프는 길이 조절을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길이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횡조절로프와 상기 종조절로프에 형성되는 매듭 또는 상기 횡조절로프와 상기 종조절로프에 설치되는 고리로 구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 사이에 결속되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물망은 상부 변의 길이가 하부 변의 길이보다 짧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물망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덧대어지는 보호그물망 및 상기 상지지로프에 결속되고 부자가 구비된 복수의 보조로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지지로프, 상기 하지지로프, 상기 일측지지로프, 상기 타측지지로프는 상기 그물코의 가로, 세로 성형율이 동일한 상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그물망의 각 변의 길이와 같거나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유자망에 의하면, 횡조절로프와 종조절로프의 작용으로 그물망에 볼록한 체류공간(s)이 형성되므로 수중에 부설된 상태에서 어류를 효과적으로 진입시킬 수 있고, 그물의 인양시에도 체류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그물코에 낀 어류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조업활동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유자망에 의하면, 수중에 부설된 상태에서 거센 조류에 의해 그물망이 대각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볼록한 체류공간(s)을 형성하게 되므로 어류의 포획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양 시 또는 부설된 상태에서 특정 부위의 그물코가 파단되더라도 그물망에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횡조절로프와 종조절로프가 설치되어 있어서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인접하는 그물코들이 연이어 파단되면서 그물망이 전체적으로 손상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조업 실패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으며,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어업의 휴지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망의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이나 자원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1a 및 도1b는 종래 유자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자망의 전체적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3a는 도2의 A부 확대사시도,
도3b는 도2의 B부 확대사시도,
도4a 및 도4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자망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4a는 조류에 의해 유자망에 체류공간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4b는 센 조류, 파랑, 거센 바람 등에 의해 유자망이 경사지게 기울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자망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도5의 C부 확대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자망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도7의 D부 확대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2 내지 도8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자망의 전체적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3a는 도2의 A부 확대사시도, 도3b는 도2의 B부 확대사시도, 도4a 및 도4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자망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4a는 조류에 의해 유자망에 체류공간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4b는 센 조류, 파랑, 거센 바람 등에 의해 유자망이 경사지게 기울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2 내지 도4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자망(n)은 그물망(1), 상지지로프(2), 하지지로프(3), 일측지지로프(4) 및 타측지지로프(5)를 구비하되, 그물망(1)에 볼록한 체류공간(s)이 형성되도록 복수의 횡조절로프(6)와 종조절로프(7)가 더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체류공간(s)은 측면에서 도시되는 그물망(1)의 형상이 대략 호 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됨에 따라 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공간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포획할 어류의 용이한 유도와 진입 작용 및 폭획된 어류의 이탈을 방지하는 등의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그물망(1)은 그물실(11)에 의해 다수의 그물코(12)가 마련되도록 면상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통상 전체적인 정면상 외관 형상은 직사각 형상이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변의 길이가 하부 변의 길이보다 짧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물망(1)의 사이즈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그물망의 하부 변의 길이(l1)가 대략 28미터(m) 내외이고, 상부 변의 길이(l2)가 23미터(m) 내외이며, 높이(h)가 대략 16미터(m) 내외로 형성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그물코(12)는 중공의 형상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것도 사용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는 마름모꼴 형성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지지로프(2)는 그물망(1)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로프로서 그물망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지지로프(3)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고, 일정한 간격으로 부자(22)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지로프(3)는 그물망(1)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로프로서, 상지지로프(2)에 비해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고, 추(32)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일측지지로프(4)는 상지지로프(2)와 하지지로프(3)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로프로서, 대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타측지지로프(5)는 상지지로프(2)와 하지지로프(3)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로프로서, 일측지지로프(4)와 대칭구조가 되도록 대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횡조절로프(6)는 일측지지로프(4)와 타측지지로프(5)에 연결되고 그물망(1)의 높이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로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5미터 내외의 간격을 갖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그 설치 수량 및 간격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다.
종조절로프(7)는 상지지로프(2)와 하지지로프(3)에 연결되고 그물망(1)의 길이방향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로프로서 대략 5미터 내외의 간격을 갖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그 설치 수량 및 간격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횡조절로프(6)와 종조절로프(7)는 그물망(1)에 볼록한 체류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된 점에 중요한 특징이 있다. 그리고, 횡조절로프(6)와 종조절로프(7)는 안정적으로 그물망을 지지하면서도 제작시 삽입동작이나 길이조절시 편의성을 고려하여 그물꼬(12)에 꿰어져 배치된다. 이때, 횡조절로프(6)와 종조절로프(7)는 인접하는 그물코(12)를 번갈아가며 오르내리는 형태로 엇갈리게 꿰어져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횡조절로프(6)와 종조절로프(7)는 그물망(1)에 배치된 상태에서 볼록한 체류공간(s)을 형성하도록 횡조절로프와 종조절로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그물코의 가로, 세로 성형율이 동일한 상태로 그물망이 펼쳐진 상태에서 각 위치의 그물망의 길이나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성형율은 그물코(12)를 둘러싸는 그물실(11)인 발의 펼쳐진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가로, 세로 성형율이 동일하다는 것은 그물코의 중공이 정사각 형상이 되도록 각 발이 동일한 형태로 펼쳐진 상태를 의미한다.
예컨대, 횡조절로프(6)와 종조절로프(7)는 유자망에 가급적 많은 수량의 체류공간이 마련되도록, 그물코의 가로, 세로 성형율이 동일한 상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그물망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횡조절로프(6)와 그물망의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종조절로프(7)가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어종, 해상의 상태나 기상 조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횡조절로프(6)와 종조절로프(7)는 그물망(1)에 형성되는 체류공간(s)의 볼록한 정도를 크게 하고자 할 경우 해당 부위의 길이를 좀더 길게 하고 반대로 볼록한 정도를 작게 하고자 할 경우 해당 부위의 길이를 짧게 하는 형태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상지지로프(2), 하지지로프(3), 일측지지로프(4), 및 타측지지로프(5)는 그물코의 가로 세로 성형율이 동일한 상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그물망(1)의 각 변의 길이와 같거나 조금 짧은 길이가 되도록 형성하여 유자망의 가장자리 부분을 팽팽하게 지탱하는 골격 역활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자망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2를 참조하면 망 소재를 정해진 사이즈를 갖도록 사다리꼴 형상으로 재단하여 그물망(1)을 제작하고, 이 그물망(1)에 부자(22)가 설치된 상지지로프(2), 추(32)를 설치한 하지지로프(3), 일측지지로프(4) 및 타측지지로프(5)를 차례로 설치하고, 그물망(1)에 볼록하게 체류공간(s)이 형성되도록 복수의 횡조절로프(6)와 종조절로프(7)를 꿰어 설치한다.
그리고, 횡조절로프(6)와 종조절로프(7)의 설치시에는 인접하는 그물코(12)를 번갈아가며 오르내리는 형태로 엇갈리게 꿰어지도록 설치하되, 그물코의 가로, 세로 성형율이 동일한 상태로 그물망이 펼쳐진 상태에서 체류공간(s)을 형성하는 위치의 그물망의 길이나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조절하여 설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작된 유자망(n)을 조업 해상에 설치하게 되면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류에 의해 길이가 조절된 횡조절로프(6)와 종조절로프(7)의 작용으로 볼록한 체류공간(s)이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볼록한 체류공간(s)에 의해 내부에는 오목한 공간이 자연스럽게 마련되므로 수중에 부설된 상태에서 어류를 효과적으로 진입시킬 수 있고, 그물의 인양시에도 체류공간을 형성하여 고기주머니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그물코에 낀 어류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휘된다.
그리고, 유자망(n)이 수중에 부설된 상태에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센 조류에 의해 그물망(1)이 대각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더라도 볼록한 체류공간(s)을 형성하게 되고 유지망(n)이 하부 추(32)를 기준으로 전체적인 형상이 대각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더라도 어류를 포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 외에도 본 고안에 따른 유자망은 인양시 또는 부설된 상태에서 특정 부위의 그물코가 파단되더라도 그물망(1)에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횡조절로프(6)와 종조절로프(7)가 설치되어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인접하는 그물코들이 연이어 파단되면서 그물망이 전체적으로 손상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어업의 휴지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망의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이나 자원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자망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유자망의 전체적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6은 도5의 C부 확대사시도이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유자망은 그물망(1), 상지지로프(2), 하지지로프(3), 일측지지로프(4), 타측지지로프(5), 그물망(1)에 볼록하게 체류공간(s)이 형성되도록 복수의 횡조절로프(6)와 종조절로프(7)를 구비되되, 상기 횡조절로프(6)와 종조절로프(7)의 교차지점에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조절로프결속부재(8)가 더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유자망은 횡조절로프(6)와 종조절로프(7)의 교차지점에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조절로프결속부재(8)가 더 구성되어 체류공간(s)이 형성될 위치의 횡조절로프(6) 및 종조절로프(7)와 그물망(1)을 서로 결속하게 되므로 희망하는 크기의 체류공간(s)을 보다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어서 어류의 포획, 인양 등의 조업활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횡조절로프(6) 및 종조절로프(7)와 그물망(1)들이 서로 마찰되면서 손상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서 사용연한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자망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유자망의 전체적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8은 도7의 D부 확대사시도이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유자망은 그물망(1), 상지지로프(2), 하지지로프(3), 일측지지로프(4), 타측지지로프(5), 그물망(1)에 볼록하게 체류공간(s)이 형성되도록 복수의 횡조절로프(6)와 종조절로프(7)를 구비하되, 상기 횡조절로프(6)와 종조절로프(7)가 그물망에 기 설치된 상태에서도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길이조절부(9)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9)는 횡조절로프(6)와 종조절로프(7)에 형성되는 걸림부(91)와, 이 걸림부(91) 사이에 결속되는 길이조절부재(9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걸림부(91)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조절로프(6) 및 종조절로프(7)를 꼬아서 만든 매듭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합성수지재나 금속재를 이용하여 별도 제작한 고리(도시하지 않음)를 횡조절로프(6) 및 종조절로프(7)에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길이조절부재(92)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가는 로프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지만, 합성수지재나 금속재에 의해 별도로 제작한 길이조절용 수단을 제한 없이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유자망은 횡조절로프(6)와 종조절로프(7)에 복수의 길이조절부(9)가 더 구성되어 있으므로 횡조절로프(6)와 종조절로프(7)를 그물망(1)에 기 설치된 상태에서도 필요에 따라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그물망(1)에 기 설치한 횡조절로프(6)와 종조절로프(7)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면 포획 어류의 종류나 상태, 해상의 조업조건이나 기상조건 등에 따라 체류공간(S)의 깊이. 크기, 형태, 수량 등을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조업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체류공간의 수정이나 변경을 위해 유자망 전체를 교체하거나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유자망은 전술한 제1 변형예 및 제2 변형예와 같은 변형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배경기술(첨부도면 도1b 참조)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물망(1)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덧대어지는 보호그물망(미도시)을 추가로 설치하거나, 부자가 구비된 복수의 보조로프(미도시)를 상지지로프(2)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유자망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n:유자망 s:체류공간
1:그물망 11:그물실
12:그물코 2:상지지로프
22:부자 3:하지지로프
32:추 4:일측지지로프
5:타측지지로프 6:횡조절로프
7:종조절로프 8:조절로프결속부재
9:길이조절부 91:걸림부
92:길이조절부재

Claims (9)

  1. 유자망에 있어서,
    그물실에 의해 다수의 그물코가 마련되도록 면상구조로 형성된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지지로프;
    상기 그물망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하지지로프;
    상기 상지지로프와 상기 하지지로프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일측지지로프;
    상기 상지지로프와 상기 하지지로프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타측지지로프;
    상기 일측지지로프와 상기 타측지지로프에 연결되고 상기 그물망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횡조절로프; 및
    상기 상지지로프와 상기 하지지로프에 연결되고 상기 그물망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종조절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망.
  2. 유자망에 있어서,
    그물실에 의해 다수의 그물코가 마련되도록 면상구조로 형성된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지지로프;
    상기 그물망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하지지로프;
    상기 상지지로프와 상기 하지지로프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일측지지로프;
    상기 상지지로프와 상기 하지지로프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타측지지로프;
    상기 일측지지로프와 상기 타측지지로프에 연결되고 상기 그물망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횡조절로프; 및
    상기 상지지로프와 상기 하지지로프에 연결되고 상기 그물망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종조절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횡조절로프와 상기 종조절로프는 상기 그물망에 볼록한 체류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그물꼬에 꿰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조절로프와 상기 종조절로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그물코의 가로, 세로 성형율이 동일한 상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배치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그물망의 길이나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망.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조절로프와 상기 종조절로프는 상기 그물코의 가로, 세로 성형율이 동일한 상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배치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그물망의 길이나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로프가 교번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망.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조절로프와 상기 종조절로프의 교차지점에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조절로프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망.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조절로프와 상기 종조절로프는 길이 조절을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길이조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횡조절로프와 상기 종조절로프에 형성되는 매듭 또는 상기 횡조절로프와 상기 종조절로프에 설치되는 고리로 구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 사이에 결속되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망.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은 상부 변의 길이가 하부 변의 길이보다 짧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물망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덧대어지는 보호그물망 및 상기 상지지로프에 결속되고 부자가 구비된 복수의 보조로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망.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지지로프, 상기 하지지로프, 상기 일측지지로프, 상기 타측지지로프는 상기 그물코의 가로, 세로 성형율이 동일한 상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그물망의 각 변의 길이와 같거나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망.
KR2020180003335U 2018-07-19 2018-07-19 유자망 KR2004921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335U KR200492196Y1 (ko) 2018-07-19 2018-07-19 유자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335U KR200492196Y1 (ko) 2018-07-19 2018-07-19 유자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227U true KR20200000227U (ko) 2020-01-30
KR200492196Y1 KR200492196Y1 (ko) 2020-08-27

Family

ID=69227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335U KR200492196Y1 (ko) 2018-07-19 2018-07-19 유자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196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243Y1 (ko) * 2000-12-05 2001-06-15 서수갑 조립식 유자망
KR200392990Y1 (ko) 2005-05-26 2005-08-17 정관식 유자망
KR20060080909A (ko) 2006-06-12 2006-07-11 문나오 자망 전용 매듭그물감
KR101177789B1 (ko) * 2011-02-24 2012-08-30 조규석 로프 및 그물망을 이용한 농작물용 비가림 구조물
KR101374175B1 (ko) * 2013-10-02 2014-03-17 대한민국 비치용 해파리 차단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243Y1 (ko) * 2000-12-05 2001-06-15 서수갑 조립식 유자망
KR200392990Y1 (ko) 2005-05-26 2005-08-17 정관식 유자망
KR20060080909A (ko) 2006-06-12 2006-07-11 문나오 자망 전용 매듭그물감
KR101177789B1 (ko) * 2011-02-24 2012-08-30 조규석 로프 및 그물망을 이용한 농작물용 비가림 구조물
KR101374175B1 (ko) * 2013-10-02 2014-03-17 대한민국 비치용 해파리 차단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196Y1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3474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iber rolls
KR100761877B1 (ko)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
CN201188805Y (zh) 一种浮桶升降式紫菜养植装置
KR20150020651A (ko) 새꼬막의 유생 포착용 그물
AU2002256111B2 (en) Adjustable porous structures and method for shoreline and land mass reclamation
RU174847U1 (ru) Сетчатая панель для защитной противооползнев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20200000227U (ko) 유자망
JP5636136B1 (ja) 防護柵
KR101413255B1 (ko) 하천 바닥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키 스톤 네트 및 이의 시공 방법
CN204163086U (zh) 覆盖式帘式网
CN213204136U (zh) 一种基坑防护棚
JP4115422B2 (ja) 防護柵
CN213740870U (zh) 一种水利工程护坡防护加固装置
JP7448968B2 (ja) つる性植物登はん防止用シートネット
JP6330454B2 (ja) 防護ネ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並びに既設防護ネットに対する補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525327B1 (ko) 시공석 고정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석 고정방법
CN207469270U (zh) 高边坡组合式支护结构
KR101243195B1 (ko) 중량림베이스가 구비된 팔각십자계단형 인공어초
RU178642U1 (ru) Ставная сеть
CN207151385U (zh) 方便掀盖的果园防鸟网
CN109811730A (zh) 一种保障集鱼效果的深水网箔装置
KR20170027275A (ko) 스톤 고정 매트리스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433028B1 (ko) 붉바리를 포함한 어류 스트레스 저감 및 이탈 방지용 블라인드 네트
KR101258392B1 (ko)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로드킬 방지용 펜스
KR101716388B1 (ko)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