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178U - 릴리프 밸브 - Google Patents

릴리프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178U
KR20200000178U KR2020180003886U KR20180003886U KR20200000178U KR 20200000178 U KR20200000178 U KR 20200000178U KR 2020180003886 U KR2020180003886 U KR 2020180003886U KR 20180003886 U KR20180003886 U KR 20180003886U KR 20200000178 U KR20200000178 U KR 202000001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valve
valve seat
relief valve
en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011Y1 (ko
Inventor
에마누엘 훔멜
마티아스 괴페르트
Original Assignee
회르비거 비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회르비거 비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회르비거 비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001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0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0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6Attachment of sealing rings
    • F16K1/465Attachment of sealing rings to the 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1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in the form of closur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011Breathe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08Safety, indicating, or supervising devices
    • F02B77/10Safety means relating to crankcase explo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24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6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a special seat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t Valve (AREA)
  • Safety Valves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밸브 시트 상의 침전물을 감소시킬 수 있는 릴리프 밸브(1)를 제공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라 제1 밀봉면(DF1)을 형성하는 제1 단부면(DA1)과 제2 밀봉면(DF2)을 형성하는 마주 놓인 제2 단부면(DA2)이 밀봉 부재(16)에 제공되고, 상기 릴리프 밸브(1)의 폐쇄 상태에서 밸브 플레이트(15)는 제1 단부면(DA1)에 밀봉 접촉하고, 제2 단부면(DA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내측의 연속적인 밀봉 내주면(23)이 밀봉 부재(16)에 제공되고, 상기 밀봉 내주면은 제1 단부면(DA1)과 제2 단부면(DA2)을 연결하고, 밀봉 내주면(23)에 마주 놓이며 제1 단부면(DA1)과 제2 단부면(DA2)을 연결하는, 밀봉 부재(16)의 외부 밀봉 외주면(28)은 밸브 시트 부재(5)에 배치되고, 밀봉 내주면(23)은 밸브 시트 개구(VO)를 주변을 따라 제한한다.

Description

릴리프 밸브{RELIEF VALVE}
본 고안은 작업 공간 내부의 미리 정해진 개방 압력의 초과 시 작업 공간의 압력 경감을 위해 작업 공간의 벽의 벽 개구에 배치하기 위한 릴리프 밸브에 관한 것으로, 밸브 시트 개구를 가진 밸브 시트 부재, 릴리프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밸브 시트 개구를 폐쇄하는 밸브 플레이트 및, 밸브 시트 부재 상에 밸브 시트 부재와 밸브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릴리프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밸브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며, 미리 정해진 개방 압력의 초과 시 밸브 시트 개구의 개방을 위해 밸브 플레이트는 밀봉 부재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다.
릴리프 밸브는 예를 들어 방폭 밸브로서 폭발 시 폐쇄된 작업 공간의 압력 경감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작업 공간은, 예를 들어 내연기관의 크랭크 하우징일 수 있고, 상기 크랭크 하우징은, 특히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폭발의 경우 폭발로 인해 크랭크 하우징 내부에서 갑작스럽게 상승하는 압력을 경감해야 한다. 또한, 폭발시 릴리프 밸브를 사용하여 보호해야 하는 폐쇄된 다른 작업 공간들도 있다. 분말 인화성 매체가 취급되는, 예를 들어 폐쇄된 작업 공간은, 여기에서 분진 폭발이 비교적 쉽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폭발 위험이 있다. 분진이 가연성 재료, 예를 들어 석탄, 밀가루, 목재, 카카오, 커피, 전분 또는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경우에, 분진과 공기의 혼합물은 폭발성이다. 예컨대 마그네슘, 알루미늄과 심지어 철 및 강 같은 무기 물질과 원소들도 이러한 형태에서 폭발성 (또는 적어도 가연성)이다. 가연성 외에 분진의 작은 입자 크기도 결정적이고, 즉 입자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이로 인해 분진 입자의 표면이 증가하기 때문에, 폭발 효과가 커진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 콤팩트한 형태에서 불연성으로 간주되는 재료들도 이러한 미세하게 분산된 형태에서는 연소될 수 있다. 점화원으로서 충분한 온도와 에너지 밀도에 의한 다양한 전기적 또는 기계적 효과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플러그를 뽑거나 전기 장치 내부의 오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스파크로 충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하를 띄는 의류에 의한 정전기뿐만 아니라, 마찰과 이동에 의해 상당한 정전기 응력과 전하를 생성할 수 있는 운반 수단 (고무 또는 이와 같은 것으로 이루어진 컨베이어 벨트)도 중요한 위험원이다. 다른 점화원은 예를 들어, 고온 표면 (예를 들어 생산 환경에서), 연삭- 또는 마찰 스파크 및 베어링 손상이다.
폭발-릴리프 밸브들은 선행기술에 기본적으로 공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 제 DK 91047 C호, 제KR 101800799 B1, 제CN 204512564 U호, 제DE 212012000084 U1호, 제AT 6424 U1호, 제AT 311129 B호, 제ES 312337 A3, 제KR 100928079 B1호, 제KR 100981453 B1, 제WO 09136674 A1호, 제DD87441 A 호는 다양한 형상의 방폭 밸브들을 제시하고, 이 경우 밸브 플레이트와 밸브 시트 사이의 밀봉을 위해 밸브 시트에 각각 링형 그루브와 O-링 형태의 밀봉부가 제공된다. 양호한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특히 O-링용 그루브는 매우 정확하게 제조되어야 하기 때문에, 한편으로 밸브 시트의 비교적 높은 제조 복잡성이 이러한 형상의 단점이다. 다른 단점은, 특히 작업 공간 내부의 매체가 공격적인 경우에 작업 공간과 밸브 시트의 접촉으로 인해 밸브 시트를 위해 고가의 내식성 재료들이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이는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밸브 시트에는 밀봉부 영역에 갭이 형성되고, 상기 갭에 침전물이 생성될 수 있고, 이는 식품- 또는 제약 산업에서처럼 민감한 위생 용도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항상 원하는 밀봉력이 달성될 수 없고, 유지 보수를 위한 밀봉부의 교체가 비교적 복잡하다.
본 고안의 과제는 이러한 단점들을 제거하는 릴리프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릴리프 밸브는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어야 하고, 밸브 시트 상의 침전물이 감소해야 하고, 특히 방지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따라 상기 과제는, 제1 밀봉면을 형성하는 제1 단부면과 제2 밀봉면을 형성하는 마주 놓인 제2 단부면이 밀봉 부재에 제공되고, 릴리프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밸브 플레이트는 제1 단부면에 밀봉 접촉하고, 제2 단부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내측의 연속하는 밀봉 내주면이 밀봉 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밀봉 내주면은 제1 단부면과 제2 단부면을 연결하고, 밀봉 내주면에 마주 놓이며 제1 단부면과 제2 단부면을 연결하는, 밀봉 부재의 외부 밀봉 외주면은 밸브 시트 부재에 배치되고, 밀봉 내주면은 밸브 시트 개구를 주변을 따라 제한함으로써 해결된다. 밀봉 부재를 이용해서 작업 공간 내부의 공정 매체로부터 밸브 시트를 차폐함으로써, 밸브 시트 요소의 제조에 더 저렴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밸브 시트 부재의 제조 정밀도, 특히 평탄도에 대한 요구가 덜 엄격하고, 이로 인해 밸브 시트는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밸브 시트 부재는 구조적으로도 더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경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밀봉 부재는 동시에 고정 플랜지에 대해 또는 벽에 대해 밀봉을 위해 이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별도의 밀봉부는 생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릴리프 밸브는 작업 공간의 벽에 릴리프 밸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가지며, 고정 수단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작업 공간의 벽에 릴리프 밸브를 나사 조임할 수 있는 복수의 고정 스크루가 제공된다. 스크루는, 저렴한 표준 제품이며 간단하게 개방되고 다시 나사 조임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작업 공간으로부터 릴리프 밸브를 통해 외부로 화염 전파를 방지하기 위한 화염 방지기가 릴리프 밸브 내에 제공되며, 이 경우 화염 방지기는 바람직하게 적층된 복수의 박판 라멜라(lamella)로 이루어진 라멜라 스택의 형태로 구현된다. 따라서, 작업 공간 내부의 폭발 시 화염이 외부로 퍼지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고, 이는 사람에 대한 안전을 높이고 화재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릴리프 밸브는, 릴리프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예비 응력에 의해 밸브 플레이트에 밀봉 부재에 대해 예비 응력을 가하도록 제공된 서스펜션 유닛을 가지며, 상기 서스펜션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미리 정해진 또는 가변적인 스프링 특성 곡선을 갖는 헬리컬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며, 이 경우 미리 정해진 스프링 특성 곡선은 바람직하게는 선형, 점진적 또는 체감적 스프링 특성 곡선으로서 형성된다. 이로 인해 간단하고 저렴한 표준-기계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형 밸브 시트 개구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 밸브 플레이트가 제공되며, 이 경우 밀봉 부재는 회전 대칭 밀봉 링으로서 형성된다. 이로 인해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릴리프 밸브가 형성된다. 개구, 밸브 플레이트 및 특히 밀봉 링의 원형의 형태에 의해 양호한 밀봉 작용이 달성되고 침전물은 감소한다.
제1 단부면과 밀봉 내주면은 릴리프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밸브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제1 주 밀봉 립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단부면과 밀봉 외주면은 릴리프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밸브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제2 주 밀봉 립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밀봉 작용이 개선될 수 있다.
밀봉 작용을 더 개선하기 위해, 밀봉 부재의 제1 단부면 및/또는 제2 단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밀봉 립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보조 밀봉 립은 제1 주 밀봉 립과 제2 밀봉 립 사이에 놓인다.
바람직하게는 밸브 시트 개구의 방향으로 내부로 연장되는 밸브 시트 부재 돌출부가 밸브 시트 부재에 제공되고, 밸브 시트 부재 돌출부에 밀봉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밀봉 부재 리세스가 밀봉 외주면에 제공되며, 이 경우 밸브 시트 부재는 바람직한 형상에 따라 제1 중앙 밸브 시트 부품 리세스를 가진 제1 디스크형 밸브 시트 부품 및 제2 중앙 밸브 시트 부품 리세스를 가지며 밸브 플레이트의 이동 방향으로 거기에 인접하는 제2 디스크형 밸브 시트 부품을 포함하며, 이 경우 제1 밸브 시트 부품 리세스는 밸브 시트 부재 돌출부의 형성을 위해, 제2 밸브 시트 부품 리세스에 비해 작다. 이로 인해 밸브 시트 부재의 제조 및 결과적으로 릴리프 밸브 전체의 제조가 간단해질 수 있고, 밀봉 부재의 양호한 배치와 간단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형상들을 예시적으로, 개략적으로 및 비 제한적으로 도시하는 도 1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계속해서 본 고안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a는 선행기술에 공개된 릴리프 밸브를 도시한 도면.
도 1b는 밸브 시트의 세부도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폐쇄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릴리프 밸브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릴리프 밸브의 밸브 시트의 세부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개방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릴리프 밸브를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릴리프 밸브의 밀봉 부재의 제1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릴리프 밸브의 밀봉 부재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1에 선행기술에 공개된 원통형 릴리프 밸브(1)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릴리프 밸브(1)는, 릴리프 밸브(1)의 폐쇄 상태에서 릴리프 밸브(1)가 폐쇄된 작업 공간(AR)의 주변(AT)에 대해 작업 공간(AR)을 밀봉하도록, 폐쇄된 작업 공간(AR)의 벽(3)의 벽 개구(4)에 배치된다. 릴리프 밸브(1)는, 여기에서 클램핑 스크루(6a) 형태의 복수의 클램핑 부재(6)에 의해 함께 지지되는 밸브축(VA), 외부 밸브 하우징(2) 및 밸브 시트 부재(5)를 포함한다. 밸브 하우징(2)과 밸브 시트 부재(5) 사이에 간격 부재들(7)이 배치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 부재들은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간격 슬리브로서 클램핑 스크루(6a) 둘레에 또는 클램핑 스크루(6a)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간격 부재들(7)은, 밸브 하우징(2)과 밸브 시트 부재(5)를 특정한 간격으로 릴리프 밸브(1)의 축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실질적으로 고정 연결하기 위해 이용된다. 클램핑 스크루(6a)를 조이기 위해 밸브 시트 부재(5) 내에 대응하는 나사산 보어(8)가 제공될 수 있고, 밸브 하우징(2)에 클램핑 스크루(6a)의 견고한 나사 결합을 위해 스크루 너트(9)가 제공되고, 상기 스크루 너트는 밸브 하우징(2)을 지나 돌출한 클램핑 스크루(6a)의 나사산 섹션에 나사 결합된다.
밸브 하우징(2)과 밸브 시트 부재(5) 사이에 축방향으로 및 릴리프 밸브(1) 외부에 방사 방향으로 화염 방지기(10)가 배치되고, 상기 화염 방지기는 여기에서 적층된 박판 라멜라의 형태로 구현된다. 화염 방지기(10)는 작업 공간(AR) 내부의 폭발의 경우에, 릴리프 밸브(1)의 개방 상태에서 가능한 화염들이 릴리프 밸브(1)를 통해 주변(AT)으로 퍼질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이용된다. 릴리프 밸브(1)는 여기에서 고정 스크루(11a)의 형태의 고정 수단(11)에 의해 벽(3)에 고정된다. 고정 스크루(11a)의 나사 결합을 위해, 벽(3) 내에 대응하는 나사산 보어(12)가 제공된다. 또한, 고정 수단(11)의 둘레에는 밸브 하우징(2)과 밸브 시트 부재(5) 사이의 간격 부재(7)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간격 부재는 도시된 예에서 간격 슬리브(7a)로서 구현된다.
밸브 하우징(2)의 내측면에 서스펜션 유닛(13)이 배치되고, 상기 서스펜션 유닛의 하나의 축방향 단부는 밸브 하우징(2)에 접촉하고, 마주 놓인 축방향 단부는 밸브 플레이트(15)에 접촉한다. 서스펜션 유닛(13)은 릴리프 밸브(1)의 폐쇄 상태에서 규정된 예비 응력(Fv)에 의해 밸브 플레이트(15)에 밸브 시트 부재(5)에 대해 예비 응력을 가함으로써, 벽(3)의 벽 개구(4) 및 작업 공간(AR)을 폐쇄할 수 있다. 밸브 시트 부재(5) 상에, 밸브 플레이트(15)와 밸브 시트 부재(5) 사이에 O-링 형태의 밀봉 부재(16)가 배치되고, 상기 밀봉 부재는 (릴리프 밸브(1)의 폐쇄 상태에서) 밸브 플레이트(15)를 밸브 시트 부재(5)에 대해 밀봉한다.
도 1b는 도 1a에 표시된, 밸브 플레이트(15)와 밸브 시트 부재(5) 사이의 밀봉 영역의 상세도이다. 여기에서 O-링으로서 구현된 밀봉 부재(16)는 밸브 시트 부재(5)에 있는 실질적으로 링형으로 둘러싸는 밀봉 그루브(17) 내에 배치된다. 충분히 양호한 밀봉 작용을 달성하기 위해, 밀봉 그루브(17)의 형상이 매우 중요하다. 밀봉 그루브(17)는 복잡한 기하학적 형상을 갖고, 즉 작은 치수 공차로 매우 정확하게 제조되어야 하고 또한 매우 매끄러워야 하며, 즉 작은 조도(roughness)를 가져야 하고 평탄해야 한다. 이는 물론 높은 제조 복잡성을 필요로 하는데, 그 이유는 밸브 시트 부재(5)는 기계적으로 복잡하게 가공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예를 들면 먼저 밸브 플레이트(15)를 향한 밸브 시트 부재(5)의 표면이, 예를 들어, 밀링 또는 선반 가공에 의해 형성된 후에 밀봉 그루브(17)가 제조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이는 밀봉 그루브가 여기에서처럼 회전 대칭 밀봉 그루브인 경우에, 예를 들어 선반 가공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릴리프 밸브의 종래의 구현 시, 일반적으로 디프드로잉(deep drawing) 가공에 의해 수행되는 밸브 플레이트의 제조도 충분한 밀봉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복잡하다. 특히 밸브 플레이트의 평탄도에 대해 매우 높은 정확도가 요구되며, 이는 항상 충분히 충족될 수 없다.
밀봉 그루브의 제조를 위한 비교적 높은 제조 기술적인 복잡성에 추가하여,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프 밸브(1)의 폐쇄 상태에서 밀봉 부재(16)의 영역에 밸브 플레이트(15)와 밸브 시트 부재(5) 사이의 갭 영역(18)이 형성된다. 이러한 갭 영역(18)은, 청결과 관련하여 몇몇 매우 엄격한 법적 요건이 적용되는, 예를 들어 식품- 또는 제약 산업에서 위생 용도에 릴리프 밸브(1)가 이용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지 않다. 작업 영역(AR)에서 예를 들어 부패하기 쉬운 식품이 취급되면, 갭 영역(18) 내에 침전물이 형성되는 위험이 있고, 상기 침전물은 세균의 형성을 야기할 수 있고, 이는 어떠한 경우든 바람직하지 않다.
도 1a에 또한, 밸브 시트 부재(5)가 방사방향 내측면에서 실질적으로 작업 공간(AR) 및 거기에서 취급되는 작업 매체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작업 공간(AR) 내부의 매체가 공격적인, 강한 부식성인 경우에 릴리프 밸브(1)의 사용 시, 밸브 시트(5)가 적절하게 내식성 및 따라서 고가의 물질로 제조되어야 하고, 이는 경제적인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라, 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수하게 형성된 밀봉 부재(16)를 갖는 릴리프 밸브(1)가 구현된다. 제1 밀봉면(DF1)을 형성하는 제1 단부면(DA1)과 제2 밀봉면(DF2)을 형성하는 마주 놓인 제2 단부면(DA2)이 밀봉 부재(16)에 제공되고, 이 경우 릴리프 밸브(1)의 폐쇄 상태에서 밸브 플레이트(15)는 제1 단부면(DA1) 또는 형성된 밀봉면(DF1)에 밀봉 접촉하고, 제2 단부면(DA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즉, 릴리프 밸브(1)는 사용 시 노출 단부면(DA2)이 부품에, 예를 들어 작업 공간(AR)의 벽(3)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밀봉 부재(16)는 또한 내측의 연속적인 밀봉 내주면(23)을 갖고, 상기 밀봉 내주면은 제1 단부면(DA1)과 제2 단부면(DA2)을 연결한다. 밀봉 내주면(23)에 마주 놓이며 제1 단부면(DA1)과 제2 단부면(DA2)을 연결하는, 밀봉 부재(16)의 밀봉 외주면(28)은 밸브 시트 부재(5)에 배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형상에 의해 밀봉 부재(16)는 밸브 플레이트(15) 사이의 밀봉에 추가하여 고정 플랜지(20)에 대해 또는 벽(3)에 대한 직접적인 밀봉을 위해서도 이용되고, 이로 인해 별도의 밀봉부는 생략될 수 있다(도 1a 및 도 1b, 밸브 시트 부재(5)와 벽(3) 사이의 밀봉부 참조).
도 2a는 작업 공간(AR)의 벽(3)의 벽 개구(4)에 배치되며 밸브축(VA)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릴리프 밸브(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릴리프 밸브(1)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도 1a에 도시된 릴리프 밸브(1)의 구성에 상응한다. 릴리프 밸브(1)는 밸브 하우징(2)을 갖고, 상기 밸브 하우징은 고정 수단(11)에 의해, 여기에서 고정 스크루(11a; 단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벽(3)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스크루는 벽(3)의 (도시되지 않은) 나사산 보어(12)에 나사 결합된다. 릴리프 밸브(1)를 축방향으로 함께 지지하기 위해, 릴리프 밸브(1)는 원주에 분포된 클램핑 부재(6), 도시된 예에서 클램핑 스크루(6a)를 갖는다. 밸브 하우징(2)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클램핑 부재(6)의 외측에 놓인 단부에 지지 부재(19)도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지지 부재들은 여기에서 스크루 아이렛의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스크루 아이렛은 예를 들어 클램핑 스크루(6a)의 나사산 섹션에 나사 결합된다. 예를 들어 릴리프 밸브가 크레인 후크에 고정됨으로써, 지지 부재들(19) 또는 스크루 아이렛에 의해 릴리프 밸브(1)는 더 간단하게 취급될 수 있고, 이는 특히 무거운 릴리프 밸브(1)의 구현 시 바람직한데, 조립을 간단하게 하기 때문이다.
릴리프 밸브(1)는 또한 서스펜션 유닛(13)을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유닛은 바람직하게 비선형 스프링 특성 곡선을 갖는, 여기에서 원추형 헬리컬 스프링(14)으로서 형성된다. 비선형 스프링 특성 곡선이란, 헬리컬 스프링(14)의 스프링 강성(c)이 헬리컬 스프링(14)이 압축되는 만큼의 거리(l)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 경우 거리(l)는 구체적인 경우에 릴리프 밸브(1)의 소위 밸브 행정(Hx)에 상응한다. 밸브 행정(Hx)은 따라서 밸브 플레이트(15)의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간격이다. 비선형 스프링 특성 곡선은 점진적 또는 체감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스프링 상수(c)는 점진적 스프링 특성 곡선에서 거리(l)에 걸쳐 증가하고, 체감적 스프링 특성 곡선에서는 거리(l)에 걸쳐 감소한다. 이는 예를 들어, 밸브 행정(Hx)의 처음 10%로 밸브 플레이트(15)를 들어올리기 위해 특정한 제1 개방력(Fo1)이 필요하고, 밸브 행정(H)의 두 번째 20%로 밸브 플레이트(15)를 추가로 들어올리기 위해 특정한 제2 개방력(Fo2)이 필요하며, 상기 제2 개방력은 제1 개방력(Fo1)보다 크거나(점진적) 작은(체감적)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헬리컬 스프링(14)의 구조적인 형상에 의해 릴리프 밸브(1)의 개방 특성이 정해질 수 있다. 물론, 선형 스프링 특성 곡선을 갖는 헬리컬 스프링(14)도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스프링 상수(c)는 거리(l)에 걸쳐 일정하다(Fo1 = Fo2).
물론, 다른 유형의 스프링, 예컨대 링 스프링, 벌류트 스프링(volute spring), 다이어프램 스프링, 디스크 스프링 등이 서스펜션 유닛(13)으로서 사용되는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공개된 에어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스프링 강성(c) 및 릴리프 밸브(1)의 개방 특성이 에어 스프링의 공기 압력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것이다. 이로 인해 릴리프 스프링(1)은 가변 개방 압력으로 다양한 응용예에 대해 매우 플랙시블하게 조정될 수 있고, 이 경우 개방 압력은, 밸브 플레이트(15)를 밸브 시트 부재(5)로부터 들어올리기 시작하는 작업 공간(AR) 내부의 압력에 상응한다.
밸브 플레이트(15)는 릴리프 밸브(1)의 폐쇄 상태에서 밀봉 부재(16)에 밀봉 접촉하고, 밸브 축(VA)의 방향으로 밀봉 부재(16)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밸브 플레이트(15)는 폐쇄 상태에서 릴리프 밸브(1)의 밸브 시트 개구(VO)를 폐쇄하고, 밸브 플레이트(15)가 일반적으로 밸브 플레이트(15)에 인가하는 압력에 의해 밀봉 부재(16)로부터 들어올려지면, 밸브 시트 개구(VO)를 개방한다. 릴리프 밸브(1)는 본 고안에 따라 특수한 밀봉 부재(16) 및 이와 함께 작용하는 밸브 시트 부재(5)를 포함한다. 밀봉 부재(16)는 제1 단부면(DA1)에 제1 밀봉면(DF1)을 갖고, 상기 밀봉면은 릴리프 밸브(1)의 폐쇄 상태에서 밸브 플레이트(15)의 밸브 플레이트 내부면(15a)에 밀봉 접촉한다. 밸브축(VA)의 방향으로 마주 놓인, 밀봉 부재(16)의 제2 단부면(DA2)은 노출된 제2 밀봉면(DF2)을 갖는다. 제1 단부면(DA1)과 제2 단부면(DA2)은 (밸브 시트 개구(VO))를 향한) 내측면에서 연속적인 밀봉 내주면(23)에 의해 연결되고, 마주 놓인 측면에서는 밀봉 외주면(28)에 의해 연결되며, 이 경우 밀봉 내주면(23)은 동시에 밸브 시트 개구(VO)의 주변을 따른 제한부를 형성한다. 밀봉 부재(16) 및 특히 밀봉 내주면(23)이 밸브 시트 개구(VO)의 주변을 따른 제한부를 형성하는 연속적인 면으로서 형성됨으로써 밸브 시트 개구(VO)의 영역 내의 가능한 이음매는 가급적 최소화될 수 있고, 이로써 릴리프 밸브(1) 상의 침전물의 위험이 감소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방지될 수 있다. 연속적인 밀봉 내주면(23)은 특히, 바람직하지 않은 성분들, 예컨대 분진 또는 오일을 밀봉 부재(16)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이는 특히 위생 용도에서 릴리프 밸브(1)의 세척 과정 중에, 바람직하지 않은 성분들이 밀봉 부재(16) 위에 남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동시에 밀봉 부재(16)의 이러한 구현에 의해, 밸브 시트 부재(5)가 밀봉 부재(16)에 의해 밸브 시트 개구(VO)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보장된다. 이로써 밸브 시트 부재(5)는 작업 공간(AR) 내부의 작업 매체와 더 이상 접촉하지 않으므로, 밸브 시트 부재(5)는 사용된 재료들과 관련해서 더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노출된 제2 단부면(DA2)에 의해 릴리프 밸브(1)는 간단하고 확실하게 부품에 밀봉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부면(DA2)이 밸브축(VA)의 방향으로, 예를 들어 밸브 시트 부재(5)로부터 형성된, 릴리프 밸브(1)의 축방향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이로써 밀봉 부재(16)는 부품에 배치 시 고정 수단(11)에 의해 축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고, 이는 제2 밀봉면(DF2)에서 밀봉을 개선한다.
릴리프 밸브(1)는 예를 들어 작업 공간(AR)의 벽(3)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플랜지(20)도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고정 플랜지는 벽(3)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플랜지에 릴리프 밸브(1)가 고정된다. 이를 위해 릴리프 밸브(1)는 먼저 고정 플랜지(20)에 연결된 후에 함께 벽(3)에 연결될 수도 있다.
클램핑 스크루(6a)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플랜지(20) 내로 돌려 넣어지고, 이 경우 물론 밸브 시트 부재(5) 내에 밸브 시트 부재(5)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상응하는 리세스, 바람직하게 관통 보어가 제공되고, 클램핑 스크루(6a)는 상기 관통 보어를 통과함으로써, 고정 플랜지(20)에 (또는 벽(3)에도) 나사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플랜지(20)는 선택적일 뿐이고, 특히 밀봉 부재(16)를 위한 지지부로서 정확히 규정된 밀봉면(21)이 제공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릴리프 밸브(1)의 밀봉 특성이 개선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특히 벽(3)의 표면이 오염되었거나 평탄하지 않은 경우 간격 유지 부재(20)의 배치가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 플랜지(20) 내의 리세스는 더 간단하게 밸브 시트 개구(VO)에 대해 정확히 조정될 수 있으므로, 고정 플랜지(20)와 밀봉 부재(16) 사이에 가급적 이음매 또는 갭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정 플랜지(20) 내의 중앙 리세스(20a)는 간단하게 밸브 시트 개구(VO)에 대해 일직선으로 이음매 없이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 플랜지(20)가 제공되지 않으면, 밀봉 부재(16)는 제2 단부면(DA2)의 노출된 제2 밀봉면(DF2)에 의해 간격 유지 부재(20) 대신에 작업 공간(AR)의 벽(3)에 직접 지지한다.
릴리프 밸브(1)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원통형, 라운드형, 바람직하게는 원형 밸브 시트 개구(VO)를 포함해서 구현되고, 이 경우 벽(3)의 벽 개구(4)는 물론 바람직하게 또한 라운드 횡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밸브 플레이트(15), 밸브 시트 부재(5) 및 고정 플랜지(20)는 도시된 예에서 밸브 축(VA)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으로 구현된다. 밀봉 부재(16)는 따라서 회전 대칭 밀봉 링으로도 구현된다. 물론, 클램핑 스크루(6a) 및 고정 스크루(11a)를 위한 보어들은 회전 대칭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다. 보어들은 특정한 볼트 홀 직경을 갖는 소위 볼트 홀 위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볼트 홀에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밀봉 부재(16)는 바람직하게, 원추형 또는 원통형일 수 있는 고정 플랜지(20)의 리세스(20a)의 외부면(22)을 갖는 밀봉 내주면(23)이 밸브 시트 개구(VO)의 연속적이고 매끄러운, 바람직하게는 가급적 이음매 없는, 주변을 따른 제한 면을 형성하도록 구현된다.
밸브 시트 부재(5)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도시된 실시예에서처럼 2개의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밸브 시트 부재(5)가 2개의 부분으로 구현됨으로써 밸브 시트 부재(5)는 매우 간단하게 및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2개의 밸브 시트 부품(5a, 5b)은 실질적으로 구조적으로 간단한 디스크 형태의 부품이기 때문이다. 밸브 시트 부품(5a, 5b)의 제조는 이로 인해 간단하게, 예를 들어 적절한 물질의 플레이트로부터 레이저 커팅에 의해, 연속 주조 및 후속하는 톱질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밸브 시트 부재(5)는 예를 들어 선반 가공부로서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밸브 시트 부재(5)는 릴리프 밸브(1)의 밸브 축(VA)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밸브 시트 부품(5a, 5b)을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밸브 시트 부품(5b)보다 제1 밸브 시트 부품(5a)이 축방향으로 밸브 플레이트(5)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제1 밸브 시트 부품(5a)은 제1 중앙 밸브 시트 부품 리세스를 갖고, 제2 밸브 시트 부품(5b)은 제2 중앙 밸브 시트 부품 리세스를 갖는다. 제1 밸브 시트 부품 리세스는 제2 밸브 시트 부품 리세스보다 작고, 즉 릴리프 밸브(1)의 도시된 원통형 구현의 경우에 제2 밸브 시트 부품 리세스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다. 상하로 배치된 2개의 밸브 시트 부품(5a, 5b)은 따라서 동일한 외경으로, 그러나 상이한 두께 및 상이한 내경으로 실질적으로 디스크 형태로 구현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방사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링형 밸브 부재 돌출부(24)가 형성된다. 물론, 밸브 시트 개구(VO)의 방향으로 밸브 시트 부재(5)로부터 돌출하는 이와 같은 밸브 부재 돌출부(24)는 임의로 다르게, 특히 일체형 밸브 시트 부재(5) 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밸브 부재 돌출부(24)는 바람직하게 밸브 시트 개구(VO)의 원주에 걸쳐 폐쇄되어 구현된다.
밀봉 부재(16)는 바람직하게 그것의 밀봉 외주면(28)이 밸브 부재 돌출부(24)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밀봉 부재(16)는 밀봉 외주면(28)에 대응하는 밀봉 부재 리세스(25)를 갖고, 상기 리세스에 의해 밀봉 부재(16)는 밸브 부재 돌출부(2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릴리프 밸브(1)의 다른 장점은 릴리프 밸브(1)의 작업 매체로부터 밸브 시트 부재(5)의 완전한 차폐이다. 이로 인해 밸브 시트 부재(5) 또는 밸브 시트 부재(5)의 2개의 밸브 시트 부품(5a, 5b)은 임의의 적합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고, 선행기술에서 O-링용 밀봉 그루브(17)의 기계적 가공을 위해 요구되는 절삭 가공 가능한 물질이 반드시 사용되지 않아도 된다. 특히 작업 공간(AR)에서 부식성 작업 매체의 취급 시, 작업 매체로부터 밸브 시트 부재(5)의 차폐는 종래의 밸브들에 비해 분명한 장점을 제공한다. 밸브 시트 부재(5)가 작업 공간(AR) 내부의 공격적인 부식성 분위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기존처럼 밸브 시트 부재(5)의 제조를 위해 내식성 물질을 사용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연강(S 235 JR)과 같은 단순 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특히 대형 릴리프 밸브의 구현 시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물질도,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비철금속도 고려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릴리프 밸브(1)에 화염 방지기(10)도 제공되고, 이는 폭발로 인해 화염이 발생하는 경우에, 릴리프 밸브(1)로부터 주변(AT)으로 화염이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이는 특히 경우에 따라서 주변에 머무르는 사람을 위한 안전 조치로써 이용되거나, 릴리프 밸브(1)의 외부의 주변(AT)에 가연성 재료들, 가스 또는 다른 물질이 존재할 때 화재 방지를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화염 방지기(10)는 선행기술에 공개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히 논의되지 않는다.
도 4a 및 도 4b에 예시적으로 밀봉 부재(16)의 2개의 바람직한 형상의 횡단면이 도시된다. 밀봉 부재(16)의 구체적인 구조적 형상은 물론 당업자에게 맡겨지며, 릴리프 밸브(1)의 응용예에 따라, 예를 들어 작업 공간(AR) 내부의 온도에 따라, 작업 매체에 따라 또는 작업 공간(AR) 내부의 압력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 부재(16)는 밸브 플레이트(15)를 향한 제1 단부면(DA1)에 및/또는 밸브 플레이트(15)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2 단부면(DA2)에 하나 또는 복수의 둘러싸는 밀봉 립을 가질 수 있다(도 4a 및 도 4b 참조). 도 4a에 밀봉 부재(16)의 바람직한 제1 형상의 횡단면이 도시되고, 도 4b에 바람직한 제2 형상이 도시된다. 밀봉 부재(16)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이 경우 바람직하게 통상의 탄성 물질이 이용된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합성 고무, 천연고무 또는 다른 재료와 이들의 혼합물이 고려될 수 있다. 밀봉 물질은 선행기술에 공개되어 있고, 당업자는 특정한 응용예에 적합한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식품- 또는 제약 산업에서처럼 위생 용도에는 반드시 이에 적합한 밀봉 물질이 사용되어야 한다.
도 4a의 밀봉 부재(16)는 밀봉 외주면(28)에 밀봉 부재 리세스(25)를 갖고, 상기 밀봉 부재의 하부 리세스면(25a)은 제2 단부면(DA2)의 제2 밀봉면(DF2)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밀봉 부재 리세스(25)의 마주 놓인 상부 리세스면(25b)은 제1 리세스면(25a)에 대해 특정한 예비 응력 각도(α)로 기울어지므로, (밀봉 부재(16)의 비 장착 상태에서) 2개의 리세스 면(25a, 25b) 사이에 특정한 최소 간격(a)이 제공된다. 이러한 최소 간격(a)은 바람직하게, 상기 최소 간격이 밸브 시트 부재 돌출부(24)의 축방향 돌출 연장부(b)보다 작도록 정해진다(도 2b 참조). 밀봉 부재(16)의 바람직한 탄성 물질로 인해 소정의 예비 응력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예비 응력에 의해 제2 리세스 면(25b; 밀봉 부재(16)의 장착 상태에서)이 밸브 시트 부재 돌출부(24) 위로 가압된다. 이로 인해 밸브 시트 부재 돌출부(24)에 밀봉 부재(16)의 실질적으로 유격 없는 배치가 보장될 수 있고, 이 경우 상부 리세스 면(25b)은 밀봉 부재(16)의 장착 상태에서 바람직하게 밸브 시트 부재 돌출부(24)에 평면으로 놓이고, 따라서 하부 리세스 면(25a)에 대해 평행하다.
밀봉 부재(16)의 제1 (상부) 단부면(DA1)에 제1 및 제2 주 밀봉 립(27a, 27b)이 제공되고, 이 경우 제1 주 밀봉 립(27a)은 밀봉 내주면(23)과 제1 밀봉면(DF1)에 의해 형성되고, 제2 주 밀봉 립(27b)은 제1 밀봉면(DF1)과 밀봉 외주면(28)에 의해 형성된다. 주 밀봉 립(27a, 27b)은 각각 특정한 반경(R)을 갖는 라운드 단부를 갖는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밀봉 립(27a, 27b)은 밀봉 부재(16)의 장착 상태에서 밸브 플레이트(15)와 함께 밀봉 작용한다. 주 밀봉 립(27i)의 정확한 개수(i)와 정확한 구조적인 형상은 릴리프 밸브(1)의 응용예를 따르고, 예를 들어 작업 공간(AR) 내부의 예상 최대 또는 최소 온도, 작업 공간 내부의 예상 압력, 작업 매체 또는 예를 들어 밀봉 부재(16)의 필요 수명을 따른다. 예를 들어 릴리프 밸브(1)의 폐쇄 상태에서 (이는 일반적인 경우이며) 밸브 플레이트 내부면(15a)에 접촉하는 제1 주 밀봉 립(27a)은, 밸브 플레이트 내부면(15a)에 가급적 양호하게 밀착시키기 위해, 길고 좁게 및 작은 반경(R)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로써 밸브 플레이트(15)와 제1 주 밀봉 립(27a) 사이의 영역에 침전물이 형성되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주 밀봉 립(27a, 27b)은 생략될 수 있고, 이때 제1 밀봉면(DF1)은 도 4a의 제2 밀봉면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형성될 것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밀봉 부재(16)에 제1 (또는 제2) 주 밀봉 립(27a) (또는 27b)만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a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밀봉 내주면(23)은 밀봉 부재(16)의 비 장착 상태에서 곡률을 가질 수 있고, 이로써 장착 상태에서 밸브 플레이트 내부면(15a)에 더 양호하게 밀착될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15)에 소정의 예비 응력을 가하기 위해, 밀봉 부재(16)의 장착 상태에서 및 릴리프 밸브(1)가 폐쇄된 경우에 제1 주 밀봉 립(27a)은 바람직하게 탄성 변형되고, 이로 인해 밀봉 작용이 개선된다. 도 2b의 밀봉 내주면(23)의 곡률에 의해, 릴리프 밸브(1)의 폐쇄 상태에서 밀봉 부재(16) 전체는 소정의 변형을 겪는다. 또한 이러한 변형은 다수의 파라미터와 영향 인자에, 예를 들어, 밸브 플레이트(15)를 밀봉 부재(16) 위로 가압하는 스프링력, 밀봉 물질, 작업 공간 내부(AR)의 온도 등에 의존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예에서, 밀봉 부재(16)는 밀봉 내주면(23)과 제2 단부면 (DA2)의 제2 밀봉면(DF2) 사이에 밀봉 기울기(β)를 갖는 실질적으로 직선의 밀봉 내주면(23)을 갖는다. 예를 들어, 밀봉 내주면(23)이 만곡되어 구현되면(도 4a의 점선), 이러한 밀봉 기울기(β)는 밀봉 내주면(23)의 길이에 걸쳐 가변적일 수도 있다. (상부) 제1 단부면(DA1)에는, 2개의 주 밀봉 립(27a, 27b) 사이에 추가로 2개의 보조 밀봉 립(29)이 배치되고, 상기 밀봉 립은 릴리프 밸브(1)의 폐쇄 상태에서 밸브 플레이트 내부면(15a)에 접촉하여 밀봉을 개선한다. 보조 밀봉 립(29)의 단부들 및 에지에도 특정 반경(R)을 갖는 라운딩이 제공될 수 있다. 제조로 인해 일반적으로 라운딩의 소정의 최소 반경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응용예 및 요구되는 밀봉 작용에 따라, 보다 많거나 적은 보조 밀봉 립(29)이 제공될 수 있거나 보조 밀봉 립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b에 따른 실시예는 도 4a에 따른 실시예와 달리, 간격 유지 부재(20) (또는 벽(3))에 대한 밀봉 작용을 개선하기 위해, (하부) 제2 단부면(DA2)에도 보조 밀봉 립(29)을 갖는다. 추가로 제2 주 밀봉 립(27b)과 밀봉 부재 리세스(25) 사이에 돌출부(30)가 제공되고, 이로 인해 리세스 면(25b)은 확장되어 밸브 시트 부재 돌출부(24)에 밀봉 부재(16)의 개선된 지지를 제공한다.
도 4a에 따른 밀봉 부재(16)의 형상은 바람직하게 직경 < 500mm을 갖는 밸브 시트 개구(VO)를 위해 이용되고, 도 4b에 따른 밀봉 부재(16)의 형상은 바람직하게 직경 > 500mm을 갖는 밸브 시트 개구(VO)를 위해 이용된다.
밀봉 부재(16)의 도시된 변형예들은 물론 예시적으로만 파악되어야 한다. 밀봉 부재(16)의 구조적 형상에 대해 당업자에게 매우 큰 설계상의 자유가 부여되고, 릴리프 밸브(1)의 특정 응용예에 따라, 필요한 밀봉 작용을 달성하기 위해, 밀봉 부재들(16)의 다양한 형상들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제1 또는 제2 주 밀봉 립(27a, 27b)만이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i)의 보조 밀봉 립(29i)이 배치될 수 있거나 상이한 돌출부, 곡률 및 각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릴리프 밸브(1)가 바람직한 원통형 형상을 참고로 설명되었더라도, 기본적으로 다른 구조적 형태도 가능한 것에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원통 형태와 다른 벽 리세스(4)를 위한,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또는 타원형 벽 리세스(4)를 위한 릴리프 밸브(1)도 제공될 수 있다. 구조적 디자인은 벽 리세스(4)의 형태에 매칭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핵심, 즉 밸브 시트 개구(VO)를 주변을 따라 제한하기 위한 그리고 밸브 시트 부재(5)를 밸브 시트 개구(VO)로부터 차폐하기 위한 밀봉 부재(16)의 형상은 변함 없다.
AR........작업 공간,
3........벽,
4........벽 개구,
1........릴리프 밸브,
5........밸브 시트 부재,
15........밸브 플레이트,
16........밀봉 부재.

Claims (10)

  1. 작업 공간(AR) 내부의 미리 정해진 개방 압력의 초과 시 상기 작업 공간(AR)의 압력 경감을 위해 상기 작업 공간(AR)의 벽(3)의 벽 개구(4)에 배치하기 위한 릴리프 밸브(1)로서, 밸브 시트 부재(5), 밸브 시트 개구(VO), 밸브 플레이트(15) 및, 밸브 시트 부재(5) 상에, 상기 밸브 시트 부재(5)와 상기 밸브 플레이트(15)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릴리프 밸브(1)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15)와 접촉하는 밀봉 부재(16)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15)는 상기 릴리프 밸브(1)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밸브 시트 개구(VO)를 폐쇄하며, 미리 정해진 개방 압력의 초과 시 상기 밸브 시트 개구(VO)의 개방을 위해 상기 밸브 플레이트(15)는 상기 밀봉 부재(16)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는 릴리프 밸브(1)에 있어서,
    제1 밀봉면(DF1)을 형성하는 제1 단부면(DA1)과 제2 밀봉면(DF2)을 형성하는 마주 놓인 제2 단부면(DA2)이 상기 밀봉 부재(16)에 제공되고, 상기 릴리프 밸브(1)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15)는 상기 제1 단부면(DA1)에 밀봉 접촉하고, 상기 제2 단부면(DA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내측의 연속적인 밀봉 내주면(23)이 상기 밀봉 부재(16)에 제공되고, 상기 밀봉 내주면은 상기 제1 단부면(DA1)과 상기 제2 단부면(DA2)을 연결하고, 상기 밀봉 내주면(23)에 마주 놓이며 상기 제1 단부면(DA1)과 상기 제2 단부면(DA2)을 연결하는, 상기 밀봉 부재(16)의 외부 밀봉 외주면(28)은 상기 밸브 시트 부재(5)에 배치되고, 상기 밀봉 내주면(23)은 상기 밸브 시트 개구(VO)를 주변을 따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밸브(1)는 상기 작업 공간(AR)의 상기 벽(3)에 상기 릴리프 밸브(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11)을 가지며, 상기 고정 수단(11)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고정 스크루(11a)가 제공되고, 상기 고정 스크루에 의해 상기 릴리프 밸브(1)는 상기 작업 공간(AR)의 상기 벽(3)에 나사 조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공간(AR)으로부터 상기 릴리프 밸브(1)를 통해 외부로 화염 전파를 방지하기 위한 화염 방지기(10)가 상기 릴리프 밸브(1) 내에 제공되며, 상기 화염 방지기(10)는 바람직하게는 적층된 복수의 박판 라멜라로 이루어진 라멜라 스택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밸브(1)는 서스펜션 유닛(13)을 가지며, 상기 서스펜션 유닛은, 상기 릴리프 밸브(1)의 폐쇄 상태에서 예비 응력(FV)에 의해 상기 밸브 플레이트(15)에 상기 밀봉 부재(16)에 대해 예비 응력을 가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서스펜션 유닛(13)은 바람직하게는 미리 정해진 또는 가변적인 스프링 특성 곡선을 갖는 헬리컬 스프링(14)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스프링 특성 곡선은 바람직하게는 선형, 점진적 또는 체감적 스프링 특성 곡선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형 밸브 시트 개구(VO)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 밸브 플레이트(15)가 제공되며, 상기 밀봉 부재(16)는 회전 대칭 밀봉 링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면(DA1)과 상기 밀봉 내주면(23)은 제1 주 밀봉 립(27a)을 형성하고, 상기 주 밀봉 립은 상기 릴리프 밸브(1)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15)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면(DA1)과 상기 밀봉 외주면(28)은 제2 주 밀봉 립(27b)을 형성하고, 상기 주 밀봉 립은 상기 릴리프 밸브(1)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15)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16)의 상기 제1 단부면(DA1) 및/또는 상기 제2 단부면(DA2)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밀봉 립(29)이 제공되고, 상기 보조 밀봉 립은 상기 제1 주 밀봉 립과 상기 제2 주 밀봉 립(27a, 27b) 사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 개구(V)의 방향으로 내부로 연장되는 밸브 시트 부재 돌출부(24)가 상기 밸브 시트 부재(5)에 제공되며, 상기 밸브 시트 부재 돌출부(24)에 상기 밀봉 부재(16)를 배치하기 위한 밀봉 부재 리세스(25)가 상기 밀봉 외주면(28)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 부재(5)는 제1 중앙 밸브 시트 부품 리세스를 가진 제1 디스크형 밸브 시트 부품(5a) 및 제2 중앙 밸브 시트 부품 리세스를 가지며 상기 밸브 플레이트(15)의 이동 방향으로 거기에 인접하는 제2 디스크형 밸브 시트 부품(5b)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밸브 시트 부품 리세스는 상기 밸브 시트 부재 돌출부(24)의 형성을 위해, 제2 밸브 시트 부품 리세스에 비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KR2020180003886U 2018-07-13 2018-08-21 릴리프 밸브 KR20049401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604/2018 2018-07-13
ATA50604/2018A AT521399B1 (de) 2018-07-13 2018-07-13 Explosionsschutzvent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78U true KR20200000178U (ko) 2020-01-22
KR200494011Y1 KR200494011Y1 (ko) 2021-07-15

Family

ID=667342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886U KR200494011Y1 (ko) 2018-07-13 2018-08-21 릴리프 밸브
KR1020217001024A KR20210030934A (ko) 2018-07-13 2019-07-10 릴리프 밸브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024A KR20210030934A (ko) 2018-07-13 2019-07-10 릴리프 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2) KR200494011Y1 (ko)
CN (2) CN208951368U (ko)
AT (1) AT521399B1 (ko)
WO (1) WO20200118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04675A1 (it) 2020-03-05 2021-09-05 Innova S R L Blocco arrestafiamma a prova di piogga
CN111396606A (zh) * 2020-04-29 2020-07-10 大连理工度达安全工程有限公司 一种弹簧式可重复使用无焰泄爆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0349A1 (ja) * 2007-03-29 2008-10-09 Tomoe Technical Research Company Ltd. 逆止弁
KR20090064567A (ko) * 2006-10-04 2009-06-19 투르 엔드 안데르손 에이비 조절 기능을 가진 밸브
KR101800799B1 (ko) * 2017-08-24 2017-12-20 주식회사 프로세이브 폭발 릴리프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87441A (ko)
GB473901A (en) * 1936-04-21 1937-10-21 Frederick John Trevallon Barne Improvements in apparatus for dispensing liquids
DK91047C (da) 1957-02-25 1961-06-05 Enfo Grundlagen Forschungs Ag Eksplosionssikkerhedsventil, især til skibsmaskiner.
ES312337A3 (es) 1965-04-28 1966-02-01 Enfo Grundlagen Forschungs Ag Perfeccionamientos de valvulas de seguridad contra explosiones en la caja del ciguenal de motores de explosiën
AT311129B (de) 1970-02-13 1973-10-25 Hoerbiger Ventilwerke Ag Explosions-Entlastungsventil
JPS50100133U (ko) * 1974-01-17 1975-08-19
JPS51100328U (ko) * 1975-02-12 1976-08-12
US4423751A (en) * 1980-12-09 1984-01-03 Cummins Engine Company, Inc. Bypass valve and alarm assembly
US4366837A (en) * 1980-12-09 1983-01-04 Cummins Engine Company, Inc. Early warning bypass valve assembly
JPH0235091Y2 (ko) * 1985-06-14 1990-09-21
US4674449A (en) * 1985-12-20 1987-06-23 Brunswick Corporation Pressure regulated cooling system
JPH037661Y2 (ko) * 1987-02-12 1991-02-26
AT6424U1 (de) 1998-10-21 2003-10-27 Hoerbiger Ventilwerke Gmbh Explosions-entlastungsventil
US6834624B1 (en) * 2000-05-11 2004-12-28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Marine engine pressure relief valve
KR20090116312A (ko) 2008-05-07 2009-11-11 (주)광산 화염 제어장치
KR100981453B1 (ko) * 2008-12-11 2010-09-13 현우에스엠티 주식회사 화염분출방지 어레스트 설치용 내연기관 커버
CN101476633A (zh) * 2009-02-13 2009-07-08 张省生 输水管道自动减压安全阀
KR100928079B1 (ko) 2009-08-31 2009-11-25 박수건 내연기관의 크랭크케이스에 설치되는 화염분출방지용 미로형 릴리프밸브
CN201706024U (zh) * 2010-04-29 2011-01-12 中冶京诚工程技术有限公司 自复式泄爆阀
FI123375B (fi) 2011-04-13 2013-03-15 Waertsilae Finland Oy Räjähdyksen varoventtiili
JP2016008683A (ja) * 2014-06-25 2016-01-18 浜名湖電装株式会社 流体制御弁装置
CN204512564U (zh) 2015-03-10 2015-07-29 广东康菱动力科技有限公司 防爆安全泄压阀
CN105090575A (zh) * 2015-05-20 2015-11-25 唐山市润捷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自闭式煤气安全泄爆阀
JP6639900B2 (ja) * 2015-07-01 2020-02-05 トーステ株式会社 ソフトシート型ディスクシートレスシールバルブ
FR3038960B1 (fr) * 2015-07-13 2017-08-11 De Dietrich Vanne a securite anti-feu amelioree
CN105570501B (zh) * 2016-02-02 2018-07-06 石特阀门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气体稳压卸荷阀
CN206233978U (zh) * 2016-10-14 2017-06-09 上海佳豪船海工程研究设计有限公司 一种应用于气体燃料发动机排气管中的新型防爆装置
CN206988556U (zh) * 2017-07-20 2018-02-09 浙江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防爆电磁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4567A (ko) * 2006-10-04 2009-06-19 투르 엔드 안데르손 에이비 조절 기능을 가진 밸브
WO2008120349A1 (ja) * 2007-03-29 2008-10-09 Tomoe Technical Research Company Ltd. 逆止弁
KR101800799B1 (ko) * 2017-08-24 2017-12-20 주식회사 프로세이브 폭발 릴리프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521399B1 (de) 2020-09-15
CN112368498A (zh) 2021-02-12
CN112368498B (zh) 2022-08-23
KR20210030934A (ko) 2021-03-18
AT521399A1 (de) 2020-01-15
WO2020011881A1 (de) 2020-01-16
CN208951368U (zh) 2019-06-07
KR200494011Y1 (ko)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011Y1 (ko) 릴리프 밸브
EP0672851B1 (en) Improved graphite packing
CA1288793C (en) Adjustable fluid swivel
US1721325A (en) Piston packing
JP2009008238A (ja) 密封装置
US3143933A (en) Cylinder and sealing ring combination
US20180119819A1 (en) Regulating valve
US3372939A (en) Rotary face seal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CN201795090U (zh) 一种金属密封电磁气控阀
US2367403A (en) Fluid seal
US2707135A (en) Cartridge seal
CN104879521A (zh) 浆料粉尘耐磨球阀
US20050110218A1 (en) Seal arrangement
US20230160470A1 (en) Shaft mounting assembly
WO2018155315A1 (ja) シール装置
US10408351B2 (en) Sealing arrangement and use thereof
GB2561961B (en) Mechanical seal
US20180328495A1 (en) Replaceable gland insert for increased life
CN218935283U (zh) 一种双端面多弹簧机械密封装置
JP7203971B2 (ja) 密封装置
JP7493892B2 (ja) メカニカルシール
CN102720856A (zh) 喷料阀
US824799A (en) Metallic packing.
US1003162A (en) Piston-rod packing.
US2165845A (en) Mechanical pa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