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095U -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 - Google Patents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095U
KR20200000095U KR2020180003058U KR20180003058U KR20200000095U KR 20200000095 U KR20200000095 U KR 20200000095U KR 2020180003058 U KR2020180003058 U KR 2020180003058U KR 20180003058 U KR20180003058 U KR 20180003058U KR 20200000095 U KR20200000095 U KR 202000000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wheel
feed
corner
section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116Y1 (ko
Inventor
안용운
Original Assignee
안용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운 filed Critical 안용운
Priority to KR2020180003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116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0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0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1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1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1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 A01K39/012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filling automatically, e.g. by gravity from a reserve
    • A01K39/0125Panfeeding systems; Feeding pan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에 관한 것으로, 코너휠 커버(10)의 통로부(11)에 중간구간플랜지(71)와 출구구간플랜지(73)를 형성해서 코너휠(30)과의 사이틈새를 대폭 줄일 수 있는 구성으로, 사료(P)가 통로부(1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휠안착부(12)의 공간속으로 이동해서 쌓이는 현상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CORNER WHEEL COVER OF FEEDING SYSTEM}
본 고안은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너휠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의 크기를 최대한 줄임으로써 커버의 내부에 사료가 쌓이는 것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양계장이나 양돈장 및 우사 등과 같이 대량의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에는 먹이를 일률적이고도 자동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가축사료 급이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바, 도 1에는 가축사료 급이 시스템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사료 급이기 시스템은 다수개의 이송파이프(1) 및 이송파이프(1)의 코너부를 연결하는 코너장치(2)가 폐회로 라인(L)을 이루도록 연결되고, 이송파이프(1)와 코너장치(2)의 내부를 와이어(3a)와 디스크(3b)로 구성된 이송부재(3)가 이동하면서 사료를 이송하는 디스크 이송방식으로, 이러한 디스크 이송방식은 가축사료 급이기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송파이프(1)는 사료탱크(4)로부터 축사(K) 내부를 따라 이어지고 다시금 축사(K) 외부로 나와 사료탱크(4)로 연결되는 하나의 폐회로 라인(L)을 구성하고, 상기 이송부재(3)는 가느다란 여러 가닥의 강철선이 꼬아져서 이루어진 와이어(3a)와 이 와이어(3a)에 고정된 디스크(3b)로 구성되며, 이러한 이송부재(3)는 이송파이프(1) 및 코너장치(2)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하나의 폐회로를 이룬다.
코너장치(2)는 이송파이프(1)와 연결되는 코너휠 커버(2a) 및 코너휠 커버(2a)내에서 축회전하는 코너휠(2b)을 포함해서 구성되고, 코너휠(2b)의 외주면에 이송부재(3)의 디스크(3b)가 걸려지도록 조립된다.
따라서, 이송부재(3)가 이송파이프(1)를 따라 이동할 때에 코너휠(2b)이 코너휠 커버(2a)에 대해 축회전을 함에 따라 이송부재(3)의 이동을 도와주게 된다.
이송부재(3)는 폐회로 라인(L)상에 설치된 구동기(5)의 동력으로 이동되고, 이러한 구동기(5)는 이송부재(3)를 감아 걸어서 이송하는 스프로킷과 아이들 휠 및 스프로킷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동기(5)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부재(3)는 사료탱크(4)에 구비된 사료공급호퍼(6)를 통과하고, 사료공급호퍼(6)로부터 이송파이프(1)의 내부로 낙하되는 사료(P)는 이송부재(3)의 디스크(3b)에 의해 밀리면서 이송파이프(1)를 따라 이송되고, 사료(P)가 이송파이프(1)를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축사(K) 내부의 먹이통(S)으로 공급되고, 이송부재(3)는 구동기(5)의 작동에 의해 폐회로 라인(L)을 따라 계속해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이송부재(3)에 의해 사료(P)가 코너장치(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코너장치(2)를 구성하는 코너휠 커버(2a)의 내부에 많은 양의 사료(P)가 별다른 저항없이 쉽게 쌓여서 축적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바, 이러한 현상은 코너장치(2)를 구성하는 코너휠 커버(2a)와 코너휠(2b)사이에 존재하는 틈새가 원인으로, 종래의 코너장치(2)는 코너휠 커버(2a)와 코너휠(2b)사이에 사료(P)보다 훨씬 큰 틈새가 존재함에 따라 사료(P)가 코너장치(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코너휠 커버(2a)의 내부에 많은 양의 사료(P)가 별다른 저항없이 쉽게 쌓여서 축적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코너휠 커버(2a)내에 많은 양의 사료(P)가 쌓여서 축적되면 급이 시스템의 원활한 작동을 방해하게 되는 단점이 있고, 특히 청소의 어려움으로 인해 사료(P)가 쉽게 부패되는 단점도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고안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0-0131592호
본 고안은, 코너휠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의 크기를 최대한 줄임으로써 커버의 내부에 사료가 쌓이는 것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료가 이동하는 통로이면서 이송부재가 설치되는 공간에 해당하는 통로부; 및 코너휠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공간에 해당하는 휠안착부를 포함하는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휠안착부와 연결되는 구간이면서 코너휠의 일부분이 통로부쪽으로 노출되는 구간에 해당하는 중간구간; 상기 중간구간의 일단으로 연결된 구간으로 코너휠의 일방향 회전시 사료 및 이송부재가 유입되는 입구구간; 및 상기 중간구간의 타단으로 연결된 구간으로 코너휠의 일방향 회전시 사료 및 이송부재가 배출되는 출구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구간과 휠안착부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코너휠과의 틈새를 줄이기 위한 중간구간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구간플랜지는 중간구간의 원호곡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면서 코너휠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구간플랜지는 코너휠의 회전에 상관없이 코너휠과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구구간과 휠안착부를 구획하는 경계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계부로부터 코너휠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서 코너휠과의 틈새를 줄이는 출구구간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구구간플랜지는 경계부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코너휠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구구간플랜지는 코너휠의 회전에 상관없이 코너휠과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구간플랜지와 출구구간플랜지는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너휠 커버는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면서 코너휠의 양쪽 측면방향으로 분리되는 2개의 분리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구간플랜지와 출구구간플랜지는 2개의 분리커버에 각각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코너휠 커버의 통로부에 중간구간플랜지와 출구구간플랜지를 형성해서 코너휠과의 사이틈새를 대폭 줄일 수 있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사료가 통로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휠안착부의 공간속으로 이동하는 양이 대폭 줄어들게 되고, 이 결과 코너휠 커버내에 사료의 다량으로 쌓이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결국 사료의 사용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가축사료 급이 시스템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코너휠 커버를 구비한 코너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분리커버에 코너휠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중간구간플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의 Ⅰ-Ⅰ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출구구간플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의 출구구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는 바,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가축사료 급이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이송파이프(1) 및 이송파이프(1)의 코너부를 연결하는 코너장치(2)가 폐회로 라인(L)을 이루도록 연결되고, 이송파이프(1)와 코너장치(2)의 내부를 와이어(3a)와 디스크(3b)로 구성된 이송부재(3)가 이동하면서 사료를 이송하는 디스크 이송방식의 시스템이다.
본 고안에 따른 코너장치(2)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파이프(1)와 연결되는 코너휠 커버(10), 및 코너휠 커버(10)내에서 축회전하도록 조립된 코너휠(30)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휠(30)의 외주면에 이송부재(3)가 걸려지도록 조립된다.
코너휠 커버(10)는 사료(P)가 이동하는 통로이면서 이송부재(3)가 설치되는 공간에 해당하는 통로부(11); 및 코너휠(30)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공간에 해당하는 휠안착부(12)를 포함한다.
코너휠(30)은 중심부에 해당하는 허브(hub)부(32), 외곽의 림(rim)부(33), 허브부(32)와 림부(33)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스포크(spoke)부(34)를 포함하고, 림부(33)에는 다수개의 걸림돌기(31)가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게 형성된다.
코너휠 커버(10)의 휠안착부(12)에 코너휠(30)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이송부재(3)가 코너휠 커버(10)의 통로부(11)를 관통하는 형태가 되도록 조립되면, 이송부재(3)의 디스크(3b)는 코너휠(30)의 림부에 형성된 걸림돌기(31)에 걸려지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폐회로 라인(L)상에 설치된 구동기(5)의 동력으로 이송부재(3)가 이동하면, 디스크(3b)와 걸림돌기(31)의 걸림구조로 인해 코너휠(30)이 코너휠 커버(10)에 대해 축회전을 함에 따라 이송부재(3)의 이동을 도와주게 되고, 이송부재(3)의 이동시 사료(P)는 코너휠 커버(10)의 통로부(11)를 통해서 이동하게 된다.
코너휠 커버(10)는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면서 코너휠(30)의 양쪽 측면방향으로 분리되는 2개의 분리커버(13)로 구성된다.
코너휠(30)이 분리커버(13)의 휠안착부(12)에 위치하면 휠축(51)이 2개의 분리커버(13) 및 코너휠(30)의 허브부를 관통한 후 너트(52)에 의해 고정되게 조립된다.
코너휠(30)의 허브부와 휠축(51)사이에는 베어링(53)이 조립되고, 베어링(53)의 양측으로 베어링캡(54)과 스페이서(55) 및 와셔(56)등이 순차적으로 조립된다.
코너휠 커버(10)에 형성된 통로부(11)는 크게 중간구간(14)과 입구구간(15) 및 출구구간(16)으로 분류된다.
상기 중간구간(14)은 휠안착부(12)와 연결되는 구간이면서 코너휠(30)의 일부분이 통로부(11)쪽으로 노출되는 구간이고, 상기 입구구간(15)은 중간구간(14)의 일단으로 연결된 구간으로 코너휠(30)의 일방향(도 2와 도 4의 화살표 R1) 회전시 사료(P) 및 이송부재(3)가 통로부(11)쪽으로 유입되는 구간이며, 상기 출구구간(16)은 중간구간(14)의 타단으로 연결된 구간으로 코너휠(30)의 일방향 회전시 사료(P) 및 이송부재(3)가 통로부(11)로부터 이송파이프(1)로 배출되는 구간이다.
폐회로 라인(L)상에 설치된 구동기(5)의 동력으로 이송부재(3)가 이동하면, 디스크(3b)와 걸림돌기(31)의 걸림구조로 인해 코너휠(30)이 코너휠 커버(10)에 대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고(도 2와 도 4의 화살표 R1), 코너휠(30)의 회전과 함께 이송부재(3)가 코너휠 커버(10)의 통로부(11)를 따라 이동하고, 이송부재(3)의 이동시 사료(P)는 입구구간(15)을 통해 통로부(11)로 유입되고, 중간구간(14)을 따라서 이동하고, 출구구간(16)을 통해서 통로부(11)의 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사료(P)가 통로부(1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휠안착부(12)의 공간속으로 쌓여져서 축적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바, 이러한 현상은 코너휠 커버(10)와 코너휠(30)사이에 존재하는 큰 틈새가 원인으로, 휠안착부(12)의 공간속에 많은 양의 사료(P)가 쌓여서 축적되면 급이기 시스템의 원활한 작동이 방해되고, 특히 청소의 어려움으로 인해 사료(P)가 쉽게 부패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코너휠 커버(10)에서 코너휠(30)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의 크기를 최대한 줄임으로써 휠안착부(12)의 공간속에 사료(P)가 쌓이는 것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구조가 특징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통로부(11)의 중간구간(14)과 휠안착부(12)가 연결되는 부위에 코너휠(30)과의 틈새를 줄이기 위한 중간구간플랜지(71)가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중간구간플랜지(71)는 중간구간(14)의 원호곡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면서 코너휠(30)의 림부의 측면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가 된다.
중간구간플랜지(71)로 인해 통로부(11)의 중간구간(14)과 코너휠(30)의 림부의 측면사이에 존재하는 틈새의 크기가 대폭 줄어들게 되면, 사료(P)가 통로부(11)의 중간구간(14)을 통과하는 과정중에서 코너휠(30)의 측면 틈새를 통해서 휠안착부(12)의 공간속으로 이동하는 사료(P)의 양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간구간플랜지(71)는 코너휠(30)의 회전에 상관없이 코너휠(30)과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이 특징으로, 만약에 중간구간플랜지(71)가 코너휠(30)과 접촉해서 간섭이 발생하면 코너휠(30)의 회전을 방해하게 되고, 특히 간섭으로 인해 중간구간플랜지(71)가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바, 이를 예방하기 위해 중간구간플랜지(71)는 코너휠(30)과 간섭되지 않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통로부(11)의 출구구간(16)과 휠안착부(12)를 구획하는 경계부(17)가 형성되고, 상기 경계부(17)로부터 코너휠(30)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서 코너휠(30)과의 틈새를 줄이는 출구구간플랜지(73)가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출구구간플랜지(73)는 경계부(17)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코너휠(30)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가 된다.
통로부(11)에서 출구구간(16)과 휠안착부(12)를 구획하는 경계부(17)에 보 고안과 같은 출구구간플랜지(73)가 없으면 경계부(17)와 코너휠(30)의 림부사이에는 비교적 큰 틈새가 존재하고, 경계부(17)와 코너휠(30)의 림부사이에의 큰 틈새를 통해서 사료(P)가 휠안착부(12)의 공간속으로 다량으로 유입되어서 쌓이게 된다.
하지만, 본 고안과 같이 출구구간(16)과 휠안착부(12)를 구획하는 경계부(17)에 출구구간플랜지(73)가 형성되면, 출구구간플랜지(73)로 인해 출구구간플랜지(73)의 끝단과 코너휠(30)의 림부사이의 틈새가 대폭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출구구간플랜지(73)로 인해 코너휠(30)의 림부와의 사이에 틈새가 줄어들게 되면 사료(P)가 통로부(11)의 중간구간(14)에서 출구구간(16)으로 이동하는 과정중에 코너휠(30)의 림부와의 틈새를 통해서 휠안착부(12)의 공간속으로 이동하는 사료(P)의 양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출구구간플랜지(73)는 코너휠(30)의 회전에 상관없이 코너휠(30)과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이 특징으로, 만약에 출구구간플랜지(73)가 코너휠(30)과 접촉해서 간섭이 발생하면 코너휠(30)의 회전을 방해하게 되고, 특히 간섭으로 인해 출구구간플랜지(73)가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바, 이를 예방하기 위해 출구구간플랜지(73)는 코너휠(30)과 간섭되지 않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중간구간플랜지(71)와 출구구간플랜지(73)는 보다 효율적인 틈새 차단을 위해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중간구간플랜지(71)와 출구구간플랜지(73)는 2개의 분리커버(13)에 각각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코너휠 커버(10)의 통로부(11)에 중간구간플랜지(71)와 출구구간플랜지(73)를 형성해서 코너휠(30)과의 사이틈새를 대폭 줄일 수 있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사료(P)가 통로부(1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휠안착부(12)의 공간속으로 이동하는 양이 대폭 줄어들게 되고, 이 결과 코너휠 커버(10)내에 사료(P)의 다량으로 쌓이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결국 사료(P)의 사용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2 - 코너장치 10 - 코너휠 커버
11 - 통로부 12 - 휠안착부
13 - 분리커버 14 - 중간구간
15 - 입구구간 16 - 출구구간
17 - 경계부 30 - 코너휠
31 - 걸림돌기 71 - 중간구간플랜지
73 - 출구구간플랜지 P - 사료

Claims (8)

  1. 사료가 이동하는 통로이면서 이송부재가 설치되는 공간에 해당하는 통로부; 및 코너휠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공간에 해당하는 휠안착부를 포함하는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휠안착부와 연결되는 구간이면서 코너휠의 일부분이 통로부쪽으로 노출되는 구간에 해당하는 중간구간;
    상기 중간구간의 일단으로 연결된 구간으로 코너휠의 일방향 회전시 사료 및 이송부재가 유입되는 입구구간; 및
    상기 중간구간의 타단으로 연결된 구간으로 코너휠의 일방향 회전시 사료 및 이송부재가 배출되는 출구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구간과 휠안착부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코너휠과의 틈새를 줄이기 위한 중간구간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구간플랜지는 중간구간의 원호곡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면서 코너휠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구간플랜지는 코너휠의 회전에 상관없이 코너휠과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구구간과 휠안착부를 구획하는 경계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계부로부터 코너휠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서 코너휠과의 틈새를 줄이는 출구구간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출구구간플랜지는 경계부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코너휠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출구구간플랜지는 코너휠의 회전에 상관없이 코너휠과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간구간플랜지와 출구구간플랜지는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코너휠 커버는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면서 코너휠의 양쪽 측면방향으로 분리되는 2개의 분리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구간플랜지와 출구구간플랜지는 2개의 분리커버에 각각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
KR2020180003058U 2018-07-03 2018-07-03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 KR2004911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058U KR200491116Y1 (ko) 2018-07-03 2018-07-03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058U KR200491116Y1 (ko) 2018-07-03 2018-07-03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95U true KR20200000095U (ko) 2020-01-13
KR200491116Y1 KR200491116Y1 (ko) 2020-02-21

Family

ID=69155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058U KR200491116Y1 (ko) 2018-07-03 2018-07-03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1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3756A (ko) 2020-12-28 2022-07-05 안용운 가축사료 급이기의 다각도 코너휠 커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545Y1 (ko) * 1990-10-19 1992-08-14 박장춘 배합사료 이송덕트의 코너스핀들장치
KR19990037598U (ko) * 1998-03-10 1999-10-15 임영도 사료이송코너
KR200228151Y1 (ko) * 2001-01-26 2001-06-15 이순민 자동 급이기의 디스크 안내용 코너 휠
KR200230288Y1 (ko) * 2001-02-13 2001-07-03 안광덕 마찰방지구조를 갖는 자동 급이기용 코너 휠
KR20100131592A (ko) 2009-06-08 2010-12-16 안광덕 가축사료 급이 시스템의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545Y1 (ko) * 1990-10-19 1992-08-14 박장춘 배합사료 이송덕트의 코너스핀들장치
KR19990037598U (ko) * 1998-03-10 1999-10-15 임영도 사료이송코너
KR200228151Y1 (ko) * 2001-01-26 2001-06-15 이순민 자동 급이기의 디스크 안내용 코너 휠
KR200230288Y1 (ko) * 2001-02-13 2001-07-03 안광덕 마찰방지구조를 갖는 자동 급이기용 코너 휠
KR20100131592A (ko) 2009-06-08 2010-12-16 안광덕 가축사료 급이 시스템의 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3756A (ko) 2020-12-28 2022-07-05 안용운 가축사료 급이기의 다각도 코너휠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116Y1 (ko) 2020-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1116Y1 (ko)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커버
JP5936611B2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ベアベルト用スプロケットおよびコンベアベルトシステム
US20190037773A1 (en) Multi-thresh concave section for rotary combine
US4434526A (en) Device for separating and processing the gizzards of slaughtered poultry
JP5437117B2 (ja) 脱穀装置
JP6467432B2 (ja) 少なくとも1つの軸を備える連結要素を搬送および分離する回転式ホッパーフィーダ
US9604788B2 (en) Freewheel assist for a spiral conveyor belt system
CN111169947B (zh) 一种自清理、低噪音的管链式饲料输送机
US3825018A (en) Viner
US2985302A (en) Means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 from feed
US6106390A (en) Dehusking apparatus
CN113207781B (zh) 一种风送式投料机
KR20220093756A (ko) 가축사료 급이기의 다각도 코너휠 커버
KR200230288Y1 (ko) 마찰방지구조를 갖는 자동 급이기용 코너 휠
JP6101770B2 (ja) 固液分離装置
JP2005229951A (ja) 養鶏用自動給餌装置
US6581756B2 (en) Fodder distribution conveyors
US3147853A (en) Corner post assembly
JP3181644U (ja) 固液分離装置
KR101864722B1 (ko) 가축 사료 공급장치용 디스크 와이어
WO2021043391A1 (en) Vacuum cleaner brush roll
JP2010011780A (ja) コンバインの脱穀部
TWI693967B (zh) 稻穀脫殼裝置
CN210736125U (zh) 一种物料输送立式驱动主机
KR102309087B1 (ko) 콤바인의 재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