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774A - Led 조명기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Led 조명기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774A
KR20190143774A KR1020180073220A KR20180073220A KR20190143774A KR 20190143774 A KR20190143774 A KR 20190143774A KR 1020180073220 A KR1020180073220 A KR 1020180073220A KR 20180073220 A KR20180073220 A KR 20180073220A KR 20190143774 A KR20190143774 A KR 20190143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unit
led lighting
mother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8722B1 (ko
Inventor
변동환
Original Assignee
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동환 filed Critical 변동환
Publication of KR20190143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90Method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LED 조명기판 및 그 제조방법은 2개의 모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모기판에 LED 소자를 실장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모기판을 절단하여 상기 모기판 당 2개의 1/4원 형상을 갖는 제1 단위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4개의 상기 제1 단위기판을 통해 원 형상을 갖는 LED 조명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기판은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되 끝단이 곡선을 이루는 복수의 일측 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 가지부 사이에는 내측단이 곡선을 이루는 복수의 일측 홈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일측 가지부의 끝단이 이루는 곡선과 상기 일측 홈부의 내측단이 이루는 곡선은 서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원형 조명기판의 제조에 있어서 모기판의 낭비되는 영역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LED 조명기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LED 조명기판 및 그 제조방법{LED PCB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LED 조명기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s: LED)는 갈륨비소 등의 화합물에 빛을 발산하는 반도체 소자로, 기본적으로 p형과 n형 반도체 접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압 인가시 전자와 정공의 결합으로 반도체의 밴드갭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빛의 형태로 발하는 발광 반도체를 이용하는 소자이다. 이와 같은 LED는 저전류 요건에서의 고출력 특성, 빠른 응답성, 긴 수명, 단단한 패키지 구조 등 많은 이점을 갖고 있어 사용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기존에 여러 개의 LED 소자들이 기판 상에 격자 상으로 실장된 LED 모듈이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LED 모듈에는 패키지 타입의 LED 소자, 즉 LED 패키지, 또는 배어 칩 타입의 LED 소자, 즉 LED 칩이 실장된다. 또한, LED 모듈의 크기, 종류, 형상, 용도, 또는 적용 기기 등에 따라, 다양한 타입의 LED 소자가 원하는 피치, 개수 및 배열로 기판 상에 실장된다.
이러한 LED 소자가 실장된 조명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등 사각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다수이나 원형 형태로 구현된 경우도 존재한다. 원형 형태 조명의 경우 LED 소자가 실장되어 있는 기판 또한 원형이어야 한다. 그러나 원형 기판을 제조할 때에는 모기판의 상당부분이 더미기판으로 버려지고 있어 기판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형의 LED 조명기판을 제조함에 있어서 모기판에서 버려지는 더미기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LED 조명기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LED 조명기판의 제조방법은, 2개의 모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모기판에 LED 소자를 실장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모기판을 절단하여 상기 모기판 당 2개의 1/4원 형상을 갖는 제1 단위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4개의 상기 제1 단위기판을 통해 원 형상을 갖는 LED 조명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기판은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되 끝단이 곡선을 이루는 복수의 일측 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 가지부 사이에는 내측단이 곡선을 이루는 복수의 일측 홈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일측 가지부의 끝단이 이루는 곡선과 상기 일측 홈부의 내측단이 이루는 곡선은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상기 일측 가지부는 가운데에 위치한 일측 가지부일수록 길이가 길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기판 당 형성되는 2개의 상기 제1 단위기판은 제1-1 단위기판과 제1-2 단위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1 단위기판의 상기 일측 가지부는 상기 제1-2 단위기판의 상기 일측 홈부에 들어맞고, 상기 제1-2 단위기판의 상기 일측 가지부는 상기 제1-1 단위기판의 상기 일측 홈부에 들어맞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본체부는 외곽에 서로 직교하는 2개의 구분선을 포함하고, 상기 일측 가지부는 상기 2개의 구분선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본체부는 외곽에 서로 직교하는 2개의 구분선을 포함하고, 상기 일측 가지부는 상기 2개의 구분선 중 어느 하나와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단위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각각의 상기 모기판을 절단하여 상기 제1 단위기판의 형성과 함께 상기 모기판 당 상기 제1 단위기판보다 작은 삼각 형상을 갖는 2개의 제2 단위기판을 더 형성하고, 상기 LED 조명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LED 조명기판의 형성과 함께 4개의 상기 제2 단위기판을 통해 상기 LED 조명기판보다 작은 마름모 형상을 갖는 제3 조명기판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단위기판은 상기 제1 본체부의 상기 일측 가지부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편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타측 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측 가지부 사이에는 내측단이 경사를 이루는 복수의 타측 홈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단위기판은 상기 타측 홈부에 각각 들어맞되 끝단이 경사를 이루는 복수의 제2 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단위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각각의 상기 모기판을 절단하여 상기 제1 단위기판의 형성과 함께 상기 모기판 당 상기 제1 단위기판보다 작은 1/4원 형상을 갖는 2개의 제3 단위기판을 더 형성하고, 상기 LED 조명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LED 조명기판의 형성과 함께 4개의 상기 제3 단위기판을 통해 상기 LED 조명기판보다 작은 원 형상을 갖는 제2 조명기판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단위기판은 상기 제1 본체부의 상기 일측 가지부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편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타측 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측 가지부 사이에는 내측단이 곡선을 이루는 복수의 타측 홈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3 단위기판은 상기 타측 홈부에 각각 들어맞되 끝단이 곡선을 이루는 복수의 제3 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사상에 의한 양태에 따른 LED 조명기판의 제조방법은, 모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모기판에 LED 소자를 실장하는 단계, 상기 모기판을 절단하여 단위면적 당 2개의 1/4원 형상을 갖는 제1 단위기판 영역을 형성하고, 인접한 4개의 상기 제1 단위기판 영역을 통해 원 형상을 갖는 LED 조명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기판 영역은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되 끝단이 곡선을 이루는 복수의 일측 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 가지부 사이에는 내측단이 곡선을 이루는 복수의 일측 홈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일측 가지부의 끝단이 이루는 곡선과 상기 일측 홈부의 내측단이 이루는 곡선은 서로 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LED 조명기판은 4개의 1/4원 형상을 갖는 제1 단위기판을 통해 이루어진 원형의 LED 조명기판으로서, 상기 제1 단위기판은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되 끝단이 곡선을 이루는 복수의 일측 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가지부 사이에는 내측단이 곡선을 이루는 복수의 일측 홈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일측 가지부의 끝단이 이루는 곡선과 상기 일측 홈부의 내측단이 이루는 곡선은 서로 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LED 조명기판 및 그 제조방법은, 모기판 당 2개의 1/4원 형상을 갖는 제1 단위기판을 형성하고 이러한 제1 단위기판 4개를 통해 원 형상을 갖는 LED 조명기판을 형성함으로써, 모기판에서 버려지는 더미기판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기판 당 2개의 1/4원 형상을 갖는 제1 단위기판뿐만 아니라 2개의 제2 단위기판 또는 제3 단위기판을 함께 형성하고, 이러한 제2 단위기판 또는 제3 단위기판 4개를 통해 원 형상 또는 마름모 형상을 갖는 제2 조명기판 또는 제3 조명기판을 추가 형성함으로써, 모기판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4개의 제1 단위기판 영역을 통해 일체로 또는 1/2원형 단위기판을 포함하는 형태로 LED 조명기판을 형성함으로써, 모기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도 대량생산에 더욱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LED 조명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LED 조명기판과 일반적인 원형 조명기판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의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LED 조명기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의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LED 조명기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의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의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LED 조명기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a)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a)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a)은 4개의 1/4원 형상을 갖는 제1 단위기판(200a)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제1 단위기판(200a)은 제1 본체부(230a)와 일측 가지부(24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부(230a)는 외곽에 서로 직교하는 2개의 구분선(2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2개의 구분선(231)은 1/4원 형상을 이루는 부채꼴의 반지름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1 본체부(230a)에 있어서 구분선(23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 즉 1/4원 형상을 이루는 부채꼴의 호 부분에서는 복수의 일측 가지부(240a)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일측 가지부(240a)는 2개의 구분선(23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서로 직교하는 2개의 구분선(231)에 대하여 45° 방향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일측 가지부(240a)의 구분선(231)에 대한 각도는 상기 45°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0~90° 사이의 임의의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일측 가지부(240a)의 끝단(241a)은 곡선을 이룰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끝단(241a)이 곡선을 이룬다"는 의미는 복수의 일측 가지부(240a) 끝단(241a)과 끝단(241a) 사이의 가상의 연장선(242a)을 합친 선이 곡선을 이룬다는 의미일 수 있으며, 이러한 곡선은 1/4원 형상을 이루는 부채꼴의 호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본체부(230a)의 2개의 구분선(231)과 복수의 일측 가지부(240a) 끝단(241a)과 끝단(241a) 사이의 가상의 연장선(242a)을 합친 선을 연결하면 가상의 1/4원 형상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1/4원 형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일측 가지부(240a)의 길이가 서로 상이할 수밖에 없는데, 가운데에 위치한 일측 가지부(240a)일수록 외곽에 위치한 일측 가지부(240a)에 비해 길이가 길 수 있고 이에 따라 외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일측 가지부(240a)의 연장에 따라 일측 가지부(240a)들 사이에는 각각 일측 홈부(250a)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측 홈부(250a)의 내측단(251a)도 일측 가지부(240a)의 끝단(241a)과 같이 곡선을 이룰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내측단(251a)이 곡선을 이룬다"는 의미는 복수의 일측 홈부(250a) 내측단(251a)과 내측단(251a) 사이의 가상의 연장선(252a)을 합친 선이 곡선을 이룬다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내측단(251a)이 이루는 곡선은 일측 가지부(240a)의 끝단(241a)이 이루는 곡선과 대칭되는 형상일 수 있으며, 이는 일측 홈부(250a)의 내측단(251a) 및 내측단(251a) 간을 연결한 가상의 연장선(252a)을 합한 선과, 일측 가지부(240a) 끝단(241a) 및 끝단(241a) 간을 연결한 가상의 연장선(242a)을 합한 선이 서로 대칭된다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일측 홈부(250a)의 내측단(251a)이 이루는 곡선은 일측 가지부(240a)의 반대편을 향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a)에는 배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배선을 따라 LED 소자(300)가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LED 소자(300)는 복수의 행과 열로 배열될 수 있는데 배열 방향은 일측 가지부(240a)가 연장된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즉, LED 소자(300)는 제1 본체부(230a)의 구분선(231)에 대하여 45°를 이루도록 복수의 행과 열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일측 가지부(240a)에는 각각 한 열 또는 행의 LED 소자(300)가 배열될 수 있다. 이때, LED 소자(300)가 구분선(231)과 이루는 각도는 상기 45°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0~90° 사이의 임의의 각도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LED 조명기판(100a)에는 추가적으로 정전류 IC와 저항 등의 정류소자가 장착되고 LED 소자(3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커넥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각각의 제1 단위기판(200a)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구분선(231)이 서로 맞닿아 연결되어 있는 구성도 가능하며, 일체형으로 구성된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개념이라 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a)은 원형 LED 조명에 있어서 꽉 채워진 원형 기판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일측 가지부(240a)를 두어서 LED 소자(300)가 설치되지 않는 부분(일측 홈부(250a)에 해당되는 영역)은 빈 공간(기판이 비어있는 부분)으로 처리함으로써, 기판을 낭비하지 않고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LED 조명기판(100a)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a)의 제조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모기판(400)을 2개 준비하고, 모기판(400)에 LED 소자(300)를 실장하기 위한 배선을 형성한 후 LED 소자(300)를 실장한다.
이때, 배선의 형성은 Additive 방식과 Subtractive 방식 모두를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Subtractive 방식의 경우 모기판(400)에 도전층을 형성시킨 후 배선이 형성되는 영역에 레지스트를 인쇄하고 에칭액에 담가 레지스트가 묻지 않은 부분의 도전층을 제거하고, 레지스트가 묻어있어 제거되지 않은 도전층을 배선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실크스크린 인쇄, 사진 제판 및 PCB 밀링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배선을 형성할 때 이후 절단 공정을 통해 분리될 2개의 제1 단위기판(200a)의 배선이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게 형성할 수 있으며, 배선에 연결될 LED 소자(300)의 배치를 고려하여 배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LED 소자(3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기판(400)의 배선에 대하여 제1 단위기판(200a) 별로 등간격 설치될 수 있는데, 도 2에서는 등간격으로 설치되지 않은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는 좌상방 측에서 일정한 열과 행을 따라 LED 소자(300)가 설치되어 있고 우하방 측에서 다시 다른 일정한 열과 행을 따라 LED 소자(300)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서는 열과 행이 혼재되어 있어 등간격 설치로 보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이후 절단 공정에서 도 3과 같이 모기판(400)이 2개의 제1 단위기판(200a)으로 분리되면 도면에서 좌상방 측과 우하방 측이 구분되어 각각의 제1 단위기판(200a) 별로는 LED 소자(300)가 등간격으로 일정한 열과 행을 따라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모기판(400)의 절단 이전에 LED 소자(300)를 실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모기판(400)의 절단 후에 LED 소자(300)를 실장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개념이라 할 것이다.
다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모기판(400)을 절단하여 모기판(400) 당 2개의 1/4원 형상을 갖는 제1 단위기판(200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모기판(400)의 절단 시 중앙에 요철이 반복되는 형상으로 절단하여 하나의 모기판(400)에서 2개의 1/4원 형상을 갖는 제1 단위기판(200a)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제1 단위기판(200a)은 제1-1 단위기판(210)과 제1-2 단위기판(220)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1 단위기판(210)의 제1 일측 가지부(240a)가 제1-2 단위기판(220)의 제2 일측 홈부(250a)에 들어맞은 상태에서(도 3의 (a) 참조) 분리되도록(도 3의 (b) 참조), 또한 제1-2 단위기판(220)의 제2 일측 가지부(240a)가 제1-1 단위기판(210)의 제1 일측 홈부(250a)에 들어맞은 상태에서(도 3의 (a) 참조) 분리되도록(도 3의 (b) 참조), 모기판(400)을 지그재그로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1 단위기판(210)의 일측 가지부(240a)의 끝단(241a)이 이루는 곡선과 제1-2 단위기판(220)의 일측 가지부(240a)의 끝단(241a)이 이루는 곡선은 서로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에 치합되는 서로 대응되는 제1 단위기판(200a)의 일측 홈부(250a) 내측단(251a)이 이루는 곡선들도 상호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1 단위기판(200a)의 일측 가지부(240a)는 바깥쪽을 향해 볼록하도록, 즉 가운데에 위치한 일측 가지부(240a)일수록 길이가 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제1 단위기판(200a)은 대략 1/4원 형상이면서 일측 가지부(240a)에 의해 머리빗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일측 가지부(240a)는 제1 본체부(230a)의 외곽을 이루는 2개 구분선(23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1 본체부(230a)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하나의 모기판(400)에서 2개의 제1 단위기판(200a) 외에 양측에 2개의 더미기판(410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더미기판(410a)은 버려지는 부분으로서 2개의 제1 단위기판(200a)의 면적과 비교하여 1% 미만으로 매우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더미기판(410a)이 형성되는 경우 제1 단위기판(200a)의 반지름은 더미기판(410a)의 길이만큼 모기판(400)보다 짧아질 수 있는데, 더미기판(410a)의 길이 자체가 길지 않으므로 모기판(400)의 길이와 제1 단위기판(200a)의 반지름 간 길이 차이는 거의 없을 수 있다.
한편, 모기판(400)의 절단 시 라우팅 장치를 이용하여 완전히 자동으로 절단을 완료할 수 있고, 또는 절단용 연결부를 남겨놓은 상태에서 모든 공정을 마친 후 간단히 절단용 연결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다음, 2개의 모기판(400)에서 형성된 4개의 제1 단위기판(200a)을 통해 원 형상을 갖는 LED 조명기판(100a)을 형성할 수 있다(도 1 참조).
이때, 2개의 모기판(400)에서 4개의 1/4원 형상을 갖는 제1 단위기판(200a)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4개의 제1 단위기판(200a)을 서로의 구분선(231)이 서로 맞닿도록 도 1과 같이 근접시키면 하나의 원형 LED 조명기판(100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LED 조명기판(100a)의 전체적인 형상은 변이 내측을 향해 오목한 마름모 형상의 제1 본체부(230a)에서 중심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일측 가지부(240a)가 연장된 형상과 같을 수 있으며, 4개의 제1 단위기판(200a) 일측 가지부(240a)의 끝단(241a)과 끝단(241a) 사이의 가상의 연장선(242a)을 합한 선은 전체적으로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은 원형 조명의 부품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LED 조명기판(100a)과 일반적인 원형 조명기판(10)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a)의 경제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원형 조명기판(1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길이 n을 갖는 정사각형 형태의 모기판(40) 4개가 필요하다. 즉, 원형 조명기판(10)의 반지름 길이를 n이라 하면 하나의 원형 조명기판(10)을 제조하기 위해 총 4n2의 넓이를 갖는 모기판(40)이 필요하다. 이때, 모기판(40)에서 원형의 조명기판(10)을 만들 때 버려지는 부분인 더미기판(41)의 낭비도 상당한데, 버려지는 더미기판(41)의 총 넓이는 다음과 같다.
더미기판(41)의 총 넓이 = 4 × (n2 - π·n2/4)
이를 비율로 표현하면, 전체 모기판(40)에서 약 21.5%에 달한다.
그러나,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a)을 형성할 때에는 모기판(400)이 2개밖에 필요하지 않다. 이때, 더미기판(410a)의 길이를 생각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a)의 반지름을 n으로 하기 위해서는 모기판(400)이 n보다는 조금 커야하나 더미기판(410a)의 길이가 매우 짧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동일한 모기판(400)을 이용하더라도 거의 도 4의 (a) 원형 조명기판(10)과 비슷한 크기의 LED 조명기판(100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버려지는 더미기판(410a)은 전체 넓이의 1% 미만 수준으로 일반적인 원형 조명기판(10)에 비해 매우 적어 경제성이 월등히 높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a)의 경제성이 높은 이유는 버려지는 더미기판(410a)을 최소화한 것뿐 아니라 LED 소자(300)의 열과 열 사이에 사용되지 않고 남는 기판 부분을 분리시켜 최소화한 것에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를 참고하면 일반적인 원형 조명기판(10)의 경우 LED 소자(300)의 열과 열 사이에 사용되지 않고 남는 기판 부분(11)이 있다. 그러나, 도 4의 (b)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a)은 모기판(400)을 2개의 제1 단위기판(200a)으로 분리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제1 단위기판(200a)의 사용되지 않고 남는 기판 부분을 다른 제1 단위기판(200a)으로 분리시켜 LED 소자(300)가 설치되는 영역으로 이용함으로써, 모기판(400)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a)은 일반적인 원형 조명기판(10) 대비 경제성이 월등히 높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b)의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LED 조명기판(100b)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b)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b)은 LED 소자(300)의 배열과 제1 단위기판(200b)의 일측 가지부(240b) 연장 방향이 이전 실시예와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위기판(200b)의 일측 가지부(240b)는 제1 본체부(230b) 외곽의 2개 구분선(231) 중 어느 하나와 평행한 방향을 향해 제1 본체부(230b)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일측 가지부(240b)의 끝단(241b)은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곡선을 이루어 전체적인 제1 단위기판(200b)의 형상은 1/4 원형이면서 일측 가지부(240b)에 의한 머리빗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이러한 1/4원 형상을 위하여 복수의 일측 가지부(240b)는 가운데에 위치한 일측 가지부(240b)일수록 외곽에 위치한 일측 가지부(240b)에 비해 길이가 길 수 있다.
또한, 이전 실시예에서 LED 소자(300)는 제1 본체부(230b)의 구분선(231)과 45° 경사지도록 배열되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직교하는 2개 구분선(231)에 각각 평행한 열과 행으로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일측 가지부(240b) 각각에 하나의 열 또는 행을 이루는 LED 소자(300)가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LED 조명기판(100b)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모기판(400)을 2개 준비하고 모기판(400)에 LED 소자(300)를 실장한 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모기판(400) 당 1/4원 형상을 갖는 2개의 제1 단위기판(200b)으로 분리되도록 모기판(400)을 각각 절단하며, 이에 따라 형성된 4개의 제1 단위기판(200b)을 서로의 구분선(231)이 인접하도록 배치하여 도 5와 같이 원 형상을 갖는 LED 조명기판(100b)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서는 각각의 제1 단위기판(200b)의 일측 가지부(240b) 연장방향이 모두 상이하나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만 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c)의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LED 조명기판(100c)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c)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c)은 이전 실시예와 달리 복수의 타측 가지부(260c)를 더 포함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타측 가지부(260c)는 제1 본체부(230c)의 양측면 중 일측 가지부(240c)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편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타측 가지부(260c) 사이에는 타측 홈부(270c)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타측 가지부(260c)의 끝단(261c)은 직선을 이룰 수 있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타측 가지부(260c)의 끝단(261c)과 끝단(261c) 사이의 가상의 연장선(262c)을 합한 선이 직선을 이룰 수 있고 이러한 선은 제1 본체부(230c)의 구분선(231) 중 어느 하나와 평행할 수 있다. 또한, 타측 홈부(270c)의 내측단(271c)은 경사를 이룰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타측 홈부(270c)의 내측단(271c)과 내측단(271c) 사이의 가상의 연장선(272c)을 합한 선이 경사진 선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LED 조명기판(100c)의 형상은 제조방법과 관련되어 있다. 먼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기판(400)을 절단하는 단계에서 하나의 모기판(400) 당 2개의 제1 단위기판(200c)이 형성되며, 이에 추가적으로 2개의 제2 단위기판(500c)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단위기판(500c)은 이등변 직각삼각형 형상을 갖는데 제1 단위기판(200c)보다는 작은 형상(넓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단위기판(500c)의 형성은 모기판(400)의 절단과 관련되는데, 제2 단위기판(500c)의 복수의 제2 가지부(510c)가 각각의 타측 홈부(270c)에 들어맞는 상태에서 절단 공정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타측 홈부(270c)는 내측단(271c)이 경사를 이룰 수 있는데, 이에 들어맞는 제2 가지부(510c)도 끝단(511c)이 경사를 이룰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2 가지부(510c)의 끝단(511c)과 끝단(511c) 사이의 가상의 연장선(512c)을 합한 선이 경사선을 이룰 수 있다(도 7 참조). 또한, 경우에 따라 제2 단위기판(500c)은 제2 본체부(520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가지부(510c)는 제2 본체부(520c)로부터 복수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다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모기판(400)을 통해 분리된 4개의 제1 단위기판(200c)을 이용하여 원형의 LED 조명기판(100c)을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추가적으로 4개의 제2 단위기판(500c)을 이용하여 직각마름모 형의 제2 조명기판(530c)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제2 조명기판(530c)은 LED 조명기판(100c)에 비해서 작은 형상(넓이)을 가질 수 있으며 원형이 아니라 사각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c)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앞선 실시예에 비해 더욱 기판을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타측 가지부(260c) 사이의 비사용 기판 부분을 따로 분리하여 별도의 제2 조명기판(530c)으로 이용함에 따른 것으로, 더미기판(410c)의 형성을 감안하더라도 이전 실시예에 비해서 30% 이상 기판을 더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은 이전 실시예와 같이 1/4 원 형상을 갖는 제1 단위기판을 4개 합쳐서 LED 조명기판을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합치는 과정 없이 일체형으로 LED 조명기판을 한 번에 제조하는 방법과 관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기판(400)을 준비하되 이때의 모기판(400)은 이전 실시예와 같이 2개의 제1 단위기판(200a)을 수용하는 크기에 비해 훨씬 클 수 있다. 이러한 모기판(400)은 이전 실시예의 모기판(400)에 대응되는 일정한 정사각 형상의 단위면적(420)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각 단위면적(420)에서 절단이 진행되면 각 단위면적(420)이 2개의 1/4 원 형상을 갖는 제1 단위기판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4개의 단위면적(420)에서 절단된 4개의 제1 단위기판 영역은 모두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서, 전체적으로 원 형상을 유지하면서, 절단 과정과 함께 LED 조명기판으로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조하는 경우 이전 실시예 대비 대량생산에 더욱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이전 실시예와 유사하게 타측 가지부를 두는 경우, 제2 조명기판도 제1 단위기판 영역과 제2 단위기판 영역의 절단과 함께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LED 조명기판이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면 1/2원 형상을 이용해서 LED 조명기판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1/2원 형상의 단위기판은 2개의 제1 단위기판 영역을 포함하게 되며, 다른 2개의 제1 단위기판 영역을 포함하는 1/2원 형상의 단위기판과 구분선이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면, 4개의 제1 단위기판 영역을 통해 원 형상을 갖는 LED 조명기판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또는, 2개의 제1 단위기판 영역을 포함하는 1/2원 형상의 단위기판이 각각 1개의 제1 단위기판 영역을 포함하는 1/4원 형상의 단위기판 2개와 구분선이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면, 4개의 제1 단위기판 영역을 통해 원 형상을 갖는 LED 조명기판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이때, 1/2원 형상의 단위기판은 각각 상방과 하방에서 1/2원 형상 LED 조명기판이 엇갈리게 형성되도록 절단하여 제조할 수 있을 것이며 또는 1/2원 형상의 단위기판 양측에 1/4원 형상의 단위기판이 형성되도록 절단하는 경우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모기판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개념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개념은 제2 조명기판에도 당연히 적용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e)의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e)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e)은 이전 실시예와 유사하게 복수의 타측 가지부(260e)를 더 포함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타측 가지부(260e)는 제1 본체부(230e)의 양측면 중 일측 가지부(240e)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편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타측 가지부(260e) 사이에는 타측 홈부(270e)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타측 가지부(260e)의 끝단(261e)은 직선을 이룰 수 있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타측 가지부(260e)의 끝단(261e)과 끝단(261e) 사이의 가상의 연장선(262e)을 합한 선이 직선을 이룰 수 있다. 또한, 타측 홈부(270e)의 내측단(271e)은 곡선을 이룰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타측 홈부(270e)의 내측단(271e)과 내측단(271e) 사이의 가상의 연장선(272e)을 합한 선이 곡선, 1/4원의 호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LED 조명기판(100e)의 형상은 제조방법과 관련되어 있다. 모기판(400)을 절단하는 단계에서 하나의 모기판(400) 당 2개의 제1 단위기판(200e)이 형성되며, 이에 추가적으로 2개의 제3 단위기판(600e)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단위기판(600e)은 제1 단위기판(200e)과 같이 1/4원 형상을 갖는데 제1 단위기판(200e)보다는 작은 1/4원 형상(넓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3 단위기판(600e)의 형성은 모기판(400)의 절단과 관련되는데, 제3 단위기판(600e)의 복수의 제3 가지부(610e)가 각각의 타측 홈부(270e)에 들어맞는 상태에서 절단 공정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타측 홈부(270e)는 내측단(271e)이 곡선을 이룰 수 있는데, 이에 들어맞는 제3 가지부(610e)도 끝단(611e)이 곡선을 이룰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3 가지부(610e)의 끝단(611e)과 끝단(611e) 사이의 가상의 연장선(612e)을 합한 선이 곡선으로서 1/4원의 호를 이룰 수 있다.
다음, 2개의 모기판(400)에서 분리된 4개의 제1 단위기판(200e)을 이용하여 원형의 LED 조명기판(100e)을 제조할 수 있고, 이에 추가적으로 4개의 제3 단위기판(600e)을 이용하여 LED 조명기판(100e)에 비해서 작은 형상(넓이)을 갖는 원형의 제3 조명기판(630e)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선 실시예에 비해 더욱 조명기판을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타측 가지부(260e) 사이의 비사용 기판 부분을 따로 분리하여 별도의 제3 조명기판(630e)으로 이용함에 따른 것으로, 더미기판의 형성을 감안하더라도 이전 실시예에 비해서 30% 이상 기판을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1 단위기판(200e)과 제3 단위기판(600e)을 별도로 4개 형성하고 이를 결합하여 각각 LED 조명기판(100e)과 제3 조명기판(630e)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큰 모기판(400)의 각 단위영역(420)에 대한 일체적인 절단 공정을 통해 일체로 한 번에 LED 조명기판(100e)과 제3 조명기판(630e)이 형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LED 조명기판을 프레임에 고정하고 확산판 및 반사판 등과 함께 천정 등에 설치하여 조명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f)의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LED 조명기판(100f)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f)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앞선 실시예에서 일측 가지부의 "끝단이 곡선을 이룬다"는 의미는 복수의 일측 가지부 끝단과 끝단 사이의 가상의 연장선을 합친 선이 곡선을 이룬다는 의미이고 일측 홈부의 "내측단이 곡선을 이룬다"는 의미는 복수의 일측 홈부 내측단과 내측단 사이의 가상의 연장선을 합친 선이 곡선을 이룬다는 의미일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 본체부(230f)로부터 연장된 일측 가지부(240f)의 "끝단(241f)이 곡선을 이룬다"는 의미와 복수의 일측 가지부(240f) 사이에 각각 위치한 복수의 일측 홈부(250f)의 "내측단(251f)이 곡선을 이룬다"는 의미는 상기 의미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개념도 포괄한다고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끝단(241f)이 곡선을 이룬다"는 의미는 끝단(241f) 자체가 곡선은 아니나 복수의 일측 가지부(240f) 끝단(241f) 중 중앙점(243f)들을 이으면 1/4원 부채꼴의 호를 이루는 곡선 형태로 나타난다는 의미일 수 있으며, "내측단(251f)이 곡선을 이룬다"는 의미는 내측단(251f) 자체가 곡선은 아니나 복수의 내측단(251f) 중 중앙점(253f)들을 이으면 1/4원 부채꼴의 호를 이루는 곡선 형태로 나타난다는 의미일 수 있다. 이때 끝단(241f)이 이룬 곡선과 내측단(251f)이 이룬 곡선은 이전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곡선을 이루는 것"에 따라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운데에 위치한 일측 가지부(240f)일수록 길이가 길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은 이들에 의해 제조된 LED 조명기판(100f)의 외곽도 끝단(241f) 중앙점(243f)들의 가상의 연장선이 원형을 이루면서도 동일한 기술적 사상에 의해 모기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판(100f)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모기판(400)에 배선과 LED 소자(300)를 설치한 후 절단 공정에서 도 11과 같이 "끝단(241f)이 곡선을 이루고 내측단(251f)이 곡선을 이루도록" 2개의 제1 단위기판(200f) 내지는 제1 단위기판 영역으로 나누어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한편, 이러한 곡선을 이룬다는 개념은 제2 조명기판 및 제2 단위기판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기판 및 그 제조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a, 100b, 100c, 100e, 100f : LED 조명기판
200a, 200b, 200c, 200e, 200f : 제1 단위기판
230a, 230b, 230c, 230e, 230f : 제1 본체부
240a, 240b, 240c, 240e, 240f : 일측 가지부
250a, 250b, 250c, 250e, 250f : 일측 홈부
260c, 260e : 타측 가지부
270c, 270e : 타측 홈부
300 : LED 소자
400 : 모기판
500c : 제2 단위기판
510c : 제2 가지부
530c : 제2 조명기판
600e : 제3 단위기판
610e : 제3 가지부
630e : 제3 조명기판

Claims (11)

  1. 2개의 모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모기판에 LED 소자를 실장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모기판을 절단하여 상기 모기판 당 2개의 1/4원 형상을 갖는 제1 단위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4개의 상기 제1 단위기판을 통해 원 형상을 갖는 LED 조명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기판은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되 끝단이 곡선을 이루는 복수의 일측 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 가지부 사이에는 내측단이 곡선을 이루는 복수의 일측 홈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일측 가지부의 끝단이 이루는 곡선과 상기 일측 홈부의 내측단이 이루는 곡선은 서로 대칭되는 LED 조명기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일측 가지부는 가운데에 위치한 일측 가지부일수록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판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기판 당 형성되는 2개의 상기 제1 단위기판은 제1-1 단위기판과 제1-2 단위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1 단위기판의 상기 일측 가지부는 상기 제1-2 단위기판의 상기 일측 홈부에 들어맞고, 상기 제1-2 단위기판의 상기 일측 가지부는 상기 제1-1 단위기판의 상기 일측 홈부에 들어맞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판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는 외곽에 서로 직교하는 2개의 구분선을 포함하고, 상기 일측 가지부는 상기 2개의 구분선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판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는 외곽에 서로 직교하는 2개의 구분선을 포함하고, 상기 일측 가지부는 상기 2개의 구분선 중 어느 하나와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판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각각의 상기 모기판을 절단하여 상기 제1 단위기판의 형성과 함께 상기 모기판 당 상기 제1 단위기판보다 작은 삼각 형상을 갖는 2개의 제2 단위기판을 더 형성하고,
    상기 LED 조명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LED 조명기판의 형성과 함께 4개의 상기 제2 단위기판을 통해 상기 LED 조명기판보다 작은 마름모 형상을 갖는 제3 조명기판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판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기판은 상기 제1 본체부의 상기 일측 가지부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편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타측 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측 가지부 사이에는 내측단이 경사를 이루는 복수의 타측 홈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단위기판은 상기 타측 홈부에 각각 들어맞되 끝단이 경사를 이루는 복수의 제2 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판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각각의 상기 모기판을 절단하여 상기 제1 단위기판의 형성과 함께 상기 모기판 당 상기 제1 단위기판보다 작은 1/4원 형상을 갖는 2개의 제3 단위기판을 더 형성하고,
    상기 LED 조명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LED 조명기판의 형성과 함께 4개의 상기 제3 단위기판을 통해 상기 LED 조명기판보다 작은 원 형상을 갖는 제2 조명기판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판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기판은 상기 제1 본체부의 상기 일측 가지부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편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타측 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측 가지부 사이에는 내측단이 곡선을 이루는 복수의 타측 홈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3 단위기판은 상기 타측 홈부에 각각 들어맞되 끝단이 곡선을 이루는 복수의 제3 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판의 제조방법.
  10. 모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모기판에 LED 소자를 실장하는 단계;
    상기 모기판을 절단하여 단위면적 당 2개의 1/4원 형상을 갖는 제1 단위기판 영역을 형성하고, 인접한 4개의 상기 제1 단위기판 영역을 통해 원 형상을 갖는 LED 조명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기판 영역은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되 끝단이 곡선을 이루는 복수의 일측 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 가지부 사이에는 내측단이 곡선을 이루는 복수의 일측 홈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일측 가지부의 끝단이 이루는 곡선과 상기 일측 홈부의 내측단이 이루는 곡선은 서로 대칭되는 LED 조명기판의 제조방법.
  11. 4개의 1/4원 형상을 갖는 제1 단위기판을 통해 이루어진 원형의 LED 조명기판으로서,
    상기 제1 단위기판은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되 끝단이 곡선을 이루는 복수의 일측 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가지부 사이에는 내측단이 곡선을 이루는 복수의 일측 홈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일측 가지부의 끝단이 이루는 곡선과 상기 일측 홈부의 내측단이 이루는 곡선은 서로 대칭되는 LED 조명기판.
KR1020180073220A 2018-06-21 2018-06-26 Led 조명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108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718 2018-06-21
KR20180071718 2018-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774A true KR20190143774A (ko) 2019-12-31
KR102108722B1 KR102108722B1 (ko) 2020-05-08

Family

ID=6905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220A KR102108722B1 (ko) 2018-06-21 2018-06-26 Led 조명기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7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0024A (ko) * 2008-12-31 2010-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10278071A (ja) * 2009-05-26 2010-12-09 Sharp Corp Led基板、led基板の製造方法、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KR101250799B1 (ko) * 2012-11-27 2013-04-05 주식회사 대진디엠피 분할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엘이디 조명장치
KR20150085761A (ko) * 2014-01-16 2015-07-24 임한철 멀티형 칩 led기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0024A (ko) * 2008-12-31 2010-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10278071A (ja) * 2009-05-26 2010-12-09 Sharp Corp Led基板、led基板の製造方法、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KR101250799B1 (ko) * 2012-11-27 2013-04-05 주식회사 대진디엠피 분할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엘이디 조명장치
KR20150085761A (ko) * 2014-01-16 2015-07-24 임한철 멀티형 칩 led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722B1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2012B2 (en) Multi-chip light emitter packages and related methods
US20180358525A1 (en) Pre-rotated overmoulded bidirectional spreading lens for stretched leadframe architecture
US20080111470A1 (en) Expandable LED array interconnect
KR20140007288A (ko) 발광 장치
CN103000652B (zh) 固态光源模块及固态光源阵列
US20140131742A1 (en) LED Spirit Connector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US20130009175A1 (en) Vertical stacked light emitting structure
JP2014107369A (ja) 半導体発光装置
US20140091351A1 (en) Light emitting diode chip
US8791493B2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90143774A (ko) Led 조명기판 및 그 제조방법
US8759848B2 (en) Light-emitting device
US20160218263A1 (en) Packag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104616B2 (ja) Ledモジュール
WO2020043727A1 (en) Solid state element lighting strip design
US8476651B2 (en) Vertical stacked light emitting structure
TWI566375B (zh) 發光模組
KR102290269B1 (ko) Led 조명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44903A (ko) Led 전구용 기판 및 그 제조방법
CN104009135A (zh) 新型阵列led高压芯片及其制备方法
KR101443272B1 (ko) Led 스트립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40477A (ko) 씨오비 패키지를 이용한 조명 모듈 구현 방법 및 그 조명 모듈
KR102249553B1 (ko) Led 조명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07225A (ko) Led 조명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62118B1 (ko) 발광 칩이 실장된 칩 온 보드 및 발광 칩이 실장될 수 있는 칩 온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