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638A -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및 그 납골모형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및 그 납골모형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638A
KR20190143638A KR1020180071364A KR20180071364A KR20190143638A KR 20190143638 A KR20190143638 A KR 20190143638A KR 1020180071364 A KR1020180071364 A KR 1020180071364A KR 20180071364 A KR20180071364 A KR 20180071364A KR 20190143638 A KR20190143638 A KR 20190143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eased
decoration
model
main bod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귀재
Original Assignee
박귀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귀재 filed Critical 박귀재
Priority to KR1020180071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43638A/ko
Publication of KR20190143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2Altars; Religious shrines; Fonts for holy water; Crucifix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골모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인의 골분을 이용하여 생전에 고인이 원하는 형상을 모형으로 디자인 제작하여 구성함으로써, 가정에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 안치 보관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다양한 모형으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거부감을 줄이며, 또한 제작된 모형의 부식이나 변색, 변질을 방지하여 영구보존이 가능하게 하는 등 새로운 장묘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및 그 납골모형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및 그 납골모형 제조방법{Urn mod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납골모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인의 유골을 거부감 없이 가정에서 안치 및 영구보존이 가능하게 하는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및 그 납골모형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장례 방식은 주로 시신을 매장하여 안치하는 방법을 이용하였기에 이로 인해 국토면적 중 묘역이 차지하는 면적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산림의 파괴는 물론 국토의 효율적 관리가 어려운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후손들이 조상들의 묘지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거나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무연고 묘지가 해마다 많은 수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녹지대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폐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개인묘지의 면적을 제한하고 매장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화장을 하여 골분을 납골당에 보관토록 하는 방식과 애초부터 화장을 통한 장례를 권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납골당이나 가족묘지는 대부분 후손들의 거주지와 상당히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어 직접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위탁관리를 할 경우 역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깨끗하고 깔끔하게 보존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기존의 납골당은 매우 큰 구조물로 제작되어 명절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제사를 모시기 위하여 이동하므로 심각한 교통문제와 대기 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한편,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화장한 형태의 골분 자체 및 골분을 자화사리 형태로 가공한 후 가정에서 납골함으로 보관하는 경우도 빈번히 행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납골함을 이용한 가정의 보관 방식은 골분 자체의 경우는 골분이 주변의 습기를 흡수하여 위생적으로 매우 불결하여 거부감을 야기시켰고, 자화사리 형태로 보관하는 방식은 특정 종교와의 연관선으로 인해 대중적인 수용이 어렵다는 문제에 봉착하였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골분 자체나 자화사리 형태로 가공한 골분을 함체 형태의 케이스 내부에 보관하여 그 거부감을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케이스 보관방식은 그 부피가 상당하여 납골함과 마찬가지로 그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였으며, 단순 보관에 중점을 두어 시각적인 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260478호.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35298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고인의 골분을 이용하여 생전에 고인이 원하는 형상을 모형으로 디자인 제작하여 구성함으로써, 가정에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 안치 보관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및 그 납골모형 제조방법을 다양한 모형으로 제공하여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거부감을 줄이기 위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제작된 모형의 부식이나 변색, 변질을 방지하여 영구보존이 가능하게 하는 등 새로운 장묘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및 그 납골모형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인조대리석으로 구성된 받침판;
받침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질소가스가 충전된 하부 개방형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부에는 내부로 질소가스의 충전이 가능한 질소 주입구가 형성되며, 받침판과의 연결부는 실링재로 밀봉된 투명의 본체; 및
본체의 공간부에 수용 및 받침판에 거치 형성되며, 꽃, 십자가, 기타 상징물 등 생전에 고인이 좋아하는 물건의 모양을 이루는 장식물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받침판은,
전면에 비문이 형성되게 구성하며,
장식물은,
고인의 골분과, 천연아교와, 백시멘트가 혼합되어 구성하며,
인조대리석을 커팅 성형하여 블록 형태의 받침판을 얻으며, 얻어진 받침판의 전면에는 비문을 각인하는 받침판 제조단계;
내부에는 하부로 개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내부로의 일방향 개방되는 질소 주입구가 형성된 투명의 본체를 준비하는 본체 준비단계;
고인의 골분과, 천연아교와, 백시멘트를 조성하여 장식물을 얻는 장식물 제조단계;
장식물을 받침판의 상부에 거치 형성한 상태에서 장식물이 본체의 공간부에 수용되도록 본체로 장식물을 덮어 구속하고, 받침판과 본체의 연결부는 실링 처리하여 밀봉하는 조립단계; 및
밀봉된 본체의 공간부에 질소 주입구를 통해 질소가스를 충전하는 질소 충전단계를 수행하여 제조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및 그 납골모형 제조방법은, 투명 본체의 내부에 생전에 고인이 좋아하는 꽃, 십자가, 기타 상징물 등 다양한 모형 등의 장식물이 구성된 것인바, 가정에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안치가 가능하게 되는 등 그 보관이 매우 편리하며, 유족은 물론 외부인도 거부감 없이 보관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순수 골분과 천연아교와 백시멘트를 혼합 제작함으로써, 그 강도 등 내구성의 향상은 물론, 본체 내부에 질소가스가 충전된 것인바, 부식이나 변색, 변질이 방지되는 등 영구보존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른 새롭고 세련된 장묘문화의 구축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의 다른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제조방법의 전체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제조방법의 받침판 제조단계 간략도.
도 6은 본 발명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제조방법의 본체 준비단계 간략도.
도 7은 본 발명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제조방법의 장식물 제조단계 간략도.
도 8은 본 발명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제조방법의 조립단계 간략도.
도 9는 본 발명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제조방법의 조립단계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제조방법의 질소 충전단계 간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1)은, 받침판(100)과, 본체(200)와, 장식물(300)로 구성된다.
먼저 받침판(100)은, 본 발명 납골모형(1)을 구성함에 있어 그 기초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인조대리석으로 구성되며, 바닥에 거치 사용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다양한 형상의 블록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받침판(100)에는 그 전면에 비문(110)이 형성된 것으로, 비문(110)에는 고인의 생전 년도 및 이름 등의 이력이나 좋아하던 글귀 등의 다양한 문구가 각인되어 질 것이다.
상기 본체(200)는, 본 발명 납골모형(1)을 구성함에 있어, 외형의 디자인을 부여하게 구성된 것으로, 받침판(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다양한 디자인 형상을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본체(200)는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투명재질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후술하는 장식물(300)의 수용이 가능한 하부 개방형 공간부(210)가 구성된 것으로, 받침판(100)의 상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그 받침판(100)과의 연결부는 실링재(230)로 밀봉 처리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본체(200)의 디자인 형상은 "돔" 형태를 이루게 구성한다.
그리고, 본체(200)의 후면에는 상기 공간부(210)로 질소가스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질소 주입구(22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질소 주입구(220)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일방향 개방 구조를 이루는 체크밸브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장식물(300)은, 본 발명 납골모형(1)을 구성함에 있어, 본체(200)의 공간부(210)에 수용되어 장식효과를 부여하게 구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공간부(210)의 내부에서 받침판(100)에 거치 고정되게 구성된다.
이때, 장식물(300)은 고인의 화장된 골분과, 천연아교와, 백시멘트가 혼합 성형되어 구성된 것으로, 골분 60~70 중량%와, 천연아교 5~15 중량%와, 백시멘트 15~25 중량%로 조성 및 성형되어 구성된다.
즉, 장식물(300)은 통상의 골분을 보관하는 것과 같이 골분과 함께 성형되어 고인을 모시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며, 이때 장식물(300)은 꽃, 십자가, 기타 상징물 등 생전에 고인이 좋아하는 물건 형상을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공간부(210) 내부에서 입체적인 장식효과를 부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납골모형(1)을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3을 참조하여 공간부(210)에는 장식물(300)과 함께 고인의 사진(310)이 더 수용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납골모형(1)은 받침판(100)을 통해 책상이나 장식장 등 다양한 안치 장소에 안치 보관이 가능하게 되며, 이렇게 안치된 납골모형(1)은 장식물(300) 을 이루는 고인의 유골 보관이 가능한 한편, 그 장식물(300)의 디자인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의 연출이 가능하게 되는 등 고인의 유골을 가정 등 실내에서 보관함에 있어 거부감 없이 보관이 가능하게 되며, 나아가 장식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납골모형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 납골모형 제조방법의 전체 공정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제조방법은 받침판 제조단계(S100)와, 본체 준비단계(S200)와, 장식물 제조단계(S300)와, 조립단계(S200)와, 질소 충전단계(S500)를 수행하여 된다.
먼저, 받침판 제조단계(S100)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 납골모형(1)의 기초를 제작하기 위한 과정으로 이를 위해서는 인조대리석을 준비하되, 준비된 인조대리석을 커팅 성형하여 다양한 형상의 블록화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팅방식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사의 레이저 커팅이나 칼날 커팅 등 다양한 커팅방식의 적용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커팅 성형된 받침판(100)에는 그 전면에 비문(110)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때 비문(110)은 바람직하게는 각인을 통해 고인의 생전 년도 및 이름 등의 이력이나 좋아하던 글귀 등의 다양한 문구를 형성하면 된다.
이후, 본체 준비단계(S200)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 납골모형(1)의 외형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한 본체(200)를 준비하는 과정으로, 이때 본체(200)는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체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하부로 개방되는 공간부(210)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내부로의 일방향 개방되는 질소 주입구(220)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체(200)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그 재질로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유리로 구성시에는 강화유리나 크리스탈을 성형하여 얻을 수 있으며, 합성수지재로 구성시에는 통상의 사출 성형을 통해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장식물 제조단계(S300)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 납골모형(1)의 장식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장식물(300)을 얻기 위한 과정으로, 고인의 골분과, 천연아교와, 백시멘트를 조성하여 성형 제작된다.
이때, 골분은, 화장된 고인의 유골을 100~150 mesh의 입도를 이루는 분말 형태로 분쇄하여 적용 가능한 것으로, 장식물(300)의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60~70 중량% 적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렇게 적용되는 골분은 성형되는 장식물(300)의 표면에 펄 형태의 표면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골분을 100~150mesh의 입도로 적용함은 그 골분을 100mesh 이하로 구성하게 되면 후술하는 백시멘트와 지나치게 혼합되어 골분의 시각적인 효과가 미비해질 수 있으며, 150mesh 이상으로 구성하게 되면 그 결집력 저하와 표면의 지나친 거친면이 나타나는바, 100~150mesh의 입도로 구성함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적용되는 골분을 60~70중량% 적용함은, 60중량% 이하로 적용하게 되면 후술하는 골분 다음으로 많이 적용되는 백시멘트에 의해 골분 고유의 색상인 회색빛을 잃을 수 있으며, 70중량% 이상으로 적용하게 되면 장식물(300)의 색상이 지나치게 탁해질 수 있는 것인바, 60~70중량로 적용함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천연아교는, 통상의 동물의 가죽·힘줄·창자·뼈 등을 고아 얻어진 접착제로 본 발명에 적용시 장식물(300)의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5~15중량% 적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렇게 적용되는 천연아교는 상기 골분과 백시멘트의 결집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천연아교를 5~15중량% 적용함은, 5중량% 이하로 적용하게 되면 상기 골분과 백시멘트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15중량% 이상으로 적용시 아교의 특성상 지나친 점도 부여에 따른 압축 성형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5~15중량%로 적용함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백시멘트, 통상의 흰색 빛깔을 내는 시멘트로 본 발명에 적용시 장식물(300)의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15~25중량% 적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렇게 적용되는 백시멘트는 상기 골분과 아교의 접착력 증대와 경화성 부여와 색상의 연출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백시멘트를 15~25중량% 적용함은, 15중량% 이하로 적용하게 되면 골분과의 접착력과 경화성이 저하되는 한편 골분의 색상에 묻혀 장식물(300) 색상이 탁해질 수 있으며, 25중량% 이상으로 적용시 장식물(300)이 지나치게 흰색 빛을 내어 골분의 표현이 미비해지게 된다.
즉, 장식물 제조단계(S300)에서는 상기와 같이 조성된 골분과 천연아교와 백시멘트 혼합물을 통상의 벽돌 등의 압축 성형과 같이 형틀에 수용한 상태에서 압력을 가해 압축 성형 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성형되는 장식물(300)은 꽃, 십자가, 기타 상징물 등 생전에 고인이 좋아하는 물건 형상을 이루게 구성된다.
이후, 조립단계(S400)는,
도 8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얻어진 받침판(100)과 본체(200)와 장식물(300)을 조립하여 하나의 구조물을 이루게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받침판(100)의 상부에는 얻어진 장식물(300)을 거치 고정하되, 그 고정시에는 별도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 고정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본체(200)를 이용하여 장식물(300)을 덮어 그 장식물(300)을 구속하되, 이는 본체(200)의 공간부(210)에 장식물(300)이 수용되게 한 상태에서 본체(200)의 하단을 받침판(100)의 상부에 거치시키면 된다.
이후, 거치된 본체(200)는 받침판(100)과의 연결부에 실리콘 등을 이용한 실링 처리하여 실링재(230)를 형성 및 공간부(210)를 밀봉 처리하면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체(200)의 내부에는 장식물(300)이 수용된 상태의 구조물을 이루게 되며, 이렇게 본체(200)에 수용된 장식물(300)은 투명의 본체(200) 내부에서 심미감을 부여하게 된다.
한편, 조립단계(S400)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공간부(210)에 장식물(300)을 구속하는 과정에서 그 공간부(210)에 고인의 사진(310)을 더 수용하여 조립할 수 있다.
이후, 질소 충전단계(S500)는,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체(200)의 내부 즉, 공간부(210)에 질소가스를 충전하여 공간부(210)에 잔존하는 산소를 제거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본체(200)의 후면에 형성된 질소 주입구(220)를 통해 질소가스를 주입하여 가능한 것으로, 이에 공간부(210) 내부에는 산소가 제거 및 질소가스가 충전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공간부(210)에 충전되는 질소가스는 공간부(210)에 수용된 장식물(300) 또는 사진(310)이 공기와 접촉되어 부식이나 변샐, 변질을 방지하여 영구적인 보관이 가능하게 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열련의 과정을 통해 본 발명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의 제조가 완료되게 되는 것으로, 이렇게 제조된 납골모형은, 받침판을 통해 책상이나 장식장 등 다양한 장소에 편리하게 보관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골분이 고인이 좋아하는 모형의 장식물로 제작된 특성상 투명의 본체 내부에서 입체적인 장식효과 및 심미감을 부여하여 혐오감을 현저히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 납골모형은 과도한 비용을 투자하여 납골당 등에 보관할 필요 없이 항시 유족이 고인을 기릴 수 있도록 가정에서의 매우 편리한 보관이 가능하게 되는 등 새로운 장묘문화의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
100 : 받침판 110 : 비문
200 : 본체 210 : 공간부
220 : 질소 주입구 230 : 실링재
300 : 장식물 310 : 사진

Claims (6)

  1. 인조대리석으로 구성된 받침판(100);
    받침판(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질소가스가 충전된 하부 개방형 공간부(210)가 형성되고, 외부에는 내부로 질소가스의 충전이 가능한 질소 주입구(220)가 형성되며, 받침판(100)과의 연결부는 실링재(230)로 밀봉된 투명의 본체(200); 및
    본체(200)의 공간부(210)에 수용 및 받침판(100)에 거치 형성되며, 꽃, 십자가, 기타 상징물 등 생전에 고인이 좋아하는 물건의 모양을 이루는 장식물(30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받침판(100)은,
    전면에 비문(110)이 형성되게 구성하며,
    장식물(300)은,
    고인의 골분과, 천연아교와, 백시멘트가 혼합되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2. 제1 항에 있어서,
    본체(200)의 공간부(210)에는,
    고인의 사진(310)이 더 수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3. 장식물(300)은,
    고인의 골분 60~70중량%와, 천연아교를 5~15중량%와, 백시멘트를 15~25중량%로 조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4. 인조대리석을 커팅 성형하여 블록 형태의 받침판을 얻으며, 얻어진 받침판의 전면에는 비문을 각인하는 받침판 제조단계(S100);
    내부에는 하부로 개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내부로의 일방향 개방되는 질소 주입구가 형성된 투명의 본체를 준비하는 본체 준비단계(S200);
    고인의 골분과, 천연아교와, 백시멘트를 조성하여 장식물을 얻는 장식물 제조단계(S300);
    장식물을 받침판의 상부에 거치 형성한 상태에서 장식물이 본체의 공간부에 수용되도록 본체로 장식물을 덮어 구속하고, 받침판과 본체의 연결부는 실링 처리하여 밀봉하는 조립단계(S400); 및
    밀봉된 본체의 공간부에 질소 주입구를 통해 질소가스를 충전하는 질소 충전단계(S500)를 수행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장식물 제조단계(S300)는,
    고인의 유골을 분쇄하여 100~150mesh 입도를 이루는 분말 형태로 구성하되, 장식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60~70중량%;
    장식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천연아교를 5~15중량%; 및
    장식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백시멘트를 15~25중량%를 포함하여 성형원료를 조성하되,
    조성된 성형원료를 이용하여 압축 성형하여 다양한 형상의 장식물을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조립단계(S400)에서,
    본체의 공간부에는 고인의 사진이 더 수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제조방법.
KR1020180071364A 2018-06-21 2018-06-21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및 그 납골모형 제조방법 KR20190143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364A KR20190143638A (ko) 2018-06-21 2018-06-21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및 그 납골모형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364A KR20190143638A (ko) 2018-06-21 2018-06-21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및 그 납골모형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638A true KR20190143638A (ko) 2019-12-31

Family

ID=69051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364A KR20190143638A (ko) 2018-06-21 2018-06-21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및 그 납골모형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36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699525U (zh) 陶瓷龙棺骨灰盒
KR20190143638A (ko) 고인의 유골을 이용한 납골모형 및 그 납골모형 제조방법
RU93858U1 (ru) Памятное сооружение для оформления могил усопших
JP3224348U (ja) 骨つぼ
CN2576855Y (zh) 盆景式微型墓穴
KR20170142455A (ko) 고인의 유골분 또는 유품을 영구보관하는 캡슐과 이 캡슐을 보관하는 신상(神像)장식구
CN207033025U (zh) 殿堂造型之家族合葬骨灰安置堂
CN208152685U (zh) 艺术墓碑
CN2537784Y (zh) 灵塔
CN2203102Y (zh) 缩微纪念碑
KR101973773B1 (ko) 골분을 이용한 납골함 대체 기념물의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납골함 대체 기념물
KR101875157B1 (ko) 미니어처 봉분
CN2279162Y (zh) 一种新型工艺寿盒
CN1868433A (zh) 一种活动墓地的实施方法和采用该方法的装置
CN2368272Y (zh) 花盆
EP4098826A1 (en) Memorial stone
KR102563702B1 (ko)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녹청자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KR101062610B1 (ko) 조각상 묘비
JP3027537U (ja) ペットの為の墓碑
JP3217283U (ja) 供養造形物
CN2476272Y (zh) 一种骨灰盒
CN113982362A (zh) 安葬方法和基于该方法的公墓
KR101030801B1 (ko) 유골함 겸 향로 및 그 제조방법
CN203081027U (zh) 组合式坟墓装饰罩
CN103850516A (zh) 模块组装家族家谱陶瓷墓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