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773B1 - 골분을 이용한 납골함 대체 기념물의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납골함 대체 기념물 - Google Patents

골분을 이용한 납골함 대체 기념물의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납골함 대체 기념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773B1
KR101973773B1 KR1020160141377A KR20160141377A KR101973773B1 KR 101973773 B1 KR101973773 B1 KR 101973773B1 KR 1020160141377 A KR1020160141377 A KR 1020160141377A KR 20160141377 A KR20160141377 A KR 20160141377A KR 101973773 B1 KR101973773 B1 KR 101973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w material
article
bone
mon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316A (ko
Inventor
이정환
목향균
Original Assignee
이정환
목향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환, 목향균 filed Critical 이정환
Publication of KR20170051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3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using additiv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the products, e.g.. binder bin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y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인을 화장하고 남은 골분 또는 죽은 반려동물을 화장하고 남은 골분을 점토와 혼합하여, 액자형 기념물이나 흉상, 도자기, 장식품 등과 같은 모형 조형물로 제작하여, 납골당이 아닌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특정한 장소에 안치하거나 진열함으로써, 사람 또는 반려동물과의 사랑 및 추억 등을 기념, 유지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골분을 이용한 납골함 대체 기념물의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납골함 대체 기념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분을 이용한 납골함 대체 기념물의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납골함 대체 기념물{REMEMBRANCE USING BO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인을 화장하고 남은 골분 또는 죽은 반려동물을 화장하고 남은 골분을 점토와 혼합하여, 액자형 기념물이나 흉상, 도자기, 장식품 등과 같은 모형 조형물로 제작하여, 납골당이 아닌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특정한 장소에 안치하거나 진열함으로써, 사람 또는 반려동물과의 사랑 및 추억 등을 기념, 유지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골분을 이용한 납골함 대체 기념물의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납골함 대체 기념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통적인 장례문화는 매장방식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묘 자리의 확보, 묘지의 사후 관리의 어려움, 묘지로 인한 자연환경의 손상, 후손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선대의 배려 등의 이유로 점차적으로 화장방식으로 변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좁은 국토에 비하여 묘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상기와 같은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여, 정부 차원에서도 이러한 시대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화장문화를 육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납골묘(납골당)의 수가 최근 몇 년 사이에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한편 많은 가정에서 개, 고양이 등과 같은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데, 이러한 반려동물이 죽은 경우에, 현행법(폐기물관리법)에서는 가정에서 나온 반려동물의 사체를 생활폐기물로 분류하여 종량제봉투에 담아 버려야 하거나, 땅에 묻을 경우 개인 소유의 땅에 1m 이상 깊이를 파고 묻어야 하며, 개인 소유가 아닌 뒷산 등에 묻는 행위 등은 불법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인해 반려동물을 단순 동물이 아닌 가족의 일원 중 하나로 인식하고 있는 바, 반려동물의 사체를 쓰레기봉투에 넣어 버리는 방법은 가족처럼 지내던 반려동물을 함부로 한다는 마음에 혐오감을 느껴, 일반인들이 죽은 반려동물을 쉽게 처리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동물 장묘시설을 허용한 '동물보호법'이 시행되고 있어, 반려동물장례식장이 별도로 개설되어 정해진 장례예식을 마친 후 화장을 하여 납골함 등에 담아 분골을 인도하고 있고, 주인의 요청에 따라 남골함을 별도의 납골묘(납골당) 등에 봉안하고 보관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처럼 사람이나 반려동물의 사망 시, 매장이 아닌 화장을 통한 장례문화가 확산되고 있고, 이에 따라 화장 후 남은 분골은 납골함(용기)에 보관되어 별도의 장묘시설에 안치, 봉안하여 고인이나 죽은 반려동물을 기리고 기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렇게 분골이 보관된 납골함을 별도의 장묘시설에 안치, 봉안할 경우, 고가의 비용을 장기간동안 지불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특히 비용 문제로 인해 장묘시설을 저가로 사용하게 되면, 그만큼 관리가 되지 않아 분골이 부패하거나 변질되기 쉽고, 고가의 비용을 부담하더라도 장묘시설의 허술한 관리로 인해 고인이나 죽은 반려동물을 기리기 위한 목적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납골함이 안치되는 납골당과 같은 장묘시설이 차지하는 면적이 묘 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고는 하나, 일반적으로 장묘시설은 장기간의 운영이 필요한데 비하여 사람이나 반려동물의 사망은 계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장묘시설이 부족하게 되어 시간이 경과할수록 장묘시설은 계속 증가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이러한 장묘시설의 증가 역시 국토 이용 효율을 떨어뜨리며, 이로 인한 허술한 관리의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납골함 대체 기념물을 저가로 쉽게 제작하여, 납골당이 아닌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특정한 장소에 안치하거나 진열함으로써, 사람 또는 반려동물과의 사랑 및 추억 등을 기념, 유지하여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별도의 업체에 맡기지 않고 직접 손쉽게 관리하여 분골의 부패나 변질 등을 방지함으로써, 분골 보관에 따른 비용 부담을 줄이고, 오랜 기간 동안 고인이나 죽은 반려동물을 기리고자 하는 목적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인을 화장하고 남은 골분 또는 죽은 반려동물을 화장하고 남은 골분 및 점토를 혼합한 원재료를 이용해, 액자형 기념물이나 흉상, 도자기, 장식품 등과 같은 모형 조형물로 제작 및 보관이 가능한 납골함 대체 기념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대체 기념물의 제작방법은
납골함을 대신하여 보관할 수 있는 납골함 대체 기념물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사람 또는 반려동물의 골분과, 점토를 이용해 원재료를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원재료를, 특정 형상의 성형물로 성형하여 기념물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대체 기념물의 제작방법에서
상기 원재료는 골분과 점토 분말을 1:4 비율로 혼합하여 반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대체 기념물의 제작방법에서
상기 B) 단계의 성형물은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테두리를 따라 연결된 프레임부로 이루어진 액자 틀로써,
상기 B) 단계는
상기 원재료를 이용해, 상기 부착부와 상기 프레임부로 이루어진 기물을 제작하고, 초벌하는 공정,
상기 기물의 표면을 코팅하는 공정,
상기 부착부에, 사용된 골분의 사람 또는 반려동물의 생전 사진을 부착하는 공정 및
사진이 부착된 액자 틀을 재벌하여, 액자형 기념물을 완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대체 기념물은
납골함을 대신하여 보관할 수 있는 납골함 대체 기념물에 있어서,
사람 또는 반려동물의 골분과, 점토가 혼합된 원재료로 제작되며,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테두리를 따라 연결된 프레임부로 이루어진 액자 틀; 및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사용된 골분의 사람 또는 반려동물의 생전 사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대체 기념물의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되는 납골함 대체 기념물은
첫째, 고인이나 죽은 반려동물을 화장하고 남은 골분을 이용해 납골함 대체 기념물을 제작하여 골분을 보관함으로써, 사람 또는 반려동물과의 사랑 및 추억 등을 기념, 유지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고,
둘째, 납골함 대체 기념물을, 고인이나 죽은 반려동물의 사진이 담긴 액자형 기념물이나, 흉상, 도자기, 장식품 등과 같은 모형 조형물로 제작함으로써, 납골당이 아닌, 사용자 개인이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특정한 장소에 안치하거나 진열하여, 고인 또는 반려동물의 명복을 빔과 동시에, 이를 위화감이 없는 일종의 장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고,
셋째, 납골함 대체 기념물을 사용자 개인이 직접 보관, 관리함에 따라, 납골함 구매나 납골당 사용에 따른 비용 부담을 줄이면서, 개인적인 관리가 용이하여 분골의 부패나 변질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대체 기념물의 제작방법의 제1, 제2 실시예를 나나낸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대체 기념물로써, 액자형 기념물을 도시한 평면도, 횡단면도 및 단면 일부 확대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대체 기념물 및 이를 통해 제작된 납골함 대체 기념물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3의 [A] 및 도 4의 [A]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대체 기념물의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납골함 대체 기념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대체 기념물의 제작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골분과 점토를 혼합하는 A) 단계(S10) 및 혼합된 원재료를 특정 형상의 성형물로 성형하여 기념물을 완성하는 B) 단계(S20)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A) 단계(S10)는 사람 또는 반려동물의 골분과 점토를 혼합하여 원재료를 생성하는 단계로써, 이에 사용되는 골분은 사람 또는 반려동물의 화장 후 남은 이물질이 제거된 골분이 사용되고, 점토는 지름 0.005mm 이하의 토양입자로 구성된 암석분말이 사용된다.
상기 A) 단계(S10)에서 골분과 점토의 혼합 비율은 대략 1:4이 중량비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교반장치 등을 통해 반죽 후 소정 기간동안 숙성시켜 반고체 형태의 원재료를 만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S10)는 15~25중량%의 골분과, 잔량의 점토 분말을 혼합하여 원재료를 구성하게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5중량%의 골분과, 35~45중량%의 고령토 및 35-45중량%의 화강암(풍화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점토 분말을 혼합하여 원재료를 구성하게 되며,
이때 사용되는 골분과 고령토 및 화강암 분말의 크기는 120~130 메쉬(0.1~10㎛)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골분과, 고령토 및 화강암 분말의 혼합 시 총 중량에 대하여 20~35%의 물을 첨가하여 반죽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상기 A) 단계(S10)는 반죽 후, 숙성 전에 20~35%의 수분을 남기고 탈수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렇게 A) 단계(S10)가 완료되면, 상기 B) 단계(S20)로써, 원재료를 이용해, 특정 형상의 성형물로 성형하여 기념물을 제작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의 원재료로 완성되는 기념물이란, 도 3 및 도 4와 같은 액자형 기념물(F, F')이나 흉상, 도자기, 장식품 등과 같은 모형 조형물(미도시) 등 일반적인 납골함과 다르게 보는 이로 하여금 위화감을 주지 않고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특정 장소에 쉽게 안치하여 보관할 수 있은 모든 종류의 물품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납골함 대체 기념물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액자형 기념물(P, P')(제1 실시예),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흉상(胸像) 등의 모형 조형물을 대표하여, B) 단계(S2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써, 도 3은 고인의 생전 사진이 부착된 액자형 기념물(F)의 평면도 및 횡단면도와 일부 단면 확대도이고, 도 4는 반려동물의 생전사진이 부착된 액자형 기념물(F')의 평면도 및 횡당면도이다.
이러한 액자형 기념물(F, F')은, 일반적인 액자 형태로 이루어져 사진(20)을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B) 단계(S20)에서 성형되는 기물(10)은 부착부(11)와, 상기 부착부(11)의 테두리를 따라 연결된 프레임부(12)로 이루어진 액자 틀로 이루어진다.
A) 단계(S10)의 원재료를 이용해, 액자 틀 및 액자 틀에 부착되는 사진(20)으로 이루어진 액자형 기념물(F, F')을 제작하는 B) 단계(S20)는 다음과 같다.
제1 실시예의 B) 단계(S20)는
상기 원재료를 이용해, 상기 부착부(11)와 상기 프레임부(12)로 이루어진 기물(10)을 제작하고, 초벌하는 공정(S21),
상기 기물(10)의 표면을 코팅하는 공정(S22),
상기 부착부(11)에, 사용된 골분의 사람 또는 반려동물의 생전 사진(20)을 부착하는 공정(S23) 및
사진(20)이 부착된 액자 틀을 재벌하여, 액자형 기념물(F, F')을 완성하는 공정(S23)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물 제작 공정(S21)은, 상기한 구성의 액자 틀에 대응하는 금형 틀(미도시)을 준비하고, 준비된 금형 틀에 상기 원재료를 넣은 상태에서 5톤의 압력으로 프레스 가공하여 충진한 후, 초벌을 통해 가열하여 원재료가 액자 틀 형상의 기물(10)로 경화되도록 한다.
이때 기물(10)은 700~90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에서, 15~25시간 동안 초벌구이된다.
이 경우, 경화된 기물(10)을 금형 틀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원재료를 금형 틀에 충진하기 전에 이형제를 금형 틀에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액자 틀의 강도 보강을 위해, 기물 제작 공정(S21)은 프레임부(12)에 심부재(30)가 매립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심부재(30)의 재질에 제한은 없으나,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의 금속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재료를 금형 틀에 충진하기 전, 심부재(30)가 원재료에 매립되도록 금형 틀에 가설치한 후, 프레스 가공을 통해 심부재(30)와 기물(10)이 일체화된다.
상기 기물 제작 공정(S21)을 통해 기물(10)의 초벌구이가 완료되면, 금형 틀에서 기물(10)을 분리하고, 액자 틀의 형상에 맞게 기물(10)의 표면을 다듬질하여 마무리한다.
다음으로 액자형 기념물(F, F')을 보관하는 중에, 액자 틀에서 골분(뼈 가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물 코팅 고정(S22)을 실시한다.
이러한 기물 코팅 고정(S22)은 기물(10)의 표면 전부위, 즉 부착부(11)와 프레임부(12)의 모든 면에 도자기 등에 사용되는 유약(13)을 도포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되는 유약(13)에는 CMC 접착제 또는 FVA 접착제가 첨가되어, 후술하는 사진 부착 공정(S23) 중 유약(13)이 작업자의 손에 묻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첨가되는 접착제의 양은 사용되는 유약(13)에 대하여 2~3%로 비율로 첨가되어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유약(13)으로 코팅된 액자 틀이 완성되면, 기물(10)의 부착부(11)에 접착제(21)를 도포한 다음, 그 위에 사용된 골분의 사람 또는 반려동물의 생전 사진(20)을 부착한다.
이때 사용되는 사진(20)은 고열에 견딜 수 있도록 특수 인화된 사진을 부착부(11)에 직접 부착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생전 사진이 전사된 전사지(미도시)를 부착부(11)의 전면에 부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사지의 제작은 옵셋 방식이나 스크린 인쇄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사지의 제작 방식은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사지의 부착을 통해, 액자 틀에 사진(20)의 부착이 완료되면, 사진(20)이 부착된 액자 틀을 재벌하여, 액자형 기념물(F, F')이 완성된다.
액자 틀 재벌 공정(S24)에서 액자 틀은 1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0℃에서, 20~30시간 동안 재벌구이된다.
B) 단계(S20)를 통해, 기물(10)의 표면에 유약(13)이 코팅(도포)된 상태에서 사진(20)을 부착하여 재벌하게 되면, 유약(13)이 경화되면서 발색되어 사진(20)에 부드러운 느낌을 주며, 사진(20)의 변질이나 변색 등을 방지하여 분골과 함께 사진(20)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인을 위한 액자형 기념물(F)과, 반려동물을 위한 액자형 기념물(F')의 사이즈에 제한은 없으나, 고인을 위한 액자형 기념물(F)이 대형 및 소형으로 모두 제작됨에 비하여, 반려동물을 위한 액자형 기념물(F')은 상대적으로 소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어서 납골함 대체 기념물로써, 모형 조형물(제2 실시예)을 설명한다.
모형 조형물(미도시)이란, 고인이나 죽은 반려동물의 생전 모습을 형상화한 조형물로써, 신체의 일부를 본뜬 흉상이나, 고인이나 죽은 반려동물을 연상시킬 수 있는 도자기, 장식품과 같은 물품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A) 단계(S10)의 원재료를 이용해, 모형 조형물을 제작하는 B) 단계(S20)는 다음과 같다.
제2 실시예의 B) 단계(S20)는
상기 원재료를 이용해, 조형물을 제작하고, 초벌하는 공정(S25),
상기 조형물의 표면을 코팅하는 공정(S26) 및
코팅된 조형물을 재벌하여, 모형 조형물을 완성하는 공정(S27)으로 구성된다.
조형물 제작 공정(S21)은,
제1 실시예의 금형 틀과 유사하게, 고인이나 죽은 반려동물의 생전 모습을 본뜬 조형물 틀(미도시)을 이용하여 제작한 후 초벌하는 방식,
또는 원재료를 이용해 작업자가 직접 조형물을 형상화(조형)한 후 초벌하는 방식,
또는 원재료를 소정의 형태로 선(先) 제작한 후, 이를 깎아서 조형물을 형상화(조각)한 다음 초벌하는 방식,
또는 조형물을 부위별로 제작하여 초벌한 후, 모든 부위를 조립하여 완성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때 초벌구이의 구체적인 조건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렇게 조형물 제작 공정(S25)을 통하여, 흉상으로 이루어진 조형물의 제작이 완료되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유약(13)을 이용해 완성된 흉상의 표면을 코팅하고,
조형물의 코팅 공정(S26)이 완료되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재벌구이 공정(S27)이 진행되어, 모형 조형물이 완성된다.
이 경우, 유약(13) 도포 전(前) 또는 후(後)에 별도의 안료를 추가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재벌구이 공정(S27)을 통해 유약(13)이 안료와 함께 발색되면서 경화되어 색감을 보다 부드럽게 표현할 수 있다.
상기한 제작방법을 통해 제작되는 납골함 대체 기념물은 사람 또는 반려동물의 골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이에 따라 납골함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제작하여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특정 장소에 개인적인 보관이 가능해지고, 유약(13) 코팅을 통해 분골 가루가 기념물에서 떨어지거나 분골이 부패,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일반적인 장식품과 같이 용이하게 보관 및 관리할 수 있어, 고가의 비용이 부담되는 납골함을 대체하여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납골함 대체 기념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액자형 기념물(F, F') 또는 모형 조형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납골함 대체 기념물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액자 틀 11 : 부착부 12 : 프레임부
13 : 유약 20 : 사진 21 : 접착제
30 : 심부재

Claims (4)

  1. 납골함을 대신하여 보관할 수 있는 납골함 대체 기념물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사람 또는 반려동물의 골분과, 점토를 이용해 원재료를 혼합하는 단계(S10);
    B) 상기 원재료를, 특정 형상의 성형물로 성형하여 기념물을 완성하는 단계(S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A) 단계에서, 15~25중량%의 골분과, 35~45중량%의 고령토 및 35-45중량%의 화강암(풍화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점토 분말을 혼합하여 원재료를 구성하며, 골분과, 고령토 및 화강암 분말의 혼합 시 총 중량에 대하여 20~35%의 물을 첨가하여 반죽하고,
    상기 B) 단계(S20)의 성형물은 부착부(11)와, 상기 부착부의 테두리를 따라 연결된 프레임부(12)로 이루어진 액자 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B) 단계(S20)는
    상기 원재료를 이용해, 상기 부착부(11)와 상기 프레임부(12)로 이루어진 기물(10)을 제작하는 공정을 포함하되,
    기물 제작 공정(S21)은, 원재료를 금형 틀에 충진하기 전, 심부재(30)가 원재료에 매립되도록 금형 틀에 가설치한 후, 프레스 가공을 통해 심부재(30)와 기물(10)이 일체화시켜 프레임부(12)에 심부재(30)를 매립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대체 기념물의 제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S20)는
    상기 기물(10)을 700~900℃에서, 15~25시간 동안 초벌하는 기물 제작 공정(S21),
    유약(13)에 대하여 2~3%로 비율로 CMC 접착제 또는 FVA 접착제가 첨가된 유약(13)을 기물(10)의 표면 전부에 도포하여 기물(10)의 표면을 코팅하는 기물 코팅 공정(S22),
    기물(10)의 표면에 유약(13)이 코팅된 상태에서 상기 부착부(11)에, 사용된 골분의 사람 또는 반려동물의 생전 사진(20)을 부착하는 사진 부착 공정(S23) 및
    사진(20)이 부착된 액자 틀을 1250℃에서, 20~30시간 동안 재벌하여, 액자형 기념물(F, F')을 완성하는 액자 틀 재벌 공정(S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대체 기념물의 제작방법.
  3. 삭제
  4. 납골함을 대신하여 보관할 수 있는 납골함 대체 기념물에 있어서,
    부착부(11)와, 상기 부착부(11)의 테두리를 따라 연결된 프레임부(12)로 이루어진 기물(10)로 제작된 액자 틀; 및
    상기 부착부(11)에 부착되는 것으로, 사용된 골분의 사람 또는 반려동물의 생전 사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물(10)의 원재료는 15~25중량%의 골분과, 35~45중량%의 고령토 및 35-45중량%의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점토 분말을 혼합하여 구성되며, 골분과, 고령토 및 화강암 분말의 혼합 시 총 중량에 대하여 20~35%의 물을 첨가하여 반죽되어 있으며,

    상기 기물(10)은, 원재료를 금형 틀에 충진하기 전, 심부재(30)가 원재료에 매립되도록 금형 틀에 가설치한 후, 프레스 가공을 통해 심부재(30)와 기물(10)이 일체화되어, 프레임부(12)에 심부재(30)가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대체 기념물.
KR1020160141377A 2015-10-29 2016-10-27 골분을 이용한 납골함 대체 기념물의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납골함 대체 기념물 KR101973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51355 2015-10-29
KR1020150151355 2015-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316A KR20170051316A (ko) 2017-05-11
KR101973773B1 true KR101973773B1 (ko) 2019-04-30

Family

ID=58742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377A KR101973773B1 (ko) 2015-10-29 2016-10-27 골분을 이용한 납골함 대체 기념물의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납골함 대체 기념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7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16994A1 (it) * 2019-09-23 2019-12-23 Francesco Caciolli Preparato per la modellazione manuale di sculture ornamentali in ceramica comprendenti ceneri da cremazione e metodo per la sua realizzazio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488A (ko) * 2002-03-11 2003-09-19 김수호 화장유골의 조형물화를 위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316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60710A1 (en) Memorial object for preserving cremains and methods to produce
US5016330A (en) Personalized pet animal memorial product
CN104337657B (zh) 人像骨灰盒及其加工工艺
KR20150092467A (ko) 3d프린터를 활용한 골분재 흉상
US20030154581A1 (en) Personalized sculpture as a cremation urn
KR101973773B1 (ko) 골분을 이용한 납골함 대체 기념물의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납골함 대체 기념물
CN106142962A (zh) 一种骨灰塑像及其制备方法和具有骨灰塑像的宗教建筑物
CN101607503A (zh) 一种骨灰雕塑成像方法及系统
US20070000351A1 (en) Memorial jewelry using a precious metal pliable moldable substance
CN1896140A (zh) 采用人骨灰制做工艺品的材料及其制做方法
CN108516824A (zh) 一种人造宝石制造方法及人造宝石
US20170254108A1 (en) Decorative mosaic object and grout containing cremains
CN101496764A (zh) 故人骨灰像及其制作方法
WO2013172798A1 (en) Cremain memorial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JP6952756B2 (ja) 骨粉入り仏像状の陶磁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171517A (zh) 一种纪念珠及其制备方法
CN111004037A (zh) 3d打印陶瓷个人塑像纪念品及塑像骨灰盒的成型方法
GB2476938A (en) Memorial ornament incorporating cremation ashes
CN204307044U (zh) 人像骨灰盒
JP5112781B2 (ja) メモリアルアクセサリー
KR101530593B1 (ko) 뼈 가루를 이용한 고형체 제조방법 및 뼈 가루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형체
CN201443222U (zh) 骨灰盒安置寝
JPH09300896A (ja) 人骨や愛犬猫等の動物の骨の焼却物を硬化剤と共に混合 して造形加工した、仏像墓石筐台盤位牌灯篭等の 加工品
KR20090080152A (ko) 유골분말을 함유한 액자 뒷판의 제조방법
JP2004305659A (ja) 遺骨による被供養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