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194A -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194A
KR20190143194A KR1020180070851A KR20180070851A KR20190143194A KR 20190143194 A KR20190143194 A KR 20190143194A KR 1020180070851 A KR1020180070851 A KR 1020180070851A KR 20180070851 A KR20180070851 A KR 20180070851A KR 20190143194 A KR20190143194 A KR 20190143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cooling unit
collecting
uni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1556B1 (ko
Inventor
한근우
김성곤
이충훈
최명현
양동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70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556B1/ko
Publication of KR20190143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10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A24F19/14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ith extinguish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042Ash-trays with smoke filtering devices

Landscapes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상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구비되어 담배꽁초의 불을 소화시킬 수 있는 냉각부; 상기 몸체 중심부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담배꽁초의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담배꽁초를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하는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ELECTRONIC HARMFUL SUBSTANCE SUCKING DEVICE}
본 발명은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냉각부를 구성하여 담배꽁초의 불을 소화시키고, 소화되면서 발생하는 연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하여 연기 및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용으로 설치된 재떨이는 흡연부스나 고층건물을 포함한 각종 공공장소에 비치되어 담뱃재나 담배꽁초를 임시로 수용하여 재처리하는 편의기구이다.
이러한 종래의 재떨이는 휴지통의 상부에서 일체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담배꽁초를 버리는 재털이 부분의 크기가 작으며, 따라서 담배꽁초를 버리는 사용자가 주의해서 버리지 않으면 화재의 염려가 있었다. 즉, 휴지통 근처에서 담배불을 소각하지 않은 상태로 재털이 부분 또는 휴지통 속으로 투입해 버리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휴지통 속의 폐기물에 점화되어 화재가 발생하는 실정이다.
또한, 재떨이는 많은 사람이 공유하는 문제로 인해 재떨이 근처에 자욱하게 담배연기가 머물러 있을 뿐 아니라, 특히 미처 소화되지 않은 담배꽁초가 투입되는 경우, 담배꽁초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담배연기 또는 독성화학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어 주변으로 분산되면서 재떨이를 사용하는 흡연자는 물론 비흡연자의 건강까지도 악화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위와 같은 재떨이의 주변은 흡연자가 직접 들이마신 후 내뿜는 연기인 주류연은 물론 담배꽁초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부류연이 포함되어 있고, 특히 부류연은 주류연과 달리 필터링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주류연에 비해 독성화학물질의 농도가 2~3배 정도 높아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흡연자 및 비흡연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뿐만 아니라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재떨이의 일 예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22565호는 꽁초를 압착할 수 있는 롤러를 설치하여 꽁초를 압착시켜 수거하는 담배 재떨이를 개시하고 있으나, 압착 시 꽁초의 불씨가 완전히 소화되기에 어려움이 있었고, 소화되면서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연기 및 냄새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냉각부를 구성하여 담배꽁초의 불을 소화시키고, 소화되면서 발생하는 연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하여 연기 및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는 내부에 상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구비되어 담배꽁초의 불을 소화시킬 수 있는 냉각부; 상기 몸체 중심부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담배꽁초의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담배꽁초를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하는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부는 상기 몸체 중심부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흡입부 몸체; 상기 흡입부 몸체의 외면을 따라 형성된 흡입홀; 상기 흡입부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상기 흡입팬을 회전시키는 흡입모터 및 상기 흡입부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연기를 필터링하는 흡입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의 상기 냉각부는 내면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거부의 상측을 개폐하는 개폐부 및 담배꽁초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개폐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냉각부 내면의 각 면 상단마다 형성되는 다수개의 개폐판 및 상기 냉각부에 상기 개폐판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몸체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하면에 돌출되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2개 이상의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거부는 상기 몸체 내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하단에서 외면을 따라 2개 이상이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거부를 하면을 받치거나 상기 고정홈과 결합되어 상기 수거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거부의 하면을 받칠 수 있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에 연결되어 회동될 수 있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재 및 탄성으로 상기 받침부재를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부가 상기 몸체에 삽입되면 상기 받침부재에 받쳐지고, 힘에 의해 상기 수거부가 하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받침부재가 가압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내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는 냉각부를 구성하여 담배꽁초의 불을 소화시키고, 소화되면서 발생하는 연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하여 연기 및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냉각부 및 수거부가 분리 가능하여 담배꽁초를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에서 수거하기에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를 도시한 투영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를 도시한 투영사시도.
도 5는 도 3의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의 냉각부를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의 냉각부, 수거부를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도.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의 수거부를 고정부로 받치고 고정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작동도.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의 개폐부의 개폐 모습을 나타낸 작동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를 도시한 투영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1)는 몸체(10), 냉각부(20), 흡입부(30) 및 수거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10)는 길이를 가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측이 개구된 수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1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에 몸체(10)는 냉각부(20), 흡입부(30) 및 수거부(40)가 형성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냉각부(20)는 몸체(10) 상부에 구비되어 담배꽁초의 불을 소화시킬 수 있다. 즉, 담배꽁초가 냉각부(20)에 닿으면 냉각시켜 담배꽁초의 불을 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냉각부(20)는 상면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냉각부(20)에 올려진 담배꽁초를 수거부(40)측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흡입부(30)는 몸체(10) 중심부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담배꽁초의 연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흡입부(30)는 흡입부 몸체(31), 흡입홀(32), 흡입팬(33), 흡입모터(34) 및 흡입필터(35)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 몸체(31)는 몸체(10) 중심부에 내부가 빈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원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각 기둥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흡입홀(32)은 흡입부 몸체(31)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며, 이때 흡입부 몸체(31)의 상부에 외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흡입부 몸체(31)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거나 다수개가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입홀(32)은 내부에 망이 설치되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입팬(33)은 흡입부 몸체(31) 내부에 설치되어 담배꽁초의 연기를 흡입할 수 있다.
즉, 흡입팬(33)은 회전되어 흡입홀(32)로 연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연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팬(33)은 흡입부 몸체(31)에서 상측을 바라보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흡입홀(32)의 위치에 따라 설계변경하여 설치될 수 있다.
흡입모터(34)는 흡입팬(33)에 연결되어 흡입팬(33)을 회전시킬 수 있다.
흡입필터(35)는 흡입부 몸체(31)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연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필터(35)는 흡입팬(33)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흡입홀(32) 및 흡입팬(33)의 위치에 따라 설계변경하여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흡입부(30)는 하면에 배출홀(36)을 포함하여 연기가 흡입되고 필터링 되어 깨끗해진 공기를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부(30)에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흡입부(30)가 형성되어 몸체(10)에 형성된 수용공간(S)은 횡단면이 원형의 도넛 모양인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거부(40)는 이러한 수용공간(S)에 설치되고,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담배꽁초를 수거할 수 있다. 이때, 수거부(40)의 형상은 수용공간(S)의 형상과 상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거부(40)는 수용공간(S)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즉 수용공간(S)에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여 분리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수거부(40)에 수거된 담배꽁초를 사용자가 재떨이(1)에서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고 가장 더러워지는 수거부(40)만을 별도로 쉽게 청소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를 도시한 투영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의 냉각부를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의 냉각부, 수거부를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의 수거부를 고정부로 받치고 고정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의 개폐부의 개폐 모습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의 몸체(10)는 결합홈(11) 및 고정부(12)를 더 포함하고, 냉각부(20)는 개폐부(21), 감지센서(미도시) 및 결합돌기(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몸체(10), 냉각부(20), 흡입부(30) 및 수거부(40)의 형상이 일부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부(21), 감지센서(미도시), 결합돌기(22), 결합홈(11) 및 고정부(12)의 구성과 몸체(10), 냉각부(20), 흡입부(30) 및 수거부(40)의 형상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1)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하기에서는 상기 차이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몸체(10)의 수용공간(S)은 횡단면이 다각형의 도넛 모양인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육각형의 도넛 모양인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수거부(40)를 수용공간(S)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몸체(10) 상부에서 냉각부(20)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10)는 결합홈(1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11)은 몸체(10) 상면에 형성되어, 결합돌기(22)가 삽입 고정될 수 있고, 상면에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돌기(22)와 마찬가지로 2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홈(11)은 삽입홈(110) 및 결착홈(111)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110)은 종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홈(110)의 너비는 상측에서 결합돌기(22) 전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착홈(111)은 종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홈(11)이 형성되어 냉각부(20)의 회전에 의해 삽입홈(110)에서 결착홈(111)으로 결합돌기(22)가 결착되면 결합돌기(22)의 하부가 결착홈(111)에 걸려 냉각부(20)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는 수거부(40)를 받치거나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2)는 몸체(10) 내부에 형성되어 수거부(40)의 하면을 받치거나 수거부(40)의 고정홈(41)과 결합되어 수거부(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고정부(12)는 받침부재(120), 회동부재(121), 고정부재(122) 및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재(120)는 몸체(10) 내부에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되어 수거부(40)의 하면을 받칠 수 있다.
회동부재(121)는 받침부재(120)에 연결되어 회동될 수 있다.
고정부재(122)는 회동부재(121) 상측에 형성되고, 고정홈(4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미도시)는 받침부재(120)를 지면과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복원시킬 수 있다.
즉, 고정부(12)는 이러한 구조로 형성되어 수거부(40)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받침부재(120)가 지면과 수평인 상태로 될 수 있다.
여기서, 수거부(40)가 수용공간(S)으로 인입되면 수거부(40)의 하면을 받침부재(120)가 받치게 되고, 사용자가 수거부(40)를 하측으로 가압하면 그 힘에 의해 받침부재(120)가 가압되어 회동부재(121)가 회동함에 따라, 고정부재(122)가 내측으로 회동되면서 인입되는 수거부(40)의 고정홈(41)에 삽입되어 수거부(4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수거부(40)를 상측으로 당겨 인출시키면 고정홈(41)에서 고정부재(122)가 이탈되고 회동부재(121)가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회동되면서 받침부재(120)가 상측으로 회전하여 수평상태로 다시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부(12)의 구성으로 수거부(40)의 분리 및 고정이 용이하고 완전히 설치시키기 전까진 수거부(40)를 고정시키지 않고 받쳐줄 수 있어 사용함에 있어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냉각부(20)에 형성된 개폐부(21)는 냉각부(20) 내면 상단에 형성되어 수거부(40)의 상측을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폐부(21)는 개폐판(210) 및 힌지(211)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판(210)은 냉각부(20) 내면의 각 면 상단마다 형성되어 회동에 따라 수거부(40)의 상측을 개폐할 수 있다. 즉, 냉각부(20)의 내면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면이 존재하고 그 각 면마다 개폐판(21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판(210)은 냉각부(20)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210)의 하단길이는 상단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수거부(40)를 폐쇄한 상태에서 흡입부(30)의 외면과 하단이 접한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개폐판(210)은 냉각부(20)에서 지면과 수평되게 설치되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힌지(211)는 냉각부(20)에서 개폐판(210)이 회동 가능하도록 냉각부(20)와 개폐판(21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21)는 상측에서 담배꽁초 등이 떨어지면 하측으로 회동되어 담배꽁초가 수거부(4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으나, 감지센서(미도시)로부터 냉각부(20)에 담배꽁초에 의한 압력, 물체, 접촉 등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하측으로 회동되어 수거부(40)를 개방시킬 수 있다.
감지센서(미도시)는 냉각부(20)에 구비되어 담배꽁초를 감지할 수 있고, 담배꽁초가 감지되면 신호를 전송하여 개폐부(21)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감지센서(미도시)는 압력센서로 구비되어 담배꽁초가 냉각부(20)에 지져지거나 닿았을 때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센서로 구비되어 담배꽁초를 감지할 수 있다.
냉각부(20)는 몸체(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22) 및 회전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22)는 냉각부(20) 하면에 돌출되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2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22)는 냉각부(20)가 몸체(10) 상면에 설치되면 결합홈(11)의 삽입홈(110)에 삽입되고 냉각부(20)를 회전시킴에 따라 결합홈(11)의 결팍홈()에 결착되어 몸체(10)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회전홈은 냉각부(20)의 하면에 원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10)에 냉각부(20)를 결합시키기 위해 회전시킬 경우 수거부(40)에 냉각부(20)가 걸리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흡입부(30)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육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거부(40)는 단면이 다각형의 도넛 모양인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육각형의 도넛 모양인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수거부(40)는 고정홈(41)을 포함할 수 있고, 고정홈(41)은 수거부(40) 하단에 2개 이상이 형성되어 고정부(12)의 고정부재(122)가 삽입되는 것으로, 수거부(4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홈(41)은 수거부(40)의 외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는 냉각부를 구성하여 담배꽁초의 불을 소화시키고, 소화되면서 발생하는 연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하여 연기 및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냉각부 및 수거부가 분리 가능하여 담배꽁초를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에서 수거하기에 편리하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를 제1 및 제2 실시예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성 및 이해가 쉽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를 나눠 설명한 것으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구성은 설계 변경하여 서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
10: 몸체
11: 결합홈
110: 삽입홈
111: 결착홈
12: 고정부
120: 받침부재
121: 회동부재
122: 고정부재
20: 냉각부
21: 개폐부
210: 개폐판
211: 힌지
30: 흡입부
31: 흡입부 몸체
32: 흡입홀
33: 흡입팬
34: 흡입모터
35: 흡입필터
36: 배출홀
40: 수거부
41: 고정홈

Claims (7)

  1. 내부에 상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구비되어 담배꽁초의 불을 소화시킬 수 있는 냉각부;
    상기 몸체 중심부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담배꽁초의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담배꽁초를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하는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몸체 중심부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흡입부 몸체;
    상기 흡입부 몸체의 외면을 따라 형성된 흡입홀;
    상기 흡입부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상기 흡입팬을 회전시키는 흡입모터 및
    상기 흡입부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연기를 필터링하는 흡입필터를 포함하는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내면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거부의 상측을 개폐하는 개폐부 및
    담배꽁초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개폐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냉각부 내면의 각 면 상단마다 형성되는 다수개의 개폐판 및
    상기 냉각부에 상기 개폐판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힌지를 포함하는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몸체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하면에 돌출되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2개 이상의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상기 몸체 내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하단에서 외면을 따라 2개 이상이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거부를 하면을 받치거나 상기 고정홈과 결합되어 상기 수거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거부의 하면을 받칠 수 있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에 연결되어 회동될 수 있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재 및
    탄성으로 상기 받침부재를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부가 상기 몸체에 삽입되면 상기 받침부재에 받쳐지고, 힘에 의해 상기 수거부가 하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받침부재가 가압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내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
KR1020180070851A 2018-06-20 2018-06-20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 KR102101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851A KR102101556B1 (ko) 2018-06-20 2018-06-20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851A KR102101556B1 (ko) 2018-06-20 2018-06-20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194A true KR20190143194A (ko) 2019-12-30
KR102101556B1 KR102101556B1 (ko) 2020-04-16

Family

ID=6910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851A KR102101556B1 (ko) 2018-06-20 2018-06-20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5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0840U (ja) * 1996-05-02 1996-11-12 株式会社オンダ 煙を浄化する灰皿
JPH11318424A (ja) * 1998-05-08 1999-11-24 Yukio Iyama 自動消火機能及び浄化機能を備えた灰皿ユニット
JP2000060525A (ja) * 1998-08-14 2000-02-29 J Net Information:Kk スモーキングスタンド
JP2008253246A (ja) * 2007-03-14 2008-10-23 Keiichiro Ushijima 水洗式灰皿
KR20160014274A (ko) * 2014-07-29 2016-02-11 강병용 쓰레기통의 재털이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0840B2 (ja) * 1994-09-02 2000-04-10 株式会社東京精密 表面粗さ形状測定における傾斜補正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0840U (ja) * 1996-05-02 1996-11-12 株式会社オンダ 煙を浄化する灰皿
JPH11318424A (ja) * 1998-05-08 1999-11-24 Yukio Iyama 自動消火機能及び浄化機能を備えた灰皿ユニット
JP2000060525A (ja) * 1998-08-14 2000-02-29 J Net Information:Kk スモーキングスタンド
JP2008253246A (ja) * 2007-03-14 2008-10-23 Keiichiro Ushijima 水洗式灰皿
KR20160014274A (ko) * 2014-07-29 2016-02-11 강병용 쓰레기통의 재털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556B1 (ko)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4946B1 (ko) 담배연기 필터시스템
KR101691952B1 (ko) 소화 기능을 갖는 재떨이
KR20130101979A (ko) 연기와 냄새 제거 필터, 장치 및 방법
KR102133678B1 (ko) 흡연용 부스
US10306920B1 (en) Cigarette smoke filtration apparatus
KR20150095491A (ko) 흡연부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43194A (ko) 전자식 유해물질 흡입장치
KR20150103483A (ko) 지능형 흡연실
KR101590407B1 (ko) 밀폐형 흡연 부스
KR200476055Y1 (ko) 연기 및 냄새 여과장치
KR101619857B1 (ko) 흡연부스
KR102000916B1 (ko) 공기 정화 및 제연 기능을 갖는 흡연 스탠드
KR101758788B1 (ko) 흡연 구역 시스템
KR20150095488A (ko) 흡연부스용 재떨이
KR20180060760A (ko) 간접 흡연 방지 장치
KR20170000988A (ko) 스탠드형 재떨이
KR101530362B1 (ko) 흡연부스의 담배연기 관리장치
JP2000325753A (ja) 喫煙用空気清浄機
KR101893266B1 (ko)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
JPH07317342A (ja) 間接喫煙を完全に阻止する構造の移設自在な喫煙ボッ クス
JP2004057148A (ja) 喫煙具
CN210017857U (zh) 一种烟气净化烟灰缸
JP3007791U (ja) たばこ喫煙器
KR960004793Y1 (ko) 재떨이
JPH08131150A (ja) 空気清浄器付灰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