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803A - 골프공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공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803A
KR20190142803A KR1020180069935A KR20180069935A KR20190142803A KR 20190142803 A KR20190142803 A KR 20190142803A KR 1020180069935 A KR1020180069935 A KR 1020180069935A KR 20180069935 A KR20180069935 A KR 20180069935A KR 20190142803 A KR20190142803 A KR 20190142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light
unit
arc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7631B1 (ko
Inventor
한재길
강인철
박욱기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인천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인천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인천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180069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631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8Devices for measuring or verifying ball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공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골프공 측정 장치의 일 양태는, 골프공을 파지하는 지그 유닛; 상기 지그 유닛에 파지된 상기 골프공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 및 상기 골프공에 의하여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광 검출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1개의 측정 유닛; 및 상기 광 조사부에 의한 광 조사 및 상기 광 검출부에 의한 광 검출 사이의 시차로부터 연산되는 상기 골프공의 외면과 측정 유닛 사이의 거리F로부터 상기 골프공의 외경으로 판단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골프공 측정 장치{MEASURING APPARATUS FOR GOLF BALL}
본 발명은 골프공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정하고 정확한 골프 게임을 위하여 골프공에 대한 규격이 마련되어 있다. 특히, 골프공의 바깥지름, 즉 외경과 관련해서는, 42.67mm 이상으로 규정(KS G 5704 골프공)되어 있다. 따라서, 골프공의 외경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져야 하고,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5967호, 명칭: 골프공용 변형 측정구)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골프공 측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에서는, 측정구에 형성되는 계측홀(30)의 통과 여부에 따라서 골프공의 변형 여부를 판단하므로, 선행기술문헌의 경우에는 단순히 골프공에 대한 정상/비정상의 판단만 가능하고 구체적인 골프공의 외경에 대한 측정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골프공의 외경은, 작업자가 골프공을 파지한 후 버니어 캘리퍼스와 같은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측정의 정확성이 가변되거나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감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5967호(명칭: 골프공용 변형 측정구)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정확하고 간단하게 골프공의 외경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골프공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골프공 측정 장치의 일 양태는, 골프공을 파지하는 지그 유닛; 상기 지그 유닛에 파지된 상기 골프공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 및 상기 골프공에 의하여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광 검출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1개의 측정 유닛; 및 상기 광 조사부에 의한 광 조사 및 상기 광 검출부에 의한 광 검출 사이의 시차로부터 연산되는 상기 골프공의 외면과 측정 유닛 사이의 거리로부터 상기 골프공의 외경으로 판단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골프공의 외면을 정의하는 다수개의 원호 중 상기 골프공의 중심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는 어느 하나의 원호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광의 조사 및 광의 검출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원호에 대하여 연속적인 광 조사 및 광 검출을 수행하는 상기 측정 유닛에 따라서 상기 원호를 형성하는 연속되는 다수개의 지점에 대한 거리를 시간(X축) 및 거리(Y축)의 연속적인 그래프 상에서 표시되는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고, 그래프 상에서 X축을 따라서 연속되는 데이터 중 인접하는 다른 데이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거나 무한대의 Y값이 반복되는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로부터 상기 골프공의 외경을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원호가 위치되는 가상의 평면 상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이동하면서 광의 조사 및 광의 검출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골프공의 외면을 정의하는 다수개의 원호 중 서로 기설정된 각도로 교차되는 원호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광의 조사 및 검출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골프공 측정 장치에서는, 측정 유닛이 골프공의 외면에 조사되어 반사되는 광에 감지하여 골프공의 외경을 측정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측정 유닛이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골프공의 외경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딤플에 의하여 반사되는 광을 제외한 실제 골프공의 외면에 의하여 반사되는 광만을 고려하여 골프공의 외경을 측정하므로, 보다 정확한 골프공의 외경의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골프공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요부를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골프공 측정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골프공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골프공 측정 장치는, 골프공(B)의 외경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지그 유닛(100), 측정 유닛(200) 및 제어 유닛(30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그 유닛(100)은, 측정 대상인 상기 골프공(B)을 파지한다. 도 1 및 상기 지그 유닛(100)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지그 유닛(100)은 상기 골프공(B)을 파지할 수 있다면 그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다만, 상기 지그 유닛(100)은,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측정 유닛(200)에 의한 광 조사 및 광 검출을 간섭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측정 유닛(200)은, 실질적으로 상기 골프공(B)의 외경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정 유닛(200)이 광 조사부(210) 및 광 검출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광 조사부(210)는, 상기 지그 유닛(100)에 파지된 상기 골프공(B)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고, 상기 광 검출부(220)는 상기 골프공(B)에 의하여 반사된 광을 검출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정 유닛(200)은, 상기 골프공(B)의 외면을 정의하는 다수개의 원호 중 상기 골프공(B)의 중심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는 어느 하나의 원호(C)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광의 조사 및 광의 검출을 수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정 유닛(200)이, 상기 원호(C)가 위치되는 가상의 평면 상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이동하면서 광의 조사 및 광의 검출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측정 유닛(200)은, 상기 원호(C)에 대하여 90°의 각도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 유닛(200)은, 상기 골프공(B)의 외면을 정의하는 다수개의 원호 중 서로 기설정된 각도로 교차되는 원호(C)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광의 조사 및 검출을 수행하는 다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기 측정 유닛(200)이, 제1원호(C1)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광의 조사 및 검출을 수행하는 제1측정 유닛(201) 및 상기 제1원호(C1)에 직교되는 제2원호(C2)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광의 조사 및 검출을 수행하는 제2측정 유닛(20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유닛(300)은, 상기 광 조사부(210)에 의한 광 조사 및 상기 광 검출부(220)에 의한 광 검출 사이의 시차로부터 연산되는 상기 골프공(B)의 외면과 측정 유닛(200) 사이의 거리로부터 상기 골프공(B)의 외경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측정 유닛(200)은, 상기 골프공(B)의 외면을 정의하는 다수개의 원호 중 상기 골프공(B)의 중심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는 어느 하나의 원호(C)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상기 골프공(B)의 외경을 판단할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 유닛(300)이, 상기 골프공(B)의 외면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골프공(B)의 외면에 형성되는 딤플에 의한 측정 오차를 보정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 유닛(300)은, 상기 원호(C)에 대하여 연속적인 광 조사 및 광 검출을 수행하는 상기 측정 유닛(200)에 따라서 상기 원호(C)를 형성하는 연속되는 다수개의 지점에 대한 거리를 시간(X축) 및 거리(Y축)의 연속적인 그래프 상에서 표시되는 데이터 형태로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300)은, 그래프 상에서 X축을 따라서 연속되는 데이터 중 인접하는 다른 데이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거나 무한대의 Y값이 반복되는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로부터 상기 골프공(B)의 외경을 판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골프공(B)에는 형상 저항의 저감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딤플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광 조사부(210)에서 조사된 광이 딤플에 조사되는 경우에는, 딤플의 형상에 따라서 상기 골프공(B), 실질적으로 딤플에서 반사된 광의 검출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거나 딤플에서 반사된 광이 검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광 조사부(210)에서 조사된 광이 딤플에 조사된 경우에는, 상기 골프공(B)과 상기 측정 유닛(200)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값으로 연산되거나 연산되지 못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실제 상기 골프공(B)의 외경보다 작은 값이 외경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런데 딤플은 상기 골프공(B)의 외면에 규칙적인 패턴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 유닛(300)이, 상기 원호(C)를 형성하는 연속되는 다수개의 지점에 대한 거리 중 인접하는 다른 지점에 비하여 긴 값으로 반복되는 거리를 제외한 나머지 거리로부터 상기 골프공(B)의 외경을 판단한다.
즉, 상기 원호(C)를 형성하는 연속되는 다수개의 지점에 대한 거리를 시간(X축) 및 거리(Y축)의 연속적인 그래프 상에서 딤플에 해당하는 지점에서는 인접하는 다른 지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Y값 또는 무한대의 Y값이 나타난다. 또한, 딤플이 패턴 형상으로 반복되므로 딤플에 해당하는 지점, 즉 상대적으로 높은 Y값은 또는 무한대의 Y값이 X축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딤플에 해당하는 지점에서의 거리를 제외한 나머지 거리로부터 상기 골프공(B)의 외경을 판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지그 유닛 200: 측정 유닛
210: 광 조사부 220: 광 검출부
300: 제어 유닛 B: 골프공

Claims (5)

  1. 골프공(B)을 파지하는 지그 유닛(100);
    상기 지그 유닛(100)에 파지된 상기 골프공(B)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210) 및 상기 골프공(B)에 의하여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광 검출부(220)를 포함하는 적어도 1개의 측정 유닛(200); 및
    상기 광 조사부(210)에 의한 광 조사 및 상기 광 검출부(220)에 의한 광 검출 사이의 시차로부터 연산되는 상기 골프공(B)의 외면과 측정 유닛(200) 사이의 거리로부터 상기 골프공(B)의 외경으로 판단하는 제어 유닛(300); 을 포함하는 골프공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200)은, 상기 골프공(B)의 외면을 정의하는 다수개의 원호 중 상기 골프공(B)의 중심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는 어느 하나의 원호(C)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광의 조사 및 광의 검출을 수행하는 골프공 측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300)은,
    상기 원호(C)에 대하여 연속적인 광 조사 및 광 검출을 수행하는 상기 측정 유닛(200)에 따라서 상기 원호(C)를 형성하는 연속되는 다수개의 지점에 대한 거리를 시간(X축) 및 거리(Y축)의 연속적인 그래프 상에서 표시되는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고,
    그래프 상에서 X축을 따라서 연속되는 데이터 중 인접하는 다른 데이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거나 무한대의 Y값이 반복되는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로부터 상기 골프공(B)의 외경을 판단하는 골프공 측정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200)은, 상기 원호(C)가 위치되는 가상의 평면 상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이동하면서 광의 조사 및 광의 검출을 수행하는 골프공 측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200)은, 상기 골프공(B)의 외면을 정의하는 다수개의 원호 중 서로 기설정된 각도로 교차되는 원호(C)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광의 조사 및 검출을 수행하는 다수개를 포함하는 골프공 측정 장치.
KR1020180069935A 2018-06-19 2018-06-19 골프공 측정 장치 KR102067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935A KR102067631B1 (ko) 2018-06-19 2018-06-19 골프공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935A KR102067631B1 (ko) 2018-06-19 2018-06-19 골프공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803A true KR20190142803A (ko) 2019-12-30
KR102067631B1 KR102067631B1 (ko) 2020-01-17

Family

ID=6910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935A KR102067631B1 (ko) 2018-06-19 2018-06-19 골프공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6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313A1 (ko) * 2020-02-14 2021-08-19 주식회사 골프존 골프공에 대한 크랙 판별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7846A (ko) * 1995-12-20 1997-07-26 이대원 회전공작기계의 피가공물 외경측정장치
JPH1130508A (ja) * 1997-07-11 1999-02-02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ボールの表面形状測定方法及び装置
JP3252248B2 (ja) * 1994-12-26 2002-02-04 オークマ株式会社 スペックル利用非接触直径測定装置
KR200455967Y1 (ko) 2008-12-23 2011-10-07 주식회사 아베스포츠 골프공용 변형 측정구
JP2016114453A (ja) * 2014-12-15 2016-06-23 中国電力株式会社 外径計測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2248B2 (ja) * 1994-12-26 2002-02-04 オークマ株式会社 スペックル利用非接触直径測定装置
KR970047846A (ko) * 1995-12-20 1997-07-26 이대원 회전공작기계의 피가공물 외경측정장치
JPH1130508A (ja) * 1997-07-11 1999-02-02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ボールの表面形状測定方法及び装置
KR200455967Y1 (ko) 2008-12-23 2011-10-07 주식회사 아베스포츠 골프공용 변형 측정구
JP2016114453A (ja) * 2014-12-15 2016-06-23 中国電力株式会社 外径計測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313A1 (ko) * 2020-02-14 2021-08-19 주식회사 골프존 골프공에 대한 크랙 판별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631B1 (ko)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2224B2 (en) Validating the error map of CMM using calibrated probe
US9863766B2 (en) Calibration of a contact probe
US20050154548A1 (en) Method for calibration of a 3D measuring device
US7222431B1 (en) Alignment correction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12091983A (zh) 一种精度校验装置、系统及方法
TW201901183A (zh) 精確定位方法、定位系統以及機械手裝置
JP4316643B2 (ja) 形状測定装置,形状測定方法
KR102067631B1 (ko) 골프공 측정 장치
KR102213031B1 (ko) 측정 테이블 상의 마스크 홀더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JP7438056B2 (ja) 校正方法
CN108332642B (zh) 一种直角头精度检测方法
US10744644B2 (en) Calibration jig and calibration method for horizontal articulated robot
JP2019028010A (ja) パイプ測定装置
US11162776B2 (en) Measuring device
US11577398B2 (en) Robot, measurement fixture, and tool-tip-position determining method
CN109557438B (zh) 探针误差检测装置
JP6152323B2 (ja) 加工装置
JP6079664B2 (ja) 被測定物の表面測定装置およびその表面測定方法
JP2010185804A (ja) 形状測定装置、形状測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2111510A1 (ja) 位置検出装置
JP2020027087A (ja) 校正ゲージ及び校正方法
KR101295058B1 (ko) 오차측정장치, 이를 구비한 오차측정시스템 및 오차측정장치를 이용한 오차측정방법
US11525968B2 (en) Calibration validation using geometric features in galvanometric scanning systems
JP7115684B2 (ja) 移動体、位置決め方法、及び位置決めシステム
JP6965795B2 (ja) 距離計校正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校正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