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279A -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 Google Patents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279A
KR20190142279A KR1020190131751A KR20190131751A KR20190142279A KR 20190142279 A KR20190142279 A KR 20190142279A KR 1020190131751 A KR1020190131751 A KR 1020190131751A KR 20190131751 A KR20190131751 A KR 20190131751A KR 20190142279 A KR20190142279 A KR 20190142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dule
expansion module
base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8684B1 (ko
Inventor
원덕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롬
Priority to KR1020190131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684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279A/ko
Priority to PCT/KR2020/014304 priority patent/WO202108027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1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4H3/0417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portable or mob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45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heaters, e.g. boilers, other than space heating radiators
    • F24F2003/161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4Positive or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s, e.g. PTC, N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는 흡기부와 배기부가 양단에 마련되고, 내부에는 상기 흡기부와 배기부를 연결하는 공기이동통로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흡기부에서 배기부 방향으로 공기흐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공기이동통로 상에 배치되는 송풍모듈; 및 상기 공기이동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이동통로 상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기능확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확장모듈은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모듈과 공기중의 입자를 걸러내는 필터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AIR BLOWER HAVING DETACHABLE FUNCTION EXTENSION MODULE}
본 발명은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절이나 사용환경에 따라 송풍 모드, 온풍 모드, 공기청정 모드, 온풍-공기청정모드를 자유롭게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전기를 이용한 모터의 작동을 통하여 소정의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바람을 선택된 방향으로 보내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선풍기의 바람에 따라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고 사람이나 실내의 열을 빼앗아 시원하게 만드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선풍기의 경우 실내의 공기를 순환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환기나 공기정화의 기능은 수행하지 않으며, 이는 에어컨과 같은 공기조화장치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렇게 실내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는 선풍기의 경우 단순 공기의 유동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실내 오염물질도 함께 순환시키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유동의 발생으로 인하여 실내에 존재하는 먼지나 이물들을 비산시켜 추가적으로 공기질의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최근 대기오염물질의 증가에 따라 대기 환경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다. 특히 봄철 중국에서 편서풍을 타고 유입되는 황사와 미세먼지는 기관지염과 천식 등의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고,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봄철 계절가전으로서 공기청정기의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생활환경의 개선을 위해 겨울철에는 따뜻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온풍기를 사용하고 있다.
즉,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공기의 정화를 위한 공기청정기는 봄철과 겨울철에 주로 사용하고, 선풍기는 여름철에 사용하고, 온풍기는 겨울철에 사용하는 등, 공기청정기와 선풍기 및 온풍기를 모두 구비하고 각각 계절 가전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장비들의 배치가 번거롭고, 사용기간에 비해 보관기간이 길어 장비의 이용률이 낮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장비들이 고가여서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공기청정기, 선풍기, 온풍기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16-0049892호(2016.05.1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계절이나 사용환경에 따라 송풍 모드, 온풍 모드, 공기청정 모드, 온풍-공기청정모드를 자유롭게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하우징을 구성하는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개폐가 용이하고,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고정이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기능확장모듈의 조립시 하우징에 대한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기능확장모듈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한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송풍모듈 또는 기능확장모듈의 조립과 동시에 접속단자와 전원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할 수 있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필터모듈을 선택하여 조립함으로써 공기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흡기부와 배기부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상기 흡기부와 배기부를 연결하는 공기이동통로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흡기부에서 배기부 방향으로 공기흐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공기이동통로 상에 배치되는 송풍모듈; 및 상기 공기이동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이동통로 상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기능확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확장모듈은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모듈과 공기중의 입자를 걸러내는 필터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모듈은 복수 마련되고, 복수의 필터모듈은 서로 다른 필터 특성을 가지며, 사용환경에 따라 복수의 필터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필터모듈이 하우징의 공기이동통로 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풍모듈은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능확장모듈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마련되고, 상기 기능확장모듈을 상기 하우징의 공기이동통로 내부로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과 트레이의 조립면에는 상기 트레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송가이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가이드는 상기 트레이의 외측면에서 트레이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안내홈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안내홈부에 삽입되는 안내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홈부는 상기 트레이의 이동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레이의 내측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과 동일한 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레이의 안착홈은 복수 마련되고, 복수의 안착홈은 공기 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열모듈은 복수의 발열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발열부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열부는 PTC히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제1몸체와 제2몸체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는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조립부위에는 서로 맞물려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조립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결합돌기를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작동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에는 제1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기능확장모듈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제2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한 기능확장모듈의 조립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홈과 돌기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기능확장모듈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제1몸체와 제2몸체의 내측면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붙을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능확장모듈의 바깥쪽 테두리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에 밀착하는 실링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일측이 기능확장모듈의 외측면에 지지되고 타측이 자력에 의해 하우징의 내벽면에 밀착할 수 있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에는 상기 발열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전원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발열모듈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2전원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제2접속단자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단자와 접속단자는 상기 하우징에 대한 발열모듈의 조립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접속 또는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에는 상기 송풍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전원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송풍모듈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전원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제1접속단자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접속단자 및 제2전원단자의 접속구조는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제1전원단자의 접속구조와 상이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절이나 사용환경에 따라 공기의 상태를 쾌적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기능확장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송풍 모드, 온풍 모드, 공기청정 모드, 온풍-공기청정모드를 자유롭게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하우징을 구성하는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개폐가 용이하고,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고정이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기능확장모듈의 조립시 하우징에 대한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기능확장모듈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한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송풍모듈 또는 기능확장모듈의 조립과 동시에 접속단자와 전원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할 수 있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필터모듈을 선택하여 조립함으로써 공기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부분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1의 "A"부분 작용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의 송풍모듈을 하우징에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도,
도 8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9는 도 5의 C-C'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용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의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D-D'선 단면도,
도 15는 도 1의 E-E'선 단면도,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발열모듈 및 필터모듈의 분리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지지부의 발췌 사시도,
도 19 및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지지부의 분해사시도,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지지부의 평면 구성도,
도 22는 도 21의 F-F'선 단면도,
도 23은 도 21의 G-G'선 단면도,
도 24는 도 21의 H- H '선 단면도,
도 25는 도 18에 도시된 지지부의 좌우 회동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6은 도 18에 도시된 지지부의 상하 회동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A"부분 작용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의 송풍모듈을 하우징에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도이고, 도 8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5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용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는 하우징(110), 송풍모듈(130) 및 기능확장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양단부에 흡기부와 배기부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상기 흡기부와 배기부를 연결하는 공기이동통로가 형성된 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상기 공기이동통로의 하부를 감싸는 제1몸체(110a)와, 상기 공기이동통로의 상부를 감싸는 제2몸체(110b)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110a)와 제2몸체(110b)의 조립부위에는 서로 맞물려 제1몸체(110a)와 제2몸체(110b)의 조립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2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상기 제1몸체(110a)는 상측이 개방된 'ㄷ'자 형 단면의 길이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몸체(110b)는 하측이 개방된 'ㄷ'자 형 단면의 길이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이 대략 사각 기둥의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제2몸체(110b)의 측벽 하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돌기(121)와, 상기 결합돌기(1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몸체(110a)의 측벽 상단에 마련되는 삽입홈(122)과, 상기 삽입홈(122)으로 삽입된 결합돌기(121)를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고정해제 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122) 내에 배치되는 작동편(1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돌기(121)는 측벽 하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121a)과, 상기 기둥(121a)의 선단에 배치되는 헤드부(121b)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121a)의 단면은 헤드부(121b)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편(124)은 상기 삽입홈(12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축홈(123) 내에서 축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축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삽입홈(122)으로 삽입된 결합돌기(121)의 기둥(121a)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헤드부(121b)를 파지할 수 있는 후크(124a)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편(124)은 축회전하면서 결합돌기(121)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선단에 후크(124a)가 마련된 작동편(124)의 후단부가 상기 하우징(11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작동편(124)의 회동위치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121)를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하우징(110)을 회동시키기 위한 위치조절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조절부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하, 좌우 각도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모듈(130)은 상기 흡기부에서 배기부 방향으로 공기흐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공기이동통로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10) 내에 지지되는 제1프레임(131)과, 상기 제1프레임(131)에 지지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1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임(131)은 하우징(110)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나, 송풍모듈(130)의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하우징(11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프레임(131)은 상기 하우징(110)의 제1몸체(110a)와 제2몸체(110b)가 결합된 상태에서, 바깥쪽 테두리 부분이 상기 하우징(110)의 공기이동통로와 접하는 내벽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131)의 바깥쪽 테두리에는 상기 제1프레임(131)과 하우징(110) 사이의 결합면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10)의 내벽면에 밀착하는 실링부재(131a)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131)과 하우징(110)의 결합면에는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돌기와 홈 형태의 제1결합부(114)와 제2결합부(131b)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결합부(114)와 제2결합부(131b)는 송풍모듈(13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110)에 대한 송풍모듈(130)의 조립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송풍모듈(130)이 제1결합부(114)와 제2결합부(131b)를 통해 하우징(110)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1몸체(110a)와 제2몸체(110b)가 송풍모듈(13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부재(120)를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결합부(114)와 제2결합부(131b)는 제1프레임(131)을 하우징(11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쌍의 영구자석, 또는 영구자석과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1프레임(131)의 바깥쪽 테두리에는 영구자석을 배치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벽면에 자성체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131)이 하우징(1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구자석이 고무자석과 같은 탄성력을 갖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영구자석의 일측이 제1프레임(131)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자력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벽면에 밀착하면서 제1프레임(131)과 하우징(110) 사이의 결합면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실링부재(131a)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제1몸체(110a) 내벽면에는 상기 송풍모듈(130)의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전원단자(111)가 마련되고, 상기 제1프레임(131)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전원단자(1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1접속단자(133)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1전원단자(111)와 제1접속단자(133)는 상기 하우징(110)에 대한 송풍모듈(130)의 조립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접속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몸체(110a)의 내벽면에는 상기 송풍모듈(130)의 조립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안착홈(113)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기능확장모듈은 상기 공기이동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이동통로 상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모듈(140)과 공기 중의 입자나 불순물을 걸러내는 필터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10)의 공기이동통로 상에 발열모듈(140)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온풍 모드로 작동하고, 필터모듈(150)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공기청정 모드로 작동하고, 상기 발열모듈(140)과 필터모듈(150)을 모두 배치한 상태에서는 온풍-공기청정 모드로 작동하며, 상기 발열모듈(140)과 필터모듈(150)을 모두 제외한 상태에서는 송풍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발열모듈(140)은 상기 송풍모듈(130)에 의해 배기부 측으로 이송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배기부 측의 공기이동통로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10) 내에 지지되는 제2프레임(141)과, 상기 제2프레임(141)에 지지되고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는 발열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2프레임(141)은 발열모듈(140)의 선택적인 배치를 위해 상기 하우징(110) 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벽면에는 상기 발열부(14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전원단자(112)가 마련되고, 상기 제2프레임(141)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2전원단자(1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2접속단자(143)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2전원단자(112)와 제2접속단자(143)는 상기 하우징(110)에 대한 발열모듈(140)의 조립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접속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몸체(110a)의 내벽면에는 상기 발열모듈(140)의 조립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안착홈(113)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전원단자(111)와 제2전원단자(112)로 인가되는 전원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모듈(130)을 위한 제1전원단자(111)에는 12V의 전원이 인가되고, 발열모듈(140)을 위한 제2전원단자(112)에는 24V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접속단자(133)가 제2전원단자(112)에 접속되거나 상기 제2접속단자(143)가 제1전원단자(111)에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접속단자(133) 및 제1전원단자(111)의 접속구조는 상기 제2접속단자(143) 및 제2전원단자(112)의 접속구조와 상이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프레임(141)의 바깥 테두리에는 실링부재(141a)와, 제2결합부(141b)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벽면에는 상기 가열모듈(140)의 조립위치에서 상기 제2결합부(141b)가 삽입되는 제1결합부(114)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제1프레임(131)의 실링부재(131a)와, 송풍모듈(130)을 하우징(110)에 고정하기 위한 제1결합부(114) 및 제2결합부(131b)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발열부(142)는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것으로서, 화재 위험이 적고 수명이 길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히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열부(142)의 외측면에는 발열부(142)의 방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방열 핀을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열부(142)는 복수 마련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발열부(142)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함으로써 공기의 가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모듈(150)은 상기 흡기부를 통해 공기이동통로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입자나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해 상기 흡기부 측의 공기이동통로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10) 내에 지지되는 제3프레임(151)과, 공기 중의 입자나 불순물을 걸러내도록 상기 제3프레임(151)에 지지되는 필터부(152)를 포함한다.
상기 제3프레임(151)은 필터모듈(150)의 유지보수 및 선택적인 배치를 위해 상기 하우징(11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몸체(110a)의 내벽면에는 상기 필터모듈(150)의 조립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안착홈(113)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3프레임(151)의 외주면에는 실링부재(151a)와, 제2결합부(151b)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벽면에는 상기 필터모듈(150)의 조립위치에서 상기 제2결합부(151b)가 삽입되는 제1결합부(114)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제1프레임(131)의 실링부재(131a)와, 송풍모듈(130)을 하우징(110)에 고정하기 위한 제1결합부(114) 및 제2결합부(131b)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필터모듈(150)은 공기 정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 마련되어 공기이동통로 상에 중첩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필터모듈(150)에 마련되는 필터부(152)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가 1차로 통과하는 제1필터모듈(150a)의 필터부(152)는 메쉬필터로 구성되고, 공기가 2차로 통과하는 제2필터모듈(150b)의 필터부(152)는 헤파필터로 구성되고, 공기가 3차로 통과하는 제3필터모듈(150c)의 필터부(152)는 활성탄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환경에 따라 제1필터모듈(150a), 제2필터모듈(150b) 및 제3필터모듈(15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하우징(110) 내에 배치함으로써 공기청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송풍모듈(130) 및 발열모듈(14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회로부는 상기 하우징(110) 내에서 송풍모듈(130)의 구동모터가 배치되는 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면에는 송풍모듈(130) 및 발열모듈(140)의 작동상태와 필터모듈(150)의 장착 여부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송풍모듈(130) 및 발열모듈(14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 내에는 상기 필터모듈(150)의 장착 여부, 외부 온도, 습도 및 먼지농도 등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상하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몸체(110a)와 제2몸체(110b)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110a)와 제2몸체(110b)의 결합면은 고정부재(120)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제1몸체(110a)와 제2몸체(110b)의 조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120)는, 상기 제1몸체(110a)와 제2몸체(110b)를 결합하여 제2몸체(110b)의 측벽 하단에 마련된 결합돌기(121)가 제1몸체(110a)의 측벽 상단에 형성된 삽입홈(1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122)의 하단의 축홈(123) 내에 삽입된 작동편(124)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121)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편(124)은 제1몸체(110a)의 측벽을 관통하는 축홈(123) 내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편(124)이 일측으로 90도 회전하여 작동편(124)의 후크(124a)가 삽입홈(122)의 일측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2몸체(110b)의 측벽 하단에 형성된 결합돌기(121)가 삽입홈(122)으로 삽입 또는 분리 가능하게 된다.
이어, 도 6의 (b)와 같이 제1몸체(110a)와 제2몸체(110b)가 조립되면, 제2몸체(110b)의 결합돌기(121)가 제1몸체(110a)의 삽입홈(122)으로 삽입되는데, 이때 도 6의 (c)와 같이 작동편(124)이 타측으로 90도 회전하여 작동편(124)의 후크(124a)가 결합돌기(121)의 기둥(121a)과 맞물리게 되면, 결합돌기(121)의 헤드부(121b)가 작동편(124)에 구속되므로, 제1몸체(110a)와 제2몸체(110b)의 결합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부재(120)를 통해 하우징(110)의 제1몸체(110a)와 제2몸체(110b)의 조립상태를 고정 또는 해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하우징(110)을 개방하여 하우징(110) 내부에 기능확장모듈을 조립하거나 분리하여 송풍 모드, 온풍 모드, 공기청정 모드, 온풍-공기청정 모드를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흡기부와 배기부를 연결하는 공기이동통로 상에는 송풍모듈(130)이 배치되는데, 이러한 송풍모듈(130)의 구동모터가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하면서 송풍팬(132)을 회전시킴에 따라 하우징(110)의 외부 공기가 흡기부로 유입되고, 공기이동통로를 거쳐 배기부를 향해 토출된다.
이때, 상기 공기이동통로 중 흡기부와 송풍모듈(130)의 사이에 필터모듈(150)을 배치하여 흡기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입자나 불순물을 걸러냄으로써 깨끗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배기부와 송풍모듈(130)의 사이에 발열모듈(140)을 배치하여 송풍모듈(130)을 통과한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따뜻한 온풍이 배출되도록 하는 등, 상기 하우징(110)의 공기이동통로에 기능확장모듈을 선택적으로 배치하여 배기부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상태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모듈(130)과 발열모듈(140) 및 필터모듈(150)은 각각 하우징(110)의 내벽면에 형성된 안착홈(113)에 의해 조립 위치가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발열모듈(140)과 필터모듈(150)은 상기 하우징(110) 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모듈(130)과 발열모듈(140) 및 필터모듈(150)의 바깥쪽 테두리에는 실링부재(131a)가 마련됨에 따라 프레임과 하우징(110)의 내벽면 사이의 조립면 사이로 공기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모듈(130)과 발열모듈(140)은 하우징(110)에 조립하는 것과 동시에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10a)의 양 측벽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면 중, 송풍모듈(130)이 안착되는 위치에는 제1전원단자(111)가 마련되고, 송풍모듈(130)의 하단에는 상기 제1전원단자(111)에 접속할 수 있는 제1접속단자(133)가 마련된다. 따라서, 제1몸체(110a)에 송풍모듈(130)을 안착시키면, 안착과 동시에 상기 제1접속단자(133)와 제1전원단자(11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송풍모듈(130)의 구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몸체(110a)의 바닥면 중 상기 발열모듈(140)이 안착되는 위치에는 제2전원단자(112)가 마련되고, 상기 발열모듈(140)의 하단에는 상기 제1전원단자(111)에 접속할 수 있는 제2접속단자(143)가 마련된다. 따라서, 제1몸체(110a)에 발열모듈(140)을 안착시키는 것과 동시에 제2접속단자(143)와 제2전원단자(11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발열모듈(140)의 발열부(142)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몸체(110a)에는 필터모듈(150)의 장착 여부, 외부 온도, 습도 및 먼지농도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마련하여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마련된 표시부에 필터모듈(150)의 장착여부, 외부 온도, 습도 및 먼지농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필터모듈(150)의 장착여부와 함께 송풍모듈(130) 및 발열모듈(140)의 작동 여부 및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에 따르면, 도 10의 (a)와 같이 하우징(110) 내에 송풍모듈(130), 발열모듈(140) 및 필터모듈(150)을 모두 장착하면 오염물질이 제거된 청정 공기가 따뜻하게 가열된 상태로 토출되는 온풍-공기청정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b)와 같이 발열모듈(140) 및 필터모듈(150)을 제거하고 송풍모듈(130)만을 채택하여 일반적인 송풍 모드로 사용하거나, 도 10의 (c)와 같이 발열모듈(140)을 제거하고 송풍모듈(130) 및 필터모듈(150)을 채택하여 공기청정 모드로 사용하거나, 도 10의 (d)와 같이 필터모듈(150)을 제거하고 발열모듈(140) 및 송풍모듈(130)을 채택하여 온풍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송풍 모드나 온풍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 메쉬필터로 구성된 제1필터모듈(150a)을 하우징(110)의 흡기부에 조립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흡기부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어 송풍모듈(130)의 송풍팬(132)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송풍 모드나 공기청정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하우징(110)의 배기부 측에 발열모듈(140)을 조립하되 제2전원단자(112)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발열부(142)가 가열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하우징(110)의 배기부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어 송풍팬(132)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D-D'선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1의 E-E'선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발열모듈 및 필터모듈의 분리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는 하우징(110'), 트레이(160), 송풍모듈(130) 및 기능확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확장모듈을 구성하는 발열모듈(140')은 하우징(110')의 배기부 측 전면에 조립되고, 상기 기능확장모듈을 구성하는 필터모듈(150)은 하우징(110')의 흡기부 측 후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레이(160)에 조립되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110')은 양단부에 흡기부와 배기부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상기 흡기부와 배기부를 연결하는 공기이동통로가 형성된 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송풍모듈(130)은 상기 흡기부에서 배기부 방향으로 공기흐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공기이동통로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10') 내에 지지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모듈(130)은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구동모터를 지지한 상태로 하우징(110') 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프레임(1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프레임(131)과 하우징(110')의 결합면에는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1전원단자(111) 및 제1접속단자(13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능확장모듈은 상기 공기이동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이동통로 상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모듈(140')과 공기 중의 입자를 걸러내는 필터모듈(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모듈(140')은 상기 송풍모듈(130)에 의해 이송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배기부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10') 내에 지지되는 제2프레임(141)과, 상기 제2프레임(141)에 지지되고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는 발열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2프레임(141)과 하우징(110')의 결합면에는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돌기와 홈 형태의 제1결합부(114)와 제2결합부(141b)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결합부(114)와 제2결합부(141b)는 상기 하우징(110')에 대한 발열모듈(140')의 조립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결합부(114)와 제2결합부(141b)는 영구자석과 자성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2프레임(141)에는 영구자석을 배치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에 자성체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2프레임(141)이 하우징(1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모듈(140')이 조립되는 하우징(110')의 배기부 측 전면에는 상기 발열모듈(140')의 발열부(14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전원단자(111)가 마련되고, 상기 제2프레임(141)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2전원단자(1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2접속단자(143)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2전원단자(112)와 제2접속단자(143)는 상기 하우징(110')에 대한 발열모듈(140')의 조립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접속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배기부 측 전면은 테두리가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오목한 형태가 되고, 상기 제2프레임(141)의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과 마주하는 면은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 경사면에 밀착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볼록한 형태가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에 대한 발열모듈(140')의 조립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142)는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것으로서, 화재 위험이 적고 수명이 길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히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열부(142)의 외측면에는 발열부(142)의 방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방열 핀을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열부(142)는 복수 마련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발열부(142)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함으로써 공기의 가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모듈(150)은 상기 흡기부를 통해 공기이동통로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입자나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해 상기 흡기부 측의 공기이동통로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필터모듈(150)을 공기이동통로로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는 트레이(160)가 이동 가능한 상태로 조립된다. 이러한 트레이(160)는 양 측벽과 상기 양측벽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의 흡기부를 통해 공기이동통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필터모듈(150)을 공기이동통로 내부로 반입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160)의 내측면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벽면 일부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내벽면과 동일한 면을 형성하며, 상기 트레이(160)의 내측면에는 상기 필터모듈(150)의 조립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안착홈(161)이 다수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레이(160)가 슬라이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트레이(160)가 하우징(110)의 일측에 마련된 피벗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필터모듈(150)을 하우징(110)의 내부로 반입/반출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과 트레이(160)의 조립면에는 상기 트레이(16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이송가이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송가이드는 트레이(160)의 외측면에서 트레이(16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안내홈부(162)와, 하우징(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안내홈부(162)에 삽입되는 안내돌기(1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의 제2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모듈(130)은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이동통로 상에 배치되어 하우징(110')의 흡기부에서 배기부 방향으로 공기흐름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하우징(110')의 배기부를 통해 공기가 토출된다.
기능확장모듈의 발열모듈(140')은 하우징(110')의 배기부 측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기능확장모듈의 필터모듈(150)은 하우징(110')의 흡기부 측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 트레이(16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며, 트레이(160)의 이동 위치에 따라 하우징(110')의 내부로 반입/반출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의 배기부 측 전면은 오목한 형상을 이루고, 상기 발열모듈(140')의 제2프레임(141)은 하우징(110')과 마주하는 면이 볼록한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하우징(110')에 대한 발열모듈(140')의 조립 위치가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열모듈(140')을 하우징(110')의 전면에 밀착시키면, 발열모듈(140')에 마련된 돌기 형태의 제2결합부(141b)가 하우징(110')에 마련된 홈 형태의 제1결합부(114)와 맞물려 하우징(110')에 대한 발열모듈(140')의 조립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동시에, 발열모듈(140')에 마련된 제2접속단자(143)가 하우징(110')의 제1전원단자(1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에 따라 발열부(142)의 발열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트레이(160)는 필터모듈(150)을 안착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110')의 흡기부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트레이(160)에 안착된 필터모듈(150)은 공기이동통로 상에 배치됨에 따라 흡기부를 통과하여 배기부를 향해 이동하는 공기 중의 입자 및 불순물을 걸러낸다.
상기 트레이(160)는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트레이(160)의 내측면이 하우징(110')의 내벽면 일부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내벽면과 동일한 면을 형성하며, 상기 필터모듈(150)의 바깥쪽 테두리에 마련된 실링부재(131a)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벽면에 밀착하므로 조립면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모듈(150)은 필터부(152)의 종류에 따라 메쉬필터로 구성된 제1필터모듈(150a), 헤파필터로 구성된 제2필터모듈(150b) 및 활성탄필터로 구성된 제3필터모듈(150c)로 구분될 수 있으며, 사용환경에 따라 트레이(160)의 내측면에 마련된 안착홈(161)에 선택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즉,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모듈(140')은, 하우징(110')의 배기부 측 전면에 조립된 발열모듈(140')을 하우징(110')의 전면으로부터 잡아당기면, 하우징(110')의 제1결합부(114)에 삽입된 발열모듈(140')의 제2결합부(141b)가 제1결합부(114)로부터 이탈함에 따라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필터모듈(150)은, 하우징(110')의 흡기부 측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 트레이(160)를 인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트레이(160)의 인출과 함께 하우징(110')의 공기이동통로 외부로 이동하게 된다.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 필터모듈(150)은 트레이(160)의 안착홈(161)으로부터 쉽게 꺼낼 수 있으므로, 필터모듈(150)을 간편하게 교체, 추가 또는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160)의 양측면에 형성된 안내홈부(162)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안내돌기(115)를 따라 슬라이딩하므로 트레이(160)의 삽입 또는 인출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홈부(162)는 상기 트레이(160)의 이동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트레이(160)가 인출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안내돌기(115)가 안내홈부(162)의 말단에 걸리면서 상기트레이(160)의 인출 위치가 제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트레이(160)가 하우징(110')으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는 기능확장모듈을 구성하는 발열모듈(140')과 필터모듈(150)을 하우징(110')에 선택적으로 조립함으로써, 온풍-공기청정 모드, 송풍 모드, 온풍 모드 및 공기청정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지지부의 발췌 사시도, 도 19 및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지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는 한편, 하우징(1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200)가 추가로 구비되는 점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며, 지지부(2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0)는 제1베이스(210), 제2베이스(220), 지지대(230), 구동부(240), 연결부재(250) 및 크래들(26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상기 제2베이스(220)와의 연결을 위한 돌출부(116)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116)는 상하가 개구된 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116)의 외주면은 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면의 중심점은 상기 하우징(110")의 상하 회동 중심축과 좌우 회동 중심축의 교차점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16)의 좌우 양측 외주면에는 삽입홈부(118)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16)의 좌우 양측에는 연결부재(25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삽입공(117)이 형성된다.
상기 제1베이스(21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테두리에는 상기 제2베이스(220)의 좌우 회동을 안내하기 위한 링형의 가이드 림(211)이 마련되며, 상면에는 고정축(212)이 마련된다. 이러한 가이드 림(211)은 상기 제1베이스(210)의 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이격된다.
한편, 상기 제1베이스(210)의 저면에는 바닥구조물 또는 크래들(260)의 상면(이하, '바닥구조물'이라 함)에 접촉할 수 있는 복수의 패드부(214)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패드부(214)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흡수하는 동시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2베이스(220)는 상기 제1베이스(210) 상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베이스(210)를 감싸는 상하가 개구된 통형의 측벽부(221)와, 측벽부(221)의 하단부 내주면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222)와, 상기 가이드 림(211)이 회동 가능한 상태로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222)의 상면에 형성되는 안착부(223)와, 상기 지지대(230)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상기 플랜지(222) 상에 형성되는 슬리브(224)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베이스(210)는 테두리의 가이드 림(211)이 상기 제2베이스(220)의 안착부(223)에 안착 지지된 상태에서, 저면부가 상기 제2베이스(220)의 하부 중앙에 마련된 개구를 통해 하향 돌출되어 바닥구조물에 지지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베이스(220)의 저면은 바닥구조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플랜지(222)의 안착부(223)는 상기 가이드 림(211)의 저면에 접촉하는 상기 플랜지(222)의 상면 내주면부 테두리에 마련 될 수 있으며, 상기 슬리브(224)의 내경은 상기 지지대(230)의 조립위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230)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221)의 내주면은 상기 돌출부(116)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측벽부(221)의 상면은 하우징(110")의 상하 회동시 하우징(110")과 간섭되지 않도록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221)의 좌우 양측 내주면에는 상기 돌출부(116)의 삽입홈부(118)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돌기부(226)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221)의 상단 좌우 양측에는 연결부재(25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삽입공(22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부(118)는, 상기 하우징(110")이 상측 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에는 삽입홈부(118)의 일측이 상기 삽입돌기부(226)의 일측에 밀착하고, 하우징(110")이 하측 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에는 상기 삽입홈부(118)의 타측이 삽입돌기부(226)의 타측에 밀착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의 상하 회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30)는 상기 제2베이스(220)의 플랜지(222) 상측에 조립되는 것으로서, 저면부 내주면 테두리에는 상기 가이드 림(211)의 회동을 안내하기 위한 링형의 회동안내홈부(231)가 함몰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안내홈부(231)의 내경은 상기 가이드 림(211)의 외경에 대응하고, 상기 회동안내홈부(231)의 함몰 깊이는 상기 가이드 림(211)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즉, 상기 회동안내홈부(231)는, 상기 지지대(230)의 하단부가 상기 제2베이스(220)의 플랜지(222)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223) 상에 지지된 가이드 림(211)이 회동안내홈부(23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림(211)의 좌우 회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 림(211)의 상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230)의 상면에는 상기 구동모터(241)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232)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홈(232)의 바닥면에는 구동모터(241)의 구동축(241a)이 관통 삽입되는 관통홀(233)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230)의 상면 좌우 양측에는, 상기 지지대(230)가 제2베이스(220)에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삽입공(117)의 개구를 마감할 수 있는 이탈방지부(234)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삽입공(117)으로 삽입된 연결부재(250)가 삽입위치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구동부(240)는 상기 제2베이스(220)를 좌우로 왕복 회동시키는 것으로서, 구동모터(241) 및 상기 구동모터(24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대(230)를 좌우로 왕복 회동시키는 동력전달부(2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241)는 상기 지지대(230)의 고정홈(232)에 고정 설치되며, 구동모터(241)의 구동축(241a)은 관통홀(233)을 통해 지지대(230)의 하부영역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구동모터(241)는 전원인가에 의해 구동축(241a)이 일방향으로 축회전하는 일반적인 모터가 적용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구동토크를 증대시키기 위한 감속기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242)는 상기 지지대(230)와 제1베이스(210) 사이영역에서 일단부가 상기 구동모터(241)의 구동축(241a)에 고정되어 고정축(212)과 함께 회전하는 제1링크(242a) 및 일단부가 상기 제1베이스(210)의 고정축(21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링크(242a)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2링크(242b)를 포함하며, 상기 제2링크(242b)의 길이는 상기 제1링크(242a)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된다.
상기 연결부재(250)는 상기 하우징(110")을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2베이스(220)의 상단부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상하 회동 중심축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돌출부(116)의 제1삽입공(117)으로 삽입되는 제1삽입축부(251)와 상기 제2베이스(220)의 제2삽입공(225)으로 삽입되는 제2삽입축부(25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삽입축부(252)의 직경은 제1삽입축부(25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된다. 한편, 상기 제1삽입축부(251)와 제2삽입축부(252)의 외주면에는 회전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부싱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260)은 상기 하우징(110")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면에는 전원공급부(261)가 마련되고, 상기 전원공급부(261)에는 외부전원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베이스(210)는 상기 크래들(260) 상에 안착 지지될 수 있으며, 제1베이스(210)의 저면에는 상기 크래들(260)의 전원공급부(261)에 접속할 수 있는 전원접속부(213)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230) 상에는 송풍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식 배터리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송풍 장치를 크래들(260)상에 안착시킨 상태에서는 크래들(260)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송풍 장치를 구동하거나 충전식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송풍 장치를 크래들(26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는 충전식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송풍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261)는 상기 크래들(260)의 상면 중앙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접속부(213)는 상기 전원공급부(26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베이스(210)의 저면 중앙에서 함몰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지지부의 평면 구성도, 도 22는 도 21의 F-F'선 단면도, 도 23은 도 21의 G-G'선 단면도, 도 24는 도 21의 H- H '선 단면도, 도 25는 도 18에 도시된 지지부의 좌우 회동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6은 도 18에 도시된 지지부의 상하 회동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하단에 마련된 돌출부(116)가 제2베이스(220)의 상측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조립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2베이스(220)의 측면부 내주면 좌우 양측에 마련된 삽입돌기부(226)는 상기 돌출부(116)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삽입홈부(118)에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116)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제1삽입공(117)은 상기 제2베이스(220)의 측면부 좌우 양측에 마련된 제2삽입공(225)과 동일축선 상에 배치된다.
연결부재(250)는 상기와 같이 하우징(110")의 돌출부(116)와 제2베이스(220)가 조립된 상태에서, 동일축선상에 배치된 상기 제1삽입공(117) 및 제2삽입공(225)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250)의 선단에 마련된 제2삽입축부(252)는 제2베이스(220)의 제2삽입공(225)에 삽입되고, 연결부재(250)의 후단에 마련된 제1삽입축부(251)는 돌출부(116)의 제1삽입공(117)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250)가 하우징(110")의 상하 회동 중심축을 이루게 된다.
제1베이스(210)는 상기 제2베이스(220)의 플랜지(222)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베이스(210)의 외주면에 마련된 가이드 림(211)의 저면 테두리가 상기 플랜지(222)의 상면에 마련된 안착부(223)에 좌우로 회동할 수 있는 상태로 지지된다.
지지대(230)는 상기 제1베이스(210)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하단부 외주면이 상기 플랜지(222)의 상면에 형성된 슬리브(224)에 내에 삽입되어 상기 제2베이스(220)에 대한 조립위치가 안내되고, 하단부가 상기 플랜지(222)의 상면에 밀착 지지된 상태로 스크류 등에 의해 상기 제2베이스(22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230)의 상면에 마련된 이탈방지부(234)가 제1삽입공(117)의 개구를 마감함에 따라, 상기 제1삽입공(117)으로 삽입된 연결부재(250)가 삽입위치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2베이스(220)는, 상기 제1베이스(210)의 가이드 림(211)이 상기 상기 지지대(230)의 저면부 내주면에 마련된 회동안내홈부(231) 내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베이스(210)에 대한 회동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베이스(210)는 저면에 마련된 복수의 패드가 바닥구조물에 지지되고, 상기 제2베이스(220)는 상기 지지대(2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저면이 바닥구조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제1베이스(210)에 대하여 제2베이스(220)가 좌우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베이스(220)에 인가되는 하중은 지지대(230)에 마련된 링형의 회동안내홈부(231)를 통해 상기 가이드 림(211)의 상측면에 지지되므로, 균등한 하중 분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베이스(210)의 가이드 림(211)은 제2베이스(220)의 안착부(223)와 지지대(230)의 회동안내홈부(23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바닥구조물에 안착된 제1베이스(210)를 기준으로 제2베이스(220)가 좌우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베이스(220)의 상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베이스(210)와 제2베이스(220)의 조립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의 내주면과 상기 돌출부(116)의 외주면은 동심을 이루는 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면의 중심점은 상기 하우징(110")의 상하 회동 중심축과 좌우 회동 중심축의 교차점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의 상하, 좌우 회동시 상기 돌출부(116)의 외주면과 상기 측면부의 내주면이 서로 근접 배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110")의 상하, 좌우 이동이 안내되는 동시에, 상기 제2베이스(220)와 돌출부(116)의 결합면을 통해 제2베이스(220)의 내부공간으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부(240)의 구동모터(241)는 지지대(230)의 상면의 고정홈(232)에 고정 설치되고, 동력전달부(242)의 제1링크(242a)는 상기 지지대(230)의 관통홀(233)을 통해 지지대(230)의 저면으로 노출된 구동모터(241)의 구동축(241a)에 고정되고, 동력전달부(242)의 제2링크(242b)는 일단부가 상기 제1베이스(210)의 상면에 마련된 고정축(21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링크(242a)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이때, 제1베이스(210)의 고정축(212)은 상기 제1베이스(210)의 저면이 바닥구조물에 지지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구동모터(241)의 구동력이 동력전달부(242)를 통해 제1베이스(210)의 고정축(212)으로 전달되는 경우, 지지대(230)와 함께 제2베이스(220)가 제1베이스(210)에 대하여 회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모터(241)의 구동축(241a)이 일방향으로 360도 회전함에 따라 제1링크(242a)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도 25의 (a), (b)와 같이 제1링크(242a)의 타단부가 고정축(212)의 중심과 구동축(241a)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라인(L)을 기준으로 일측 영역에서 회전하는 과정에서는 제1링크(242a)와 고정축(212)을 연결하는 제2링크(242b)에 의해 구동축(241a)이 고정축(2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고정모터가 제1베이스(210)에 대하여 일측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도 25의 (c), (d)와 같이 제1링크(242a)의 타단부가 상기 가상의 라인(L)의 타측 영역에서 회전하는 과정에서는 제1링크(242a)와 고정축(212)을 연결하는 제2링크(242b)에 의해 구동축(241a)이 고정축(21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고정모터가 제1베이스(210)에 대하여 타측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241)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하우징(110")을 좌우로 왕복 회동시킬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돌출부(116)는 연결부재(250)에 의해 제2베이스(22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베이스(220)의 측면부 양측 내주면에 마련된 삽입돌기부(226)는 상기 돌출부(116)의 양측 외주면에 마련된 삽입홈부(118)에 삽입된 상태가 되며, 상기 삽입홈부(118)는 하우징(110")의 상하 회동 범위 내에서 상기 삽입돌기부(226)와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특히, 도 24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이 하측 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에는 삽입홈부(118)의 일측이 상기 삽입돌기부(226)의 일측에 밀착하고, 도 26과 같이 하우징(110")이 상측 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에는 상기 삽입홈부(118)의 타측이 삽입돌기부(226)의 타측에 밀착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의 상하 회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베이스(220)의 측벽부(221)의 상면은 상기 하우징(110")의 상하 회동시 하우징(110")과 간섭되지 않도록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 24와 같이 하우징(110")이 하측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 저면부가 측벽부(221) 상면 일측에 밀착하도록 하고, 도 26과 같이 하우징(110")이 상측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110")의 타측 저면부가 측벽부(221) 상면 타측에 밀착하도록 하면, 상기 제2베이스(220)의 측벽부(221)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상하 회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 110',110":하우징, 110a:제1몸체, 110b:제2몸체,
111:제1전원단자, 112:제2전원단자, 113:안착홈,
116:돌출부, 117:제1삽입공, 118:삽입홈부,
114:제1결합부, 115:안내돌기, 120:고정부재,
121:결합돌기, 121a:기둥, 121b:헤드부,
122:삽입홈, 123:축홈, 124:작동편,
124a:후크, 130:송풍모듈, 131:제1프레임,
131a:실링부재, 131b:제2결합부, 132:송풍팬,
133:제1접속단자, 140:발열모듈, 141:제2프레임,
141a:실링부재, 141b:제2결합부, 142:발열부,
143:제2접속단자, 150:필터모듈, 150a:제1필터모듈,
150b:제2필터모듈, 150c:제3필터모듈, 151:제3프레임,
151a:실링부재, 151b:제2결합부, 151:필터부,
160:트레이, 161:안착홈, 162:안내홈부,
200:지지부, 210:제1베이스, 211:가이드 림,
212:고정축, 213:전원접속부, 214:패드부,
220:제2베이스, 121:측벽부, 122:플랜지,
223:안착부, 224:슬리브, 225:제2삽입공,
226:삽입돌기부, 230:지지대, 231:회동안내홈부,
232:고정홈, 233:관통홀, 234:이탈방지부,
240:구동부, 241:구동모터, 241a:구동축,
242:동력전달부, 242a:제1링크, 242b:제2링크,
250:연결부재, 251:제1삽입축부, 252:제2삽입축부,
260:크래들, 261:전원공급부, L:가상의 라인

Claims (43)

  1. 흡기부와 배기부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상기 흡기부와 배기부를 연결하는 공기이동통로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흡기부에서 배기부 방향으로 공기흐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공기이동통로 상에 배치되는 송풍모듈; 및
    상기 공기이동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이동통로 상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기능확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확장모듈은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모듈과 공기중의 입자를 걸러내는 필터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은 복수 마련되고, 복수의 필터모듈은 서로 다른 필터 특성을 가지며, 사용환경에 따라 복수의 필터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필터모듈이 하우징의 공기이동통로 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모듈은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확장모듈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마련되고, 상기 기능확장모듈을 상기 하우징의 공기이동통로 내부로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트레이의 조립면에는 상기 트레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송가이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가이드는 상기 트레이의 외측면에서 트레이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안내홈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안내홈부에 삽입되는 안내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부는 상기 트레이의 이동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내측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과 동일한 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안착홈은 복수 마련되고, 복수의 안착홈은 공기 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모듈은 복수의 발열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발열부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PTC히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몸체와 제2몸체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는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조립부위에는 서로 맞물려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조립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결합돌기를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작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에는 제1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기능확장모듈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제2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한 기능확장모듈의 조립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홈과 돌기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기능확장모듈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제1몸체와 제2몸체의 내측면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붙을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확장모듈의 바깥쪽 테두리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에 밀착하는 실링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일측이 기능확장모듈의 외측면에 지지되고 타측이 자력에 의해 하우징의 내벽면에 밀착할 수 있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에는 상기 발열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전원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발열모듈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2전원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제2접속단자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단자와 제2접속단자는 상기 하우징에 대한 발열모듈의 조립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접속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에는 상기 송풍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전원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송풍모듈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전원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제1접속단자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단자 및 제2전원단자의 접속구조는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제1전원단자의 접속구조와 상이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바닥구조물에 지지되는 제1베이스;
    상기 제1베이스 상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베이스; 및
    상기 제2베이스를 좌우로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베이스 상에 지지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베이스를 좌우로 왕복 회동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단부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되는 제1링크; 및 일단부가 상기 제1베이스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링크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의 길이는 상기 제1링크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는 제2베이스의 좌우 회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림을 포함하고,
    상기 제2베이스는 상기 가이드 림이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베이스에 고정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가이드 림의 회동을 안내하는 회동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안내홈부의 내경은 상기 가이드 림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안내홈부의 함몰 깊이는 상기 가이드 림의 두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34.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이스에는 상기 지지대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는 슬리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35.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이스는 상하가 개방된 통형의 측벽부와, 측벽부의 하단부 내주면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36. 제 25항 내지 제 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이스의 상단부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을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제2베이스의 상단 개구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내주면과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은 동심을 이루는 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면의 중심점은 상기 하우징의 상하 회동 중심축과 좌우 회동 중심축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39.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삽입공이 마련되고,
    상기 제2베이스에는 연결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삽입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4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제1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제1삽입축부와 제2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제2삽입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축부의 직경은 제2삽입축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4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베이스에 고정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제1삽입축부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42.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이스에는 삽입돌기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삽입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부는, 상기 하우징이 상측 방향으로 최대 각도로 회동하였을 때 상기 삽입홈부의 일측이 삽입돌기의 일측에 밀착하고, 상기 하우징이 하측 방향으로 최대 각도로 회동하였을 때 상기 삽입홈부의 타측이 삽입돌기의 타측에 밀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KR1020190131751A 2019-10-22 2019-10-22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KR102188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751A KR102188684B1 (ko) 2019-10-22 2019-10-22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PCT/KR2020/014304 WO2021080279A1 (ko) 2019-10-22 2020-10-20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751A KR102188684B1 (ko) 2019-10-22 2019-10-22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279A true KR20190142279A (ko) 2019-12-26
KR102188684B1 KR102188684B1 (ko) 2020-12-08

Family

ID=69103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751A KR102188684B1 (ko) 2019-10-22 2019-10-22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8684B1 (ko)
WO (1) WO2021080279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7454A (zh) * 2020-04-02 2020-07-28 安徽省万爱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辅助散吹暖气功能的取暖器
WO2021080279A1 (ko) * 2019-10-22 2021-04-29 주식회사 휴롬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KR102248416B1 (ko) * 2020-03-09 2021-05-04 정화찬 실내공기 정화장치
KR20210087343A (ko) * 2020-01-02 2021-07-12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
CN114679876A (zh) * 2022-03-17 2022-06-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7212259A (zh) * 2023-10-13 2023-12-12 安徽安风风机有限公司 锅炉用引风机除尘系统及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3611U (ja) * 1992-02-04 1993-08-24 サンデン株式会社 空気清浄機のフィルタ組付構造
JPH10246512A (ja) * 1997-03-05 1998-09-14 Matsushita Refrig Co Ltd 脱臭機能付温風暖房機
KR20000007483A (ko) * 1998-07-03 2000-02-07 윤종용 공기조화기
KR200326111Y1 (ko) * 2003-05-16 2003-09-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흡입그릴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필터의 착탈장치
KR200373800Y1 (ko) * 2004-10-28 2005-01-21 대흥정밀공업 주식회사 온풍기용 열교환 환기장치
KR200394917Y1 (ko) * 2005-05-20 2005-09-07 주식회사 제일테크 살균 및 온도조절 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흡기유니트
KR20080013399A (ko) * 2006-08-08 200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33434A (ko) * 2010-08-06 2013-04-03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팬 어셈블리
KR20160049892A (ko) 2014-10-28 2016-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선풍기용 공기정화망
KR20190114475A (ko) * 2018-03-30 2019-10-10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수직 회전과 수평 회전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684B1 (ko) * 2019-10-22 2020-12-08 주식회사 휴롬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3611U (ja) * 1992-02-04 1993-08-24 サンデン株式会社 空気清浄機のフィルタ組付構造
JPH10246512A (ja) * 1997-03-05 1998-09-14 Matsushita Refrig Co Ltd 脱臭機能付温風暖房機
KR20000007483A (ko) * 1998-07-03 2000-02-07 윤종용 공기조화기
KR200326111Y1 (ko) * 2003-05-16 2003-09-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흡입그릴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필터의 착탈장치
KR200373800Y1 (ko) * 2004-10-28 2005-01-21 대흥정밀공업 주식회사 온풍기용 열교환 환기장치
KR200394917Y1 (ko) * 2005-05-20 2005-09-07 주식회사 제일테크 살균 및 온도조절 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흡기유니트
KR20080013399A (ko) * 2006-08-08 200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33434A (ko) * 2010-08-06 2013-04-03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팬 어셈블리
KR20160049892A (ko) 2014-10-28 2016-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선풍기용 공기정화망
KR20190114475A (ko) * 2018-03-30 2019-10-10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수직 회전과 수평 회전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279A1 (ko) * 2019-10-22 2021-04-29 주식회사 휴롬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KR20210087343A (ko) * 2020-01-02 2021-07-12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
KR102248416B1 (ko) * 2020-03-09 2021-05-04 정화찬 실내공기 정화장치
CN111457454A (zh) * 2020-04-02 2020-07-28 安徽省万爱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辅助散吹暖气功能的取暖器
CN114679876A (zh) * 2022-03-17 2022-06-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7212259A (zh) * 2023-10-13 2023-12-12 安徽安风风机有限公司 锅炉用引风机除尘系统及方法
CN117212259B (zh) * 2023-10-13 2024-02-20 安徽安风风机有限公司 锅炉用引风机除尘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0279A1 (ko) 2021-04-29
KR102188684B1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2279A (ko)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KR101885999B1 (ko) 선풍기, 온풍기, 공기청정기, 헤어드라이어로 사용 가능한 다기능 송풍장치
KR101828587B1 (ko) 먼지제거기능을 구비한 공조장치
JP2019051316A (ja) 個人化された空気浄化装置
JP2009518583A (ja) 携帯型送風機装置
CN112696826A (zh) 送风装置及送风装置的模式控制方法
WO2023124064A1 (zh) 出风装置
JP2013520223A (ja) 温熱機能を有するスプリングタイプマットレス
CN211230883U (zh) 流动发生装置
KR20190045687A (ko) 공기청정 겸용 송풍발생장치
JP5980637B2 (ja) 空気調和機
CN202133033U (zh) 可自动调节送风角度的暖风机
CN201621788U (zh) 柜式空调器
JP6225225B2 (ja) 空気調和機
CN107355899B (zh) 空气加湿净化器
JP2008157576A (ja) 加湿機
JP5997857B1 (ja) 空気清浄機および扇風機として機能する装置
JP6188980B1 (ja) 空気清浄機および扇風機として機能する装置
CN112303733A (zh) 空调器
CN212390493U (zh) 空气处理装置、空调室内机以及空调器
CN211290303U (zh) 一种新风净化装置及其空调器
CN106765572A (zh) 一种挂壁式空调室内机
KR20190003173U (ko) 송풍기용 지지장치
CN1171047C (zh) 空调机
CN211737491U (zh) 流动发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