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016A - 날개 벽 증설공법 - Google Patents

날개 벽 증설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016A
KR20190142016A KR1020180069025A KR20180069025A KR20190142016A KR 20190142016 A KR20190142016 A KR 20190142016A KR 1020180069025 A KR1020180069025 A KR 1020180069025A KR 20180069025 A KR20180069025 A KR 20180069025A KR 20190142016 A KR20190142016 A KR 20190142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foundation
pillar
wing wall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3779B1 (ko
Inventor
변대근
Original Assignee
변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대근 filed Critical 변대근
Priority to KR1020180069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779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3/0229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of foundations or foundatio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은 구조물의 기둥을 보강하는 날개 벽을 증설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지반을 파서 상기 구조물의 기초 및 기초 기둥을 노출시키고, 노출된 상기 기초 및 상기 기초 기둥 상에 각각 연결재를 시공하는 연결재 시공단계; 기초 보강재가 상기 연결재를 포위하도록 상기 기초 보강재를 상기 기초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기초 기둥에 상기 기초 보강재를 고정하는 기초 보강단계; 및 상측 보강재를 상기 기초 보강재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기초 기둥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기둥에 상기 상측 보강재를 고정하는 상측 보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초 보강재 및 상기 상측 보강재는 모르타르가 타설될 수 있는 타설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타설공간으로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타설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날개 벽 증설공법{Method for retrofitting the wing wall}
본 발명은 날개 벽 증설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기둥을 보강하는 날개 벽 증설공법에 관한 것이다.
내진설계 기준이 제정되기 이전 건설된 기존 건축물은 내진성능이 부족하기 때문에 지진 발생시 상당한 손상 및 붕괴가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공공건물에 대한 내진성능 평가 및 내진보강 사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정부의 기존 건축물 내진보강 사업은 학교, 지방자치단체 청사, 병원, 소방서 등을 대상으로 지진 재난 시 대피소 및 재난구호의 거점이 되는 중요 건물에 대해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기존 건축물의 구조부재의 강도 및 강성을 증대시켜 건축물의 강도 증진에 의해 내진성능 향상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내진보강 공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 건물의 내진성능을 평가하여 지금의 규준에 미달할 때에는 내진보강을 하여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건물의 내진보강은 일반적으로 내력을 높이는 내력증진형 보강, 변형능력을 높이는 연성증진형 보강, 또는 양자를 병행하여 내진성능 향상하는 보강법이 있다.
내력증진형 보강은 벽을 증설하는 방법, 기중 주위에 날개벽을 붙이는 방법, 브레이스(brace)를 설치하는 방법, 버트레스(buttress)를 신설하는 방법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이 중 날개벽을 증설하는 방법은 기둥 양측에 날개벽을 증설하여 주로 기둥의 내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내진벽과 같은 형태로 지진력에 저항시키는 것이다.
날개벽을 증설하는 보강방법은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는 기존 프레임의 기둥, 보에 삽입 앵커 등을 정착시키고 여기에 증설 날개벽을 접합시켜 기존 프레임을 보강하는 방법이며 둘째는 기둥의 콘크리트 일부를 철거하고 날개벽의 전단보강근을 충분히 배근하여 날개벽을 증설하여 기존 기둥과 일체화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기술에 대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31785(2015.06.25. 공고)호는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날개벽을 기둥에 증설하는 내진 보강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기존의 콘크리트(22)를 주철근(21)이 노출되도록 제거하여 기둥이 단면 손실이 일어나며, 나아가 제거된 면에 앵커볼트(30)을 매입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둥에 크랙이 발생될 위험이 크다.
나아가, 날개벽이 하층으로부터 상층으로 연속되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층 마다 분리되어 설치됨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 등의 공사 기간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 기둥의 단면 손실을 최소화 하는 동시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날개 벽을 증설할 수 있고, 공사 기간도 단축할 수 있는 날개 벽 증설공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은 구조물의 기둥을 보강하는 날개 벽을 증설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지반을 파서 상기 구조물의 기초 및 기초 기둥을 노출시키고, 노출된 상기 기초 및 상기 기초 기둥 상에 각각 연결재를 시공하는 연결재 시공단계; 기초 보강재가 상기 연결재를 포위하도록 상기 기초 보강재를 상기 기초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기초 기둥에 상기 기초 보강재를 고정하는 기초 보강단계; 및 상측 보강재를 상기 기초 보강재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기초 기둥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기둥에 상기 상측 보강재를 고정하는 상측 보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초 보강재 및 상기 상측 보강재는 모르타르가 타설될 수 있는 타설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타설공간으로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타설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에 의하면, 기존 기둥의 단면 손실을 최소화 하는 동시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날개 벽을 증설할 수 있고, 공사 기간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의 연결재 시공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의 기초 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의 기초 보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의 기초 보강재의 개략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의 상측 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의 기초 보강재 및 상측 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의 상측 보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의 상측 보강재의 개략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의 상측 보강재의 개략 확대 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은 구조물의 기둥을 보강하는 날개 벽을 증설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지반을 파서 상기 구조물의 기초 및 기초 기둥을 노출시키고, 노출된 상기 기초 및 상기 기초 기둥 상에 각각 연결재를 시공하는 연결재 시공단계; 기초 보강재가 상기 연결재를 포위하도록 상기 기초 보강재를 상기 기초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기초 기둥에 상기 기초 보강재를 고정하는 기초 보강단계; 및 상측 보강재를 상기 기초 보강재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기초 기둥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기둥에 상기 상측 보강재를 고정하는 상측 보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초 보강재 및 상기 상측 보강재는 모르타르가 타설될 수 있는 타설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타설공간으로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타설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타설단계 후 폐쇄부를 이용하여 상기 타설공간을 폐쇄하는 폐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초 보강재는 상기 상측 보강재가 상기 기초 보강재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측 보강재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상측 보강재는 상기 상측 기둥의 일 측면에 고정되는 제1 상측 보강재 및 상기 상측 기둥의 타 측면에 고정되는 제2 상측 보강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상측 보강재 및 상기 제2 상측 보강재는 협동하여 상기 타설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상측 보강단계는 상기 제1 상측 보강재와 상기 제2 상측 보강재 간을 용접 연결하는 용접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상측 보강재는 상기 제1 상측 보강재 및 상기 제2 상측 보강재로부터 상기 타설공간으로 돌출되는 전단 연결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상측 보강재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상측 기둥의 일 측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1 체결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상측 보강재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상측 기둥의 타 측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2 체결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상측 보강단계는 상기 제1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측 기둥에 연결되는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측 기둥에 연결되는 상기 체결부재 간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상기 체결부재를 시공하는 체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체결홀 및 상기 제2 체결홀 각각은 가상의 4개의 원이 나란히 경사지되 인접하는 원 간에 일부 오버랩되는 형상으로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상측 보강단계는 상기 제1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측 기둥에 연결되는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측 기둥에 연결되는 상기 체결부재 간의 높이 방향으로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상기 체결부재를 시공하는 체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상측 보강단계는 상기 제1 체결홀 및 상기 제2 체결홀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지 않은 영역에 막음부를 시공하는 막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의 연결재 시공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의 기초 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의 기초 보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폭 방향 개략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의 기초 보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높이 방향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의 기초 보강재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의 상측 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의 기초 보강재 및 상측 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높이 방향 개략 확대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의 상측 보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폭 방향 개략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의 상측 보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높이 방향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의 상측 보강재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9(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의 상측 보강재의 개략 확대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도 1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은 기둥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폭 방향은 슬라브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높이 방향과 수직인 좌우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은 이미 시공된 구조물의 기둥을 보강하는 공법일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은 건축물, 교량 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날개 벽 증설공법은 지반(G)을 파서 상기 구조물의 기초(B) 및 기초 기둥(C1)을 노출시키고, 노출된 상기 기초(B) 및 상기 기초 기둥(C1) 상에 각각 연결재(100)를 시공하는 연결재 시공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재 시공단계는 기존의 기둥에 증설되는 날개 벽이 기존의 구조물과 일체화되는 극대화하기 위해 구조물 주위의 지반(G)을 파서 구조물의 상기 기초(B) 및 상기 기초 기둥(C1)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날개 벽을 이루는 모르타르가 기존의 구조물과 일체화되기 위해 상기 기초(B) 및 상기 기초 기둥(C1) 상에 상기 연결재(100)를 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재(100)는 철근 등의 인장재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재(100)는 상기 기초(B) 상에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기초 기둥(C1) 상에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재(100)의 일부는 상기 기초(B)에 박힐 수 있고 나머지 일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연결재(100)의 일부는 상기 기초 기둥(C1)에 박힐 수 있고 나머지 일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날개 벽 증설공법은 기초 보강재(200)가 상기 연결재(100)를 포위하도록 상기 기초 보강재(200)를 상기 기초(B)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기초 기둥(C1)에 상기 기초 보강재(200)를 고정하는 기초 보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초 보강재(200)는 모르타르가 타설될 수 있는 타설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기초 보강단계 및 상기 기초 보강재(200)를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기초 보강재(200)는 상기 기초 기둥(C1)의 일 측면에 고정되는 제1 기초 보강재(210) 및 상기 기초 기둥(C1)의 타 측면에 고정되는 제2 기초 보강재(220)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일례로, 상기 제1 기초 보강재(210) 및 상기 제2 기초 보강재(220)는 상호 협동하여 상기 타설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기초 보강재(210) 및 상기 제2 기초 보강재(220)는 상호 적어도 일부에서 오버랩되어 상기 타설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초 보강재(200)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 기초 보강재(210)와 상기 제2 기초 보강재(220)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기존의 구조물의 상기 기초 기둥(C1)의 상기 폭 방향 길이가 다른 경우, 작업자는 상기 제1 기초 보강재(210)와 상기 제2 기초 보강재(220)의 상호 오버랩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즉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상기 기초 기둥(C1) 상에 상기 제1 기초 보강재(210) 및 상기 제2 기초 보강재(220)를 설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기초 보강재(210) 및 상기 제2 기초 보강재(220)는 절곡 및/또는 절삭된 철판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초 보강단계는 상기 제1 기초 보강재(210)와 상기 제2 기초 보강재(220) 간을 용접 연결하는 용접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용접단계는 상기 제1 기초 보강재(210)와 상기 제2 기초 보강재(220)가 서로 오버랩 되는 부분을 용접하여 연결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용접단계는 상기 제1 기초 보강재(210)와 상기 제2 기초 보강재(220) 간을 용접 연결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기초 보강재(210)와 상기 제2 기초 보강재(220)간을 연결하여 상기 타설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기초 보강재(210) 및 상기 제2 기초 보강재(220) 각각은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부재(Z)에 의해 상기 기초 기둥(C1)의 일 측면 및 상기 기초 기둥(C1)의 타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기초 보강재(210) 및 상기 제2 기초 보강재(220) 각각은 상기 체결부재(Z)에 의해 상기 기초 기둥(C1)의 일 측면 및 상기 기초 기둥(C1)의 타 측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부재(Z)가 체결되는 체결홀(K)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초 보강재(200)는 상기 제1 기초 보강재(210) 및 상기 제2 기초 보강재(220)로부터 상기 타설공간(S1)으로 돌출되는 전단 연결재(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단 연결재(240)는 일단에 상기 제1 기초 보강재(210) 및 상기 제2 기초 보강재(220)에 박힐 수 있고 타단은 상기 타설공간(S1)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단 연결재(240)는 스터드 볼트 등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전단 연결재(240)는 상기 타설공간(S1)으로 모르타르가 타설되는 경우 날개 벽의 전단 저항이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날개 벽 증설공법은 상측 보강재(300)를 상기 기초 보강재(200)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기초 기둥(C1)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기둥(C2)에 상기 상측 보강재(300)를 고정하는 상측 보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측 보강재(300)는 모르타르가 타설될 수 있는 타설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상측 보강단계 및 상기 상측 보강재(300)를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상측 보강재(300)는 상기 상측 기둥(C2)의 일 측면에 고정되는 제1 상측 보강재(310) 및 상기 상측 기둥(C2)의 타 측면에 고정되는 제2 상측 보강재(320)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일례로, 상기 제1 상측 보강재(310) 및 상기 제2 상측 보강재(320)는 상호 협동하여 상기 타설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상측 보강재(310) 및 상기 제2 상측 보강재(320)는 상호 적어도 일부에서 오버랩되어 상기 타설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상측 보강재(300) 역시,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 상측 보강재(310)와 상기 제2 상측 보강재(320)의 연결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기존의 구조물의 상기 상측 기둥(C2)의 상기 폭 방향 길이가 다른 경우, 작업자는 상기 제1 상측 보강재(310)와 상기 제2 상측 보강재(320)의 상호 오버랩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즉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상기 상측 기둥(C2) 상에 상기 제1 상측 보강재(310) 및 상기 제2 상측 보강재(320)를 설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상측 보강재(310) 및 상기 제2 상측 보강재(320)는 절곡 및/또는 절삭된 철판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측 보강단계는 상기 제1 상측 보강재(310)와 상기 제2 상측 보강재(320) 간을 용접 연결하는 용접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용접단계는 상기 제1 상측 보강재(310)와 상기 제2 상측 보강재(320)가 서로 오버랩 되는 부분을 용접하여 연결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용접단계는 상기 제1 상측 보강재(310)와 상기 제2 상측 보강재(320) 간을 용접 연결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상측 보강재(310)와 상기 제2 상측 보강재(320) 간을 연결하여 상기 타설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측 보강재(300)는 상기 제1 상측 보강재(310) 및 상기 제2 상측 보강재(320)로부터 상기 타설공간(S2)으로 돌출되는 전단 연결재(3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단 연결재(330)는 일단에 상기 제1 상측 보강재(310) 및 상기 제2 상측 보강재(320)에 박힐 수 있고 타단은 상기 타설공간(S2)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단 연결재(330)는 스터드 볼트 등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전단 연결재(330)는 상기 타설공간(S2)으로 모르타르가 타설되는 경우 날개 벽의 전단 저항이 증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측 보강재(300)는 상기 기초 보강재(200) 상에, 즉 상기 기초 보강재(200)의 상기 높이 방향 상측에 안착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기초 보강재(200)는 상기 상측 보강재(300)가 상기 기초 보강재(2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측 보강재(3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부(230)는 상기 제1 기초 보강재(210) 및 상기 제2 기초 보강재(22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철판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부(230)는 상기 제1 기초 보강재(210) 및 상기 제2 기초 보강재(220) 상에 용접 연결(E)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부(230)는 상기 기초 보강재(200)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 상측으로 돌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한부(230)는 상기 상측 보강재(300)가 상기 높이 방향 아래로 이동하며 상기 기초 보강재(200) 상에 안착될 때 상기 상측 보강재(300)를 가이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상측 보강재(300)가 상기 기초 보강재(2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상측 보강재(300)를 지지함에 따라 상기 상측 보강재(300)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상측 보강단계는 상기 상측 보강재(300)와 상기 기초 보강재(200) 간을 용접 연결하는 용접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보강재(300)는 상기 제한부(230)의 가이드에 따라 상기 기초 보강재(200) 상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상측 보강재(300)가 상기 기초 보강재(200)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호 용접되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기초 보강재(200)에 대향하는 상기 상측 보강재(300)의 하면은 사면(31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사면(311)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공간으로 인해, 용접봉이 용이하게 접근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사면(311)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공간 상에 상기 상측 보강재(300) 및 상기 기초 보강재(200)의 모서리를 커버하는 마감재(미 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마감재는 탄성재질 일 수 있으며, 작업자가 상기 상측 보강재(300) 및 상기 기초 보강재(200)의 모서리에 의해 긁히거나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상측 보강재(310) 및 상기 제2 상측 보강재(320) 각각은 앵커볼트와 같은 상기 체결부재(Z)에 의해 상기 상측 기둥(C2)의 일 측면 및 상기 상측 기둥(C2)의 타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의 부분 확대도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상측 보강재(310) 및 상기 제2 상측 보강재(320)가 상기 상측 기둥(C2)에 고정되는 것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제1 상측 보강재(310)는 체결부재(Z)에 의해 상기 상측 기둥(C2)의 일 측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부재(Z)가 체결되는 제1 체결홀(A1)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상측 보강재(320)는 상기 체결부재(Z)에 의해 상기 상측 기둥(C2)의 타 측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부재(Z)가 체결되는 제2 체결홀(A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상측 보강단계는 상기 제1 체결홀(A1)을 관통하여 상기 상측 기둥(C2)에 연결되는 상기 체결부재(Z)와 상기 제2 체결홀(A2)을 관통하여 상기 상측 기둥(C2)에 연결되는 상기 체결부재(Z) 간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상기 체결부재(Z)를 시공하는 체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체결홀(A1)을 통해 상기 상측 기둥(C2)에 고정되는 상기 체결부재(Z)와 상기 제2 체결홀(A2)을 통해 상기 상측 기둥(C2)에 고정되는 상기 체결부재(Z)는 서로 상기 폭 방향으로 동일한 라인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상측 기둥(C2)의 상기 폭 방향 단면 손실의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제1 체결홀(A1) 및 상기 제2 체결홀(A2) 각각은 가상의 4개의 원이 나란히 경사지되 인접하는 원 간에 일부 오버랩되는 형상으로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체결홀(A1) 및 상기 제2 체결홀(A2) 각각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체결부재(Z)가 관통할 수 있는 제1 관통영역 및 제2 관통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영역은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는 원형의 제1-1 관통영역 내지 제1-4 관통영역(A1-1, A1-2, A1-3, A1-4)을 구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관통영역은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는 원형의 제2-1 관통영역 내지 제2-4 관통영역(A2-1, A2-2, A2-3, A2-4)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1 관통영역 내지 상기 제1-4 관통영역(A1-1, A1-2, A1-3, A1-4)은 상기 체결부재(Z)가 상기 상측 기둥(C2)에 체결될 수 있도록 원형의 구멍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1 관통영역 내지 상기 제1-4 관통영역(A1-1, A1-2, A1-3, A1-4)은 각각 상기 체결부재(Z)가 관통할 수 있는 위치를 규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2 관통영역(A1-2)은 상기 제1-1 관통영역(A1-1)으로부터 경사지도록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1 관통영역(A1-1)과 일부 오버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3 관통영역(A1-3)은 상기 제1-2 관통영역(A1-2)으로부터 경사지도록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2 관통영역(A1-2)과 일부 오버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제1-4 관통영역(A1-4)은 상기 제1-3 관통영역(A1-3)으로부터 경사지도록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3 관통영역(A1-3)과 일부 오버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1 관통영역 내지 상기 제1-4 관통영역(A1-1, A1-2, A1-3, A1-4)이 상호간 경사지며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1 관통영역 내지 상기 제1-4 관통영역(A1-1, A1-2, A1-3, A1-4)의 각각의 가상의 중심점을 잇는 중심축은 직선일 수 있고, 상기 상측 기둥(C2)의 주철근(T)을 기준으로 경사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중심축은 상기 주철근(T)을 기준으로45도로 경사질 수도 있고 135도로 경사질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재(Z)는 상기 제1-1 관통영역 내지 상기 제1-4 관통영역(A1-1, A1-2, A1-3, A1-4) 중 상기 주철근(T)이 위치하지 않는 관통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상측 기둥(C2)과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영역과 동일한 원리로 상기 제2 관통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체결홀(A1) 및 상기 제2 체결홀(A2) 각각은 상기 제1-1 관통영역 내지 상기 제1-4 관통영역(A1-1, A1-2, A1-3, A1-4) 및 상기 제2-1 관통영역 내지 상기 제2-4 관통영역(A2-1, A2-2, A2-3, A2-4)의 형상에 기초하여 경사 멀티홀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상측 보강단계는 상기 제1 체결홀(A1)을 관통하여 상기 상측 기둥(C2)에 연결되는 상기 체결부재(Z)와 상기 제2 체결홀(A2)을 관통하여 상기 상측 기둥(C2)에 연결되는 상기 체결부재(Z) 간의 높이 방향으로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상기 체결부재(Z)를 시공하는 체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체결홀(A1)을 통해 상기 상측 기둥(C2)에 고정되는 상기 체결부재(Z)와 상기 제2 체결홀(A2)을 통해 상기 상측 기둥(C2)에 고정되는 상기 체결부재(Z)는 서로 상기 높이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상측 기둥(C2)의 상기 높이 방향 단면 손실의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상측 보강단계는 상기 제1 체결홀(A1) 및 상기 제2 체결홀(A2)에서 상기 체결부재(Z)가 관통하지 않은 영역에 막음부(M)를 시공하는 막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9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약 상기 체결부재(Z)가 상기 제1 관통영역 중 상기 제1-3 관통영역(A1-3)에 체결되는 경우, 작업자는 메탈재질의 원형의 막음부(M)를 이용하여 상기 제1-1 관통영역(A1-1), 상기 제1-2 관통영역(A1-2) 및 상기 제1-4 관통영역(A1-4)을 막음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막음부(M)는 상기 제1 상측 보강재(310)와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막음부(M)가 상기 제1-1 관통영역(A1-1), 상기 제1-2 관통영역(A1-2) 및 상기 제1-4 관통영역(A1-4)을 막음함으로 인해 상기 제1 상측 보강재(310)의 단면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상기 제1 상측 보강재(310)의 내력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상기 제2 체결홀(A2)에 대해 상기 체결부재(Z)가 관통하지 않은 영역에 상기 막음부(M)를 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상측 보강단계 후,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은 상기 타설공간(S1, S2)으로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타설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상측 보강재(300)의 상단 개구를 통해 상기 타설공간(S1, S2)으로 모르타르를 타설할 수 있으며, 모르타르는 상기 기초(B)부터 차올라 상기 상측 보강재(300)의 상단까지 타설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벽 증설공법은 상기 타설단계 후 폐쇄부(400)를 이용하여 상기 타설공간(S1, S2)을 폐쇄하는 폐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작업자는 상기 폐쇄부(400)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타설공간(S1, S2)을 커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타설공간(S1, S2)내로 비,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폐쇄부(400)는 스틸 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상측 보강재(300)와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G: 지반
B: 기초
C1: 기초 기둥
C2: 상측 기둥
100: 연결재

Claims (11)

  1. 구조물의 기둥을 보강하는 날개 벽 증설공법에 있어서,
    지반을 파서 상기 구조물의 기초 및 기초 기둥을 노출시키고, 노출된 상기 기초 및 상기 기초 기둥 상에 각각 연결재를 시공하는 연결재 시공단계;
    기초 보강재가 상기 연결재를 포위하도록 상기 기초 보강재를 상기 기초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기초 기둥에 상기 기초 보강재를 고정하는 기초 보강단계; 및
    상측 보강재를 상기 기초 보강재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기초 기둥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기둥에 상기 상측 보강재를 고정하는 상측 보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초 보강재 및 상기 상측 보강재는,
    모르타르가 타설될 수 있는 타설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타설공간으로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타설단계;를 더 포함하는,
    날개 벽 증설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설단계 후 폐쇄부를 이용하여 상기 타설공간을 폐쇄하는 폐쇄단계;를 더 포함하는,
    날개 벽 증설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보강재는,
    상기 상측 보강재가 상기 기초 보강재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측 보강재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구비하는,
    날개 벽 증설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보강재는,
    상기 상측 기둥의 일 측면에 고정되는 제1 상측 보강재 및 상기 상측 기둥의 타 측면에 고정되는 제2 상측 보강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상측 보강재 및 상기 제2 상측 보강재는,
    협동하여 상기 타설공간을 형성하는,
    날개 벽 증설공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보강단계는,
    상기 제1 상측 보강재와 상기 제2 상측 보강재 간을 용접 연결하는 용접단계를 더 포함하는,
    날개 벽 증설공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보강재는,
    상기 제1 상측 보강재 및 상기 제2 상측 보강재로부터 상기 타설공간으로 돌출되는 전단 연결재를 더 구비하는,
    날개 벽 증설공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측 보강재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상측 기둥의 일 측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1 체결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상측 보강재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상측 기둥의 타 측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2 체결홀을 구비하는,
    날개 벽 증설공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보강단계는,
    상기 제1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측 기둥에 연결되는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측 기둥에 연결되는 상기 체결부재 간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상기 체결부재를 시공하는 체결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날개 벽 증설공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홀 및 상기 제2 체결홀 각각은,
    가상의 4개의 원이 나란히 경사지되 인접하는 원 간에 일부 오버랩되는 형상으로 홀 형상을 가지는,
    날개 벽 증설공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보강단계는,
    상기 제1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측 기둥에 연결되는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측 기둥에 연결되는 상기 체결부재 간의 높이 방향으로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상기 체결부재를 시공하는 체결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날개 벽 증설공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보강단계는,
    상기 제1 체결홀 및 상기 제2 체결홀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지 않은 영역에 막음부를 시공하는 막음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날개 벽 증설공법.
KR1020180069025A 2018-06-15 2018-06-15 날개 벽 증설공법 KR102133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025A KR102133779B1 (ko) 2018-06-15 2018-06-15 날개 벽 증설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025A KR102133779B1 (ko) 2018-06-15 2018-06-15 날개 벽 증설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016A true KR20190142016A (ko) 2019-12-26
KR102133779B1 KR102133779B1 (ko) 2020-07-14

Family

ID=6910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025A KR102133779B1 (ko) 2018-06-15 2018-06-15 날개 벽 증설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7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857B1 (ko) * 2020-08-10 2021-05-11 성산하이츠건설 주식회사 Cft를 이용한 외부 보강 공법 및 이를 위한 외부 보강체
EP4206419A1 (en) * 2021-12-28 2023-07-05 Giorgio Rocchi A method for realising an antiseismic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3890A (ja) * 2013-08-27 2015-04-09 一般社団法人 レトロフィットジャパン協会 コンクリート柱の補強構造
KR101841488B1 (ko) * 2016-10-13 2018-03-23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 기둥의 내진보강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3890A (ja) * 2013-08-27 2015-04-09 一般社団法人 レトロフィットジャパン協会 コンクリート柱の補強構造
KR101841488B1 (ko) * 2016-10-13 2018-03-23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 기둥의 내진보강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857B1 (ko) * 2020-08-10 2021-05-11 성산하이츠건설 주식회사 Cft를 이용한 외부 보강 공법 및 이를 위한 외부 보강체
EP4206419A1 (en) * 2021-12-28 2023-07-05 Giorgio Rocchi A method for realising an antiseismic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779B1 (ko) 202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5558A (en) Prefabricated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KR101377327B1 (ko) 단면증설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CA2407359C (en) Open web dissymmetric beam construction
KR100995459B1 (ko)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
KR100742577B1 (ko) 복합 구조 프레임 시스템
KR20190142016A (ko) 날개 벽 증설공법
KR102314546B1 (ko)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JP5869717B1 (ja)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KR20210130966A (ko) 합성보 및, 바닥구조체
JP6868881B2 (ja) 基礎構造及びその基礎工法
CN213805443U (zh) 一种钢结构、框架梁结构、边坡加固结构及加固支护结构
KR102320411B1 (ko) 망상형 전단보강대를 이용한 무량판 구조물의 슬래브-기둥 접합부 전단 보강구조
EP1416101A1 (en) Composite beam
JP3466961B2 (ja) 開口部を透設する既設耐力壁の補強工法
JP6684088B2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耐震補強方法
JP3418681B2 (ja) プレキャストrc建築構造における極軟鋼パネルダンパーの設置方法
JP2509077B2 (ja) 雨水地下貯水施設
JPH11107293A (ja) 建物の基礎構造、その基礎施工方法及び基礎用ブロック
KR20200010005A (ko) 내진보강 슈퍼 프레임
KR102183688B1 (ko) 강판을 활용한 증축 내진 코어
KR102239773B1 (ko) 모듈러 방식의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N212835964U (zh) 一种装配式中部梁柱预应力节点构造
KR102604117B1 (ko) 교량의 거더 지지부에서의 응력흐름을 보강한 거더 지지부 보강부재
JPH084196A (ja) 建物用パネル
KR102702361B1 (ko) 구조적 지지를 통한 무량판 슬라브 기둥 접합 전단 보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