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440A - 유기화합물 입자 크기 및 입자 발생량 실시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화합물 입자 크기 및 입자 발생량 실시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440A
KR20190141440A KR1020180068217A KR20180068217A KR20190141440A KR 20190141440 A KR20190141440 A KR 20190141440A KR 1020180068217 A KR1020180068217 A KR 1020180068217A KR 20180068217 A KR20180068217 A KR 20180068217A KR 20190141440 A KR20190141440 A KR 20190141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particle
organic compounds
organic compound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영
김진태
송제범
안종기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68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41440A/ko
Publication of KR20190141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e.g. by light scattering, diffraction, holography or imaging
    • G01N15/0211Investigating a scatter or diffraction patter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7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for organic compounds
    • G01N2015/1029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2015/1087Particle size

Abstract

본 기술은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 중 화학 증착 소재로 사용하는 유기화합물 입자크기 및 입자발생량 실시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화합물이 분사되었을 때의 입자크기 및 입자발생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고, 발광부와 렌즈부의 노출면에 유기화합물로 인한 윈도우 오염도를 감지하여 측정오차를 줄이고 윈도우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유기화합물 입자크기 및 입자발생량 실시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화합물 입자 크기 및 입자 발생량 실시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Measuring Size and Generation Amount of organic compounds in Real-time and Method for Measuring thereby}
본 발명은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 중 화학 증착 소재로 사용하는 유기화합물의 입자 크기 및 입자 발생량을 실시간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 중 Chemical Vapor Deposition(CVD)법에 사용하는 유기화합물을 전구체(Precursor)라 부르며 전구체는 상온에서 기체, 액체, 고체상으로 존재할 수 있고 유기 화합물, 무기화합물, 유기금속화합물이 있다.
이중 유기금속(Metal-Organic CVD)용 유기화합물은 metal alkyl, metal diketonate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Metal alkyl은 tetraethyl lead, trimethyl boron, trimethyl bismuth, triphenyl bismuth와 같이 금속과 탄소 간 결합을 하고 있는 물질이다. Metal alkoxide는 TEOS(tetraethyl orthosilicate), TIP(titanium iso-propoxide) 와 같이 금속과 산소 간 결합을 하고 있는 물질이다.
이러한 유기화합물을 이용하여 CVD공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중요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유기화합물의 높은 증기압, 상전이, 열안정성, 혼합물의 증기 조성비, 고순도 화합물, 증착온도, 증착속도 그리고 유기화합물 전달 이송방식이다.
유기화합물의 일부는 상온에서 고체상으로 존재한다. 고체상의 유기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유기화합물을 유기용매에 녹여 용액의 상태로 만든 후, 용액 전달 장치(Liquid Delivery System:LDS)를 이용하여 유기화합물을 이송하여 증착 공정을 진행한다. 유기화합물 이송방식은 LDS로 대부분 진행하고 있고 각 원료를 따로 주입하는 방식과 원료를 한꺼번에 주입하는 방식으로 나뉜다.
LDS는 유기화합물을 분사하여 액체 상태의 입자로 전달된다. 이때 입자 크기와 입자 발생량에 따라서 증착 결과가 결정된다. 일 예로 상대적으로 동일한 입자개수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입자 크기가 크면 기화 효율이 높아지고 입자 크기가 작으면 기화 효율이 낮아져 진공도에 영향을 준다. 또한 입자 발생량이 많거나 적음에 따라서 증기압이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증착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에는 유기화합물의 입자크기 및 입자 발생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또는 방법이 전무한 실정이었다.
1. 공개번호 10-2006-0110153(삼성물산) “건자재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유해물질 간이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2. 공개번호 10-2016-0103442(전남대학교) “오일의 입자크기 및 함량 측정 장치" 3. 출원번호 10-2012-0135963(포스코) “프로파일 영상분석에 의한 원료광 입자크기 측정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챔버에 주입되는 유기화합물 입자의 크기와 발생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유기화합물 입자 크기 및 입자 발생량 실시간 측정 장치 및 방법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레이저발생부 및 레이저수집부 사이에 진공 및 가스유동에 의해 유기화합물 입자가 흐를 수 있도록 경로를 형성하고, 또한 입자측정 윈도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프리즘 형태의 구조를 포함하거나 별도의 윈도우 오염도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측정결과의 오차를 줄일 수 있고 오염된 윈도우의 교체시기도 예측할 수 있는 유기화합물 입자 크기 및 입자 발생량 실시간 측정 장치 및 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유기화합물 입자 크기 및 입자 발생량 장치에 의하면, 레이저 발광부과 수집부 사이에 진공 및 가스유동에 의해 유기화합물 입자가 흐를 수 있도록 하여, 실시간으로 챔버에 주입되는 입자의 크기와 발생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화합물 입자 크기 및 입자 발생량 장치에 의하면, 윈도우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프리즘형태의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별도의 윈도우 오염도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측정결과의 오차를 줄일 수 있고 오염된 윈도우의 교체시기도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화합물 입자 크기 및 입자 발생량 실시간 측정 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모식도.
도 2 - 유기화합물을 적용하여 입자 크기와 입자 발생량 데이타를 나타낸 도.
도 3 - 윈도우 오염에 따른 CCP Spectrometer의 변화 데이타를 나타낸 도.
본 발명의 유기화합물 입자크기 및 입자발생량 실시간 측정 장치에서는 유기화합물이 분사되어 챔버로 전달되기 전에 입자 크기와 입자 발생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공정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입자측정은 레이저산란방식의 입자 측정 모듈이 적용되었다. 레이저산란방식의 측정법은 실시간으로 입자의 크기와 발생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윈도우를 투과하여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유기화합물에 의해 입자측정 윈도우가 오염되면 측정 오차를 유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윈도우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레이저산란 측정부분에 프리즘 형태의 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추가적인 표준 광원 윈도우를 적용하여 표준(기준) 광원과 CCD Spectrometer(200-1000nm range)를 이용하여 윈도우 오염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윈도우 오염도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평가 장비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용기를 구비하여 내부에 유기화합물을 담을 수 있다. 이때, 용기의 재질은 쿼츠, 유리, 철(SUS)일 수 있다.
유기화합물은 공기 중에 산소와 반응하여 폭발하거나 산화되는 소재를 대부분 사용한다. 때문에 유기화합물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진공환경을 만들어야 하며, 본 발명 장치에서는 펌프를 이용하여 진공환경을 만들 수 있다.
용기 내부에 유기화합물 분사부(Vaporizer)를 장착하여 유기화합물을 분사하여 입자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 외부에 열과 초음파를 인가하여 유기화합물에 입자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발생된 유기화합물 입자는 배기라인을 통하여 펌프 시스템 방향으로 지나갈 수 있다. 배기라인 중간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 크기 및 입자 발생량을 측정하는 입자 측정 장치에서는 실시간으로 유기화합물 입자크기와 입자발생량이 측정된다.
입자 측정은 레이저 광을 이용하며, 레이저 광이 유기화합물 입자에 산란되는 광을 검출하는 레이저산란방식을 이용한다.
입자측정 윈도우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리즘 형태의 구조를 포함하며 이때, 굴절 각도는 90 내지 120도로 형성할 수 있다.
윈도우 오염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표준광원 윈도우가 포함된 윈도우 오염도 측정 모듈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윈도우 오염도 측정 모듈은 서로 이격되게 한쪽 부분에는 표준(기준) 광원을 발생하는 부(표준(기준) 광원발생부)를 포함하고, 마주보는 쪽에 CCD Spectrometer(CCD 측정부)를 이용하여 표준(기준) 광원을 측정한다. 이때, 표준(기준) 광원 농도 변화로 입자측정 윈도우 오염도를 모니터링 및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핵심 및 타 특허와 차별성은, 진공상태에서 유기화합물을 분사하는 모듈과 유기화합물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레이저산란방식을 도입하는 것이다. 유사특허들에서는 유기화합물처럼 공기 중에 산화되거나 유해한 물질을 측정하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진공환경에서 측정하지 않고 있다.
또한, 진보성을 높이기 위해서, 첫번째로 윈도우 오염을 저감하기 위한 프리즘부(132)가 포함되는 것이고 두번째로는 윈도우 오염을 감지하는 윈도우 오염도 측정 모듈(140~142)이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화합물 입자 크기 및 입자 발생량 실시간 측정 장치는 유기화합물 보관부 및 열 또는 초음파 인가부를 포함하고, 유기화합물 분사구(150)를 포함한다.
100 : 입자측정장치 132 : 프리즘부
150 : 유기화합물 분사부 110 : 진공챔버부
133 : 입자측정 윈도우 160 : 가스압조절부
120 : 진공펌프부 140 : CCD 측정부
170 : 가스주입구 130 : 입자측정 레이저발생부
141 : 표준(기준) 광원발생부 131 : 입자측정 레이저수집부
142 : 표준광원 윈도우

Claims (1)

  1.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 중 발생하는 유기화합물의 입자 크기 및 입자 발생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진공상태에서 유기화합물을 분사하는 모듈;
    레이저 발생부와 레이저 수집부 사이에 진공 및 가스유동에 의해 유기화합물 입자가 흐를 수 있도록 경로를 형성하고, 레이저산란방식을 도입하여 유기화합물의 입자 크기 및 입자 발생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입자 측정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상기 실시간 측정 모듈은 입자측정 윈도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프리즘 형태의 구조를 포함하며,
    또한, 윈도우 오염도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합물 입자 크기 및 입자 발생량 실시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80068217A 2018-06-14 2018-06-14 유기화합물 입자 크기 및 입자 발생량 실시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41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217A KR20190141440A (ko) 2018-06-14 2018-06-14 유기화합물 입자 크기 및 입자 발생량 실시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217A KR20190141440A (ko) 2018-06-14 2018-06-14 유기화합물 입자 크기 및 입자 발생량 실시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440A true KR20190141440A (ko) 2019-12-24

Family

ID=6902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217A KR20190141440A (ko) 2018-06-14 2018-06-14 유기화합물 입자 크기 및 입자 발생량 실시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14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6027A1 (de) * 2022-07-21 2024-01-25 Brave Analytics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r verschmutzung
KR20240039332A (ko) 2022-09-19 2024-03-2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광학 센서의 윈도우 오염 대응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153A (ko) 2005-04-19 2006-10-24 삼성물산 주식회사 건자재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의유해물질 간이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20120135963A (ko) 2011-06-08 2012-12-18 안지윤 자동 습도조절 악기 케이스
KR20160103442A (ko) 2015-02-24 2016-09-0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오일의 입자크기 및 함량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153A (ko) 2005-04-19 2006-10-24 삼성물산 주식회사 건자재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의유해물질 간이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20120135963A (ko) 2011-06-08 2012-12-18 안지윤 자동 습도조절 악기 케이스
KR20160103442A (ko) 2015-02-24 2016-09-0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오일의 입자크기 및 함량 측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6027A1 (de) * 2022-07-21 2024-01-25 Brave Analytics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r verschmutzung
KR20240039332A (ko) 2022-09-19 2024-03-2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광학 센서의 윈도우 오염 대응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 et al. Reaction probabilities for N2O5 hydrolysis on sulfuric acid and ammonium sulfate aerosols at room temperature
US8244482B2 (en) Photometrically modulated delivery of reagents
US5431734A (en) Aluminum oxide 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LPCVD) system-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ource chemical control
KR20190141440A (ko) 유기화합물 입자 크기 및 입자 발생량 실시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JP2918035B2 (ja) 低濃度校正用ガス混合物の発生装置
George et al. Measurements of uptake coefficients for heterogeneous loss of HO 2 onto submicron inorganic salt aerosols
US9389168B2 (en) Mercury monitor
CN103487593A (zh) 一种气体分析装置及方法
CN103712962A (zh) 一种基于气雾化与共振激发的激光探针分析仪
Karakaya et al. Mass spectrometric study on the combustion of tetramethylsilane and the formation of silicon oxide clusters in premixed laminar low-pressure synthesis flames
US20050246107A1 (en) Photometrically modulated delivery of reagents
CN112458435B (zh) 原子层沉积设备及清洗方法
CN108982645A (zh) 一种纳米镀膜工艺的集成式在线检测方法
CN111812002A (zh) 小流量气溶胶测量方法
CN105278568B (zh) 一种滞后性甲醛浓度自动控制方法
CN113244641B (zh) 一种稀有金属的蒸发注射装置及蒸发注射方法
Sayer et al. Simultaneous spectroscopic detection of adsorbed and gas-phase species during atmospherically relevant heterogeneous reactions
Kim et al.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influencing the continuous monitoring of carbon monoxide using NDIR sensor
TW201825893A (zh) 一種應用光譜儀來量測氣體解離狀態的量測方法及其裝置
Brovikova et al. Kinetic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of heterogeneous recombination of O (3P) atoms in O2-Ar plasma
CN203786134U (zh) 高回收率气体分析仪采样装置
CN214097075U (zh) 一种多组分挥发性有机物稳定发生装置
Bardwell et al. Kinetics and mechanism of the C2H5O2+ NO reaction: A temperature and pressure dependence study using chemical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CN105738346A (zh) 工作场所空气中硼及其化合物含量的测定方法
CN208155947U (zh) 一种用于药物在线检测的分析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