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0153A - 건자재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의유해물질 간이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건자재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의유해물질 간이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0153A
KR20060110153A KR1020050032393A KR20050032393A KR20060110153A KR 20060110153 A KR20060110153 A KR 20060110153A KR 1020050032393 A KR1020050032393 A KR 1020050032393A KR 20050032393 A KR20050032393 A KR 20050032393A KR 20060110153 A KR20060110153 A KR 20060110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ampler
support
measuring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재
이은택
이승민
성민기
신이치 타나베
타카오 아리가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유겐가이샤 애드텍
가부시키가이샤 에어굳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유겐가이샤 애드텍, 가부시키가이샤 에어굳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2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0153A/ko
Publication of KR20060110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01N31/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for investigating presence of specific gases or aerosols
    • G01N31/224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for investigating presence of specific gases or aerosols for investigating presence of dangerous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6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건축 내장재 등의 건축자재 및 시공자재에서 방출하는 포름알데히드 또는 휘발성유기화합물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간단하게 정성/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검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측정 대상물의 표면을 덮으며 위치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부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소정의 용적을 갖는 공간부로 형성된 측정용기;
상기 용기의 일측면에 공간부와 통하도록 형성된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측정 대상물의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과 같은 유해물질을 흡착하여 포집하는 샘플러;
상기 용기의 개방부측을 측정 대상물에 가압하여 밀착 지지시키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건축자재,포름알데히드,휘발성유기화합물,유해물질,측정용기

Description

건자재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의 유해물질 간이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DEVICES AND A METHOD FOR MEASURING EMISSION SUBSTANCES FROM CONSTRUCTION MATERIAL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샘플러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시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측정장치를 바닥면에 설치할 경우 제공되는 지지부의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측정장치를 벽면이나 천장면에 설치할 경우 제공되는 홀더와 지지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측정장치의 사용상태 예시도로서, 바닥면의 유해물질을 측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측정장치의 사용상태 예시도로서, 벽면의 유해물질을 측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측정장치의 사용상태 예시도로서, 천장면의 유 해물질을 측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건자재에서 방산되는 오염물질의 포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내장재 등의 건축자재 및 시공자재에서 방출하는 포름알데히드 또는 휘발성유기화합물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간단하게 정성/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축물, 특히 주택에 있어서, 포름알데히드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s)등의 화학물질에 의한 실내 공기의 오염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화학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시크하우스 증후군(Sick house syndrome),  화학물질 과민증 등의 건강피해도 다수 보고되고 있다.
상기 건강피해의 원인은 건축기술의 향상에 동반한 고기밀, 고단열에 기인한 것이며, 건축자재 개발기술 향상에 따라 사용된 화학물질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종래에는 문제시되지 않았던 내장재 등이 근래에 제작된 건축자재로 사용되면서, 벽지, 플로링재, 파티클 보드, 가구 등의 접착제 및 합판, 단열재, 시트, 도료 등에 포함되어 있는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등의 카르보닐 화합물과 톨 루엔, 자일렌, 에칠벤젠, 스틸렌, 파라디클로로벤제 등으로 대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하고 있다.
이러한 화학물질에는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하거나 발암 물질이 포함되어있으므로, 인체가 이러한 유해 오염물질에 노출이 되면 두통, 눈·코·목의 자극, 기침, 가려움증, 현기증, 피로감,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고, 오랜 기간 노출이 되면 호흡기질환, 심장병, 암 등의 질병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마감재 대신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실내의 화학물질농도를 허용농도 이하로 유지하기 위하여 충분한 환기량을 확보함과 아울러 화학물질 발생원을 명확히 하고, 그 발생량을 저감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것을 위하여 실내 공기중의 유해 물질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가 다수 알려져 있으며, 기존의 실내공기중의 화학물질을 평가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건축자재로부터 발생하는 유해물질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출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실내공기중의 화학물질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방출속도에 사용면적을 곱하여 실내공기중 화학물질 농도를 개산(槪算)할 수 있다. 상기 건축자재로부터 발생하는 크기를 나타내는 방출속도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에는 챔버법과 FLEC법(Field and Laboratory Emission Cell) 등이 있다.
챔버법은 건자재 등의 시재를 수납하는 챔버에 포집관을 설치하고, 환기를 가상한 화학물질 오염도가 낮은 신선한 공기를 연속적으로 챔버내에 공급하면서, 동시에 시재의 표면에서 방출하는 화학물질을 포집관을 통해 채집하고, 배기중의 대상 화학물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공급 공기유량 및 시재의 표면적에서 건자재의 단위면적당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카르보닐 화합물 등의 방출속도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FLEC법은 건축자재 등의 시험체에 셀(Cell)을 설치하고, 그 용기안에 포집관을 설치한 후, 환기를 가상한 오염물질 오염도가 낮은 신선한 공기를 연속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시험체 표면에서 방출하는 화학물질을 포집관을 통해 채집하고, 배기중의 대상 화학물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공급 공기유량 및 시험체의 표면적에서 건자재의 단위면적당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카르보닐 화합물 등의 방출속도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상기한 챔버법 및 FLEC법에 의해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의 방출속도의 산출이 가능해졌으며, 기술정밀도면에서도 우수하여 국외 또는 국내에서도 규격화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공기를 공급하는 펌프 및 유량산출장치, 공기의 온,습도 등의 제어장치를 갖춘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장치의 크기가 크며, 고가이므로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측정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동시에 측정장치의 대수에도 한계가 있다. 또한, 국내의 수 만호나 되는 신축공동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에 이 장치를 모두 적용시키는 것은 무리가 있는 일이다. 그리고, 챔버법은 현장시험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실내 공기중의 화학물질을 평가하는 다른 방법인 실내 공기중의 화학물질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펌프를 이용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용 Tenax-TA 튜브와 알데히드류 흡착용 DNPH 카트리지에 포집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실내 공기중의 화학물질 농도를 비교적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으나, 실내의 바닥, 천장, 벽, 가구 등 오염원이 어디인지에 대한 판단이 불가능하며, 가구 등의 오염영향을 파악하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에서, 보다 간편하게 포름알데히드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의 방출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었다.
일반적인 실내 공기중의 화학물질농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측정을 실시할 대상공간을 외기와 소정시간 환기를 하는 단계와, 실내 공간의 상태를 유지하여 오염가스의 발생원으로서 바닥, 벽, 천장 및 가구 등의 건자재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소정의 포집재에 포집하는 단계와, 포집재에 포집한 포집물을 소정의 용매를 이용하여 용해시켜 용액을 만드는 과정과, 용액을 자외선 분광광도검출기를 갖춘 크로마토그래프에서 발생가스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실내 공기중의 화학물질농도를 평가하기 위한 공정시험방법으로서, 챔버법과 액티브 측정법이 알려져 있으며, 상기 챔버법의 경우, 시료준비, 시료의 챔버적재, 챔버 운전/샘플링, 분석 등을 행하여 공기중의 포름알데히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측정하게 된다.
액티브 측정법은 측정 대상지의 실내를 30분 동안 환기시킨 다음, 5시간 이 상 밀폐한 후, 30분 동안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때 조건은 환기는 현관을 제외한 모든 문과 창, 가구의 문 등을 열어 자연환기를 행하면서 실내온도는 20??이상 유지하여야 하고, 밀폐시는 외기와 면한 창문만 닫아야 하며, 측정은 오후 1시에서 5시 사이에 거실 중앙부 1곳에서 바닥에서 1.2~1.5m 높이, 벽에서 1m이상 떨어진 곳에서 환기시스템 가동중지 상태에서 측정해야 한다.
하지만, 이런 방법에 있어서도 흡인펌프가 필요하기 때문에 장치의 간략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기존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방출속도의 산정을 위해 우수한 FLEC법이나 챔버법과의 관계가 반드시 성립하지도 않으며, 규격화가 진행될 때 많은 문제점이 발생했다.
만일, 기존의 FLEC법이나 챔버법, 또는 다른 방법의 결과를 대체할 수 있는 간편한 검출장치나 방법이 있다면, 신축 건축물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의 노출양의 산정을 쉽게 할 수 있어, 시크하우스, 시크빌딩의 문제해결에 큰 공헌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갖추며 건축자재 각각의 오염원에서 유해물질의 방출정도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는,
측정 대상물의 표면을 덮으며 위치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부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소정의 용적을 갖는 공간부로 형성된 측정용기;
상기 용기의 일측면에 공간부와 통하도록 형성된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측정 대상물의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과 같은 유해물질을 흡착하여 포집하는 샘플러;
상기 용기의 개방부측을 측정 대상물에 가압하여 밀착 지지시키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용기는 일측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휘발성 유기화합물질 등의 방출속도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으며, 용기의 공간부 용적은 대략 200㎤∼5,000㎤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의 개방부측에는 측정시 공간부의 밀폐력을 높이기 위하여 실리콘이나 고무로 이루어진 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용기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로서, 부호2는 측정용기를 지칭한다.
상기 측정용기(2)는 측정 대상물의 표면을 덮으며 위치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부(4)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소정의 용적을 갖는 공간부(6)로 형성된다.
상기 용기(2)는 금속이나 유리 등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일측면이 개방된 사각형상의 육면체로 이루어져 휘발성 유기화합물질 등의 방출속도를 정확하게 산 출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즉, 용기가 반원통이나 반구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개구부의 면적에 비해 내부면적이 작아지고, 원통 내부공간에 기류가 발생할 수가 있어 건자재 표면에서 휘발하는 유해물질이 대류하여 정확한 농도의 측정이 곤란한데, 본 발명에 제공된 용기는 사각형상의 육면체로 이루어져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기(2)의 공간부(6) 용적은 대략 200㎤∼5,000㎤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것은 측정용기(2)의 용적도 유해물질 검출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250㎤∼1000㎤의 범위내의 용적이 유해물질 검출결과에 비교적 정확하며 재현성이 있다.
또한 용기(2)의 개방부(4)측은 외측으로 접철된 절곡부(8)로 형성되어, 유해물질 측정시 용기(2)의 개방부(4)측이 측정 대상물의 넓은 접촉면에 걸쳐 접촉되어 기밀이 유지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용기(2)의 일측면에는 공간부(6)와 통하도록 이루어지면서 용기의 외측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용기(2)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장착부(10)가 제공된다. 이 장착부(10)는 용기(2)와 일체로 제작하거나 아니면 별도로 제작하여 용기에 접합이나 용접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0)에는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을 흡착하여 포집하는 샘플러(12)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유해물질의 시료를 채취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샘플러(12)는 도 3에서와 같이 건자재에서 방출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흡착하는 흡착재(14)가 내부에 충진된 튜브(16)와, 상기 튜브(16)의 선단부에 형성된 투과필터(18)와, 튜브(16)의 타측단부에 조립된 캡(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16)는 공기를 차단하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소재로서 예를 들어 유리 및 스텐레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샘플러(12)는 유해물질 측정장치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DSD-DNPH 확산 샘플러 또는 VOC-SD 패시브 샘플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샘플러(12)는 용기(2)의 장착부(10)에 삽입함으로써 샘플러(12)가 장착됨과 아울러 용기(2)의 내부를 밀폐하도록 이루어지는데, 따라서 장착부(10)는 샘플러(12)가 긴밀하게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 샘플러(12)의 형상에 따라서 장착부(10)의 형상도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샘플러(12)를 구성하는 흡착제는, 포집 하고자 하는 유해물질의 종류에 따라서 그에 적합한 재료를 선택하여, 대상 휘발성 유기화학물질을 흡착하여 포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샘플러(12)는 예를 들어 환경부가 고시한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에 제시되어 있는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자일렌, 스티렌, 에틸벤젠, 파라디클로로벤젠, 벤젠 및 아세트알데히드 등을 포집 대상으로 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샘플러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확산 샘플러 또는 패시브 샘플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측정장치는, 유해물질 측정시 용기(2)의 개방부(4)측의 밀폐력을 높이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리콘이나 고무로 이루어진 시트(2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트(22)는 용기(2)의 절곡부(8)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24)이 형성되고, 중앙부는 용기(2)의 공간부(6)와 통하도록 공간(26)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측정장치에는 용기(2)를 측정대상물에 가압하여 밀착 지지시킬 수 있도록 지지부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부는 측정대상물이 바닥면일 경우에 사용되는 것과, 벽면이나 천장면에 사용되는 것으로 나뉠 수 있다.
바닥면일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중량을 갖는 중량판(28)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중량판(28)의 중심부에는 용기(2)에 형성된 장착부(10)가 위치될 수 있도록 관통홀(30)이 형성된다.
측정대상물이 벽면이나 천장일 경우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를 감싸는 홀더(32)와,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홀더(32)에 조립되고 타측은 피 고정체에 지지되어 홀더(32)를 가압 지지하는 지지대(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홀더(32)는 용기(2)의 외둘레면을 감싸는 지지부(36)와, 상기 지지부(36)와 연결되는 연결부(38)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36)는 용기(2)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그 일측에는 장착부(10)가 용기(2)의 측면으로 형성될 경우, 여기에 장칙되는 샘플러가 위치될 수 있도록 홈(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8)는 지지대(34)와 분리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구멍(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4)는 홀더(32)의 연결부(38)와 분리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는 지지판(44)과, 이 지지판(44)의 일측으로 연장되면서 길이조절 가능한 암(arm)(46)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44)과 암(46)의 선단부 사이에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48)가 제공되어, 지지대(34)가 홀더(32)를 소정의 장력으로 밀어 용기(2)가 설치된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암(46)은 직경이 다른 다수개의 파이프로 구성되어, 각각의 파이프가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면서, 각각의 단부에는 파이프가 인출된 상태를 고정 및 고정 해제하는 고정부(50)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는, 측정 대상물이 설치된 건물의 바닥면, 벽면, 천장에 따라서 그에 맞도록 측정장치를 설치한 후, 유해물질을 포집하도록 구성되는데, 도 8 내지 도 12에 본 발명의 측정장치의 설치상태 예시도가 도시되어있다.
먼저 바닥면의 유해물질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8에서와 같이 측정대상물의 바닥면(100)에 시트(22)를 놓고, 시트(22)의 홈(24)에 용기(2)의 절곡부(8)를 위치시킨 후, 장착부(10)에 샘플러(12)를 삽입하고 용기(2)에 중량판(28)을 올려놓으면 설치가 완료된다.
벽면의 유해물질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측정 대상물의 벽면(200)에 시트(22)를 위치시키고, 시트(22)의 홈(24)에 용기(2)의 절곡부(8)를 삽입한 후, 장착부(10)에 샘플러(12)를 삽입하고 용기(2)의 외측에 홀더(32)의 지지부(36)를 끼워 거치한다.
그 다음, 연결부(38)에 지지대(34)의 지지판(44)을 위치시키고, 체결구멍(42)에 고정부재를 체결하여 홀더(32)와 지지대(34)를 조립한 후, 암(46)의 길이를 조절하여 그 끝단부를 다른 피고정체에 지지시키면 측정장치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지지판(44)과 암(46)의 선단부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48)의 외향탄력이 작용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탄성부재(48)위 외향탄력으로 인하여 용기(2)에는 소정의 장력이 작용하여 설치된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천장면(300)의 유해물질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의 측정장치 설치상태도로서, 상기 벽면에 측정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와 유사한 방법으로 설치 할 수 있다.
도 13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건축자재의 오염원에서 유해물질의 방산정도를 포집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하나의 예로서 바닥면의 유해물질을 측정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이와 같은 측정을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먼저, 측정대상물의 바닥면(100)에 시트(22)를 놓고, 시트(22)의 홈(24)에 용기(2)의 절곡부(8)를 위치시킨다.
이때 도 13a와 같이 용기(2)에 샘플러(12)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로 배치하는 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용기(2) 내부 및 외부의 바닥면(100)에서는 여러 가지 유해물질(M)이 방출되며, 처음에는 용기(2) 내부의 유해물질 농도가 외부보다 높지만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용기(2) 내부와 외부의 유해물질 농도는 동일한 농도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3b에서와 같이 포집 하고자 하는 유해물질의 흡착제(14)가 튜브(16)에 충진된 샘플러(12)를 용기(2)의 장착부(10)에 삽입하면, 용기(2)의 내부가 밀폐되며, 이에 따라 용기(2) 내부 밀폐공간의 유해물질의 입자수가 줄어들어, 평행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유해물질(M)의 방출이 시작되며, 방출되는 유해물질 중에서 포집 하고자 하는 유해물질(M')은 투과 필터(18)를 거쳐 흡착제(14)에서 흡착 저장되고, 포집된 유해물질(M')의 입자수만큼 새로운 유해물질(M)이 방출되어 보충되기 때문에 건자재에 유해화학물질이 남아있는 한, 측정용기(2)내외 유해물질의 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샘플러를 바꿔가면서 흡착재를 포집 하고자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흡착하는 재료를 선택하여, 포집 대상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시료를 채취할 수 있으며, 이렇게 소정의 시간동안 흡착제(14)에서 포집된 샘플러 만을 도출하여, 더 이상 흡착재가 흡착을 하지 않도록 보관한다.
그리고, 포집된 샘플러 내의 흡착재(14)를 분석하여, 그 농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것이 완료되면 측정용기(2)의 개방부(4) 면적, 즉 건자재 표면적과 흡착시간, 측정용기(2)의 체적과의 관계를 계산하여 해당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방출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바닥(100)은 물론 벽면(200) 천정(300) 또는 가구 등에서의 유해물질 방출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실내의 바닥, 천장, 벽, 가구 등 오염원이 어디인지 판단이 가능하고 오염원의 원인을 규명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시 용기(2)의 설치 및 해체작업은, 비교적 소형인 크기의 용기(2)를 바닥면에 놓거나, 벽면 또는 천장에 위치시킨 후, 홀더(32)와 지지대(34)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으므로 유해물질의 시료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대상물의 시료가 검출되면, 미리 건자재의 표면적과 농도의 관계와, FLEC법 및 챔버법과의 상관관계를 산출해두어,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과의 상관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관관계를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과 FLEC법과의 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시험예 1] 본 발명과 FLEC법과의 상관관계
방향족탄화수소류 방출속도와 상관도를 나타내고 있다. FLEC법은 유럽쪽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ISO의 한 측정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본 측정기기의 유용성을 증명하기 위해, FLEC법과의 비교검토를 실시했다. 측정은 EPS(비즈법폴리스티롤폼)의 방출속도를 검토하였으며, VOCs-SD 패시브 샘플러를 이용하여 FLEC법과 비교하였다.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5020316922-PAT00001
실험결과, 표 1에서와 본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과 FLEC을 이용한 값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시험예로서, 건자재 표면에서 방출되는 유해물질의 방출강도가 경과일수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때 챔버법에 관해서는 공기청정협회의 공정시험법, 환경부가 고시한 챔버규격에 맞는 20L챔버를 이용하였다. 건재1-3까지의 비교결과를 표 2 내지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 본 발명과 FLEC법, 챔버법간의 측정 비교예
[표 2]
Figure 112005020316922-PAT00002
[표 3]
Figure 112005020316922-PAT00003
[표 4]
Figure 112005020316922-PAT00004
상기 표 2 내지 표 4의 결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측정장치에 의하면, 펌프등 복잡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현장측정법인 FLEC법에 비하여 동일한 정밀도로 건축자재의 유해물질 방출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챔버법과 비교하여도 비교적 정밀도 높은 측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는, 측정대상물에 설치되는 측정용기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간단하고 빠르게 할 수 있으므로 유해물질의 시료를 쉽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의 바닥, 천장, 벽, 가구 등의 오염물질 방출량을 정성/정량적으로 각각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해물질의 발생원이 어디인지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므로 유해물질의 정확한 제거 또는 감산 작업을 행할 수 있다.

Claims (14)

  1. 측정 대상물의 표면을 덮으며 위치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부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소정의 용적을 갖는 공간부로 형성된 측정용기;
    상기 용기의 일측면에 공간부와 통하도록 형성된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측정 대상물의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과 같은 유해물질을 흡착하여 포집하는 샘플러;
    상기 용기의 개방부측을 측정 대상물에 가압하여 밀착 지지시키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일측면이 개방된 사각형상의 육면체로 이루어진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공간부 용적은 대략 200㎤∼5,000㎤로 형성된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개방부측은 외측으로 접철된 절곡부로 형성되어, 유해물질 측정시 용기가 측정 대상물의 넓은 접촉면에 걸쳐 접촉되어 기밀이 유지되도록 된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용기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접합이나 용접 등으로 고정된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
  6.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용기의 외측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용기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샘플러를 장착할 경우 장착부를 완전히 밀폐하면서 샘플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개방부측에는 실리콘이나 고무로 이루어진 시트가 제공되어 유해물질 측정시 용기 내부의 밀폐력을 높이도록 형성된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용기의 개방부측에 형성된 절곡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고 중앙부는 용기의 공간부와 통하도록 이루어진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용기의 일측에 놓여져 용기를 가압하는 중량판으로 이루어진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중량판에는 용기에 형성된 장착부가 위치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용기를 감싸는 홀더와,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홀더에 조립되고 타측은 피 고정체에 지지되어 홀더를 가압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된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용기의 외둘레면을 감싸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홀더의 연결부와 분리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의 일측으로 연장되면서 길이조절 가능한 암으로 구성된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장치.
  14.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추며 내부와 외부가 통하도록 이루어진 용기를 측정대상물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용기에 포집 하고자 하는 유해물질의 흡착제가 충진된 샘플러를 장착하는 단계;
    상기 장착된 샘플러를 통하여 밀폐된 용기 내부의 측정대상물 표면에서 방출되는 유해물질 중에서 포집 대상 휘발성유기화합물 시료를 포집하는 단계;
    상기 포집된 시료를 분석하여 그 농도를 산출한 후, 측정대상물의 표면적과 흡착시간 용기의 체적과의 관계를 계산하여 해당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방출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건자재 유해물질 측정방법.
KR1020050032393A 2005-04-19 2005-04-19 건자재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의유해물질 간이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20060110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393A KR20060110153A (ko) 2005-04-19 2005-04-19 건자재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의유해물질 간이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393A KR20060110153A (ko) 2005-04-19 2005-04-19 건자재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의유해물질 간이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871U Division KR200393151Y1 (ko) 2005-04-19 2005-04-19 건자재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의유해물질 간이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153A true KR20060110153A (ko) 2006-10-24

Family

ID=37616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393A KR20060110153A (ko) 2005-04-19 2005-04-19 건자재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의유해물질 간이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015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072B1 (ko) * 2007-01-05 2008-01-2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Voc 분석기를 이용한 시편 voc 방산 측정방법
KR101018455B1 (ko) * 2008-11-21 2011-03-0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휘발성 유기물의 표준 방산량 측정을 위한 표준 확산용기 및 휘발성 유기물 방산량 측정능력 평가방법
JP2018185173A (ja) * 2017-04-24 2018-11-22 三浦工業株式会社 揮発性有機化合物の捕集速度の補正方法
KR20190141440A (ko) 2018-06-14 2019-12-2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유기화합물 입자 크기 및 입자 발생량 실시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N116735805A (zh) * 2023-07-12 2023-09-12 芜湖大正机动车检测服务有限公司 一种汽车车内空气质量检测装置
CN117110553A (zh) * 2023-10-20 2023-11-24 北京市科学技术研究院城市安全与环境科学研究所 建材污染物逸出潜势的确定方法及检测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072B1 (ko) * 2007-01-05 2008-01-2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Voc 분석기를 이용한 시편 voc 방산 측정방법
KR101018455B1 (ko) * 2008-11-21 2011-03-0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휘발성 유기물의 표준 방산량 측정을 위한 표준 확산용기 및 휘발성 유기물 방산량 측정능력 평가방법
JP2018185173A (ja) * 2017-04-24 2018-11-22 三浦工業株式会社 揮発性有機化合物の捕集速度の補正方法
KR20190141440A (ko) 2018-06-14 2019-12-2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유기화합물 입자 크기 및 입자 발생량 실시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N116735805A (zh) * 2023-07-12 2023-09-12 芜湖大正机动车检测服务有限公司 一种汽车车内空气质量检测装置
CN116735805B (zh) * 2023-07-12 2024-01-02 江苏富泰净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车内空气质量检测装置
CN117110553A (zh) * 2023-10-20 2023-11-24 北京市科学技术研究院城市安全与环境科学研究所 建材污染物逸出潜势的确定方法及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08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contaminants
KR20060110153A (ko) 건자재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의유해물질 간이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Afshari et al. Comparison of three small chamber test methods for the measurement of VOC emission rates from paint.
JP2002122521A (ja) 建材・施工材からの揮発性有機化合物等の放散量検出装置
Rizk et al. Fast sorption measurement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on building materials: Part 1–Methodology developed for field applications
Plaisance et al. Assessment of uncertainty of benzene measurements by Radiello diffusive sampler
Brown et al. Assessment of pumped mercury vapour adsorption tubes as passive samplers using a micro-exposure chamber
US200501207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contaminants
Dugheri et al. How improvements in monitoring and safety practices lowered airborne formaldehyde concentrations at an Italian university hospital: a summary of 20 years of experience
KR200393151Y1 (ko) 건자재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의유해물질 간이 측정장치
CN112067751A (zh) 散发物检测装置
JP2002350421A (ja) 車載型有機汚染物質測定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汚染物質の測定方法
JP2018512582A (ja) 流体フロー中の粒子および気相成分の受動的または能動的サンプリング方法
KR20140142541A (ko) 수분투과성 평가기
Batlle et al. Development of a personal isocyanate sampler based on DBA derivatization on solid-phase microextraction fibers
JP4285353B2 (ja) 化学物質放散度評価方法
JP2013200226A (ja) 植物放出ガス捕集装置、植物放出ガス分析装置および植物放出ガス分析方法
JP4849546B2 (ja) パッシブ型放散量測定装置
Gonzalez-Flesca et al. A new laboratory test chamber for the determination of diffusive sampler uptake rates
JP5181299B2 (ja) 材料の評価方法
RU256833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утечек взрывоопасных жидкостей на основе пьезосенсора
JP4037672B2 (ja) 住宅のホルムアルデヒド濃度の簡易測定方法
Chatzidiakou et al. Indoor Air Quality and Ventilation Measurement
JP4476849B2 (ja) 汚染物質放散量の測定方法
CN205091219U (zh) 被动质量通量测量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