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626A -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626A
KR20190140626A KR1020180067339A KR20180067339A KR20190140626A KR 20190140626 A KR20190140626 A KR 20190140626A KR 1020180067339 A KR1020180067339 A KR 1020180067339A KR 20180067339 A KR20180067339 A KR 20180067339A KR 20190140626 A KR20190140626 A KR 20190140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electric vehicle
power
energy source
power mo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8633B1 (ko
Inventor
한세경
유병구
서민규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7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633B1/ko
Publication of KR20190140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이 개시된다.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은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가 상기 건물의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되면, 해당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충방전 스케줄에 따라 상기 건물의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된 전기차를 방전시켜 상기 건물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METHOD OF POWER MOBILITY SERVICE PER UNIT AREA, SERVER OF POWER MOBILITY MANAGEMENT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POWER MOBILITY SYSTEM PER UNIT AREA INCLUDING THE SERVER}
본 발명은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되는 전기차로부터 건물 부하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규모 건물에서는 에너지 관리가 매우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지능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은 빌딩에 IT 기술을 활용하여 전기, 공조, 방범, 방재 같은 여러 건축 설비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냉난방 공조 설비, 조명 설비 및 전력 설비 등의 사용을 제어하는 피크 부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건물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처럼 건물의 에너지 관리를 위한 종래의 피크 부하 제어 시스템 또는 방법들은 각종 설비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피크 부하 제어를 수행할 뿐이므로,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에너지 관리를 수행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고,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인접 지역에 위치하는 전기차 중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를 탐색하여 파워 모빌리티 참여를 제안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건물의 목표 전기 요금과 건물의 실제 전기 요금의 차이를 이익금으로 산출하여 에너지 전달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에게 분배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은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가 상기 건물의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되면, 해당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충방전 스케줄에 따라 상기 건물의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된 전기차를 방전시켜 상기 건물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건물의 목표 전기 요금과 상기 건물의 실제 전기 요금의 차이를 실제 이익금으로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이익금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전기차주, 건물주 및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 제공자에게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탐색하는 단계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된 전기차 중 상기 건물과의 거리 및 SOC(State of Charge)에 기반하여,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탐색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탐색하는 단계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된 전기차 중 SOC가 미리 설정된 최저 SOC 이상인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로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탐색하는 단계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된 전기차 중 현재 위치가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시간에 상기 건물에 도착할 수 있는 위치인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로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탐색하는 단계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된 전기차 중 SOC가 미리 설정된 최저 SOC 이상이고, 현재 위치가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시간에 상기 건물에 도착할 수 있는 위치인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로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탐색하는 단계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된 전기차 중 SOC가 미리 설정된 최저 SOC 미만이고, 현재 위치가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시간보다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빨리 도착할 수 있는 위치인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로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의 위치, 서비스 참여 시간 및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시간 및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에 따른 예상 이익금을 포함하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로 탐색된 전기차주가 소지하는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상기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피크 부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추출한 피크 부하에 의해 상기 건물에서의 하루 동안의 피크 부하가 갱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추출한 피크 부하에 의해 피크 부하가 갱신될 것으로 예측되면, 해당 피크 부하 발생 시간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는, 피크 부하 발생 예측 시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시간 및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에 따른 예상 이익금을 포함하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를 건물주의 이동 단말로 전송하여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는,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전력 수요 예측부,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탐색하는 전기차 탐색부 및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가 상기 건물의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되면, 해당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고, 상기 충방전 스케줄에 따라 상기 건물의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된 전기차를 방전시켜 상기 건물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충방전 스케줄을 상기 전기차 충전기로 전달하는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건물의 목표 전기 요금과 상기 건물의 실제 전기 요금의 차이를 실제 이익금으로 산출하는 이익금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익금 산출부는, 상기 실제 이익금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전기차주, 건물주 및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 제공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차 탐색부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된 전기차 중 상기 건물과의 거리 및 SOC(State of Charge)에 기반하여,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차 탐색부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된 전기차 중 SOC가 미리 설정된 최저 SOC 이상이거나, 현재 위치가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시간에 상기 건물에 도착할 수 있는 위치이거나, SOC가 미리 설정된 최저 SOC 미만이고, 현재 위치가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시간보다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빨리 도착할 수 있는 위치인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로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차 탐색부는, 상기 건물의 위치, 서비스 참여 시간 및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시간 및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에 따른 예상 이익금을 포함하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로 탐색된 전기차주가 소지하는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수요 예측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상기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고,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피크 부하를 추출하며,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추출한 피크 부하에 의해 상기 건물에서의 하루 동안의 피크 부하가 갱신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수요 예측부는, 상기 피크 부하가 갱신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피크 부하 발생 예측 시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시간 및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에 따른 예상 이익금을 포함하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를 건물주의 이동 단말로 전송하여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은 전기차, 상기 전기차를 충전 또는 방전시킬 수 있는 전기차 충전기가 설치된 건물 및 상기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고,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탐색하며,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가 상기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되면, 해당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고, 상기 충방전 스케줄에 따라 상기 건물의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된 전기차를 방전시켜 상기 건물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충방전 스케줄을 상기 전기차 충전기로 전달하는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차를 에너지 저장장치로 사용하여 건물의 피크 부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건물의 전기 요금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건물의 전기 요금 절감에 따른 이익금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전기차주, 건물주 또는 서비스 플랫폼 제공자 간에 분배함으로써, 전기차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이로 인해, 건물 관리인은 충분한 에너지원을 확보하게 되며, 서비스 플랫폼 제공자는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을 이용한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력 수요 예측부에서 예측하는 건물의 전력 수요 예측 결과의 일 예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전력 수요 예측부로부터 건물주에게 전달하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의 일 예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전기차 탐색부로부터 전기차주에게 전달하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의 일 예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에서 충방전 스케줄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1000)은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 건물(300) 및 전기차(500)를 포함하여 전기차(500)에 저장된 에너지를 건물(300) 내 부하(Load)로 공급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기차(500)는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전기차 충전기를 통해 계통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하고,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차량을 동작시킬 수 있다.
건물(300)은 전기차(500) 충전을 위한 전기차 충전기가 설치될 수 있다. 전기차 충전기는 건물(300)에서 차량이 정차할 수 있는 공간(일예로, 주차장)에 설치될 수 있다. 전기차 충전기는 양방향 배터리 충전기 구조를 채택하여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되는 전기차를 충전 또는 방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건물(300)은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가 구축되어, 건물(300)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고, 피크 부하 발생 시 전기 요금 절감을 위한 피크 부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는 건물(300) 및 전기차(500)가 참여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을 이용한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는 건물(300) 및 전기차(500)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는 건물(300)에 구축된 BEMS와 통신하여 건물(300)의 전력 수요, 피크 부하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는 전기차(500)와 통신하여 현재 위치, SOC(State of Charge)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는 건물(300)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고,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건물(300)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500)를 탐색할 수 있다.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는 전기차(500)의 현재 위치, SOC 등의 정보에 기반하여 건물(300)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500)를 탐색할 수 있다.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는 전기차(500) 또는 전기차주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 단말로 건물(300) 정보를 송신하여, 전기차(500)의 건물(300)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는 전기차(500)가 건물(300)로 이동하여, 건물(300)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와 연결되면, 전기차(500)에 저장된 에너지를 건물(300) 내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전기차(500)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는 건물(300)과 현재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500a, 500b, 500c, 500d) 간의 에너지 흐름을 관장할 수 있다.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500a, 500b, 500c, 500d)의 충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충전 정보에는 충전 모드, 완충 희망 시간 및 SOC(state of Charg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는 건물(300)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여 피크 부하를 추출할 수 있다.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는 피크 부하 제어를 위해 필요한 에너지량을 산출할 수 있다.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는 충전 정보를 반영하여 피크 부하 제어를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현재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500a, 500b, 500c, 500d)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도록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충방전 스케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500a, 500b, 500c, 500d)로부터 건물(300) 부하로 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다. 또는, 계통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500a, 500b, 500c, 500d)로 에너지가 전달되어 충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1000)은 인접 지역 내에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전기차(500)를 건물(300)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건물의 피크 부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건물(300)의 전기 요금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1000)은 건물의 전기 요금 절감에 따른 이익금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전기차주, 건물주 또는 서비스 플랫폼 제공자 간에 분배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전기차주의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건물주는 충분한 에너지원을 확보하게 되고, 서비스 플랫폼 제공자는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는 전력 수요 예측부(110), 전기차 탐색부(130),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150) 및 이익금 산출부(170)를 포함하여,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가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전력 수요 예측부(110), 전기차 탐색부(130),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150) 및 이익금 산출부(170)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수요 예측부(110), 전기차 탐색부(130),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150) 및 이익금 산출부(170)의 구성은 통합 모듈로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각 구성은 별도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는 이동성을 갖거나 고정될 수 있다.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는, 단자(socket), 서버(server) 또는 엔진(engine) 형태일 수 있으며, 단말(terminal), 디바이스(device), 기구(apparatus),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는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에 도시된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의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건물(300)의 전력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일예로, 15분)으로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력 수요 예측부에서 예측하는 건물의 전력 수요 예측 결과의 일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건물(300)의 과거 전력 수요 데이터에 기반하여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건물(300)에 구축된 BEMS와 통신하여 건물(300)의 과거 전력 수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전력 수요 예측을 위해 구축된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현재 시간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일예로, 15분) 동안의 전력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건물(300)의 과거 전력 수요 데이터를 기계학습 모델의 입력 변수로 입력하여 건물(300)의 전력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기계학습 모델은 인공신경망, 서포트 벡터 머신, 가우시안 프로세스 모델링, 랜덤 포레스트 또는 유전프로그래밍 중 어느 하나의 기계학습법을 따를 수 있다.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피크 부하를 추출할 수 있다.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추출한 피크 부하와 건물(300)에서 현재까지 실제 기록된 피크 부하를 비교할 수 있다.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추출한 피크 부하가 건물(300)에서 자정부터 현재까지 실제 기록된 피크 부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하루 동안의 피크 부하가 갱신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피크 부하가 갱신될 것으로 예측되면, 해당 피크 부하 발생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피크 부하가 갱신됨을 알리는 경고 알림을 건물주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건물주의 이동 단말 또는 건물(300)에 구축된 BEMS로 피크 부하가 갱신됨을 알리는 경고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피크 부하 제어를 위해 전기차(500)와의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를 건물주에게 전달할 수 있다. 고압전력사용자에게는 연간 최대 피크 부하를 기준으로 다음해 기본요금을 산정하는 기본요금 피크 연동 요금제가 적용될 수 있다.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는 전력 수요 예측 결과 목표로 하는 기본요금에 해당하는 피크 부하 임계치를 초과하는 부하는 전기차(500)로부터 공급 받도록 함으로써, 피크 부하를 제어하는 서비스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전력 수요 예측부로부터 건물주에게 전달하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의 일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피크 부하 발생 시간, 서비스 참여 시간 및 후술하는 이익금 산출부(170)에서 산출하는 예상 이익금 등을 포함하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를 건물주에게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참여 시간은 전력 수요를 예측한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건물주의 이동 단말 또는 건물(300)에 구축된 BEMS로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를 발송하여 그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전기차 탐색부(130)는 건물(300)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500)를 탐색할 수 있다. 전기차 탐색부(130)는 건물주로부터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에 대해 수락 응답을 수신하면, 건물(300)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500)를 탐색할 수 있다.
전기차 탐색부(130)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500)의 현재 위치 및 SOC(State of Charge)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전기차 탐색부(130)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500)와 건물(300) 간의 거리 및 SOC에 기반하여 건물(300)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500)를 탐색할 수 있다.
전기차 탐색부(130)는 SOC가 미리 설정된 최저 SOC 이상인 전기차(500)를 건물(300)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500)로 탐색할 수 있다.
또는, 전기차 탐색부(130)는 현재 위치가 서비스 참여 시간에 건물(300)에 도착할 수 있는 위치인 전기차(500)를 건물(300)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500)로 탐색할 수 있다.
또는, 전기차 탐색부(130)는 SOC가 최저 SOC 이상이고, 현재 위치가 서비스 참여 시간에 건물(300)에 도착할 수 있는 위치인 전기차(500)를 건물(300)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500)로 탐색할 수 있다.
또는, 전기차 탐색부(130)는 SOC가 최저 SOC 미만인 전기차(500) 중 현재 위치가 서비스 참여 시간보다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빨리 도착할 수 있는 위치인 전기차(500)를 건물(300)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500)로 탐색할 수 있다. 이는, 전기차(500)가 서비스 참여 시간보다 미리 정해진 시간 빨리 건물(300) 도착하여 SOC가 최저 SOC 이상이 되도록 충전되는 경우, 피크 부하 발생 예상 시간에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는, 전기차 탐색부(130)는 현재 위치가 건물(300), 구체적으로는, 건물(300)의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된 상태인 전기차(500)를 건물(300)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500)로 탐색할 수 있다.
전기차 탐색부(130)는 이와 같은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전기차(500)를 건물(300)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500)로 간주하여, 해당 전기차주에게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전기차 탐색부로부터 전기차주에게 전달하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의 일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기차 탐색부(130)는 건물(300)의 위치, 서비스 참여 시간 및 후술하는 이익금 산출부(170)에서 산출하는 피크 부하 제어에 따른 이익금 등을 포함하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를 전기차주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차 탐색부(130)는 전기차주의 이동 단말로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를 발송하여 그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150)는 건물(300)의 전기차 충전기에 전기차(500)가 연결되면, 해당 전기차(500)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건물(300)의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되는 전기차(500)는 일반적인 충전을 위해 연결되거나,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를 통해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를 위해 연결된 전기차(500)일 수 있다. 따라서, 건물(300)의 전기차 충전기는 전기차(500) 연결 시, 일반 충전 모드 또는 파워 모빌리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충전 모드를 선택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전기차(500) 사용자로부터 충전 모드를 선택 받을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150)는 일반 충전 모드를 선택한 전기차(500)의 경우, 현재 시간으로부터 완충 희망 시간까지의 전 구간을 전기차(500)의 충전 또는 휴식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하는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150)는 파워 모빌리티 모드를 선택한 전기차(500)의 경우, 서비스 참여 시간에 해당하는 전 구간을 전기차(500)의 방전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하는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에서 충방전 스케줄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150)는 목표로 하는 기본요금에 해당하는 피크 부하 임계치(Peak Criterion)를 설정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150)는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추출한 피크 부하와 피크 부하 임계치를 비교하고,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추출한 피크 부하 및 피크 부하 임계치 차 이상의 에너지를 전기차(500)로부터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 참여 시간에 해당하는 전 구간(일예로, 15분 간)을 전기차(500)의 방전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하는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파워 모빌리티 모드를 선택한 전기차(500) 중에서, SOC가 최저 SOC 미만이나 현재 위치가 서비스 참여 시간보다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빨리 도착할 수 있는 위치에 해당하는 전기차(500)의 경우,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150)는 현재 시간으로부터 서비스 참여 시간까지의 구간은 전기차(500)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하고, 서비스 참여 시간에 해당하는 전 구간을 전기차(500)의 방전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하는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전기차(500)는 충전 구간에 의해 SOC가 최저 SOC 이상으로 되어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150)는 이와 같이 생성한 충방전 스케줄을 전기차 충전기에 전달할 수 있다. 전기차(500)는 전기차 충전기에 의해 충방전 스케줄에 따라 방전되어 건물(300)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이익금 산출부(170)는 목표 전기 요금을 기준으로 한 이익금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익금 산출부(170)는 피크 부하 임계치에 따른 기본 요금을 산정하고, 기본 요금을 적용한 건물의 과거 전력 수요 데이터에 대한 요금을 건물(300)의 목표 전기 요금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익금 산출부(170)는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피크 부하가 갱신될 것으로 예측되면, 갱신된 피크 부하에 따른 기본 요금을 산정하고, 기본 요금을 적용한 건물의 과거 전력 수요 데이터에 대한 요금을 건물(300)의 예상 전기 요금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익금 산출부(170)는 목표 전기 요금과 예상 전기 요금의 차를 예상 이익금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상 이익금은 파워 모빌리티 제안 메시지에 포함되어 건물주 또는 전기차주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이익금 산출부(170)는 실제 전기 요금이 청구되면, 목표 전기 요금과 실제 전기 요금의 차이를 실제 이익금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익금 산출부(170)는 실제 이익금을 건물주 및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 제공자 등에게 미리 정해진 비율로 분배하고, 그 나머지는 전기차(500)로부터 건물(300)로 공급된 에너지량에 비례하여 전기차주에게 분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는 건물(300)의 피크 부하 갱신이 예측되면, 인근 지역 내 전기차(500)로부터 건물(300)로 에너지가 공급되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는 예상 이익금을 산출하여 전기차주에게 알림으로써, 보다 많은 전기차주의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은 도 4에 도시된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100)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건물(300)의 전력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600).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건물의 과거 전력 수요 데이터에 기반하여 현재 시간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일예로, 15분) 동안의 전력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피크가 갱신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610).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피크 부하를 추출할 수 있다.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추출한 피크 부하와 건물(300)에서 현재까지 실제 기록된 피크 부하를 비교할 수 있다.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추출한 피크 부하가 건물(300)에서 자정부터 현재까지 실제 기록된 피크 부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하루 동안의 피크 부하가 갱신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피크 부하가 갱신될 것으로 예측되면, 피크 부하 제어를 위해 전기차(500)와의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를 건물주에게 전달할 수 있다(620).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피크 부하가 갱신될 것으로 예측되면, 해당 피크 부하 발생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전력 수요 예측부(110)는 피크 부하 발생 시간, 서비스 참여 시간 및 예상 이익금 등을 포함하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를 건물주에게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참여 시간은 전력 수요를 예측한 시간일 수 있다. 이익금 산출부(170)는 예상 이익금을 산출할 수 있다. 이익금 산출부(170)는 피크 부하 임계치에 따른 기본 요금을 산정하고, 기본 요금을 적용한 건물의 과거 전력 수요 데이터에 대한 요금을 건물(300)의 목표 전기 요금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익금 산출부(170)는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피크 부하가 갱신될 것으로 예측되면, 갱신된 피크 부하에 따른 기본 요금을 산정하고, 기본 요금을 적용한 건물의 과거 전력 수요 데이터에 대한 요금을 건물(300)의 예상 전기 요금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익금 산출부(170)는 목표 전기 요금과 예상 전기 요금의 차를 예상 이익금으로 산출할 수 있다.
전기차 탐색부(130)는 건물주로부터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에 대한 수락 응답을 수신하면(630), 건물(300)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500)를 탐색하고, 해당 전기차주에게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650).
전기차 탐색부(130)는 SOC가 미리 설정된 최저 SOC 이상인 전기차(500)를 건물(300)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500)로 탐색할 수 있다.
또는, 전기차 탐색부(130)는 현재 위치가 서비스 참여 시간에 건물(300)에 도착할 수 있는 위치인 전기차(500)를 건물(300)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500)로 탐색할 수 있다.
또는, 전기차 탐색부(130)는 SOC가 최저 SOC 이상이고, 현재 위치가 서비스 참여 시간에 건물(300)에 도착할 수 있는 위치인 전기차(500)를 건물(300)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500)로 탐색할 수 있다.
또는, 전기차 탐색부(130)는 SOC가 최저 SOC 미만인 전기차(500) 중 현재 위치가 서비스 참여 시간보다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빨리 도착할 수 있는 위치인 전기차(500)를 건물(300)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500)로 탐색할 수 있다. 이는, 전기차(500)가 서비스 참여 시간보다 미리 정해진 시간 빨리 건물(300) 도착하여 SOC가 최저 SOC 이상이 되도록 충전되는 경우, 피크 부하 발생 예상 시간에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는, 전기차 탐색부(130)는 현재 위치가 건물(300), 구체적으로는, 건물(300)의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된 상태인 전기차(500)를 건물(300)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500)로 탐색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150)는 건물(300)의 전기차 충전기에 전기차가 연결되면(660),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된 전기차(500)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670).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150)는 일반 충전 모드를 선택한 전기차(500)의 경우, 현재 시간으로부터 완충 희망 시간까지의 전 구간을 전기차(500)의 충전 또는 휴식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하는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150)는 파워 모빌리티 모드를 선택한 전기차(500)의 경우, 서비스 참여 시간에 해당하는 전 구간을 전기차(500)의 방전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하는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150)는 목표로 하는 기본요금에 해당하는 피크 부하 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150)는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추출한 피크 부하와 피크 부하 임계치를 비교하고,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추출한 피크 부하 및 피크 부하 임계치 차 이상의 에너지를 전기차(500)로부터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 참여 시간에 해당하는 전 구간(일예로, 15분 간)을 전기차(500)의 방전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하는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150)는 파워 모빌리티 모드를 선택한 전기차(500) 중에서, SOC가 최저 SOC 미만이나 현재 위치가 서비스 참여 시간보다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빨리 도착할 수 있는 위치에 해당하는 전기차(500)의 경우, 현재 시간으로부터 서비스 참여 시간까지의 구간은 전기차(500)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하고, 서비스 참여 시간에 해당하는 전 구간을 전기차(500)의 방전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하는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전기차(500)는 충전 구간에 의해 SOC가 최저 SOC 이상으로 되어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익금 산출부(170)는 전기 요금에 대한 이익금을 산출하고 이를 분배할 수 있다(680).
이익금 산출부(170)는 실제 전기 요금이 청구되면, 목표 전기 요금과 실제 전기 요금의 차이를 실제 이익금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익금 산출부(170)는 실제 이익금을 건물주 및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 제공자 등에게 미리 정해진 비율로 분배하고, 그 나머지는 전기차(500)로부터 건물(300)로 공급된 에너지량에 비례하여 전기차주에게 분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
100: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300: 건물
500: 전기차

Claims (20)

  1.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을 이용한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가 상기 건물의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되면, 해당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충방전 스케줄에 따라 상기 건물의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된 전기차를 방전시켜 상기 건물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목표 전기 요금과 상기 건물의 실제 전기 요금의 차이를 실제 이익금으로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이익금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전기차주, 건물주 및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 제공자에게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탐색하는 단계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된 전기차 중 상기 건물과의 거리 및 SOC(State of Charge)에 기반하여,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탐색하는 단계인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탐색하는 단계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된 전기차 중 SOC가 미리 설정된 최저 SOC 이상인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로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탐색하는 단계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된 전기차 중 현재 위치가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시간에 상기 건물에 도착할 수 있는 위치인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로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탐색하는 단계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된 전기차 중 SOC가 미리 설정된 최저 SOC 이상이고, 현재 위치가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시간에 상기 건물에 도착할 수 있는 위치인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로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탐색하는 단계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된 전기차 중 SOC가 미리 설정된 최저 SOC 미만이고, 현재 위치가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시간보다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빨리 도착할 수 있는 위치인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로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위치, 서비스 참여 시간 및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시간 및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에 따른 예상 이익금을 포함하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로 탐색된 전기차주가 소지하는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상기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피크 부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추출한 피크 부하에 의해 상기 건물에서의 하루 동안의 피크 부하가 갱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추출한 피크 부하에 의해 피크 부하가 갱신될 것으로 예측되면, 해당 피크 부하 발생 시간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는,
    피크 부하 발생 예측 시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시간 및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에 따른 예상 이익금을 포함하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를 건물주의 이동 단말로 전송하여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12.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전력 수요 예측부;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탐색하는 전기차 탐색부; 및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가 상기 건물의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되면, 해당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고, 상기 충방전 스케줄에 따라 상기 건물의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된 전기차를 방전시켜 상기 건물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충방전 스케줄을 상기 전기차 충전기로 전달하는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를 포함하는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목표 전기 요금과 상기 건물의 실제 전기 요금의 차이를 실제 이익금으로 산출하는 이익금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익금 산출부는,
    상기 실제 이익금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전기차주, 건물주 및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 제공자에게 분배하는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탐색부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된 전기차 중 상기 건물과의 거리 및 SOC(State of Charge)에 기반하여,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탐색하는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탐색부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된 전기차 중 SOC가 미리 설정된 최저 SOC 이상이거나, 현재 위치가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시간에 상기 건물에 도착할 수 있는 위치이거나, SOC가 미리 설정된 최저 SOC 미만이고, 현재 위치가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시간보다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빨리 도착할 수 있는 위치인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로 탐색하는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탐색부는,
    상기 건물의 위치, 서비스 참여 시간 및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시간 및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에 따른 예상 이익금을 포함하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전기차로 탐색된 전기차주가 소지하는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수요 예측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상기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고,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피크 부하를 추출하며,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추출한 피크 부하에 의해 상기 건물에서의 하루 동안의 피크 부하가 갱신되는지를 확인하는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수요 예측부는,
    상기 피크 부하가 갱신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피크 부하 발생 예측 시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시간 및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에 따른 예상 이익금을 포함하는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참여 제안 메시지를 건물주의 이동 단말로 전송하여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20. 전기차;
    상기 전기차를 충전 또는 방전시킬 수 있는 전기차 충전기가 설치된 건물; 및
    상기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고,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를 탐색하며,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가 상기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되면, 해당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고, 상기 충방전 스케줄에 따라 상기 건물의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된 전기차를 방전시켜 상기 건물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충방전 스케줄을 상기 전기차 충전기로 전달하는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
KR1020180067339A 2018-06-12 2018-06-12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 KR102138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339A KR102138633B1 (ko) 2018-06-12 2018-06-12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339A KR102138633B1 (ko) 2018-06-12 2018-06-12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626A true KR20190140626A (ko) 2019-12-20
KR102138633B1 KR102138633B1 (ko) 2020-07-28

Family

ID=69062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339A KR102138633B1 (ko) 2018-06-12 2018-06-12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6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9689A (zh) * 2020-03-30 2020-06-26 广东工业大学 建筑综合能源调度方法、系统、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CN113673069A (zh) * 2020-05-14 2021-11-19 南京行者易智能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公交车充电模型的设计方法、装置及移动端设备
GB2601574A (en) * 2020-12-01 2022-06-08 Eaton Intelligent Power Ltd Power arrangement, method for providing electrical power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9715A (ko) 2022-06-09 2023-12-18 한국전기연구원 최적 이익 기반의 에너지 수송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5983A (ja) * 2013-12-09 2015-06-22 株式会社東芝 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方法、および電力管理プログラム
KR20150092497A (ko) * 2014-02-05 2015-08-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자동차를 활용한 건물 에너지 피크 부하 절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5983A (ja) * 2013-12-09 2015-06-22 株式会社東芝 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方法、および電力管理プログラム
KR20150092497A (ko) * 2014-02-05 2015-08-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자동차를 활용한 건물 에너지 피크 부하 절감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9689A (zh) * 2020-03-30 2020-06-26 广东工业大学 建筑综合能源调度方法、系统、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CN111339689B (zh) * 2020-03-30 2023-02-07 广东工业大学 建筑综合能源调度方法、系统、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CN113673069A (zh) * 2020-05-14 2021-11-19 南京行者易智能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公交车充电模型的设计方法、装置及移动端设备
CN113673069B (zh) * 2020-05-14 2023-11-03 南京行者易智能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公交车充电模型的设计方法、装置及移动端设备
GB2601574A (en) * 2020-12-01 2022-06-08 Eaton Intelligent Power Ltd Power arrangement, method for providing electrical power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633B1 (ko)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jabi-Ghahnavieh et al. Optimal zonal fast-charging station placement considering urban traffic circulation
KR102138633B1 (ko)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
Hess et al. Optimal deployment of charging stations for electric vehicular networks
JP6179626B2 (ja) 車両予約管理装置、車両予約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Sarker et al. Optimal operation and services scheduling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swapping station
US10083413B2 (en) Optimized placement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US20220080844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to reduce utility cost
Kong Autonomous robot-like mobile chargers for electric vehicles at public parking facilities
CN105555587A (zh) 运行计划创建设备以及运行计划创建方法
JP7492268B2 (ja) 電気自動車送電網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Bibak et al. The parametric analysis of the electric vehicles and vehicle to grid system’s role in flattening the power demand
CN106170417A (zh) 自管理的充电桩
TW201933263A (zh) 資訊處理系統、資訊處理裝置、及資訊處理方法
WO2012079954A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edicting energy requirements of a plurality of electric energy vehicles
Leeprechanon et al. Optimal planning of public fast charging station on residential power distribution system
Hu et al. Integrated optimisation of electric bus scheduling and top-up charging at bus stops with fast chargers
EP3885182A1 (en) Power calculation apparatus and power calculation method
JP2021002940A (ja) エネルギマネージメント方法、及びエネルギマネージメント装置
KR102094353B1 (ko)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
Li et al. Dynamic charging scheduling for electric vehicles considering real-time traffic flow
Kong Extending energy storage lifetime of autonomous robot-like mobile charger for electric vehicles
CN105739412A (zh) 具远程监控功能的基于物联网技术的电力调度装置
Brenna et al. Charging optimization for electric vehicles in large Park & Ride areas
KR101662949B1 (ko) 전기자동차의 축전지를 기반으로 하는 ess 운영 방법 및 시스템
Ismail et al. PEV charging in the future smart gr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