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353B1 -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353B1
KR102094353B1 KR1020180067338A KR20180067338A KR102094353B1 KR 102094353 B1 KR102094353 B1 KR 102094353B1 KR 1020180067338 A KR1020180067338 A KR 1020180067338A KR 20180067338 A KR20180067338 A KR 20180067338A KR 102094353 B1 KR102094353 B1 KR 102094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ic vehicle
building
time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0625A (ko
Inventor
한세경
유병구
서민규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7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353B1/ko
Publication of KR20190140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이 개시된다.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은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현재 상기 건물의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된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충방전 스케줄에 따라 상기 전기차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METHOD OF POWER MOBILITY SERVICE PER BUILDING, APPARATUS OF BUILDING ENERGY MANAGEMENT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POWER MOBILITY SYSTEM PER BUILDING INCLUD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되는 전기차로부터 건물 부하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규모 건물에서는 에너지 관리가 매우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지능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System)은 빌딩에 IT 기술을 활용하여 전기, 공조, 방범, 방재 같은 여러 건축 설비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냉난방 공조 설비, 조명 설비 및 전력 설비 등의 사용을 제어하는 피크 부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건물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처럼 건물의 에너지 관리를 위한 종래의 피크 부하 제어 시스템 또는 방법들은 각종 설비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피크 부하 제어를 수행할 뿐이므로,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에너지 관를 수행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고,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현재 건물의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된 전기차를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건물의 목표 전기 요금과 상기 건물의 실제 전기 요금의 차이를 이익금으로 산출하여 에너지 전달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에게 분배하는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은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현재 상기 건물의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된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충방전 스케줄에 따라 상기 전기차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전기차 충전기에 상기 전기차 연결 시, 상기 전기차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키는 일반 충전 모드 또는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양방향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방향 충전 모드가 선택된 전기차의 완충 희망 시간 및 SOC(State of Charge)를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 및 상기 충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양방향 충전 모드가 선택된 전기차의 SOC를 이용하여 완충 예상 소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현재 시간으로부터 상기 완충 희망 시간까지의 제1 여유 시간에서 상기 완충 예상 소요 시간을 제외한 제2 여유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현재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2 여유 시간이 경과한 시간을 충전 시작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충전 시작 시간으로부터 상기 완충 희망 시간까지의 구간을 상기 전기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 구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현재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2 여유 시간 동안의 구간을 전기차의 방전, 충전 또는 휴식이 이루어지는 에너지원 구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재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2 여유 시간 동안의 구간을 전기차의 방전, 충전 또는 휴식이 이루어지는 에너지원 구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상기 양방향 충전 모드가 선택된 전기차로부터 소정 에너지가 방전된 뒤, 방전된 에너지만큼 다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에너지원 구간을 설정하거나, 휴식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에너지원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상기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피크 부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피크 부하와 전기 요금 산정의 기준이 되는 피크 부하 임계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피크 부하 비교 결과, 상기 피크 부하가 상기 피크 부하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피크 부하 및 상기 피크 부하 임계치 차 이상의 에너지를 상기 전기차로부터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의 목표 전기 요금과 상기 건물의 실제 전기 요금의 차이를 이익금으로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익금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상기 전기차 사용자, 건물 관리인 및 플랫폼 제공자에게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는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전력 수요 예측부,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상기 건물의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된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 및 상기 충방전 스케줄에 따라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키거나, 상기 전기차를 방전시켜 상기 전기차에 저장된 에너지를 건물 내 부하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차 충전기를 제어하는 피크 부하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된 상기 전기차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키는 일반 충전 모드 또는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양방향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충전 모드를 선택 받고, 완충 희망 시간 및 SOC(State of Charge)를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수집하는 충전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는,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 및 상기 충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는, 상기 양방향 충전 모드가 선택된 전기차의 SOC를 이용하여 완충 예상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현재 시간으로부터 상기 완충 희망 시간까지의 제1 여유 시간에서 상기 완충 예상 소요 시간을 제외한 제2 여유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는, 현재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2 여유 시간이 경과한 시간을 충전 시작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충전 시작 시간으로부터 상기 완충 희망 시간까지의 구간을 상기 전기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 구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는, 현재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2 여유 시간 동안의 구간을 전기차의 방전, 충전 또는 휴식이 이루어지는 에너지원 구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는,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상기 양방향 충전 모드가 선택된 전기차로부터 소정 에너지가 방전된 뒤, 방전된 에너지만큼 다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에너지원 구간을 설정하거나, 휴식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에너지원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는,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피크 부하를 추출하고, 상기 피크 부하와 전기 요금 산정의 기준이 되는 피크 부하 임계치를 비교하며, 상기 피크 부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는, 상기 피크 부하 비교 결과, 상기 피크 부하가 상기 피크 부하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피크 부하 및 상기 피크 부하 임계치 차 이상의 에너지를 상기 전기차로부터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의 목표 전기 요금과 상기 건물의 실제 전기 요금의 차이를 이익금으로 산출하고, 상기 이익금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상기 전기차 사용자, 건물 관리인 및 플랫폼 제공자에게 분배하는 이익금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수요 예측부는, 상기 건물의 과거 전력 수요 데이터를 전력 수요 예측을 위해 구축된 기계학습 모델의 입력 변수로 입력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상기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은 전기차,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키거나, 상기 전기차를 방전시켜 상기 전기차에 저장된 에너지를 건물 내 부하에 공급하는 전기차 충전기 및 상기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고,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여 상기 전기차 충전기를 제어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차를 에너지 저장장치로 사용하여 건물의 피크 부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건물의 전기 요금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건물의 전기 요금 절감에 따른 이익금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전기차 사용자, 건물 관리인 또는 서비스 플랫폼 제공자 간에 분배함으로써, 전기차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이로 인해, 건물 관리인은 충분한 에너지원을 확보하게 되며, 서비스 플랫폼 제공자는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에서의 에너지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력 수요 예측부에서 예측하는 건물의 전력 수요 예측 결과의 일 예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에서 충방전 스케줄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충방전 스케줄 생성 단계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1000)은 건물에 설치되는 전기차 충전기(300)를 통해 계통(Grid)으로부터 전기차(100)를 충전시킴은 물론 전기차(100)에 저장된 에너지를 건물 내 부하(Load)로 공급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기차(100)는 전기차 충전기(300)를 통해 계통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하고,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차량을 동작시킬 수 있다.
전기차 충전기(300)는 건물에서 차량이 정차할 수 있는 공간(일예로, 주차장)에 설치될 수 있다. 전기차 충전기(300)는 양방향 배터리 충전기 구조를 채택하여 전기차 충전기(300)에 연결되는 전기차(100)를 충전 또는 방전시킬 수 있다. 전기차 충전기(300)는 전기차(100) 충전 시, 계통으로부터 전기차(100)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며, 충전량에 대응하는 요금을 전기차(100) 사용자에게 청구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기(300)는 전기차(100) 방전 시, 전기차(10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건물 내 부하로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기(300)는 전기차(100) 연결 시, 전기차(100) 사용자로부터 전기차(100)를 충전시키는 일반 충전 모드 또는 전기차(100)를 충전시킴은 물론 전기차(100)를 방전시켜 건물의 에너지원으로도 사용하는 양방향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충전 모드를 선택 받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전기차 충전기(300)가 설치되는 건물은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500)를 구비할 수 있다.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500)는 일종의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이며,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여 피크 부하 발생 시 전기 요금 절감을 위한 피크 부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500)는 피크 부하 제어를 위해 전기차 충전기(300)에 연결된 전기차(100) 중 양방향 충전 모드가 선택된 전기차(100)에 한하여 에너지 저장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500)는 건물의 전력 수요 예측 결과 및 전기차 충전기(300)에 연결된 전기차(100)의 충전 상태 등에 기반하여 피크 부하 제어를 위한 전기차(100)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에서의 에너지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물에 구축된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500)는 현재 전기차 충전기(300)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100a, 100b, 100c, 100d)로의 에너지 흐름을 관장할 수 있다.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500)는 현재 전기차 충전기(300)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100a, 100b, 100c, 100d)의 충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충전 정보에는 충전 모드, 완충 희망 시간 및 SOC(state of Charg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500)는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여 피크 부하를 추출할 수 있다.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500)는 피크 부하 제어를 위해 필요한 에너지량을 산출할 수 있다.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500)는 충전 정보를 반영하여 피크 부하 제어를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현재 전기차 충전기(300)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100a, 100b, 100c, 100d)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도록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충방전 스케줄에 따라 계통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100a, 100b, 100c, 100d)로 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100a, 100b, 100c, 100d)로부터 건물 부하로 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1000)은 전기차(100)를 에너지 저장장치로 사용하여 건물의 피크 부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건물의 전기 요금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1000)은 건물의 전기 요금 절감에 따른 이익금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전기차(100) 사용자, 건물 관리인 또는 서비스 플랫폼 제공자 간에 분배하는 서비스 또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전기차(100)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건물 관리인은 충분한 에너지원을 확보하게 되고, 서비스 플랫폼 제공자는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500)는 충전 정보 수집부(510), 전력 수요 예측부(530),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 피크 부하 제어부(570) 및 이익금 산출부(590)를 포함하여,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500)는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가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충전 정보 수집부(510), 전력 수요 예측부(530),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 피크 부하 제어부(570) 및 이익금 산출부(590)는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충전 정보 수집부(510), 전력 수요 예측부(530),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 피크 부하 제어부(570) 및 이익금 산출부(590)의 구성은 통합 모듈로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각 구성은 별도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500)는 이동성을 갖거나 고정될 수 있다.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500)는, 단자(socket), 서버(server) 또는 엔진(engine) 형태일 수 있으며, 단말(terminal), 디바이스(device), 기구(apparatus),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500)는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에 도시된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500)의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충전 정보 수집부(510)는 건물에 설치되는 전기차 충전기(300)에 연결된 전기차(100)의 충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충전 정보에는 충전 모드, 완충 희망 시간 및 SO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충전 모드는 전기차(100)를 충전시키는 일반 충전 모드 및 전기차(100)를 충전시킴과 동시에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양방향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 정보 수집부(510)는 전기차 충전기(300)에 전기차(100) 연결 시, 전기차 충전기(300)를 통해 충전 모드 및 완충 희망 시간을 선택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전기차(100) 사용자로부터 충전 모드 및 완충 희망 시간을 선택 받을 수 있다. 또한, 충전 정보 수집부(510)는 전기차 충전기(300)의 양방향 배터리 충전기 구조로부터 전기차 충전기(300)에 연결된 전기차(100)의 SOC를 독출할 수 있다.
전력 수요 예측부(530)는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전력 수요 예측부(530)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일예로, 15분)으로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력 수요 예측부에서 예측하는 건물의 전력 수요 예측 결과의 일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력 수요 예측부(530)는 건물의 과거 전력 수요 데이터에 기반하여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전력 수요 예측부(530)는 전력 수요 예측을 위해 구축된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현재 시간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일예로, 15분)동안의 전력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전력 수요 예측부(530)는 건물의 과거 전력 수요 데이터를 기계학습 모델의 입력 변수로 입력하여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기계학습 모델은 인공신경망, 서포트 벡터 머신, 가우시안 프로세스 모델링, 랜덤 포레스트 또는 유전프로그래밍 중 어느 하나의 기계학습법을 따를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전기차(100)의 충전 정보 및 건물의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기반하여 전기차(100)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일반 충전 모드가 선택된 전기차(100)의 경우, 현재 시간으로부터 완충 희망 시간까지의 전 구간을 전기차(100)의 충전 또는 휴식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하는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양방향 충전 모드가 선택된 전기차(100)의 경우, 현재 시간으로부터 완충 희망 시간까지의 전 구간을 전기차(100)의 충전, 방전 또는 휴식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하는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양방향 충전 모드가 선택된 전기차(100)의 SOC를 이용하여 완충 예상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에너지량 별로 소요되는 충전 시간 데이터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현재 시간으로부터 완충 희망 시간까지를 제1 여유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제1 여유 시간에서 완충 예상 소요 시간을 제외하여 제2 여유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현재 시간으로부터 제2 여유 시간이 경과한 시간을 충전 시작 시간으로 설정하고, 충전 시작 시간으로부터 완충 희망 시간까지의 구간을 전기차(100)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현재 시간으로부터 제2 여유 시간 동안의 구간을 전기차(100)의 방전, 충전 또는 휴식이 이루어지는 에너지원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에너지원 구간은 전기차(100)로부터 소정 에너지가 방전된 뒤, 방전된 에너지만큼 다시 충전이 이루어지거나, 방전 또는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휴식이 이루어지는 구간일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건물의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에너지원 구간에서의 방전, 충전 또는 휴식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에서 충방전 스케줄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미리 정해진 시간(일예로, 15분) 동안의 전력 수요 예측 결과와 전기 요금 산정의 기준이 되는 피크 부하 임계치(Peak Criterion)를 비교할 수 있다. 고압전력사용자에게는 연간 최대 피크 부하를 기준으로 다음해 기본요금을 산정하는 기본요금 피크 연동 요금제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목표로 하는 기본요금에 해당하는 피크 부하 임계치를 설정하고, 전력 수요 예측 결과 피크 부하 임계치를 초과하는 부하는 전기차(100)로부터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에너지원 구간에서의 방전, 충전 또는 휴식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피크 부하를 추출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피크 부하와 전기 요금 산정의 기준이 되는 피크 부하 임계치를 비교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피크 부하 비교 결과, 피크 부하가 피크 부하 임계치 미만이면, 에너지원 구간을 휴식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피크 부하 비교 결과, 피크 부하가 피크 부하 임계치 이상이면, 피크 부하 및 피크 부하 임계치 차 이상의 에너지를 전기차(100)로부터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에너지원 구간을 소정 에너지가 방전된 뒤, 방전된 에너지만큼 다시 충전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에너지원 구간 내에서 방전 구간을 설정하면, 전기차 충전기(300)에 최초 연결 시의 SOC를 달성할 수 있도록 방전된 에너지량만큼 다시 충전되는 충전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에너지원 구간이 끝나는 시점에서의 SOC가 전기차 충전기(300)에 최초 연결 시의 SOC와 동일하도록 에너지원 구간 내에서 방전 및 충전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에너지원 구간 내에서의 충전에 의한 충전 요금은 전기차(100) 사용자에게 청구되거나, 또는, 건물 관리인에게 청구되어 후술하는 이익금 산출에 반영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이와 같이 양방향 충전 모드가 선택된 전기차(100)에 대하여 충전 구간과 에너지원 구간으로 구성되는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피크 부하 제어부(570)는 충방전 스케줄에 따라 전기차 충전기(300)에 연결된 전기차(100)가 충전 또는 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피크 부하 제어부(570)는 충방전 스케줄의 에너지원 구간에서 전기차(100)를 방전시켜 전기차(100)에 저장된 에너지가 건물 내 부하에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피크 부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피크 부하 제어부(57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피크 부하와 피크 부하 임계치 차 이상의 에너지를 전기차(100)로부터 공급 받도록 제어함으로써 피크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피크 부하 제어부(570)는 일반적인 BEMS에서 실행되는 최대 전력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최대 전력 관리는 피크 부하가 피크 임계치에 다달았을 때에 냉난방부하, 조명 등의 사용을 제한하는 최대 전력 관리 방식이다.
이익금 산출부(590)는 건물의 목표 전기 요금과 건물의 실제 전기 요금의 차이를 이익금으로 산출하고, 이익금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익금 산출부(590)는 피크 부하 임계치에 따른 기본 요금을 산정하고, 기본 요금을 적용한 건물의 과거 전력 수요 데이터에 대한 요금을 건물의 목표 전기 요금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익금 산출부(590)는 실제 전기 요금과 목표 전기 요금의 차이를 이익금으로 산출하고, 이익금 발생 시 건물 관리인, 플랫폼 제공자 등에게 미리 정해진 비율로 분배하고, 그 나머지는 전기차(100)로부터 공급받은 에너지량에 비례하여 전기차(100) 사용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은 도 3에 도시된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5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500)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충전 정보 수집부(510)는 전기차 충전기(300)에 연결된 전기차(100)의 충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600). 충전 정보에는 일반 또는 양방향 충전 모드, 완충 희망 시간 및 SO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력 수요 예측부(530)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610). 전력 수요 예측부(530)는 건물의 과거 전력 수요 데이터에 기반하여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충전 정보 및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기반하여 전기차(100)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620).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피크 부하 제어부(570)는 충방전 스케줄에 따라 전기차 충전기(300)에 연결된 전기차(100)가 충전 또는 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630).
이익금 산출부(590)는 건물의 전기 요금에 대한 이익금을 산출하고, 소정의 비율에 따라 분배할 수 있다(640). 이익금 산출부(590)는 건물의 목표 전기 요금과 건물의 실제 전기 요금의 차이를 이익금으로 산출하고, 소정의 비율에 따라 건물 관리인, 플랫폼 제공자 및 전기차(100) 사용자 등에게 분배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충방전 스케줄 생성 단계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양방향 충전 모드가 선택된 전기차(100)의 경우, SOC에 따른 완충 예상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완충 예상 소요 시간에 따른 충전 구간 및 에너지원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621, 622, 623).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현재 시간으로부터 완충 희망 시간까지를 제1 여유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제1 여유 시간에서 완충 예상 소요 시간을 제외하여 제2 여유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현재 시간으로부터 제2 여유 시간이 경과한 시간을 충전 시작 시간으로 설정하고, 충전 시작 시간으로부터 완충 희망 시간까지의 구간을 전기차(100)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현재 시간으로부터 제2 여유 시간 동안의 구간을 전기차(100)의 방전, 충전 또는 휴식이 이루어지는 에너지원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기반하여 에너지원 구간에서의 충방전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624).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피크 부하를 추출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피크 부하와 전기 요금 산정의 기준이 되는 피크 부하 임계치를 비교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피크 부하 비교 결과, 피크 부하가 피크 부하 임계치 미만이면, 에너지원 구간을 휴식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피크 부하 비교 결과, 피크 부하가 피크 부하 임계치 이상이면, 피크 부하 및 피크 부하 임계치 차 이상의 에너지를 전기차(100)로부터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에너지원 구간을 소정 에너지가 방전된 뒤, 방전된 에너지만큼 다시 충전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에너지원 구간 내에서 방전 구간을 설정하면, 전기차 충전기(300)에 최초 연결 시의 SOC를 달성할 수 있도록 방전된 에너지량만큼 다시 충전되는 충전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이와 같은 충전 구간 및 에너지원 구간으로 구성되는 양방향 충전 모드용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625).
한편,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550)는 일반 충전 모드가 선택된 전기차(100)의 경우, 전기차 충전기(300)의 용량에 따라 완속 및 급속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621, 626).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
100: 전기차
300: 전기차 충전기
500: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

Claims (20)

  1.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을 이용한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현재 상기 건물의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된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충방전 스케줄에 따라 상기 전기차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기차 충전기에 상기 전기차 연결 시,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키는 일반 충전 모드와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키는 동시에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양방향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충전 모드를 선택받고, 완충 희망 시간 및 SOC(State of Charge)를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일반 충전 모드로 선택받은 경우에는 상기 완충 희망 시간까지의 전 구간이 충전 또는 휴식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충방전 스케줄이 정해지며,
    상기 양방향 충전 모드로 선택받은 경우에는 상기 완충 희망 시간까지의 전 구간이 충전, 휴식 또는 방전으로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충방전 스케줄이 정해지며,
    상기 양방향 충전 모드에서는,
    현재 시간부터 사용자의 상기 완충 희망 시간까지의 구간을 충전 구간 및 에너지원 구간으로 분리하며,
    현재 시간부터 상기 완충 희망 시간까지를 제1여유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전기차의 SOC(State of Charge)에 따라 완충 예상 소요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제1여유 시간에서 상기 완충 예상 소요 시간을 제외한 제2여유 시간을 산출하며,
    현재 시간부터 상기 제2여유 시간이 경과한 시간을 충전 시작 시간으로 설정하며, 상기 충전 시작 시간부터 상기 완충 희망시간까지의 구간을 상기 충전 구간으로 설정하며,
    현재 시간부터 상기 제2여유 시간 동안의 구간은 충전, 방전 또는 휴식이 이루어지는 상기 에너지원 구간으로 설정하는 것인,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 및 상기 충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인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2 여유 시간 동안의 구간을 전기차의 방전, 충전 또는 휴식이 이루어지는 에너지원 구간으로 설정하는 것은,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상기 양방향 충전 모드가 선택된 전기차로부터 소정 에너지가 방전된 뒤, 방전된 에너지만큼 다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에너지원 구간을 설정하거나, 휴식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에너지원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인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상기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피크 부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피크 부하와 전기 요금 산정의 기준이 되는 피크 부하 임계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피크 부하 비교 결과, 상기 피크 부하가 상기 피크 부하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피크 부하 및 상기 피크 부하 임계치 차 이상의 에너지를 상기 전기차로부터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목표 전기 요금과 상기 건물의 실제 전기 요금의 차이를 이익금으로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익금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상기 전기차 사용자, 건물 관리인 및 플랫폼 제공자에게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9.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전력 수요 예측부;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상기 건물의 전기차 충전기에 연결된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
    상기 충방전 스케줄에 따라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키거나, 상기 전기차를 방전시켜 상기 전기차에 저장된 에너지를 건물 내 부하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차 충전기를 제어하는 피크 부하 제어부; 및
    상기 전기차 충전기에 상기 전기차 연결 시,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키는 일반 충전 모드 또는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양방향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충전 모드를 선택 받고, 완충 희망 시간 및 SOC(State of Charge)를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수집하는 충전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는,
    상기 일반 충전 모드로 선택받은 경우에는 상기 완충 희망 시간까지의 전 구간이 충전 또는 휴식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충방전 스케줄이 정해지며,
    상기 양방향 충전 모드로 선택받은 경우에는 상기 완충 희망 시간까지의 전 구간이 충전, 휴식 또는 방전으로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충방전 스케줄이 정해지며,
    상기 양방향 충전 모드에서는,
    현재 시간부터 사용자의 상기 완충 희망 시간까지의 구간을 충전 구간 및 에너지원 구간으로 분리하며,
    상기 양방향 충전 모드가 선택된 전기차의 SOC를 이용하여 완충 예상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현재 시간으로부터 상기 완충 희망 시간까지의 제1 여유 시간에서 상기 완충 예상 소요 시간을 제외한 제2 여유 시간을 산출하며,
    현재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2 여유 시간이 경과한 시간을 충전 시작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충전 시작 시간으로부터 상기 완충 희망 시간까지의 구간을 상기 전기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 구간으로 설정하며,
    현재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2 여유 시간 동안의 구간을 전기차의 방전, 충전 또는 휴식이 이루어지는 에너지원 구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는,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 및 상기 충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는,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상기 양방향 충전 모드가 선택된 전기차로부터 소정 에너지가 방전된 뒤, 방전된 에너지만큼 다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에너지원 구간을 설정하거나, 휴식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에너지원 구간을 설정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는,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로부터 피크 부하를 추출하고, 상기 피크 부하와 전기 요금 산정의 기준이 되는 피크 부하 임계치를 비교하며, 상기 피크 부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스케줄 생성부는,
    상기 피크 부하 비교 결과, 상기 피크 부하가 상기 피크 부하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피크 부하 및 상기 피크 부하 임계치 차 이상의 에너지를 상기 전기차로부터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목표 전기 요금과 상기 건물의 실제 전기 요금의 차이를 이익금으로 산출하고, 상기 이익금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상기 전기차 사용자, 건물 관리인 및 플랫폼 제공자에게 분배하는 이익금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수요 예측부는,
    상기 건물의 과거 전력 수요 데이터를 전력 수요 예측을 위해 구축된 기계학습 모델의 입력 변수로 입력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상기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
  20. 전기차;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키거나, 상기 전기차를 방전시켜 상기 전기차에 저장된 에너지를 건물 내 부하에 공급하는 전기차 충전기; 및
    상기 건물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고, 상기 전력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차를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여 상기 전기차 충전기를 제어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는,
    상기 전기차 충전기에 상기 전기차 연결 시,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키는 일반 충전 모드와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키는 동시에 상기 건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양방향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충전 모드를 선택받고, 완충 희망 시간을 선택받으며,
    상기 전기차의 충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것은,
    상기 일반 충전 모드로 선택받은 경우에는 상기 완충 희망 시간까지의 전 구간이 충전 또는 휴식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충방전 스케줄이 정해지며,
    상기 양방향 충전 모드로 선택받은 경우에는 상기 완충 희망 시간까지의 전 구간이 충전, 휴식 또는 방전으로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충방전 스케줄이 정해지며,
    상기 양방향 충전 모드에서는,
    현재 시간부터 사용자의 상기 완충 희망 시간까지의 구간을 충전 구간 및 에너지원 구간으로 분리하며,
    현재 시간부터 상기 완충 희망 시간까지를 제1여유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전기차의 SOC(State of Charge)에 따라 완충 예상 소요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제1여유 시간에서 상기 완충 예상 소요 시간을 제외한 제2여유 시간을 산출하며,
    현재 시간부터 상기 제2여유 시간이 경과한 시간을 충전 시작 시간으로 설정하며, 상기 충전 시작 시간부터 상기 완충 희망시간까지의 구간을 상기 충전 구간으로 설정하며,
    현재 시간부터 상기 제2여유 시간 동안의 구간은 충전, 방전 또는 휴식이 이루어지는 상기 에너지원 구간으로 설정하는,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
KR1020180067338A 2018-06-12 2018-06-12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 KR102094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338A KR102094353B1 (ko) 2018-06-12 2018-06-12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338A KR102094353B1 (ko) 2018-06-12 2018-06-12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625A KR20190140625A (ko) 2019-12-20
KR102094353B1 true KR102094353B1 (ko) 2020-03-27

Family

ID=69062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338A KR102094353B1 (ko) 2018-06-12 2018-06-12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3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9689B (zh) * 2020-03-30 2023-02-07 广东工业大学 建筑综合能源调度方法、系统、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2497A (ko) * 2014-02-05 2015-08-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자동차를 활용한 건물 에너지 피크 부하 절감 장치 및 방법
KR102364812B1 (ko) * 2014-12-24 2022-02-18 한국전기연구원 전기자동차를 이용한 최적수요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625A (ko) 201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inigeme et al. Distributed optimal vehicle-to-grid approaches with consideration of battery degradation cost under real-time pricing
Sarker et al. Optimal operation and services scheduling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swapping station
Kolawole et al. Electric vehicles battery wear cost optimization for frequency regulation support
Rajabi-Ghahnavieh et al. Optimal zonal fast-charging station placement considering urban traffic circulation
Shojaabadi et al. Optimal planning of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n distribution network considering demand response programs and uncertainties
Yao et al. Robust frequency regulation capacity scheduling algorithm for electric vehicles
Rahman et al. Review of recent trends in optimization techniques for plug-in hybrid,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s
US87621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chastically using electric vehicles as mobile energy storage
Mozaffari et al. Joint expansion planning studies of EV parking lots placement and distribution network
KR102138633B1 (ko)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파워 모빌리티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
US20220080844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to reduce utility cost
US20130134940A1 (en) Power control apparatus
Bagherinezhad et al. Spatio-temporal electric bus charging optimization with transit network constraints
US9098817B2 (en) Method for real-time control of energy storage units to reduce electricity cost
WO2013065419A1 (ja) 充電制御装置、電池管理装置、充電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CN103180164A (zh) 调度移动能源以响应电力网状态
Shalaby et al. A dynamic optimal battery swapping mechanism for electric vehicles using an LSTM-based rolling horizon approach
Zafar et al. PV-EV integrated home energy management using vehicle-to-home (V2H) technology and household occupant behaviors
KR102094353B1 (ko)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건물 에너지 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 단위 파워 모빌리티 시스템
Wang et al. Battery life-cycle optimization and runtime control for commercial buildings Demand side management: A New York City case study
Mohammadi Hosseininejad et al. Self‐healing enhancement through co‐deployment of automatic switches and electric vehicle PLs in an electricity distribution network
Imani et al. Considering the load uncertainty for solving security constrained unit commitment problem in presence of plug-in electric vehicle
KR102538113B1 (ko) 이차 계획법을 이용한 ess 배터리 충방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65745B1 (ko) 수요 관리 기반의 분산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
KR101662949B1 (ko) 전기자동차의 축전지를 기반으로 하는 ess 운영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