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511A -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511A
KR20190140511A KR1020180060054A KR20180060054A KR20190140511A KR 20190140511 A KR20190140511 A KR 20190140511A KR 1020180060054 A KR1020180060054 A KR 1020180060054A KR 20180060054 A KR20180060054 A KR 20180060054A KR 20190140511 A KR20190140511 A KR 20190140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smartphone
product
stor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1353B9 (ko
KR102081353B1 (ko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filed Critical 김종석
Priority to KR1020180060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353B1/ko
Publication of KR20190140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353B1/ko
Publication of KR10208135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35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Abstract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들 중에서,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는 점포 내에 배치된 IoT(Internet of Things) 센서를 통해 스마트폰의 출입을 검출하고 상기 진입이 검출되면 상기 IoT 센서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의 과거 사용 이력을 검색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스마트폰 진입 처리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IoT 센서를 통해 상기 점포에서 판매되는 상품 및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제품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제품정보 제공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제품 정보를 통해 생성된 주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주문 요청의 결제를 제공하는 주문 처리부,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주문의 조리과정을 상기 점포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주문 요청 제품의 조리 과정을 실시간 영상으로 제공하는 조리과정 제공부 및 상기 스마트폰의 진출을 상기 출입 검출부를 통해 검출하면 상기 스마트폰의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진출 처리부를 포함하여 원격 주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REMOTE ORDERING SERVICE}
본 발명은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포에 출입하는 스마트폰을 인식하여, 원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원격으로 주문할 수 있는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s)기술의 발달로 원격으로 정보를 전달하고 많은 기기와 단말들이 연결되는 유비쿼터스 시대가 열리고 있다. 따라서 더 이상 사람과 사람의 대화를 통한 정보 전달과 물질교환으로 진행되는 업무가, 사람과 기기 또는 기기와 기기간의 정보 전달로 진행되는 업무 형태로 변화 중이다.
이러한 변화는 업무에 있어 종업원의 필요성을 감소시켜, 인건비의 감소를 통한 이익 창출을 기대할 수 있고, 첨단 기술의 사용으로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대효과를 가져온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51059(2012.05.16)호는 원격 주문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한 발명으로 RFID를 이용한 원격 주문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a) 이동 단말기에서 원격 주문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메뉴 및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가맹점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와; c)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가맹점 리스트에서 가맹점을 선택하면 상기 가맹점의 위치 정보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d)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메뉴에 대한 결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RFID 태그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 및 상기 주문 내역을 상기 메인 서버를 통해 상기 가맹점의 포스(Point Of Sales:POS)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e) 상기 포스 단말기가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가입자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포스 단말기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주문 내역에 상응하는 제품 제공의 승낙 메시지를 상기 포스 단말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95566(2005.12.07)호는 셀룰러 원격 통신 및 인증 인프라구조를 사용하여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해 보안 인증 및 요금 부과를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서명의 사용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제품, 서비스, 액세스 또는 다른 권리들을 사용하기 위하여 이동국을 인증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이러한 디지털 서명은 공유 서명 키에 근거하고, 서명 검증 서비스를 사용하여 검증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이동국 및 상기 인증 센터에 저장된 롱텀 키들을 이용하여, 사용되는 상기 이동국의 식별자를 검증할 것이다. 이후, 상기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서명 키 및 상기 서명 검증 서비스를 사용하여 이동국을 사용하는 제품, 서비스, 액세스 또는 다른 권리들에 대한 인증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서명을 검증한다. 이러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지불 거래를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는 수신된 서명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임의의 지불에 대한 인증성을 검증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의 사용자는 사기 또는 에러에 대한 걱정없이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51059(2012.05.16)호 한국등록특허 제10-0695566(2005.12.0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출입한 점포에서 스마트폰을 인식하여 점포에서 판매중인 상품 및 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폰을 통해 점포에서 판매중인 상품 및 서비스의 주문을 받을 수 있는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폰을 통해 주문한 과거 주문정보의 빈도 및 패턴을 분석하여 점포에서 판매되는 상품 및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을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추천을 제공 할 수 있는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폰을 통해 주문한 제품 또는 서비스의 결제를 자동으로 할 수 있고, 제품 또는 서비스 제품의 제공과정을 실시간으로 제공 받을 수 있는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는 점포 내에 배치된 IoT(Internet of Things) 센서를 통해 스마트폰의 출입을 검출하고 상기 진입이 검출되면 상기 IoT 센서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의 과거 사용 이력을 검색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스마트폰 진입 처리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IoT 센서를 통해 상기 점포에서 판매되는 상품 및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제품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제품정보 제공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제품 정보를 통해 생성된 주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주문 요청의 결제를 제공하는 주문 처리부,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주문의 조리과정을 상기 점포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주문 요청 제품의 조리 과정을 실시간 영상으로 제공하는 조리과정 제공부 및 상기 스마트폰의 진출을 상기 출입 검출부를 통해 검출하면 상기 스마트폰의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진출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품 정보 제공부는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된 상기 스마트폰의 과거 사용 이력을 통해 주문한 과거 주문정보 빈도 및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점포에서 판매되는 상품 및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을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추천한다. 상기 주문 처리부는 상기 점포의 테이블에 배치된 상기 IoT 센서를 통해 상기 주문 요청의 결제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한다.
상기 조리과정 제공부는 상기 주문의 조리 시작 과정에서 요리사 단말로부터 상기 주문정보의 조리 시작이 수신되면 상기 점포의 카메라를 해당 요리사를 추적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실시간 영상의 제공을 시작한다.
상기 조리과정 제공부는 상기 주문의 조리 완료 과정에서 상기 요리사 단말로부터 상기 주문 정보의 조리 완료가 수신되면 상기 스마트폰에 해당 제품의 수령을 통지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출입한 점포에서 스마트폰을 인식하여 점포에서 판매중인 상품 및 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폰을 통해 점포에서 판매중인 상품 및 서비스의 주문을 받을 수 있는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폰을 통해 주문한 과거 주문정보의 빈도 및 패턴을 분석하여 점포에서 판매되는 상품 및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을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추천을 제공 할 수 있는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폰을 통해 주문한 제품 또는 서비스의 결제를 자동으로 할 수 있고, 제품 또는 서비스 제품의 제공과정을 실시간으로 제공 받을 수 있는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장치에서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제품 추천 단계를 위한 주문 빈도 및 패턴 분석을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점포(110),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130), 주문정보 데이터베이스(140) 및 스마트폰(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점포(110)는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을 이용할 수 있는 상품 및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을 판매하는 점포(110)에 해당한다. 점포(110)내에 원격 주문서비스 시스템(100)의 일부인 IoT(Internet of Things)센서가 구현 될 수 있으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WIFI 및 다른 무선 통신 기능으로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130) 및 스마트폰(120)과 무선 연결 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점포(110)는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130) 및 스마트폰(12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점포(110)들이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130) 및 복수의 스마트폰(120)들과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난 점포(110)는 진입처리부(114), 진출처리부(116), 카메라(118) 및 요리사 단말(119)를 포함한다.
진입처리부(114)는 점포(110)내 복수개의 IoT센서들을 통해 점포를 출입하는 스마트폰(120)을 검출 한다. 진입처리부(114)가 스마트폰(120)의 출입을 검출하면 스마트폰(120)의 통신 모듈을 활성화 시킨다.
진입처리부(114)는 스마트폰(120)의 과거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장치(130)를 사용한 이력을 검색한다. 진입처리부(114)는 과거 사용 이력 검색 결과, 과거 사용 이력이 없는 스마트폰(120)이면 신규 스마트폰(120)으로 주문정보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한다.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통신 모듈이 활성화 된 스마트폰(120)을 네트워크 및 점포(110)내 복수개의 IoT센서들을 통해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장치(130)와 연결시키고 원격 주문서비스를 제공한다.
진출처리부(116)는 점포에서 진출하는 등록된 스마트폰(120)을 검출 시, 스마트폰(120)의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 시킨다. 진출처리부(116)는 스마트폰(120)의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 시킴으로 스마트폰(120)의 배터리 낭비를 방지하고, 타 통신의 신호 송수신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IoT센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WIFI 및 다른 무선 통신 기능으로 스마트폰(120)과 무선 연결 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진입 처리부(114)는 복수개의 IoT센서들로 배치되어 점포(110)로 출입하는 스마트폰(112)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입처리부(114)는 스마트폰(120)의 과거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장치(130) 사용 이력을 검색할 수 있다. 진입처리부(114)는 과거 사용 이력 검색 결과, 과거 사용 이력이 없는 스마트폰(120)이면 신규 스마트폰(120)으로 주문정보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할 수 있다.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통신 모듈이 활성화 된 스마트폰(120)을 네트워크 및 점포(110)내 복수개의 IoT센서들을 통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WIFI 및 다른 무선 통신 기능으로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장치(130)와 연결시키고 원격 주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점포(110) 및 스마트폰(120)에게 원격 주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점포(110) 및 스마트폰(120)과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스마트폰(12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스마트폰(120)들과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주문정보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주문정보 데이터베이스(140)와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주문정보 데이터베이스(140)와 독립적으로 구현된 경우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주문정보 데이터베이스(1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주문정보 데이터베이스(140)는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이다. 예를 들어, 주문정보 데이터베이스(140)는 점포(110)들의 상품 및 서비스 제품 내역, 점포(110)로부터 수신 받은 원격 주문서비스 설정 정보, 스마트폰(120)로부터 제공받은 주문요청 정보, 과거 사용 이력, 제품정보 제공부(210)에서 생성된 주문정보 및 결제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폰(120)은 사용자 개인이 원격 주문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해당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 노트북 또는 태블릿 PC 등 무선 통신기능을 포함하는 다양한 휴대용 단말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폰(120)은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스마트폰(120)이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스마트폰(120)을 통해 점포(110)에서 판매되는 상품 및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제품 정보를 생성, 주문정보 데이터베이스(140)를 통한 메뉴 추천을 생성, 주문요청을 수신, 주문정보를 생성, 자동결제를 진행 및 조리과정을 실시간으로 중계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점포(110)의 판매중인 전체 상품 및 서비스 제품 정보를 스마트폰(120)을 통해 제공한다. 스마트폰(120)은 제품 정보를 이용해 주문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주문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주문정보를 생성해 점포(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스마트폰(120)을 통해 선불로 결제하지 않다면, 스마트폰(120)의 진출 시 진출처리부(116)를 통해 자동결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점포(110)의 카메라(118)를 통해 생성된 주문정보의 메뉴의 조리과정을 실시간으로 중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있는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장치에서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제품정보 제공부(210), 주문 처리부(220), 조리과정 제공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제품정보 제공부(210)를 통해 스마트폰(120)에게 점포(110)에서 판매되는 상품 및 서비스에 관한 제품 정보를 제공한다. 제품정보 제공부(210)은 스마트폰(120)을 통해 제공하는 제품 정보를 어떤 언어로 제공할지 선택한다. 제품정보 제공부(210)는 주문정보 데이터베이스(140)에 과거 사용 이력이 있는 스마트폰(120)의 과거 주문요청 및 주문 이력과 점포(110)에서 판매되는 상품 및 서비스 제품의 빈도 및 패턴을 분석하여 스마트폰(120)을 통해 제품을 추천한다. 이후, 제품정보 제공부(210)는 스마트폰(120)을 통해 생성되는 주문요청을 수신하여 주문정보를 생성한다. 제품정보 제공부(210)는 생성된 주문정보를 주문 처리부(22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품정보 제공부(210)는 점포(110)에서 판매중인 모든 상품 및 서비스 제품의 상세한 설명, 조리하는 요리사, 제품의 재료, 재료의 원산지, 재료의 신선도, 제품의 맛, 제품의 효과, 제품의 효능, 제품의 특징, 점포(110)의 특징 및 제조과정 등의 제품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문정보 데이터베이스(140)는 과거 사용 이력이 있는 스마트폰(120)을 통해 생성되었던 과거의 주문요청 및 주문정보를 모두 저장할 수 있다. 제품정보 제공부(210)는 과거 주문정보를 분석하여 점포(110)에서 판매하는 상품 및 서비스 제품과 접목시켜 제품추천을 제공할 수 있다. 제품정보 제공부(210)는 주문정보를 활용해, 주문의 빈도 및 패턴에 따른 제품의 특징을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점포(110)에서 판매중인 상품 및 서비스 제품 중 추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제품 추천 단계를 위한 주문 빈도 및 패턴 분석을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라, 제품정보 제공부(210)는 점포(110)에서 판매하는 상품 및 서비스 제품을 단맛은 A, 신맛은 B, 짠맛은 C 쓴맛은 D, 감칠맛은 E 및 매운맛은 F 로 맛의 종류를 분류할 수 있고, 각각의 맛에 따른 강도를 1 ~ 5까지 범위를 설정하여 분류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품정보 제공부(210)는 아래의 수학식을 통해 주문의 빈도 및 패턴에 따른 특징의 분석으로 맛을 분류하여 동일한 맛, 비슷한 맛 및 색다른 맛 등의 특징을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점포(110)에서 판매중인 상품 및 서비스 제품 중 추천을 제공할 수 있다.
[수학식1]
Figure pat00001
A는 단맛, B는 신맛, C는 짠맛, D는 쓴맛, E는 감칠맛 및 F는 매운맛인 맛 종류의 코드를 나타내는 [6X1] 행렬, ak, bk, ck, dk, ek 및 fk 는 맛의 종류에 따라(a=단맛, b= 신맛, c=짠맛, d=쓴맛, e=감칠맛 및 f=매운맛) k번째 주문 제품의 맛 강도를 나타내는 각 성분으로 예를 들어 “ak = 2.85 이면 5번째로 주문한 제품의 2.8 강도 단맛”을 의미하는 “0k 를 초과하고 5k 이하의 값”을 가지는 [1X6] 행렬, Xk는 k번째 주문제품의 맛 종류 및 맛 강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6X6] 행렬에 해당한다.
[수학식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n은 주문정보의 빈도 및 패턴에 따른 특징의 분석에 사용된 n번째까지의 주문 횟수인 숫자, Xn는 n번째까지의 주문 제품의 맛 종류 및 맛 강도에 대한 정보의 합을 나타내는 [6X6] 행렬, Xavg는 n번째까지의 주문 제품의 맛 종류 및 맛 강도에 대한 정보의 평균을 나타내는 [6X6] 행렬, Y는 대각성분이 “
Figure pat00004
” 이고 나머지 성분은 “0” 의 값을 가지는 [6X6] 행렬, Z는 Xavg의 대각성분의 합인 trace로 n번째까지의 주문 제품의 맛 종류 및 맛 강도에 대한 정보코드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품정보 제공부(210) 정보코드 Z를 통해 주문정보의 빈도 및 패턴에 따른 특징의 분석으로 맛의 종류를 분류하여 점포(110)에서 판매중인 모든 상품 및 서비스 제품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할 수 있다. 제품정보 제공부(210)는 점포(110)에서 판매중인 모든 상품 및 서비스 제품의 정보 코드와 비교해 정보코드 Z가 특정 범위 안에서 동일하면 동일한 맛, 특정범위에 속하면 비슷한 맛 및 차이가 특정범위 외부에 존재하면 색다른 맛으로 맛의 특징 카테고리로 분류하거나, 제품의 국가별 차이특징 및 재료의 차이특징 등 제품에 특징을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점포(110)에서 판매중인 상품 및 서비스 제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여러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추천을 제공할 수 있다.
주문 처리부(220)는 제품정보 제공부(210)으로부터 주문요청을 수신받아 주문정보를 생성한다. 주문 처리부(220)는 제어부(250)를 통해 조리과정 제공부(240) 및 점포(110)로 주문정보를 전달한다. 주문 처리부(220)는 전달 받은 주문정보에 따라 결제정보를 생성하여 스마트폰(120)으로 제공한다. 주문 처리부(220)는 스마트폰(120)을 통한 선불결제 및 진출 처리부(116)를 통한 스마트폰(120)의 진출 시 결제되는 자동결제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주문 처리부(220)는 제품정보 제공부(210)로부터 수신받아 주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주문 처리부(220)는 제어부(250)를 통해 주문정보를 점포(110)로 전달할 수 있다. 주문 처리부(220)는 제품정보 제공부(210)가 생성한 주문정보에 따라 결제정보를 생성하여 스마트폰(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문결제 제공부(230)는 네트워크 및 점포(110)내 복수개의 IoT센서들을 통해 스마트폰(120)과 연결되어 결제정보를 원화, 달러, 엔화, 위안, 유로 등 다양한 법정화폐를 결제수단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반드시 법정화폐에 제한되지 않고 사회적 합의를 통해 화폐로 통용될 수 있는 모든 화폐 및 포인트를 결제 수단으로 하는 선불결제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주문결제 제공부(230)는 점포(110)내의 테이블에 설치된 IoT센서들을 통해 선불결제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주문결제 제공부(230)는 선불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진출 처리부(116)를 통한 스마트폰(120)의 진출 시 자동적으로 결제되는 자동결제를 제공할 수 있다.
조리과정 제공부(240)는 주문 처리부(220)로부터 주문정보를 수신 받는다. 조리과정 제공부(240)는 주문정보에 따라 점포(110)의 요리사 단말(119) 및 카메라(118)를 통해 주문 제품의 조리과정의 실시간 중계를 스마트폰(120)에 제공한다. 조리과정 제공부(240)는 요리사 단말(119)을 통해 주문 제품의 조리 시작 및 완료정보를 수신한다. 조리과정 제공부(240)는 제품의 조리 완료 및 수령 통지를 스마트폰(120)에서 제공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리과정 제공부(240)는 점포(110)의 요리사 단말(119)로부터 주문요청 따라 조리되는 제품의 조리 시작 정보를 수신한다. 점포(110)는 복수의 카메라(11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방의 다양한 조리시설들 및 조리과정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와 각도로 복수의 카메라(118)를 설치 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118)는 촬영중인 실시간 영상을 조리과정 제공부(240)로 전송할 수 있다. 조리과정 제공부(240)는 복수의 카메라(118)가 전송한 영상 중, 주문한 제품을 조리중인 요리사의 출현을 포착하여 실시간 중계 영상을 스마트폰(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조리과정 제공부(240)는 복수의 카메라(118) 중 주문한 제품을 조리중인 요리사의 출현을 포착한 카메라(118)를 제어하여 요리사의 동선을 추적하며 실시간 중계를 할 수 있다. 조리과정 제공부(240)은 요리사 단말(119)로부터 주문요청에 따른 제품의 조리의 완료가 수신되면, 스마트폰(120)에 제품의 수령을 통지할 수 있다. 조리과정 제공부(240)는 스마트폰(120)의 연결된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제공되는 실시간 중계 영상의 화질을 선택하여 전송용량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점포 114: 진입 처리부
116: 진출 처리부 118: 카메라
119: 요리사 단말 120: 스마트폰
130: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
140: 주문정보 데이터베이스 210: 제품정보 제공부
220: 주문 처리부 240: 조리과정 제공부
250: 제어부

Claims (5)

  1. 점포 내에 배치된 IoT(Internet of Things) 센서를 통해 스마트폰의 출입을 검출하고 상기 진입이 검출되면 상기 IoT 센서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의 과거 사용 이력을 검색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스마트폰 진입 처리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IoT 센서를 통해 상기 점포에서 판매되는 상품 및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제품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제품정보 제공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제품 정보를 통해 생성된 주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주문 요청의 결제를 제공하는 주문 처리부;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주문의 조리과정을 상기 점포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주문 요청 제품의 조리 과정을 실시간 영상으로 제공하는 조리과정 제공부; 및
    상기 스마트폰의 진출을 상기 출입 검출부를 통해 검출하면 상기 스마트폰의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진출 처리부를 포함하는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정보 제공부는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된 상기 스마트폰의 과거 사용 이력을 통해 주문한 과거 주문정보 빈도 및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점포에서 판매되는 상품 및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을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처리부는
    상기 점포의 테이블에 배치된 상기 IoT 센서를 통해 상기 주문 요청의 결제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과정 제공부는
    상기 주문의 조리 시작 과정에서 요리사 단말로부터 상기 주문정보의 조리 시작이 수신되면 상기 점포의 카메라를 해당 요리사를 추적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실시간 영상의 제공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과정 제공부는
    상기 주문의 조리 완료 과정에서 상기 요리사 단말로부터 상기 주문 정보의 조리 완료가 수신되면 상기 스마트폰에 해당 제품의 수령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80060054A 2018-05-28 2018-05-28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81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054A KR102081353B1 (ko) 2018-05-28 2018-05-28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054A KR102081353B1 (ko) 2018-05-28 2018-05-28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511A true KR20190140511A (ko) 2019-12-20
KR102081353B1 KR102081353B1 (ko) 2020-02-25
KR102081353B9 KR102081353B9 (ko) 2023-04-12

Family

ID=69062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054A KR102081353B1 (ko) 2018-05-28 2018-05-28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35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566B1 (ko) 2002-05-10 2007-03-15 노키아 코포레이션 셀룰러 원격 통신 및 인증 인프라구조를 사용하여 상품 및서비스에 대해 보안 인증 및 요금 부과를 하는 시스템 및방법
KR20100042508A (ko) * 2008-10-16 2010-04-26 주식회사 이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는 무인 음식 주문 시스템 및 무인 음식 주문 방법
KR101151059B1 (ko) 2007-05-11 2012-06-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원격 주문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107726A (ko) * 2013-02-26 2014-09-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상품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40148130A (ko) * 2013-06-21 2014-12-3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별 메뉴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6528A (ko) * 2013-12-27 2015-07-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무선 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비접촉 과금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3955A (ko) * 2014-02-10 2015-08-19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테크 메뉴 주문 시스템
KR20150135632A (ko) * 2014-05-22 2015-12-03 팁스밸리(주) 비엘이 비콘 기반의 실내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매장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566B1 (ko) 2002-05-10 2007-03-15 노키아 코포레이션 셀룰러 원격 통신 및 인증 인프라구조를 사용하여 상품 및서비스에 대해 보안 인증 및 요금 부과를 하는 시스템 및방법
KR101151059B1 (ko) 2007-05-11 2012-06-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원격 주문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42508A (ko) * 2008-10-16 2010-04-26 주식회사 이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는 무인 음식 주문 시스템 및 무인 음식 주문 방법
KR20140107726A (ko) * 2013-02-26 2014-09-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상품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40148130A (ko) * 2013-06-21 2014-12-3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별 메뉴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6528A (ko) * 2013-12-27 2015-07-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무선 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비접촉 과금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3955A (ko) * 2014-02-10 2015-08-19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테크 메뉴 주문 시스템
KR20150135632A (ko) * 2014-05-22 2015-12-03 팁스밸리(주) 비엘이 비콘 기반의 실내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매장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353B9 (ko) 2023-04-12
KR102081353B1 (ko) 202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395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thorization by using mobile terminal
KR102004328B1 (ko)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0922711B2 (en) Facial recognition system for restaurant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N109272381B (zh) 业务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20150170148A1 (en) Real-time transaction validity verification using behavioral and transactional metadata
US20190066188A1 (en) System and Method of Assisting a User in Automated Buying from a Retail Store
KR102029649B1 (ko) 키오스크 앱 기반의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08006549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RFID and Other Data
US20180197176A1 (en) In-store mobile payment
CN103971273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101036681B1 (ko)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200058031A1 (en) Injecting user control for card-on-file merchant data and recurring payment transaction parameters between acquirer processors and issuer processors over data communication networks
US202102583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lectronic items
CN115641125A (zh) 一种无需扫条形码或编码识别商品的交易方法及系统
CN109785049A (zh) 一种基于数据分析的产品推荐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202400288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dynamic machine readable code
KR102081353B1 (ko)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
US10609156B2 (en) Data transfer, over session or connection, and between computing device and server associated with one or more routing networks in response to detecting activity
US20210133698A1 (en) Injecting user control for card-on-file merchant data and implicitly-identified recurring payment transaction parameters between acquirer processors and issuer processors over data communication networks
US10798007B2 (en) Data transfer, over session or connection, and between computing device and server associated with a routing network for modifying one or more parameters of the routing network
US10601934B2 (en) Data transfer, over session or connection, and between computing device and one or more servers for transmitting data to a third party computing device
US10716060B2 (en) Data transfer between computing device and user device at different locations and over session or connection to display one or more routing networks to use
US108034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signating a primary interactive device
US11899711B2 (en) Merchant logo detec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r injecting user control to ISO back-end transaction approvals between acquirer processors and issuer processors over data communication networks
AU2017101311A4 (en) Frameworks and methodologies configured to enable mobile device payments via unique location-defining c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