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056A - 핵형성제, 그의 제조 방법, 및 관련 중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핵형성제, 그의 제조 방법, 및 관련 중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056A
KR20190140056A KR1020197035204A KR20197035204A KR20190140056A KR 20190140056 A KR20190140056 A KR 20190140056A KR 1020197035204 A KR1020197035204 A KR 1020197035204A KR 20197035204 A KR20197035204 A KR 20197035204A KR 20190140056 A KR20190140056 A KR 20190140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nc
tert
monoglycerolate
butyl
zm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0380B1 (ko
Inventor
비두라 날린 자야라트네
터런스 윌리엄 터니
머레이 호튼
라파엘 다보스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마이크로나이저즈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7901604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7901604A0/en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마이크로나이저즈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90140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7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68Preparation of metal alcoholates
    • C07C29/70Preparation of metal alcoholates by converting hydroxy groups to O-meta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00Saturated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28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83Nucleating agents promoting the crystallisation of the polymer matrix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혼입된 개질제를 함유하는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제조 방법, 및 생성물인 결정자의 응집체 형태로서의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평균 간섭성 도메인 길이를 기준으로 한 결정자 크기는 분말 X-선 회절을 통한 셰러 방정식에 의해 결정된 경우 <100> 방향에서 30 nm 이하 및 <011> 방향에서 60 nm 이하이고, <100>/<011> 간섭성 도메인 길이로 계산된 종횡비는 0.65 미만, 바람직하게는 0.56 미만, 특히 0.44 미만이다. 이러한 핵형성제를 함유하는 중합체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이 또한 기재되어 있다. 상기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는 핵형성제로서 유용하고, 중합체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중 낮은 로딩 수준에서도 매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핵형성제, 그의 제조 방법, 및 관련 중합체 조성물
본 발명은 핵형성제, 그의 제조 방법, 및 핵형성제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출 성형에 의한 폴리올레핀의 산업적 가공에서, 중합체 결정화도의 정도는 일반적으로 적절한 수준의 핵형성제의 사용에 의해 제어된다. 이들 핵형성제는 중합체의 결정화 온도 (Tc)를 상승시키고, 결정화 동역학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물품의 사출을 위해 각각의 사이클을 완료하기 위한 소요 시간 (즉 사이클 시간)을 감소시켜 사출 성형 장치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중합체에 이점을 부여한다. 핵형성제는 또한 수득된 보다 높은 결정화도에 의해 중합체 본체의 개선된 기계적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점점 더 중요해지는 특색은 낮은 로딩에서의 유효성이다. 비용 고려사항은 중합체 생성물에서 중요하다. 중합체 킬로그램당 요구되는 핵형성제의 비용이 결정화 온도의 관련된 상승 또는 사이클 시간의 감소로부터 수득된 비용 절감보다 높다면, 핵형성제의 효능과 무관하게 핵형성제는 상업적 성공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효능을 갖지만 보다 높은 로딩량을 갖는 대안에 비해 낮은 로딩량에서 높은 효능을 갖는 새로운 또는 개질된 핵형성제를 계속적으로 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폴리올레핀 제조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바 있는 핵형성제는 소르비톨-기재 화합물, 시클릭 디카르복스아미드 예컨대 N,N'-디시클로헥실-2,6-나프탈렌 디카르복스아미드, 시클릭 디카르복실레이트 염,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포스페이트 염, 칼슘 말로네이트 및 2가 금속 프로판트리올레이트, 예컨대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를 포함한다.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ZMG)는 상업적 폴리올레핀 제조에서 낮은 로딩 (예를 들어 500 내지 1000 ppm)에서 매우 우수한 효능을 갖는 기존의 고성능 핵형성제이다.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는 테일러(Taylor) 등에 의해 처음 합성되고, 특징화되고 기재되었다 (문헌 [Radoslovich, E. W., Raupach, M. R., Slade, P. G., & Taylor, R. M. (1970). Crystalline cobalt, zinc, manganese, and iron alkoxides of glycerol. Australian Journal of Chemistry, 23(10), 1963-1971; Hambley, T. W., & Snow, M. R. (1983) The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 of zinc (II) monoglycerolate. Australian Journal of Chemistry, 36(6), 1249-1253; 및 Slade, P. G., Radoslovich, E. W., & Raupach, M. (1971)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 of cobalt (II) monoglycerolate. Acta Crystallographica Section B: Structural Crystallography and Crystal Chemistry, 27(12), 2432-2436] 참조). 현재 상업적 ZMG는 발명자 명칭이 보스(Bos)인 US 5,475,123 (1995)에 기재된 방법을 기반으로 생산되고, 이하 "비개질된 ZMG"로 칭해진다. 제2 형태의 ZMG는 또한 발명자 명칭이 보스인 특허 문헌 US 7,074,949 (2006)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2006 특허의 방법에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는 히드로징카이트 (Zn5(CO3)2(OH)6)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합성된다. 따라서, 이 물질은 이하 "히드로징카이트-ZMG"로 지칭된다.
그러나, 시간 경과에 따라 중합체 제조의 비용에 대한 증가된 부담이 있었고, 요구되는 로딩 수준에서의 작용제의 비용과 작용제를 해당 로딩 수준으로 함유하는 중합체 생성물의 제조 동안 수득되는 비용 절감 사이의 보다 더 유리한 균형을 제공하는 새로운 또는 개질된 핵형성제를 개발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로딩에서 개선된 핵형성 효과를 갖는 새로운 또는 개질된 핵형성제, 핵형성제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 및 핵형성제의 관련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자들이 특히 비개질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와 비교하여 개선된 핵형성 효과를 제공하는 개질된 형태의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에 이르러 밝혀내었다. 이후, 신규 형태의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를 "GMS-ZMG"로 명명하며 (주로 사용된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GMS) 개질제의 명칭을 따서 명명함), 이는 2배 초과량의 비개질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로 달성된 것보다 더 우수한 핵형성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신규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생성물 (GMS-ZMG)을 제조하였다.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결정자의 응집체 형태로서의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가 제공되며, 여기서 평균 간섭성 도메인 길이를 기준으로 한 결정자 크기는 분말 X-선 회절을 통한 셰러 방정식에 의해 결정된 경우 <100> 방향 (즉, <100> 구역 축을 따름; 이후 종종 <100> 방향으로 지칭됨)에서 30 nm 이하 및 <011> 방향에서 60 nm 이하이다. 생성물은 또한 <100>/<011> 간섭성 도메인 길이로 측정 또는 계산된 종횡비가 적합하게는 0.65 미만, 예를 들어 0.60 미만 또는 0.56 미만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종횡비는 0.44 미만이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을 통해, 본 출원인은 혼입된 개질제를 함유하는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형태 (예를 들어, GMS-ZMG)를 제조하였고, 이는 결정자의 응집체를 형성하고, 여기서 결정자는 극히 작다. 응집체는 다수의 결정자를 함유하고, 따라서 개별 결정자보다 상당히 더 크다.
본 출원인은 결정화 온도를 증가시키고/시키거나 중합체의 결정화를 완결시키기 위한 시간 기간을 가속화하는 것을 통해 결정화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를 개질시키는 방식으로 상당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출원인은 수년의 노력 후에 이러한 결과를 달성하였고, 그 동안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결정자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본 출원인은 본 발명에 이르러, 개질제의 사용을 통해 그리고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제조 조건의 제어를 통해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작은 결정 크기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다. 핵심 발명은 선행 기술에 비해, 히드로징카이트 (US 7,074,949에 기재된 바와 같은)와 대조적으로 용이하게 입수가능하고 출발점으로서 비교적 저렴한 "간접 또는 프렌치 공정" 산화아연 (예를 들어, 우미코어 징크 케미칼스 (Umicore Zinc Chemicals)로부터 입수가능한 바와 같음)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산화아연 제조를 위한 "간접 또는 프렌치 공정"의 설명에 대해서는, 문헌 [Moezzi, A., McDonagh, A. M., & Cortie, M. B. (2012) Zinc oxide particles: Synthesi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185, 1-22]을 참조한다. 개질제는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기본적인 화학 구조를 변경하지 않는다.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산 촉매의 존재 하에 히드로징카이트와는 상이한 아연 화합물 (즉 히드로징카이트 이외의 아연 화합물이며, 히드로징카이트로부터 유래되지 않음)을 글리세롤 및 개질제와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 아연 화합물은 산화아연, 탄산아연, 수산화아연, 아연 카르복실레이트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거나
- 반응은 반응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미만의 물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2개의 조건이 공정에서 사용된다.
본 출원은 또한 산 촉매 및 개질제의 존재 하에 산화아연 및 글리세롤로부터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온도 조건을 기재하며, 이는 생성물의 결정자 및 응집체 크기를 제어한다.
상기 기재된 특정 개질된 형태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를 제조함으로써, 본 출원인은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핵형성제) (GMS-ZMG)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었고, 여기서 중합체 조성물은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낮은 로딩에서 비교적 높은 결정화 온도를 갖는다.
따라서, 추가 실시양태에 따르면, 유기 중합체 및 상기 기재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아연 글리세롤레이트는 중합체 조성물의 0.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유기 중합체 및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를 포함하는 핵형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는, 분말 X-선 회절을 통한 셰러 방정식에 의해 결정된 경우 <100> 방향에서 30 nm 이하 및 <011> 방향에서 60 nm 이하의 평균 간섭성 도메인 길이를 기준으로 한 결정자 크기를 갖고; 상기 간섭성 도메인 길이의 비 (종횡비로 지칭될 수 있음)는 0.65 미만, 예를 들어 0.60 미만, 또는 0.56 미만, 바람직하게는 0.44 미만이다. 이 범위 내의 종횡비를 갖는 것은 아연 글리세롤 소판의 스택 높이가 그의 시트 길이보다 작음을 나타낸다.
본 출원은 상기 기재된 유형의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GMS-ZMG)의 핵형성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유기 중합체의 결정화 온도를 개선 (증가)시키기 위한 상기 기재된 유형의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GMS-ZMG)의 용도가 제공된다. 이는 낮은 로딩 예를 들어 400 ppm 이하에서 유기 중합체의 결정화 온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개질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GMS-ZMG)의 XRD 패턴을 나타낸다. 비개질된 ZMG의 XRD 패턴이 또한 제시된다. X-축은 2θ (도 단위)를 나타내고, Y-축은 카운트 (피크 강도)를 나타낸다. 2θ = 10.9°에서의 피크는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100) 피크이다. 2개의 XRD 패턴은 (100) 피크가 동일한 강도를 갖도록 정규화되었다. GMS-ZMG의 (100) 피크는 비개질된 ZMG에서보다 더 넓고, 즉 GMS-ZMG 결정자는 더 작다.
도 2a 및 2b는 비개질된 ZMG (도 2a) 및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개질된 ZMG (도 2b)의 SEM 영상을 나타낸다. 각각의 영상에서 축척 막대는 1μm이다.
도 3a, 3b 및 4는 개질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에 대한 추가의 SEM 영상이다. 각각의 영상에서 축척 막대는 100 nm이다.
도 5는 GMS-ZMG (실시예 1)의 XRD 플롯과 비교한 히드로징카이트-ZMG (비교 실시예 1)의 XRD 패턴을 보여준다. X축은 2θ 축 (도 단위)이고, Y축은 카운트이다. 2θ = 10.9°에서의 선은 (100) 피크이고, 2개의 XRD 패턴은 (100) 피크 강도가 동일하도록 정규화되었다. GMS-ZMG의 (100) 피크는 히드로징카이트-ZMG에서보다 더 넓고, 즉 GMS-ZMG 결정자는 더 작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 따른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제조 방법, 중합체 조성물 및 용도는 하기에 기재된다.
개질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제조 방법의 세부사항을 개요하기 전에, 개질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주목할 만한 특징이 기재될 것이다. 개질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는 핵형성제로서 유용하다. 따라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에 대한 언급은 "핵형성제"와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GMS-ZMG)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의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화학적 화합물)이다. 개질제는 바람직하게는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함량의 5 mol% 이하이다. 개질제는 단순히 개질제와 미리 제조된 비개질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혼합물이 아닌 방식으로 혼입된다. 개질제는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제조 동안 첨가된다. 개질된 물질은 결정-구조적으로 ZMG (X-선 회절 증거)인 것으로 밝혀졌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개질제인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는 총 GMS-ZMG 질량의 5.47 중량%로 사용되었다.
개질제는 제조 동안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결정자 크기를 개질할 수 있는 작용제이다. 이러한 개질 능력을 갖는 것으로 밝혀진 적합한 부류의 작용제는 글리세롤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테르이다. 글리세롤 카르복실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산의 모노글리세롤레이트, 또는 모노아실글리세롤이다. 산은 바람직하게는 포화 지방산이고, C6 내지 C24 포화 지방산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개질제는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의 에스테르)이다. 단순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예를 들어 코코넛 오일은 개질제로서 효과적이지 않으므로, 글리세롤 에스테르 중 2개의 히드록실 기의 존재가 바람직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혼입된 개질제를 함유하는 본 출원의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GMS-ZMG)는 결정자의 응집체 형태이다. 응집체 크기는 스캐닝 전자 현미경검사 (SEM)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SEM을 사용하여, 적합한 절차는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물질을 양면 탄소 테이프에 부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테이프를 SEM 마운트에 부착시킨다 (그리고 느슨한 물질을 압축 질소에 의해 블로잉 제거한다). 이어서, 부착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물질을 금속 (예를 들어, 백금)으로 스퍼터-코팅하고; 다양한 배율로 스캐닝 전자 현미경검사 (SEM)에서 영상을 획득한다. 이러한 기술은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물질에 대한 측정된 응집체 크기 분포가 느슨한 생성물의 응집체 크기 분포와 일치하는 것을 보장한다 (즉 현탁 매질 중에서의 추가의 가공이 없음 등). 각각의 입자의 크기 (직경으로서)는 영상 영역 내의 가시적 응집체에 대해 계산된다. 응집체 크기는 가공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측정하기가 어렵고, 응집체 크기의 개념은 보편적인 유용성을 갖기에는 지나치게 모호하다. 결과적으로, 본원에서 사용되는 응집체 크기는 표준적으로 제공되지 않지만, 대신에 성공적인 합성을 나타내는 설명 (작은 결정자를 포함하는 느슨한 큰 응집체)으로서 제공된다.
응집체는 다수의 결정자를 포함한다. 스캐닝 전자 현미경검사 (SEM) 영상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응집체는 전형적으로 5μm 내지 50μm 범위이다. 마이크로미터-크기 입자, 특히 응집체가 느슨하게 결합된 마이크로미터 크기 입자로 응집되는 다수의 결정자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물질을 별개의 100 나노미터 미만 크기의 입자로서 제공하는 것은 취급 곤란 및 물질의 포장 및 운반과 관련된 문제를 일으킨다. 마이크로미터 크기 범위에 있는 응집체는 이러한 문제점을 피한다. 따라서, 응집이 매력적이지만, 응집체의 성질이 개별 결정자가 중합체 조성물을 통해 분리 및 확산되는데 어려움을 초래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GMS 개질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GMS-ZMG)의 제조를 위한 본원에 기재된 기술은 느슨하게 유지되는 응집체를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출원의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GMS-ZMG)는 매우 작은 결정자 (XRD에 의해 결정됨)를 가지며, 따라서 단위 질량당 더 많은 결정자 (즉 활성 핵형성제 중심)를 전달하여 효과적으로 분산한다.
본 출원의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GMS-ZMG)는 심지어 소량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결정화 온도를 상승시킨다.
브래그-브렌타노 (Bragg-Brentano) (θ-2θ) 기하구조에 따라 설정된 X-선 회절 기기에 의해 XRD 패턴을 얻고, 목적하는 2θ 값 사이에서 스캐닝한다. 각각의 피크는 밀러 인덱스 (Miller index)에 의해 기재된 격자 평면의 세트, 예를 들어 (100)에 상응한다. 주어진 피크, 예를 들어 (100) 피크의 경우, 피크의 폭은, 해당 구역 축의 방향에서, 즉 본 예에서의 <100>에서 (100) 피크의 반치 전폭 (FWHM)을 사용하여 측정된 평균 간섭성 도메인 길이 (즉, 결정자 크기)에 상응한다. 이어서, 셰러 방정식을 사용하여 결정자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τ는 평균 결정자 크기 (nm)이고, K는 무차원 형상 인자이고 (여기서는 0.9로 취함; 서로 비교되는 모든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β가 사용되어야 함), λ는 사용되는 X-선의 파장 (0.154 nm (즉 Cu Kα 방사선))이고, β는 라디안으로 표현된 FWHM에서의 선폭 확장이고, θ는 브래그 각 (도 단위로 표현됨; (피크의 2θ 값)/2)이다. 선폭 확장은 간섭성 도메인 길이 변화 단독으로부터인 것으로 가정한다.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GMS-ZMG)는 <100> 방향에서 10 내지 30 nm, 10 내지 25 nm, 또는 10 내지 20 nm의 결정자 크기 (상기 방법에 의해 결정됨)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평균 결정자 크기는 전형적으로 25 nm 미만, 22 nm 미만, 또는 20 nm 미만이다.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는 <011> 방향에서 20 내지 50 nm, 20 내지 48 nm, 또는 20 내지 46 nm의 결정자 크기 (상기 방법에 의해 결정됨)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GMS-ZMG의 결정자 크기는, 분말 X-선 회절을 통한 셰러 방정식에 의해 결정된 경우 <100> 방향 (즉 적층 방향을 따른 간섭성 도메인 길이)에서 30 nm 이하, 및 <011> 방향 (즉 평면 방향을 따른 간섭성 도메인 길이)에서 60 nm 이하이다. <011> 방향에서의 결정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60 nm 미만이다. 상기 간섭성 도메인 길이의 비 (종횡비)는 적합하게는 대략 절반, 또는 보다 정밀하게는 0.65 미만, 예를 들어 0.60 미만 또는 0.56 미만, 바람직하게는 0.44 미만이다.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반응 기간 동안 120℃ 미만으로 유지된다. 그러나, 단기간 동안 120℃ 초과의 온도를 취하는 것은 본 출원의 범주를 벗어나는 그러한 공정을 초래하지는 않을 것이다. 반응이 120℃를 초과하는 기간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반응 기간의 10% 이하이다.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20℃의 피크에 도달하도록 반응 동안 상승된다. 선행 기술의 방법은 보다 높은 온도 반응, 또는 100℃ 초과에서의 보다 장기간을 포함하였다. 반응 동안 상이한 온도 조건의 결과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행 기술 조건 하에 생성된 생성물의 평균 결정자 크기는 본 출원의 생성물에 대해 나타낸 범위 초과이었다.
아연 화합물은 산화아연, 탄산아연, 수산화아연, 아연 카르복실레이트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신규성은 고도로 분산가능한 핵형성제 (선행 기술에 의해 제공되는 것보다 더 분산가능함)를 제조하기 위해 용이하게 입수가능한 간접 또는 프렌치 공정 산화아연을 사용하는 그의 능력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산화아연은 히드로징카이트로부터 형성된 산화아연을 제외하고, 2006년 보스에 기재된 히드로징카이트 자체 (히드로징카이트-ZMG)의 사용을 사실상 제외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2006년 보스의 규정된 방법을 통해 히드로징카이트를 사용하는 것은 본 출원에 명시된 것보다 더 큰 결정자 크기를 초래하는 경향이 있고 (특히 다른 가공 조건과 조합될 때),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사용되지 않는다.
반응 조성물 중 글리세롤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10 mol%이다. 상기 양은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5 mol%이고, 전형적으로 화학량론적 양으로 사용된다.
개질제 양의 관점에서, 이러한 개질제 양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mol%이다. 보다 적은 양을 사용하는 것은 보다 큰 평균 결정자 크기를 생성하는 경향이 있지만, 다른 인자가 또한 달성되는 결정자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 개질제는 충분히 높은 수준으로 혼입될 때 보다 작은 평균 결정자 크기에 기여한다. 수준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1.7, 1.9, 2.0, 2.1, 2.2 또는 2.3 mol% 초과이다. 2.0 내지 5.0 mol%의 범위가 특히 적합하다. 이상적인 양은 약 2.5 mol%일 수 있다. 더 많은 양이 또한 사용될 수 있지만, 수준을 5.0 mol%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경우에 추가의 이점이 달성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고, 그 이상의 수준은 또한 공정-능력에 불리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은 아연 화합물, 개질제 및 75 중량% 내지 95 중량%의 총 글리세롤을 합하고, 혼합하고, 이어서 나머지의 글리세롤, 아세트산 및 물의 조합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반응은 산 촉매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산 또는 산 염, 예컨대 저급 알킬 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C2 내지 C6 카르복실산), 예컨대 아세트산, 발레르산; 폴리-카르복실산 예컨대 시트르산, 말산, 말레산, 숙신산, 말론산, 히푸르산, 타르타르산, 옥살산; 중간/장쇄 산 예컨대 라우르산, 스테아르산; 임의의 다른 산 예컨대 레불린산, 벤조산, 붕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또는 그의 혼합물이다.
촉매는 또한 상기 산 중 어느 것의 아연 염, 예를 들어 아세트산아연일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산은 산화아연에 계내 첨가된다.
사용되는 촉매의 양은 아연 화합물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 mol%이다.
개질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제조 방법에서의 하나의 주요한 바람직한 특징은 반응 조성물 중 물 함량이다. 물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매우 낮다. 물 함량은 총 반응 조성물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8%, 6%, 4% 또는 2 중량% 이하이다. 산이 통상적으로 수용액으로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산 촉매 조성물에 존재하는 소량의 물이 존재할 수 있다. 글리세롤 중 불순물로서 물이 허용될 수 있다. 물은 반응에서 생성되지만, 단지 초기의 반응 조성물 중 상당한 양의 물의 존재는 큰 결정자 크기에 바람직하지 않게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은 유기 중합체 (적어도 1 종) 및 0.001 중량% 내지 20 중량%, 예를 들어 0.01 중량% 내지 20 중량%, 0.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01 중량% 내지 5 중량% 또는 0.01 중량% 내지 1 중량% (중합체 조성물 기준)의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GMS-ZMG)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기 중합체의 예는 하기와 같다:
1. 모노올레핀 및 디올레핀의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트-1-엔, 폴리-4-메틸펜트-1-엔, 폴리비닐시클로헥산, 폴리이소프렌 또는 폴리부타디엔, 폴리헥센, 폴리옥텐, 뿐만 아니라 시클로올레핀의 중합체, 예를 들어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시클로옥텐 또는 노르보르넨의 중합체, 폴리에틸렌 (이는 임의로 가교될 수 있음),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고밀도 및 고분자량의 폴리에틸렌 (HDPE-HMW), 고밀도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HDPE-UHMW), 중밀도 폴리에틸렌 (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VLDPE) 및 (ULDPE).
폴리올레핀, 즉 상기 단락에 예시된 모노올레핀의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은, 다양한 방법, 특히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 라디칼 중합 (통상 고압 및 승온 하의 중합).
b) 통상적으로 주기율표의 IVb족, Vb족, VIb족 또는 VIII족에 속하는 1종 이상의 금속을 함유하는 촉매를 사용한 촉매 중합. 이들 금속은 통상적으로, π- 또는 σ-배위될 수 있는 1종 이상의 리간드, 전형적으로 옥시드, 할라이드, 알콜레이트,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알킬, 알케닐 및/또는 아릴을 갖는다. 이들 금속 착물은 유리 형태이거나 또는 기재 상에, 전형적으로 활성화 염화마그네슘, 염화티타늄(III), 알루미나 또는 산화규소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들 촉매는 중합 매질에 가용성 또는 불용성일 수 있다. 촉매는 그 자체로 중합에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추가의 활성화제, 전형적으로 금속 알킬, 금속 수소화물, 금속 알킬 할라이드, 금속 알킬 옥시드 또는 금속 알킬옥산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금속은 주기율표의 Ia, IIa 및/또는 IIIa족의 원소이다. 활성화제는 추가의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또는 실릴 에테르 기로 편리하게 개질될 수 있다. 이들 촉매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필립스(Phillips), 스탠다드 오일 인디애나(Standard Oil Indiana), 지글러(Ziegler) (-나타(-Natta)), TNZ (듀폰(DuPont)), 메탈로센 또는 단일 부위 촉매 (SSC)로서 명명된다.
2. 1) 하에 언급된 중합체의 혼합물,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이소부틸렌,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 (예를 들어, PP/HDPE, PP/LDPE)의 혼합물 및 상이한 유형의 폴리에틸렌의 혼합물 (예를 들어, LDPE/HDPE).
3. 모노올레핀 및 디올레핀 간의 공중합체 또는 그와 다른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및 그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의 혼합물,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프로필렌/부트-1-엔 공중합체, 프로필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트-1-엔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메틸펜텐 공중합체, 에틸렌/헵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시클로헥산 공중합체, 에틸렌/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 (예를 들어, 에틸렌/노르보르넨 예컨대 COC), 에틸렌/1-올레핀 공중합체 (여기서, 1-올레핀은 계내 생성됨); 프로필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시클로헥센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그의 염 (이오노머) 뿐만 아니라 에틸렌과 프로필렌 및 디엔 예컨대 헥사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또는 에틸리덴-노르보르넨의 삼원공중합체; 및 이러한 공중합체 간의 혼합물 및 그와 상기 1)에 언급된 중합체의 혼합물,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LDPE/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EVA), LDPE/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EAA), LLDPE/EVA, LLDPE/EAA 및 교호 또는 랜덤 폴리알킬렌/카본 모노옥시드 공중합체 및 그와 다른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의 혼합물.
4. 탄화수소 수지 (예를 들어, C5-C9) 예컨대 그의 수소화 개질물 (예를 들어, 점착제), 및 폴리알킬렌 및 전분의 혼합물.
1.) - 4.)로부터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신디오택틱, 이소택틱, 헤미-이소택틱 또는 어택틱을 포함하는 임의의 입체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어택틱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입체블록 중합체가 또한 포함된다. 1.) - 4.)로부터의 공중합체는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단독상 또는 이종상, 또는 높은 결정질 단독중합체일 수 있다.
5. 폴리스티렌, 폴리(p-메틸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6.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 톨루엔의 모든 이성질체, 특히 p-비닐-톨루엔, 에틸 스티렌, 프로필 스티렌, 비닐 비페닐, 비닐 나프탈렌 및 비닐 안트라센의 모든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비닐 방향족 단량체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된 방향족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신디오택틱, 이소택틱, 헤미-이소택틱 또는 어택틱을 포함하는 임의의 입체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어택틱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입체블록 중합체가 또한 포함된다.
6a. 상기 언급된 비닐 방향족 단량체, 및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니트릴, 산, 말레산 무수물, 말레이미드,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아크릴산 유도체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에틸렌 (혼성중합체), 스티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부타디엔/알킬 아크릴레이트, 스티렌/부타디엔/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메틸 아크릴레이트; 높은 충격 강도를 갖는 스티렌 공중합체 및 또 다른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엔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의 혼합물; 및 스티렌의 블록 공중합체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스티렌/이소프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또는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HIPS, ABS, ASA, AES.
6b) 6.) 하에 언급된 중합체의 수소화로부터 유도된 수소화 방향족 중합체, 특히 예컨대 어택틱 폴리스티렌의 수소화에 의해 제조된, 종종 폴리비닐시클로헥산 (PVCH)으로서 지칭되는 폴리시클로헥실에틸렌 (PCHE).
6c. 6a.) 하에 언급된 중합체의 수소화로부터 유도된 수소화 방향족 중합체.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신디오택틱, 이소택틱, 헤미-이소택틱 또는 어택틱을 포함하는 임의의 입체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어택틱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입체블록 중합체가 또한 포함된다.
7. 비닐 방향족 단량체 예컨대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폴리부타디엔-스티렌 또는 폴리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상의 스티렌;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및 말레산 무수물;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말레산 무수물 또는 말레이미드;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및 말레이미드;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 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뿐만 아니라 그와 6) 하에 열거된 공중합체의 혼합물, 예를 들어 ABS, MBS, ASA 또는 AES 중합체로서 공지된 공중합체 혼합물.
8. 할로겐-함유 중합체, 예컨대 폴리클로로프렌, 염소화 고무, 이소부틸렌-이소프렌의 염소화 및 브로민화 공중합체 (할로부틸 고무), 염소화 및 술포염소화 폴리에틸렌, 에틸렌 및 염소화 에틸렌의 공중합체, 에피클로로히드린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특히 할로겐-함유 비닐 화합물의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뿐만 아니라 그의 공중합체, 예컨대 비닐 클로라이드/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비닐리덴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는 경질 또는 가요성일 수 있다 (가소화).
9. α,β-불포화 산 및 그의 유도체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예컨대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로 충격-개질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
10. 9) 하에 언급된 단량체 간의 공중합체 또는 그와 다른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콕시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비닐 할라이드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알킬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삼원공중합체.
11. 불포화 알콜 및 아민 또는 그의 아실 유도체 또는 아세탈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스테아레이트, 폴리비닐 벤조에이트, 폴리비닐 말레에이트, 폴리비닐 부티랄, 폴리알릴 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알릴 멜라민; 뿐만 아니라 그와 상기 1)에 언급된 올레핀의 공중합체.
12. 시클릭 에테르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예컨대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시드, 폴리프로필렌 옥시드 또는 그와 비스글리시딜 에테르의 공중합체.
13. 폴리아세탈 예컨대 폴리옥시메틸렌 및 에틸렌 옥시드를 공단량체로서 함유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MBS로 개질된 폴리아세탈.
14. 폴리페닐렌 옥시드 및 술피드, 및 폴리페닐렌 옥시드와 스티렌 중합체 또는 폴리아미드의 혼합물.
15. 한편으로는 히드록실-종결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부타디엔, 다른 한편으로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우레탄, 뿐만 아니라 그의 전구체. 하기 반응에 의해 형성된 폴리우레탄: (1)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단쇄 디올 (사슬 연장제) 및 (2)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장쇄 디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PU).
16. 디아민 및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및/또는 아미노카르복실산 또는 상응하는 락탐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아미드 및 코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4,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6/10, 6/9, 6/12, 4/6, 12/12,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m-크실렌 디아민 및 아디프산으로부터 출발한 방향족 폴리아미드; 개질제로서의 엘라스토머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헥사메틸렌디아민 및 이소프탈산 또는/및 테레프탈산으로부터 제조된 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폴리-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또는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 및 또한 상기 언급된 폴리아미드와, 폴리올레핀, 올레핀 공중합체, 이오노머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그라프트된 엘라스토머의 블록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의 블록 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EPDM 또는 ABS로 개질된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 및 가공 동안 축합된 폴리아미드 (RIM 폴리아미드 시스템). 폴리아미드는 무정형일 수 있다.
17. 폴리우레아,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스테르이미드, 폴리히단토인 및 폴리벤즈이미다졸.
18. 디카르복실산 및 디올로부터 및/또는 히드록시카르복실산 또는 상응하는 락톤 또는 락티드로부터 유도된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디메틸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알킬렌 나프탈레이트 및 폴리히드록시벤조에이트, 뿐만 아니라 히드록실-종결 폴리에테르로부터 유도된 코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및 또한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MBS로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카르보네이트,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옥타노에이트 공중합체,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헥사노에이트/데카노에이트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게다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부류, 특히 폴리(프로피오락톤), 폴리(부티로락톤), 폴리(피발로락톤), 폴리(발레로락톤) 및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폴리프로필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헥사메틸렌숙시네이트,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폴리프로필렌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폴리헥사메틸렌아디페이트, 폴리에틸렌옥살레이트, 폴리프로필렌옥살레이트, 폴리부틸렌옥살레이트, 폴리헥사메틸렌옥살레이트, 폴리에틸렌세바케이트, 폴리프로필렌세바케이트, 폴리부틸렌세바케이트, 폴리에틸렌 푸라노에이트 및 폴리락트산 (PLA), 뿐만 아니라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MBS로 개질된 상응하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용어 "폴리락트산 (PLA)"은 바람직하게는 폴리-L-락티드의 단독중합체 및 그와, 다른 중합체의 블렌드 또는 합금 중 임의의 것; 락트산 또는 락티드와, 다른 단량체, 예컨대 히드록시-카르복실산 예컨대 예를 들어 글리콜산, 3-히드록시-부티르산, 4-히드록시-부티르산, 4-히드록시-발레르산, 5-히드록시-발레르산, 6-히드록시-카프로산 및 그의 시클릭 형태의 공중합체를 나타내며; 용어 "락트산" 또는 "락티드"는 L-락트산, D-락트산, 그의 혼합물 및 이량체, 즉 L-락티드, D-락티드, 메소-락티드 및 그의 임의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는 PET, PET-G, PBT이다.
19.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바람직하게 비스페놀 화합물과 탄산 화합물, 특히 포스겐의 반응, 또는 용융 에스테르화 공정에서의 디페닐 카르보네이트 또는 디메틸 카르보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비스페놀 A를 기재로 한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및 단량체 비스페놀 A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비스페놀 TMC)을 기재로 한 코폴리카르보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카르보네이트 합성에 사용될 수 있는 이들 및 추가의 비스페놀 및 디올 화합물은 특히 WO08037364 (p. 7, line 21 내지 p.10, line 5), EP1582549 ([0018] 내지 [0034]), WO02026862 (p.2, line 23 내지 p. 5, line 15), WO05113639 (p. 2, line 1 내지 p.7, line 20)에 개시되어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다. 분지형 및 비분지형 폴리카르보네이트의 혼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위한 적합한 분지화제는 예를 들어, 특허 명세서 US4185009 및 DE2500092 (본 발명에 따른 3,3-비스-(4-히드록시아릴-옥스인돌, 각 경우에 전체 문헌 참조), DE4240313 (p.3, line 33 내지 55 참조), DE19943642 (p.5, line 25 내지 34 참조) 및 US5367044뿐만 아니라 그 안에 인용된 문헌으로부터 공지되어 있거나 또는 그에 기재되어 있다. 사용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또한 내재적으로 분지화될 수 있으나, 본원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제조의 맥락 내에서는 분지화제가 첨가되지 않는다. 내재적인 분지화의 예는 EP1506249에서 용융 폴리카르보네이트에 대해 개시된 바와 같이 소위 프라이즈(Fries) 구조로 지칭된다. 쇄 종결제가 추가적으로 폴리카르보네이트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페놀류, 예를 들어 페놀, 크레졸 및 4-tert-부틸페놀과 같은 알킬페놀, 클로로페놀, 브로모페놀, 쿠밀페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쇄종결제로서 사용된다.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는 이미 언급된 비스페놀, 적어도 1종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임의로 탄산 균등물의 반응에 의해 수득된다. 적합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에는, 예를 들어 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3,3'- 또는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및 벤조페논디카르복실산이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중의 카르보네이트 기의 80 mol%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mol%의 부분이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기로 대체될 수 있다.
20. 폴리케톤.
21.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술폰 및 폴리에테르 케톤.
22. 한편으로는 알데히드, 및 다른 한편으로는 페놀, 우레아 및 멜라민으로부터 유도된 가교 중합체, 예컨대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23. 건조 및 비-건조 알키드 수지.
24. 포화 및 불포화 디카르복실산과, 가교제로서의 다가 알콜 및 비닐 화합물의 코폴리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또한 낮은 인화성을 갖는 그의 할로겐-함유 개질물.
25. 치환된 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가교성 아크릴 수지.
26.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에폭시 수지로 가교된 알키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레이트 수지.
27.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헤테로시클릭 또는 방향족 글리시딜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가교 에폭시 수지, 예를 들어 촉진제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통상의 경화제 예컨대 무수물 또는 아민으로 가교된 비스페놀 A, 비스페놀 E 및 비스페놀 F의 디글리시딜 에테르의 생성물.
28. 천연 중합체 예컨대 셀룰로스, 고무, 젤라틴 및 그의 화학적으로 개질된 동족 유도체, 예를 들어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스 프로피오네이트 및 셀룰로스 부티레이트, 또는 셀룰로스 에테르 예컨대 메틸 셀룰로스; 뿐만 아니라 로진 및 그의 유도체.
29. 상기 언급된 중합체의 블렌드 (폴리블렌드), 예를 들어 PP/EPDM, 폴리아미드/EPDM 또는 ABS, PVC/EVA, PVC/ABS, PVC/MBS, PC/ABS, PBTP/ABS, PC/ASA, PC/PBT, PVC/CPE, PVC/아크릴레이트, POM/열가소성 PUR, PC/열가소성 PUR, POM/아크릴레이트, POM/MBS, PPO/HIPS, PPO/PA 6.6 및 공중합체, PA/HDPE, PA/PP, PA/PPO, PBT/PC/ABS 또는 PBT/PET/PC.
30. 순수 단량체 화합물 또는 이러한 화합물의 혼합물인 자연 발생 및 합성 유기 물질, 예를 들어 미네랄 오일, 동물성 및 식물성 지방, 오일 및 왁스, 또는 합성 에스테르 (예를 들어, 프탈레이트, 아디페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트리멜리테이트)를 기재로 하는 오일, 지방 및 왁스, 및 또한 합성 에스테르와 미네랄 오일의 임의의 중량비로의 혼합물, 전형적으로 방사 조성물로서 사용되는 것,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물질의 수성 에멀젼.
31. 천연 또는 합성 고무의 수성 에멀젼, 예를 들어 천연 라텍스 또는 카르복실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라텍스.
32. 접착제, 예를 들어 블록 공중합체 예컨대 SIS, SBS, SEBS, SEPS (S는 스티렌, I는 이소프렌, B는 폴리부타디엔, EB는 에틸렌/부틸렌 블록, EP는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블록을 나타낸다).
33. 고무, 예를 들어 공액 디엔의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부타디엔 또는 폴리이소프렌, 모노올레핀 및 디올레핀 간의 공중합체 또는 그와 다른 비닐 단량체의 공중합체,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과 디엔 또는 아크릴산 유도체와의 공중합체, 염소화 고무, 천연 고무.
34. 엘라스토머, 예를 들어 천연 폴리이소프렌 (시스-1,4-폴리이소프렌 천연 고무 (NR) 및 트랜스-1,4-폴리이소프렌 구타-페르카), 합성 폴리이소프렌 (IR은 이소프렌 고무), 폴리부타디엔 (BR은 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CR), 폴리클로로프렌, 네오프렌, 베이프렌 등, 부틸 고무 (이소부틸렌 및 이소프렌의 공중합체, IIR), 할로겐화 부틸 고무 (클로로 부틸 고무: CIIR; 브로모 부틸 고무: BII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스티렌 및 부타디엔의 공중합체, SBR), 니트릴 고무 (부타디엔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NBR), 부나 N 고무 수소화 니트릴 고무 (HNBR) 테르반 및 제트폴로도 불림, EPM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및 EPDM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및 디엔-성분의 삼원공중합체),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 (ECO), 폴리아크릴산 고무 (ACM, ABR), 실리콘 고무 (SI, Q, VMQ), 플루오로실리콘 고무 (FVMQ), 플루오로엘라스토머 (FKM 및 FEPM) 비톤, 테크노플론, 플루오렐, 아플라스 및 다이-El, 퍼플루오로엘라스토머 (FFKM) 테크노플론 PFR, 칼레즈, 켐라즈, 펄라스트,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PEBA),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CSM), (히팔론),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EVA),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TPE), 직물 제조에 사용되는 단백질 레실린 및 엘라스틴, 폴리술피드 고무, 엘라스트올레핀, 탄성 섬유.
35.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예를 들어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TPE-s), 열가소성 올레핀 (TPE-o), 엘라스토머성 합금 (TPE-v 또는 TPV),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PU),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반응기 TPO(Reactor TPO's) (R-TPO's),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 (POP's),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POE's).
바람직한 유기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그의 공중합체,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및 스티렌 중 1종 이상 간의 공중합체 또는 그와 또 다른 공단량체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체는 중합체 제품 예컨대 섬유, 필름, 직물, 포장 또는 코팅으로 가공될 수 있다.
혼입된 개질제를 함유하는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GMS-ZMG)는 중합체 블렌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전형적으로 대략 0.01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최종 플라스틱 제품에서 농도는 일반적으로 0.01 내지 2%의 범위이나, 제품의 제조를 위한 마스터배치 조성은 최대 20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유기 중합체는 중합체 블렌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대략 80% 내지 99.99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중합체 중 GMS 개질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GMS-ZMG)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400ppm 이하이고, 심지어 380ppm 이하, 360ppm 이하, 340ppm 이하, 320ppm 이하, 또는 300ppm 이하일 수 있다. 양은 100ppm, 또는 50ppm 또는 그 미만만큼 낮을 수 있다. 약 200ppm +/- 100ppm 또는 +/- 50ppm이 적합한 표적 양이다.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중 통상적인 핵형성제 (예를 들어, 비개질된 ZMG)의 전형적인 양은 일반적으로 500ppm 이상이고, 따라서 이러한 감소된 양은 달성되는 결정화 타이밍에는 불리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상당한 비용 절감을 나타낸다.
중합체 조성물은 통상적인 배합 성분을 미량, 예를 들어 중합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5%로 추가로 포함한다.
통상적인 배합 성분의 예는 하기와 같다:
1. 산화방지제
1.1. 알킬화 모노페놀, 예를 들어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2-tert-부틸-4,6-디메틸페놀, 2,6-디-tert-부틸-4-에틸페놀, 2,6-디-tert-부틸-4-n-부틸페놀, 2,6-디-tert-부틸-4-이소부틸페놀, 2,6-디시클로펜틸-4-메틸페놀, 2-(α-메틸시클로헥실)-4,6-디메틸페놀, 2,6-디옥타데실-4-메틸페놀, 2,4,6-트리시클로헥실페놀, 2,6-디-tert-부틸-4-메톡시메틸페놀, 측쇄 내에서 선형 또는 분지형인 노닐페놀, 예를 들어 2,6-디-노닐-4-메틸페놀, 2,4-디메틸-6-(1'-메틸운데스-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헵타데스-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트리데스-1'-일)페놀 및 그의 혼합물.
1.2. 알킬티오메틸페놀, 예를 들어 2,4-디옥틸티오메틸-6-tert-부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메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에틸페놀, 2,6-디-도데실티오메틸-4-노닐페놀.
1.3. 히드로퀴논 및 알킬화 히드로퀴논, 예를 들어 2,6-디-tert-부틸-4-메톡시페놀, 2,5-디-tert-부틸히드로퀴논, 2,5-디-tert-아밀히드로퀴논,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2,6-디-tert-부틸히드로퀴논, 2,5-디-tert-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tert-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 스테아레이트, 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 아디페이트.
1.4. 토코페롤, 예를 들어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및 그의 혼합물 (비타민 E).
1.5. 히드록실화 티오디페닐 에테르, 예를 들어 2,2'-티오비스(6-tert-부틸-4-메틸페놀), 2,2'-티오비스(4-옥틸페놀), 4,4'-티오비스(6-tert-부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6-tert-부틸-2-메틸페놀), 4,4'-티오비스(3,6-디-sec-아밀페놀), 4,4'-비스(2,6-디메틸-4-히드록시페닐)디술피드.
1.6. 알킬리덴비스페놀, 예를 들어 2,2'-메틸렌비스(6-tert-부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tert-부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메틸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6-노닐-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tert-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6-tert-부틸-4-이소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6-(α-메틸벤질)-4-노닐페놀], 2,2'-메틸렌비스[6-(α,α-디메틸벤질)-4-노닐페놀], 4,4'-메틸렌비스(2,6-디-tert-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6-tert-부틸-2-메틸페놀), 1,1-비스(5-ter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2,6-비스(3-tert-부틸-5-메틸-2-히드록시벤질)-4-메틸페놀, 1,1,3-트리스(5-ter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1,1-비스(5-ter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3-n-도데실메르캅토부탄, 에틸렌 글리콜 비스[3,3-비스(3'-tert-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비스(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디시클로펜타디엔, 비스[2-(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벤질)-6-tert-부틸-4-메틸페닐]테레프탈레이트, 1,1-비스-(3,5-디메틸-2-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5-ter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4-n-도데실메르캅토부탄, 1,1,5,5-테트라(5-ter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펜탄.
1.7. O-, N- 및 S-벤질 화합물, 예를 들어 3,5,3',5'-테트라-tert-부틸-4,4'-디히드록시디벤질 에테르, 옥타데실-4-히드록시-3,5-디메틸벤질메르캅토아세테이트, 트리데실-4-히드록시-3,5-디-tert-부틸벤질메르캅토아세테이트, 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아민, 비스(4-ter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디티오테레프탈레이트, 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술피드, 이소옥틸-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메르캅토아세테이트.
1.8. 히드록시벤질화 말로네이트, 예를 들면 디옥타데실-2,2-비스(3,5-디-tert-부틸-2-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디-옥타데실-2-(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질)말로네이트, 디-도데실메르캅토에틸-2,2-비스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2,2-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9. 방향족 히드록시벤질 화합물, 예를 들어 1,3,5-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1,4-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2,3,5,6-테트라메틸벤젠, 2,4,6-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페놀.
1.10. 트리아진 화합물, 예를 들어 2,4-비스(옥틸메르캅토)-6-(3,5-디-tert-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메르캅토-4,6-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메르캅토-4,6-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녹시)-1,3,5-트리아진, 2,4,6-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녹시)-1,2,3-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4-ter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2,4,6-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에틸)-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11. 벤질포스포네이트, 예를 들어 디메틸-2,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에틸-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5-tert-부틸-4-히드록시-3-메틸벤질포스포네이트,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폰산의 모노에틸 에스테르의 칼슘 염.
1.12. 아실아미노페놀, 예를 들어 4-히드록실라우라닐리드, 4-히드록시스테아라닐리드, 옥틸 N-(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카르바메이트.
1.13.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 등의 1가 또는 다가 알콜과 β-(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4.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 3,9-비스[2-{3-(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등의 1가 또는 다가 알콜과 β-(5-tert-부틸-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5.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 등의 1가 또는 다가 알콜과 β-(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6.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 등의 1가 또는 다가 알콜과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 아세트산의 에스테르.
1.17. β-(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미드, 예를 들어 N,N'-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메틸렌디아미드, N,N'-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트리메틸렌디아미드, N,N'-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지드, N,N'-비스[2-(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옥사미드 (유니로얄(Uniroyal)에 의해 공급되는 나우가드(Naugard)®XL-1).
1.18.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
1.19. 아민계 산화방지제, 예를 들어 N,N'-디-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 N,N'-디-sec-부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4-디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에틸-3-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메틸헵틸)-p-페닐렌디아민, N,N'-디시클로헥실-p-페닐렌디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N,N'-비스(2-나프틸)-p-페닐렌디아민,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1-메틸헵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시클로헥실-N'-페닐-p-페닐렌디아민, 4-(p-톨루엔술파모일)디페닐아민, N,N'-디메틸-N,N'-디-sec-부틸-p-페닐렌디아민, 디페닐아민, N-알릴디페닐아민, 4-이소프로폭시디페닐아민, N-페닐-1-나프틸아민, N-(4-tert-옥틸페닐)-1-나프틸아민, N-페닐-2-나프틸아민, 옥틸화 디페닐아민, 예를 들어 p,p'-디-tert-옥틸디페닐아민, 4-n-부틸아미노페놀, 4-부티릴아미노페놀, 4-노나노일아미노페놀, 4-도데카노일아미노페놀, 4-옥타데카노일아미노페놀, 비스(4-메톡시페닐)아민, 2,6-디-tert-부틸-4-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N,N,N',N'-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1,2-비스[(2-메틸페닐)아미노]에탄, 1,2-비스(페닐아미노)프로판, (o-톨릴)비구아니드, 비스[4-(1',3'-디메틸부틸)페닐]아민, tert-옥틸화 N-페닐-1-나프틸아민, 모노- 및 디알킬화 tert-부틸/tert-옥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도데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이소프로필/이소헥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tert-부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2,3-디히드로-3,3-디메틸-4H-1,4-벤조티아진, 페노티아진, 모노- 및 디알킬화 tert-부틸/tert-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tert-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N-알릴페노티아진, N,N,N',N'-테트라페닐-1,4-디아미노부트-2-엔.
2. UV 흡수제 및 광 안정화제
2.1. 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ert-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5'-tert-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ert-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sec-부틸-5'-tert-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ert-아밀-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비스-(α,α-디메틸벤질)-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도데실-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히드록시-5'-(2-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3'-tert-부틸-5'-(2-메톡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과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의 에스테르교환 생성물;
Figure pct00002
(여기서, R = 3'-tert-부틸-4'-히드록시-5'-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임), 2-[2'-히드록시-3'-(α,α-디메틸벤질)-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1,1,3,3-테트라메틸부틸)-5'-(α,α-디메틸벤질)-페닐]벤조트리아졸.
2.2. 2-히드록시벤조페논, 예를 들어 4-히드록시, 4-메톡시, 4-옥틸옥시, 4-데실옥시, 4-도데실옥시, 4-벤질옥시, 4,2',4'-트리히드록시 및 2'-히드록시-4,4'-디메톡시 유도체.
2.3. 치환 및 비치환된 벤조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면 4-tert-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디벤조일 레조르시놀, 비스(4-tert-부틸벤조일)레조르시놀, 벤조일 레조르시놀, 2,4-디-tert-부틸페닐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옥타데실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메틸-4,6-디-tert-부틸페닐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4. 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에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p-메톡시신나메이트, N-(β-카르보메톡시-β-시아노비닐)-2-메틸인돌린, 네오펜틸 테트라(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2.5. 니켈 화합물, 예를 들면 2,2'-티오-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니켈 착물, 예를 들면 추가의 리간드, 예컨대 n-부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N-시클로헥실디에탄올아민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예컨대 1:1 또는 1:2 착물, 니켈 디부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4-히드록시-3,5-디-tert-부틸벤질포스폰산의 모노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틸 또는 에틸 에스테르의 니켈 염, 케톡심, 예를 들면 2-히드록시-4-메틸페틸운데실케톡심의 니켈 착물, 추가의 리간드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1-페닐-4-라우로일-5-히드록시피라졸의 니켈 착물.
2.6. 입체 장애 아민, 예를 들어 탄산 비스(1-운데실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에스테르,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숙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n-부틸-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2-히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과 숙신산의 축합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tert-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선형 또는 시클릭 축합물, 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1'-(1,2-에탄디일)-비스(3,3,5,5-테트라메틸피페라지논), 4-벤조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2-n-부틸-2-(2-히드록시-3,5-디-tert-부틸벤질)-말로네이트, 3-n-옥틸-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숙시네이트,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모르폴리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선형 또는 시클릭 축합물, 2-클로로-4,6-비스(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물, 8-아세틸-3-도데실-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3-도데실-1-(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4-헥사데실옥시- 및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혼합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시클로헥실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과 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뿐만 아니라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축합물 (CAS 등록 번호 [136504-96-6]); 1,6-헥산디아민과 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물뿐만 아니라 N,N-디부틸아민과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축합물 (CAS 등록 번호 [192268-64-7]);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2-운데실-7,7,9,9-테트라메틸-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7,7,9,9-테트라메틸-2-시클로운데실-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과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반응 생성물, 1,1-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옥시카르보닐)-2-(4-메톡시페닐)에텐, N,N'-비스-포르밀-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 4-메톡시메틸말론산과 1,2,2,6,6-펜타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의 디에스테르, 폴리[메틸프로필-3-옥시-4-(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실록산, 말레산 무수물-α-올레핀 공중합체와 2,2,6,6-테트라메틸-4-아미노피페리딘 또는 1,2,2,6,6-펜타메틸-4-아미노피페리딘의 반응 생성물, 2,4-비스[N-(1-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N-부틸아미노]-6-(2-히드록시에틸)아미노-1,3,5-트리아진, 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4-옥타데카노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5-(2-에틸헥사노일)옥시메틸-3,3,5-트리메틸-2-모르폴리논, 샌두보르 (클라리언트; CAS 등록 번호 106917-31-1], 5-(2-에틸헥사노일)옥시메틸-3,3,5-트리메틸-2-모르폴리논, 2,4-비스[(1-시클로헥실옥시-2,2,6,6-피페리딘-4-일)부틸아미노]-6-클로로-s-트리아진과 N,N'-비스(3-아미노프로필)에틸렌디아민)의 반응 생성물, 1,3,5-트리스(N-시클로헥실-N-(2,2,6,6-테트라메틸피페라진-3-온-4-일)아미노)-s-트리아진, 1,3,5-트리스(N-시클로헥실-N-(1,2,2,6,6-펜타메틸피페라진-3-온-4-일)아미노)-s-트리아진,
Figure pct00003
1,3,5-트리아진-2,4,6-트리아민, N,N"'-1,6-헥산디일비스[N',N"-디부틸-N,N',N"-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3-브로모-1-프로펜과의 반응 생성물, 산화, 수소화, 1,3,5-트리아진-2,4,6-트리아민, N,N"'-1,6-헥산디일비스[N',N"-디부틸-N,N',N"-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및 그의 조합.
2.7. 옥사미드, 예를 들어 4,4'-디옥틸옥시옥사닐리드, 2,2'-디에톡시옥사닐리드, 2,2'-디옥틸옥시-5,5'-디-tert-부톡사닐리드, 2,2'-디도데실옥시-5,5'-디-tert-부톡사닐리드, 2-에톡시-2'-에틸옥사닐리드,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사미드, 2-에톡시-5-tert-부틸-2'-에톡사닐리드 및 그와 2-에톡시-2'-에틸-5,4'-디-tert-부톡사닐리드의 혼합물, o- 및 p-메톡시-이치환된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및 o- 및 p-에톡시-이치환된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2.8. 2-(2-히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 예를 들어 2,4,6-트리스(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프로필옥시페닐)-6-(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4-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트리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부틸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옥틸옥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1,3,5-트리아진, 2-[4-(도데실옥시/트리데실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헥실옥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메톡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3-부톡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페닐)-4-(4-메톡시페닐)-6-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3-(2-에틸헥실-1-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히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6-비스-비페닐-4-일-1,3,5-트리아진-2-일)-5-(2-에틸-(n)-헥실옥시)페놀.
3. 금속 탈활성화제, 예를 들어 N,N'-디페닐옥사미드, N-살리실랄-N'-살리실로일 히드라진, N,N'-비스(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3-살리실로일아미노-1,2,4-트리아졸, 비스(벤질리덴)옥살릴 디히드라지드, 옥사닐리드, 이소프탈로일 디히드라지드, 세바코일 비스페닐히드라지드, N,N'-디아세틸아디포일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로일)옥살릴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로일)티오프로피오닐 디히드라지드.
4.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 예를 들어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알킬 포스파이트, 페닐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 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er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쿠밀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ter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옥시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ert-부틸-6-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스(ter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 소르비톨 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tert-부틸페닐) 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 6-이소옥틸옥시-2,4,8,10-테트라-tert-부틸-12H-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비스(2,4-디-tert-부틸-6-메틸페닐)메틸 포스파이트, 비스(2,4-디-tert-부틸-6-메틸페닐)에틸 포스파이트, 6-플루오로-2,4,8,10-테트라-tert-부틸-12-메틸-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2,2',2"-니트릴로[트리에틸트리스(3,3',5,5'-테트라-tert-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2-에틸헥실(3,3',5,5'-테트라-tert-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5-부틸-5-에틸-2-(2,4,6-트리-tert-부틸페녹시)-1,3,2-디옥사포스피란, 아인산, 혼합 2,4-비스(1,1-디메틸프로필)페닐 및 4-(1,1-디메틸프로필)페닐 트리에스테르 (CAS 번호 939402-02-5), 아인산, 트리페닐 에스테르, 알파-히드로-오메가-히드록시폴리[옥시(메틸-1,2-에탄디일)]과의 중합체, C10-16-알킬 에스테르 (CAS 번호 1227937-46-3).
하기 포스파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이르가포스(Irgafos®)168,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인크.(Ciba Specialty Chemicals Inc.)),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
Figure pct00004
5. 히드록실아민, 예를 들면 N,N-디벤질히드록실아민, N,N-디에틸히드록실아민, N,N-디옥틸히드록실아민, N,N-디라우릴히드록실아민, N,N-디테트라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헥사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헥사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헵타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수소화 탈로우 아민으로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
6. 니트론, 예를 들면, N-벤질-알파-페닐니트론, N-에틸-알파-메틸니트론, N-옥틸-알파-헵틸니트론, N-라우릴-알파-운데실니트론, N-테트라데실-알파-트리데실니트론, N-헥사데실-알파-펜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헵타데실니트론, N-헥사데실-알파-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펜타데실니트론, N-헵타데실-알파-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헥사데실니트론, 수소화 탈로우 아민으로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으로부터 유도된 니트론.
7. 티오상승작용제, 예를 들어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도데실티오)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디스테아릴 디술피드.
8. 퍼옥시드 스캐빈저, 예를 들어 β-티오디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라우릴, 스테아릴, 미리스틸 또는 트리데실 에스테르, 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 또는 2-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의 아연 염, 아연 디부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디옥타데실 디술피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β-도데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9. 폴리아미드 안정화제, 예를 들어 아이오다이드 및/또는 인 화합물과 조합된 구리 염 및 2가 망가니즈의 염.
10. 염기성 공안정화제, 예를 들어 멜라민, 폴리비닐피롤리돈, 디시안디아미드,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우레아 유도체, 히드라진 유도체, 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및 알칼리 토금속 염, 예를 들어 칼슘 스테아레이트, 아연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베헤네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리시놀레에이트 및 포타슘 팔미테이트, 안티모니 피로카테콜레이트 또는 아연 피로카테콜레이트.
11. PVC 열 안정화제, 예를 들어, 혼합 금속 안정화제 (예컨대 바륨/아연, 칼슘/아연 유형), 유기주석 안정화제 (예컨대 유기 주석 메르캅트에스테르 -카르복실레이트, -술피드), 납 안정화제 (예컨대 삼염기성 황산납, 이염기성 리드 스테아레이트, 이염기성 리드 프탈레이트, 이염기성 리드 포스페이트, 리드 스테아레이트), 유기계 안정화제 및 그의 조합.
12. 핵형성제, 예를 들어 무기 물질, 예컨대 활석, 금속 산화물, 예컨대 이산화티타늄 또는 산화마그네슘,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인산염, 탄산염 또는 황산염; 유기 화합물, 예컨대 모노- 또는 폴리카르복실산 및 그의 염, 예를 들어 4-tert-부틸벤조산, 아디프산, 디페닐아세트산, 소듐 숙시네이트 또는 소듐 벤조에이트; 중합체 화합물, 예컨대 이온 공중합체 (이오노머). 1,3:2,4-비스(3',4'-디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1,3:2,4-디(파라메틸디벤질리덴)소르비톨, 및 1,3:2,4-디(벤질리덴)소르비톨이 특히 바람직하다.
13. 충전제 및 강화제, 예를 들어 탄산칼슘, 실리케이트, 유리 섬유, 유리 비드, 석면, 활석, 카올린, 운모, 황산바륨, 금속 산화물 및 수산화물, 카본 블랙, 흑연, 목분 및 목분들 또는 다른 천연 생성물의 섬유, 합성 섬유.
14. 가소제, 여기서 상기 가소제는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디소노닐 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디프로필헵틸 프탈레이트, 트리옥틸 트리멜리테이트, 트리(이소노닐) 트리멜리테이트, 에폭시화 대두 오일, 디(이소노닐) 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레이트, 2,4,4-트리메틸-1,3-펜타디올 디이소부티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가소제는 또한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탈레이트, 트리멜리테이트, 지방족 이염기성 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에폭시드, 포스페이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가소제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부틸 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디이소헥실 프탈레이트, 디이소헵틸 프탈레이트,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디이소옥틸 프탈레이트, 디-n-옥틸 프탈레이트, 디소노닐 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디이소 운데실 프탈레이트, 디이소트레데실 프탈레이트, 디이소 (C11, C12, C13) 프탈레이트, 디(n-부틸) 프탈레이트, 디(n-C7, C9) 프탈레이트, 디(n-C6, C8, C10) 프탈레이트, 디이소(n-노닐) 프탈레이트, 디(n-C7, C9, C11) 프탈레이트, 디(n-C9, C11) 프탈레이트, 디(n-운데실) 프탈레이트, 트리(n-C8, C10) 트리멜리테이트, 트리(2-에틸헥실) 트리멜리테이트, 트리(이소옥틸) 트리멜리테이트, 트리(이소노닐) 트리멜리테이트, 디(n-C7, C9) 아디페이트, 디(2-에틸헥실) 아디페이트, 디(이소옥틸) 아디페이트, 디(이소노닐) 아디페이트, 아디핀산 또는 글루타르산과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부틸렌 글리콜 또는 2,2-디메틸-1,3-프로판디올의 폴리에스테르, 에폭시화 오일 예컨대 에폭시화 대두 오일, 에폭시화 아마인 오일, 에폭시화 톨 오일, 옥틸 에폭시 탈레이트, 2-에틸헥실 에폭시 탈레이트, 이소데실 디페닐 포스페이트, 트리(2-에틸헥실) 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디(2-에틸헥실) 테레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 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레이트 및 그의 조합.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가소제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디이소헥실 프탈레이트, 디이소헵틸 프탈레이트,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디이소옥틸 프탈레이트, 디-n-옥틸 프탈레이트, 디소노닐 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디이소 운데실 프탈레이트, 디이소트레데실 프탈레이트, 디이소 (C11, C12, C13) 프탈레이트, 디(n-부틸) 프탈레이트, 디(n-C7, C9) 프탈레이트, 디(n-C6, C8, C10) 프탈레이트, 디이소(n-노닐) 프탈레이트, 디(n-C7, C9, C11) 프탈레이트, 디(n-C9, C11) 프탈레이트, 디(n-운데실) 프탈레이트, 트리(n-C8, C10) 트리멜리테이트, 트리(2-에틸헥실) 트리멜리테이트, 트리(이소옥틸) 트리멜리테이트, 트리(이소노닐) 트리멜리테이트, 디(n-C7, C9) 아디페이트, 디(2-에틸헥실) 아디페이트, 디(이소옥틸) 아디페이트, 디(이소노닐) 아디페이트, 폴리에스테르 의 아디핀산 또는 글루타르산 및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부틸렌 글리콜 또는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에폭시화 오일 예컨대 에폭시화 대두 오일, 디(이소노닐) 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레이트 및 그의 조합.
15. 다른 첨가제, 예를 들어 가소제, 윤활제, 유화제, 안료, 레올로지 첨가제, 촉매, 유동-제어제, 광학 증백제, 방염제, 대전방지제 및 발포제.
16. 벤조푸라논 및 인돌리논, 예를 들어 U.S. 4,325,863; U.S. 4,338,244; U.S. 5,175,312; U.S. 5,216,052; U.S. 5,252,643; DE-A-4316611; DE-A-4316622; DE-A-4316876; EP-A-0589839, EP-A-0591102; EP-A-1291384에 개시되어 있는 것들 또는 3-[4-(2-아세톡시에톡시)페닐]-5,7-디-tert-부틸벤조푸란-2-온, 5,7-디-tert-부틸-3-[4-(2-스테아로일옥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3'-비스[5,7-디-tert-부틸-3-(4-[2-히드록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5,7-디-tert-부틸-3-(4-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4-아세톡시-3,5-디메틸페닐)-5,7-디-tert-부틸벤조푸란-2-온, 3-(3,5-디메틸-4-피발로일옥시페닐)-5,7-디-tert-부틸벤조푸란-2-온, 3-(3,4-디메틸페닐)-5,7-디-tert-부틸벤조푸란-2-온, 3-(2,3-디메틸페닐)-5,7-디-tert-부틸벤조푸란-2-온, 3-(2-아세틸-5-이소옥틸페닐)-5-이소옥틸벤조푸란-2-온.
배합 성분 예컨대 안료, 착색제, 충전제, 증량제, 난연제, 오존화방지제, 항산화제, 이형제, 산 스캐빈저, 가소제, 안정화제 예컨대 pH 안정화제, 유화제, 경화제, 중합 개시제, 감작제 등이 중합체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양태는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이다:
적합한 성형품의 예는 하기와 같다:
I-1) 부유 디바이스, 해양 적용, 폰툰, 부표, 데크용 플라스틱 판재, 부두, 보트, 카약, 노 및 해변 강화재.
I-2) 자동차 적용, 내부 적용, 외부 적용, 특히 트림, 범퍼, 대시보드, 배터리, 후방 및 전방 라이닝, 후드 하의 성형 부품, 모자 선반, 트렁크 라이닝, 내부 라이닝, 에어 백 커버, 부속품 (라이트)용 전자 성형물, 대시보드용 판유리, 헤드램프 유리, 기기 패널, 외부 라이닝, 실내장식재, 자동차 라이트, 헤드 라이트, 파킹 라이트, 후방 라이트, 스톱 라이트, 내부 및 외부 트림; 도어 패널; 가스 탱크; 글레이징 전방면; 후방 창문; 시트 백킹, 외부 패널, 와이어 절연재, 밀봉용 프로파일 압출물, 클래딩, 필라 커버, 섀시 부품, 배기 시스템, 연료 필터/충전제, 연료 펌프, 연료 탱크, 신체측 성형물, 컨버터블 탑, 외부 거울, 외부 트림, 패스너/고정구, 전방 단부 모듈, 유리, 힌지, 잠금 시스템, 러기지/루프 랙, 프레싱/스탬핌 부품, 밀봉재, 측면 충격 보호, 제진재/절연체 및 선루프, 도어 메달리언, 콘솔, 기기 패널, 시트, 프레임, 스킨, 보강된 자동차 적용, 보강된 자동차 적용 섬유, 충전 중합체를 사용한 자동차 적용, 비충전 중합체를 사용한 자동차 적용.
I-3) 도로 교통 디바이스, 특히 신호 표지판, 도로 표시를 위한 표지판, 자동차 액세서리, 경고 삼각대, 의료 케이스, 헬멧, 타이어.
I-4) 수송 또는 대중 교통을 위한 디바이스. 비품을 포함하는 비행기, 철도, 모터 카 (자동차, 모터바이크) 트럭, 소형 트럭, 버스, 트램, 바이크용 디바이스.
I-5) 우주 적용을 위한 디바이스, 특히 로켓 및 위성, 예를 들어 리엔트리 쉴드.
I-6) 건축 및 설계를 위한 디바이스, 광업 적용, 음향 소거 시스템, 도로 안전지대 및 쉘터.
II-1) 일반 및 전기/전자 디바이스 (퍼스널 컴퓨터, 전화기, 휴대용 전화기, 프린터, 텔레비전-세트, 오디오 및 비디오 디바이스), 화분, 위성 TV 보울 및 패널 디바이스에서의 기구, 케이스 및 커버링.
II-2)다른 물질 예컨대 스틸 또는 텍스타일을 위한 자켓팅.
II-3) 전자 산업을 위한 디바이스, 특히 플러그, 특히 컴퓨터 플러그를 위한 절연재, 전기 및 전자 부품을 위한 케이스, 인쇄 기판, 및 전자 데이터 저장용 물질 예컨대 칩, 체크 카드 또는 신용 카드.
II-4) 전기 기구, 특히 세탁기, 텀블러, 오븐 (마이크로웨이브 오븐), 식기 세척기, 믹서 및 다리미.
II-5) 라이트용 커버 (예를 들어, 가로등, 램프-쉐이드).
II-6) 와이어 및 케이블에서의 적용 (반도체, 절연재 및 케이블-자켓팅).
II-7) 응축기, 냉장고, 가열 디바이스, 공조기, 전자제품의 캡슐화, 반도체, 커피 머신 및 진공 청소기를 위한 호일.
III-1) 공업용 물품 예컨대 톱니바퀴 (기어), 슬라이드 부속품, 스페이서, 스크류, 볼트, 핸들 및 노브.
III-2) 로터 블레이드, 통풍기 및 풍차 날개, 태양 디바이스, 벽장, 옷장, 분리 벽, 슬랫 벽, 폴딩 벽, 루프, 셔터 (예를 들어, 롤러 셔터), 부속품, 파이프 사이의 커넥터, 슬리브 및 컨베이어 벨트.
III-3) 새니터리 용품, 특히 이동 화장실, 샤워 큐비클, 변기 시트, 커버 및 싱크.
III-4) 위생 용품, 특히 기저귀 (영아, 성인 실금), 여성 위생 용품, 샤워 커튼, 브러시, 매트, 욕조, 이동 화장실, 칫솔 및 실내용 변기.
III-5) 물, 폐수 및 화학물질용 파이프 (가교 또는 비가교), 와이어 및 케이블 보호용 파이프, 가스, 오일 및 하수용 파이프, 수직홈통, 다운 파이프 및 배수 시스템.
III-6) 임의의 기하구조 (창문 판유리), 클래딩 및 사이딩의 프로파일.
III-7) 유리 대용물, 특히 압출 플레이트, 빌딩 (단일체형, 이중 또는 다중벽), 항공기, 학교용 글레이징, 압출 시트, 건축 글레이징, 기차, 운송수단 및 새니터리 용품용 창문 필름.
III-8) 플레이트 (벽, 커팅 보드), 사일로, 목재 대용물, 플라스틱 판재, 목재 복합재, 벽, 표면, 가구, 장식용 호일, 바닥 커버링 (내부 및 외부 적용), 바닥재, 덕 보드 및 타일.
III-9) 흡기 및 배기 매니폴드.
III-10) 시멘트-, 콘크리트-, 복합체-적용 및 커버, 사이딩 및 클래딩, 핸드 레일, 난간, 주방 작업 상판, 루핑, 루프 시트, 타일 및 타폴린.
IV-1) 플레이트 (벽 및 커팅 보드), 트레이, 인조 잔디, 아스트로터프, 경기장 링용 (운동경기용) 인조 커버링, 경기장 링용 (운동경기용) 인조 바닥, 및 테이프.
IV-2) 연속 및 스테이플 직조 직물, 섬유 (카펫/위생 용품/지오텍스타일/모노필라멘트; 필터; 와이프/커튼 (쉐이드)/의학적 적용), 벌크 섬유 (가운/보호 클로스와 같은 적용), 네트, 로프, 케이블, 스트링, 코드, 스레드, 안전 시트-벨트, 클로스, 언더웨어, 글로브; 부츠; 고무 부츠, 실내복, 가먼트, 수영복, 스포츠웨어, 우산 (파라솔, 선쉐이드), 낙하산, 패러글라이드, 돛, "벌룬-실크", 캠핑 용품, 텐트, 에어베드, 선 베드, 벌크 백 및 백.
IV-3) 막, 절연재, 루프용 커버 및 실, 지오멤브레인, 터널, 덤프, 연못, 벽 루핑 막, 지오멤브레인, 수영장, 수영장 라이너, 연못 라이너, 커튼 (쉐이드)/선-쉴드, 차양, 캐노피, 벽지, 식품 패킹 및 랩핑 (가요성 및 고형), 의료 패킹 (가요성 및 고형), 에어백/안전 벨트, 팔- 및 머리 받침, 카펫, 센터 콘솔, 대시보드, 조종석, 도어, 오버헤드 콘솔 모듈, 도어 트림, 헤드라이너, 내부 조명, 내부 거울, 파슬 셸프, 후방 러기지 커버, 시트, 스티어링 칼럼, 스티어링 휠, 텍스타일 및 트렁크 트림.
V-1) 필름 (포장, 경질 포장, 덤프, 라미네이팅, 베일 랩, 수영장, 폐기물 봉투, 벽지, 스트레치 필름, 라피아, 탈염 필름, 배터리, 및 커넥터.
V-2) 특히 농약의 집중 적용의 존재 하에서의 농업용 필름 (온실 커버, 터널, 멀티 터널, 마이크로 터널, "라스파 와이 아마가도(raspa y amagado)", 멀티-스팬, 낮은 워크인 터널, 높은 터널, 멀치, 사일리지, 사일로-백, 사일로-스트레치, 훈증, 기포, 케더, 솔라랩, 써머, 베일 랩, 스트레치드 베일 랩, 육묘, 필름 튜브); 다른 농업 적용 (예를 들어 부직 토양 커버, 네트 (테이프, 멀티-필라멘트 및 그의 조합으로 제조됨), 타폴린. 이러한 농업용 필름은 단층 구조 또는 전형적으로 3개, 5개 또는 7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이는 A-B-A, A-B-C, A-B-C-B-A, A-B-C-B-D, A-B-C-D-C-B-A, A-A-B-C-B-A-A와 같은 필름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A, B, C, D는 상이한 중합체 및 점착제를 나타낸다. 그러나, 인접한 층은 최종 필름 물품이 짝수개의 층 즉, 2, 4 또는 6개의 층, 예컨대 A-A-B-A, A-A-B-B, A-A-B-A-A, A-B-B-A-A, A-A-B-C-B, A-A-B-C-A-A 등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쌍을 이룰 수 있다.
V-3)테이프
V-4) 발포체 (실링, 절연, 배리어), 스포츠 및 여가 매트.
V-5)실란트
VI-1) 식품 패킹 및 랩핑 (가요성 및 고체), BOPP, BOPET, 병.
VI-2) 저장 시스템, 예컨대 박스 (크레이트), 러기지, 궤, 가정용 박스, 팰릿, 용기, 선반, 트랙, 스크류 박스, 팩, 및 캔.
VI-3) 카트리지, 시린지, 의학적 적용, 임의의 운송수단을 위한 용기, 웨이스트 바스켓 및 웨이스트 빈, 웨이스트 백, 빈, 더스트 빈, 빈 라이너, 휠 빈, 일반 용기, 물/사용된 물/화학물질/기체/오일/가솔린/디젤을 위한 탱크; 탱크 라이너, 박스, 크레이트, 배터리 케이스, 트로프, 의료 장치 예컨대 피스톤, 안과적 적용, 진단 장치 및 제약 블리스터용 패킹.
VII-1) 임의의 종류의 가정용 물품 (예를 들어, 기구, 보온병/옷걸이), 패스닝 시스템, 예컨대 플러그, 와이어 및 케이블 클램프, 지퍼, 클로저, 로크 및 스냅-클로저.
VII-2) 지지 디바이스, 레저 시간용 물품 예컨대 스포츠 및 피트니스 디바이스; 체조 매트, 스키-부츠, 인라인-스케이트, 스키, 빅 풋, 운동경기장 표면 (예를 들어, 테니스 그라운드); 스크류 탑, 병을 위한 탑 및 스토퍼, 및 캔.
VII-3) 일반 가구, 발포 물품 (쿠션, 충격 흡수제), 발포체, 스폰지, 행주, 매트, 정원 의자, 경기장 시트, 테이블, 카우치, 장난감, 빌딩 키트 (보드/피규어/볼), 장난감집, 미끄럼틀 및 장남감 차량.
VII-4) 광학 및 자기 데이터 저장용 물질.
VII-5) 주방 용품 (음식, 음료, 조리, 저장).
VII-6) CD, 카세트 및 비디오 테이프용 박스; DVD 전자 물품, 임의의 종류의 사무용품 (볼펜, 스탬프 및 잉크 패드, 마우스, 선반, 트랙), 임의의 부피 및 함량 (음료, 세제, 퍼퓸을 포함한 화장품)의 병, 및 접착 테이프.
VII-7) 신발류 (신발/신발-밑창), 깔창, 스팻, 접착제, 구조적 접착제, 식품 박스 (과일, 채소, 육류, 어류), 합성 페이퍼, 병을 위한 라벨, 소파, 인공 관절 (인간), 인쇄 플레이트 (플렉소그래픽), 인쇄 회로 기판, 및 디스플레이 기술.
VII-8) 충전 중합체 (활석, 백악, 고령토 (카올린), 월라스토나이트, 안료, 카본 블랙, TiO2, 운모, 나노 복합체, 돌로마이트, 실리케이트, 유리, 석면)의 디바이스.
본 출원인은 본원에 기재된 결정자 크기를 함유하고/하거나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가 개선된 결정화 특성을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개선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 블렌드의 경우 특히 명백하다. 이들 중합체는 하기를 포함한다:
1. 더 낮은 핵형성제 로딩에서 더 높은 Tc가 수득된다.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이후 "iPP"-리온델바셀(LyondellBasell), 모플렌 HP400N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MFI= 11g/10분)에 200 ppm의 첨가에서,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개질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GMS-ZMG)는 Tc가 124.1℃였고, 반면에 비개질된 ZMG는 Tc가 단지 120.6℃였다. 123.8℃의 Tc (200 ppm에서의 GMS-ZMG와 대략 동일함)를 수득하기 위해서는 600 ppm의 ZMG가 요구된다. HP400N (핵형성제 없음)의 경우 Tc는 117.0℃이다.
2. 140℃에서 50% 중합체 결정화 (t1/2)를 달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비개질된 ZMG와 비교하여 본 출원의 개질된 ZMG를 사용한 200 ppm에서 상당히 개선되었다 (단축되었다): GMS-ZMG는 t1/2이 7.2분인 반면, ZMG의 t1/2은 14.6분이다. 비개질된 ZMG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7.1분의 t1/2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대신 600 ppm의 ZMG가 요구된다. HP400N 그 자체로는 40분 내에 결정화되지 않는다.
개질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GMS-ZMG)는 동일한 로딩의 비개질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와 비교하여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중 200 ppm에서 대략 3.4℃의 Tc 증가를 제공한다.
유기 중합체로서 폴리올레핀을 기재로 하는 조성물에서, 폴리올레핀 중 주어진 로딩 수준에서의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사용은, <100> 방향에서 30 nm 초과 또는 <011> 방향에서 60 nm 초과의 결정자 크기를 갖거나 또는 <100>/<011> 간섭성 도메인 길이로 계산된 종횡비가 0.65 초과인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동일한 로딩 수준으로 달성되는 것보다 (즉, 비개질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또는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보스-형태인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와 비교하여) 더 높은 폴리올레핀의 결정화 온도를 제공한다.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에서,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중 주어진 로딩 수준에서 본 출원의 개질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사용은 동일한 로딩의 비교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즉, <100> 방향에서 30 nm 초과, 또는 <011> 방향에서 60 nm 초과의 결정자 크기를 갖거나, 또는 <100>/<011> 간섭성 도메인 길이에 의해 계산된 종횡비가 0.65 초과인 것)를 사용하여 달성되는 것보다 적어도 40% 더 낮은, 140℃에서의 50% 중합체 결정화를 달성하기 위한 시간 (t1/2)을 제공한다.
하기 청구범위에서 및 상기 설명에서, 문맥상 명료한 표현 또는 필요한 암시로 인해 달리 요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단어 "포함하다" 또는 변형 예컨대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은 포괄적 의미로,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추가의 특색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언급된 특색의 존재를 명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본 발명은 이제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기재될 것이다.
절차
특징화 기술
브래그-브렌타노 (θ-2θ) 기하구조에 따라 설정된, 구리 공급원 (40kV, 25mA) 및 흑연 단색화기를 사용하는 필립스 (Phillips) 1140 회절계 또는 구리 공급원 (30 kV, 10 mA)을 사용하는 브루커 D2 페이저를 사용하여 XRD 분석을 수행하였다. 목적하는 2θ 값 (2θ = 5-35°) 사이에서 스캐닝하였다. 예를 들어 "분말 샘플을 표준 샘플 홀더 상에 탑재하였다 (mg - 수 g). 중합체 샘플을 압출기에서 압출하고, 금속 플레이트 사이에서 가압하여 편평한 조각을 수득하고, 수조에서 냉각시키고, 이용가능한 샘플 홀더에 맞는 크기로 절단하였다 (< 3 mm 두께).
<100> 및 (011) 방향 각각에서 평균 결정자 크기 (평균 간섭성 도메인 길이)는 XRD (β)에 의해 측정된 측정 반치 전폭 (FWHM) 값, X선 파장 (λ), 브래그 각 (도 단위로 표현됨; (피크의 2θ 값)/2)), 무차원 형상 인자 (K, 0.9를 취함; 비교를 위해 항상 동일한 K를 사용함)를 사용하여 셰러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셰러 방정식은 τ = Kλ/β cos θ이다. 기기로 인한 선폭 확장은 무시하고, 간섭성 도메인 길이 변화 단독으로부터인 것으로 가정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제올(JEOL) JSM-7001F 스캐닝 전자 현미경검사를 사용하여 SEM 현미경검사를 수행하였다. 샘플을 탄소 테이프 상에 장착하고, Pt로 스퍼터 코팅하였다.
결정화 시험을 위한 샘플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반-결정질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iPP) 단독중합체 무가공 수지 (모플렌 HP400N (호주 리온델바셀로부터))를 iPP로서 사용하였다. 핵형성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대조군) 또는 규정된 양의 핵형성제를 함유하는 iPP 샘플을, iPP를 요구되는 양의 핵형성제와 혼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였다. 먼저 완전한 수동 혼합을 수행하고 (분말 + iPP 비드), 이어서 압출하였다. 1 중량% 또는 2000 ppm 마스터배치 (비교 실험 세트에 따라)를 제조하고 압출하였다. 압출된 가닥을 펠릿화하고, 다시 목적하는 농도 (200 또는 600 ppm)로 압출시켰다. (한 경우에, 명백하게 언급됨, 200 ppm 물질을 2회 압출하였다). 사용된 압출기는 하케 레오코드 90에 부착된, 라우웬달 익스트루젼 엔지니어링 인크(Rauwendaal Extrusion Eng. Inc.)에 의해 제조된 CRD 배리어, 단일-스크류 (dia.= 25 mm; L/D= 25) 압출기였다. 4개의 온도 영역은 각각 170, 175, 180 및 180℃ (다이)로 설정하였다. 스크류 속도는 100rpm이었다.
실시예 1 - GMS 개질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GMS-ZMG)의 제조
ZnO (656.4 g) 및 GMS (72.3 g)를 균질화하고 Z-블레이드 혼합기에서 가열하였다. 이어서, 668.5 g의 글리세롤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74.3 g 글리세롤 + 8.7 g 물 + 4.5 g 90% 아세트산을 첨가하고, 추가로 균질화시켰다. 온도를 110℃로 상승시켰다. 완전히 반응한 후, 즉 미세 건조 분말이 되면, 가열 전원을 껐다. 도달된 최고 온도는 약 120℃였지만, 반응 동안의 온도는 대부분 100 내지 120℃ 범위 내였다. 상기 온도 범위 내에서의 혼합은 반응이 완료된 후 계속되었고, 그 동안 응집된 생성물이 형성되었다. 생성된 응집된 (분말) 생성물을 핀 밀링하였다.
이어서, XRD 분석을 수행하여 평균 결정자 크기를 결정하였다. 도 1에 XRD 패턴이 제시된다. 도 1의 XRD 패턴에서의 선들 중 하나는 실시예 1의 생성물 (GMS-ZMG로 표시함)에 대한 것이고, 제2 선은 비개질된 ZMG에 대한 것이다. 2θ = 10.9°에서의 피크는 (100) 밀러 인덱스 (카드의 스택)에 의해 기재된 평면의 세트로 인한 것이다. 실시예 1의 GMS-ZMG에 대한 <100> 방향에서의 간섭성 도메인 길이 (결정자 크기)는 비개질된 ZMG의 샘플의 경우 40 nm인 것과 비교하여 17 nm인 것으로 계산되었다. 2θ = 17.2°에서의 피크는 밀러 인덱스 (011) (각각의 카드 내의 평면)에 기재된 평면의 세트에 상응한다. 이 방향에서의 결정자 크기는 GMS-ZMG 및 비개질된 ZMG 둘 다에 대해 45 nm였다.
비개질된 ZMG와 비교하여 실시예 1의 응집된 생성물에 대한 SEM 영상화를 수행하였다. SEM 영상을 도 2a 및 2b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영상에서 축척 막대는 1μm이다. 2개의 생성물은 상이한 형태를 갖는다. 도 2a (A)의 영상은 비개질된 ZMG이다. 도 2b (B)의 영상은 실시예 1의 GMS-ZMG 생성물이다. 실시예 1의 생성물은 결정자의 응집된 수집물을 나타낸다. 응집된 결정자는 (개별 입자 상에서) "물고기 비늘(fishscale)"-유사 표면 패턴을 나타내고, 이는 훨씬 더 작은 결정자가 가장자리는 노출된 상태로 불완전하게 스택을 형성함을 나타낸다.
실시예 1의 GMS-ZMG 생성물의 추가의 SEM 영상을 도 3a, 3b 및 4에 나타내었다.
200 ppm의 비개질된 ZMG, 600 ppm의 비개질된 ZMG, 200 ppm의 실시예 1의 GMS-ZMG를 함유하는 iPP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의 샘플, 및 핵형성제가 없는 대조군 ("블랭크")을 제조하였다.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DSC)을 사용하여 샘플의 결정화 거동을 평가하고, 샘플 온도 (℃)에 대한 열 유량 (샘플의 인/아웃) (mW 단위)을 측정하여, 핵형성제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샘플에 대한 결정화 온도를 평가하였다.
하기 표는 표 형식의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상기 표는 200 ppm의 실시예 1의 GMS-ZMG를 함유하는 샘플에 대한 Tc가 600 ppm (3배의 양)의 비개질된 ZMG를 함유하는 샘플의 Tc와 거의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Tc는 동일한 양의 비개질된 ZMG와 비교하여 200 ppm의 실시예 1의 GMS-ZMG를 사용한 것이 더 높았다.
140℃에서 등온 t1/2에 대해 유사한 경향이 관찰될 수 있다:
Figure pct00006
비교 실시예
습윤 히드로징카이트 (산화아연 50.0 kg와 동등함)를 시그마 혼합기에서 혼합하면서 글리세롤 (53.5 kg)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5.0 kg)를 혼합하면서 서서히 첨가하고, 조성물을 혼합하여 묽은 페이스트를 이루었다. 상기 혼합물은 히드로징카이트로부터의 상당한 물을 함유하였다 - 상기 양은 사용된 히드로징카이트-물의 슬러리 중 70 중량%의 물, 또는 반응 조성물 중 아연에 대해 1410 mol%인 것으로 계산되었다. 조성물을 160℃로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건조 유동성 분말이 제조되었다.
상기 설명은 사실상 보스 2006에 대한 것이다. 이렇게 제조된 생성물을 "히드로징카이트-ZMG"로 지칭한다.
생성된 분말 (히드로징카이트-ZMG)의 결정자 크기를 XRD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도 5), 결과를 실시예 1의 생성물 (GMS-ZMG) 및 비개질된 ZMG에 대한 결정자 크기 측정치와 함께 하기 표에 제시하였다. 계산된 <100>/<011> 종횡비 값이 또한 표에 포함된다:
Figure pct00007
히드로징카이트-ZMG (비교 실시예)에 대한 <100> 방향에서의 결정자 크기는 비개질된 ZMG의 것과는 대략 유사하지만, GMS-ZMG 실시예 1에 대한 것보다는 현저하게 더 높았다. 특히, <011> 방향에서의 결정자 크기는 3개의 경우 모두에서 GMS-ZMG의 결정자 크기와 동일한 정도의 크기이다 (그러나, 히드로징카이트-ZMG가 약간 더 길다). GMS-ZMG (실시예 1)에서, 비록 <011> 결정자 크기가 매우 유사하게 유지되었지만 (층의 크기), <100> 결정자 크기 (층의 스택의 두께)가 상당히 축소되었다. GMS-ZMG의 <100>/<011> 종횡비는 통상적으로 0.65 미만이고, 종종 0.44 미만; 이 경우에는 0.38이다). 명백하게, 이는 비개질된 ZMG 및 GMS-ZMG 둘 다보다 더 작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ZMG의 GMS 개질은 다른 2개 유형 (비개질된 ZMG 및 히드로징카이트-ZMG)과 비교하여 ZMG 층의 더 작은 스택을 생성한다 (중합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될 수 있음).
실시예 A:
100 ppm, 200 ppm, 600 ppm 또는 1200 ppm의 비개질된 ZMG 또는 GMS-ZMG를 함유하는 iPP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230℃/2.16 kg에서의 용융 유동 지수 8 dg/분) 샘플, 및 핵형성제가 없는 대조군 ("블랭크")을 제조하였다.
비개질된 ZMG 및 GMS-ZMG의 결정자 크기를 XRD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계산된 <100>/<011> 종횡비 값들이 또한 포함된다:
Figure pct00008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DSC)을 사용하여 샘플의 결정화 거동을 평가하고, 샘플 온도 (℃)에 대한 열 유량 (샘플의 인/아웃) (mW 단위)을 측정하여, 핵형성제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샘플에 대한 결정화 온도를 평가하였다.
하기 표는 표 형식의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9
상기 표는 100 ppm의 GMS-ZMG를 함유하는 샘플에 대한 Tc가 600 ppm (6배의 양)의 비개질된 ZMG를 함유하는 샘플에 대한 Tc와 거의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확장된 범위의 농도에 걸친 임의의 농도에서, GMS-ZMG의 Tc는 동일한 양의 비개질된 ZMG의 경우의 Tc와 비교하여 더 높았다.
이들 화합물로 제조된 샘플 중, 플레이트 (2mm 두께)를 사출하였다. ISO 527-2 5A (2012년)에 따른 형상을 갖는 덤벨을 용융 유동의 관점에서 다이-컷하고, 인장 특성을 ISO 527 (2012년)에 따라 시험하였다. 결과 (E-계수 및 항복 강도)가 하기 표에 제시된다. 결정화 온도와 동일한 경향이 관찰된다.
Figure pct00010
(*) 높은 값이 바람직함
상기 표는 200 ppm의 GMS-ZMG를 함유하는 샘플에 대한 E-계수 및 항복 강도가 600 ppm (3배의 양)의 비개질된 ZMG를 함유하는 샘플에 대한 것보다 현저하게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광범위한 농도에 걸친 임의의 농도에서, GMS-ZMG의 E-계수 및 항복 강도는, 동일한 양의 비개질된 ZMG의 E-계수 및 항복 강도와 비교하여 더 높다.
실시예 B:
200 ppm의 비개질된 ZMG, 600 ppm의 비개질된 ZMG, 200 ppm의 상기 실시예의 GMS-ZMG 또는 600 ppm의 상기 실시예의 GMS-ZMG를 함유하는 iPP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230℃/2.16 kg에서의 용융 유동 지수 19 dg/분) 샘플, 및 핵형성제가 없는 대조군 ("블랭크")을 제조하였다.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DSC)을 사용하여 샘플의 결정화 거동을 평가하고, 샘플 온도 (℃)에 대한 열 유량 (샘플의 인/아웃) (mW)을 측정하여, 핵형성제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샘플에 대한 결정화 온도를 평가하였다.
하기 표는 표 형식의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1
상기 표는 200 ppm의 GMS-ZMG를 함유하는 샘플에 대한 Tc가 600 ppm (3배의 양)의 비개질된 ZMG를 함유하는 샘플과 거의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Tc는 동일한 양의 비개질된 ZMG와 비교하여 모든 농도에서 GMS-ZMG의 경우가 더 높았다.
이들 화합물로 제조된 샘플 중, 플레이트 (2mm 두께)를 사출하였다. ISO 527-2 5A (2012년)에 따른 형상을 갖는 덤벨을 용융 유동의 관점에서 다이-컷하고, 인장 특성을 ISO 527 (2012년)에 따라 시험하였다. 결과 (E-계수 및 항복 강도)가 하기 표에 제시된다. 결정화 온도와 동일한 경향이 관찰된다.
Figure pct00012
(*) 높은 값이 바람직함
상기 표는 200 ppm의 GMS-ZMG를 함유하는 샘플에 대한 E-계수 및 항복 강도가 600 ppm (3배의 양)의 비개질된 ZMG를 함유하는 샘플에 대한 것보다 현저하게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농도 범위에 걸친 임의의 농도에서, GMS-ZMG의 E-계수 및 항복 강도는 동일한 양의 비개질된 ZMG의 E-계수 및 항복 강도 각각에 비해 더 높다.
실시예 C:
200 ppm의 비개질된 ZMG 또는 200 ppm의 상기 실시예의 GMS-ZMG를 함유하는 iPP raco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230℃/2.16 kg에서 용융 유동 지수 8 dg/분)의 샘플 및 핵형성제가 없는 대조군 ("블랭크")을 제조하였다.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DSC)을 사용하여 샘플의 결정화 거동을 평가하고, 샘플 온도 (℃)에 대한 열 유량 (샘플의 인/아웃) (mW 단위)을 측정하여, 핵형성제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샘플에 대한 결정화 온도를 평가하였다.
하기 표는 표 형식의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3
상기 표는 200 ppm의 GMS-ZMG를 함유하는 샘플에 대한 Tc가 동일한 농도에서 비개질된 ZMG의 Tc보다 현저하게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들 화합물로 제조된 샘플 중, 플레이트 (2mm 두께)를 사출하였다. ISO 527-2 5A (2012년)에 따른 형상을 갖는 덤벨을 용융 유동의 관점에서 다이-컷하고, 인장 특성을 ISO 527 (2012년)에 따라 시험하였다. 결과 (E-계수 및 항복 강도)가 하기 표에 제시된다. 결정화 온도와 동일한 경향이 관찰된다.
Figure pct00014
(*) 높은 값이 바람직함
상기 표는 200 ppm의 GMS-ZMG를 함유하는 샘플에 대한 E-계수 및 항복 강도가 동일한 농도에서 비개질된 ZMG의 샘플에 대한 것보다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20)

  1. 평균 간섭성 도메인 길이를 기준으로 한 결정자 크기가 분말 X-선 회절을 통한 셰러 방정식에 의해 결정된 경우 <100> 방향에서 (<100> 구역 축을 따른 크기) 30 nm 이하 및 <011> 방향에서 (<100> 구역 축을 따른 크기) 60 nm 이하이며, <100>/<011> 간섭성 도메인 길이로 계산된 종횡비가 0.65 미만, 바람직하게는 0.56 미만인, 결정자의 응집체 형태로서의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개질제를 함유하는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개질제가 글리세롤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테르인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글리세롤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테르가 글리세롤의 포화 지방산 에스테르인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5. 제4항에 있어서, 글리세롤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테르가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인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질제의 양이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에 대해 1.0 내지 5.0 mol%인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7. 1.0 내지 5.0 mol%의 글리세롤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결정자의 응집체 형태로서의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8. 제1항에 따른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제조 방법이며, 산 촉매의 존재 하에 히드로징카이트와는 상이한 아연 화합물을 글리세롤 및 개질제와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 아연 화합물은 산화아연, 탄산아연, 수산화아연, 아연 카르복실레이트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거나
    - 반응은 반응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미만의 물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것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개질제가 글리세롤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테르인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글리세롤의 양이 아연 화합물에 대해 90 내지 110 mol%인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질제의 양이 아연 화합물에 대해 1.0 내지 5.0 mol%인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 촉매의 양이 아연 화합물에 대해 0.2 내지 5 mol%인 방법.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
  14. 유기 중합체 및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유기 중합체가 폴리올레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그의 공중합체,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및 스티렌 중 1종 이상 간의 공중합체 또는 그와 또 다른 공단량체의 공중합체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가 유기 중합체의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5%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17. 제14항에 있어서, 유기 중합체가 폴리올레핀이고, 폴리올레핀 중 주어진 로딩 수준에서의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가, <100> 방향에서 30 nm 초과 또는 <011> 방향에서 60 nm 초과의 결정자 크기를 갖거나 또는 <100>/<011> 간섭성 도메인 길이로 계산된 0.65 초과의 종횡비를 갖는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동일한 로딩 수준으로 달성되는 폴리올레핀의 결정화 온도보다 더 높은 폴리올레핀의 결정화 온도를 제공하는 것인 조성물.
  18. 제14항에 있어서, 유기 물질이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이고,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중 주어진 로딩 수준에서의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가, <100> 방향에서 30 nm 또는 <011> 방향에서 60 nm 초과 중 적어도 하나 초과의 결정자 크기를 갖거나 또는 <100>/<011> 간섭성 도메인 길이에 의해 계산된 0.65 초과의 종횡비를 갖는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동일한 로딩 수준으로 달성되는 140℃에서의 50% 중합체 결정화를 달성하기 위한 시간 (t1/2)보다 적어도 40% 더 낮은, 140℃에서의 50% 중합체 결정화를 달성하기 위한 시간 (t1/2)을 제공하는 것인 조성물.
  19. 유기 중합체의 결정화 온도 또는 기계적 특성, 바람직하게는 E-계수 또는 항복 강도를 증가시키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용도.
  20. 유기 중합체 중 핵형성제로서의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아연 모노글리세롤레이트의 용도.
KR1020197035204A 2017-05-03 2018-05-02 핵형성제, 그의 제조 방법, 및 관련 중합체 조성물 KR102550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7901604A AU2017901604A0 (en) 2017-05-03 Nucleating agents,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and associated polymer compositions
AU2017901604 2017-05-03
PCT/EP2018/061201 WO2018202707A1 (en) 2017-05-03 2018-05-02 Nucleating agents,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and associated polymer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056A true KR20190140056A (ko) 2019-12-18
KR102550380B1 KR102550380B1 (ko) 2023-07-04

Family

ID=64016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204A KR102550380B1 (ko) 2017-05-03 2018-05-02 핵형성제, 그의 제조 방법, 및 관련 중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414531B2 (ko)
EP (1) EP3619261B1 (ko)
JP (1) JP7184876B2 (ko)
KR (1) KR102550380B1 (ko)
CN (1) CN110678510B (ko)
AU (1) AU2018263810B2 (ko)
BR (1) BR112019022852B1 (ko)
CA (1) CA3062107A1 (ko)
ES (1) ES2929776T3 (ko)
PL (1) PL3619261T3 (ko)
SG (1) SG11201910097PA (ko)
TW (1) TWI788348B (ko)
WO (1) WO20182027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1629B (zh) * 2021-08-02 2023-03-24 苏州金泉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皮芯型聚乳酸烟用丝束及其制备方法
CN116355373A (zh) * 2023-04-20 2023-06-30 四川大学 一种聚乳酸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2444A1 (en) * 2002-07-26 2005-10-06 Bos Michael A Zinc glycerolate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US20060173073A1 (en) * 2002-07-09 2006-08-03 Pure Pharamaceuticals Inc. Microfine zinc-glycerol complexes
US20080227900A1 (en) * 2007-03-14 2008-09-18 Borke Jeffrey S Barrier properties of substantially linear HDPE film with nucleating agents
KR20120030062A (ko) * 2009-05-26 2012-03-27 바스프 코포레이션 내스크래치성 폴리프로필렌
KR20130014705A (ko) * 2011-07-29 2013-02-08 롬 앤드 하스 캄파니 반결정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품
CN105906473A (zh) * 2016-05-12 2016-08-31 广东省稀有金属研究所 一种甘油锌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5009A (en) 1975-01-03 1980-01-22 Bayer Aktiengesellschaft Branched, high-molecular weight thermoplastic polycarbonates
DE2500092C3 (de) 1975-01-03 1978-10-12 Bayer Ag, 5090 Leverkusen Verzweigte, hochmolekulare, thermoplastische und lösliche Polycarbonate
GB2044272B (en) 1979-02-05 1983-03-16 Sandoz Ltd Stabilising polymers
US5175312A (en) 1989-08-31 1992-12-29 Ciba-Geigy Corporation 3-phenylbenzofuran-2-ones
US5367044A (en) 1990-10-12 1994-11-22 General Electric Company Blow molded article molded from a composition comprising a randomly branched aromatic polymer
AU649761B2 (en) 1990-11-27 1994-06-02 Croda International Plc Polymeric materials
US5252643A (en) 1991-07-01 1993-10-12 Ciba-Geigy Corporation Thiomethylated benzofuran-2-ones
TW206220B (ko) 1991-07-01 1993-05-21 Ciba Geigy Ag
NL9300801A (nl) 1992-05-22 1993-12-16 Ciba Geigy 3-(acyloxyfenyl)benzofuran-2-on als stabilisatoren.
TW260686B (ko) 1992-05-22 1995-10-21 Ciba Geigy
GB2267490B (en) 1992-05-22 1995-08-09 Ciba Geigy Ag 3-(Carboxymethoxyphenyl)benzofuran-2-one stabilisers
MX9305489A (es) 1992-09-23 1994-03-31 Ciba Geigy Ag 3-(dihidrobenzofuran-5-il)benzofuran-2-onas, estabilizadores.
TW255902B (ko) 1992-09-23 1995-09-01 Ciba Geigy
DE4240313A1 (de) 1992-12-01 1994-06-09 Bayer Ag Polycarbonate für optische Datenträger
US6245823B1 (en) * 1995-10-20 2001-06-12 Free-Flow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omposition and blowing agent for making foamed polyethylene material
US20030008091A1 (en) * 1998-02-04 2003-01-09 Roland Konrad Pipe, especially pressure pipe
DE19943642A1 (de) 1999-09-13 2001-03-15 Bayer Ag Behälter
DE10047483A1 (de) 2000-09-26 2002-04-11 Bayer Ag Verwendung von Copolycarbonaten
TW593303B (en) 2001-09-11 2004-06-21 Ciba Sc Holding Ag Stabilization of synthetic polymers
US20030214070A1 (en) 2002-05-08 2003-11-20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wall polycarbonate sheet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WO2004076540A1 (en) * 2003-02-26 2004-09-10 Omlidon Technologies Llc Polymer gel-processing techniques and high modulus products
US7365124B2 (en) 2004-03-31 2008-04-29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resin blends based on polymers derived from 2-hydrocarbyl-3,3-bis(4-hydroxyaryl)phthalimidine monomers
DE102004022673A1 (de) 2004-05-07 2005-11-24 Bayer Materialscience Ag Copolycarbonate mit verbesserter Fließfähigkeit
DE102006046330A1 (de) 2006-09-28 2008-04-03 Bayer Materialscience Ag Polycarbonate und Copolycarbonate mit verbesserter Metallhaftung
US11401399B2 (en) * 2009-09-18 2022-08-02 Basf Se Polymer compositions of improved scratch resistance, improved mechanical stability and improved haz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3073A1 (en) * 2002-07-09 2006-08-03 Pure Pharamaceuticals Inc. Microfine zinc-glycerol complexes
US20050222444A1 (en) * 2002-07-26 2005-10-06 Bos Michael A Zinc glycerolate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US7074949B2 (en) * 2002-07-26 2006-07-11 Micronisers Pty Ltd Zinc glycerolate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US20080227900A1 (en) * 2007-03-14 2008-09-18 Borke Jeffrey S Barrier properties of substantially linear HDPE film with nucleating agents
KR20120030062A (ko) * 2009-05-26 2012-03-27 바스프 코포레이션 내스크래치성 폴리프로필렌
KR20130014705A (ko) * 2011-07-29 2013-02-08 롬 앤드 하스 캄파니 반결정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품
CN105906473A (zh) * 2016-05-12 2016-08-31 广东省稀有金属研究所 一种甘油锌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79929A1 (en) 2020-03-12
CA3062107A1 (en) 2018-11-08
CN110678510B (zh) 2022-03-29
EP3619261B1 (en) 2022-08-10
WO2018202707A1 (en) 2018-11-08
JP2020518677A (ja) 2020-06-25
BR112019022852B1 (pt) 2023-03-07
ES2929776T3 (es) 2022-12-01
RU2019139027A (ru) 2021-06-03
BR112019022852A2 (pt) 2020-05-26
SG11201910097PA (en) 2019-11-28
US11414531B2 (en) 2022-08-16
TWI788348B (zh) 2023-01-01
TW201902864A (zh) 2019-01-16
RU2019139027A3 (ko) 2021-09-30
AU2018263810A1 (en) 2019-11-14
JP7184876B2 (ja) 2022-12-06
EP3619261A1 (en) 2020-03-11
AU2018263810B2 (en) 2023-10-05
CN110678510A (zh) 2020-01-10
PL3619261T3 (pl) 2023-01-16
KR102550380B1 (ko) 202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9931B2 (en) 3-phenyl-benzofuran-2-one derivatives containing phosphorus as stabilizers
EP2229370B1 (en) Crystalline form of 2-(4,6-bis-biphenyl-4-yl-1,3,5-triazin-2-yl)-5-(2-ethyl-(n)-hexyloxy)phenol
EP2630137B1 (en) Sterically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s with mixed functionalization
US9328218B2 (en) Polyglycol bis-[3-(7-tert-butyl-2-oxo-3-phenyl-3H-benzofuran-5-yl-)propanoyl] derivatives as stabilizers of organic material
US20110196082A1 (en) Storage-stable aqueous emulsions and liquid blends with low viscosity as stabilizers
EP3019474B1 (en) Light stabilizers
EP2630166B1 (en) Oligomeric light stabilizers with a specific functionalization
EP2542526B1 (en) Sterically hindered amines
EP2545035B1 (en) Sterically hindered amines
KR102550380B1 (ko) 핵형성제, 그의 제조 방법, 및 관련 중합체 조성물
EP3775020A1 (en) Use of an ultraviolet radiation absorbing composition as a light stabilizer for a shaped artificial polymer article
RU2800814C2 (ru) Зародышеобразователи,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и связанные полимерные композиции
CN116583559A (zh) 有机材料基成型制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