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386A -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386A
KR20190139386A KR1020180065773A KR20180065773A KR20190139386A KR 20190139386 A KR20190139386 A KR 20190139386A KR 1020180065773 A KR1020180065773 A KR 1020180065773A KR 20180065773 A KR20180065773 A KR 20180065773A KR 20190139386 A KR20190139386 A KR 20190139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pout
frame
washer
bolt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7198B1 (ko
Inventor
최정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5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198B1/ko
Priority to US16/201,260 priority patent/US11029138B2/en
Publication of KR20190139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25Measuring of vehic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02Cycle frame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ross-section of frame members
    • B62K19/04Cycle frame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ross-section of frame members the material being wholly or mainly metallic, e.g. of high elasti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18Joints between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18Joints between frame members
    • B62K19/20Joints between frame members welded, soldered, or braz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18Joints between frame members
    • B62K19/24Screwe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2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igidly on cycle frame or fork, e.g. adjusta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welds or the 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5/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5/25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wheel align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10Wheel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는, 휠 장착부로서의 드롭아웃 멤버를 설정된 기준 위치에 맞게 셋팅한 상태로, 자전거 프레임에 드롭아웃 멤버를 볼트를 통해 장착한 것으로서, 드롭아웃 멤버 및 프레임의 볼트 체결부에 암수 식으로 구면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며, 프레임의 변형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정렬하는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 {DROP-OUT MOUNTING STRUCTURE FOR WHEEL ALIGNMEN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자전거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 프레임에 휠을 장착하기 위한 휠 장착부로서의 드롭 아웃 어셈블리의 프레임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전거 프레임은 헤드 튜브, 시트튜브, 탑 튜브, 다운 튜브, 시트 스테이, 및 체인 스테이로 구성된다.
헤드 튜브의 상단에는 조향 핸들 연결체가 연결되고, 하단에는 앞바퀴 회전 연결체가 연결된다. 시트 튜브의 상단에는 안장 연결체가 연결되고, 하단에는 체인 구동체가 연결된다.
상기 탑 튜브 및 다운 튜브는 헤드 튜브와 시트 튜브를 연결하여 지지하게 되며, 시트 스테이 및 체인 스테이는 뒷바퀴 회전 연결체와 시트 튜브를 연결하여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자전거 프레임은 탑 튜브와 다운 튜브를 모두 구비하는 경우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헤드 튜브와 시트 튜브 사이에 한 개의 메인 튜브(미도시)가 연결될 수도 있다.
종래의 자전거 프레임은 기본 소재로서 튜브를 사용하여 탑 튜브, 다운 튜브, 시트 튜브를 각각 재단하고, 이들을 각각 용접하여 제작되는데, 자동화가 어려워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판재를 스탬핑 성형하고, 이를 좌우로 접합하여 자전거 프레임을 생산하는 프로세스를 통해서 자전거 프레임의 생산 효율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좌우 패널을 스탬핑 성형하고, 이들을 용접하여 튜브 형태의 스탬핑 자전거 프레임을 제작하는 기술에서는 그 프레임의 용접 변형에 의해서 뒷바퀴 휠의 얼라이먼트를 정밀하게 구현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당 업계에서는 스탬핑 프레임 상에서 휠의 얼라이먼트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좌우 스테이가 서로 틀어짐으로써 휠의 얼라이먼트가 변동하면, 동력손실이 증가하고, 타이어의 편 마모가 증가하며, 편 방향 하중이 집중되어 피로내구로 프레임이 파손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용접 열로 인해 프레임의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프레임의 교정 및 드롭아웃의 조절 없이 휠 얼라이먼트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도록 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는, 휠 장착부로서의 드롭아웃 멤버를 설정된 기준 위치에 맞게 셋팅한 상태로, 자전거 프레임에 상기 드롭아웃 멤버를 볼트를 통해 장착한 것으로서, 상기 드롭아웃 멤버 및 상기 프레임의 볼트 체결부에 암수 식으로 구면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변형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정렬하는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드롭아웃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드롭아웃 멤버는 각각 스탬핑 성형된 양측 패널을 용접으로 접합한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스테이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드롭아웃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은 상기 드롭아웃 멤버 및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볼트 체결 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오목 구면부와, 상기 드롭아웃 멤버 및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의 볼트 체결 홀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오목 구면부와 구면 접촉하는 볼록 구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드롭아웃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볼록 구면부는 상기 프레임의 변형으로 상기 오목 구면부와 부분적으로 구면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롭아웃 장착 구조는, 휠 장착부로서의 드롭아웃 멤버를 설정된 기준 위치에 맞게 셋팅한 상태로, 자전거 프레임에 상기 드롭아웃 멤버를 볼트를 통해 장착한 것으로서, 상기 드롭아웃 멤버 및 상기 프레임의 볼트 체결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변형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정렬하는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은 상기 볼트에 의한 상기 드롭아웃 멤버와 프레임의 체결력에 의해 일 부분이 뭉개지는 돌기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드롭아웃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돌기 패턴부는 상기 드롭아웃 멤버의 볼트 체결 홀 가장자리 면에 그 가장자리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크러쉬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드롭아웃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드롭아웃 멤버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드롭아웃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은 상기 드롭아웃 멤버 및 상기 프레임의 볼트 체결부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를 포함하되, 상기 와셔의 양측 면에 상기 돌기 패턴부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드롭아웃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및 상기 드롭아웃 멤버는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셔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부 공간을 지닌 링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드롭아웃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돌기 패턴부는 상기 와셔의 양측 면에 가장자리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크러쉬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롭아웃 장착 구조는, 휠 장착부로서의 드롭아웃 멤버를 설정된 기준 위치에 맞게 셋팅한 상태로, 자전거 프레임에 상기 드롭아웃 멤버를 볼트를 통해 장착한 것으로서, 상기 드롭아웃 멤버 및 상기 프레임의 볼트 체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변형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정렬하는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은, 상기 드롭아웃 멤버의 양측 면에서 볼트 체결 홀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는 오목 구면부와, 상기 오목 구면부와 각각 구면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드롭아웃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상기 오목 구면부에 구면 접촉되는 볼록 구면부를 일측 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드롭아웃 장착 구조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상기 와셔는 상기 볼트의 헤드를 지지하는 평면을 다른 일측 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드롭아웃 장착 구조에 있어서, 다른 하나의 상기 와셔는 상기 프레임의 볼트 체결 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평면을 다른 일측 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드롭아웃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와셔의 와셔 홀, 상기 드롭아웃 멤버 및 프레임의 볼트 체결 홀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된 웰드 너트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드롭아웃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와셔의 와셔 홀 및 상기 드롭아웃 멤버의 볼트 체결 홀은 상기 볼트의 외경 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롭아웃 장착 구조는, 휠 장착부로서의 드롭아웃 멤버를 설정된 기준 위치에 맞게 셋팅한 상태로, 자전거 프레임에 상기 드롭아웃 멤버를 볼트를 통해 장착한 것으로서, 상기 드롭아웃 멤버 및 프레임의 볼트 체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변형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정렬하는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은, 상기 드롭아웃 멤버의 양측 면에서 볼트 체결 홀 가장자리 측의 와셔 장착 면에 각각 설치되며, 내측 가장자리에 오목 구면부를 형성하고 있는 제1 와셔와, 상기 각 제1 와셔의 오목 구면부와 구면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와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드롭아웃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셔는 상기 오목 구면부를 일측 면에 형성하고, 상기 와셔 장착 면을 지지하는 평면을 다른 일측 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드롭아웃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셔는 상기 제1 와셔의 오목 구면부에 구면 접촉하는 볼록 구면부를 일측 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드롭아웃 장착 구조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상기 제2 와셔는 상기 볼트의 헤드를 지지하는 평면을 다른 일측 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드롭아웃 장착 구조에 있어서, 다른 하나의 상기 제2 와셔는 상기 프레임의 볼트 체결 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평면을 다른 일측 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드롭아웃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제1,2 와셔의 와셔 홀, 상기 드롭아웃 멤버 및 프레임의 볼트 체결 홀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된 웰드 너트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드롭아웃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2 와셔의 와셔 홀 및 상기 드롭아웃 멤버의 볼트 체결 홀은 상기 볼트의 외경 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드롭아웃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드롭아웃 멤버는 삼각 구도로 배치된 상기 볼트 체결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자전거 프레임의 제작 시, 스테이 프레임이 용접 열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스테이 프레임의 별도 교정 및 드롭아웃 멤버의 별도 조절 없이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을 통하여 휠 얼라이먼트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드롭아웃 장착 구조가 적용되는 자전거 프레임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드롭아웃 장착 구조가 적용되는 스테이 프레임의 변형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를 도시한 서로 다른 방향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드롭아웃 장착 구조가 적용되는 자전거 프레임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는, 자전거 프레임(1)에 적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는, 설정된 형태로 스탬핑 성형된 각각의 양측 패널을 좌우로 용접하여 폐구간을 갖는 형태로 제작된 자전거 프레임(1)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자전거 프레임(1)은 헤드 튜브(2), 시트 튜브(3), 탑 튜브(4), 다운 튜브(5), 좌우 시트 스테이(6), 그리고 좌우 체인 스테이(7)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자전거 프레임(1)은 좌우 패널을 설정된 형태로 각각 스탬핑 성형하고 그 스탬핑 성형된 좌우 패널을 접합한 튜브 형태의 스탬핑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와 같이 설정된 형태로 스탬핑 성형된 양측 패널을 서로 접합하여 제작되는 자전거 프레임(1)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별도로 재단된 튜브들을 용접하여 제작되는 자전거 프레임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자전거 프레임(1)은 하나의 프레임 또는 둘 이상으로 구획된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전거 프레임(1)에는 공지기술의 자전거 부품들을 장착하기 위한 각종 브라켓, 칼라, 리브 및 블록 등과 같은 부속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각종 부속요소들은 자전거 프레임(1)에 각종 자전거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한 부속 요소들을 자전거 프레임(1)으로 통칭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자전거 프레임(1)에서, 좌측의 시트 스테이(6)는 좌측의 체인 스테이(7)와 일체로 연결되고, 우측의 시트 스테이(6)는 우측의 체인 스테이(7)와 일체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 측의 시트 스테이(6)는 시트 튜브(3)와 연결되고, 좌우 측의 체인 스테이(7)는 뒷바퀴 회전 연결체와 연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 측의 시트 스테이(6)와 체인 스테이(7)가 만나는 지점에는 휠 장착부로서의 드롭아웃 멤버(10)가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드롭아웃 멤버(10)가 장착되는 부위를 편의 상 "스테이 프레임(20)"이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드롭아웃 멤버(10)는 좌측 및 우측의 스테이 프레임(20)에 각각 장착되는데, 이하에서는 어느 하나의 스테이 프레임(20)에 드롭아웃 멤버(10)가 장착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좌우 측의 스테이 프레임(20)에 장착되는 드롭아웃 멤버(10)의 형상이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서로 다른 형상의 드롭아웃 멤버(10)가 좌우 측의 스테이 프레임(2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드롭아웃 멤버(10)는 스테이 프레임(20)에 볼트(8)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드롭아웃 멤버(10)에는 뒷 바퀴 허브의 액슬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액슬 삽입 홈이 형성되는데, 그 액슬 삽입 홈은 하부로 개방되고, 전방으로 설정각도 경사진 구조를 갖는다.
다른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자전거 프레임(1)은 스탬핑 성형된 양측 패널을 용접하여 제작됨에 따라, 드롭아웃 멤버(10)가 장착되는 스테이 프레임(20)은 용접 열로 인하여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스테이 프레임(20)은 용접 열로 인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로 변형될 수 있다. 즉,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롭아웃 멤버(10: 이하 도 1 참조)가 장착되는 부위는 용접 열로 인해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롭아웃 멤버(10)가 장착되는 부위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열로 인해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변형된 스테이 프레임(20)으로 인해 드롭아웃 멤버(10)의 기준 위치(X, Z 축의 기준 좌표)가 어긋난 경우, 스테이 프레임(20)을 교정하거나 드롭아웃 멤버(10)의 기준 위치를 조절하여 뒷바퀴의 휠 얼라이먼트를 정렬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는 용접 열로 인해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그 스테이 프레임(20)의 교정 및 드롭아웃 멤버(10)의 조절 없이 휠 얼라이먼트를 정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드롭아웃 멤버(10)를 표준(기준) 지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설정된 기준 위치(X, Z 축의 기준 좌표)에 맞게 셋팅(고정)한 상태로, 볼트(8)를 통해 드롭아웃 멤버(10)를 스테이 프레임(20)의 드롭아웃 장착부에 장착하며,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에 대응하여 휠 얼라이먼트를 정렬할 수 있는 드롭아웃 장착 구조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를 도시한 서로 다른 방향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100)는 기본적으로,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정렬하는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30)을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30)은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에 대응하며, 볼트(8)를 통해 드롭아웃 멤버(10)와 스테이 프레임(20)을 체결함으로써, 휠라이먼트를 정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30)은 드롭아웃 멤버(10) 및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부에 암수 식으로 구면 접촉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30)은 드롭아웃 멤버(10) 및 스테이 프레임(20) 중 어느 하나의 볼트 체결부에 형성되는 오목 구면부(31)와, 다른 하나의 볼트 체결부에 형성되는 볼록 구면부(3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오목 구면부(31)는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부에 형성되고, 볼록 구면부(35)는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 구면부(31)는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부에 형성되며, 볼록 구면부(35)는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도면 및 이하에서는 상기 오목 구면부(31)가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부에 형성되고, 볼록 구면부(35)가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부에 형성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드롭아웃 멤버(10) 및 스테이 프레임(20)는 볼트(8)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 체결부로서 볼트 체결 홀(11, 21)들을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볼트 체결 홀(11, 21)들은 드롭아웃 멤버(10) 및 스테이 프레임(20) 각각에 3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 프레임(20)의 내측에는 볼트 체결 홀(21)들과 연결되는 웰드 너트(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웰드 너트(9)는 볼트 체결 홀(21)들을 관통한 볼트(8)와 체결되는 것으로, 스테이 프레임(20)의 내측 면에 용접된다.
여기서, 상기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 홀(11)들은 스테이 프레임(20)에 대해 보다 정확한 휠 얼라이먼트를 구현하기 위해 정 삼각형 또는 이등변 삼각형의 삼각 구도로 배치된다.
상기에서 오목 구면부(31)는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 홀(11)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오목 구면부(31)는 스테이 프레임(20)과 마주하는 면의 볼트 체결 홀(11)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다. 이러한 오목 구면부(31)는 볼트 체결 홀(11)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그 홀의 내 측으로 오목한 대략 반구 형의 구면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볼록 구면부(35)는 드롭아웃 멤버(10)의 오목 구면부(31)에 대응하여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볼록 구면부(35)는 드롭아웃 멤버(10)의 오목 구면부(31)와 마주하는 면의 볼트 체결 홀(21)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다.
이러한 볼록 구면부(35)는 볼트 체결 홀(21)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그 홀의 외측으로 볼록한 대략 반구 형의 구면을 형성하며, 오목 구면부(31)의 구면과 구면 접촉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볼록 구면부(35)는 스테이 프레임(20)의 내측에서 표면 외측으로 볼록하게 성형된 반구 형상에서 그 반구의 상부를 커팅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드롭아웃 장착 구조(100)를 앞서 개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액슬 삽입 홈 및 볼트 체결 홀(11)들을 형성하고, 그 볼트 체결 홀(11)들 측에 오목 구면부(31)를 형성하고 있는 좌우 측의 드롭아웃 멤버(10)를 제공한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드롭아웃 멤버(10)를 표준 지그를 통하여 설정된 기준 위치(X, Z 축의 기준 좌표)에 맞게 셋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각 스탬핑 성형된 양측 패널을 용접으로 접합한 자전거 프레임(1)을 제공하는데, 스테이 프레임(20)의 설정된 위치에 볼트 체결 홀(21)들을 형성하고, 그 볼트 체결 홀(21)들 측에 볼록 구면부(35)를 형성하고 있는 자전거 프레임(1)을 제공한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자전거 프레임(1)의 스테이 프레임(20)을 드롭아웃 멤버(10) 측에 위치시킨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들을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 홀(11)들에 정 위치시킨다.
이 과정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드롭아웃 멤버(10)의 오목 구면부(31)와 스테이 프레임(20)의 볼록 구면부(35)가 마주하도록 스테이 프레임(20)을 드롭아웃 멤버(10) 측에 위치시키며, 그 스테이 프레임(20)의 볼록 구면부(35)를 드롭아웃 멤버(10)의 오목 구면부(31)에 구면 접촉시킨다.
그런 다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 홀(11) 및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에 볼트(8)를 끼우고, 그 볼트(8)를 회전시키며 스테이 프레임(20) 내측의 웰드 너트(9)에 체결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볼트(8)를 통하여 드롭아웃 멤버(10)를 스테이 프레임(20)의 기 설정된 드롭아웃 장착부에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자전거 프레임(1)의 제작 시, 용접 열로 인해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X, Z 축 방향 변형)이 발생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드롭아웃 멤버(10)의 오목 구면부(31)와 스테이 프레임(20)의 볼록 구면부(35)는 완전 구면 접촉(전체 구면 접촉)하지 않고,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으로 인하여 상호 부분적으로 구면 접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으로 인해 오목 구면부(31) 및 볼록 구면부(35)가 부분적으로 구면 접촉한 상태에서, 드롭아웃 멤버(10)를 볼트(8)를 통해 스테이 프레임(20)에 장착함에 따라,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에 대응하여 휠 얼라이먼트를 정렬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그 스테이 프레임(20)의 교정 및 드롭아웃 멤버(10)의 조절 없이 휠 얼라이먼트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정된 기준 위치에 맞게 셋팅된 드롭아웃 멤버(10)를 볼트(8)를 통해 스테이 프레임(20)에 체결할 때,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30)의 오목 구면부(31) 및 볼록 구면부(35)를 통하여 휠 얼라이먼트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전기 실시 예에서와 같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기 실시 예에서와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200)는,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40)으로서 드롭아웃 멤버(10) 및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돌기 패턴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40)의 돌기 패턴부(41)는 스테이 프레임(20)이 변형된 경우, 볼트(8)에 의한 드롭아웃 멤버(10)와 스테이 프레임(20)의 체결력에 의해 일부가 뭉개질 수 있게 구비된다.
이러한 돌기 패턴부(4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 스테이 프레임(20)과 마주하는 드롭아웃 멤버(10)의 일면에서 볼트 체결 홀(11)의 가장자리 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기 패턴부(41)는 볼트 체결 홀(11)의 가장자리 면에 그 가장자리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는 크러쉬(crush) 돌기(43)들을 포함한다. 상기 크러쉬 돌기(43)들은 드롭아웃 멤버(10) 및 스테이 프레임(20)을 통한 외력에 의해 뭉개지는 돌기들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 패턴부(41)의 크러쉬 돌기(43)들은 드롭아웃 멤버(10)의 내측에서 일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성형되며, 예를 들면 사각 형상의 돌기들로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크러쉬 돌기(43)들이 외력에 의해 쉽게 뭉개질 수 있도록 드롭아웃 멤버(10)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며, 그 크러쉬 돌기(43)들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스테이 프레임(20)은 스틸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드롭아웃 장착 구조(200)를 앞서 개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액슬 삽입 홈 및 볼트 체결 홀(11)들을 형성하고, 그 볼트 체결 홀(11)들 측에 돌기 패턴부(41)의 크러쉬 돌기(43)들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좌우 측의 드롭아웃 멤버(10)를 제공한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드롭아웃 멤버(10)를 표준 지그를 통하여 설정된 기준 위치(X, Z 축의 기준 좌표)에 맞게 셋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각 스탬핑 성형된 양측 패널을 용접으로 접합한 자전거 프레임(1)을 제공하는데, 스테이 프레임(20)의 설정된 위치에 볼트 체결 홀(21)들을 형성하고 있는 자전거 프레임(1)을 제공한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자전거 프레임(1)의 스테이 프레임(20)을 드롭아웃 멤버(10) 측에 위치시킨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들을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 홀(11)들에 정 위치시킨다.
이 과정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드롭아웃 멤버(10)의 크러쉬 돌기(43)들과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 가장자리 면이 마주하도록 스테이 프레임(20)을 드롭아웃 멤버(10) 측에 정 위치시키며, 그 크러쉬 돌기(43)들을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 가장자리 면에 접촉시킨다.
그런 다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 홀(11) 및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에 볼트(8)를 끼우고, 그 볼트(8)를 회전시키며 스테이 프레임(20) 내측의 웰드 너트(9)에 체결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볼트(8)를 통하여 드롭아웃 멤버(10)를 스테이 프레임(20)의 기 설정된 드롭아웃 장착부에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자전거 프레임(1)의 제작 시, 용접 열로 인해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X, Z 축 방향 변형)이 발생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크러쉬 돌기(43)들은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들 가장자리 면에 일부 접촉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볼트(8)에 의한 드롭아웃 멤버(10)와 스테이 프레임(20)의 체결력에 의해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 가장자리 면에 밀착하는 크러쉬 돌기(43)들의 일부가 뭉개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에 의하여 드롭아웃 멤버(10)와 스테이 프레임(20) 사이에 존재하는 갭이 존재하게 되는 바, 그 갭에는 나머지 크러쉬 돌기(43)들이 위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으로 인해 돌기 패턴부(41)의 크러쉬 돌기(43)들이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 가장자리 면에 일부 접촉한 상태에서, 드롭아웃 멤버(10)를 볼트(8)를 통해 스테이 프레임(20)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볼트(8)에 의한 드롭아웃 멤버(10)와 스테이 프레임(20)의 체결력에 의해 크러쉬 돌기(43)들의 일부가 뭉개지면서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에 대응하여 휠 얼라이먼트를 정렬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그 스테이 프레임(20)의 교정 및 드롭아웃 멤버(10)의 조절 없이 휠 얼라이먼트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정된 기준 위치에 맞게 셋팅된 드롭아웃 멤버(10)를 볼트(8)를 통해 스테이 프레임(20)에 체결할 때, 돌기 패턴부(41)의 크러쉬 돌기(43)들을 통하여 휠 얼라이먼트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전기 실시 예에서와 같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기 실시 예에서와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300)는, 드롭아웃 멤버(10) 및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부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52)를 포함하며 그 와셔(52)의 양측 면에 돌기 패턴부(51)를 각각 형성하는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50)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와셔(52)는 내부 공간을 지니며 중앙부 측에 와셔 홀(55)을 형성하고 있는 링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와셔(52)는 서로 마주하며 일치하는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 홀(11)들 및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들 사이에서 이들 볼트 체결 홀(11, 21)의 가장자리 면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 패턴부(51)는 드롭아웃 멤버(10) 및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11, 21) 가장자리 면에 대응하는 와셔(52)의 양측 면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 패턴부(51)는 와셔(52)의 가장자리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는 크러쉬 돌기(53)들을 포함한다.
상기 크러쉬 돌기(53)들은 드롭아웃 멤버(10) 및 스테이 프레임(20)을 통한 외력에 의해 뭉개질 수 있는 돌기들로 구비된다. 상기 크러쉬 돌기(53)들은 와셔(52)의 내측에서 양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예를 들면 사각 형상의 돌기들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와셔(52)는 크러쉬 돌기(53)들이 외력에 의해 쉽게 뭉개질 수 있도록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드롭아웃 멤버(10) 및 스테이 프레임(20)은 크러쉬 돌기(53)들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스틸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드롭아웃 장착 구조(300)를 앞서 개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액슬 삽입 홈 및 볼트 체결 홀(11)들을 형성하고 있는 좌우 측의 드롭아웃 멤버(10)를 제공한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드롭아웃 멤버(10)를 표준 지그를 통하여 설정된 기준 위치(X, Z 축의 기준 좌표)에 맞게 셋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양측 면에 돌기 패턴부(51)의 크러쉬 돌기(53)들을 형성하고 있는 와셔(52)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각 스탬핑 성형된 양측 패널을 용접으로 접합한 자전거 프레임(1)을 제공하는데, 스테이 프레임(20)의 설정된 위치에 볼트 체결 홀(21)들을 형성하고 있는 자전거 프레임(1)을 제공한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자전거 프레임(1)의 스테이 프레임(20)을 드롭아웃 멤버(10) 측에 위치시킨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들을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 홀(11)들에 정 위치시킨다.
이 과정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드롭아웃 멤버(10) 및 스테이 프레임(20)의 서로 마주하는 볼트 체결 홀(11, 21)들의 가장자리 면 사이에 와셔(52)를 두고, 스테이 프레임(20)을 드롭아웃 멤버(10) 측에 정 위치시킨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와셔(52)의 양측 면의 크러쉬 돌기(53)들을 드롭아웃 멤버(10) 및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11, 21) 가장자리 면에 접촉시키며, 스테이 프레임(20)을 드롭아웃 멤버(10) 측에 정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 홀(11), 와셔(52)의 와셔 홀(55) 및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에 볼트(8)를 끼우고, 그 볼트(8)를 회전시키며 스테이 프레임(20) 내측의 웰드 너트(9)에 체결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볼트(8)를 통하여 드롭아웃 멤버(10)를 스테이 프레임(20)의 기 설정된 드롭아웃 장착부에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자전거 프레임(1)의 제작 시, 용접 열로 인해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X, Z 축 방향 변형)이 발생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와셔(52)의 일측 면의 크러쉬 돌기(53)들은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 홀(11)들 가장자리 면에 전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셔(52)의 다른 일측 면의 크러쉬 돌기(53)들은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들 가장자리 면에 일부 접촉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볼트(8)에 의한 드롭아웃 멤버(10)와 스테이 프레임(20)의 체결력에 의해 그 드롭아웃 멤버(10) 및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11, 21)들 가장자리 면에 밀착하는 크러쉬 돌기(53)들의 일부가 뭉개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에 의하여 드롭아웃 멤버(10)와 스테이 프레임(20) 사이에 존재하는 갭이 존재하게 되는 바, 그 갭에는 나머지 크러쉬 돌기(53)들이 위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으로 인해 와셔(52) 양측 면의 크러쉬 돌기(53)들이 드롭아웃 멤버(10) 및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11, 21)들 가장자리 면에 일부 접촉한 상태에서, 드롭아웃 멤버(10)를 볼트(8)를 통해 스테이 프레임(20)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볼트(8)에 의한 드롭아웃 멤버(10)와 스테이 프레임(20)의 체결력에 의해 크러쉬 돌기(53)들의 일부가 뭉개지면서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에 대응하여 휠 얼라이먼트를 정렬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그 스테이 프레임(20)의 교정 및 드롭아웃 멤버(10)의 조절 없이 휠 얼라이먼트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정된 기준 위치에 맞게 셋팅된 드롭아웃 멤버(10)를 볼트(8)를 통해 스테이 프레임(20)에 체결할 때, 와셔(52)의 양측 면에 구비된 돌기 패턴부(51)의 크러쉬 돌기(53)들을 통하여 휠 얼라이먼트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전기 실시 예에서와 같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기 실시 예에서와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400)는, 드롭아웃 멤버(10)의 양측 면에서 볼트 체결 홀(11)들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는 오목 구면부(61)와, 그 오목 구면부(61)와 각각 구면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셔(65)를 포함하는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60)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오목 구면부(61)는 드롭아웃 멤버(10) 양측 면의 볼트 체결 홀(11)들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오목 구면부(61)는 드롭아웃 멤버(10)의 일측 면에서 볼트(8)의 헤드에 대응하는 볼트 체결 홀(11)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목 구면부(61)는 드롭아웃 멤버(10)의 다른 일측 면에서 스테이 프레임(20)과 마주하는 면의 볼트 체결 홀(11)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다.
이러한 오목 구면부(61)는 드롭아웃 멤버(10)의 양측 면에서 볼트 체결 홀(11)들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그 홀의 내 측으로 오목한 대략 반구 형의 구면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와셔(65)는 중앙부에 와셔 홀(66)을 가진 링 형상의 와셔로 구비된다. 어느 하나의 상기 와셔(65)는 드롭아웃 멤버(10)의 일측 면에서의 오목 구면부(61) 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상기 와셔(65)는 서로 마주하며 일치하는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 홀(11)들 및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들 사이에서, 그 드롭아웃 멤버(10)의 다른 일측 면에서의 오목 구면부(61) 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와셔(65)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각각의 오목 구면부(61)에 구면 접촉되는 볼록 구면부(67)를 일측 면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볼록 구면부(67)는 와셔 홀(66)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그 홀의 외측으로 볼록한 대략 반구 형의 구면을 형성하며, 각 오목 구면부(61)의 구면과 암수 식으로 구면 접촉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어느 하나의 와셔(65)는 볼트(8)의 헤드 부분을 지지하는 평면(68)을 다른 일측 면에 형성하고, 상기한 다른 하나의 와셔(65)는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평면(68)을 다른 일측 면에 형성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볼트(8)는 와셔(65)의 와셔 홀(66), 드롭아웃 멤버(10) 및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11, 21)들을 관통하여 그 스테이 프레임(20)의 내측에 구비된 웰드 너트(9)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와셔(65)의 와셔 홀(66) 및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 홀(11)은 볼트(8)의 외경(피치 외경) 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드롭아웃 장착 구조(400)를 앞서 개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액슬 삽입 홈, 볼트 체결 홀(11)들 및 양측 면의 볼트 체결 홀(11)들 가장자리에 오목 구면부(61)를 형성하고 있는 좌우 측의 드롭아웃 멤버(10)를 제공한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드롭아웃 멤버(10)를 표준 지그를 통하여 설정된 기준 위치(X, Z 축의 기준 좌표)에 맞게 셋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일측 면의 와셔 홀(66) 가장자리에 볼록 구면부(67)를 형성하고 있는 2 개의 와셔(65)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각 스탬핑 성형된 양측 패널을 용접으로 접합한 자전거 프레임(1)을 제공하는데, 스테이 프레임(20)의 설정된 위치에 볼트 체결 홀(21)들을 형성하고 있는 자전거 프레임(1)을 제공한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자전거 프레임(1)의 스테이 프레임(20)을 드롭아웃 멤버(10) 측에 위치시킨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들을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 홀(11)들에 정 위치시킨다.
이 과정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드롭아웃 멤버(10) 일측 면 측의 오목 구면부(61)에 어느 하나의 와셔(65)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드롭아웃 멤버(10) 및 스테이 프레임(20)의 서로 마주하는 볼트 체결 홀(11, 21)들 가장자리 사이에서 그 드롭아웃 멤버(10) 다른 일측 면 측의 오목 구면부(61)에 다른 하나의 와셔(65)를 두고, 스테이 프레임(20)을 드롭아웃 멤버(10) 측에 정 위치시킨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와셔(65)들의 볼록 구면부(67)를 드롭아웃 멤버(10) 양측 면의 오목 구면부(61)에 구면 접촉시킨 상태에서, 스테이 프레임(20)을 드롭아웃 멤버(10) 측에 정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 홀(11), 와셔(65)들의 와셔 홀(66) 및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에 볼트(8)를 끼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볼트(8)를 회전시키며 스테이 프레임(20) 내측의 웰드 너트(9)에 체결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볼트(8)를 통하여 드롭아웃 멤버(10)를 스테이 프레임(20)의 기 설정된 드롭아웃 장착부에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롭아웃 멤버(10)의 일측 면에서 와셔(65)는 평면(68)을 통해 볼트(8)의 헤드 부분을 지지하고, 드롭아웃 멤버(10)의 다른 일측 면에서 와셔(65)는 평면(68)을 통해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여기서, 자전거 프레임(1)의 제작 시, 용접 열로 인해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X, Z 축 방향 변형)이 발생한 경우, 상기와 같이 볼트(8)를 체결하는 과정에, 그 볼트(8)에 의한 드롭아웃 멤버(10)와 스테이 프레임(20)의 체결력에 의해 와셔(65)들과 볼트(8)는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 량만큼 삐뚤어지며 체결된다.
이는 상기 와셔(65)의 와셔 홀(66) 및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 홀(11)이 볼트(8)의 외경 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와셔(65)의 볼록 구면부(67)가 오목 구면부(61)에 구면 접촉된 상태에서 그 오목 구면부(61)의 구면을 따라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 량만큼 미끄러지면서 그 와셔(65)들과 볼트(8)는 한쪽으로 삐뚤어지게 체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볼트(8)에 의한 드롭아웃 멤버(10)와 스테이 프레임(20)의 체결력에 의해 와셔(65)들과 볼트(8)가 오목 구면부(61)를 통해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 량만큼 삐뚤어지게 체결되면서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에 대응하여 휠 얼라이먼트를 정렬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그 스테이 프레임(20)의 교정 및 드롭아웃 멤버(10)의 조절 없이 휠 얼라이먼트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전기 실시 예에서와 같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기 실시 예에서와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500)는 드롭아웃 멤버(10) 및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부에 구비되는 제1 와셔(71) 및 제2 와셔(81)를 가진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70)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와셔(71)는 드롭아웃 멤버(10)의 양측 면에서 볼트 체결 홀(11) 가장자리 측의 와셔 장착 면(19)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2개의 제1 와셔(71)는 중앙부에 와셔 홀(72)을 가진 링 형상의 와셔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와셔(71)들은 일측 면의 내측 가장자리, 즉 와셔 홀(72)의 가장자리에 오목 구면부(73)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오목 구면부(73)는 드롭아웃 멤버(10) 일측 면에서의 와셔 장착 면(19)에 배치되는 제1 와셔(71)에 있어, 볼트(8)의 헤드 부분에 대응하는 일측 면의 와셔 홀(72)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목 구면부(73)는 드롭아웃 멤버(10)의 다른 일측 면에서의 와셔 장착 면(19)에 배치되는 제1 와셔(71)에 있어,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에 대응하는 일측 면의 와셔 홀(72)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이러한 오목 구면부(73)는 제1 와셔(71)의 일측 면에서 와셔 홀(72)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그 홀의 내측으로 오목한 대략 반구 형의 구면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와셔(71)들은 일측 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오목 구면부(73)를 형성하고, 다른 일측 면에는 와셔 장착 면(19)을 지지하는 평면(75)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와셔(81)는 제1 와셔(71)의 각 오목 구면부(73)와 구면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2개의 제2 와셔(81)는 중앙부에 와셔 홀(82)을 가진 링 형상의 와셔로 구비된다.
상기 2개 중 어느 하나의 제2 와셔(81)는 드롭아웃 멤버(10)의 일측 면에서 제1 와셔(71)의 오목 구면부(73) 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제2 와셔(81)는 서로 마주하며 일치하는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 홀(11)들 및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들 사이에 배치되는 바, 드롭아웃 멤버(10)의 다른 일측 면에서 제1 와셔(71)의 오목 구면부(73) 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와셔(81)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와셔(71)의 오목 구면부(73)에 구면 접촉되는 볼록 구면부(83)를 일측 면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볼록 구면부(83)는 제2 와셔(81)의 일측 면에서 와셔 홀(82)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바, 그 와셔 홀(82)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그 홀의 외측으로 볼록한 대략 반구 형의 구면을 형성하며, 제1 와셔(71)의 오목 구면부(73)의 구면과 구면 접촉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어느 하나의 제2 와셔(81)는 볼트(8)의 헤드 부분을 지지하는 평면(85)을 다른 일측 면에 형성하고, 상기한 다른 하나의 제2 와셔(81)는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평면(85)을 다른 일측 면에 형성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볼트(8)는 제1,2 와셔(71, 81)의 와셔 홀(72, 82), 드롭아웃 멤버(10) 및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11, 21)들을 관통하여 그 스테이 프레임(20)의 내측에 구비된 웰드 너트(9)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2 와셔(71, 81)의 와셔 홀(72, 82) 및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 홀(11)은 볼트(8)의 외경(피치 외경) 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드롭아웃 장착 구조(500)를 앞서 개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액슬 삽입 홈, 볼트 체결 홀(11)들 및 양측 면의 볼트 체결 홀(11)들 가장자리 측에 와셔 장착 면(19)을 형성하고 있는 좌우 측의 드롭아웃 멤버(10)를 제공한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드롭아웃 멤버(10)를 표준 지그를 통하여 설정된 기준 위치(X, Z 축의 기준 좌표)에 맞게 셋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일측 면의 와셔 홀(72) 가장자리에 오목 구면부(73)를 형성하고 있는 2개의 제1 와셔(71)와, 일측 면의 와셔 홀(82) 가장자리에 볼록 구면부(83)를 형성하고 있는 2 개의 와셔(81)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각 스탬핑 성형된 양측 패널을 용접으로 접합한 자전거 프레임(1)을 제공하는데, 스테이 프레임(20)의 설정된 위치에 볼트 체결 홀(21)들을 형성하고 있는 자전거 프레임(1)을 제공한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자전거 프레임(1)의 스테이 프레임(20)을 드롭아웃 멤버(10) 측에 위치시킨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들을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 홀(11)들에 정 위치시킨다.
이 과정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드롭아웃 멤버(10)의 양측 면에서 와셔 장착 면(19) 각각에 제1 와셔(71)를 위치시킨다. 이 때, 상기 제1 와셔(71)의 평면(75)은 와셔 장착 면(19)을 지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각 제1 와셔(71)의 오목 구면부(73)에 제2 와셔(81)를 위치시킨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드롭아웃 멤버(10)의 일측 면 측에서 제1 와셔(71)의 오목 구면부(73)에 어느 하나의 제2 와셔(81)를 정 위치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드롭아웃 멤버(10) 및 스테이 프레임(20)의 서로 마주하는 볼트 체결 홀(11, 21)들 가장자리 사이에서, 그 드롭아웃 멤버(10)의 다른 일측 면 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1 와셔(71)의 오목 구면부(73)에 다른 하나의 제2 와셔(81)를 정 위치시킨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 와셔(81)들의 볼록 구면부(83)를 제1 와셔(71)의 오목 구면부(73)에 구면 접촉시킨 상태에서, 스테이 프레임(20)을 드롭아웃 멤버(10) 측에 정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 홀(11), 제1,2 와셔(71, 81)들의 와셔 홀(72, 82) 및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에 볼트(8)를 끼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볼트(8)를 회전시키며 스테이 프레임(20) 내측의 웰드 너트(9)에 체결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볼트(8)를 통하여 드롭아웃 멤버(10)를 스테이 프레임(20)의 기 설정된 드롭아웃 장착부에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롭아웃 멤버(10)의 일측 면에서 제2 와셔(81)는 평면(85)을 통해 볼트(8)의 헤드 부분을 지지하고, 드롭아웃 멤버(10)의 다른 일측 면에서 제2 와셔(81)는 평면(85)을 통해 스테이 프레임(20)의 볼트 체결 홀(21)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여기서, 자전거 프레임(1)의 제작 시, 용접 열로 인해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X, Z 축 방향 변형)이 발생한 경우, 상기와 같이 볼트(8)를 체결하는 과정에, 그 볼트(8)에 의한 드롭아웃 멤버(10)와 스테이 프레임(20)의 체결력에 의해 제2 와셔(81)들과 볼트(8)는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 량만큼 삐뚤어지며 체결된다.
이는 상기 제1,2 와셔(71, 81)의 와셔 홀(72, 82) 및 드롭아웃 멤버(10)의 볼트 체결 홀(11)이 볼트(8)의 외경 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와셔(81)의 볼록 구면부(83)가 제1 와셔(71)의 오목 구면부(73)에 구면 접촉된 상태에서 그 오목 구면부(73)의 구면을 따라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 량만큼 미끄러지면서 제2 와셔(81)들과 볼트(8)는 한쪽으로 삐뚤어지게 체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볼트(8)에 의한 드롭아웃 멤버(10)와 스테이 프레임(20)의 체결력에 의해 제2 와셔(81)들과 볼트(8)가 제1 와셔(71)의 오목 구면부(73)를 통해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 량만큼 삐뚤어지게 체결되면서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에 대응하여 휠 얼라이먼트를 정렬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테이 프레임(20)의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그 스테이 프레임(20)의 교정 및 드롭아웃 멤버(10)의 조절 없이 휠 얼라이먼트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에 의하면, 드롭아웃 멤버(10)를 표준 지그를 통하여 설정된 기준 위치에 맞게 셋팅한 상태로, 볼트(8)를 통해 드롭아웃 멤버(10)를 스테이 프레임(20)에 장착할 때,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30, 40, 50, 60, 70)을 통하여 휠 얼라이먼트를 정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자전거 프레임(1)의 제작 시, 스테이 프레임(20)이 용접 열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스테이 프레임(20)의 별도 교정 및 드롭아웃 멤버(10)의 별도 조절 없이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30, 40, 50, 60, 70)을 통하여 휠 얼라이먼트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휠로 전달되는 동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타이어의 편 마모를 줄일 수 있으며, 편 방향 피로 내구에 의한 자건거 프레임(1)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자전거 프레임(1)의 제작 시 용접에 의한 열 변형과는 상관없는 일률적인 제품 생산이 가능하고, 드롭아웃 멤버(10)와 스테이 프레임(20)의 조립 시 휠 얼라이먼트 품질을 위한 공수를 줄여 자전거의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외부 충격에 의한 자전거 프레임(1)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일정한 휠 얼라이먼트의 품질 확보가 가능하며, 휠 얼라이먼트의 셋팅으로 인한 자전거 프레임(1)의 내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자전거 프레임 2: 헤드 튜브
3: 시트 튜브 4: 탑 튜브
5: 다운 튜브 6: 시트 스테이
7: 체인 스테이 8: 볼트
9: 너트 10: 드롭아웃 멤버
11, 21: 볼트 체결 홀 19: 와셔 장착 면
20: 스테이 프레임
30, 40, 50, 60, 70: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
31, 61, 73: 오목 구면부 35, 67, 83: 볼록 구면부
41, 51: 돌기 패턴부 43, 53: 크러쉬 돌기
52, 65: 와셔 55, 66, 72, 82: 와셔 홀
68, 75, 85: 평면 71: 제1 와셔
81: 제2 와셔

Claims (20)

  1. 휠 장착부로서의 드롭아웃 멤버를 설정된 기준 위치에 맞게 셋팅한 상태로, 자전거 프레임에 상기 드롭아웃 멤버를 볼트를 통해 장착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로서,
    상기 드롭아웃 멤버 및 상기 프레임의 볼트 체결부에 암수 식으로 구면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변형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정렬하는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
    을 포함하는 드롭아웃 장착 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롭아웃 멤버는,
    각각 스탬핑 성형된 양측 패널을 용접으로 접합한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스테이 프레임에 장착되는 드롭아웃 장착 구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은,
    상기 드롭아웃 멤버 및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볼트 체결 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오목 구면부와,
    상기 드롭아웃 멤버 및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의 볼트 체결 홀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오목 구면부와 구면 접촉하는 볼록 구면부
    를 포함하는 드롭아웃 장착 구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구면부는,
    상기 프레임의 변형으로 상기 오목 구면부와 부분적으로 구면 접촉하는 드롭아웃 장착 구조.
  5. 휠 장착부로서의 드롭아웃 멤버를 설정된 기준 위치에 맞게 셋팅한 상태로, 자전거 프레임에 상기 드롭아웃 멤버를 볼트를 통해 장착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로서,
    상기 드롭아웃 멤버 및 상기 프레임의 볼트 체결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변형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정렬하는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은 상기 볼트에 의한 상기 드롭아웃 멤버와 프레임의 체결력에 의해 일 부분이 뭉개지는 돌기 패턴부를 포함하는 드롭아웃 장착 구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패턴부는,
    상기 드롭아웃 멤버의 볼트 체결 홀 가장자리 면에 그 가장자리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크러쉬 돌기들
    을 포함하는 드롭아웃 장착 구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드롭아웃 멤버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는 드롭아웃 장착 구조.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은,
    상기 드롭아웃 멤버 및 상기 프레임의 볼트 체결부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를 포함하되, 상기 와셔의 양측 면에 상기 돌기 패턴부를 각각 형성하는 드롭아웃 장착 구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및 상기 드롭아웃 멤버는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셔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부 공간을 지닌 링 형태로 구비되는 드롭아웃 장착 구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패턴부는,
    상기 와셔의 양측 면에 가장자리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크러쉬 돌기들을 포함하는 드롭아웃 장착 구조.
  11. 휠 장착부로서의 드롭아웃 멤버를 설정된 기준 위치에 맞게 셋팅한 상태로, 자전거 프레임에 상기 드롭아웃 멤버를 볼트를 통해 장착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로서,
    상기 드롭아웃 멤버 및 상기 프레임의 볼트 체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변형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정렬하는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은, 상기 드롭아웃 멤버의 양측 면에서 볼트 체결 홀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는 오목 구면부와, 상기 오목 구면부와 각각 구면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셔를 포함하는 드롭아웃 장착 구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상기 오목 구면부에 구면 접촉되는 볼록 구면부를 일측 면에 형성하는 드롭아웃 장착 구조.
  13. 제12 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상기 와셔는 상기 볼트의 헤드를 지지하는 평면을 다른 일측 면에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와셔는 상기 프레임의 볼트 체결 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평면을 다른 일측 면에 형성하는 드롭아웃 장착 구조.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와셔의 와셔 홀, 상기 드롭아웃 멤버 및 프레임의 볼트 체결 홀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된 웰드 너트에 체결되고,
    상기 와셔의 와셔 홀 및 상기 드롭아웃 멤버의 볼트 체결 홀은 상기 볼트의 외경 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드롭아웃 장착 구조.
  15. 휠 장착부로서의 드롭아웃 멤버를 설정된 기준 위치에 맞게 셋팅한 상태로, 자전거 프레임에 상기 드롭아웃 멤버를 볼트를 통해 장착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로서,
    상기 드롭아웃 멤버 및 프레임의 볼트 체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변형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를 정렬하는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휠 얼라이먼트 정렬유닛은, 상기 드롭아웃 멤버의 양측 면에서 볼트 체결 홀 가장자리 측의 와셔 장착 면에 각각 설치되며, 내측 가장자리에 오목 구면부를 형성하고 있는 제1 와셔와, 상기 각 제1 와셔의 오목 구면부와 구면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와셔를 포함하는 드롭아웃 장착 구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셔는,
    상기 오목 구면부를 일측 면에 형성하고, 상기 와셔 장착 면을 지지하는 평면을 다른 일측 면에 형성하는 드롭아웃 장착 구조.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셔는,
    상기 제1 와셔의 오목 구면부에 구면 접촉하는 볼록 구면부를 일측 면에 형성하는 드롭아웃 장착 구조.
  18. 제17 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상기 제2 와셔는 상기 볼트의 헤드를 지지하는 평면을 다른 일측 면에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제2 와셔는 상기 프레임의 볼트 체결 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평면을 다른 일측 면에 형성하는 드롭아웃 장착 구조.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제1,2 와셔의 와셔 홀, 상기 드롭아웃 멤버 및 프레임의 볼트 체결 홀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된 웰드 너트에 체결되고,
    상기 제1,2 와셔의 와셔 홀 및 상기 드롭아웃 멤버의 볼트 체결 홀은 상기 볼트의 외경 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드롭아웃 장착 구조.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롭아웃 멤버는 삼각 구도로 배치된 상기 볼트 체결 홀을 형성하는 드롭아웃 장착 구조.
KR1020180065773A 2018-06-08 2018-06-08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 KR102487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773A KR102487198B1 (ko) 2018-06-08 2018-06-08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
US16/201,260 US11029138B2 (en) 2018-06-08 2018-11-27 Drop-out mounting structure for wheel alig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773A KR102487198B1 (ko) 2018-06-08 2018-06-08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386A true KR20190139386A (ko) 2019-12-18
KR102487198B1 KR102487198B1 (ko) 2023-01-10

Family

ID=6876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773A KR102487198B1 (ko) 2018-06-08 2018-06-08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029138B2 (ko)
KR (1) KR1024871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198B1 (ko) * 2018-06-08 2023-01-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
KR102474389B1 (ko) * 2018-06-25 2022-12-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전거 프레임의 드롭아웃 장착 구조
US20220324532A1 (en) * 2021-04-07 2022-10-13 REX ENTERPRISES, dba RAMBO BIKES Method of attaching hubs to bicycle frame
US20230166807A1 (en) * 2021-12-01 2023-06-01 Sram, Llc Brake mounts for bicycles
EP4219280A1 (en) * 2022-01-28 2023-08-02 Astro Tech Co., Ltd. Manufacturing method, product of bicycle frame unit and prestructure of bicycle frame adaptable for different motor system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0268A1 (en) * 1997-05-07 1998-11-12 Rockshox,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a bicycle wheel to a bicycle
US5906385A (en) * 1996-09-17 1999-05-25 Klein Bicycle Corporation Adjustable bicycle dropout
JP2014500444A (ja) * 2010-10-08 2014-01-09 ウァイス,ウォルフガング 位置誤差を補正する形状ロック接続
KR20150019938A (ko) * 2013-08-16 2015-02-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전거용 프레임 유닛 및 그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1292U (ko) * 1988-12-13 1990-06-22
US5082303A (en) * 1990-09-06 1992-01-21 Gt Bicycles, Inc. A Calif. Corporation Changeable dropout assembly
US6267399B1 (en) * 1994-08-22 2001-07-31 Advanced Composites, Inc. Net shape filament winding manufacturing process, articles made therefrom and composite bicycle fork and other components
US5694699A (en) * 1996-10-28 1997-12-09 Henry James Bicycles, Inc. Bicycle frame aligning device
US5957244A (en) * 1997-09-03 1999-09-28 Rockshox, Inc. Disk brake mount
US5984423A (en) * 1997-10-07 1999-11-16 Rockshox, Inc. Wheel hub retaining device
US8424894B2 (en) * 2009-08-21 2013-04-23 Speedhound Design Bureau, Llc Bicycle frame dropouts and methods
US8899606B2 (en) * 2012-07-24 2014-12-02 Chris Cocalis Removable dropouts for bicycle frame
DE102013014336A1 (de) * 2013-08-28 2015-03-05 Winora-Staiger Gmbh Fahrradrahmen aus faserverstärktem Werkstoff mit Adapterplatten für das Hinterrad
US9415828B2 (en) * 2014-03-14 2016-08-16 Mark Christopher Norstad Adjustable bicycle dropout integrated with wheel skewer
KR102406109B1 (ko) * 2016-09-02 2022-06-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드롭 아웃을 갖는 자전거 프레임구조
KR101875648B1 (ko) * 2016-10-20 2018-07-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구조
KR102359914B1 (ko) * 2016-12-06 2022-0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댐핑구조를 갖는 휠 장착부, 및 이를 구비한 프레임
KR102474342B1 (ko) * 2016-12-16 2022-12-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휠 높이 조절구조를 갖는 자전거
KR102371244B1 (ko) * 2017-06-01 2022-03-04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전거 프레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35491B1 (ko) * 2017-12-19 2021-12-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전거 프레임
KR102487198B1 (ko) * 2018-06-08 2023-01-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
KR102474389B1 (ko) * 2018-06-25 2022-12-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전거 프레임의 드롭아웃 장착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6385A (en) * 1996-09-17 1999-05-25 Klein Bicycle Corporation Adjustable bicycle dropout
WO1998050268A1 (en) * 1997-05-07 1998-11-12 Rockshox,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a bicycle wheel to a bicycle
JP2014500444A (ja) * 2010-10-08 2014-01-09 ウァイス,ウォルフガング 位置誤差を補正する形状ロック接続
KR20150019938A (ko) * 2013-08-16 2015-02-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전거용 프레임 유닛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76778A1 (en) 2019-12-12
KR102487198B1 (ko) 2023-01-10
US11029138B2 (en)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9386A (ko)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
KR102406109B1 (ko) 드롭 아웃을 갖는 자전거 프레임구조
US8393671B2 (en) Steering support frame
US7271367B2 (en) Single retainer mounted riser
US7784665B2 (en) Single retainer mounted riser
KR101875648B1 (ko)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구조
CN204354714U (zh) 轮辐变薄式热冲压车轮
EP1747979B1 (en) Reinforced upper frame for supporting cabin of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using welding deformation preventing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94945B1 (ko) 리벳 너트 유닛 및 그 장착방법
JP6220806B2 (ja) グリルシャッタ組立方法
CN102431005A (zh) 一种轿车后盖装配工具及其制造方法
CN218000307U (zh) 一种用于侧方位车位锁的链条张紧装置
CN101214827B (zh) 乘用车副车架
US11325658B2 (en) Frame joint
JP6381633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及びその製造方法
CN205629864U (zh) 驾驶室面罩定位装置
KR101415464B1 (ko) 자동차용 서브프레임
CN219170718U (zh) 减震器和转向节的装配定位工装
CN201913370U (zh) 一种汽车背门外板上平面焊接螺柱定位机构
JP2005059031A (ja) 溶接装置
CN205639508U (zh) 一种玉米收获机皮带张紧轮支架装置
CN218907504U (zh) 电动摩托车
CN103256314B (zh) 一种大型双列轴承内圈同轴度调节工装及其操作方法
KR101349775B1 (ko) 상용차용 스프링 행거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CN217294721U (zh) 一种解决行走跑偏故障的挖掘机下车架导向轮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