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360A - 캠핑카용 확장 장치 - Google Patents

캠핑카용 확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360A
KR20190139360A KR1020180065675A KR20180065675A KR20190139360A KR 20190139360 A KR20190139360 A KR 20190139360A KR 1020180065675 A KR1020180065675 A KR 1020180065675A KR 20180065675 A KR20180065675 A KR 20180065675A KR 20190139360 A KR20190139360 A KR 20190139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home
side wall
frame
upper frame
wal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원
Original Assignee
이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원 filed Critical 이태원
Priority to KR1020180065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9360A/ko
Publication of KR20190139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3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핑카용 확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캠핑카의 내부 공간을 임의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캠핑카용 확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확장 장치는 캠핑카 내부 공간 확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핑카의 루프에서 연장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대향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되, 복수의 측벽 패널이 상기 캠핑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되는 측벽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캠핑카용 확장 장치{Extending device for camping car}
본 발명은 캠핑카용 확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캠핑카의 내부 공간을 임의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캠핑카용 확장에 관한 것이다.
캠핑카(Camping Car)는 차량의 내부에 장기간의 여행을 할 수 있도록 각종 생활설비를 갖춤으로써 차량을 이용하는 사람이 쾌적한 환경을 누리면서 언제든지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면서 최적의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진 차로서, 캠핑카의 특징은 별다른 부대시설이 필요 없이 언제 어디서든 캠핑카 하나로 숙박을 해결하고 원거리 및 근거리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캠핑카는 모터 캐러반(Motor Caravan)과 캐러반(Caravan)의 두 종류로 나누어지는데, 두 차량의 가장 큰 차이는, 모터 캐러반은 동력을 이용하여 스스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한 차량이고, 캐러반은 일반 차량으로 견인되어 이동이 가능한 차량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모터 캐러반은 자가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 하나로 모든 생활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캐러반은 견인되어 이동하기 때문에 모터 캐러반에 비해서 내부공간을 더 넓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캠핑카 여행이란 이러한 모터 캐러반 또는 캐러반으로 여행을 하는 것으로서, 국내에서도 이와 같은 캠핑카 여행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종래의 캠핑카는 처음에 제작된 상태로 내부공간의 이용이 가능할 뿐, 사용자가 내부공간을 임의로 확장하여 이용할 수가 없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캠핑카의 내부 공간을 확장을 위한 많은 시도가 있으나, 내부 공간 확장을 위한 구조가 복잡한 문제로 인해 그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캠핑카의 내부 공간을 임의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확장을 위한 구조가 단순화된 캠핑카용 확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확장 장치는 캠핑카 내부 공간 확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핑카의 루프에서 연장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대향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되, 복수의 측벽 패널이 상기 캠핑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되는 측벽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때, 상호 인접한 측벽 패널 사이에는 힌지 고정되는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가 회동 가능한 회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캠핑카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회동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캠핑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도어 프레임을 안내하는 도어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도어 레일에 결합되는 레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상기 측벽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 패널과 상기 지지면 사이에는 실링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벽 패널과 상기 실링부가 상호 밀착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 패널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가이드 롤러일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확장 장치는 사용자가 캠핑카의 내부 공간을 임의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확장을 위한 구조가 단순화되어 쉽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확장 장치의 확장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확장 장치의 확장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확장 장치의 측면 패널의 연결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확장 장치의 확장 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패널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패널의 슬라이딩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확장 장치의 확장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확장 장치의 확장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확장 장치의 측면 패널의 연결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확장 장치의 확장 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패널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패널의 슬라이딩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캠핑카(10) 내부 공간 확장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핑카(10)의 루프(11)에서 연장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100)과, 이러한 상부 프레임(100)과 대향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200)이 구비된다. 즉,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이 상하로 배치되고, 이러한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 사이에 후술하는 측벽 프레임(300)과 도어 프레임(400)이 배치되어 캠핑카(10)의 내부 공간을 확장하게 된다.
측벽 프레임(300)은 복수의 측벽 패널(310)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장치가 확장되기 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핑카(10)의 적재 공간(12)에 포개어진 상태로 배치되므로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고, 이동성이 증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확장 장치가 확장된 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측벽 패널(310)이 캠핑카(10)의 길이 방향(a)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면서 캠핑카(10)의 내부 공간을 확장하게 된다.
이때, 상부 프레임(100)은 복수의 측벽 패널(310)을 감싸는 형태로 지지 가능하도록 일정 길이 하향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측벽 패널(310)은 상호 인접한 측벽 패널(310)과 힌지 고정되도록 연결부(320)가 구비된다. 도 2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각 측벽 패널(310)마다 1번, 2번, 3번, 4번의 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1번 측벽 패널(310)의 좌측은 캠핑카(10)의 차체에 힌지 고정되고, 1번 측벽 패널(310)의 우측은 2번 측벽 패널(310)의 좌측과 힌지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2번 측벽 패널(310)의 우측은 3번 측벽 패널(310)의 좌측과 힌지 고정되며, 연속하는 측벽 패널(310)도 이러한 방식으로 힌지 고정된다. 확장 장치의 비사용 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측벽 패널(31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적재 공간(12)에 배치되고, 2번 측벽 패널(31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1번 측벽 패널(310)에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포개어지게 된다. 연속하는 측벽 패널(310)도 이러한 방식으로 포개어지게 된다.
이러한 측벽 패널(310)은 수량은 내부 공간의 확장이 필요한 정도에 따라 늘리거나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측벽 패널(310)의 힌지 고정을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부(32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인접하는 측벽 패널(310) 사이에 별도의 연결 브라켓(322)을 배치하고, 각각의 측벽 패널(310)은 이러한 연결 브라켓(322)에 핀(321)으로 힌지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확장 장치 비사용 시 측벽 패널(310)이 포개어진 상태로 배치될 때 상호 밀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110, 210)가 구비된다. 즉, 이러한 회동부(110,210)가 구비됨으로 인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장치의 비사용 시에는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을 접어서 배치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장치의 사용 시에는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을 펼쳐서 배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을 접어서 배치하게 되면 확장 장치의 전체 길이 감소하게 되어 이동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의 회동시키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20, 220)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동부(120, 220)는 유압 실린더나 공압 실린더 뿐만 아니라 리니어 모터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을 회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동부(120, 220)가 구비되면 확장 장치 사용 사 사용자의 노력과 수고를 덜 수 있게 된다.
또한, 캠핑카(10)의 길이 방향(a)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400)이 구비된다. 이러한 도어 프레임(400)은 확장 장치 비사용 시에 측벽 패널(310)과 함께 포개어진 상태로 적재 공간(12) 내부에 배치되고, 확장 장치 사용 시에는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이 배치된 이후 캠핑카(10)의 길이 방향(a)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한 후 배치된다.
상부 프레임(10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40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시 이러한 도어 프레임(400)을 안내하는 도어 레일(130)이 구비된다. 아울러 도어 프레임(400)에는 이러한 도어 레일(130)에 결합되는 레일 홈(410)이 형성되어 확장 장치 사용 시에 도어 프레임(400)은 도어 레일(13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도어 레일(130)에도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회동부(13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확장 장치 비사용 시에 상부 프레임(100)과 함께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동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200)에는 별도의 수납 부재(2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납 부재(230)는 캠핑카(10)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에서부터 하향 연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수납 부재(230)로 인해 사용자의 활동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확장 장치의 확장 상태를 단계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의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을 펼치게 되며, 이때, 상부 프레임(100)을 하부 프레임(200)보다 먼저 펼치게 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 공간(12) 내부에 포개어진 상태로 배치된 도어 프레임(400)을 캠핑카(10)의 길이 방향(a)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어 프레임(400) 이동 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에 구비된 도어 레일(130)과 도어 프레임(400)의 레일 홈(410)이 결합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도어 프레임(400)이 배치된 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 공간(12) 내부에 포개어진 상태로 배치된 측벽 패널(310)을 캠핑카(10)의 길이 방향(a)을 따라 이동시키게 되며, 측벽 패널(310)의 이동이 완료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측벽 패널(310)이 캠핑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된다.
이러한 확장 장치 사용 시 견고한 고정을 위해 하부 프레임(200)에는 별도의 지지 부재(200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측벽 패널(31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의 내주면에는 측벽 패널(310)을 지지하는 지지면(101, 201)이 형성된다.
이때, 이러한 측벽 패널(310)과 지지면(101, 201) 사이에는 별도의 실링부(50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실링부(500)가 구비되면 측벽 패널(310)과 지지면(101, 201)이 직접 맞닿음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벽 패널(310)과 지지면(101, 201) 사이로 먼지나 빗물과 같은 이물질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벽 패널(310)과 실링부(500)가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고정부(600)가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부(6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 측에 구비되어 측벽 패널(310)의 상부를 고정할 뿐만 아니라 하부 프레임(200) 측에도 구비되어 측벽 패널(310)의 하부를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러한 고정부(600)는 회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확장 장치의 비사용 시에는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 측에 각각 밀착되어 이동성을 확보하고, 확장 장치의 사용 시에는 측벽 패널(310)과 실링부(500)가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힘을 인가하게 된다. 아울러 확장 장치 사용 시 이러한 고정부(60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별도의 잠금 부재를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만, 실링부(500)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내구성 저하로 인해 먼지나 빗물과 같은 이물질 유입될 수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 패널(310)의 하부에는 차단 부재(310a)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빗물과 같은 이물질이 넘쳐서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패널(310)의 슬라이딩 구조를 다르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부 프레임(100)에는 가이드 레일(140)이 형성되고, 측벽 패널(310)에는 이러한 가이드 레일(14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311)가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측벽 패널(310)이 캠핑카(10)의 길이 방향(a)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시 측벽 패널(31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311)가 상부 프레임(10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4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확장 장치 사용에 따른 안정성과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측벽 패널(31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311)는 가이드 레일(14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가이드 롤러(311a)일 수 있다. 측벽 패널(310) 이동 시 가이드 롤러(311a)가 가이드 레일(14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측벽 패널(310) 이동 시 소요되는 노력과 수고를 덜 수 있으며, 측벽 패널(310) 이동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캠핑카 11 : 루프
12 : 적재 공간 100 : 상부 프레임
101 : 지지면 110 : 회동부
120 : 구동부 130 : 도어 레일
131 : 회동부 140 : 가이드 레일
200 : 하부 프레임 200a : 지지 부재
201 : 지지면 210 : 회동부
220 : 구동부 230 : 수납 부재
300 : 측벽 프레임 310 : 측벽 패널
310a : 차단 부재 311 : 가이드 돌기
311a : 가이드 롤러 320 : 연결부
321 : 힌지 322 : 연결 브라켓
400 : 도어 프레임 410 : 레일 홈
500 : 실링부 600 : 고정부
a : 길이 방향

Claims (10)

  1. 캠핑카 내부 공간 확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핑카의 루프에서 연장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대향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되, 복수의 측벽 패널이 상기 캠핑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되는 측벽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확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호 인접한 측벽 패널 사이에는 힌지 고정되는 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확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가 회동 가능한 회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확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핑카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회동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확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핑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확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도어 프레임을 안내하는 도어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도어 레일에 결합되는 레일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확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상기 측벽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 패널과 상기 지지면 사이에는 실링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확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패널과 상기 실링부가 상호 밀착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확장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 패널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확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가이드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확장 장치.
KR1020180065675A 2018-06-07 2018-06-07 캠핑카용 확장 장치 KR201901393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675A KR20190139360A (ko) 2018-06-07 2018-06-07 캠핑카용 확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675A KR20190139360A (ko) 2018-06-07 2018-06-07 캠핑카용 확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360A true KR20190139360A (ko) 2019-12-18

Family

ID=69052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675A KR20190139360A (ko) 2018-06-07 2018-06-07 캠핑카용 확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93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696A (ko) * 2021-11-30 2023-06-07 정경헌 트렁크 확장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696A (ko) * 2021-11-30 2023-06-07 정경헌 트렁크 확장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377B1 (ko)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
US9428117B2 (en) Under cover apparatus of rear bumper multi-carrier
US4930837A (en) Camping conversion
US3021174A (en) Hardtop convertible automobile structure
US100170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rear slide-out compartment in a recreational vehicle for increasing interior space
KR101592729B1 (ko) 폴딩이 가능한 차량
KR20190139360A (ko) 캠핑카용 확장 장치
KR101560375B1 (ko)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
US7731256B1 (en) Recreational vehicle slide out system
JP5723513B2 (ja) 車両用スロープ装置
JP6109256B2 (ja) 拡幅車両における車体拡幅構造
US2992851A (en) Sliding door for motor vehicles
US20140197655A1 (en) Vehicle with rotating slide-out room
JP5427020B2 (ja) テールゲート一体型スロープ装置
KR102339846B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프론트도어 상부지지장치
KR102127659B1 (ko) 차량용 접이식 천막
KR101821267B1 (ko)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가이드장치
KR102018884B1 (ko) 하드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
CN110588494A (zh) 一种安装有自动下落式内置床的房车
CN107398074B (zh) 一种可安全倒车入库的游乐车
JP5090314B2 (ja) キャンピングカー用ボックスおよびキャンピングカー
JP7132577B1 (ja) 車両用荷室
JP2016199189A (ja) キャンピングシェル
JP5629557B2 (ja) トラックのリヤ構造
KR101850136B1 (ko) 더블슬라이드 작업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