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697A - 신발류 물품 및 스트로벨 스티칭을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신발류 물품 및 스트로벨 스티칭을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697A
KR20190138697A KR1020197035380A KR20197035380A KR20190138697A KR 20190138697 A KR20190138697 A KR 20190138697A KR 1020197035380 A KR1020197035380 A KR 1020197035380A KR 20197035380 A KR20197035380 A KR 20197035380A KR 20190138697 A KR20190138697 A KR 20190138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por
edge portion
bootie
permeable
protective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바스티안넬리
채드 켈리
Original Assignee
비에이치에이 알테어,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에이치에이 알테어, 엘엘씨 filed Critical 비에이치에이 알테어,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138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ssembled by st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1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9/00Shoe-shaped inserts; Inserts covering the instep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15Plastics or artificial leather
    • A43B23/022Plastics or artificial leather with waterproof breath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35Different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4Different layers of the sam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Laminated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 A43B7/125Special watertight footwear provided with a vapour permeable member, e.g. a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 A43B9/02Footwear stitched or nailed through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 A43B9/04Welted footwear
    • A43B9/06Welted footwear stitched or nailed through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 A43B9/12Stuck or cemented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5/00Devices for gluing shoe parts
    • A43D25/06Devices for gluing soles on shoe bottom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86/00Machines for assembling soles or heels onto upp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3D25/00 - A43D83/00, e.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for securing layers together; for attaching the product to another member, e.g. to a support, or to another product, e.g. groove/tongue, inter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6Knitt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8Net structure, e.g. spaced apart filaments bonded at the crossing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B32B7/09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by stitching, needling or s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32B2262/0269Aromatic 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4Mixture of at least two fibr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64Polye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6Open cell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8Closed cell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4Wear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32B2437/02Gloves, s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갑피에 고정된 바깥창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이 제공된다. 부티가 충전 패널에 부착된다. 부티와 충전 패널은 결합되어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공동을 형성한다. 부티는 함께 적층된 복수의 재료 층으로 형성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에 의해 제공된다. 시트는 부티의 발가락 단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의 거리를 적어도 1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을 형성한다. 보호 스트립이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 부근에서 시트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다. 스티칭 시임은 충전 패널의 외주 에지 부분 부근에서 부티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을 고정시키는 실 유형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실 유형 재료는 보호 스트립 및 충전 패널을 통해 연장되어 시임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신발류 물품 및 스트로벨 스티칭을 이용한 방법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신발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충전 패널(infill panel)을 포함하는 신발의 갑피를 형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일부 공지된 신발 갑피는 층으로 조립될 때 통기성이 제한되는 다양한 직물 및 접착제를 비롯하여 특정 재료로 구성된다. 유사하게, 방수 및 통기 가능한 것으로 판매되는 신발류는, 방수일 수 있고 수증기 투과성일 수 있지만 공기 투과성은 아닌 다수의 층으로 구성된다. 방수 라이너는 가장 일반적으로 공기 투과성이 아닌 폴리우레탄 또는 일부 다른 재료의 층을 포함한다. 이 공기 투과성 결여는 신선한 공기에 대한 접근 없이 착용자의 발을 밀봉한다.
기존 갑피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재료로부터 절결된 패턴의 사용, 또는 재료로부터 절단된 다수의 피스 및 착용자의 발을 둘러싸도록 형상화된 체적을 형성하도록 스티칭 및 접착제로 조립된 다수의 피스 또는 단일 피스를 포함한다. 흔히, 갑피는 라이너와 신발 쉘의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방수 라이너는 신발의 전체 갑피를 완성하기 위해 신발 쉘의 하나 이상의 층 내부에 조립되어야 한다. 그러나, 신발의 통기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신발의 방수 능력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또한, 미국 특허 공개 제2010/0011619호(본 명세서에서 재현되는 '619 공보)의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신발의 갑피는 흔히 '619 공보의 부티(302) 시임(320 및 330)("스티칭 시임"으로도 지칭됨)에 부착되는 안창(304)과 같이 하나 이상의 안창 시임에 의해 안창("충전 패널"이라고도 지칭됨)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불행하게도, 시임(320 및 330)의 표준 형성은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라미네이트 재료와 같은 섬세한 재료를 사용할 때 재료의 다양한 층을 손상시켜 재료의 방수 특성을 파괴하는 스트로벨 스티치에 의해 수행되었다. 시임(320 및 330)은 흔히 단일 연속 시임으로 형성된다는 것이 주목된다. 이는 통상적으로 스트로벨 스티치 방법에 사용되는 톱니형 롤러 사이에서 압축되는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라미네이트 재료로 형성되는 안창(304) 및 부티(302)의 압축으로 인해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트로벨 스티치 방법을 사용할 때, 안창(304)의 내부 표면은 재료의 자유 에지가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재료 형성 부티(302)의 내부 표면에 대해 위치된다. 재료 피스들이 함께 압축된 상태에서, 재료는 스티치가 재료 피스들에 적용될 때 재봉기를 통해 정렬된 재료 피스들을 파지하고 구동하기 위해 톱니를 갖는 한 쌍의 구동 휠 사이에 형성된 닙을 통해 급송된다. 니들은 재료 피스들을 관통하고 스티치가 재료 피스들의 에지에 걸쳐 연장된다. 다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불행하게도, 구동 휠의 압력 및 구동 휠의 필요한 톱니형 구성은 재료 피스들에 함입부를 생성할 것이다. 불행하게도, 이는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라미네이트 재료의 다양한 층에 변형을 일으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라미네이트 재료를 통한 잠재적인 누설 경로가 초래될 수 있다.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라미네이트 재료를 사용하여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는 것과 관련된 다른 문제는 흔히 시임(320 및 330)을 밀봉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이는 흔히 안창(304) 위에 밀봉 개스킷(360)을 적용하고 밀봉 개스킷을 부티(302)에 밀봉함으로써 수행된다. 그러나, 부티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재료, 즉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라미네이트 재료로 인해, 바깥창에 부착하기 전에 갑피를 적절히 밀봉하기 위해 밀봉 개스킷(360)과 부티(302) 사이에 우수한 접착 시일을 얻는 것은 어려운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현재의 기술 상태에 대한 개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새롭고 개선된 신발류 물품, 특히 신발류 물품용 갑피 및 신발류 물품 및 그 다양한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서, 바깥창 및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이 제공된다. 갑피는 바깥창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갑피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둘러싼다. 갑피는 충전 패널, 부티, 보호 스트립, 및 스티칭 시임을 포함한다. 충전 패널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충전 패널은 외주 에지 부분을 갖는다. 부티는 착용자 발의 상단 위로 연장되어 충전 패널에 부착된다. 부티와 충전 패널은 결합되어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공동을 형성한다. 부티는 함께 적층된 복수의 재료 층으로 형성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에 의해 제공된다.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향하는 내부 표면 및 내부 표면으로부터 반대쪽을 향하는 외부 표면을 갖는다.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는 부티의 발가락 단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의 거리를 적어도 1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을 형성한다. 통상적으로, 시트는 부티의 발가락 단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의 거리의 대부분을 연장한다. 보호 스트립은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 부근에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다. 스티칭 시임은 충전 패널의 외주 에지 부분 부근에서 부티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을 고정시키는 실 유형 재료(thread-type material)에 의해 형성된다. 실 유형 재료는 보호 스트립 및 충전 패널을 통해 연장되어 스티칭 시임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 스트립은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외부 표면에 고정되는 내부 표면, 및 내부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대향 외부 표면을 갖는다. 보호 스트립의 외부 표면은 스티칭 시임을 형성할 때 재봉기에 대해 맞물림 표면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티칭 시임은 스트로벨 스티치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 스트립은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에지 부분으로부터 적어도 3 mm 그리고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에지 부분으로부터 10 mm 이하만큼 이격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15%가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방수 개스킷은 충전 패널의 외부 표면에 고정되고 충전 패널과 바깥창 사이에 개재된다. 접착제는 방수 개스킷을 충전 패널에 고정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방수 개스킷은 스티칭 시임을 전체적으로 덮는다. 접착제는 방수 개스킷과 보호 스트립 사이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 스트립은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외부 표면에 접착식으로 고정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둘러싸는 갑피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갑피를 형성하는 단계는 충전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갑피를 형성하는 단계는 또한 함께 적층된 복수의 재료 층으로 형성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로 형성된 부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향하는 내부 표면 및 사용 중에 내부 표면의 반대쪽을 향하는 외부 표면을 갖는다.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는 부티의 발가락 단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의 거리를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을 형성한다. 통상적으로, 에지 부분은 부티의 발가락 단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의 거리의 대부분을 적어도 1회 연장한다. 방법은 보호 스트립을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 부근에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외부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실 유형 재료에 의해 형성된 스티칭 시임으로 충전 패널의 외주 에지 부분 부근에서 부티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 유형 재료는 보호 스트립 및 충전 패널을 통해 연장되어 스티칭 시임을 형성한다. 충전 패널 및 부티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공동을 형성한다. 충전 패널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부티는 사용 중에 착용자 발의 상단 위로 연장된다. 방법은 갑피를 바깥창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 스트립은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외부 표면에 고정되는 내부 표면, 및 내부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대향 외부 표면을 갖는다. 스티칭 시임은 재봉기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고정 단계는 스티칭 시임을 형성할 때 보호 스트립의 외부 표면을 재봉기와 맞물리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티칭 시임은 스트로벨 스티칭된다. 재봉기는 충전 패널,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 및 보호 스트립을 재봉기를 통해 구동하는 톱니형 휠을 포함한다. 톱니형 휠은 보호 스트립의 외부 표면과 맞물린다.
일 실시예에서, 재봉기를 통해 충전 패널, 보호 스트립 및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를 구동시키는 것은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를 재봉기와 직접 맞물리게 함으로써 제공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 스트립은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에지 부분으로부터 적어도 3 mm 그리고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에지 부분으로부터 10 mm 이하만큼 이격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15%는 갑피가 바깥창에 고정된 후에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방수 개스킷이 충전 패널과 바깥창 사이에 개재되도록 접착제로 방수 개스킷을 충전 패널의 외부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수 개스킷은 스티칭 시임을 전체적으로 덮는다. 접착제는 방수 개스킷과 보호 스트립 사이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 스트립은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외부 표면에 접착식으로 고정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발류 물품은 바깥창 및 갑피를 포함한다. 갑피는 바깥창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갑피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둘러싼다. 갑피는 충전 패널, 부티, 보호 스트립, 및 스티칭 시임을 포함한다. 충전 패널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충전 패널은 외주 에지 부분을 갖는다. 부티는 착용자 발의 상단 위로 연장되어 충전 패널에 부착된다. 부티와 충전 패널은 결합되어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공동을 형성한다. 부티는 함께 적층된 복수의 재료 층으로 형성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에 의해 제공된다.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향하는 내부 표면 및 내부 표면의 반대쪽을 향하는 외부 표면을 갖는다.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는 부티의 발가락 단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의 거리를 적어도 1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을 형성한다. 통상적으로, 시트는 거리의 대부분을 연장한다. 보호 스트립은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 부근에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다. 스티칭 시임은 충전 패널의 외주 에지 부분 부근에서 부티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을 고정시키는 실 유형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방수 개스킷은 충전 패널과 스티칭 시임 위에 접착제에 의해 밀봉 가능하게 고정된다.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는 방수 개스킷과 보호 스트립 사이에 위치된다. 방수 개스킷은 충전 패널과 바깥창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 스트립은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외부 표면에 접착식으로 고정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둘러싸는 갑피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충전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함께 적층된 복수의 재료 층으로 형성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로 형성된 부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향하는 내부 표면 및 사용 중에 내부 표면의 반대쪽을 향하는 외부 표면을 갖는다.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는 부티의 발가락 단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의 거리를 적어도 1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을 형성한다. 통상적으로, 이 거리는 거리의 대부분이다. 방법은 보호 스트립을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 부근에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외부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실 유형 재료에 의해 형성된 스티칭 시임으로 충전 패널의 외주 에지 부분 부근에서 부티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충전 패널 및 부티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공동을 형성하고 충전 패널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방법은 접착제로 방수 개스킷을 충전 패널의 외부 표면에 그리고 스티칭 시임 위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수 개스킷은 충전 패널과 바깥창 사이에 개재된다.
실시예에서, 방수 개스킷을 부착하는 단계는 스티칭 시임을 전체적으로 덮는다. 접착제는 방수 개스킷과 보호 스트립 사이에 위치된다. 접착제 및 방수 개스킷은 스티칭 시임을 통한 투수성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목적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취할 때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그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여러 양태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갑피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내부가 외부를 향한 상태에서 구성 동안의 종래 기술 갑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갑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스티칭되기 전에 도 4의 갑피의 부티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된 재료 시트의 예시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에 예시된 갑피의 부티와 안창을 연결하기 위한 스트로벨 스티칭 방법의 단순화된 예시이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본 발명을 그러한 실시예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와 달리,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대안, 수정 및 등가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방수 및 습기 투과성인 신발류의 일반적인 한계는 그러한 신발류가 공기 불투과성이라는 점이다. 일반적인 공기 불투과성 한계를 나타내지 않는 실시예의 일례는 방수성, 수증기 투과성, 및 공기 투과성인 다층 라미네이트로 제조된 갑피를 갖는 신발류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그러한 갑피 및 그러한 갑피를 구성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 물품(100)의 사시도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신발류 물품(100)은 운동화로서 예시되어 있다. 다양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신발류 물품(100)은 다른 유형의 신발, 부츠 또는 신발류일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0)은 바깥창(102), 및 개구를 통해 사용자(착용자라고도 지칭됨)의 발(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갑피(104)를 포함한다. 갑피(104)는 사용자의 발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부티(106)로부터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안창(본 명세서에서 "충전 패널"이라고도 지칭됨)이 부티(106)에 부착된다. 다양한 다른 실시예에서, 바깥창(102)은 사출 성형 및 가황 중 하나 이상에 의해 형성되어 갑피(104)에 결합될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0)은 복수의 파스너(110)를 사용하여 갑피(104)에 맞물리는 전방 레이싱(108)을 포함한다.
더욱이, 신발류 물품(100)은, 신발류 물품(100)이 발의 삽입 및 제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신발류 물품(100)의 갑피(104), 특히 그 개구의 수축 및 팽창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설부(112)(tongue)를 포함한다. 설부(112)는 또한 전방 레이싱(108)이 고정될 때 신발류 물품(100)이 사용자의 발에 단단히 접촉하고 부착되도록 갑피(104)의 조절을 제공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전방 레이싱(108)은 Velcro®와 같은 후크 및 루프 파스너 재료일 수 있다. 설부(112)는 설부 스티칭(114)에 의해 기존 재료로 형성된다. 파스너(110)는 설부(112)의 에지에서 갑피(104)에 부착된다. 다양한 대안 실시예에서, 파스너(110)는 아일릿, 아이 스테이(eye stay), 루프 파스너, 및 후크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0)은 또한 통상적으로 갑피(104)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거나 몰딩된 재료를 포함하는 외골격(116)을 포함한다. 외골격(116)은 갑피(104)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고 갑피(104)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외골격(116)은 또한 파스너(110)가 갑피(104)에 부착되는 곳에만 힘을 격리하는 것과 반대로 외골격(116)이 부착되는 곳을 둘러싸는 영역을 가로질러 외향으로 파스너(110)에 작용하는 레이싱 인장력을 분산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외골격(116)은 고주파 용접에 의해 갑피(104)에 부착된다. 다양한 대안 실시예에서, 외골격(116)은, 제한하지 않지만, 스티칭, 접착제 접합, 열 용접(예를 들어, 핫 프레스를 사용) 및 고주파 용접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부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신발류 물품(100)은, 갑피(104)의 상단 에지(119)를 덧대고, 예를 들어, 제한하지 않지만, 캡 스티칭(120)을 사용하여 제위치에 유지되는 캡(118)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갑피(104)는 접착 프로세스와 같은 부착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바깥창(102)에 고정된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출 성형 및 가황 중 하나 이상과 같이 갑피(104)를 바깥창(102)에 고정시키는 다른 프로세스가 사용될 수 있다.
용어 "방수" 및 "액체 불투과성"은 본 개시내용 전체에 걸쳐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액체 불투과성'은, 200 밀리바(2.901 psig)의 최대 압력을 갖는 물이 1분 동안 적용될 때, 안창을 포함하는 갑피(104)가 갑피(104)의 외부 상에 검출 가능한 액체의 존재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설되지 않는 것으로 정의된다.
예시적인 의미에서, 부티(106)의 '공기 투과성'은 미국 재료 시험 협회(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에 의해 ASTM D737-96으로 지정된 시험 방법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프레이져 공기 투과성 시험기, Textest FX 3300 공기 투과성 시험기, 또는 동등한 유형의 시험 장치에 의해 측정된다. 공기 투과성은 갑피(104)의 부티(106) 부분을 통해 1.27 센티미터 수주 압력에서 적어도 0.03 cm3/min/cm2(0.5 인치 수주 압력에서 0.05 ft3/min/ft2)의 공기 유동을 제공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부티(106)를 통해 1.27 센티미터 수주 압력에서 적어도 0.05 cm3/min/cm2(0.5 인치 수주 압력에서 0.1 ft3/min/ft2)의 공기 유동이 존재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티(106)를 통해 1.27 센티미터 수주 압력에서 적어도 0.15 cm3/min/cm2(0.5 인치 수주 압력에서 0.3 ft3/min/ft2)의 공기 유동이 존재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부티(106)를 통해 1.27 센티미터 수주 압력에서 적어도 0.51 cm3/min/cm2(0.5 인치 수주 압력에서 1.0 ft3/min/ft2)의 공기 유동이 존재한다.
도 2는 갑피(104)(도 1에 도시됨)의 구성에 사용될 수 있는 다층 적층형 시트(20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다층 적층형 시트(200)는 5개의 층을 포함한다. 다양한 다른 실시예에서, 아래에 개설된 층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른 수의 층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절한 통기성 및 방수 특성을 제공하는 3층 및 4층 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제1 층(210)은 제1 측면(211) 및 제2 측면(212)을 갖는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멤브레인 재료이다. 제2 층(220)은 방수인 패딩 재료이며, 패딩 재료를 천공함으로써 공기 투과성 및 수증기 투과성으로 제조되었다. 제2 층(220)은 제1 측면(221) 및 제2 측면(222)을 포함한다. 제2 층(220)은 제1 층(210)을 찌르거나 달리 물리적으로 손상시킬 수 있는 암석 및 다른 외부 요인과 같은 주변 환경으로부터 제1 층(210)을 보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제3 층(230)은 제1 측면(231) 및 제2 측면(232)을 갖는 공기 투과성 및 수증기 투과성 접합 재료이다. 게다가, 제3 층(230)은 방수일 수 있다. 제4 층(240)은 제1 측면(241) 및 제2 측면(242)을 갖는 공기 투과성 및 수증기 투과성 재료이다. 제4 층(240)은 착용자의 발 또는 양말에 의한 마모와 같은 내부 주변 환경으로부터 제1 층(210)을 보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4 층(240)은 방수일 수 있다. 제5 층(250)은 제1 측면(251) 및 제2 측면(252)을 갖는 공기 투과성 및 수증기 투과성 재료이다. 제5 층(250)은 갑피(104)(도 1에 도시됨)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게다가, 제5 층(250)은 방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층(210)은 미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한 재료의 예는, 미국 미주리주 캔자스 시티 소재의 BHA Technologies, Inc.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화학적으로 처리된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이하 ePTFE라고도 지칭됨) 멤브레인인 eVENT® 패브릭이다.
다층 적층형 시트(200)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재료는 VISI000001, TETRATEX®, SUPOR®, VERSAPOR®, PORELLE®, MILLIPORE®, ENTRANT®, FOLIO I™, ACE-SIL®, FLEX-SIL®, MICROPOR-SIL®, 및 CELLFORCE®로도 공지된 Gore-Tex™ XCR™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층(220)은 Nu-foam®으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폼과 같은 폐쇄 셀 폼을 포함한다. 다양한 대안 실시예에서, 제2 층(220)은 개방 셀 폼 또는 다른 패딩형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폐쇄 셀 폼은 방수이지만, 특정한 변형 없이 공기 불투과성 및 수증기 불투과성이기도하다. 따라서, 제2 층(220)이 공기 투과성 및 수증기 투과성인 것을 보장하기 위해, 재료는 다층 적층형 시트(200)로 적층되기 전에 천공된다. 제2 층(220)은 공기 투과성 및 수증기 투과성이 될 수 있지만 방수는 아니도록 복수의 구멍을 갖게 천공되지만, 다층 적층형 시트(200) 중 하나 이상, 및 적어도 제1 층(210)은 여전히 방수이고, 이에 따라 다층 적층형 시트(200)가 방수가 되는 것을 보장한다.
제3 층(230)은 제1 층(210)과 제2 층(220)의 접합을 용이하게 하는 접합 재료를 포함한다. 제3 층(230)은 흔히 제3 층(230)을 사용하지 않고서는 달리 신뢰할 수 없는 강한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층(230)은, 텍스타일 재료, 예를 들어 제한하지 않지만 스크림(scrim), 트리코 니트(tricot knit), 및 부직포를 포함한다.
제4 층(240)은 갑피(104)(도 1에 도시됨)의 내부 표면 또는 라이닝을 형성하고 착용자의 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야기되는 마모로부터 제1 층(210)을 보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4 층(240)은 착용자의 발로부터 주기적인 마모를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발에 대해 편안함의 수준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4 층(240)은, 제한하지 않지만, 직포, 부직포, 또는 편포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텍스타일 패브릭을 포함한다. 제4 층(240)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패브릭은 ECLIPSE 100H™(내마모성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 조합 패브릭), ECLIPSE 200S™(내마모성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 조합 패브릭) 및 ECLIPSE 400H™(경량, 나일론 패브릭)을 포함하는 경편 패브릭이 있으며, 이들 모두는 미국 매사추세츠주 세일럼 소재의 Tempo Shain Corporation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제5 층(250)은 갑피(104)(도 1에 도시됨)의 외부 표면 또는 쉘(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착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 신발(100)(도 1에 도시됨)의 외부로서 보인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5 층(250)에 사용되는 재료는, 제한하지 않지만, 직포, 부직포 및 편포를 포함한다.
단일 층 시트는 5개의 층을 포함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실시예이고, 다른 실시예는 라미네이트의 특성이 제공되는 한 더 많거나 더 적은 층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구성 동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전 완성 갑피(404)의 분해도이다. 중창, 바깥창(102)(도 1에 도시됨), 및 안창 밀봉 개스킷(460)의 임의의 조합을 부착하기 전에 갑피(404)가 예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발가락 스티칭 시임(422) 및 후방 조립체 스티칭 시임(440)은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도 2에 도시됨)의 원피스를 부티(406)로 형성한다.
도 5는 발가락 스티칭 시임(422) 및 후방 조립체 스티칭 시임(440)에 의해 부티(406)로 형성되기 전에 형상으로 절단되고 평탄하게 놓인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를 예시한다. 화살표(422A, 440A)는 발가락 스티칭 시임(422) 및 후방 조립체 스티칭 시임(440)이 부티(406)를 형성하기 위해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에 추가될 위치를 예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화살표(422A, 440A)는 또한 일반적으로 스티칭 시임(422, 440)으로 부티(406)를 형성하기 전에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의 발가락 및 뒤꿈치 단부를 예시한다. 이들 스티칭 시임(422, 440)은 안창(410)을 부착하기 전에 추가될 것이다.
보호 스트립(430, 432)은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의 발가락 단부(422A)와 뒤꿈치 단부(440A)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에지 부분(436, 438) 부근에서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의 외부 표면(434)이 되는 것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보호 스트립(430, 432)은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의 외부 표면(434)에 접착식으로 고정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된다. 보호 스트립(430, 432) 및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 모두에 대해 접착제가 고려된다. 대안적으로, 접착제는 보호 스트립(430, 432) 또는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스트립(430, 432)을 제자리에 고정시키기 위해 접착제가 도포된 후에 열과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추가의 방법이 보호 스트립(430, 432)을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에 고정시키도록 고주파 또는 무선 주파수 용접을 구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호 스트립(430, 432) 사이의 부착은 방수이다.
부티(406) 및 안창(410)은 안창 스티칭 시임(420)과 결합된다. 단일의 안창 스티칭 시임(420)이 예시되어 있지만, 안창 스티칭 시임은, 전방 안창 스티칭 시임 및 후방 안창 스티칭 시임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의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시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플랩이 임의의 안창 스티칭 시임의 시작과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안창 스티칭 시임의 수 및 플랩의 포함은 사용되는 스티칭의 유형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스티칭 시임(420, 422, 440, 450)은, 제한하지 않지만, 스트랜드 또는 코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광범위한 실 유형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스펀 섬유(spun fiber), 코어 필라멘트를 둘러싸는 스펀 섬유, 결합 섬유 및 액체 불투과성 코팅으로 코팅될 수 있는 모노필라멘트형 재료를 포함한다. 스티칭 시임(420, 422, 440, 450)은 또한, 제한하지 않지만, 스트로벨 스티칭 및 지그재그를 포함하는 임의의 광범위한 스티칭 패턴을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전자 다이 밀봉 방법 뿐만 아니라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시임(420, 422, 440, 450)의 위치 및 수는 생산되는 신발류 물품의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티칭 시임(420)은 스트로벨 스티칭 방법을 사용한다. 보호 스트립(430, 432)은 스트로벨 스티칭 프로세스 동안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호 스트립(430, 432)은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가 스트로벨 스티칭 재봉기의 톱니형 휠에 의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의 과도한 압축을 방지하여,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의 민감한 층의 바람직하지 않은 소성 변형을 방지한다.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의 층의 그러한 변형은, 특히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가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일 때, 반복적인 굽힘에 노출되는 경우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에서 기능 상실을 유발하여 부티(406)를 통해 부티(406)의 방수 특성을 파괴하는 누출 경로를 생성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도 6은 스트로벨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안창 스티칭 시임(420)의 형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6에서, 안창(410)은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가 안창(410)과 보호 스트립(430) 사이에 샌드위치된 상태로 부티(406)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단일의 보호 스트립(430)만이 예시되어 있지만, 다른 보호 스트립(432)과 관련하여 유사한 배향이 존재할 것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따라서, 설명은 보호 스트립(430)에만 중점을 둘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의 외부 표면(434)은 외측을 향하여 안창(410)의 외부 표면(442)의 반대쪽에 있다. 이와 같이,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의 내부 표면(446)은 안창(410)의 내부 표면(448)을 향하여 맞닿게 위치 설정된다.
도 6은 다양한 재료를 서로 인접하여 작동 가능하게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안창 스티칭 시임(420)(도 6에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때 닙(500)을 통해 샌드위치된 재료를 구동시키는 대향된 톱니형 휠(502, 504) 사이에 형성된 닙(500)을 통과하는 안창(410),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 및 보호 스트립(430)을 예시한다. 니들(506)은 재료 샌드위치의 보호 스트립(430) 측에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대안적으로 재료 샌드위치의 안창(410) 측에 있을 수 있다.
안창(410) 및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의 에지 부분(463 및 436)은 각각 스티칭 프로세스 동안 정렬된다. 그러나, 안창 스티칭 시임(420)에 개선된 마무리를 제공하기 위해, 보호 스트립(430, 432)(도 6에는 430만 도시됨)은 에지 부분(463, 436)으로부터 거리(D1)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 간격은 과도하게 부피가 큰 시임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안창(410)의 만곡된 형태로 인해 갑피(404)의 발가락과 뒤꿈치에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니들 및 결과적인 스티치는 안창(410),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 및 보호 스트립(430 또는 432)을 포함하는 샌드위치의 3개 구성요소 모두를 통과한다. 그러나, 모든 스티치의 적어도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는 모두 3개의 안창(410),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 및 보호 스트립(430 또는 432)을 통과하는 반면, 일부 스티치는 안창(410) 및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만을 통과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보호 스트립(430 및 432)은 대응하는 에지 부분(436, 438)으로부터 약 3 내지 7 mm, 바람직하게는 약 5 mm의 거리(D1)를 두고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의 외부 표면에 적용된다. 따라서, 이 위치설정은 에지 부분(436, 438)과 대응하는 보호 스트립(430, 432) 사이의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의 외부 표면(434)의 부분을 노출된 상태로 남긴다.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의 외부 표면(434)에 대한 스티칭 및 접착 동안 적절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보호 스트립(430, 432)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mm의 폭(W1)을 갖는다.
니들(506)은 바람직하게는 3개의 구성요소를 모두 관통하도록 에지 부분(463, 436)으로부터 약 7 mm에서 안창(410),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 및 보호 스트립(430)의 샌드위치를 관통한다.
도 4로 되돌아가면, 스티칭 시임(422, 440, 450)은 스티칭 시임(422, 440, 450) 위에 각각 위치 설정된 시임 테이프(424, 444 및 454)로 밀봉될 수 있다. 시임 테이프(424, 444, 454)의 일부 용례에서, 열은 고온 공기의 적용을 통해 인가되고, 닙 롤을 통한 압력은 시임 테이프(424, 444 및 454)의 상단에 인가된다. 고온 공기로부터의 열은 신발류 물품의 예비 완성 갑피(300)에서 발견되는 임의의 원하는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시임 테이프(424, 444 및 454)의 접착제를 연화시키도록 미리 선택된다. 열의 인가는 바람직하게는 대부분의 용례에서 약 섭씨 150도(화씨 302도) 내지 약 섭씨 250도(화씨 482도) 범위이다. 그러나, 온도는 섭씨 750도에 달하거나 초과할 수 있다. 바람직한 압력의 인가는 약 3 킬로그램/제곱 센티미터(42.67 파운드/제곱 인치) 게이지 내지 약 5 킬로그램/제곱 센티미터(71.12 파운드/제곱 인치) 게이지이다. 그러나, 인가된 온도 및 압력은 갑피(404)에 사용되는 재료의 유형, 시임(420, 422, 440 및 450)을 생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실, 접착제 및 시임 테이프(424, 444, 454)에 이용되는 재료의 유형에 따라 좌우된다. 그러한 프로세스에 의해, 시임(422, 440, 450)을 갖는 갑피(404) 및 안창(410)의 나머지의 액체 불투과성 품질과 대략 동등한 적어도 실질적으로 액체 불투과성 품질을 시임(422, 440, 450)에 제공하고,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피복되고 밀봉되는 고체 구조 용접부가 형성된다.
스트로벨 스티칭 방법의 이점은, 시임(420)이 갑피(404)의 외부 표면(예를 들어, 부티(406) 및 안창(410)이 외측 바깥쪽 배향(outside out orientation)인 상태에서)으로부터 형성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시임(422, 440, 450)이 형성될 수 있고, 결과적인 시임(422, 440, 450) 및 대응하는 시임 테이프(424, 444, 454)가 통상적으로 신발류 물품이 완성될 때 갑피(404)의 내부면에 모두 위치되더라도 시임 테이프(424, 444, 및 454)는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와 함께 적용되어 내측 바깥쪽 방식(inside out manner)으로 부티(406)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이들 시임(422, 440 및 450) 및 대응하는 시임 테이프(424, 444 및 454)가 도 4에 점선으로 예시되어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안창(410)이 부티(406)에 스티칭된 후에, 제1 측면(462) 및 제2 측면(464)을 갖는 안창 밀봉 개스킷(460)이 안창(410) 및 부티(406)에 적용된다. 안창 밀봉 개스킷(460)의 제1 측면(462) 뿐만 아니라 안창 스티칭 시임(420), 안창(410) 및 보호 스트립(430, 432)의 적어도 노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갑피(404)의 베이스에 접합제, 예를 들어 접착제가 도포된다. 이어서, 안창 밀봉 개스킷(460)의 제1 측면(46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열 및 압력의 인가를 통해 베이스에 부착되어, 안창 스티칭 시임(420), 안창(410) 및 보호 스트립(430, 432)의 적어도 노출된 부분을 덮는다. 밀봉 개스킷(460)은 안창(410) 및 안창 스티칭 시임(420)을 위한 밀봉제로서 작용한다. 그러한 프로세스에 의해, 시임(422, 440, 440)의 액체 불투과성 품질과 동등한 적어도 실질적으로 액체 불투과성 품질을 안창 스티칭 시임(420)에 제공하고 시임 테이프(424, 444, 454)를 갖는 고체 구조 용접부가 형성된다.
보호 스트립(430, 432)의 포함은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호 스트립(430, 432)은 밀봉 개스킷(460)과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 사이에 강력하고 적절한 방수 연결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보호 스트립(430, 432)은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의 멤브레인 층(들)과 개스킷(460) 사이에 브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스트립(430, 432)은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의 면 재료를 통해 멤브레인(들)에 접합된다. 이어서, 개스킷(460)이 보호 스트립의 외부 표면에 적용되고 전체 시일이 이루어진다.
다양한 대안 실시예에서, 안창(410)은 수증기 및 공기 모두에 대해 불투과성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액체 불투과성은, 200 mbar(0.5 psig)의 최대 압력을 갖는 물이 1분 동안 적용될 때, 안창(410) 외부 상에 검출 가능한 액체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설되지 않는 안창(410)으로 정의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안창(410)의 공기 투과성의 부재는, 예를 들어 미국 재료 시험 협회에 의해 ASTM D737-96으로 지정된 시험 방법에 의해 정의된다. 공기 투과성은 안창(410)을 통해 1.27 센티미터 수주 압력에서 0.03 cm3/min/cm2(0.5 인치 수주 압력에서 0.05 ft3/min/ft2) 미만의 공기 유동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게다가, 대안 실시예에서, 안창(410)은 수증기 투과에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이다. 안창(410)의 액체 증기 투과성 또는 수증기 투과율은 일본 표준 협회에 의해 JIS L 1099:1993 B2로 지정된 시험 방법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이는 안창(410)을 통해 24시간 주기로 500 그램/제곱 미터(14.85 온스/제곱 야드) 미만의 수증기를 제공한다.
게다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안창(410)은 실질적으로 비탄성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비탄성"은 응력-변형 시험을 받을 때 항복점으로부터 10% 초과 편향될 때 100% 미만의 회복을 제공하는 재료로 정의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안창(410)은, 제한되지 않지만, 비탄성 및 열가소성 재료,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비탄성 폴리우레탄, 나일론, 및 비닐과 같은 시트 제품을 포함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안창(410)은 섬유 보강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안창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레이온, 및 면으로 제조된 섬유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대안 실시예에서, 안창(410)은 반응성 폴리우레탄, 에폭시, 스티렌, 부타디엔, 아크릴(들) 및, 가황 고무와 같은 모든 비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안창(410)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재료는 BONTEX®, UPACO™, SOVERE™, MOREL™, ALCANTARA®, VITA™, RHENOFLEX®, 및 FOOTLEVERS®이 있다.
대안 실시예에서, 안창(410)은 습기 투과성이다. 습기 투과성 안창(410)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재료는 PORELLE®, PORON®, 및 TEXON®이 있다.
밀봉 개스킷(460)이 부착된 후, 바깥창(102)은 갑피(404)에 부착된다. 바깥창(102)은 밀봉 개스킷(460)을 덮을 것이다. 스티칭 시임(422 및 440)을 덮기 위해, 통상적으로 갑피와 바깥창(102) 사이에 발가락 및 뒤꿈치 캡이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부티(406)의 내부 표면을 보호하고 특히 사용자의 발 또는 양말이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의 내부 층에 직접 착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라이너가 부티(406)에 부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외골격(116)과 같은 외골격이 추가되면, 이는 부티(406)를 형성하기 전에, 예를 들어 스티칭 시임(422 및 440)을 형성하기 전에 부티(406)의 외부 표면에 적용될 것이다. 또한, 외골격의 일부는 외골격에 의해 제공되는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완전히 조립될 때 갑피(404)와 바깥창(102) 사이에 외골격이 위치되도록 부티(406)의 바닥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원하는 통기성을 제공하기 위해, 통기성 특성을 제공하는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로부터 형성된 부티(406)는 일반적으로 결과적인 신발류 물품을 착용할 때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갑피의 표면적의 큰 비율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부티(406)/갑피(404)의 외부 표면, 특히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에 적용되는 임의의 외골격(116) 또는 다른 재료, 예를 들어 로고 등을 위한 디자인 재료는 신발류 물품이 완전히 조립될 때 부티(406)의 외부 표면을 가능한 한 적게 덮는다. 이는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추가된 재료가 부티(406) 및 궁극적으로 신발류 물품의 통기성을 억제하는 것을 방지한다. 부티(406)의 많은 표면적이 외부 주변 환경에 직접 노출되는 것, 즉 외부 주변 환경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신발류 물품이 완전히 조립될 때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의 외부 표면의 최소한 10%가 주변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15%가 외부 주변 환경에 노출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가 외부 주변 환경에 노출된다. 이 백분율은 바깥창(102)의 부착 전에 부티(402)의 총 표면적으로부터 측정된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간행물, 특허 출원, 및 특허를 포함한 모든 참고 문헌은 각각의 참고 문헌이 개별적으로 그리고 구체적으로 참조로 포함되도록 제시되고 본 명세서에 그 전체가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맥락에서(특히, 다음의 청구범위의 맥락에서) 단수 표현들의 사용은 달리 언급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구비하는", "갖는", "포함하는", 및 "함유하는"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개방 단부형 용어로 해석되어야 한다(즉,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을 의미함). 본 명세서에서 값의 범위의 언급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범위 내에 속하는 각각의 개별 값을 개별적으로 지칭하는 약칭 방법의 역할을 하도록 의도되며, 각각의 개별 값은 본 명세서에 개별적으로 기재된 것처럼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든 방법은 본 명세서에 달리 언급되지 않거나 문맥상 달리 명백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임의의 및 모든 예, 또는 예시적인 언어(예를 들어, "~와 같은")의 사용은 단지 본 발명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달리 청구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을 제기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어떤 언어도 본 발명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으로 주장되지 않은 임의의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자에게 공지된 최상의 모드를 비롯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다. 이들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은 전술한 설명을 읽으면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해질 수 있다. 본 발명자는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그러한 변형을 적절히 채용할 것을 기대하며,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 실시되는 것을 의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한 법률에 의해 허용되는 바와 같이 여기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주제의 모든 수정 및 등가물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달리 언급되거나 문맥상 달리 명백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모든 가능한 변형에서 상기 설명된 요소의 임의의 조합이 본 발명에 의해 포함된다.

Claims (21)

  1. 신발류 물품이며,
    바깥창; 및
    상기 바깥창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된 갑피를 포함하고, 갑피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둘러싸며, 상기 갑피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며, 외주 에지 부분을 갖는 충전 패널;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의 상단 위로 연장되고 충전 패널에 부착되는 부티로서, 부티 및 충전 패널은 결합되어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공동을 형성하며, 부티는 함께 적층된 복수의 재료 층으로 형성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에 의해 제공되고,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향하는 내부 표면 및 내부 표면의 반대쪽을 향하는 외부 표면을 갖고,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는 부티의 발가락 단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의 거리의 대부분을 적어도 1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을 형성하는, 부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 부근에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는 보호 스트립; 및
    상기 충전 패널의 외주 에지 부분 부근에서 부티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을 고정시키는 실 유형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스티칭 시임을 포함하고, 상기 실 유형 재료는 상기 보호 스트립 및 충전 패널을 통해 연장되어 스티칭 시임을 형성하는, 신발류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스트립은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외부 표면에 고정되는 내부 표면, 및 내부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대향 외부 표면을 갖고, 보호 스트립의 외부 표면은 스티칭 시임을 형성할 때 재봉기에 대해 맞물림 표면을 제공하는, 신발류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칭 시임은 스트로벨 스티치로 형성되는, 신발류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스트립은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에지 부분으로부터 적어도 3 mm 그리고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에지 부분으로부터 10 mm 이하만큼 이격되는, 신발류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15%가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는, 신발류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패널의 외부 표면에 고정되고 충전 패널과 바깥창 사이에 개재되는 방수 개스킷; 및
    상기 방수 개스킷을 충전 패널에 고정시키는 접착제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개스킷은 상기 스티칭 시임을 전체적으로 덮고,
    상기 접착제는 방수 개스킷과 보호 스트립 사이에 위치되는, 신발류 물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스트립은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외부 표면에 접착식으로 고정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인, 신발류 물품.
  9.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이며,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둘러싸는 갑피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갑피를 바깥창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갑피를 형성하는 단계는,
    충전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함께 적층된 복수의 재료 층으로 형성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로부터 형성된 부티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향하는 내부 표면 및 사용 중에 내부 표면의 반대쪽을 향하는 외부 표면을 갖고,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는 부티의 발가락 단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의 거리의 대부분을 적어도 1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보호 스트립을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 부근에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외부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
    실 유형 재료에 의해 형성된 스티칭 시임으로 충전 패널의 외주 에지 부분 부근에서 부티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실 유형 재료는 보호 스트립 및 충전 패널을 통해 연장되어 스티칭 시임을 형성하며, 상기 충전 패널 및 부티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공동을 형성하고 충전 패널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며, 부티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의 상단 위로 연장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스트립은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외부 표면에 고정되는 내부 표면, 및 내부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대향 외부 표면을 갖고,
    상기 스티칭 시임은 재봉기를 사용하여 형성되며, 고정 단계는 스티칭 시임을 형성할 때 보호 스트립의 외부 표면을 재봉기와 맞물리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칭 시임은 스트로벨 스티칭되고, 재봉기는 충전 패널,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 및 보호 스트립을 재봉기를 통해 구동하는 톱니형 휠을 포함하며, 톱니형 휠은 보호 스트립의 외부 표면과 맞물리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재봉기를 통해 충전 패널, 보호 스트립 및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를 구동시키는 단계는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를 재봉기와 직접 맞물리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스트립을 부착하는 단계는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에지 부분으로부터 적어도 3 mm 그리고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에지 부분으로부터 10 mm 이하만큼 이격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15%는 갑피가 바깥창에 고정된 후에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는,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방수 개스킷이 충전 패널과 바깥창 사이에 개재되도록 접착제로 방수 개스킷을 충전 패널의 외부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개스킷은 상기 스티칭 시임을 전체적으로 덮고,
    상기 접착제는 방수 개스킷과 보호 스트립 사이에 위치되는, 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보호 스트립은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외부 표면에 접착식으로 고정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인, 방법.
  18. 신발류 물품이며,
    바깥창; 및
    상기 바깥창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갑피를 포함하고, 갑피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둘러싸며, 상기 갑피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며, 외주 에지 부분을 갖는 충전 패널;
    착용자의 발의 상단 위로 연장되고 충전 패널에 부착되는 부티로서, 부티 및 충전 패널은 결합되어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공동을 형성하며, 부티는 함께 적층된 복수의 재료 층으로 형성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에 의해 제공되고,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향하는 내부 표면 및 내부 표면의 반대쪽을 향하는 외부 표면을 갖고,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는 부티의 발가락 단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의 거리의 대부분을 적어도 1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을 형성하는, 부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 부근에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는 보호 스트립;
    상기 충전 패널의 외주 에지 부분 부근에서 부티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을 고정시키는 실 유형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스티칭 시임; 및
    상기 충전 패널 및 스티칭 시임 위에 접착제에 의해 밀봉식으로 고정되는 방수 개스킷을 포함하고,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는 방수 개스킷과 보호 스트립 사이에 위치되고, 방수 개스킷은 충전 패널과 바깥창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신발류 물품.
  19. 제18항에 있어서, 보호 스트립은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외부 표면에 접착식으로 고정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인, 신발류 물품.
  20.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이며,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둘러싸는 갑피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갑피를 형성하는 단계는,
    충전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함께 적층된 복수의 재료 층으로 형성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로부터 형성된 부티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향하는 내부 표면 및 사용 중에 내부 표면의 반대쪽을 향하는 외부 표면을 갖고,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는 부티의 발가락 단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의 거리의 대부분을 적어도 1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보호 스트립을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 부근에서 단일의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시트의 외부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
    실 유형 재료에 의해 형성된 스티칭 시임으로 충전 패널의 외주 에지 부분 부근에서 부티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부분을 고정하는 단계로서, 충전 패널 및 부티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공동을 형성하고 충전 패널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발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단계;
    충전 패널의 외부 표면에 그리고 스티칭 시임 위에 접착제로 방수 개스킷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개스킷은 충전 패널과 바깥창 사이에 개재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개스킷을 부착하는 단계는 스티칭 시임을 전체적으로 덮고,
    접착제는 방수 개스킷과 보호 스트립 사이에 위치되며,
    접착제 및 방수 개스킷은 스티칭 시임을 통한 투수성을 방지하는, 방법.
KR1020197035380A 2017-05-04 2018-05-02 신발류 물품 및 스트로벨 스티칭을 이용한 방법 KR201901386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01214P 2017-05-04 2017-05-04
US62/501,214 2017-05-04
US15/968,455 2018-05-01
US15/968,455 US20180317605A1 (en) 2017-05-04 2018-05-01 Footwear item and methods using strobel stitching
PCT/US2018/030650 WO2018204496A1 (en) 2017-05-04 2018-05-02 Footwear item and methods using strobel stitch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697A true KR20190138697A (ko) 2019-12-13

Family

ID=6401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380A KR20190138697A (ko) 2017-05-04 2018-05-02 신발류 물품 및 스트로벨 스티칭을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317605A1 (ko)
EP (1) EP3618660A4 (ko)
KR (1) KR20190138697A (ko)
CN (1) CN110799057A (ko)
WO (1) WO20182044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713A (ko) 2021-06-21 2022-12-28 (주)유영산업 스티치 조절 기법을 이용한 신발갑피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5140S1 (en) * 2018-07-20 2022-03-08 Nike, Inc. Shoe
US11185127B2 (en) 2019-08-20 2021-11-30 Puma SE Article of footwear
USD920640S1 (en) 2019-12-10 2021-06-01 Puma SE Article of footwea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9086A (en) * 1958-12-02 1960-08-16 Lees & Sons Co James Method of sewing binding tape to pile fabric
DE4114920C1 (ko) * 1991-05-07 1992-11-05 J. Strobel & Soehne - Gmbh & Co, 8000 Muenchen, De
IT1317368B1 (it) * 2000-10-10 2003-06-16 Nottington Holding Bv Struttura di calzatura impermeabile con suola o intersuola stampatasulla tomaia.
US6446360B1 (en) * 2001-04-09 2002-09-10 Rocky Shoes & Boots, Inc. Waterproof footwear li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ITMI20020626A1 (it) * 2002-03-26 2003-09-26 Nextec Srl Calzatura impermeabile e procedimento per la sua fabbricazione
US8065818B2 (en) * 2005-06-20 2011-11-2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a matrix layer
EP1743536B1 (de) * 2005-07-13 2016-10-19 Sympatex Technologie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dichter Nähte
KR101173965B1 (ko) * 2006-03-03 2012-08-16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복합체 슈즈 밑창, 이로 구성된 신발, 및 이의 제조 방법
DE102008027856A1 (de) * 2008-06-11 2009-12-24 W. L. Gore & Associates Gmbh Schuh mit Belüftung im unteren Schaftbereich und dafür verwendbares luftdurchlässiges Abstandsgebilde
US20100011619A1 (en) * 2008-07-16 2010-01-21 Peter Bastianelli Method and apparatus for one piece footwear construction
US8479414B2 (en) * 2010-03-01 2013-07-09 Nike, Inc. Footwear insole
US8578632B2 (en) * 2010-07-19 2013-11-12 Nike, Inc. Decoupled foot stabilizer system
US20130055598A1 (en) * 2011-09-02 2013-03-07 Robert J. Wiener Direct Attach Waterproof Footwear
FR2995766A1 (fr) * 2012-09-25 2014-03-28 Salomon Sas Chaussure a etancheite amelioree
CN105120699B (zh) * 2013-03-15 2017-03-08 W.L.戈尔有限公司 带有空气可透层与在鞋帮结构的下部周界区域中的空气可透部的鞋类
DE202016106142U1 (de) * 2016-11-02 2016-11-15 W.L. Gore & Associates, Inc. Atmungsaktiver Schu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713A (ko) 2021-06-21 2022-12-28 (주)유영산업 스티치 조절 기법을 이용한 신발갑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99057A (zh) 2020-02-14
WO2018204496A1 (en) 2018-11-08
EP3618660A1 (en) 2020-03-11
EP3618660A4 (en) 2021-01-06
US20180317605A1 (en)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116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ne piece footwear construction
US7055267B2 (en) Waterproof footwear construction
KR20190138697A (ko) 신발류 물품 및 스트로벨 스티칭을 이용한 방법
US7043788B2 (en) Waterproof footwear li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RU2598577C2 (ru) Водонепроницаемая обувь (варианты), мягкая вставка для обуви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одонепроницаемой обуви
US20030200679A1 (en) Shoe construction utilizing a bootie with an impervious sole and method of production
EP2298100B1 (en) Vapor-permeable shoe
CN108135310B (zh) 含有无缝可延伸膜的内靴和鞋类组件及其方法
US20130232825A1 (en) Stretchable Insole
TWI549619B (zh) 具有防水及可透氣之鞋底及鞋幫的鞋
US20040139629A1 (en) Waterproof footwear
US201802959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ne piece footwear construction
TWI706740B (zh) 防水透氣鞋
TW201228603A (en) Waterproof and vapor-permeable shoe, provided predominantly by means of the working method known as ''ago lasting''
EP3614872B1 (en) Shoe with upper at least partially rendered impermeable
CN118078013A (zh) 具有至少部分地不可渗透的鞋面的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