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634A - 척 기구 - Google Patents

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634A
KR20190138634A KR1020197027611A KR20197027611A KR20190138634A KR 20190138634 A KR20190138634 A KR 20190138634A KR 1020197027611 A KR1020197027611 A KR 1020197027611A KR 20197027611 A KR20197027611 A KR 20197027611A KR 20190138634 A KR20190138634 A KR 20190138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in
jaw
movable
m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1360B1 (ko
Inventor
토모나리 히로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기타가와 뎃꼬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기타가와 뎃꼬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기타가와 뎃꼬쇼
Publication of KR20190138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16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moving radially
    • B23B31/1627Details of the jaws
    • B23B31/16279Fixation on the master ja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16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moving radially
    • B23B31/16045Jaws movement actuated by screws and nuts or oblique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16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moving radially
    • B23B31/1627Details of the jaws
    • B23B31/16275Form of th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16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moving radially
    • B23B31/16295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moving radially with means preventing the ejection of the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마스터 조오(11) 및 탑 조오(12)는 서로 계합하는 볼록부(11A) 및 오목부(12A)가 형성되고, 마스터 조오 내에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핀(20)과, 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샤프트(30)가 배치되고, 가동 핀은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샤프트에 계합되어 있고, 탑 조오에는 가동 핀을 삽입 가능한 핀 구멍(12c)이 설치되며, 샤프트의 소정량의 회전에 의해, 가동 핀이 핀 구멍에 삽입된 제1의 위치 또는 핀 구멍으로부터 이탈한 제2의 위치에 각각 락킹된다.

Description

척 기구
본 발명은, 공작물(워크, work)을 파지(把持)하는 척(chuck) 기구에 관한 것이다.
워크를 파지하는 척 기구는 척 본체의 전면에 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마스터 조오(master jaw)와, 각 마스터 조오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탑 조오(top jaw)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탑 조오의 착탈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는 척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척 기구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척 본체(100)의 전면에 설치된 마스터 조오(110) 및 탑 조오(120)에, 각각 서로 계합(契合)하는 볼록부(110A) 및 오목부(120A)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10A) 및 오목부(120A)는 원추체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측면(원추면)을 갖고 있고 탑 조오(120)를 원추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탑 조오(120)의 착탈이 실시된다.
그런데, 볼록부(110A)의 원추면과, 오목부(120A)의 원추면은 탑 조오(120)가 회전할 수 있을만큼의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탑 조오(120)를 마스터 조오(110)에 장착한 후, 워크를 파지하지 않는 상태에서 척 기구를 회전시켰을 때, 탑 조오(120)가 마스터 조오(110)로부터 이탈하여 비산하는 우려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척 기구에는 탑 조오(120)가 마스터 조오(11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계지(係止)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터 조오(110)의 축방향 외측으로부터 형성된 구멍(110B)에 삽입된 위치결정 핀(130)을 탑 조오(120)에 형성된 구멍(120B)에 감합(嵌合)시킴으로써, 탑 조오(120)가 마스터 조오(11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때, 위치결정 핀(130)은 구멍(110B)에 배설된 스프링(140)에 의해 축방향 전방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구멍(120B)에 감합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터 조오(110)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형성된 구멍(110C)에 노치(notch) 핀(150)이 삽입되고, 위치결정 핀(130)에 노치 핀(150)과 계합하는 경사홈(130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노치 핀(150)을 밀어넣음으로써, 위치결정 핀(130)이 구멍(120B)으로부터 이탈함에 따라, 회전이 자유로워진 탑 조오(120)를 마스터 조오(110)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평 1-306106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척 기구에 있어서, 탑 조오(120)의 회전을 방지하는 위치결정 핀(130)은 스프링(140)에 의해 항상 탑 조오(120) 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탑 조오(120)를 떼어낼 때, 혹은 장착할 때, 위치결정 핀(130)이 구멍(120B)으로부터 이탈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노치 핀(150)을 계속하여 누를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탑 조오(120)의 교환을 자동으로 실시할 경우, 노치 핀(150)을 계속하여 누르는 역할의 장치(로봇)와, 탑 조오(120)를 교환하는 역할의 장치(로봇), 2대의 장치(로봇)가 필요한다. 그 때문에, 자동화를 도입할 때의 코스트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탑 조오(120)의 교환을 수동으로 실시할 경우, 노치 핀(150)을 계속하여 누르는 작업과, 탑 조오(120)를 교환하는 작업을 동시에 실시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작업성이나 안전성의 면에서 문제가 있다. 그리고, 노치 핀(150)의 압입량으로부터, 위치결정 핀(130)이 구멍(120B)으로부터 이탈한 상태인지 아닌지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감안하여 실시된 것으로서, 그 주요한 목적은 마스터 조오 및 탑 조오에 서로 계합하는 볼록부 및 오목부가 형성되고 탑 조오의 착탈이, 마스터 조오 또는 탑 조오를 볼록부 및 오목부의 원추면에 따라 상대적으로 회동함으로써 실시되는 척 기구로서, 탑 조오의 교환을 쉽게 하는 척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척 기구는, 척 본체와, 척 본체의 전면에 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마스터 조오와, 각 마스터 조오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탑 조오를 구비하고 있다. 마스터 조오 및 탑 조오는, 각각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부위에 원추체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측면을 갖고, 서로 계합하는 볼록부 및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마스터 조오 내에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핀과, 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샤프트가 배치되며, 가동 핀은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샤프트에 계합되어 있다. 탑 조오에는 가동 핀이 삽입 가능한 핀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샤프트의 소정량의 회전에 의해 가동 핀이 핀 구멍에 삽입된 제 1의 위치, 또는 핀 구멍으로부터 이탈한 제 2의 위치에 각각 락킹(lock)되는 락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터 조오 및 탑 조오에 서로 계합하는 볼록부 및 오목부가 형성되고, 탑 조오의 착탈이, 마스터 조오 또는 탑 조오를 볼록부 및 오목부의 원추면에 따라 상대적으로 회동함으로써 실시되는 척 기구로서, 탑 조오의 교환을 용이하게한 척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척 기구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척 기구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척 기구에 있어서, 마스터 조오 및 탑 조오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샤프트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락킹 핀(locking pin)이 제1의 홈에 계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가동 핀이 핀 구멍으로부터 이탈한 상태로 락킹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샤프트 및 샤프트 커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마스터 조오 및 탑 조오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중 (a)는 샤프트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b)는 락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척 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척 기구에 있어서의 탑 조오의 계지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척 기구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단면도이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명에서는, 척 본체의 회전축(J)에 평행하는 방향 X를 "축방향"으로 하고 회전축(J)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방향(Y)을 "지름 방향"으로 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척 기구(1)는 척 본체(10)와, 척 본체(10)의 전면에 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마스터 조오(11)와, 각 마스터 조오(11)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탑 조오(12)를 구비하고 있다. 탑 조오(12)의 중앙측의 단면에는 워크를 파지하는 파지면(12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척 본체(10)는 복수의 볼트(10a)에 의해 공작 기계(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어 있고 회전축(J)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척 본체(10)의 내부에는, 드로우 너트(Draw nut)(70)가 축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드로우 너트(70)에는 플런저(80)를 통해 웨지 플런저(Wedge plunger)(90)가 계합하고 있다. 웨지 플런저(90)에는, 축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는 쐐기부(90A)가 형성되고, 마스터 조오(11)의 내부에는, 쐐기부(90A)와 감합하는 경사홈(11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드로우 너트(70)의 축방향 이동에 따라 웨지 플런저(90)가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마스터 조오(11)의 지름 방향의 이동이 제어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마스터 조오(11) 및 탑 조오(12)는 각각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부위에 서로 계합하는 볼록부(11A) 및 오목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1A) 및 오목부(12A)는 원추체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측면(원추면)(11a, 12a)을 갖고 있고, 탑 조오(12)를 원추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탑 조오(12)의 착탈을 실시할 수 있다.
볼록부(11A)의 원추면(11a)과 오목부(12A)의 원추면(12a)의 사이에는 탑 조오(12)를 회전할 수 있을만큼의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탑 조오(12)를 마스터 조오(11)에 장착한 후, 워크를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척 기구(1)를 회전시켰을 때, 탑 조오(12)가 마스터 조오(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척 기구(1)에는 탑 조오(12)가 마스터 조오(11)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계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척 기구(1)에 있어서, 마스터 조오(11) 및 탑 조오(12)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터 조오(11) 내에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핀(20)과, 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샤프트(3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탑 조오(12)에는 가동 핀(20)을 삽입 가능한 핀 구멍(12c)이 설치되어 있다.
샤프트(30)의 외주(外周)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름 방향(샤프트(30)의 축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돌조부(突條部)(30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가동 핀(20)의 외주에는 이 돌조부(30A)와 계합하는 홈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가동 핀(20)은 샤프트(30)의 회전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샤프트(30)에 계합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핀(20)은 샤프트(30)의 회전 동작에 의해 핀 구멍(12c)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30)의 외주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30)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락킹 핀(30B)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마스터 조오(11) 내에는, 샤프트(30)의 외주를 둘러싸는 샤프트 커버(40)가 배치되어 있고, 샤프트 커버(40)의 외주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동일 원주상에 놓이지 않는 위치(지름 방향으로 엇갈린 위치)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제 1의 홈(40A)과 제 2의 홈(40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핀(20)은 샤프트(30)를 소정량 회전함으로써, 락킹 핀(30B)을 제 1의 홈(40A) 또는 제 2의 홈(40B)에 계합하고, 그 결과, 가동 핀(20)은 핀 구멍(12c)에 삽입된 제 1의 위치 또는 핀 구멍(12c)로부터 이탈한 제 2의 위치에 락킹된다.
한편, 샤프트 커버(40)는 마스터 조오(11)의 지름 방향 외측 단부에 있어서, 볼트(42) 등으로 마스터 조오(11)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샤프트(30)는 스프링(50)에 의해, 지름 방향 외측(샤프트(30)의 축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핀(20)은 샤프트(30)를 스프링(50)에 의한 탄성력에 저항하여 지름 방향 내측으로 압입하면서, 소정량 회전시킴으로써, 제 1의 위치(제 1의 홈(40A)) 또는 제 2의 위치(제 2의 홈(40B))에 락킹된다.
따라서, 탑 조오(12)는 볼록부(11A) 및 오목부(12A)가 서로 계합된 상태에서, 가동 핀(20)을 제 1의 위치에서 핀 구멍(12c)에 삽입된 상태로 락킹함으로써, 마스터 조오(11)에 대한 회전 이동을 제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탑 조오(12)를 마스터 조오(11)에 장착한 후, 워크를 파지하지 않는 상태에서 척 기구를 회전시켰을 때, 탑 조오(12)가 마스터 조오(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락킹 핀(30B)이 제 1의 홈(40A)에 계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여기에서, 제 1의 홈(40A) 및 제 2의 홈(40B)의 지름 방향으로 벗어난 거리를 D로 하면, 샤프트(30)의 단부(30C)가, 마스터 조오(11)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은 락킹 핀(30B)이 계합하는 제 1의 홈(40A)과 제 2의 홈(40B)에서 거리 D만큼 다르다. 따라서, 가동 핀(20)의 2개의 위치(핀 구멍(12c)에 삽입된 제 1의 위치, 핀 구멍(12c)으로부터 이탈한 제 2의 위치)를, 샤프트 단부(30C)의 돌출량의 변화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돌출량이 2단계로 변화하기 때문에 돌출량의 변화를 센서 등으로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위에서 나타낸 도 3은 락킹 핀(30B)이 제 1의 홈(40A)에 계합됨으로써 가동 핀(20)이 핀 구멍(12c)에 삽입된 상태로 락킹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도 6은 락킹 핀(30B)이 제 2의 홈(40B)에 계합됨으로써, 가동 핀(20)이 핀 구멍(12c)로부터 이탈한 상태로 락킹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락 기구는 락킹 핀(30B)이 제 1의 홈(40A) 또는 제 2의 홈(40B)에 계합된 상태에서, 항상 스프링(50)에 의해, 지름 방향 외측으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샤프트(30)를 압입하여 회전시키지 않는 한, 어느 하나의 락킹 상태가 유지된다. 때문에, 락킹 핀(30B)을 제 2의 홈(40B)에 계합시킴으로써, 가동 핀(20)이 핀 구멍(12c)으로부터 이탈한 상태를 유지한 채, 탑 조오(12)를 떼어내거나 혹은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30)를 계속하여 누르지 않고 탑 조오(12)의 교환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1대의 장치(로봇)로, 탑 조오(12)의 교환을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탑 조오(12)의 교환을 수동으로 실시할 경우에도, 샤프트(30)를 계속하여 가압하는 작업과, 탑 조오(12)를 교환하는 작업을 동시에 실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공개되는 척 기구에 의하면, 샤프트(30)의 소정량의 회전에 의해, 가동 핀(20)이 핀 구멍(12c)에 삽입된 제 1의 위치 또는 핀 구멍(12c)으로부터 이탈한 제 2의 위치에, 각각 락킹되는 락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탑 조오(12)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30)를 스프링(50)에 의해, 지름 방향 외측(샤프트(30)의 축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샤프트(30)를 스프링(50)에 의한 탄성력에 저항하여 지름 방향 내측으로 압입하면서 소정량 회전시킴에 따라 가동 핀(20)을 제 1의 위치 또는 제 2의 위치에 락킹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30)의 외주에 샤프트 커버(40)를 배치하고, 샤프트 커버(40)의 외주에, 동일 원주상에 놓이지 않는 위치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제 1의 홈(40A)과 제 2의 홈(40B)을 형성함으로써, 샤프트(30)를 소정량 회전함에 따라 샤프트(30)의 외주에 설치한 락킹 핀(30B)을 제 1의 홈(40A) 또는 제 2의 홈(40B)에 계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동 핀(20)을 제 1의 위치 또는 제 2의 위치에 락킹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락킹 핀(30B)을 제 2의 홈(40B)에 계합시킴으로써, 가동 핀(20)이 핀 구멍(12c)으로부터 이탈한 상태를 유지한 채, 탑 조오(12)의 교환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30)를 계속하여 누르지 않고, 탑 조오(12)의 교환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1 대의 장치(로봇)로, 탑 조오(12)의 교환을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탑 조오(12)의 교환을 수동으로 실시할 경우에도, 샤프트(30)를 계속하여 누르는 작업과, 탑 조오(12)를 교환하는 작업을 동시에 실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샤프트(30)의 단부는, 가동 핀(20)이 핀 구멍(12c)에 삽입된 제 1의 위치와, 핀 구멍(12c)으로부터 이탈한 제 2의 위치에서, 마스터 조오(11)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이 다르기 때문에, 가동 핀(20)의 2개의 위치를 샤프트 단부(30C)의 돌출량의 변화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돌출량이 2단계로 변화되기 때문에 돌출량의 변화를 센서 등으로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변형예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30)는 스프링(50)에 의해, 지름 방향 외측으로 가압되고 있어도, 샤프트(30)의 외주에 돌출하도록 설치된 락킹 핀(30B)이 샤프트 커버(40)의 제 1 및 제 2의 홈(40A, 40B)을 포함하는 단면으로 계지되어 있기 때문에, 마스터 조오(11)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원심력이 작용한다고 해도 비산하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다.
하지만, 만일 락킹 핀(30B)이 파손하거나 하면, 상기 규제가 작용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샤프트(30)가 마스터 조오(11)로부터 비산해 버리는 사태가 생긴다.
도 7은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는 기구를 구비한 샤프트(30) 및 샤프트 커버(40)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30)는 지름 방향 외측에 있어서, 외경이 W1인 부위(32A)와, 외경이 W1보다 큰 W2의 부위(32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 커버(40)는 W1과 거의 같은 내경인 부위(41A)와, W2와 거의 같은 내경인 부위(41B)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만일 락킹 핀(30B)이 파손하거나 해도, 지름 방향 외측으로 가압된 샤프트(30)는 외경이 W2인 부위(32B)가 샤프트 커버(40)의 내경이 W1인 부위(41A)로 계지되기 때문에, 마스터 조오(11)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2)
상기 본 실시 형태에서, 가동 핀(20)을 핀 구멍(12c)에 삽입된 제 1의 위치 또는 핀 구멍(12c)으로부터 이탈한 제 2의 위치에, 각각 락킹하는 락 기구로서, 도 3 등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샤프트 커버(40)에 제 1 및 제 2의 홈(40A, 40B)(규제 홈)을 형성하고, 이 규제 홈에 샤프트(30)의 외주에 설치한 락킹 핀(30B)을 계합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물론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락 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a), (b)는 본 변형예에서의 락 기구의 일례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마스터 조오(11) 및 탑 조오(12)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a)는 샤프트(30)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9(b)는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락 기구를 설명한 사시도이다. 한편, 본 변형예에 있어서, 마스터 조오(11), 탑 조오(12), 가동 핀(20) 등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로 나타낸 구성과 같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규제 홈이 형성된 샤프트 커버(40)를 설치하지 않고 샤프트(30)에 규제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변형예에서의 샤프트(30)는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타의 부위보다 외경이 큰 원통부(30D)를 구비하고, 원통부(30D)의 외주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동일 원주상에 놓이지 않는 위치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제 1의 홈(31A)과 제 2의 홈(31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샤프트(30)의 외주에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가동 핀(20)의 축방향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돌조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30)의 외주에는 O링(32)이 감합 장착되는 홈부(30E)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터 조오(11)의 후면에는, 볼트(60)가 매설(埋設)되어 있고, 볼트(60)의 축방향 단부는,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30)에 형성된 제 1의 홈(31A) 또는 제 2의 홈(31B)에 계합되도록 되어 있다.
샤프트(30)는 스프링(50)에 의해, 지름 방향 외측(샤프트(30)의 축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그리고, 샤프트(30)를 스프링(50)에 의한 탄성력에 저항하여 지름 방향 내측으로 압입하면서, 소정량 회전시킴으로써, 볼트(60)의 축방향 단부가 제 1의 홈(31A) 또는 제 2의 홈(31B)에 계합된다. 따라서, 샤프트(30)를 소정량 회전함으로써, 가동 핀(20)을 핀 구멍(12c)에 삽입된 제 1의 위치 또는 핀 구멍(12c)으로부터 이탈한 제 2의 위치에 락킹할 수 있다.
한편, 샤프트(30)는 볼트(60)에 의해 마스터 조오(11)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비산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해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기술(記述)은 한정 사항이 아니며 물론 여러가지 개변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락킹 핀(30B)을 샤프트(30)의 외주의 양쪽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했지만, 한쪽만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해도 된다. 전자의 경우, 제 1 및 제 2의 홈(31A), (31B)은 샤프트 커버(40)의 지름 방향으로 대칭인 위치에 2 군데 설치되기 때문에 락킹 핀(30B)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락킹 핀(30B)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다. 한편, 후자의 경우, 제 1 및 제 2의 홈(31A, 31B)은 샤프트 커버(40)의 외주에 1 군데만 설치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마스터 조오(11) 및 탑 조오(12)에, 각각 서로 계합하는 볼록부(11A) 및 오목부(12A)가 형성된 것을 사용했지만, 마스터 조오(11) 또는 탑 조오(12)를 볼록부(11A) 및 오목부(12A)의 원추면에 따라 둘레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동함으로써, 탑 조오(12)의 착탈이 실시되는 것이면, 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변형예에 있어서, 샤프트(30)에 형성된 제 1의 홈(31A) 또는 제 2의 홈(31B)에 계합되는 부재로 볼트(60)를 사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핀 등을 이용해도 된다.
1 : 척 기구
10 : 척 본체
11 : 마스터 조오
11A : 볼록부
11a : 원추면
12 : 탑 조오
12A : 오목부
12a : 원추면
12c : 핀 구멍
20 : 가동 핀
30 : 샤프트
30B : 락킹 핀
30C : 샤프트 단부
31A : 제1의 홈
31B : 제2의 홈
40 : 샤프트 커버
40A : 제1의 홈
40B : 제2의 홈
50 : 스프링

Claims (6)

  1. 척 본체와,
    상기 척 본체의 전면에, 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마스터 조오와,
    상기 각각의 마스터 조오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탑 조오를 구비하는 척 기구로서,
    상기 마스터 조오 및 상기 탑 조오는, 각각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부위에, 원추체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측면을 갖고 서로 계합하는 볼록부 및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스터 조오 내에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핀, 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샤프트가 배치되고, 상기 가동 핀은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에 계합되어 있으며,
    상기 탑 조오에는, 상기 가동 핀을 삽입 가능한 핀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의 소정량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동 핀이 상기 핀 구멍에 삽입된 제 1의 위치 또는 상기 핀 구멍으로부터 이탈한 제 2의 위치에 각각 락킹되는 락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는, 척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스프링에 의해 지름 방향 외측으로 가압되어 있고,
    상기 가동 핀은, 상기 샤프트를 상기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에 저항하여 지름 방향 내측으로 압입하면서 소정량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 1의 위치 또는 상기 제 2의 위치에 락킹되는, 척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그 단부가 상기 마스터 조오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상기 샤프트의 단부는, 상기 제 1의 위치와, 상기 제 2의 위치에서, 상기 마스터 조오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이 다른, 척 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 기구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상기 마스터 조오 내에 배치된 샤프트 커버와,
    상기 샤프트의 외주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락킹 핀을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 커버의 외주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동일 원주상에 놓이지 않는 위치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제 1의 홈과 제 2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 핀은, 상기 샤프트를 소정량 회전함으로써, 상기 락킹 핀이 상기 제 1의 홈 또는 상기 제 2의 홈에 계합함으로써, 상기 제 1의 위치 또는 상기 제 2의 위치에 락킹되는, 척 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조오는,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가 서로 계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 핀을 상기 제 1의 위치에서 상기 핀 구멍에 삽입된 상태로 락킹함으로써, 상기 마스터 조오에 대한 회전 이동이 제지되는, 척 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조오의 착탈은, 상기 가동 핀을 상기 제2의 위치에서 상기 핀 구멍으로부터 이탈한 상태로 락킹함으로써, 상기 마스터 조오 또는 상기 탑 조오를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의 측면에 따라 둘레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동함에 따라 실시되는, 척 기구.
KR1020197027611A 2017-04-05 2018-04-03 척 기구 KR1025013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75365 2017-04-05
JP2017075365 2017-04-05
PCT/JP2018/014295 WO2018186409A1 (ja) 2017-04-05 2018-04-03 チャック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634A true KR20190138634A (ko) 2019-12-13
KR102501360B1 KR102501360B1 (ko) 2023-02-17

Family

ID=6371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611A KR102501360B1 (ko) 2017-04-05 2018-04-03 척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45882B2 (ko)
EP (1) EP3556495A4 (ko)
JP (1) JP7184755B2 (ko)
KR (1) KR102501360B1 (ko)
CN (1) CN110382147B (ko)
TW (1) TWI752211B (ko)
WO (1) WO20181864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7570A1 (ja) 2017-05-10 2018-11-15 株式会社北川鉄工所 チャック機構
JP7406957B2 (ja) * 2019-11-07 2023-12-28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チャックピン、基板処理装置、基板処理システム
CN113432507B (zh) * 2021-07-20 2023-02-21 赛孚帕斯(苏州)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外壳间隙检测治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6106A (ja) 1988-06-03 1989-12-11 Kitagawa Iron Works Co Ltd チャックにおけるトップジョウの組み換え構造
US4982970A (en) * 1987-08-19 1991-01-08 Hitachi Seiki Co., Ltd. Claw unit with paired separably connected claw elements
DE4016775C1 (ko) * 1990-05-25 1991-04-18 Paul Forkardt Gmbh & Co Kg, 4000 Duesseldorf, De
JP3081236B2 (ja) * 1990-11-29 2000-08-28 株式会社北川鉄工所 急速ジョウ交換チャック
JP2015075048A (ja) * 2013-10-10 2015-04-20 株式会社エンプラス 燃料噴射装置用ノズルプレートの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28572B1 (ko) * 1973-05-09 1977-10-07 Roehm Guenter H
DE2711904C3 (de) * 1977-03-18 1981-08-13 Röhm, Günter Horst, 7927 Sontheim Spannfutter für Drehmaschinen
JPS5531579A (en) * 1978-08-18 1980-03-05 Roehm Guenter H Chuck of lathe
FR2623431B1 (fr) * 1987-11-24 1994-04-29 Gamet Precision Mandrin de serrage pour machine-outil
US5015003A (en) 1988-08-03 1991-05-14 Kennametal Inc. Top jaw assembly with replaceable work holding pads
JPH0319704A (ja) * 1989-06-14 1991-01-28 Hitachi Seiki Co Ltd キー操作可能な爪交換式チャックの交換爪固定装置
JPH10230403A (ja) * 1996-12-18 1998-09-02 Komatsu Ltd 工作機用チャックの爪着脱機構
US5842705A (en) * 1997-11-24 1998-12-01 The Goss & Deleeuw Machine Company Quick-change jaw assembly
JP3713685B2 (ja) * 2002-06-04 2005-11-09 吾友塑膠厰股▲ふん▼有限公司 腕力訓練器
TWM421848U (en) * 2011-10-17 2012-02-01 Luckycom Ind Co Ltd Jaw structure for lathe chuck
CN203292523U (zh) * 2013-04-25 2013-11-20 自贡市川力实业有限公司 一种油泵体同轴尺寸加工工装
US10641223B2 (en) 2013-10-01 2020-05-05 Enplas Corporation Attachment structure of fuel injection device nozzle plate
CN103921142A (zh) * 2014-04-18 2014-07-16 蒋剑锋 一种异形件车削固定夹具
CN105414583B (zh) * 2015-12-24 2018-06-29 湖州诚基机械有限公司 一种浮动夹紧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2970A (en) * 1987-08-19 1991-01-08 Hitachi Seiki Co., Ltd. Claw unit with paired separably connected claw elements
JPH01306106A (ja) 1988-06-03 1989-12-11 Kitagawa Iron Works Co Ltd チャックにおけるトップジョウの組み換え構造
DE4016775C1 (ko) * 1990-05-25 1991-04-18 Paul Forkardt Gmbh & Co Kg, 4000 Duesseldorf, De
JP3081236B2 (ja) * 1990-11-29 2000-08-28 株式会社北川鉄工所 急速ジョウ交換チャック
JP2015075048A (ja) * 2013-10-10 2015-04-20 株式会社エンプラス 燃料噴射装置用ノズルプレート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360B1 (ko) 2023-02-17
US11045882B2 (en) 2021-06-29
EP3556495A4 (en) 2020-02-26
TWI752211B (zh) 2022-01-11
TW201841704A (zh) 2018-12-01
CN110382147B (zh) 2020-10-30
JPWO2018186409A1 (ja) 2020-02-27
US20190366448A1 (en) 2019-12-05
WO2018186409A1 (ja) 2018-10-11
CN110382147A (zh) 2019-10-25
JP7184755B2 (ja) 2022-12-06
EP3556495A1 (en)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6274B1 (en) Tool holder
KR20190138634A (ko) 척 기구
USRE48981E1 (en) Thrust nut
KR20120112126A (ko) 공작 기계와 공구 홀더
US3219355A (en) Tool holder
US5372465A (en) Quick change spindle adaptor for tool holder
US10391562B2 (en) Machine spindle with ejecting means
US10518334B2 (en) Chuck device
JP7428974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および砥石装置用工具
US2727748A (en) Quick-change chuck
US9999931B2 (en) Locking mechanism for a collet assembly
WO2018207570A1 (ja) チャック機構
EP3263252B1 (en) Operating device and rotating device
JP5368965B2 (ja) バルブシート加工工具
JP4635940B2 (ja) 自動交換式切削工具
JP6308744B2 (ja) 引き込み式チャック
US4506896A (en) Chucks
JP6185972B2 (ja) 工具ホルダ、加工工具、及び工作機械
RU124205U1 (ru) Кулачковый патрон для осев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EP2695689B1 (en) Tool holder and tool holder attachment structure
KR101588629B1 (ko) 기계 본체에 공작물을 원터치 커플링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체결기구
KR20200031770A (ko) 라이브 센터 인출 기능을 갖는 공작기계용 심압대
JP2020062708A (ja) コレットチャ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