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399A - 뒷자석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뒷자석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399A
KR20190138399A KR1020180064785A KR20180064785A KR20190138399A KR 20190138399 A KR20190138399 A KR 20190138399A KR 1020180064785 A KR1020180064785 A KR 1020180064785A KR 20180064785 A KR20180064785 A KR 20180064785A KR 20190138399 A KR20190138399 A KR 20190138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act
airbag
detection means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석
Original Assignee
정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석 filed Critical 정현석
Priority to KR1020180064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8399A/ko
Publication of KR20190138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3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충돌시 뒷자석 승객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뒷자석 승객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것이다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충돌시 루프에서 에어백이 작동되게 하여 뒷자석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차량의 전방충돌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어 유용하다

Description

뒷자석 에어백 장치{Rear seat airbag system}
제1도는 본 발명의 배선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층격감지수단의 작동상태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층격감지수단의 작동상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측면도
제6도는 제3도에 도시된 +접점과 -접점의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루프 2 : 캡
3 : 에어백 10 : 밧데리 전원
20 : 에어백 작동스위치 30 : 제1층격감지수단
40 : 제2층격감지수단 50 : 인플레이터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충돌시 뒷좌석 승객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뒷좌석 승객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
이다
종래에 에어백 장치가 차량전방충돌에 대비하여 설치되고 있으나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주로 운전자나 조
수석에 있는 승객을 위한 것이다그러므로 차량충돌시 운전자나 조수석측의 승객은 만개된 에어백에 의해
피해를 입지 않게 되지만, 뒷좌석 승객의 경우 아무런 보호장비가 없어 큰 피해를 당하게 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전방충돌시 뒷좌석 승객이 시트벨트를 착용했다 하더라도 고속충돌시에는 앞시트에 상
체가 부딪쳐 큰 부상을 입을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전방충돌시 뒷좌석 쪽에서 에어백 장치가 작동
되게 하여 뒷좌석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뒷좌석 승객이 에어백 작동스위치를 온(ON)시킨 상태에서 차량이 전방충돌을
하게 되면 차량의 전방 중앙과 차량의 전방 좌,우측에 각기 설치된 감지수단이 작동함에 따라 루프내에
설정된 인플레이터(inflator)에 밧데리 전류가 도통하면서 에어백이 차실바닥쪽으로 팽창되게 함으로써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전기 배선도로서,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시 작동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어 에어백(3)의 작동을 온/오프하는 에어백 작동스위치(20)와, 상기 에어백 작동스
위치(20)와 직렬로 연결되고 차량의 전방 중앙에 장착된 제1충격감지수단(30)과, 상기 제1충격감지수단
(30)과 직,병렬로 연결되고 차량의 좌,우측(예컨대, 운전석측과 조수석측 전방의 인스트루먼트패널상)에
장착된 제2충격감지수단(40)과, 차량의 루프(1)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충격감지수단(30) 및 제2충격감
지수단(40)의 작동으로 밧데리 전류에 의한 점화제를 연소시켜 에어백(3)을 팽창시키는 인플레이터(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충격감지수단(30)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31)와, +접점(3
2)과, -접점(33)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전방충격에 의해 상기 롤러(31)가 굴러 상기 +접점(32)과 상기 -접
점(33)을 단락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접점(32)과 -접점(33)은 제6도에 예시적으로 나타낸바
와 같이 통상적인 마이크로스위치형태를 취하게 되는데, 차량의 전방충격에 의해 롤러(31)가 후방으로 이
동하게 되면 그 롤러(31)에 의해 +접점(32)이 밀려 -접점(33)에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충격감지수단(40)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1)에 매달린 중량추
(42)와 +접점(43)과, -접점(44)으로 구성되어 있어 차량의 전방충격에 의해 상기 중량추(42)가 이동되어
상기 +접점(43)과 상기 -접점(44)을 단락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인플레이터
(50)에 밧데리 전원(10)에서 전류가 공급된다 그 에어백 작동스위치(20)는 뒷도어의 아암레스트에 버튼
식으로 작동 되는 것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에어백 작동스위치(20)는 뒷좌석에 승객이 탑승할
경우에만 온시켜 불필요한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제1충격감지수단(30)은 콘솔박스(제2도 참조)에 장착시켜 2G(gravity) 이상의 충격을 받으면 롤러(31)가
후방으로 회전이동하여 +접점(32)을 밀어 -접점(33)에 접촉되게 하고, 제2충격감지수단(40)은 운전석쪽과
조수석쪽(제2도 참조)에 각각 1개씩 장착시켜 12G(gravity)이상의 충격을 받으면 중량추(42)가 미끄러지
면서 +접점(43) 및 -접점(44)에 접촉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50)은 화약, 점화제, 가스발생제, 필터등이 알루미늄
용기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에어백(3) 상부에 조립된다
이와 같이 에어백(3) 상부에 조립된 인플레이터(50)는 뒷좌석쪽에 대응하는 위치늬 루프(1)에
내장시키되, 에어백(3)이 팽창되어 차실측으로 나오도록 루푸(1)에 캡(2)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뒷좌석에 승객이 탑승하였을 경우, 뒷좌석에 있는 승객이 에어백 작동스위치(20)를 온(on)시키면
에어백(3)이 작동되는 상태가 된다이 상태에서 주행중 차량이 전방충돌하여 제1충격감지수단(30)이 2G
이상의 충격을 받으면 롤러(31)가 회전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로 인해 롤러(31)가 +접점(32)을
밀어 -접점(33)에 접촉시키게 되고, 제2충격감지수단(40)이 12G 이상의 충격을 받으면 중량추(42)가 미끄
러져 +접점(43)과 -접점(44)이 단락된다 이때 중량추(42)를 매달고 있는 스프링(41)이 늘어나게 된다
그리하여 밧데리 전원(10)으로부터 전류가 도통함과 인플레이터(50)의 화약이 발하여 점화제가 연소하며
가스발생제에 의해 질소가스가 발생된다질소가스가 에어백(3)에 충진되면서 에어백(3)이 팽창된다 이때
에어백(3)의 압력을 받아 루프(1)의 캡(2)이 열린다
이에 따라 에어백(3)이 앞좌석의 배면 부위에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일련의 동작이 차량의 전방충돌시 뒷좌석 승객이 앞좌석의 배면에 부딪치기 전에 순간적으로이루어져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충돌시 루프에서 에어백이 작동되게 하여 뒷좌석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전방충돌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어 유용하다

Claims (1)

  1. 차량의 충돌시 작동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어 에어백(3)의 작동을 온/오프하는 에어백 작동스위치(20)와, 상기 에어백 작동스위치(20)와 직렬로 연결되고 차량의 전방 중앙에장착된 제1충격감지수단(30)과, 상기 제1충격수단(30)과 직,병렬로 연결되고 차량의 경우 좌,우측에 장착된 제2충격감지수단(40)과, 차량의 루프(1)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충격감지수단(30) 및 제2충격감지수단(40)의 작동으로 밧데리 전류에 의해 점화제를 연소시켜 에어백(3)을 팽창시키는 인플레이터(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좌석 승객용 에어백 장치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격감지수단(30)은 롤러(31)와, +접점(32)과, -접점(33)으로 구성되어 차량의전방충격에 의해 상기 롤러(31)가 굴러 상기 +접점(32)과 상기 -접점(33)을 단락시키는 구조로 된 것을특징으로하는 뒷좌석 승객용 에어백장치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충격감지수단(40)은 스프링(41)에 매달린 중량추(42)와, +접점(43)과, -접점(44)으로 구성되어 있어 차량의 전방충격에 의해 상기 중량추 이동되어 상기 +접점(43)과 상기 -접점(44)을 단락시키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좌석 승객용 에어백 장치
    청구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작동스위치(20)와, 상기 제1충격감지수단(30)과 제2충격감지수단(40)이 모두 온상태일 때 상기 인플레이터(50)에 밧데리 전원(10)에서 전류가 공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을특징으로 하는 뒷좌석 승객용 에어백 장치
KR1020180064785A 2018-06-05 2018-06-05 뒷자석 에어백 장치 KR20190138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785A KR20190138399A (ko) 2018-06-05 2018-06-05 뒷자석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785A KR20190138399A (ko) 2018-06-05 2018-06-05 뒷자석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399A true KR20190138399A (ko) 2019-12-13

Family

ID=68847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785A KR20190138399A (ko) 2018-06-05 2018-06-05 뒷자석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83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1888B1 (ko) 후방 승객 보호용 에어백장치
US9056592B1 (en) Automobile airbag deployment dependent on passenger size
US9199559B2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CN106274780B (zh) 用于车辆的安全系统及车辆
KR20190138399A (ko) 뒷자석 에어백 장치
KR970001746B1 (ko) 뒷자석 승객용 에어백 장치
JP6673170B2 (ja) 乗員保護装置
JPH0238162A (ja) 車両用エアバッグ制御装置
JP3558703B2 (ja) 乗員保護装置
KR0167624B1 (ko) 자동차용 탑승자 탈출장치
WO2013158980A1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CN110979443B (zh) 方向盘、具有该方向盘的安全防护系统及方法
KR100806592B1 (ko) 탑승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CN108082108B (zh) 安全气囊系统及操作方法、车辆辅助乘员保护系统和车辆
KR102192258B1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KR20010063462A (ko) 자동차의 운전자 보호용 에어백 전개장치
KR19980037904U (ko) 승객 전방 밀림 방지장치
KR100579223B1 (ko) 에어백 시스템
KR100802803B1 (ko)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KR100203422B1 (ko) 차량 에어벡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941234B1 (ko) 차량용 저위험 전개 조수석 에어백 장치
CN115366838A (zh) 膝部气囊、车辆和控制方法
KR0151632B1 (ko) 충돌시 뒷좌석 탑승객 보호장치
KR200398232Y1 (ko) 차량용 헤드 레스트의 에어백 장치
KR20120109676A (ko) 자동차용 니볼스터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