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7936A -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 - Google Patents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7936A
KR20190137936A KR1020197035347A KR20197035347A KR20190137936A KR 20190137936 A KR20190137936 A KR 20190137936A KR 1020197035347 A KR1020197035347 A KR 1020197035347A KR 20197035347 A KR20197035347 A KR 20197035347A KR 20190137936 A KR20190137936 A KR 20190137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n atrophy
alzheimer
compound
brain
admin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고바야시
요시히코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도야마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도야마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도야마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7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39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our-membered rings, e.g. azet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알츠하이머형 인지증의 진행을 억제하는 약제 및 알츠하이머형 인지증의 진행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3-(2-(1-벤조티오펜-5-일)에톡시)프로필)아제티딘-3-올 또는 그 염은, 뇌 위축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고,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1-(3-(2-(1-벤조티오펜-5-일)에톡시)프로필)아제티딘-3-올 또는 그 염을 투여함으로써, 가령 또는 신경 변성 질환 등에서 관찰되는 뇌 위축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
본 발명은 1-(3-(2-(1-벤조티오펜-5-일)에톡시)프로필)아제티딘-3-올 또는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뇌 위축의 예방 또는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인지증은, 뇌의 위축이나 뇌혈관 장애 등에 의해 인지 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신경 변성 질환이다. 인지증은 원인에 따라 몇가지로 분류되지만, 전체 인지증 환자의 60 % ∼ 80 % 는 알츠하이머형 인지증 (AD) 이다 (비특허문헌 1). AD 의 발증 기전은 복잡하지만, 아밀로이드 β 단백질 (Aβ) 이 응집하여 노인성 반점을 형성하는 것, 또는 인산화한 타우 단백질 (p-Tau) 이 응집하여 신경원섬유 변화에 이르는 것이 원인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비특허문헌 2). AD 의 환자수는, 일본에서는 약 116 만명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발증율은 고령이 될수록 높아지기 때문에, 사회의 고령화에 수반하여 향후 급속히 환자수가 증대하고, 환자 가족의 부담이 증가하는 것, 의료비 및 개호비가 급등하는 것이 예상된다 (비특허문헌 3, 4). 따라서, AD 를 치료하는 것은, 환자 자신의 생활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막고, 그 후의 가족의 부담을 경감할 뿐만 아니라, 향후의 고령화 사회에서의 의료비의 삭감에 중요하다.
인지증의 증상에는, 인지 기능 장애를 중심으로 한 중핵 증상 및 인지 기능 장애를 갖는 환자가 주위와 관계될 때에 나타내는 문제 행동과 같은 주변 증상이 있다 (비특허문헌 5). 현재 일본 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AD 의 치료약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저해제의 도네페질 염산염, 갈란타민 브롬화수소산염, 리바스티그민 및 N-메틸-D-아스파르테이트 (N-methyl-D-aspartate) 수용체 길항약의 메만틴 염산염의 4 제가 존재하고, 모두 중핵 증상 또는 주변 증상을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약제는 중핵 증상 또는 주변 증상을 일정 기간 개선하는 대증 요법이며, AD 의 신경 변성을 억제하는 약제는 아니다. 이들 약제는 사용 당초에 일시적인 인지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어도, 대체로 48 주 이상 경과하면 인지 기능은 치료 전의 인지 기능보다 악화된다 (비특허문헌 6).
1-(3-(2-(1-벤조티오펜-5-일)에톡시)프로필)아제티딘-3-올 (이하, 「화합물 A」 라고 칭한다.) 또는 그 염은, 신경 보호 작용, 신경 재생 촉진 작용 및 신경 돌기 신전 작용을 갖고, 중추 및 말초 신경의 질병의 치료약으로서 유용한 화합물인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또, 그 투여량은, 경구 투여의 경우, 통상적으로 성인에 대해, 1 일당 0.01 ∼ 500 ㎎ 을 1 회 내지 수 회로 분할하여 투여하면 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
국제 공개 제2003/035647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03/105830호 팸플릿
2012 Alzheimer's Disease Facts and Figures. (http://www.alz.org/downloads/facts_figures_2012. pdf) YAKUGAKU ZASSHI, 2010년, 제130권, 제4호, 521-526 페이지 일본 임상, 2008년, 제66권 (증간호 1), 23-27 페이지 시드·플래닝 프레스 릴리스 (2010년 12월 28일) (http://www.seedplanning.co.jp/press/2010/2010122801. html) 임상 정신 약리, 2011년, 제14권, 제7호, 1123-1129 페이지 임상 정신 약리, 2012년, 제15권, 제3호, 311-321 페이지
신경 변성을 억제함으로써 AD 의 진행을 억제하는 약제를, 조기에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AD 의 진행을 억제하는 약제 및 AD 의 진행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한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화합물 A 또는 그 염이 뇌 위축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발명이 제공된다.
(1) 화합물 A 또는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
(2) 1 회당 화합물 A 로서 100 ㎎ ∼ 400 ㎎ 을 1 일 1 회 경구 투여되는, (1) 에 기재된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
(3) 1 회당 화합물 A 로서 160 ㎎ 또는 320 ㎎ 을 1 일 1 회 경구 투여되는, (1) 에 기재된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
(4) 신경 변성 질환을 수반하는 환자에게 투여되기 위한,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
(5) AD, 거의 확실한 (Probable) AD, 의심이 되는 (Possible) AD, 임상 전 단계에 있는 (Preclinical) AD, 전구기 (Prodromal) 알츠하이머형 인지증, 알츠하이머형 인지증에 의한 경도 인지 장애 (MCI due to AD) 또는 경도 인지 장애 (MCI) 를 수반하는 환자에게 투여되기 위한,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
(6) AD, MCI due to AD 또는 MCI 를 수반하는 환자에게 투여되기 위한,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
(7) AD 를 수반하는 환자에게 투여되기 위한,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
(8) MCI due to AD 를 수반하는 환자에게 투여되기 위한,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발명도 제공된다.
(a) 뇌 위축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화합물 A 또는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b) 뇌 위축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A 또는 그 염.
(c) 화합물 A 또는 그 염을 환자에게 투여하여 뇌 위축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d)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의 제조를 위한, 화합물 A 또는 그 염의 사용.
(e) 화합물 A 또는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뇌 위축 억제제.
(f) 뇌 위축의 억제에 있어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A 또는 그 염.
(g) 화합물 A 또는 그 염을 환자에게 투여하여 뇌 위축을 억제하는 방법.
(h) 뇌 위축 억제제의 제조를 위한, 화합물 A 또는 그 염의 사용.
화합물 A 또는 그 염을 투여함으로써, 가령 또는 AD, 진행성 핵상성 마비 및 전두 측두형 인지증 등의 신경 변성 질환에서 관찰되는 뇌 위축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도 1 은, 시험예 1 의 52 주에 있어서의 스크리닝으로부터의 뇌 체적 (전뇌) 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n.s.」 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차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는, 시험예 1 의 52 주에 있어서의 스크리닝으로부터의 뇌 체적 (해마) 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n.s.」 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차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
도 3 은, 시험예 2 의 52 주에 있어서의 스크리닝으로부터의 뇌 체적 (전뇌) 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는, 시험예 2 의 52 주에 있어서의 스크리닝으로부터의 뇌 체적 (해마) 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각 용어는, 다음의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 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최소값 및 최대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화합물 A 는, 1-(3-(2-(1-벤조티오펜-5-일)에톡시)프로필)아제티딘-3-올을 의미한다.
화합물 A 의 염으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아미노기 등의 염기성기 또는 하이드록실 혹은 카르복실기 등의 산성기에 있어서의 염을 들 수 있다.
염기성기에 있어서의 염으로는, 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및 황산 등의 광산과의 염;포름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옥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말산, 타르타르산, 아스파르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의 유기 카르복실산의 염;그리고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메시틸렌술폰산 및 나프탈렌술폰산 등의 술폰산의 염을 들 수 있다.
산성기에 있어서의 염으로는, 예를 들어, 나트륨 및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과의 염;칼슘 및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과의 염;암모늄염;그리고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피리딘, N,N-디메틸아닐린, N-메틸피페리딘, N-메틸모르폴린, 디에틸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프로카인, 디벤질아민, N-벤질-β-페네틸아민, 1-에페나민 및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등의 함질소 유기 염기와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염 중에서, 바람직한 염으로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한 염으로는, 말레산의 염을 들 수 있다.
화합물 A 또는 그 염에 있어서, 이성체 (예를 들어, 광학 이성체, 기하 이성체 및 호변 이성체 등) 가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은, 그들 모든 이성체를 포함하고, 또, 수화물, 용매화물 및 모든 결정형을 포함하는 것이다.
예방이란, 특정한 질환 또는 그 질환으로 생기는 하나 이상의 증상의 발증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치료란, 대상이 이환하고 있는 특정한 질환에 대해 그 질환으로 생기는 하나 이상의 증상을 경감 또는 개선하는 것, 그리고 그 질환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신경 변성 질환 등의 질환을 수반하는 환자에 있어서, 예방이란, 뇌 위축의 발생 또는 진행을 저지 혹은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치료란, 뇌 위축의 진행을 저지 또는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경도 ∼ 중등도 AD 는, 국립 신경 질환·뇌졸중 연구소/알츠하이머병·관련 장애 협회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and Communicative Disorders and Stroke/the 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isorders Associations) (NINCDS-ADRDA) 의 진단 기준에 따라서 「거의 확실한 (probable) 알츠하이머병」 이라고 임상 진단할 수 있다.
「경도 ∼ 중등도」 의 진단은, 표준적인 기준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의사가 충분히 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화 된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0 ∼ 30 점의 스코어) 의 수치를 참고로, 경도 ∼ 중등도, 중등도 및 중등도 ∼ 중도 AD 를 임상 진단한다. MMSE (Folstein, Folstein and McHugh, 1975) 는, 환자에 대한 질문법에 의한 간편한 인지 기능 검사이다. 견당식 (見當識), 기억, 계산·주의력, 언어 기능 등에 대해서 평가한다. 합계 스코어는 30 점이며, 득점이 낮을수록, 인지 기능의 장애의 정도가 고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시험예에 있어서는, 시험 개시 (스크리닝) 시점에서의 MMSE 스코어가 12 ∼ 22 인 환자를 경도 ∼ 중등도 AD 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MMSE 가 AD 의 등급을 임상 진단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아니고 편의적인 것인 것에 유의해야 한다.
아포리포 단백 E (ApoE) 는, 리포 단백을 구성하고, 리포 단백의 인식 및 지질 대사에 관여하는 아포리포 단백의 1 종이다. ApoE 에는, ApoE2, ApoE3 및 ApoE4 의 3 개의 아이소폼이 있고, ApoE4 를 코드하는 ApoE4 유전자형과 뇌 내의 아밀로이드 β 단백질의 침착량에 상관이 있는 것, 및 ApoE4 유전자형이 알츠하이머병의 리스크 유전자인 것이 보고되어 있다.
뇌의 구조 변화는 정상적인 노화에서도 보이지만, 신경 변성 질환의 발증에 의해 가속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신경 변성 질환으로는, 예를 들어, AD, Probable AD, Possible AD, Preclinical AD, Prodromal AD, MCI due to AD, MCI, 진행성 핵상성 마비 및 전두 측두형 인지증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AD, Probable AD, Possible AD, Preclinical AD, Prodromal AD, MCI due to AD 및 MCI 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AD, MCI due to AD 및 MCI 를 들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AD 및 MCI due to AD 를 들 수 있다. 또한, Probable AD, Possible AD, Preclinical AD, Prodromal AD 및 MCI due to AD 의 진단에 대해서는, Alzheimers Dement, 2011년 5월, 제7권, 제3호, 제263 ∼ 292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AD 에 있어서의 뇌의 위축은, 후내 (嗅內) 피질에서 시작되는 뉴런 및 시냅스의 상실로부터 생긴다. 그 후, 병변은, 해마 형성을 포함하는 측두엽의 변연 영역 전체에 퍼져, 뉴런의 상실 및 위축이 측두엽, 두정엽 및 전두엽의 신피질 관련 영역 전체에서 관찰되게 된다.
Volumetric MRI (vMRI) 는, 뇌 구조 체적의 in vivo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위축 속도의 척도를 제공한다. vMRI 연구의 결과는, AD 의 병리학적 진행을 반영하는 뇌의 위축의 패턴이 시간의 경과와 함께 확실하게 검출되어, 추적될 수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Atiya et al. 2003). 해마 및 후내 피질을 포함하는 내측두엽의 위축은, AD 의 vMRI 연구로 오랫동안 보고되고 있다 (Jack et al. 1997). vMRI 에서 유래하는 해마의 체적은, 조직학적 해마의 체적, 뉴런의 상실 및 AD 의 정도와 관련되어 있고 (Jack et al. 2002), 후내 피질의 두께의 변화는 AD 에 관련되는 신경 변성의 조기 또한 감수성의 지표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Knight et al. 2009;Holland et al. 2009). 국소 및 전뇌 용적 변화의 세로 방향의 vMRI 측정은, 일시적인 증상의 개선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인지 평가를 보완하고, AD 에 의한 위축에 영향을 미치는 약제의 능력의 조기 지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합물 A 또는 그 염은, 자체 공지된 방법 또는 그것들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또,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합물 A 또는 그 염은,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붕괴 억제제, 고결·부착 방지제, 활택제, 흡수·흡착 담체, 용제, 증량제, 등장화제, 용해 보조제, 유화제, 현탁화제, 증점제, 피복제, 흡수 촉진제, 겔화·응고 촉진제, 광 안정화제, 보존제, 방습제, 유화·현탁·분산 안정화제, 착색 방지제, 탈산소·산화 방지제, 교미·교취제, 착색제, 기포제, 소포제, 무통화제, 대전 방지제, 완충·pH 조절제 등의 각종 의약품 첨가물을 배합하여, 경구제 (정제, 캡슐제, 산제, 과립제, 세립제, 환제, 현탁제, 유제, 액제, 시럽제 등), 주사제, 점안제, 경비제 또는 경피제 등의 의약품 제제로 할 수 있다. 또한, AD 를 수반하는 환자에 있어서의 경구 투여 제제로는, 정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제화 된다.
화합물 A 의 투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제의 형태, 환자의 연령, 성별 그 밖의 조건, 환자의 증상의 정도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화합물 A 의 투여량은, 용법, 환자의 연령, 성별, 질환의 형태, 그 밖의 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통상적으로, 성인에 대해, 화합물 A 로서 1 일 40 ∼ 500 ㎎ 을 1 회 내지 수 회로 분할하여 투여하면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화합물 A 로서 1 일 100 ∼ 400 ㎎ 을 1 회 내지 수 회로 분할하여 투여하면 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합물 A 로서 1 일 160 ㎎ 또는 320 ㎎ 을 1 회 투여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합물 A 또는 그 염의 투여는, 또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저해제 (AChEI) 의 투여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를 포함할 수 있다. AChEI 로는, 염산 도네페질, 염산 갈란타민, 타르타르산 리바스티그민 또는 염산타크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상은 화합물 A 또는 그 염의 투여 전에 적어도 6 개월간, AChEI 의 투여에 의한 예비 또는 치료를 받고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시험예 및 제제예에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험 화합물로서, 화합물 A 의 말레산염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1 경도부터 중등도 AD 환자에 있어서의 화합물 A 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는 제 2 상 다시설 랜덤화 이중 맹검 플라세보 대조 시험
대상 (선택 기준):치험약 (治驗藥) 할당의 42 일 전부터 할당까지, 하기의 선택 기준에 기초하여 환자의 스크리닝을 실시하였다.
·스크리닝의 동의 취득 시에 55 세 이상 85 세 이하로, 거의 확실한 (probable) AD 의 환자
·스크리닝 시의 MMSE 스코어가 12 ∼ 22 인 환자
·Modified Hachinski Ischemia Scale 스코어가 4 이하인 환자
·베이스 라인 전에 적어도 4 개월간 및 베이스 라인 전에 3 개월간 안정된 투여량으로 도네페질 염산염 또는 리바스티그민 경피 시스템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
·도네페질 염산염 또는 리바스티그민 경피 시스템에 더하여 메만틴도 투여되고 있는 환자에 관해서는, 베이스 라인 전에 적어도 4 개월간 및 베이스 라인 전에 3 개월간 안정된 투여량으로 메만틴의 치료를 받은 환자
·스크리닝 시의 뇌 MRI 또는 CT 가 AD 에 합치하는 환자
군의 구성:상기 적합한 환자 (484 명) 를 하기의 3 군으로 무작위로 나누고, 시험을 개시하였다.
(1) 고용량 투여군:224 ㎎ 의 시험 화합물 (화합물 A 로서 160 ㎎) 을 1 일 1 회 4 주간 경구 투여 후, 448 ㎎ 의 시험 화합물 (화합물 A 로서 320 ㎎) 을 1 일 1 회 48 주간 경구 투여 (158 명)
(2) 저용량 투여군:224 ㎎ 의 시험 화합물 (화합물 A 로서 160 ㎎) 을 1 일 1 회 52 주간 경구 투여 (166 명)
(3) 플라세보 투여군:플라세보를 1 일 1 회 52 주간 경구 투여 (158 명)
평가 방법:
Volumetric MRI
스크리닝 및 52 주 후에 vMRI 스캔에 의해 대상의 뇌 체적을 측정하고, 대상마다의 전뇌 (뇌 전체) 및 해마의 체적 변화를 정량화 하고, 스크리닝으로부터의 변화로부터 뇌의 위축을 평가하였다.
또, 대상마다의 전뇌 및 101 구역 (브로드만의 뇌지도 (1 ∼ 52) 중, 좌뇌 및 우뇌에 각각 존재하는 구역을 나누어 101 의 구역으로 분할) 의 체적 변화를 정량화 하고, 스크리닝으로부터의 변화로부터 뇌의 위축을 평가하였다.
통계 해석:
52 주 후의 전뇌 및 해마 체적의 베이스 라인으로부터의 변화를 변화를 혼합 효과 모델 (Mixed-effect Model) 에 의해, 고용량 투여군과 플라세보 투여군, 및 저용량 투여군과 플라세보 투여군으로 군간 비교하였다. 모델에는, 투여군을 고정 효과, 연령, 각 뇌 체적 (뇌 전체 또는 해마) 의 베이스 라인, MMSE 의 베이스 라인 및 ApoE4 유전자형 (양성/음성) 을 공변량으로서, 치험 실시 시설을 변량 효과로서 포함시켰다.
또, 52 주 후의 전뇌 및 101 구역의 각 체적의 베이스 라인으로부터의 변화를, 고용량 투여군과 플라세보 투여군, 및 저용량 투여군과 플라세보 투여군으로 군간 비교하였다.
결과:이하에 나타낸다.
52 주에 있어서의 스크리닝으로부터의 vMRI 스캔에 의한 뇌 체적의 변화를 표 1,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52 주에 있어서의 스크리닝으로부터의 뇌 전체 및 해마 체적의 변화에 대해, 화합물 A 투여군에서는, 플라세보 투여군에 비해, 체적의 감소가 적은 경향이 확인되었다. 화합물 A 저용량 투여군과 플라세보 투여군의 해마 체적 변화에 대한 효과의 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52 주에 있어서의 스크리닝으로부터의 vMRI 스캔에 의한 각 뇌 체적의 변화에 대해, 시험 화합물의 저용량 투여군과 플라세보 투여군의 군간 비교로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있는 구역 (P 값 < 0.05) 의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뇌 전체 및 101 구역마다 해석한 결과에 있어서도, 화합물 A 의 저용량 투여군에서는, 플라세보 투여군에 비해, 전뇌 및 해마의 체적 감소가 억제되고 있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표 2 의 번호 6 및 14).
또, 화합물 A 의 고용량 투여군에서도, 저용량 투여군과 동일한 경향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2 경도부터 중등도 AD 환자에 있어서의 화합물 A 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는 전기 임상 제 2 상 다시설 랜덤화 이중 맹검 플라세보 대조 시험
치험약 할당 28 일 전부터 할당까지 하기의 선택 기준에 기초하여 환자의 스크리닝을 실시하였다. 적합한 환자 (373 명) 를 하기의 2 군으로 무작위로 나누고, 시험을 개시하였다.
대상 (선택 기준):
·스크리닝의 동의 취득 시에 50 세 이상 90 세 이하로, 거의 확실한 (probable) AD 의 환자
·스크리닝 시의 MMSE 스코어가 15 ∼ 24 인 환자
·Modified Hachinski Ischemia Scale 스코어가 4 이하인 환자
·베이스 라인 전에 적어도 6 개월간 및 베이스 라인 전에 3 개월간 안정된 투여량으로 도네페질 염산염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
·스크리닝 시의 뇌 MRI 또는 CT 가 AD 에 합치하는 환자
군의 구성:
(1) 실약 투여군:224 ㎎ 의 시험 화합물 (화합물 A 로서 160 ㎎) 을 1 일 1 회 52 주간 경구 투여 (176 명)
(2) 플라세보 투여군:플라세보를 1 일 1 회 52 주간 경구 투여 (178 명)
평가 방법:
Volumetric MRI
스크리닝 및 52 주 후에 vMRI 스캔에 의해 대상의 뇌 체적을 측정하고, 대상마다의 전뇌 및 해마의 체적 변화를 정량화 하고, 스크리닝으로부터의 변화로부터 뇌의 위축을 평가하였다.
통계 해석:
52 주 후의 전뇌 및 해마 체적의 베이스 라인으로부터의 변화량의 평균, 표준 편차 및 플라세보 투여군과의 차를 산출하였다.
결과:이하에 나타낸다.
52 주에 있어서의 스크리닝으로부터의 vMRI 스캔에 의한 뇌 체적의 변화를 표 3, 도 3 및 도 4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52 주에 있어서의 스크리닝으로부터의 뇌 전체 및 해마 체적의 변화에 대해, 화합물 A 투여군에서는, 플라세보 투여군에 비해, 체적의 감소가 적은 경향이 확인되었다.
제제예 1
화합물 A 의 말레산염 174.03 g 에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머크) 0.9726 g 을 첨가하고, 30 분간 혼합하였다. 이 혼합분말을 건식 조립기 (造粒機) (TF-LABO (롤 가압 3 ㎫), 플루인트 산업) 로 압축 성형하고, 성형된 고형물을 정립 (整粒) 하였다. 얻어진 정립분말 60.0 g 에 유당 (플로우락 90, 메글레·재팬) 49.51 g, 결정 셀룰로오스 (세올러스 PH302, 아사히 화성 케미컬즈) 16.50 g 및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프리멜로스, DMV 재팬) 6.67 g 을 각각 눈금간격 850 ㎛ 의 체로 체 여과하여 첨가하고, 10 분간 혼합하였다. 이 혼합분말에 스테아르산마그네슘 0.6667 g 을 첨가하고, 30 분간 혼합하였다. 이 혼합분말을 정제경 (錠劑徑) 8.5 ㎜ 의 더블 알면의 공이를 사용하여 타정압 약 12 kN 으로 타정기 (HT-P18A, 하타 철공소) 로 타정하고, 1 정 250 ㎎ 의 원형의 소정 (素錠) 을 얻었다. 필름 코팅기:DRC-200 (파우렉크) 으로 소정에 코팅제를 1 정당 8 ㎎ 의 비율로 코팅 한 후, 미량의 카르나우바 왁스 (폴리싱 왁스-105, 닛폰 왁스) 를 첨가하고, 필름 코팅정을 얻었다.
제제예 2
화합물 A 의 말레산염 53.70 g 에 만니톨 (파테크 M200, 머크) 60.90 g 및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3.60 g 을 첨가하고, 10 분간 혼합하였다. 이 혼합분말에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80 g 을 첨가하고, 30 분간 혼합하였다. 이 혼합분말을 정제경 8.5 ㎜ 의 더블 알면의 공이를 사용하여 타정압 약 10 kN 으로 타정하고, 1 정 250 ㎎ 의 원형의 소정을 얻었다. 소정에 코팅제 (오파드라이 03F44057, 00F440000 (하이프로멜로스 2910:71.5 %, 매크로골 6000:14.166 %, 탤크:7.167 %, 산화티탄:7.067 %, 3이산화철:0.1 %), 닛폰 칼라콘) 을 1 정당 8 ㎎ 의 비율로 코팅 한 후, 미량의 카르나우바 왁스를 첨가하고, 필름 코팅정을 얻었다.
제제예 3
화합물 A 의 말레산염 1988.89 g 에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1.11 g 을 첨가하고, 30 분간 혼합하였다. 이 혼합분말을 건식 조립기로 압축 성형하고, 성형된 고형물을 정립하였다. 얻어진 정립분말 107.13 g 에, 만니톨 26.21 g, 에틸셀룰로오스 (에토셀 100FP 프리미엄, 다우 케미컬) 7.50 g, 결정 셀룰로오스 (세올러스 KG-1000, 아사히 화성 케미컬즈) 3.75 g, 크로스포비돈 (콜리돈 CL-SF, BASF) 3.75 g 및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0.75 g 을 첨가하고, 30 분간 혼합하였다. 이 혼합분말에 스테아르산마그네슘 0.90 g 을 첨가하고, 5 분간 혼합하였다. 이 혼합분말을 정제경 8.5 ㎜ 의 더블 알면의 공이를 사용하여 타정압 약 7 kN 으로 타정하고, 1 정 315 ㎎ 의 원형의 소정을 얻었다. 소정에 코팅제를 1 정당 9 ㎎ 의 비율로 코팅 한 후, 미량의 카르나우바 왁스를 첨가하여, 필름 코팅정을 얻었다.

Claims (8)

1-(3-(2-(1-벤조티오펜-5-일)에톡시)프로필)아제티딘-3-올 또는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
제 1 항에 있어서,
1 회당 1-(3-(2-(1-벤조티오펜-5-일)에톡시)프로필)아제티딘-3-올로서 100 ㎎ ∼ 400 ㎎ 을 1 일 1 회 경구 투여되는,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
제 1 항에 있어서,
1 회당 1-(3-(2-(1-벤조티오펜-5-일)에톡시)프로필)아제티딘-3-올로서 160 ㎎ 또는 320 ㎎ 을 1 일 1 회 경구 투여되는,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경 변성 질환을 수반하는 환자에게 투여되기 위한,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츠하이머형 인지증, 거의 확실한 (Probable) 알츠하이머형 인지증, 의심이 되는 (Possible) 알츠하이머형 인지증, 임상 전 단계에 있는 (Preclinical) 알츠하이머형 인지증, 전구기 (Prodromal) 알츠하이머형 인지증, 알츠하이머형 인지증에 의한 경도 인지 장애 (MCI due to AD) 또는 경도 인지 장애를 수반하는 환자에게 투여되기 위한,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츠하이머형 인지증, 알츠하이머형 인지증에 의한 경도 인지 장애 (MCI due to AD) 또는 경도 인지 장애를 수반하는 환자에게 투여되기 위한,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츠하이머형 인지증을 수반하는 환자에게 투여되기 위한,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츠하이머형 인지증에 의한 경도 인지 장애 (MCI due to AD) 를 수반하는 환자에게 투여되기 위한,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
KR1020197035347A 2017-06-02 2018-06-01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 KR201901379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09885 2017-06-02
JP2017109885 2017-06-02
JPJP-P-2017-128472 2017-06-30
JP2017128472 2017-06-30
JP2017145100 2017-07-27
JPJP-P-2017-145100 2017-07-27
PCT/JP2018/021223 WO2018221729A1 (ja) 2017-06-02 2018-06-01 脳萎縮予防または治療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936A true KR20190137936A (ko) 2019-12-11

Family

ID=64455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347A KR20190137936A (ko) 2017-06-02 2018-06-01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1951092B2 (ko)
EP (1) EP3632431A4 (ko)
JP (2) JP7282028B2 (ko)
KR (1) KR20190137936A (ko)
CN (3) CN116492335A (ko)
AU (1) AU2018276638B2 (ko)
BR (1) BR112019024851A2 (ko)
CA (1) CA3067453C (ko)
IL (1) IL270922A (ko)
MX (1) MX2019014310A (ko)
NZ (1) NZ759585A (ko)
RU (1) RU2759727C2 (ko)
SG (1) SG11201911512SA (ko)
WO (1) WO2018221729A1 (ko)
ZA (1) ZA2019079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270910B2 (en) * 2017-06-02 2024-03-01 Fujifilm Toyama Chemical Co Ltd 1-(3-(2-(1-benzothiophene-5-yl)ethoxy)propyl)aztidine-3-ol or a salt thereof for use in suppressing cerebral atrophy
BR112019024851A2 (pt) * 2017-06-02 2020-06-09 Fujifilm Toyama Chemical Co Ltd agente para evitar ou tratar atrofia cerebral
EP3636262A4 (en) 2017-06-02 2020-06-10 FUJIFILM Toyama Chemical Co., Ltd. AG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ZHEIMER-LIKE DEMENTIA
RU2019138538A (ru) 2017-06-02 2021-07-09 ФУДЖИФИЛМ Тояма Кемикал Ко., Лтд. СРЕДСТВО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КОЛИЧЕСТВА АМИЛОИДНОГО β-БЕЛКА
EP3705121B1 (en) * 2017-10-30 2023-08-30 FUJIFILM Toyama Chemical Co., Ltd. Emopamil binding protein binding agent and use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5647A1 (fr) 2001-10-19 2003-05-01 Toyama Chemical Co., Ltd. Derives ou sels d'ether d'alkyle
WO2003105830A1 (ja) 2002-06-14 2003-12-24 富山化学工業株式会社 脳機能を改善する医薬組成物および脳機能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4024A (ja) 1997-09-05 2001-09-11 ヒューマン ジノーム サイエン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50個のヒト分泌タンパク質
GB9824207D0 (en) 1998-11-04 1998-12-30 Zeneca Ltd Neurological disorders
KR101096528B1 (ko) 2003-04-17 2011-12-20 토야마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알킬에테르 유도체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망막신경질환의예방·치료제
WO2007125913A1 (ja) 2006-04-26 2007-11-08 Toyama Chemical Co., Ltd. アルキルエーテル誘導体またはその塩を含有する神経細胞新生誘導剤および精神障害治療剤
US8119625B2 (en) * 2006-04-26 2012-02-21 Toyama Chemical Co., Ltd. Neurogenesis inducer or neuropathy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alkyl ether derivative or salt thereof
EP2265578B1 (en) * 2008-03-04 2015-09-16 Vernalis (R&D) Ltd. Azetidine derivatives
FR2934596B1 (fr) * 2008-07-30 2015-04-10 Trophos Nouveaux derives de l'oxime de cholest-4-en-3-one,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renfermant, et procede de preparation
PL2419104T3 (pl) 2009-04-13 2018-04-30 Theravance Biopharma R&D Ip, Llc Kombinacje agonistów receptora 5-HT4 i inhibitorów acetylocholinoesterazy do leczenia zaburzeń poznawczych
MX2011011972A (es) 2009-05-11 2011-12-08 Envivo Pharmaceuticals Inc Tratamiento de trastornos cognitivos con determinados receptores de acido nicotinico alfa-7 en combinacion con inhibidores de acetilcolinesterasa.
WO2011057199A1 (en) 2009-11-06 2011-05-12 Adenios, Inc. Compositions for treating cns disorders
PL2818165T3 (pl) 2012-02-22 2019-09-30 Fujifilm Toyama Chemical Co., Ltd. Stała kompozycja farmaceutyczna zawierająca 1-(3-(2-(1-benzotiofen-5-ylo)etoksy)propylo)-azetydyn-3-ol albo jego sól
CA2879454A1 (en) 2012-07-19 2014-01-23 Drexel University Novel sigma receptor ligands and methods of modulating cellular protein homeostasis using same
CN104703981B (zh) 2012-10-01 2017-03-29 霍夫曼-拉罗奇有限公司 作为cns活性药剂的苯并咪唑类化合物
SG10201907035TA (en) 2014-01-31 2019-09-27 Fujifilm Toyama Chemical Co Ltd Post nerve injury rehabilitation effect-enhancing agent comprising alkyl ether derivative or salt thereof
JP6165323B2 (ja) 2014-04-25 2017-07-19 レジリオ株式会社 アルツハイマー病の治療剤を含む、神経細胞の軸索の機能不全が関与する疾患の治療剤
WO2015188368A1 (en) 2014-06-13 2015-12-17 Merck Sharp & Dohme Corp. Pyrrolo[2,3-c]pyridines as imaging agents for neurofibrilary tangles
WO2016051799A1 (ja) 2014-10-01 2016-04-07 学校法人同志社 2-アミノヒドロキノン誘導体及びタウ凝集阻害剤
US20180022748A1 (en) 2015-02-02 2018-01-25 Ucb Biopharma Sprl 9h-pyrrolo-dipyridine derivatives
US20160324851A1 (en) 2015-05-07 2016-11-10 Axovant Sciences, Ltd. Methods of treating a neurodegenerative disease
US10238632B2 (en) 2015-06-11 2019-03-26 Fujifilm Toyama Chemical Co., Ltd. Sigma receptor-binding agent
US11304928B2 (en) 2015-12-25 2022-04-19 Fujifilm Toyama Chemical Co., Ltd. Tablet comprising 1-(3-(2-(1-benzothiophen-5-yl)ethoxy)propyl)azetidin-3-ol or salt thereof
IL270910B2 (en) 2017-06-02 2024-03-01 Fujifilm Toyama Chemical Co Ltd 1-(3-(2-(1-benzothiophene-5-yl)ethoxy)propyl)aztidine-3-ol or a salt thereof for use in suppressing cerebral atrophy
RU2019138538A (ru) 2017-06-02 2021-07-09 ФУДЖИФИЛМ Тояма Кемикал Ко., Лтд. СРЕДСТВО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КОЛИЧЕСТВА АМИЛОИДНОГО β-БЕЛКА
KR20220101001A (ko) 2017-06-02 2022-07-18 후지필름 도야마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 타우병증 예방 또는 치료제
BR112019024851A2 (pt) * 2017-06-02 2020-06-09 Fujifilm Toyama Chemical Co Ltd agente para evitar ou tratar atrofia cerebral
EP3636262A4 (en) 2017-06-02 2020-06-10 FUJIFILM Toyama Chemical Co., Ltd. AG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ZHEIMER-LIKE DEMENTIA
EP3705121B1 (en) 2017-10-30 2023-08-30 FUJIFILM Toyama Chemical Co., Ltd. Emopamil binding protein binding agent and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5647A1 (fr) 2001-10-19 2003-05-01 Toyama Chemical Co., Ltd. Derives ou sels d'ether d'alkyle
WO2003105830A1 (ja) 2002-06-14 2003-12-24 富山化学工業株式会社 脳機能を改善する医薬組成物および脳機能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2 Alzheimer's Disease Facts and Figures. (http://www.alz.org/downloads/facts_figures_2012. pdf)
YAKUGAKU ZASSHI, 2010년, 제130권, 제4호, 521-526 페이지
시드·플래닝 프레스 릴리스 (2010년 12월 28일) (http://www.seedplanning.co.jp/press/2010/2010122801. html)
일본 임상, 2008년, 제66권 (증간호 1), 23-27 페이지
임상 정신 약리, 2011년, 제14권, 제7호, 1123-1129 페이지
임상 정신 약리, 2012년, 제15권, 제3호, 311-321 페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473962A (zh) 2023-07-25
IL270922A (en) 2020-01-30
RU2019138166A (ru) 2021-07-09
BR112019024851A2 (pt) 2020-06-09
MX2019014310A (es) 2022-06-10
AU2018276638B2 (en) 2021-04-08
EP3632431A1 (en) 2020-04-08
RU2019138166A3 (ko) 2021-07-09
CA3067453C (en) 2021-11-23
NZ759585A (en) 2022-02-25
EP3632431A4 (en) 2020-06-03
JP2023053337A (ja) 2023-04-12
WO2018221729A1 (ja) 2018-12-06
CN110709078A (zh) 2020-01-17
CN116492335A (zh) 2023-07-28
RU2759727C2 (ru) 2021-11-17
AU2018276638A1 (en) 2019-12-19
US20200215030A1 (en) 2020-07-09
SG11201911512SA (en) 2020-01-30
US11951092B2 (en) 2024-04-09
JPWO2018221729A1 (ja) 2020-04-09
JP7282028B2 (ja) 2023-05-26
CA3067453A1 (en) 2018-12-06
ZA201907973B (en)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7936A (ko) 뇌 위축 예방 또는 치료제
KR20190141762A (ko) 타우병증 예방 또는 치료제
JP2023058666A (ja) アルツハイマー型認知症予防または治療剤
JP7256118B2 (ja) アミロイドβ蛋白質量減少剤
JP7133547B2 (ja) 脊髄小脳変性症予防または治療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