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7784A - 인플레이터용 필터 - Google Patents

인플레이터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7784A
KR20190137784A KR1020197026552A KR20197026552A KR20190137784A KR 20190137784 A KR20190137784 A KR 20190137784A KR 1020197026552 A KR1020197026552 A KR 1020197026552A KR 20197026552 A KR20197026552 A KR 20197026552A KR 20190137784 A KR20190137784 A KR 20190137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eflector
inflator
lay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패트릭 알 아담즈키
앤서니 씨 우리베
블레이크 에이 힐
스티븐 디 헌츠맨
Original Assignee
제트에프 패시브 세이프티 시스템즈 유에스 인코포레이티드
에이씨에스 인더스트리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에프 패시브 세이프티 시스템즈 유에스 인코포레이티드, 에이씨에스 인더스트리즈, 인크. filed Critical 제트에프 패시브 세이프티 시스템즈 유에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37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0Filter screens essentially made of metal
    • B01D39/12Filter screens essentially made of metal of wire gauze; of knitted wire; of expanded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27Metall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01D46/525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which comprises flutes
    • B01D46/527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which comprises flutes in wound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8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woun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9Special geometry of layers
    • B01D2239/0695Woun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1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bags, e.g. infla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1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filter through which the inflation gas pa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ir Bag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인플레이터용 필터는 축에 대해 센터링되거나 전체적으로 3차원 인쇄되고, 복수 개의 개구를 포함하는 권취 시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개구에는 팽창 유체를 축에 대해 비반경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디플렉터가 연관된다.

Description

인플레이터용 필터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7년 2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459,660호의 이점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인플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팽창 유체로부터 미립자를 필터링하고, 팽창 유체를 냉각하는 데 기여하며, 팽창 유체의 흐름 경로를 안내하는 필터에 관한 것이다.
팽창식 차량 승객 보호 디바이스를 팽창시키는 팽창 유체를 제공하는 인플레이터가 알려져 있다. 기지의 인플레이터는, 팽창 유체로부터 미립자를 제거하거나 팽창 유체의 냉각을 돕도록 팽창 유체를 안내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팽창 유체를 비반경방향, 예컨대 둘레방향이나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신규의 개선된 인플레이터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양태에 따르면, 인플레이터용 필터는 축에 대해 센터링되거나 전체적으로 3차원 인쇄되고, 복수 개의 개구를 포함하는 권취 시트를 포함한다. 팽창 유체를 축에 대해 비반경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각각의 개구에는 디플렉터가 연관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양태와 조합되어 시트는 강망(expanded metal)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양태와 조합되어 시트는 복수 개의 반경방향층을 형성하도록 권취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양태와 조합되어 디플렉터는 제1 반경방향층 상에서는 제1 패턴으로 배열되고, 제2 반경방향 층 상에서는 상이한 제2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양태와 조합되어, 제1 반경방향층 상의 디플렉터는 제1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반경방향층 상의 디플렉터는 제1 형상과 상이한 제2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양태와 조합되어 디플렉터는 팽창 유체를 축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양태와 조합되어 디플렉터는 팽창 유체를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양태와 조합되어 디플렉터는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양태와 조합되어 디플렉터는 곡선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양태와 조합되어 필터의 제1 반경방향층 상의 디플렉터는 필터의 제2 반경방향층과 접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양태와 조합되어, 인플레이터는, 운전석 에어백, 조수석 에어백, 팽창식 측면 커튼, 팽창식 헤드라이너, 팽창식 시트 벨트, 팽창식 무릎 볼스터(knee bolster) 및 에어백에 의해 작동되는 무릎 볼스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승객 보호 디바이스를 팽창시킬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양태와 조합되어, 각각의 디플렉터는 시트에 있는 관련 개구와 유체 연통되는 출구 개구를 획정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양태와 조합되어, 각각의 디플렉터는 필터 내부에 또는 층들 사이에 갭/플리넘을 획정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양태와 조합되어,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가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양태와 조합되어, 2단 점화 인플레이터(two-stage pyrotechnic inflator)가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양태와 조합되어, 1단 점화 인플레이터가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과 더 충분한 이해가 달성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를 포함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필터를 포함하는 인플레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필터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필터의 정면도이다.
도 4c 내지 도 4e는 도 4b의 필터를 형성하기 위한 제조 단계를 예시한다.
도 5a는 도 4a의 필터 상의 디플렉터의 확대도이다.
도 5b 및 도 5c는 디플렉터를 위한 대안의 구성이다.
도 6은 비권취 상태의 도 4b의 필터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비권취 상태의 도 4b의 필터의 대안의 구성의 정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인플레이터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인플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팽창 유체를 냉각하는 것을 돕기 위해, 그리고 팽창 유체의 유로를 안내하기 위해, 팽창 유체로부터 미립자를 필터링하는 필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차량의 승객(도시하지 않음)을 보호하는 데 기여하는 장치(10)는 팽창식 차량 승객 보호 디바이스(1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된 실시예에서, 팽창식 차량 승객 보호 디바이스(16)는 차량의 계기판과 차량 승객 사이에서 계기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팽창 가능한 에어백을 포함한다. 예컨대, 팽창식 차량 승객 보호 디바이스(16)는 차량 핸들에서의 보관 상태로부터 팽창 가능한 운전자석 에어백 또는 계기판에서의 보관 상태로부터 팽창 가능한 조수석 에어백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팽창식 차량 승객 보호 디바이스(16)는 팽창식 측면 커튼, 팽창식 헤드라이너, 팽창식 시트 벨트, 팽창식 무릎 볼스터 또는 에어백에 의해 작동되는 무릎 볼스터일 수 있다.
장치(10)는 팽창식 차량 승객 보호 디바이스(16)와 연관된 인플레이터(12)를 포함한다. 인플레이터(12)는 팽창식 차량 승객 보호 디바이스(16)를 팽창시키는 팽창 유체를 생성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장치(10)는, 인플레이터(12)의 활성화가 요망될 수 있는 차량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14)도 또한 포함한다. 예컨대, 센서(14)는 차량 감속을 감지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센서(14)는 차량 감속의 크기 및 기간을 측정한다. 감속의 크기 및 기간이 예정된 문턱 수준을 충족하는 경우, 센서(14)는 인플레이터(1)를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이 신호가 전송되게 한다. 활성화 시, 인플레이터(12)는 팽창식 차량 승객 보호 디바이스(16)를 팽창시키는 팽창 유체를 제공한다. 보호 디바이스(16)는 팽창 시에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 데 기여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인플레이터(12)는 팽창 유체를 생성하기 위해 가스 생성 재료의 연소를 이용하는 점화 인플레이터이다. 그러나, 인플레이터(12)는 다양한 대안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인플레이터(12)는 소정량으로 보관되는 압축 팽창 유체를 가스 형태로 포함하는 보관식 가스 인플레이터일 수 있다. 인플레이터(12)는 대안으로서, 압축 팽창 유체와, 팽창 유체 가열을 위한 점화성 재료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인플레이터(12)는 임의의 타입일 수도 있고, 팽창 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일 수도 있다.
인플레이터(12)의 구체적인 구성은 변할 수 있다. 도 2는 인플레이터(12)의 가능한 한가지 구성의 예를 예시한다. 도 2에서, 인플레이터(12)는 베이스 섹션(18)과 디퓨저 섹션(20)을 포함한다. 2개의 섹션(18, 20)은 용접, 나사식 파스너나 리벳과 같은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함께 결합되고, 내부(28)를 획정하도록 협동한다. 디퓨저 섹션(20)은 인플레이터(12)를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 플랜지(22)와 차량 승객 보호 디바이스(14)를 포함한다. 디퓨저 섹션(20)은, 팽창 유체를 팽창식 차량 승객 보호 디바이스(16)로 안내할 수 있는 유출 개구(26)를 더 포함한다.
인플레이터(12)의 내부(28) 내에는 제1 연소 컵(30)이 마련된다. 제1 연소 컵(30)은 외측 원통벽(32)과 환형 정상벽(34)을 포함한다. 제1 연소 컵(30)은 거의 원통형 형태를 갖는 연소실(400)을 획정하는 데 기여한다. 연소실(40)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 또는 구성의 가스 생성 재료(35), 예컨대 추진체 펠릿을 수용한다.
연소실(40)은 점화기(80)를 포함한다. 점화기(80)는 점화성 재료(84)의 본체를 지지하는 하우징(82)을 포함한다. 하우징(82)은 소량의 점화성 재료 장전물(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스퀴브(squib)도 또한 지지한다. 스퀴브는 센서(14)에 작동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리드를 포함한다(도 1 참고). 점화기 캐리어(86)가 점화기(80)를 베이스 섹션(18)에 고정시킨다.
인플레이터(1)의 내부(28) 내에는 제2 연소 컵(50)도 또한 마련된다. 제2 연소 컵(50)은 외측 원통벽(52)과 환형 정상벽(54)을 포함한다. 제2 연소 컵(50)은 거의 원통형 형태를 갖는 연소실(60)을 획정하는 데 기여한다. 연소실(60)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 또는 구성의 가스 생성 재료(55), 예컨대 부스터 장전물로서 작용하는 추진체 펠릿을 수용한다.
연소실(60)은 점화기(90)를 수용한다. 점화기(90)는 점화성 재료(94)의 본체를 지지하는 하우징(92)을 포함한다. 하우징(92)은 소량의 점화성 재료 장전물(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스퀴브도 또한 지지한다. 스퀴브는 센서(14)에 작동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리드를 포함한다(도 1 참고). 점화기 캐리어(96)가 점화기(90)를 베이스 섹션(18)에 고정시킨다.
임의의 적절한 타입이나 구성의 추가의 가스 생성 재료(75), 예컨대 추진체 펠릿이 내부(28)와, 2개의 연소 컵(30, 50) 모두의 외측에 제공된다. 작동 시, 점화기(80)가 우선 활성화되어, 추진체(35)의 점화를 유발한다. 점화된 추진체(35)는 내부의 개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제1 연소 컵(30)을 빠져나간다. 제1 연소 컵(30)을 빠져나가는 연소 생성물은 추진체(75)를 점화하여, 개구(26)를 향해 흐르는 팽창 유체와 연소 생성물을 생성한다. 원한다면, 제2 점화기(90)가 활성화되어 추진체(55)를 점화시키고, 이는 기지의 방식으로 제2 연소 컵(50)을 빠져나가고 개구(26)를 향해 흐르는 팽창 유체와 연소 생성물을 생성한다.
팽창 유체 필터(100)는 베이스 섹션(18)과 디퓨저 섹션(20)에 인접하게 연소실(40, 60) 둘레에서 환형으로 그리고 유출 개구(26)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그 결과, 팽창 유체는 유출 개구(26)를 통해 인플레이터(12)로부터 방출되기 전에 필터(100)를 통과한다.
도 4a를 참고하면, 필터(100)는 거의 원통형 형태를 갖고, 축 또는 중심선(112)을 따라 제1 단부(114)에서부터 제2 단부(116)로 연장된다. 필터(100)는, 연소실(40, 60)과 주 추진체(75)가 위치 설정되는 내부 또는 중앙 통로(120)를 획정한다.
필터(100)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가지 예에서, 필터(100)는 임의의 금속, 예컨대 탄소강, 스테인리스강 또는 에어백 팽창 중에 고온을 견딜 수 있는 다른 적절한 금속이나 금속 합금, 플라스틱 또는 임의의 폴리머로 이루어진 시트(122)로 구성된다. 한가지 예에서, 시트(122)는 강망 재료로 형성된다. 대안으로서, 시트(122)는 천공 금속(도시하지 않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122)는 약 0.10 밀리미터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시트(122)는 기지의 금속 가공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형성되거나 3차원 인쇄될 수 있다.
도 4c 내지 도 4e를 참고하면, 금속 시트(122)는 그 자체를 중심으로 권취되거나 말려, 원통 형상의 다수의 층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금속 시트(122)는 컨베이어에 의해 절단 블레이드로 이송되고, 절단 블레이드는 처음에 금속 시트를 천공하거나, 이와 달리 천공 시트에 개구를 제공하며, 그 예를 도 4c 및 도 4e에 126으로 나타낸다. 그 후 금속 시트(122)는, 개구(126)가 원하는 크기 및/또는 형상으로 연신될 때까지 일반적으로 화살표 127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인장, 연신 또는 팽창된다. 대안으로서, 인장/연신/등의 단계가 생략된다. 금속 시트(122)는 그 후에 도 4d의 13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선(122)을 중심으로 권취되어 원통 형상을 형성한다. 도 4a 및 도 4b의 예시적인 구성에서, 필터(100)는 일반적으로 L1 내지 L4로 나타내고 중심선(112)을 중심으로 동심으로 배열되는 4개의 권취층을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필터는 전체적으로 3차원 인쇄될 수 있다.
개구(126)는 시트(122)를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되어, 팽창 유체가 중앙 통로(120)로부터 층(L1 내지 L4)을 통과하여 필터(100) 외부로 나가게 한다. 각각의 개구(126)는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라운드 형상,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직사각형 형상, 상이한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불규칙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개구(126)는 서로 동일한 형상 또는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원하는 팽창 유체 흐름 경로를 제공하도록 필터(100)를 중심으로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팽창 유체를 필터(100)로부터 멀어지는 원하는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디플렉터 또는 안내부(130)가 각각의 개구(126)와 연관된다. 디플렉터(130)는 다이, 펀치, 프레스 스탬프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시트와 일체로 3D 인쇄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플렉터(130)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디플렉터(130)는 시트(122)의 관련 개구(126) 위에 커버 또는 슈라우드(shroud)를 형성한다. 도 5a를 참고하면, 디플렉터(130)는 삼각형 형상을 갖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133)을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디플렉터는 측벽이 없을 수 있다. 측벽(133)은 대안으로서 서로에 대해 소정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정상 또는 연결벽(135)이 측벽(133)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벽(133, 135)들은 협동하여, 시트(122)의 개구(126)와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출구 개구(137)를 획정한다.
다른 예에서, 디플렉터(130a)는 아치형 형상(도 5b)을 갖는다. 이 구성에서, 디플렉터(130a)는 개구(126) 위에 슈라우드를 형성하고 출구 개구(137)를 획정하는 하나의 아치 또는 돔 형상 측벽(133a)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디플렉터(130b)는 삼각형 형상(도 5c)을 갖는다. 이 구성에서, 측벽(133b)은 삼각형이고, 시트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각진다. 측벽(133b)은 연결부 또는 정점(139)에서 서로 교차하고 협동하여 출구 개구(137)를 획정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플렉터(130)는 개구(126)를 빠져나가는 팽창 유체를 일반적으로 필터(100)의 제2 단부(116)를 향하는 방향(D1)으로 안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구(126)를 통과하는 팽창 유체 흐름은 원하는 궤적을 따르도록 디플렉터(130)에 의해 편향되고, 출구 개구(137)를 통해 필터를 빠져나간다. 대안으로서, 디플렉터(130)는 일반적으로 필터(100)의 제1 단부(114)를 향하는 방향(D1)(도시하지 않음)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팽창 유체를 안내할 수 있다. 양자의 경우, 팽창 유체는 필터(100)의 중심선(112)에 대해 거의 축방향으로 그리고 중심선에 거의 평행하게 또는 중심선에 대해 예각으로 지향된다.
디플렉터(130a)와 디플렉터(130b) 모두는 마찬가지로 팽창 유체를 방향(D1) 또는 방향(D1)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임의의 경우, 디플렉터(130, 130a, 130b)는 필터(100)로부터 멀어지는 비반경방향으로 팽창 유체를 안내한다. 즉, 팽창 유체는 시트(122)의 외면(124)에 수직하지 않거나 직각이 아닌 궤적을 따라 필터(100)를 빠져나가고, 이에 따라 궤적은 외면의 법선을 가로지른다.
도 4b에 도시한 대안의 구성에서, 필터(100a)는 팽창 유체를 중심선(112)을 중심으로 한 거의 둘레방향(D2)으로 지향시키도록 구성된 디플렉터(130)를 포함한다. 상기 방향은 (도시한 바와 같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디플렉터(130, 130a, 130b)의 방위는 이러한 팽창 유체 궤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트(122) 상에서 90°회전될 수 있다. 임의의 경우, 이들 구성에서의 팽창 유체는 시트(122)의 외면에 수직하지 않거나 직각이 아닌 궤적을 따라 필터(100a)를 빠져나간다.
도 6은 비권취 상태의 필터(100a)를 예시하는데, 즉 시트(122)가 거의 평면형 배향으로 구성된다. 금속 시트(122)는 외면(124)을 포함하고, 제1 단부(132)에서 제2 단부(134)로 연장된다. 제1 단부(132)는 권취된 필터(100a)의 제1 단부(112)에 대응한다. 제2 단부(134)는 권취된 필터(100a)의 제2 단부(114)에 대응한다.
시트(122)는 복수 개의 개구(126)와 로우(row)(140, 142)(도 6에서 수평방향) 및 로우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컬럼(column)(150, 152)(도 6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관련 디플렉터(130)를 포함한다. 시트(122)는 권취된 필터(100a)의 연속층(L1 내지 L3)을 나타내는 부분들로 분할된다. 권취된 필터(100a)는 더 많거나 더 적은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L1은 권취된 필터(100a)의 제1 층에 있는 로우(140, 142) 및 컬럼(150, 152)을 식별한다. L2는 제1 층(L1)의 반경방향 내측에 있는 다음 층의 로우(140, 142) 및 컬럼(150, 152)을 식별한다. L3는 제2 층(L2)의 반경방향 내측에 있는 다음 층의 로우(140, 142) 및 컬럼(1, 152)을 식별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층(L1)은 권취된 필터의 최외층이고, 제3 층(L3)은 최내층이다.
열(140)은 개구(126) 또는 디플렉터(130)를 포함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시트(122)의 변경되지 않은 외면(124)을 구성하고, 즉 로우는 비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로우(142)는 제1 층(L1)에 있는 로우(142) 전체를 따라 서로 연속적으로 단 대 단으로 위치 설정된 개구(126)와 관련 디플렉터(130)를 포함한다. 로우(140, 142)들은 L1 내지 L3에 따라 상이한 구성으로 시트(122)의 제1 단부(132)에서부터 제2 단부(134)까지 서로 교호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층(L1)과 제3 층(L3)에서는 제1 단부(132)에 있는 로우(142)가 제1 로우가다. 제2 층(L2)에서는, 제1 단부(132)에 있는 로우(140)가 제1 로우이다. 제2 층(L2)에 있는 로우(140, 142)는 이에 따라 인접한 층(L1, L3)의 로우들에 대하여 한 개 로우씩 변위되거나 오프셋되며, 즉 로우들은 하나의 층에 있는 개구(126)/디플렉터(130)의 로우(142)가 종방향으로 인접한 층(들)의 빈 로우(140)와 정렬되도록 교호하는 방식으로 변위된다. 결과적으로, 층(L1, L3)에 있는 로우(140)는 서로 그리고 제2 층(L2)에 있는 로우(142)와 종방향으로 정렬된다. 층(L1, L3)에 있는 로우(142)는 서로 그리고 제2 층(L2)에 있는 로우(140)와 종방향으로 정렬된다. 이에 따라, 제2 층(L2)에 있는 로우(140, 142)는 층(L1, L3)에 있는 대응하는 로우(140, 142)로부터 한 개 로우씩 아래로 변위된다.
열(140, 142)들의 변위 구성으로 인해, 제1 층(L1)의 컬럼(150)은 제3 층(L3)의 컬럼(152)과 동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층(L1, L3)에 있는 각각의 컬럼(150)은 제1 단부(132)에 있는 개구(126)와 대응하는 디플렉터(130)로 시작하고, 시트(122)의 제2 단부(134)에 도달할 때까지 개구/디플렉터 조합 및 외면(124) 사이에서 교호한다. 제1 층(L1)뿐만 아니라 제3 층(L3)도 또한 컬럼(152)을 포함한다.
제2 층(L2)에서는, 각각의 컬럼(152)이 제1 단부(132)에서 시트(122)의 외면(124)으로 시작하고, 시트(122)의 제2 단부(134)에 도달할 때까지 외면과 개구(125)/디플렉터(130) 조합 사이에서 교호한다. 제2 층(L2)은 컬럼(150)을 포함하지 않는다.
도 7은 비권취 상태의 시트(122)를 도시하고, 로우 및 컬럼의 개구(126) 및 디플렉터(130)의 배열이 수정된 필터(100b)의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예시한다. 이 예에서, 시트(122)는 복수 개의 개구(126)와 로우(160, 162)(도 7에서 수평방향) 및 로우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컬럼(170, 72)(도 7에서 수직방향)을 포함한다. L1은 권취된 필터(100a)의 제1 층에 있는 로우(160, 162) 및 컬럼(170, 172)을 식별한다. L2는 제1 층(L2)의 반경방향 내측에 있는 다음 층의 로우(160, 162) 및 컬럼(170, 172)을 식별한다. L3는 제2 층(L2)의 반경방향 내측에 있는 다음 층의 로우(160, 162) 및 컬럼(170, 172)을 식별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층(L1)은 권취된 필터의 최외층이고, 제3 층(L3)은 최내층이다.
로우(160)는 로우(140)와 유사하지만, 개구(126)와 관련 디플렉터(130)는 로우의 길이를 따라 서로로부터 더 멀리 이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플렉터(130)는 디플렉터와 거의 동일한 크기의 풋프린트를 갖는 외면(124)의 변경되지 않은 또는 빈 부분(161)만큼 로우(160) 내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각각의 로우(16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1 층(L1)의 좌측에서 개구/디플렉터 조합으로 시작하고, 제1 층의 우측까지 개구/디플렉터 조합과 외면(124)의 빈 부분이 교호한다.
열(162)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1 층(L1)의 좌측부에 있는 외면(124)의 빈 공간(161)에서 시작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로우(16)와 유사하고, 제1 층의 우측부까지 외면의 빈 공간과 개구/디플렉터 조합이 교호한다. 로우(160, 162)들은 시트(122)의 제1 단부(132)에서부터 제2 단부(134)까지 서로 교호한다. 더욱이, 로우(160, 162)들은, 로우(160)가 종방향으로 3개층 모두에 걸쳐 단 대 단 방식으로 서로 정렬되고, 로우(162)가 종방향으로 3개층 모두에 걸쳐 단 대 단 방식으로 서로 정렬되도록 층(L1 내지 L3)들 간에 변하지 않는다.
열(160, 162)의 구성으로 인해, 각각의 컬럼(170)은 제1 단부(132)에서 개구(126)/디플렉터(130)로 시작하고, 제2 단부까지 개구/디플렉터 조합과 외면(124)의 빈 부분(161)이 교호한다. 다른 한편, 각각의 컬럼(172)은 제1 단부(132)에서 외면(124)의 빈 부분(161)으로 시작하고, 제2 단부(134)까지 개구(126)/디플렉터(130)의 조합과 외면(124)의 빈 부분(161)이 교호한다. 컬럼(170, 172)은 시트(122)의 길이 전체에 걸쳐 (도 7에서 볼 때) 좌우 방향으로 서로 교호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층(L1 내지 L3)은 동일한 컬럼(170, 172)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각각의 층(L1 내지 L3) 내의 컬럼(172)은 인접한 컬럼(170)에 대하여 한 개 로우만큼 변위되는데, 즉 컬럼들은 한 개 로우만큼 변위 또는 오프셋되어 교호한다. 각각의 로우(160, 162)와 컬럼(170, 172)의 구성과, 각 로우 및 컬럼 내에서 외면(124)의 빈 공간(161)에 의한 디플렉터(130)들의 서로 간의 거리로 인해, 디플렉터는 시트(122) 상에서 체커판 방식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필터는 임의의 로우(140, 142, 160, 162)와 임의의 컬럼의 조합(150, 152, 170, 172)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임의의 층(L1 내지 L3)은 임의의 구성 및 개수의 로우(140, 142, 160, 162)와 임의의 구성 및 개수의 컬럼(150, 152, 170, 172)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임의의 하나의 층(L1 내지 L3) 상에서의 디플렉터(130)의 구성은 임의의 다른 층(L1 내지 L3) 상에서의 디플렉터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더욱이, 디플렉터(130)는 층(들)(L1 내지 L3) 상에, 원하는 성능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다른 임의의 바람직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임의의 로우 또는 임의의 컬럼에서의 임의의 하나의 디플렉터는 도시되고 기술된 구성들 중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층 상의 디플렉터는 팽창 유체를 축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다른 층 상의 디플렉터는 팽창 유체를 둘레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필터(100)가 중심선(112)을 중심으로 권취될 때, 디플렉터(130)는 층들을 반경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시킨다는 추가의 장점을 제공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100)는 제3 층(L3) 내측의 추가의 제4 층(L4)을 포함하고, 제1 층(L1)에는 디플렉터(130)가 없다. 층(L1 내지 L4)들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만 각각의 상이한 디플렉터(130, 130a, 130b) 구성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디플렉터(130)가 시트(122)의 외면(124)으로부터 연장되기 때문에, 각각의 층은 인접한 반경방향 내측의 층 상의 디플렉터와 접하여, 2개 층들 사이에 플리넘 또는 갭(129)을 획정한다. 그 결과, 제1 층(L1)과 제2 층(L2) 사이, 제2 층(L2)과 제3 층(L3) 사이 및 제3 층(L3)과 제4 층(L4) 사이에 플리넘(129)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팽창 유체가 디퓨져 섹션(20)에 있는 개구(126)에 도달하기 전에 통과해야만 하는 필터(100)의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필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에어백 인플레이터(12a, 12b, 12c)를 예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12a, 12b)는 점화성 인플레이터이고, 인플레이터(12c)는 스티어링 휠 외측에 위치하는 팽창 보호 디바이스를 위한 하이브리드/보관식 가스 인플레이터이다. 각각의 인플레이터(12a-12c)에 있는 필터(100)의 위치는 도 10 내지 도 12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2의 예시적인 구성에서, 인플레이터(12a, 12b, 12c)는 긴 원통 형상이고, 복수 개의 둘레방향 배열 유출 개구(26a, 26b, 26c)를 포함한다. 각각의 인플레이터(26a, 26b, 26c)는 필터(100)를 포함한다. 필터(100)는 여기에 설명된 구성들 중 임의의 구성, 구체적으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 구성들 중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의 필터가 있는 연소실은 관형, 원통형, 라운드형, 다각형, 원환면형 등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필터는 연소실의 형상으로 윤곽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은 본 발명의 예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고려 가능한 모든 구성요소 또는 방법론의 조합을 일일이 설명하기란 불가능한 것은 물론이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여러 다른 조합 및 순서를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 내에 속하는 모든 변경, 수정 및 변화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6)

  1. 인플레이터용 필터로서,
    축에 대해 센터링되거나 전체적으로 3차원 인쇄되고, 복수 개의 개구를 포함하는 권취형 시트와, 축에 대해 비반경방향으로 팽창 유체를 안내하기 위해 각각의 개구와 연관된 디플렉터를 포함하는 인플레이터용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강망(expanded metal)으로 형성되는 것인 인플레이터용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복수 개의 반경방향층을 형성하도록 권취되는 것인 인플레이터용 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제1 반경방향층 상에서는 제1 패턴으로 배열되고, 제2 반경방향층 상에서는 상이한 제2 패턴으로 배열되는 것인 인플레이터용 필터.
  5. 제4항에 있어서, 제1 반경방향층 상의 디플렉터는 제1 형상을 갖고, 제2 반경방향층 상의 디플렉터는 제1 형상과 상이한 제2 형상을 갖는 것인 인플레이터용 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팽창 유체를 축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인 인플레이터용 필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팽창 유체를 축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인 인플레이터용 필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것인 인플레이터용 필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곡선형 형상을 갖는 것인 인플레이터용 필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제1 반경방향층 상의 디플렉터는 필터의 제2 반경방향층과 접하는 것인 인플레이터용 필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운전석 에어백, 조수석 에어백, 팽창식 측면 커튼, 팽창식 헤드라이너, 팽창식 시트 벨트, 팽창식 무릎 볼스터(bolster) 및 에어백에 의해 작동되는 무릎 볼스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승객 보호 디바이스를 팽창시키는 것인 인플레이터용 필터.
  1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디플렉터는 시트에 있는 관련 개구와 유체 연통되는 출구 개구를 획정하는 것인 인플레이터용 필터.
  1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디플렉터는 필터 내부 또는 층들 사이에 갭/플리넘을 획정하는 것인 인플레이터용 필터.
  14. 제1항에 따른 필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15. 제1항에 따른 필터를 포함하는 2단 점화 인플레이터.
  16. 제1항에 따른 필터를 포함하는 1단 점화 인플레이터.
KR1020197026552A 2017-02-16 2018-01-18 인플레이터용 필터 KR201901377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59660P 2017-02-16 2017-02-16
US62/459,660 2017-02-16
PCT/US2018/014134 WO2018151893A1 (en) 2017-02-16 2018-01-18 Inflator fil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784A true KR20190137784A (ko) 2019-12-11

Family

ID=63106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552A KR20190137784A (ko) 2017-02-16 2018-01-18 인플레이터용 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76062B2 (ko)
EP (1) EP3583005B1 (ko)
JP (2) JP2020507519A (ko)
KR (1) KR20190137784A (ko)
CN (1) CN110582433B (ko)
WO (1) WO20181518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3271B2 (en) * 2016-08-24 2018-10-09 Autoliv Asp, Incorporated Tortuous path filter for airbag inflator
EP3415377B1 (en) * 2017-06-13 2020-07-22 ArianeGroup SAS Pyrotechnical gas generator for an airbag
US11154802B2 (en) * 2019-07-26 2021-10-26 Autoliv Asp, Inc. Inflator filter for an inflatable airbag system
US20230163407A1 (en) * 2021-11-19 2023-05-25 Acs Industries, Inc. Battery thermal runaway vent assembly with expanded metal filter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0171A (en) * 1990-10-29 1992-03-3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Filter assembly for airbag inflator
AU660126B2 (en) * 1993-08-30 1995-06-08 Morton International, Inc. Unitary filter for pyrotechnic airbag inflator
US5360232A (en) * 1993-09-14 1994-11-01 Morton International, Inc. Filtration in hybrid inflators
US5562304A (en) * 1995-07-07 1996-10-0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inflator having a corrugated filter wall
JPH10315897A (ja) 1997-05-15 1998-12-02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のクーラント/フィルタ
JPH1143007A (ja) * 1997-07-30 1999-02-16 Nippon Kayaku Co Ltd ガス発生器及びそのフィルタ
US6149192A (en) * 1998-08-11 2000-11-21 Trw Inc. Inflator having gas deflector flanges
DE10006522B4 (de) * 1999-03-05 2018-02-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ufblasvorrichtung für einen zweistufigen Airbag
JP4532124B2 (ja) 2004-01-07 2010-08-25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ガス発生器用フィルタ
US10717032B2 (en) * 2006-09-21 2020-07-21 Acs Industries, Inc. Expanded metal filters
US8142534B2 (en) * 2006-12-20 2012-03-27 Tk Holdings, Inc. Gas generating system
JP2008201404A (ja) * 2006-12-20 2008-09-04 Tk Holdings Inc ガス生成システム
US7823919B2 (en) * 2008-05-27 2010-11-02 Autoliv Asp, Inc. Filter for airbag inflator using variable expanded metal
DE102008052481B4 (de) * 2008-10-17 2012-04-26 Takata-Petri Ag Gasgeneratorbaugrupp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9015217B3 (de) * 2009-03-31 2010-10-14 Takata-Petri Ag Filtervorrichtung und Gasgenerator mit einer Filtervorrichtung
JP5638962B2 (ja) * 2011-01-07 2014-12-10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US8702125B1 (en) * 2013-01-18 2014-04-22 Autoliv Asp, Inc. Multi-strainer emission treatment for inflatable restraint system inflators
US9873403B2 (en) * 2013-09-19 2018-01-23 Key Safety Systems, Inc. Inflator with flow wash strainer
US9221420B2 (en) * 2013-11-12 2015-12-29 Autoliv Asp, Inc. Airbag inflation systems and methods
US9193327B2 (en) * 2014-01-13 2015-11-24 Autoliv Asp,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lation gas filtration through a tortuous flow pathway
CN205131176U (zh) * 2015-09-11 2016-04-06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乘员保护装置及汽车安全座椅
US10093271B2 (en) * 2016-08-24 2018-10-09 Autoliv Asp, Incorporated Tortuous path filter for airbag inf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1893A1 (en) 2018-08-23
CN110582433B (zh) 2022-02-11
US20180229687A1 (en) 2018-08-16
US10676062B2 (en) 2020-06-09
JP2022169682A (ja) 2022-11-09
CN110582433A (zh) 2019-12-17
EP3583005B1 (en) 2021-12-08
EP3583005A1 (en) 2019-12-25
JP2020507519A (ja) 2020-03-12
EP3583005A4 (en)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7784A (ko) 인플레이터용 필터
US6095561A (en) Multi-chamber inflator
US5934705A (en) Two chamber inflator body
US7597353B2 (en) Inflator device having an annular inflation gas discharge opening
US7568728B2 (en) Inflator device having modular construction and radial inflation gas flow
US5624133A (en) Prefilter for gas generating air bag inflator
US6701849B2 (en) Dual stage air bag inflator with secondary propellant cap
WO2005023604A1 (en) Pyrotechnique side impact inflator
JP6412161B2 (ja) 曲流路による膨張ガス濾過システム及び方法
US9221420B2 (en) Airbag inflation systems and methods
US6116642A (en) Inflator for inflating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9295935B1 (en) Inflator with directional flow separation disc
JP2019531975A (ja) エアバッグインフレータ用蛇行経路フィルタ
US7665765B2 (en) Air-bag and method of folding the same
US6213501B1 (en) Method of improving ballistics by ignition system porting in an airbag inflator
JP4402705B2 (ja) エアバッグインフレーター用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981628B2 (en) Method for folding an airbag, and airbag module
US7950692B2 (en) Gas generation device with consumable ignitor tube
US7140638B2 (en) Inflator filter retainer
US8894096B2 (en) Radial flow disc inflator
JP4671698B2 (ja) 多段ガス発生器
JP2006160122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3053120A (ja) フィルタ及びガス発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