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972A -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972A
KR20190136972A KR1020190063117A KR20190063117A KR20190136972A KR 20190136972 A KR20190136972 A KR 20190136972A KR 1020190063117 A KR1020190063117 A KR 1020190063117A KR 20190063117 A KR20190063117 A KR 20190063117A KR 20190136972 A KR20190136972 A KR 20190136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sential oil
composition
oil
cosmetic composition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4762B1 (ko
Inventor
김민정
문지영
김정미
박병권
김아름
신진희
이지원
박진오
Original Assignee
유씨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씨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씨엘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36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혼합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은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긴장 완화, 정서 안정, 심신 안정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어서, 미용 및 화장품 분야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Description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WITH ESSENTIAL OIL OF ROSEMARINUS OFFCINALIS AND ESSENTIAL OIL OF TORREYA NUCIFERA LEAF,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혼합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부여하고 심신 안정에 도움을 주는 천연 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트레스란 여러 가지 형태의 불쾌감이나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의미한다. 스트레스가 발생하면 심리적인 불안정이 초래되고, 이로 인해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자율신경계인 교감신경계가 과도하게 자극되어 긴장감 고조와 함께 수면 장애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심장병, 위궤양, 고혈압 따위의 신체적 질환을 일으키기도 하고 불면증, 노이로제, 우울증 따위의 심리적 부적응을 나타내기도 한다.
현재 효과가 입증된 스트레스 해소 방법에는, 심리 혹은 정신 치료 요법, 바이오 피드백 요법, 점진적 이완 요법 또는 운동 요법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외적인 스트레스 요인들을 직접적으로 제거할 수는 없다 할지라도, 개인이 각자의 삶 속에서 끊임없이 찾아오는 각종 스트레스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이들이 건강에 미치는 나쁜 영향을 덜 받으며 지낼 수 있게 하는 방법들이다. 이러한 스트레스 해소 방법 중 방향요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직장이나 공공장소에서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향을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향기요법에 적용되는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향기 물질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자율신경의 균형성을 유지시켜 질병이나 몸의 부조화를 다스리는 면역기능을 더욱 강화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스트레스와 관련된 아로마 요법에 대한 일부 연구에서는, 몇 가지 아로마 오일의 흡입 방법에 따른 전후 주관적 평가를 통해 작업 환경에서 스트레스 감소 효과를 보고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197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혼합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부여하고 심신 안정에 도움을 주는 천연 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로즈마리 정유 그리고 비자나무 잎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향료 조성물은 상기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5:95 내지 95: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료 조성물은 버가못, 레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료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료 조성물은 스트레스 완화용 또는 심신 안정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로즈마리 정유 그리고 비자나무 잎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토너, 로션, 바디로션, 크림, 밤, 에센스, 젤, 왁스, 헤어케어 화장료 및 바디케어 화장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은,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혼합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긴장 완화, 정서 안정, 심신 안정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어서, 미용 및 화장품 분야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로 조성물을 함유한 화장품을 사용하기 전후의 brain mapping image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정도'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즈마리 정유 그리고 비자나무 잎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조성물은 천연 유래의 혼합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긴장 완화, 정서 안정, 심신 안정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어서, 미용 및 화장품 분야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상기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는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지중해 원산의 상록성 목본으로, 주로 유럽남부 지방에서 재배되어 온 유럽의 전통적인 향미료 중 하나이며 1,8-시네올(1,8-cineole), 장뇌(camphor), 베르베논(Verbanon) 알파-피넨(-pinene)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정유 및 로즈마릭산(rosmarinic acid) 등의 고미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건위제, 구풍제, 소염제 및 살충제 등으로 약용되어 왔다.
상기 로즈마리에서 추출되는 로즈마리 정유는 정신각성, 집중력 증진, 기억력 향상 효과가 뛰어나 정신 집중을 요하는 학생들에게 유용하다. 또한 강심효과, 혈압상승 효과가 있어 저혈압 환자에게 도움이 되며, 림프순환 촉진 효과 및 체액 정체 해소 효과가 뛰어나 셀룰라이트, 비만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상기 로즈마리 정유는 진통효과가 있어 근육통 및 관절통에도 효과적이며 주름완화 효과가 있어 모발 촉진과 탈모방지에 효과적이다. 무엇보다 강하고 깨끗하며 상쾌한 향으로 기분 전환 및 스트레스 해소 또는 완화에 큰 효능을 보인다. 또한 천연방부제로 작용하여 제형화 된 제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로즈마리 정유는 추출 대상인 로즈마리로부터 향기 성분을 응축시켜 얻어진 오일상의 추출물을 말한다. 정유 추출물의 제조에는 수증기 증류법, 휘발성 용제(벤젠, 헥산 등)를 이용한 용제추출법, 침출법(추출 대상에 상처를 내어 침출 수액을 수집하는 방법), 초임계추출법 등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로즈마리 정유는 상기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직접 수득할 수도 있으며, 시중에 판매되는 고순도의 정유를 구입할 수도 있다.
상기 비자나무(Torreya nucifera)는 우리나라 남부와 제주도에 나는 상록수로, 전세계적으로 우리나라와 일본에만 제한되어 분포한다. 비자나무는 식용, 관상용, 공업용, 약용으로 쓰이고, 종자는 먹거나 기름을 짜내서 이용한다. 또한, 한방과 민간에서는 과실을 구충, 발모, 건위, 조경, 장출혈 등에 약재로이용하고, 목재는 건축재, 기구재, 선박용재 등에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비자나무 잎 정유는 추출 대상인 비자나무 잎으로부터 향기 성분을 응축시켜 얻어진 오일상의 추출물을 말한다. 정유 추출물의 제조에는 수증기 증류법, 휘발성 용제(벤젠, 헥산 등)를 이용한 용제추출법, 침출법(추출 대상에 상처를 내어 침출 수액을 수집하는 방법), 초임계추출법 등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비자나무 정유는 상기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직접 수득할 수도 있으며, 시중에 판매되는 고순도의 정유를 구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향료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5:95 내지 95: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0:90 내지 90:10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5:85 내지 85:1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가 혼합되었을 때 사용감 및 효능을 가장 잘 나타날 수 있으며, 로즈마리 정유가 5 중량비 미만이거나 비자나무 잎 정유가 5 중량비 미만으로 사용되면 효능이 충분히 발현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 향료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버가못, 레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상기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 혼합물 전체에 대해서 50 내지 4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향료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일랑일랑, 페퍼민드, 팔마로사 및 시더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을 더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식물성 오일은 녹차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포도씨 오일, 메도우폼씨 오일, 콩오일, 비타민나무 오일, 동백나무씨 오일 및 유자씨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향료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스트레스 완화용 또는 심신 안정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스 완화'는 생체에 가해지는 여러 상해 및 자극에 대해 체내에서 일어나는 비특이적인 생물반응인 스트레스의 정도를 완화하고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특히 외부 요인으로 인한 정신적인 스트레스 또는 긴장을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심신 안정'은 신체적인 안정과 달리 심리적인 측면에서 마음이 편안하고 불안해하지 않으며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그러한 상태가 지속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리적 안정은 스트레스로부터 멀어져 정신이 편안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정서를 안정하게 하고 릴렉스(relax)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뇌파 중에 알파파를 증가시키고, 베타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뇌파에서 알파(α)파는 편안한 상태, 베타(β)파는 불안하거나 긴장 상태, 세타(θ)파는 즐겁거나 졸릴 때, 델타(δ)파는 깊은 수면시에 발생한다.
이어지는 실험예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알파파의 활성 비율이 높아진다는 것은 인체에 대한 이완 및 진정 효과가 있고 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토너, 로션, 바디로션, 크림, 밤, 에센스, 젤, 왁스, 헤어케어 화장료 및 바디케어 화장료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바디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밤, 에센스, 영양에센스, 젤, 왁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클렌저 등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헤어케어 화장료로 사용되는 경우, 샴푸, 린스, 헤어팩,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비누, 헤어토너,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및 헤어젤 등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샴푸 또는 린스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디케어 화장료는 목욕 및 샤워 제품 등을 들 수 있으며, 액체비누, 고형비누, 과립, 분말, 향기주머니 또는 크림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바디케어 화장료의 제제는 입욕제, 바디 샴푸, 비누, 바디 오일, 바디 로션, 바디 젤, 트리트먼트 크림, 피부 보호 연고, 면도용 거품 또는 젤과 같은 면도 제제, 및 베이비 파우더와 같은 스킨 파우더, 보습 젤, 보습 스프레이, 활력 바디 스프레이, 셀룰라이트 젤 및 필링 제제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밤,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고, 스프레이의 경우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또는 유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브틸글리콜 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현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 실시예 ] 향료 조성물 준비
1. 로즈마리 정유의 준비
제주지역에서 채집된 로즈마리 250g을 3cm 크기로 분쇄하였다. 분쇄된 로즈마리를 증류 정유 추출장치에 넣고, 100℃ 온도에서 약 4시간 동안 추출과정을 진행하였으며, 0.6~0.8%의 수율로 로즈마리 정유를 수득하였다.
2. 비자나무 잎 정유의 준비
제주지역에서 채집된 비자나무 잎 250g을 3cm 크기로 분쇄하였다. 분쇄된 비자나무 잎을 증류 정유 추출장치에 넣고, 100℃ 온도에서 약 4시간 동안 추출과정을 진행하였으며, 0.1~0.2%의 수율로 비자나무 잎 정유를 수득하였다.
3. 추가 성분의 준비
시판 중인 버가못, 레몬, 일랑일랑, 페퍼민드, 팔마로사, 시더우드 등을 각각 준비하였다.
4. 향료 조성물 조합
상기 준비 과정에 의해 수득한 로즈마리 정유 추출물, 비자나무 잎 정유 추출물 및 추가 성분을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비로 균질하게 혼합한 후, 시험에 사용하였다.
로즈마리 비자나무 버가못 레몬 일랑일랑 페퍼민드 팔마로사 시더우드
비교예1 100 - - - - - - -
비교예2 - 100 - - - - - -
실시예1 50 50 - - - - - -
실시예2 70 30 - - - - - -
실시예3 20 80 - - - - - -
실시예4 30 30 40 - - - - -
실시예5 40 10 35 15 - - -
실시예6 40 10 30 - 10 - - 10
실시예7 20 5 40 12 - 23 - -
실시예8 10 2 30 15 8 - 15 20
[ 실험예 ] 향료 조성물의 생리적/심리적 효과 측정
향료 조성물의 생리/심리적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여, 뇌파(EEG), 심박수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와 같다.
뇌파 측정은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고, 최대한 잡음이 혼입되지 않는 안정한 상태에서 이루어 졌으며, 전두엽의 뇌파의 변화를 10-20 전극배치법의 19개 두피 위치를 측정하였고, 전두엽 부위(Fp1, Fp2, Fz, F3, F4, F7, F8)를 분석하였다. 상기 표 1의 향료 조성물을 찍어 피험자의 코로부터 3cm 거리를 유지하고 피험자가 눈을 감은 상태에서 향 흡입 전과 후 각각 3분씩 측정하였다. 선정된 시험자들은 20-39세 성인 여성 25명을 대상으로 특별한 피부증상이나, 향을 맡기에 불편한 후각 증상은 없었으며, 시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환 및 약물 복용력은 없었다.
또한, 심전도 측정을 위하여 양 팔에 심전도 전극을 부착하였으며 향을 맡은 전, 후의 심박수를 측정하였다.
1. 뇌파 변화 측정 결과
향 종류에 따른 중추신경반응을 뇌파로 측정하여 상대적 α-파와 상대적 β -파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하기 표 2 및 표 3은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 및 비교예의 사용에 따른 상대적 α-파와 β-파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이다.
α/β 비교예 1 비교예 2
평균 증감률
(%)
평균 증감률
(%)
Fp1 2.45 15.51 2.37 8.73
2.83 2.577
Fp2 2.528 12.26 2.365 12.94
2.838 2.671
Fz 2.883 15.21 2.771 7.04
3.3215 2.966
F3 2.504 12.96 2.467 3.65
2.8285 2.557
F4 2.577 10.26 2.461 5.32
2.8415 2.592
F7 2.133 11.35 2.112 9.04
2.375 2.303
F8 2.262 12.36 2.17 9.40
2.5415 2.374
평균 - 12.84 - 8.02
α/β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평균 증감률
(%)
평균 증감률
(%)
평균 증감률
(%)
평균 증감률
(%)
평균 증감률
(%)
Fp1 2.53 21.86 2.49 27.83 2.43 22.63 3.973 15.63 3.245 13.47
3.083 3.183 2.98 4.594 3.682
Fp2 2.691 11.67 2.692 15.34 2.691 14.27 3.848 14.79 2.891 16.60
3.005 3.105 3.075 4.417 3.371
Fz 2.995 22.77 2.895 23.56 2.995 21.77 4.571 19.23 4.307 9.75
3.677 3.577 3.647 5.450 4.727
F3 2.541 22.00 2.541 23.65 2.541 22.83 3.740 22.97 3.238 15.87
3.1 3.142 3.121 4.599 3.752
F4 2.693 14.78 2.623 21.65 2.693 25.92 3.897 20.35 3.249 19.51
3.091 3.191 3.391 4.690 3.883
F7 2.154 13.60 2.134 13.73 2.174 12.56 3.398 11.71 3.000 11.97
2.447 2.427 2.447 3.796 3.359
F8 2.354 15.08 2.454 10.80 2.344 19.41 3.493 11.74 2.926 11.11
2.709 2.719 2.799 3.903 3.251
평균 - 17.39 - 19.51 - 19.91 16.63 14.04
상기 표 2 및 표 3을 참조하면, 비교예 및 실시예의 향료 조성물의 향을 맡기 전과 후의 α/β 비율은 Fp1, Fp2, Fz, F3, F4, F7 및 F8에서 모두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혼합 사용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인 실시예 1 내지 5의 α/β 비의 증감율이 단독 사용된 비교예보다 높았으며, 이는 로즈마리 정유와 비나자무 잎 정유를 혼합하여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이 심신 안정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성분인 비교예 1 및 2를 살펴보면, 로즈마리 정유가 비자나무 잎 정유보다 뇌파 안정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가 서로 다른 비율로 함유된 실시예 2 및 3의 α/β 비율은 각각 19.51과 19.91로 로즈마리 정유를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의 12.84보다 현저히 높았으며, 비자나무 잎 정유의 함유비가 높은 실시예 3이 실시예 2보다 α/β 비율이 0.4 정도 더 높았다.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가 동일한 비율로 함유된 실시예 1은 서로 다른 비율로 함유된 실시예 2 및3 보다 낮은 α/β 비를 보여, 로즈마리 정유 및 비자나무 잎 정유가 각각 뇌파 안정에 효과가 있음을 알더라도, 두 성분의 단순 혼합만으로 두 성분의 뇌파 안정에 효과가 있음을 쉽게 예측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2. 심박수 변화 측정 결과
향 종류에 따른 심전도 측정을 통한 심박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하기 표 4는 향료 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심박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다.
심박수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평균
69.38 68.546 68.234 65.855 73.484 77.716 78.830
69.177 67.698 66.639 64.572 70.049 75.555 75.283
차이 -0.203 -0.848 -1.595 -1.283 -3.435 -2.161 -3.547
증감률(%) -0.29 -1.24 -2.34 -1.95 -4.67 -2.78 -4.50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비교예와 실시예 모두 향을 맡기 전보다 후에 심박수가 낮아졌으며, 이는 비교예와 실시예 모두 심신안정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비교에 1 및 2보다는 실시예 1 내지 3이 심박수 안정에 훨씬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인 실시예 1 내지 5가 비교예 1 내지 2보다 향을 맡기 전보다 후에 심박수가 현저히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2 및 실시예 1 내지 3을 살펴보면, 심박수 안정에 비자나무 잎 정유가 로즈마리 정유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4 및 5를 살펴보면, 버가못이나 레몬이 더 포함된 경우에도, 로즈마리 정유나 비자나무 잎 정유가 각각 단독으로 사용된 비교예보다 심박수 안정에 훨씬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3. 상대불안척도( STAI -X- 1)를 이용한 평가
향을 맡기 전과 후, 사용자가 느끼는 불안척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설문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20개 문항에 대하여 4점 척도(1. 전혀 그렇지 않다, 2. 조금 그렇다, 3. 보통으로 그렇다, 4. 대단히 그렇다)로 평가하였으며, 총합계가 낮을수록 불안감이 낮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 사용한 상태-특성 불안 척도(STA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는 Spielberger(1970)가 정신장애가 없는 정상 성인의 불안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이며, 김정택(1978)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태불안척도'는 특수한 상황을 바로 그 순간에 어떻게 느끼는가를 묻는 2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성불안척도'는 개인이 선천적으로 타고난 정서적 불안 특성을 묻는 2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불안 척도의 채점결과는 최하 20점에서 최고 80점까지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기 표 5는 향료 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상대불안측도(STAI-X-1)를 분석한 결과이다.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41.35 39.56 39.56 39.56 39.56 37.26 38.1 36.7
39.84 41.37 36.11 35.37 36.21 34.96 33.5 32.05
차이 -1.51 1.81 -3.45 -4.19 -3.35 -2.304 -4.6 -4.65
감소율 -3.65 4.58 -8.72 -10.59 -8.47 -6.18 -12.07 -12.67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비교예보다는 실시예의 조성물이 사용자가 느끼는 불안감의 척도가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다. 비자나무 잎 정류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불안감이 오히려 증가하였으나,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류를 혼합하여 사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은 불안감의 척도가 현저히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상기 표 2 내지 5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향료 조성물을 흡입한 경우가 개별 정유 성분을 함유한 비교예의 조성물을 흡입한 경우보다 심신의 이완 및 안정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불면증, 스트레스, 흥분, 피로 등으로 인해 불편함을 겪는 사람들에게 심리적 편안함과 안정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제조예 ]
하기 표 6과 같은 성분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을 제조하였고,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한 화장품을 사용하기 전과 사용 후의 brain mapping image를 측정하여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 의한 향을 제공하지 않은 상태보다 향을 제공하였을 때 α-파의 활성이 더 높았으며 전두엽과 측두엽을 포함한 전반적인 뇌 영역에서 알파파의 활성이 높았다.
성분 함량(%)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5
정제수 75.3409 79.0599 75.9198 73.0100
에틸헥실팔미테이트 7.5000 2.0000
글리세린 6.0000 4.0000 4.0000 5.0000
세테아레스-20 2.5000 2.0000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1.1820 1.0000
세테아릴알코올 1.0000 2.0000
1,2-헥산다이올 1.0000 1.5000 1.2000 1.2000
동백나무씨오일 1.0000 1.0000
트레할로오스 1.0000 1.0000
자일리틸글루코사이드 0.8000 0.4000
시어버터 0.6000 1.0000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5000 0.8000
알지닌 0.5000 0.0001 0.8000
안하이드로자일리톨 0.3125 0.2700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3000 0.3000
잔탄검 0.1000 0.0500
글루코오스 0.0800 0.0500
소듐파이테이트 0.0500 0.0500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0.0200 89.0000
부틸렌글라이콜 0.0065 3.0000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0.0028 2.0000
해바라기씨오일 0.0026 0.50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0013 1.00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0010 0.5000
에틸헥실글리세린 0.0002
카프릴릴글라이콜 0.0002
다이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 2.5000 6.0000
라우레스-23 2.0000 3.0000
라우릴베타인 2.0000 3.5000
베타인 1.5000 0.5000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 1.3500
소듐클로라이드 1.3000 1.0980
폴리쿼터늄-10 1.0000 1.0860
솔비톨 1.0000 0.5000
코코-베타인 0.6000
데실글루코사이드 0.5500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400 0.0300
시트릭애씨드 0.0001 0.0001
티이에이-코코일글루타메이트 2.1000
소듐벤조에이트 0.0660
다이메티콘올 6.0000
다이실록세인 3.0000
실시예 2 0.2000
실시예 4 2.0000
실시예 5 1.6000
실시예 6 2.0000
실시예 7 0.100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로즈마리 정유; 그리고
    비자나무 잎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5:95 내지 95: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버가못, 레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인 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을 더 포함하는 것인 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트레스 완화용 또는 심신 안정용 것인 향료 조성물.
  6. 로즈마리 정유; 그리고
    비자나무 잎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토너, 로션, 바디로션, 크림, 밤, 에센스, 젤, 왁스, 헤어케어 화장료 및 바디케어 화장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63117A 2018-05-30 2019-05-29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34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178 2018-05-30
KR20180062178 2018-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972A true KR20190136972A (ko) 2019-12-10
KR102234762B1 KR102234762B1 (ko) 2021-04-01

Family

ID=6900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117A KR102234762B1 (ko) 2018-05-30 2019-05-29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7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241A1 (ko) * 2019-05-31 2020-12-03 유씨엘 주식회사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456581A (zh) * 2021-08-09 2021-10-01 信阳农林学院 一种迷迭香精油鼻用原位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435375B1 (ko) * 2022-04-21 2022-08-23 주식회사 다정글로벌 기호도가 우수한 저자극성 향수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062A (ko) * 2009-03-23 2010-10-01 (주)아모레퍼시픽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0602A (ko) * 2009-11-30 2011-06-08 (주)아모레퍼시픽 항산화 효과를 갖는 천연 향료 조성물
KR20120131970A (ko) 2011-05-27 2012-12-05 (주)아모레퍼시픽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41132A (ko) * 2012-06-15 2013-12-26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비자나무 잎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항스트레스성 천연 항료 조성물
KR20140046200A (ko) * 2012-10-10 2014-04-18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
KR101810230B1 (ko) * 2017-01-13 2017-12-1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062A (ko) * 2009-03-23 2010-10-01 (주)아모레퍼시픽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0602A (ko) * 2009-11-30 2011-06-08 (주)아모레퍼시픽 항산화 효과를 갖는 천연 향료 조성물
KR20120131970A (ko) 2011-05-27 2012-12-05 (주)아모레퍼시픽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41132A (ko) * 2012-06-15 2013-12-26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비자나무 잎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항스트레스성 천연 항료 조성물
KR20140046200A (ko) * 2012-10-10 2014-04-18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
KR101810230B1 (ko) * 2017-01-13 2017-12-1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sia Begum et al, ‘AN IN-DEPTH REVIEW ON THE MEDICINAL FLORA ROSMARINUS OFFICINALIS (LAMIACEAE)’, Acta. Sci. Pol. Technol. Aliment., 2013, Vol.12, No.1, pp.61-73*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241A1 (ko) * 2019-05-31 2020-12-03 유씨엘 주식회사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7815A (ko) * 2019-05-31 2020-12-09 유씨엘 주식회사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456581A (zh) * 2021-08-09 2021-10-01 信阳农林学院 一种迷迭香精油鼻用原位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456581B (zh) * 2021-08-09 2024-02-02 信阳农林学院 一种迷迭香精油鼻用原位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435375B1 (ko) * 2022-04-21 2022-08-23 주식회사 다정글로벌 기호도가 우수한 저자극성 향수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762B1 (ko)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018B1 (ko)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34762B1 (ko)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31970A (ko)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8978B1 (ko) 스트레스 완화 및 피로 회복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16168B1 (ko) 프랑킨센스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 오일세럼 조성물
KR101787406B1 (ko) 브로멜라인, 부처브룸, 포도씨, 아르니카 및 레몬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34449B1 (ko) 비자나무 잎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항스트레스성 천연 항료 조성물
FR2829928A1 (fr)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soin de la peau et des cheveux de l'homme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9848B1 (ko) 탄시논ⅱ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638053B1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1940659B1 (ko) 락토바실러스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1058B1 (ko) 숙면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1810230B1 (ko) 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94637B1 (ko)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7697B1 (ko) 천연 아로마 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테라피용 조성물
KR102427909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후각 자극 및 뇌파 조절용 향료 조성물
JP6474227B2 (ja) 植物エキスを含有するトイレタリー製品用組成物
KR20220090742A (ko) 아로마테라피 효과가 있는 발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4103B1 (ko) 발효 마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11343497A (ja) 化粧料
KR20200045213A (ko) 천연 꽃잎을 함유하는 아로마테라피 마스크팩
KR101791217B1 (ko) 측백엽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집중력 및 기억력 강화용 한약 조성물
KR102602542B1 (ko) 대마와 피부유래 유산균의 발효 기술에 의한 스포츠용 화장품 개발
JP2000119126A (ja) 生体内環境快適化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