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200A -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200A
KR20140046200A KR1020120112367A KR20120112367A KR20140046200A KR 20140046200 A KR20140046200 A KR 20140046200A KR 1020120112367 A KR1020120112367 A KR 1020120112367A KR 20120112367 A KR20120112367 A KR 20120112367A KR 20140046200 A KR20140046200 A KR 20140046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ssential oil
oil extract
extract
s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2854B1 (ko
Inventor
박수영
함영민
윤원종
오대주
양수경
정용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20120112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854B1/ko
Publication of KR20140046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8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항균 활성과 항스트레스 활성을 가지는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이용하는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Natural Fragrance Composition Having Functionalities Using an Essential Oil Extract of Torreya nucifera}
본 발명은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경제가 발달하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외모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더불어 외모를 가꾸기 위한 화장품, 향수 등 제품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 중 향수는 향료를 일정 비율로 알콜 등에 배합시킨 제품으로서, 향기를 발산시키기 위하여 신체의 일부분이나 옷에 뿌려 사용하는 제품이다.
향수의 주요 성분인 향료는 천연 향료와 화학 합성 향료로 구분할 수 있는데, 현재 대부분의 향수 제품은 화학 합성 향료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화학 합성 향료는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친화감을 주지 못하고, 또 향을 오래 지속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첨가제가 알러지 반응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최근에는 식물로부터 얻은 천연 정유를 이용한 향수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최근 향수 제품에 대한 소비 경향이 단순 향의 발산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기능성까지 갖춘 제품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기능성을 가지면서도 우수한 향을 가지는 식물 정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한편 비자(榧子, Torreya nucifera)는 주목과(Taxaceae)에 속하는 상록 침엽교목으로 전세계적으로 우리 나라와 일본에만 제한되어 분포한다. 비자나무는 식용, 관상용, 공업용, 약용으로 쓰이고, 종자는 먹거나 기름을 짜내서 이용한다.
또한 한방과 민간에서는 과실을 구충, 발모, 건위, 조경, 장출혈 등에 약재로 이용하고, 목재는 건축재, 기구재, 선박용재 등에 사용하고 있다(김태정, 한국의 자원식물 Ⅰ, p40,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육창수, 아세아 생약도감, p23, 도서출판 경원, 1997).
비자나무의 잎과 종자에서 분리·보고된 성분으로는 세스퀴터페노이드 (sesquiterpenoids, Sakai, T. et al., Bull. Chem. Soc. Japan, 38:381, 1965), 라브단(labdane) 계열과 아비에탄(abietane) 계열 디터페노이드(diterpenoids, Sayama, Y. et al, Agric. Bio. Chem., 35:1068, 1971; Harrison, L. and Asakawa, Y., Phytochemistry, 26:1211, 1987),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Kariyone, T. and Sawaka, T., Ykugaku Zasshi, 78:1010, 1958)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오렌지 향와 유사한 향을 가지는 L-리모넨(L-Limonene)을 주요 성분으로 함유하고 있고 항스트레스 활성 등의 기능성을 가지는 비자나무(榧子, Torreya nucifera) 미숙과 정유 추출물 등의 향료로서의 용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비자나무 미숙과 정유 추출물과 비자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이 식품 유해 미생물, 피부 상재균 및/또는 여드름균 등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짐과 함께 항스트레스 활성을 가지고 나아가 향취도 관능평가를 향료로서 적합함을 평가하였으며 그 향은 오렌지 향과 유사한 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비자나무 미숙과 정유 추출물과 비자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의 성분 분석 결과 이들 정유 추출물이 L-리모넨(L-Limonene)을 주요 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상기 항스트레스 활성과 오렌지 향과 유사한 향을 가지는 이유가 L-리모넨 성분에 의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일 측면에 있어서 비자나무 미숙과 정유 추출물 또는 비자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향료 조성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비자나무 미숙과"는 수확기 이전의 비자나무 열매(통상 '비자'라고 하면 비자나무 열매를 가리킴)의 과육과 과피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비자나무 열매가 종자와 이를 둘러싼 가종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 수확기 이전의 가종피(가종피는 과육과 과피를 포함하는 의미임)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수확기에 있는 성숙과의 경우 가종피가 벌어지는(갈라지는) 특성이 있음을 고려할 때, 비자나무 미숙과는 가종피가 벌어지기 전 상태의 가종피(과육과 과피임)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기능성"은 비자나무 미숙과 정유 추출물 또는 비자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이 가지는 생리 활성 중 아래의 실험예에서 확인된 항균 활성 및/또는 항스트레스 활성을 의미한다. 항균 활성은 구체적으로 아래의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더미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또는 프로피오니 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에 대한 항균 활성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 "정유 추출물"이란 추출 대상인 비자나무 줄기 또는 미숙과로부터 향기 성분을 응측시켜 얻어진 오일상의 추출물을 말한다. 정유 추출물의 제조에는 수증기 증류법, 휘발성 용제(벤젠, 헥산 등)를 이용한 용제 추출법, 침출법(추출 대상에 상처를 내어 침출 수액을 수집하는 방법), 압착법, 초임계추출법 등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그 유효성분인 비자나무 미숙과 정유 추출물 또는 비자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을,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이 구체화되는 제품 형태에 따라 0.00001 중량% 내지 99.9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01 중량% 내지 30.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001 중량% 내지 10.0 중량%의 범위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에서 향료 조성물이 구체화되는 제품 형태는 비누, 화장품, 입욕제 등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바디 로션, 샴푸, 헤어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발한 억제제, 스킨 로션, 스킨 크림, 방취제, 향수(스프레이제 또는 훈증제), 립스틱, 립크림, 입욕제 등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제품은 혈행 촉진제, 소염제, 보습제, 수렴제, 무기 염, 유기 염, 오일성 성분, 계면활성제, 생약류, 색소, 향료, 황, 탕화(sinter deposit), 살균제 등과 같은 각종 부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메이크업 제품, 스킨 로션, 스킨 크림 등의 화장품 제형의 피부 외용제로 사용되는 경우가 일반적일 것인데, 이 경우에는 이들 화장품 제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무기 분말 및 유기 분말(예: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수지)을 들 수 있다. 특히 그러한 분말로서는 활석, 견운모, 운모, 카올린, 실리콘 수지, 나일론 등이 그 우수한 감촉성으로 인해 바람직하다. 이들 분말의 평균 입자 크기는 0.1 내지 15㎛, 특히 1 내지 10㎛가 바람직하다. 사용시 감촉을 고려할 때, 상기 분말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1 내지 60중량 %, 특히 5 내지 25중량 %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또한 오일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사용시 감촉 면에서 바람직한 오일성 물질에는 아보카도유, 스바키유, 터틀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소맥배아유, 대두유, 조조바유, 땅콩유, 코코아 버터, 라놀린, 액체 파라핀,
스쿠알란, 스쿠알렌, 바셀린,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실리콘 오일 등이 있다. 이러한 오일성 물질의 바람직한 함량 범위는 0.1 내지 20 중량%, 특히 1 내지 10 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알콜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알콜에는 에틸 알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소르비톨 등이 있다. 알콜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시 감촉 면에서, 알콜은,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1 내지 30 중량%, 특히 1 내지 20 중량%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기타 기능성 물질들 예컨대 보습제, 미백제, 자외선 흡수제, 살균제, 제한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임의의 제품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로션, 유액, 크림, 분말, 찜질약, 팩, 마사지제, 젤, 페이스트, 스프레이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비자나무 미숙과 정유 추출물 또는 비자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이 항스트레스 활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입욕제에 혼입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데, 이 경우 유효성분인 비자나무 미숙과 정유 추출물 또는 비자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은 입욕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바람직하게는 0.00001 중량 내지 10.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 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이 입욕제에 혼입되어 사용되는 경우 그 입욕제는 목욕물에 0.015 내지 15 ppm의 농도로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
입욕제는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비자나무 미숙과 정유 추출물 또는 비자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 이외에 무기 염, 유기산, 오일성 성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무기 염으로서는 염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붕사, 황산나트륨, 황화나트륨, 세스퀴탄산나트륨, 질산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인산나트륨,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염화칼륨, 황화칼륨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무기 염은 입욕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으로 입욕제에 첨가될 수 있다.
유기산으로서는 석신산, 푸마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유기산은 입욕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1 내지 50 중량%의 범위로 입욕제에 첨가될 수 있다.
오일성 성분으로서는 왁스, 탄화수소,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콜, 에스테르, 실리콘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입욕제는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타 성분들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로서는 (a) 붕산, 메타규산, 규산 무수물과 같은 무기산, (b) 회향풀, 은행, 생강, 감귤 껍질, 쥐오줌풀 뿌리, 박하, 인삼, 귀리 등의 생약재 분말, (c) 콜타르 염료, 클로로필, 리보플라빈, 사프플라워, 안트라퀴논와 같은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확인된 천연 색소, (d)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D, 비타민 E 등의 비타민류, (e) 황, 운모 분말, 백토 분말, 황토 분말, 쌀겨 탄화물, 살균제, 방부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입욕제는 과립, 정제, 액제, 산제 등의 임의의 성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여드름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에 대한 항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래의 실험예는 비자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이 여러 식품 유해 미생물과 피부질환 미생물 중 특히 여드름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에 대해 높은 항균 활성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드름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에 대한 항균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비자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본 발명의 항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장품 제형으로 제조되거나, 그 유효성분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과 함께 혼합되어 연고, 페이스트, 경피 제제 등 국소형의 약품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비자나무 미숙과 정유 추출물 또는 비자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이 동물실험과 관능평가 모두에서 항스트레스 활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비자나무 미숙과 정유 추출물 또는 비자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은 앞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바디 로션, 샴푸, 헤어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발한 억제제, 스킨 로션, 스킨 크림, 방취제, 향수(스프레이제 또는 훈증제), 립스틱, 립크림, 입욕제 등으로 제형될 수 있으며, 특히 스킨 로션 등의 화장품, 향수, 입욕제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될 경우, 식품의 형태는 차, 쥬스,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의 음료류, 우유, 요구루트 등의 가공 유류, 껌류, 떡, 한과, 빵, 과자, 면 등의 식품류, 산제, 정제, 캡슐제 등의 건강식품 제제류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항스트레스 활성 등을 갖는 기능성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향료 조성물은 화장품 제형의 피부 외용제 또는 입욕제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비자나무 미숙과 또는 가지 로부터 정유의 추출
<실시예 1> 비자나무 미숙과 정유 추출물의 제조
비자나무 미숙과의 과육과 과피의 분쇄물 300 g 당 물 2~4 ℓ를 플라스크에 넣고, 이 플라스크를 증류기에 연결한 상태에서 70~80℃에서 4~8 시간 동안 가열하고, 생성된 기체를 증류기 내부의 냉각관을 통해 냉각시켜 비자나무 오일이 포함된 액을 획득하였다. 여기서 사용한 증류기는 용매 분리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장치로서, 시료와 용매를 혼합하여 가열할 때 생성되는 기체를 증류기 내부에 있는 냉각관을 통해 액체화시켜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획득한 액을 분별깔대기에 넣고 물층과 오일층으로 분리한 후, 분리한 오일층을 여과하여 최종적으로 오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비자나무 가지로부터 정유의 추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비자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항균 활성 확인, 항스트레스 활성 확인, 향취도 관능평가 및 성분 분석
<실험예 1> 항균 활성 확인
<실험예 1-1> 사용 균주
본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식품유해 미생물과 피부질환미생물로 총 9균주를 사용하였다. 식품유해미생물은 3종으로 배지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Tryptic soy agar(TSA)와 Tryptic Soy Broth(TSB), Nutrient Agar(NA)와 Nutrient Broth(NB)로 Difco(USA)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피부질환 미생물은 아래의 [표 2]와 같이 피부에서 흔히 검출되는 균주 3종과 Staphylococcus epidermidisPropionibacterium acne의 각각 항생제 내성균을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Propionibacterium acne은 혐기성균으로 anaerobic Jar(Oxoid, USA)에서 배양하였다.
이 균주들의 배지는 Tryptic soy agar(TSA)는 Difco(USA)사, GAM Broth는 Nissui(Japan) 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실험예 1-2> 항균력 평가
항균력 측정은 Disc diffusion assay 방법을 사용하였다. 각 균주는 10 mL의 액체배지에 접종하고 37℃에서 18시간씩 3회 계대 배양하여 항균 활성 시험균주로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시험균 농도를 0.5 McFarland으로 106 - 108 CFU/mL 되게 한 후 pour-plate 방법에 따라 균접종 평판배지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각각의 시료는 50 mg/L 농도로 조제하여 농도별로 paper disc (Whatman No.5, 8 mm)에 천천히 흡수 시킨 후,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켰다(확인 바랍니다). 시험용 평판배지 표면에 disc를 밀착시키고 최적온도 37℃에서 배양한 후 disc 주변에 생성된 생육저해환(clear zone, mm)의 크기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
결과는 아래의 [표 3] 내지 [표 6]과 같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식품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에 있어서는 <실시예 1>의 비자나무 미숙과 정유 추출물과 <실시예 2>의 비자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이 유사한 활성을 보였으나, 피부 질환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에 있어서는 <실시예 2>의 비자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이 <실시예 1>의 비자나무 미숙과 정유 추출물에 비해 약간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실시예 2>의 비자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은 여드름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레(Propionibacterium acne)에 대해서는 높은 항균 활성을 보였다.
<실험예 2> 항스트레스 효과 확인
<1> 실험방법
실험동물은 생후 6주령된 Wister계 Rat 수컷(Shizuoka Laboratory Animal Center, JP)을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실험 시작 전 1주일 동안 순화시킨 후 건강한 동물만을 이용하여 실험을 시작하였다. 사육환경은 온도: 22±1℃, 습도:50±10%, 조명:12hr/day로 조절하였다.
시료는 음용수에 혼합하여 200mg/kg씩 1일 1회씩 4주간 경구투여 하였으며, 기본식이는 AIN-93G를 자유급여하였다.
스트레스는 구속 스트레스를 가하였으며, 구체적으로 4주간의 시료 투여 후 5시간 동안 구속 케이지(대한바이오링크, 모델명 DH-SC03)에서 이루어졌다.
실험군은 1개 군의 비스트레스 유발군(정상군, n=10), 3개 군의 스트레스 유발군(1개 군의 시료 비투여군과 2개 군의 시료 투여군, n=10)으로 구성되었다.
항스트레스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코티졸(cortisol), 글루코오스(glucouse), 젖산(lactic acid) 및 크레아틴 포스포키나아제(creatine phosphokinase)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다.
<2> 실험 결과
항스트레스 활성에 대한 각 표지 인자의 혈중 농도에 대한 결과 값을 아래의 [표 7] 내지 [표 10]에 나타내었다.
코티졸의 혈중 농도(㎍/㎗)
구분 코티졸의 혈중 농도(㎍/㎗)
비스트레스 유발군 6.23±2.52
스트레스 대조군 36.27±5.46
스트레스 실험군 1(실시예 1의 정유 추출물 투여군) 23.67±5.26
스트레스 실험군 2(실시예 2의 정유 추출물 투여군) 28.43±4.39
글루코오스의 혈중 농도(㎍/㎗)
구분 글루코오스의 혈중 농도(㎍/㎗)
비스트레스 유발군 102.48±8.20
스트레스 대조군 148.24±13.53
스트레스 실험군 1(실시예 1의 추출물 투여군) 122.16±14.10
스트레스 실험군 2(실시예 2의 추출물 투여군) 136.38±9.32
젖산의 혈중 농도(㎍/㎗)
구분 젖산의 혈중 농도(㎍/㎗)
비스트레스 유발군 4.23±0.85
스트레스 대조군 39.21±7.30
스트레스 실험군 1(실시예 1의 정유 추출물 투여군) 27.64±5.92
스트레스 실험군 2(실시예 2의 정유 추출물 투여군) 34.75±8.32
크레아틴 포스포키나아제의 혈중 농도(㎍/㎗)
구분 크레아틴 포스포키나아제의 혈중 농도(㎍/㎗)
비스트레스 유발군 42.64±0.62
스트레스 대조군 95.27±12.63
스트레스 실험군 1(실시예 1의 정유 추출물 투여군) 77.93±11.20
스트레스 실험군 2(실시예 2의 정유 추출물 투여군) 82.46±8.28
상기 [표 7] 내지 [표 10]에서 확인되듯이, 스트레스 유발군의 경우 비스트레스 유발군에 비해 스트레스 관련 혈중 표지인자의 농도가 뚜렷하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실시예 1>의 비자나무 미숙과 정유 추출물과 <실시예 2>의 비자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이 투여될 경우 이들 혈중 표지인자의 농도가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1>의 비자나무 미숙과 정유 추출물이 <실시예 2>의 비자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에 비하여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실험예 3> 향취도 관능평가
<실시예 1>의 정유 추출물 및 <실시예 2>의 정유 추출물에 대해서 관능평가 40명을 2그룹으로 나누고 향취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각 실시예의 정유 추출물을 10㎖의 유리병에 각각 2㎖씩 담아 상온에서 관능평가의 취지를 이해시킨 패널에게 제시하여 각 시료에 대한 만족감을 세 개의 항목(좋음, 보통, 나쁨) 중 하나로 선택하게 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11]에 나타내었다.
향취도 관능평가 결과
구분 좋음 보통 나쁨
실시예 1의 정유 추출물 16 3 1
실시예 2의 정유 추출물 14 4 2
상기 [표 11]의 결과는 좋다는 평가가 대체적인 평가였으며, 향의 특징은 오렌지 향과 유사하다는 평가가 주를 이루었다.
<실험예 4> 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얻은 비자나무 미숙과 및 가지 정유의 성분 분석을 위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장비는 GC-MSD(모델 Agilent 7890A)을 사용하고 칼럼은 HP-5MS을 사용하였으며, 오븐 온도는 초기온도 40℃에서 분간 3℃씩 승온하여 최종온도 250℃로 하였다. 주입구 온도는 270℃로 하였으며, 유속 및 Split ratio는 1 ml/min 및 20 : 1로 하여 헬륨을 운반 기체로 사용하였다. 분석된 각 피크를 검색 라이브러리(W9N08.L, Wiley)와 비교하여 성분을 분석 정량하였으며, 라이브러리와의 일치도 95% 이상의 성분만 선택하여 구성성분으로 결정하였다.
결과를 비자나무 미숙과 정유와 비자나무 가지 정유에 대해서 각각 아래의 [표 12] 및 [표 13]에 나타내었다.
비자나무 미숙과 정유 성분 분석 결과
시료명 비자나무 미숙과 에센셜오일
성 분 NO. RT(min)a Area(%)b Component Quality(%)






주요성분
1 9.55 17.72 α-Pinene 97
2 11.96 3.15 β-Mycrene 96
3 13.88 58.66 L-Limonene 98
4 16.33 1.7 α-Terpenolene 98
5 31.46 1.11 Caryophyllene 99
6 34.02 2.11 1,6-Cyclodecadiene 98
7 35.55 3.98 Cardina-1,10-diene 99
8 40.49 1.44 γ-Muurolene 98




미량성분
1 10.18 0.31 Camphene 98
2 11.18 0.63 Sabinene 97
3 11.37 0.58 β-Pinene 97
4 13.15 0.18 α-Terpinene 97
5 15.07 0.25 γ-Terpinene 97
6 31.89 0.41 Germacrene-D 98
7 34.44 0.98 epi-Bicyclosesquiphellandrene 95
8 34.6 0.55 Germacrene-B 97
9 34.75 0.61 α-Muurolene 99
10 39.77 0.67 Cardina-1,4-diene 97
* 총 25개 분석성분 중 95% 이상 퀄리티(일치도) 갖는 성분만 추려 총 18개의 화합물이 분석되었으며 함량 1%를 기준으로 주요성분과 미량성분으로 구분하였음.
* a. 성분이 검출된 시간
b. 시료 중 해당 성분의 함량
비자나무 가지 정유 성분 분석 결과
시료명 비자나무 가지 에센셜 오일
성 분 NO. RT(min)a Area(%)b Component Quality(%)






주요성분
1 9.54 17.1 α-Pinene 97
2 11.93 1.48 β-Mycrene 96
3 12.79 13.69 δ-3-carene 96
4 13.81 29.47 L-Limonene 98
5 16.32 1.94 α-Terpenolene 98
6 28.37 1.13 α-cubebene 95
7 32.59 1.34 β-Farnesene 96
8 33.78 1.07 α-amorphene 99
9 34.01 1.64 Germacrene-D 98
10 34.43 1.14 Epi-bicyclosesquiphellandrene 95
11 35.55 7.05 δ-Cadinene 98
12 39.77 1.8 Cadina-1,4-diene 96
13 40.5 4.11 γ-Muurolene 98





미량성분
1 10.1 0.8 α-Fenchene 97
1 10.17 0.23 Camphene 98
3 11.36 0.76 β-Pinene 97
4 13.14 0.18 α-Terpinene 97
5 15.05 0.19 γ-Terpinene 96
6 16.54 0.13 p-Cymenene 97
7 21.64 0.26 Estragole 98
8 25.67 0.87 Anisole 98
9 31.44 0.37 Caryophyllene 99
10 34.59 0.61 Germacrene-B 97
11 35.66 0.36 cis-Calamenene 98
12 40.8 0.98 Cedrelanol 97
* 총 47개 분석성분 중 95% 이상 퀄리티(일치도) 갖는 성분만 추려 총 25개의 화합물이 분석되었으며 함량 1%를 기준으로 주요성분과 미량성분으로 구분하였음.
* a. 성분이 검출된 시간
b. 시료 중 해당 성분의 함량
상기 [표 12] 및 [표 13]의 성분 분석 결과, 비자나무 미숙과 정유 추출물의 경우 주요성분 8종, 미량성분 10종으로 분석되었고, 주성분은 L-Limonene(58.66%)로 분석되었으며, 비자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의 경우 주요성분 13종, 미량성분 12종, 주성분은 마찬가지로 L-Limonene(29.75%)로 분석되었다.
주성분이 L-Limonene인 점에 비추어 볼 때, 상기 항스트레스 활성과 항균 활성 그리고 항료로서의 관능평가 결과가 L-Limonene에 의한 것임을 추측하게 한다.

Claims (10)

  1. 비자나무 미숙과 정유 추출물 또는 비자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기능성은 항균 활성 또는 항스트레스 활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기능성은 여드름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레(Propionibacterium acne)에 대한 항균 활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입욕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향수 조성물이고 그 향수 조성물은 스프레이제 제형 또는 훈증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향료 조성물.
  7. 비자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에 대한 항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8. 비자나무 미숙과 정유 추출물 또는 비자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입욕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20120112367A 2012-10-10 2012-10-10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 KR101492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2367A KR101492854B1 (ko) 2012-10-10 2012-10-10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2367A KR101492854B1 (ko) 2012-10-10 2012-10-10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200A true KR20140046200A (ko) 2014-04-18
KR101492854B1 KR101492854B1 (ko) 2015-02-12

Family

ID=50653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12367A KR101492854B1 (ko) 2012-10-10 2012-10-10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28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972A (ko) * 2018-05-30 2019-12-10 유씨엘 주식회사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7815A (ko) * 2019-05-31 2020-12-09 유씨엘 주식회사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842B1 (ko) 2019-11-11 2021-11-0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감국꽃 향료의 추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1051A (ja) * 2005-03-02 2006-09-14 Pokka Corp 抗ストレス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972A (ko) * 2018-05-30 2019-12-10 유씨엘 주식회사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7815A (ko) * 2019-05-31 2020-12-09 유씨엘 주식회사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2854B1 (ko) 2015-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beiro-Santos et al. Revisiting an ancient spice with medicinal purposes: Cinnamon
Rafalska et al.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as a plant for universal application
KR101806800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JP6714928B2 (ja) コラゲナーゼ阻害剤
KR101492854B1 (ko)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
Paraskevopoulou et al. Chios mastic gum and its food applications
JP2006063038A (ja) 老化防止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ならびに飲食品
Grover et al. Utilizing citrus peel waste: a review of essential oil extraction, characterization, and food-industry potential
KR20200044373A (ko) 계요등 꽃 앱솔루트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KR101490114B1 (ko) 석창포 정유 추출물과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
KR20120029116A (ko) 편백나무 잎 발효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1729921B1 (ko) 천연 정유 및 천연 하이드로졸을 포함하는 아로마테라피 미스트 조성물
Narain et al. Antioxidant, antimicrobial, analgesic, anti-inflammatory and antipyretic effects of bioactive compounds from Passiflora species
CN102362843B (zh) 一种茶叶籽油护肤油及其制备方法
Suwarda et al. Potential and opportunities of nutmeg pericarp as functional foods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aimand et al. Comparison of extraction and measurement of quercetin from stigma, style, sepals, petals and stamen of Crocus sativus by HPLC in combination with heat and ultrasonic
Tewari et al. Thermal and nonthermal processing of an underutilized fruit Emblica officinalis (Amla): a sustainable approach
KR101761607B1 (ko) 반주름말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및 항균용 조성물
Atar et al. Bioactive compounds of oregano seeds
KR20120055476A (ko) 항산화 작용을 갖는 비수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09180B1 (ko) 마카를 포함하는 항산화, 항우울 및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102329522B1 (ko) 골담초 꽃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Sharma et al. A REVIEW: CITRUS PLANTS-A GIFT OF NATURE
Begum et al. Bioactive Compounds in Cl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