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842B1 - 감국꽃 향료의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감국꽃 향료의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842B1
KR102324842B1 KR1020190143867A KR20190143867A KR102324842B1 KR 102324842 B1 KR102324842 B1 KR 102324842B1 KR 1020190143867 A KR1020190143867 A KR 1020190143867A KR 20190143867 A KR20190143867 A KR 20190143867A KR 102324842 B1 KR102324842 B1 KR 102324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rysanthemum flower
fragrance
chrysanthemum
extracting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6871A (ko
Inventor
김운중
오다원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3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84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6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8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2Recovery or refining of essential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9/025Recovery by solvent extr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 C11B1/104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using super critical gases or vapou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국꽃 향료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국꽃을 샘플링하는 단계; 상기 샘플링한 감국꽃을 용매 또는 초임계 유체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을 통하여 감국꽃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감국꽃 추출물로부터 감국꽃 향료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국꽃 향료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국꽃 향료의 추출방법{A extraction method of chrysanthemum flavor}
본 발명은 감국꽃 향료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국꽃을 샘플링하는 단계; 상기 샘플링한 감국꽃을 용매 또는 초임계 유체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을 통하여 감국꽃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감국꽃 추출물로부터 감국꽃 향료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국꽃 향료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1990년대부터 개발되기 시작한 향료는 최근 들어 다양한 브랜드와 형태, 특징을 갖춘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소비자들이 향수를 선택할 때 성별, 계절보다 개인의 패션 스타일과 취향에 맞는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니치향수는 천연향료의 함유량이 높아 인위적이지 않고 소비자의 체취와 반응하여 자신만의 향기를 즐길 수 있어 각광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천연향료의 대부분을 수입한 후 재가공하여 유통하거나 수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식물이나 동물로부터 천연향료를 얻을 수 있는 제조방법, 추출공정, 가공공정 등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61816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92854호 등은 편백 추출물, 석류 추출물, 비자나무정유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천연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천연향료 조성물은 가벼운 느낌의 향, 그린 향, 허브 향 등을 발현하기 어려워 소비자의 니즈를 만족시키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1816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92854호
본 발명은 감국 특유의 향을 우수한 효율로 추출할 수 있는 감국꽃 향료의 추출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국 특유의 향을 발현할 수 있어 기호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제품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감국꽃 향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국꽃을 샘플링하는 단계; 상기 샘플링한 감국꽃을 용매 또는 초임계 유체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을 통하여 감국꽃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감국꽃 추출물로부터 감국꽃 향료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국꽃 향료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감국꽃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500~2,000중량부를 가하고 20~60℃에서 0.5~5시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감국꽃에 초임계 유체를 가하고 35~60℃의 온도 및 150~400bar의 압력에서 1~5시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유체는 이산화탄소와 에탄올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감국꽃 향료의 추출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감국꽃 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국꽃 향료는 리모넨, 보르네올, 캄펜 및 γ-테르피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감국 특유의 향을 우수한 효율로 추출할 수 있는 감국꽃 향료의 추출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국 특유의 향을 발현할 수 있어 기호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제품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감국꽃 향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감국꽃을 샘플링하는 단계; 상기 샘플링한 감국꽃을 용매 또는 초임계 유체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을 통하여 감국꽃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감국꽃 추출물로부터 감국꽃 향료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국꽃 향료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감국꽃을 샘플링하는 단계는 채취한 감국의 꽃을 세척하여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한 후 건조하여 그대로 사용하거나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용매를 사용한 용매추출법을 사용하거나 초임계 유체를 사용한 초임계 추출법을 사용할 수 있다.
기존에 사용되는 수증기증류법은 추출과정에서 높은 열을 가해야 하고 처리과정이 복잡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열수추출법은 물을 첨가하여 100℃ 이상의 온도에서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추출원으로부터 수용성 성분밖에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용매추출법은 낮은 온도에서 추출이 수행되기 때문에 식물의 향을 손상시키지 않고 향을 구성하는 화학적 성분의 손실이 적다는 장점을 가진다.
용기 안의 구멍이 뚫린 접시 위에 감국꽃을 두고, 휘발성 용매를 통과시켜 감국꽃 향료를 추출할 수 있다. 용매를 증발시키면 반고체 형태의 콘크리트(concrete)가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를 용매로 세척하면 감국꽃 향료인 앱솔루트(absolute)가 수득된다.
상기 용매추출법에 의한 추출하는 단계는 감국꽃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500~2,000중량부를 가하고 20~60℃에서 0.5~5시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에탄올 또는 에틸에테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에탄올과 에틸에테르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혼합물이 용매로 사용되는 경우, 에탄올과 에틸에테르의 부피비는 60~80:20~40인 것이 제조된 향료의 향, 기호성 및 지속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초임계 추출법은 고압을 가하여 유체를 초임계 상태로 만든 후, 초임계 상태의 유체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면 추출원에 포함된 미량의 물질도 높은 수율로 추출할 수 있다. 초임계 추출법은 저온 추출이 가능하므로 영양소나 기능성 물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고순도의 물질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추출하는 단계는 감국꽃에 초임계 유체를 가하고 35~60℃의 온도 및 150~400bar의 압력에서 1~5시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감국꽃 100중량부에 대하여 초임계 유체 50~1,000중량부를 가하거나 초임계 유체의 유속을 10~30㎖/min 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초임계 유체로는 이산화탄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산화탄소와 에탄올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혼합물이 초임계 유체로 사용되는 경우, 이산화탄소와 에탄올의 부피비는 100:2~10 인 것이 제조된 향료의 향, 기호성 및 지속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을 통하여 감국꽃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감국꽃 추출물로부터 감국꽃 향료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감국꽃 향료는 2-피넨(2-pinene), 리모넨(limonene), 보르네올(borneol), 캄펜(camphene), α-테르피네올(α-terpineol), γ-테르피넨(γ-terpine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용매추출법
채취한 감국꽃을 세척하여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한 후 건조하였다.
감국꽃 70g 을 용기 안의 구멍이 뚫린 접시 위에 두고, 용매로 에탄올 500㎖을 가하고 35℃에서 1시간 추출하여 반고체 형태의 콘크리트(concrete)를 수득하였다.
상기 콘크리트로부터 감국꽃 향료인 앱솔루트를 수득하였다.
이때 콘크리트의 수율은 4.47% 이고, 앱솔루트의 수율은 0.63% 이었다.
상기 감국꽃 향료를 GC-MS로 분석하여 화학적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유칼리프톨(eucalyptol), 4-튜자놀(4-thujanol), 보닐아세테이트(bornyl acetate), β-엘레멘(β-elemene), β-카리오필렌(β-caryophyllene), β-파르네센(β-farnesene), β-비사볼렌(β-bisabolene), β-세스퀴펠란드렌(β-sesquiphellandrene), 카리오필렌 옥사이드(caryophyllene oxide) 등을 포함한다.
(실시예 2) 용매추출법
채취한 감국꽃을 세척하여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한 후 건조하였다.
감국꽃 70g 을 용기 안의 구멍이 뚫린 접시 위에 두고, 용매로 에틸에테르 500㎖을 가하고 25℃에서 1시간 추출하여 반고체 형태의 콘크리트(concrete)를 수득하였다.
상기 콘크리트로부터 감국꽃 향료인 앱솔루트를 수득하였다.
이때 콘크리트의 수율은 2.19% 이고, 앱솔루트의 수율은 2.15% 이었다.
상기 감국꽃 향료를 GC-MS로 분석하여 화학적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2-피넨(2-pinene), 유칼리프톨(eucalyptol), 4-튜자놀(4-thujanol), 보르네올(borneol), α-테르피네올(α-terpineol), 크리산세닐아세테이트(chrysanthenyl acetate), 보닐아세테이트(bornyl acetate), β-엘레멘(β-elemene), β-카리오필렌(β-caryophyllene), β-파르네센(β-farnesene), α-세드렌(α-cedrene), β-비사볼렌(β-bisabolene), β-세스퀴펠란드렌(β-sesquiphellandrene), 카리오필렌 옥사이드(caryophyllene oxide), 스쿠알렌(squalene) 등을 포함한다.
(실시예 3) 초임계 추출법
채취한 감국꽃을 세척하여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한 후 건조한 다음 분말화하였다.
감국꽃 70g 을 용기에 넣고, 초임계 유체로 이산화탄소를 20㎖/min의 유속으로 가하고 40℃의 온도 및 300bar의 압력에서 3시간 추출하여 감국꽃 향료를 수득하였다.
이때 감국꽃 향료의 수율은 0.98% 이었다.
상기 감국꽃 향료를 GC-MS로 분석하여 화학적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아세트산, 헥사날(hexanal), 리모넨(limonene), 유칼리프톨(eucalyptol), γ-테르피넨(γ-terpinene), 보르네올(borneol), 1,3,8-p-멘타트리엔(1,3,8-p-menthatriene), 캄펜(camphene), 폴리리모넨(polylimonene), 아줄렌(azulene) 등을 포함한다.
(실시예 4) 초임계 추출법
채취한 감국꽃을 세척하여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한 후 건조한 다음 분말화하였다.
감국꽃 70g 을 용기에 넣고, 초임계 유체로 이산화탄소 및 에탄올을 각각 20㎖/min 및 1.24㎖/min의 유속으로 가하고 40℃의 온도 및 300bar의 압력에서 3시간 추출하여 감국꽃 향료를 수득하였다.
이때 감국꽃 향료의 수율은 5.30% 이었으며,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하여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상기 감국꽃 향료를 GC-MS로 분석하여 화학적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리모넨(limonene), 유칼리프톨(eucalyptol), γ-테르피넨(γ-terpinene), D-베르베논(D-verbenone), 보르네올(borneol), 1,3,8-p-멘타트리엔(1,3,8-p-menthatriene), 캄펜(camphene) 등을 포함한다.
(실시예 5)
초임계 유체로 이산화탄소 및 에탄올을 각각 20㎖/min 및 0.2㎖/min의 유속으로 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감국꽃 향료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6)
초임계 유체로 이산화탄소 및 에탄올을 각각 20㎖/min 및 3㎖/min의 유속으로 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감국꽃 향료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열수추출법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국꽃 향료를 수득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감국꽃 향료의 향, 기호성, 지속성 및 선호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50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5점 척도법(5: 매우 우수하다, 4: 우수하다, 3: 보통이다, 2: 나쁘다, 1: 매우 나쁘다)에 따라 실시되었으며, 향, 기호성, 지속성 및 선호도를 조사한 후 이를 산술평균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기호성 지속성 선호도
실시예 1 3.9 4.0 3.8 3.9
실시예 2 3.7 3.7 3.9 3.6
실시예 3 4.1 3.9 3.9 4.0
실시예 4 4.5 4.6 4.6 4.5
실시예 5 3.8 3.7 3.9 3.6
실시예 6 3.7 3.8 3.8 3.7
비교예 1 2.5 2.7 2.5 2.7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6은 감국꽃 향료의 향, 기호성, 지속성 및 선호도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4는 상기 특성이 가장 우수하다.
반면 비교예 1은 실시예에 비해 상기 특성이 열등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감국꽃을 샘플링하는 단계;
    상기 샘플링한 감국꽃을 초임계 유체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을 통하여 감국꽃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감국꽃 추출물로부터 감국꽃 향료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국꽃 향료의 추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감국꽃에 초임계 유체를 가하고 35~60℃의 온도 및 150~400bar의 압력에서 1~5시간 추출하고,
    상기 초임계 유체의 유속은 10~30㎖/min 이며,
    상기 초임계 유체는 이산화탄소와 에탄올의 혼합물이며,
    상기 이산화탄소와 에탄올의 부피비는 100:2~10이고,
    상기 감국꽃 향료는 리모넨, 유칼리프톨, γ-테르피넨, D-베르베논, 보르네올, 1,3,8-p-멘타트리엔 및 캄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국꽃 향료의 추출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43867A 2019-11-11 2019-11-11 감국꽃 향료의 추출방법 KR102324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67A KR102324842B1 (ko) 2019-11-11 2019-11-11 감국꽃 향료의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67A KR102324842B1 (ko) 2019-11-11 2019-11-11 감국꽃 향료의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871A KR20210056871A (ko) 2021-05-20
KR102324842B1 true KR102324842B1 (ko) 2021-11-09

Family

ID=7614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867A KR102324842B1 (ko) 2019-11-11 2019-11-11 감국꽃 향료의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8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351B1 (ko) 2021-08-02 2024-03-08 한국식품연구원 감귤 꽃을 이용한 천연 식품향료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7499A (ja) * 1987-05-29 1988-12-05 Ekika Tansan Kk キクエキスの製造法
KR970042985A (ko) * 1995-12-28 1997-07-26 이웅열 초임계 유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KR20130122043A (ko) * 2012-04-30 2013-11-07 (주)비엔허브 삽주 정유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향장품
KR101492854B1 (ko) 2012-10-10 2015-02-12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
KR101618162B1 (ko) 2016-01-25 2016-05-04 (주)에코프랜즈 건강 기능성 천연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871A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nitha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lemongrass (Cymbopogon citratus) essential oil extracted by microwave-assisted hydrodistillation (MAHD) and conventional hydrodistillation (HD) method
Moyler Extraction of essential oils with carbon dioxide
Shavandi et al. Eryngium foetidum L. Coriandrum sativum and Persicaria odorata L.: a review
CN103589515A (zh) 超临界二氧化碳萃取高纯度薰衣草精油的方法
CN103263370B (zh) 一种茉莉花香露的制作方法
Yen et al. Green extraction of Cymbopogon citrus essential oil by solar energy
CN104450195B (zh) 一种菊花固体香料的制备方法
Raina et al.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genetically diverse stocks of Murraya koenigii from India
KR20160096903A (ko) 귤꽃류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N103966027A (zh) 一种迷迭香复配提取物的制备方法
Choi et al. Volatile flavor composition of gamguk (Chrysanthemum indicum) flower essential oils
KR102324842B1 (ko) 감국꽃 향료의 추출방법
Immaroh et al. Eucalyptus globulus essential oil extraction method
KR101258645B1 (ko) 비목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ngmor et al. Studies on Cinnamomum zeylanicum–part I. The essential oil components of C. Zeylanicum nees grown in Ghana
CN102604742A (zh) 一种烟用香料精油及其制备方法和应用
Zgheib et al. Essential oil chemical composition of Rosa corymbifera Borkh., Rosa phoenicia Boiss. and Rosa damascena Mill. from Lebanon
CN101641313A (zh) 生物由来的1,3-丙二醇及其缀合酯作为天然的和无刺激性的溶剂
CN104905999A (zh) 一种栀子花香水及其制备方法
Wesolowska et al. Influence of distillation method on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isolated from Summer Savory (Satureja hortensis L.)
Velikorodov et al.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from Wildgrowing and Introduced Plants of the Astrakhan Region
Abid Mahmood et al.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essential oil of arabian jasmine (Jasminum sambac) flowers harvested from Pothohar Region of Pakistan
Fattah et al. Black cumin (Nigella sativa L.) essential oil and aroma quality
Sakkaravarthy et al. A Review of Processing Novelties of Extraction of Essential Oil from Cardamom
KR101781579B1 (ko) 술패랭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