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2043A - 삽주 정유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향장품 - Google Patents

삽주 정유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향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2043A
KR20130122043A KR1020120045049A KR20120045049A KR20130122043A KR 20130122043 A KR20130122043 A KR 20130122043A KR 1020120045049 A KR1020120045049 A KR 1020120045049A KR 20120045049 A KR20120045049 A KR 20120045049A KR 20130122043 A KR20130122043 A KR 20130122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wave
inhalation
essential oil
absol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문
정지욱
김진희
박상민
이사은
연보람
박유화
조해미
Original Assignee
(주)비엔허브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엔허브,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비엔허브
Priority to KR1020120045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2043A/ko
Publication of KR20130122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61K9/0073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주(Cnidium officinale Makino)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향장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삽주으로부터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된 천연정유는 인간 뇌의 특정한 T4 부위에서 AB(absolute beta power spectrum) 지표, AG(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지표, T3 부위에서 RMB(relative mid beta power spectrum) 지표를 유의성있게 감소시키고, T4 부위에서 RA(relative alpha power spectrum) 지표, RSA(relative slow alpha power spectrum) 지표를 유의성있게 증가시켜 뇌의 긴장 및 각성상태를 완화시켜 정신적 편안함을 제공하기에 향장산업(아로마테라피, 아로마콜로지)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삽주 정유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향장품{Composition of Atractylodes ovata (Thunb.) DC essential oil and cosmetic having there}
본 발명은 삽주(Atractylodes ovata (Thunb.) DC) 뿌리(이하, '백출'이라 한다)로부터 추출된 정유(精油, essential oil)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향장품(香粧品)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백출을 초임계 추출법을 통해 얻은 정유를 흡입하였을 때 뇌파지표인 뇌파지표인 AT(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AB(absolute beta power spectrum), AG(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AHB(absolute high beta power apectrum), RG(relative gamm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또한 RA(relative alpha power spectrum)와 RSMT(ratio of (SMR~mid beta) to theta)를 증가시켜 정신적인 안정상태를 증가시키면서 집중시키는 삽주 추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향장품에 관한 것이다.
또 본원 발명에서 사용하는 '향장품'은 삽주 추출 조성물을 함유하는 향장 산업용 제품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 사용하는 '정유'란 식물의 잎, 줄기, 열매, 뿌리, 꽃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한 휘발성의 유기화합물을 통칭하는 용어로서 특히 본 발명은 삽주(백출)로부터 추출된 천연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본 발명의 백출 천연정유는 건체 또는 생체 뿌리로부터 추출된 것을 의미한다.
뇌파는 인간 두뇌의 신경세포 간의 활동에 의해서 발생한 율동적인 전기현상으로 대뇌피질 표면을 덮고 있는 조직, 두개골, 두피 등을 매개로 두피 위에 넓게 전해지며, 일반적으로 인간의 대뇌피질에서는 각성이나 수면상태에서도 항상 전위변동이 일어나고 있다(진복희. 2011. 임상생리학 뇌파. 고려의학. p.1).
대뇌피질의 신경세포로부터 발생된 미세한 전기활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기활동을 측정해야 하는데, 두피 위에 전극을 부착하고, 두뇌에서 발생된 전기신호를 뇌파계에 입력시켜 시간에 따른 전위를 기록하는 것을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EEG)라고 한다.
EEG는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뇌 활동의 변동을 시공간적으로 기록할 수 있으며, 비침습적, 연속적으로 간단하게 뇌의 기능을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뇌활동 기록, 질병진단, 수면연구, 심리치료와 같은 인지과학, 의학, 약학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사용하는 전극이나 설치방법에 따라 뇌피질뇌파(electrocorticogram, ECG), 접형전극뇌파(sphenoidal electrode EEG), 난원공전극뇌파(foramen ovale electrode EEG), 심부전극뇌파(depth electrode EEG)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윤 중수. 2010. 임상뇌파학. 고려의학. p.1-77).
인간의 뇌파는 δ파(0.5~3Hz), θ파(4~7Hz), α파(8~13Hz), β파(14~30Hz), γ파(30Hz 이상)로 구분된다. 뇌파 중 α파는 기본파로 표현되며 주파수는 8~13 Hz이고, 진폭은 10~150 μV로 두정엽과 특히 후두엽에서 잘 기록되며 정상 성인의 각성, 안정, 폐안 상태에서 보인다. α파는 주파수 영역에 따라 슬로우(slow) α파(7~8Hz), 미드(mid) α파(9~11Hz), 패스트(fast) α파(12~13Hz)로 구분된다(이 사은. 2011. 라임향과 클로브향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슬로루 α파는 긴장이 풀려 있고, 잠들거나 휴식하는 방향으로 뇌가 집중하고 있는 상태에서 발생한다. 즉, 휴식에 대한 집중이지만 이것은 활동 정지가 아니라 에너지를 보급하면서 언제든지 활동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미드 α파는 평상시의 사고 집중 상태로 긴장을 수반하지 않는 특징을 가지며, 명상, 창조적인 활동, 혹은 뇌에 새로운 정보나 지식을 효율적으로 주입할 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패스트 α파는 극도로 긴장하여 무엇인가에 집중되어 있을 때 나타나는데 뇌는 반복 활동을 계속하는데 그 일에 집중하는 나머지 다른 것을 생각할 여유가 없으며 다른 신호나 자극에 반응하지 못한다(윤중수. 1999. 뇌파학 개론. 고려의학. p.248).
β파는 14~30 Hz의 속파(fast wave)로, 5~10μV의 낮은 진폭을 가지며, 일반적인 작업을 하거나 의식적인 행동을 할 때 나타나며 정보처리와 같은 정신활동이 있을 때 활성화된다.
주파수 영역에 따라 슬로우 β파(12-15Hz), 미드 β파(15-20Hz), 하이(high) β파(20-30Hz)로 구분된다. 슬로우 β파는 SMR(sensory motor rhythm)파라고도 하며 신체의 움직임이 없는 운동감각 피질의 활동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주의를 기울이는 비교적 단순한 과제를 수행할 때 나타난다.
미드 β파는 계산이나 암산과 같이 특정한 주제에 집중하면서 비교적 정신부하가 높은 사고활동을 수행할 때 나타난다. 하이 β파는 비교적 복잡한 추론이나 정신부하가 높은 편인 복잡한 정보처리 활동을 수행하거나 혹은 정서적인 긴장, 불안, 흥분상태에서 우세해진다(임영희, 김미숙. 2007. 운동강도에 따른 요가운동프로그램이 주의집중 관련 뇌파에 미치는 영향. 한국 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1(3):101-122). 적당한 긴장 속에 일상 행동을 하고 있을 때 주로 β파가 발생하여 일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지만, 스트레스가 심하여 지나친 긴장으로 흥분하게 되면 하이 β파가 발생한다.
식물 천연정유는 뇌파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물기원의 천연정유 중 상쾌한 향취를 가진 라임 천연정유의 흡입은 뇌의 우측 측두엽 부위에서 로우 β파를 증가시켰고, 우측 전두엽과 좌측 측두엽 부위에서 미드 β파를 증가시켰는데, 이러한 결과는 라임 향료가 고도의 주의집중, 인지작용과 함께 각성을 일으켰다(이사은. 2012. 라임향과 클로브향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또한 클로브 천연정유의 흡입은 뇌의 좌우 전전두엽, 좌우 전두엽, 우측 측두엽 부위에서 창의력을 나타내는 패스트 α파가 증가시켰고, 좌측 두정엽 부위에서 미드 β파를 증가시켰는데 이는 클로브 천연정유가 안정된 상태에서 창의력 또는 과학적, 논리적 사고하는 몰입상태로 집중력을 강화시켰다는 것을 나타낸다(이사은. 2012. 라임향과 클로브향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또한 어수리(Heracleum moellendorffii) 잎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는 인간의 뇌파 중 슬로우 α파를 감소시키면서, 하이 β파를 증가시켜 정신집중효과 및 각성효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성문, 이사은, 연보람. 2011. 어수리 잎으로부터 추출된 어수리 천연정유를 포함하는 향장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10-2011-0112914).
이외에도 라벤더 정유는 전두엽에서 θ파를, 전두엽과 측두엽에서 α파를, 측두엽에서 β파를 증가시켰으며(정기영, 김재문, 이일근, 김지현, 주은연, 홍승봉, 변홍식, 이주형. 2004. 방향성 후각 자극에 의한 대뇌 피질의 활성: Low Rsolution Electromagnetic Tomography(LORETA)를 이용한 비모수 통계 지도. 대한신경과학회지 22(4):334-339), 로즈 정유는 α파, δ파, θ파를 증가시켜 심신의 피로를 회복시켜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최수기. 2006. 로즈 오일을 이용한 복부 마사지가 중년여성의 릴렉싱 및 뇌파에 미치는 효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51).
한편 국화과(Compositae) 삽주속의 삽주(Atractylodes ovata (Thunb.) DC.)는 우리나라의 산과 들에서 발견되는 다년초로 키는 30~100cm까지 자란다. 삽주의 경생엽은 호생하며 긴 타원형 또는 도란상의 긴 타원형이며 길이는 8~11cm으로, 표면은 광택이 나고 뒷면은 흰색을 띤다(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 상권. p.826). 뿌리는 굵고 마디가 있다.
한방에서는 삽주 뿌리를 건조한 것을 백출(白朮)이라고 하는데(박종희, 이정규. 상용 약용식물도감. 신일상사. p.209) 식용, 관상용, 약용에 쓰이고 어린 순은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백출의 약리효능 중 대표적인 것은 방향성 건위제로 한선(汗腺), 발한(發汗)을 자극하여 위장을 튼튼하게 하여 소화작용을 돕고, 또한 이뇨, 해열, 중풍, 현기증 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정보섭, 신민교. 1990.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795).
또한 백출의 효능에 대해서는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김용수. 1999. 백출 추출액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집),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조절 작용(김종흘. 1997. 인삼백출약침이 면역조절작용에 미치는 영향.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집), 알레르기 저감화, 진통ㆍ진정ㆍ진경효과(김낙웅. 1983. 반하 백출 천마탕의 진통, 진정, 진경효과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집)에 대해서도 보고가 이루어졌다.
백출은 향취가 매우 독특하면서도 향기산업에서 활용가치가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식물 정유는 인간의 신체를 치유하는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hy)나 정유를 이용하여 심리를 치유하는 아로마콜로지(aromachology) 분야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백출에 관한 특허문헌으로서,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항알레르기 효과를 가지는 백출 추출물로서, 전통 한약재인 백출을 열탕 또는 유기용매 추출한 추출물이 항알레르기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식품 또는 의약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회렴 및 황련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회렴, 황련 추출 조성물이 페닐에프네린으로 수축된 혈관의 혈관이완 효능, 혈관이완 기전(내피세포 및 칼륨채널(K+ channel) 비의존적 혈관이완 효과, 인도메타신과 아트로프린 전처리에 대한 혈관이완효과), 그리고 추출 조성물 처리가 고혈압 쥐의 혈압 및 심박동수 하강효과와 간조직 손상 완화효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에는 항산화 및 보습 활성을 나타내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백렴, 백출, 상백피, 백작약, 백강잠 및 백지를 포함하는 복합생약 추출물의 제조방법, 그 추출물의 항산화효과(DPPH 및 NBT 방법에 의한 라디칼 소거활성), 보습효과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또 어수리 잎으로부터 추출된 어수리 천연정유를 포함하는 향장 조성물로서, 수증기증류법으로 추출된 어수리 천연정유의 향취,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조성, 천연정유 흡입 전과 후의 뇌파변화에 대해 기술도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51741호(2005.06.02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77674호(2006.05.01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0237호(2008.04.01 등록)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백출 정유가 뇌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었다.
본 발명은 백출로부터 천연정유를 추출하고, 백출 정유가 뇌의 특정부위를 활성화하여 집중력을 강화하는 기능성을 탐색하여 뇌가 집중할 수 있는 삽주 추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향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삽주 정유 조성물은 삽주 (Atractylodes ovata (Thunb.) DC.)의 뿌리인 백출로부터 추출된 천연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삽주 정유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백출의 천연정유는 초임계 추출법에 의해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삽주 정유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백출의 천연정유를 0.01~100 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삽주 정유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백출의 천연정유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삽주 정유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8,9-dehydro-9-formy cycloisolongifolene, γ-elemene, panasinsene, β-selinene, longiverbenone, 2-methylene-5-(1-methyl) bicyclo[5.3.0]decane, 2,2-dimethyl-3-methyl-but-2-enoic acid, germacra-1(10),4,11(13)-trien-12-oic acid, 1-ethenyl-7,7-dimethyl bicyclo[2.2.1]heptan-2-one, caryophyllene, 1-heptatriacotanol, octadecanoic acid, 4-(2,6,6-trimethyl-2-cyclohexen-1-ylidene)-2-butanone, estafiatin, α-caryophyllene, guaiene, β-maaliene, cis-Z-bisabolene epoxide, 1,3,3-trimethyl-2-(2-methyl-cyclopropyl), didehydro-cycloisolongifolene, deoxynivalenol, pinene, 12,13-epoxy-3,7,1-trichothec-9-en-8-one, 4-deoxynivalenol, 6,9-octadecadiynoic acid, digitoxigenin, 3,9-dodecadiyne, trans-13-octadecenoic acid, caryophyllene oxide, 2-isopropenyl-4a,8-dimethyl-1,2,3,4,4a,5,6,7-octahydronaphthalene, cis-13-eicosenoic acid, 6-isopropenyl-4,8a-dimethyl-4a,5,6,7,8,8a-hexahydro-1h-naphthalene-2-one, 3-ethyl-5-(2-ethylbutyl)-octadecane, cyperene, 3,7(11)-selinadiene, nerolidyl acetate, methyl stearidonate, phellandrene, (-)-spathulenol, 4-methyl-3,5,5-tris(2-methyl) 2(5H)-furanone, β-sesquiphellandrene, 1,3,4,5,6,7-hexahydro-2,5,5-trimethyl-2H-2,4a-ethanonaphthalene, octahydro-4,4,8,8-tetramethyl-4a,7-methano-4aH-naphth[1,8a-b]oxirene, 1,4-dimethyl-7-(1-methylethyl)-azulen-2-ol, icosapent, n-hexadecanoic acid, α-gurgujene, methyl 4,7,10,13,16,19-docosahexaenoate, 2-methyl-9 bicyclo[4.4.0]dec-2-ene-4-ol, norethynodrel, α-gurjunene, 3-ethyl-4-methyl-3-hepten-2-one, 9-hexadecenoic acid, 1-propyl 5,8,11,14,17-eicosapentaenoate, β-guainene, butyl 6,9,12-hexadecatrienoate, spathulenol, 3,3,5,6,8,8-hexamethyl-tricyclo[5.1.0.0(2,4)]oct-5-ene, decahydro 1H-cyclopenta[a]pentalen-7-ol, ledene oxide, rhodopin, 7-hydroxy-6-methyl-oct-3-enoic acid, 5,9-dimethyl-tricyclo[6.3.0.0(1,5)]undec-2-en-4-one, icosapentaenoic acid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삽주 정유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백출의 천연정유의 향취 타입은 발사믹 향취, 스파이시 향취, 어씨 향취, 허발 향취, 모씨 향취와 허벌 향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삽주 정유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백출의 천연정유는 흡입 후, 흡입 전과 비교하여 뇌파지표 중 AT(absolute θ파), AB(absolute β파), AG(absolute γ파), AHB(absolute high β파), RG(relative γ파)는 감소시키고, RA(relative α파)와 RSMT(relative SMT~미드 β파 to θ파)를 증가시켜, 긴장ㆍ각성ㆍ흥분상태는 완화시키는 반면 뇌의 집중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향장품은 상술한 삽주 정유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향장품에 있어서, 상기 향장품은 향수 또는 방향제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향장품에 있어서, 상기 향장품은 비누 또는 입욕제와 같은 생활용품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향장품에 있어서, 상기 향장품의 제형은 분말, 과립, 스프레이 또는 액상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삽주 정유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향장품에 의하면, 백출 천연정유는 인체에 흡입되었을 때 인간 뇌의 특정한 F3 부위에서 AT지표, P4 부위에서 AB 지표, P3 부위에서 AG 지표, T3 부위에서 AHB 지표, F4 부위에서 RA 지표, 그리고 P3 부위에서 RG 지표를 유의성있게 변화시켜 뇌의 긴장ㆍ각성ㆍ흥분상태는 완화되는 한편 집중도는 증가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국제표준 전극부착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절대 세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brain map)이다.
도 3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절대 알파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4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절대 베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5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절대 감마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6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절대 패스트 알파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7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절대 슬로우 알파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8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절대 로우 베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9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절대 미드 베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10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절대 하이 베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11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상대 세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12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상대 알파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13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상대 베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14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상대 감마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15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상대 패스트 알파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16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상대 슬로우 알파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17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상대 로우 베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18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상대 로우 베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19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상대 하이 베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20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SMR 대 세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21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미드 베타 대 세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22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SMR~미드 베타 대 세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23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알파 대 하이 베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24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SEF50 지표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25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SEF90 지표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도 26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ASEF 지표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적인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백출 천연정유는 수증기증류법, 직접증류법, 퍼코레이션법, 압착법, 냉침법, 유기용제법, 초임계추출법 등의 공지의 다양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초임계 추출법을 사용한다. 백출 건체 시료를 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하여 천연정유를 추출하면 정유의 회수율은 기기 조건에 따라 1.10~4.20%가 된다.
본 발명의 향장 조성물에 함유되는 백출 천연정유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된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0.05~100%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출 천연정유는 총 64종의 휘발성 유기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이에 함유되어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에는 8,9-dehydro-9-formy cycloisolongifolene, γ-elemene, panasinsene, β-selinene, longiverbenone, 2-methylene-5-(1-methyl) bicyclo[5.3.0]decane, 2,2-dimethyl-3-methyl-but-2-enoic acid, germacra-1(10),4,11(13)-trien-12-oic acid, 1-ethenyl-7,7-dimethyl bicyclo[2.2.1]heptan-2-one, caryophyllene, 1-heptatriacotanol, octadecanoic acid, 4-(2,6,6-trimethyl-2-cyclohexen-1-ylidene)-2-butanone, estafiatin, α-caryophyllene, guaiene, β-maaliene, cis-Z-bisabolene epoxide, 1,3,3-trimethyl-2-(2-methyl-cyclopropyl), didehydro-cycloisolongifolene, deoxynivalenol, pinene, 12,13-epoxy-3,7,1-trichothec-9-en-8-one, 4-deoxynivalenol, 6,9-octadecadiynoic acid, digitoxigenin, 3,9-dodecadiyne, trans-13-octadecenoic acid, caryophyllene oxide, 2-isopropenyl-4a,8-dimethyl-1,2,3,4,4a,5,6,7-octahydronaphthalene, cis-13-eicosenoic acid, 6-isopropenyl-4,8a-dimethyl-4a,5,6,7,8,8a-hexahydro-1h-naphthalene-2-one, 3-ethyl-5-(2-ethylbutyl)-octadecane, cyperene, 3,7(11)-selinadiene, nerolidyl acetate, methyl stearidonate, phellandrene, (-)-spathulenol, 4-methyl-3,5,5-tris(2-methyl) 2(5H)-furanone, β-sesquiphellandrene, 1,3,4,5,6,7-hexahydro-2,5,5-trimethyl-2H-2,4a-ethanonaphthalene, octahydro-4,4,8,8-tetramethyl-4a,7-methano-4aH-naphth[1,8a-b]oxirene, 1,4-dimethyl-7-(1-methylethyl)-azulen-2-ol, icosapent, n-hexadecanoic acid, α-gurgujene, methyl 4,7,10,13,16,19-docosahexaenoate, 2-methyl-9 bicyclo[4.4.0]dec-2-ene-4-ol, norethynodrel, α-gurjunene, 3-ethyl-4-methyl-3-hepten-2-one, 9-hexadecenoic acid, 1-propyl 5,8,11,14,17-eicosapentaenoate, β-guainene, butyl 6,9,12-hexadecatrienoate, spathulenol, 3,3,5,6,8,8-hexamethyl-tricyclo[5.1.0.0(2,4)]oct-5-ene, decahydro 1H-cyclopenta[a]pentalen-7-ol, ledene oxide, rhodopin, 7-hydroxy-6-methyl-oct-3-enoic acid, 5,9-dimethyl-tricyclo[6.3.0.0(1,5)]undec-2-en-4-one, icosapentaenoic acid이 검출되었다.
본 발명의 백출 천연정유의 향취 타입은 발사믹, 얼띠, 허벌, 모씨, 스파이시로 5개의 향취가 복합적으로 구성된 것이었다.
본 발명의 백출 천연정유를 흡입하게 되면 흡입 전과 비교하여 뇌파지표 중 AT(absolute θ파), AB(absolute β파), AG(absolute γ파), AHB(absolute high β파), RG(relative γ파)는 감소되고, RA(relative α파)와 RSMT(relative SMT~mid β파 to θ파)는 증가되어, 긴장ㆍ각성ㆍ흥분상태는 완화되는 한편 뇌의 집중도는 증가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백출 천연정유는 정유를 이용하여 인간 신체를 치유하는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hy)나 정유를 이용하여 인간 심리ㆍ정신을 치유하는 아로마콜로지(aromachology)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장 조성물은 프래그란스(fragrance) 산업에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화장용품(향수 등), 비누세정용품(목욕비누 등), 실내청소용품(유리 크리너 등), 방향용품(자동차용 방향제 등), 목욕용품(허브타입 입욕제 등), 향기상품(문구류 등), 환경용품(오피스용 방향제 등), 공업용품(합성수지 등)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향장 조성물 제형은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다. 분말, 과립, 스프레이, 액상 중 선택된 그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향장산업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백출 천연정유 이외의 성분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을 기술을 가진 당업자가 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 예 1: 백출 시료의 식물분류학적 동정
백출 시료는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송정2리 소래 대한민국우수한약재유통지원센터 (주)비엔허브에서 2011년 9월 건체상태로 분양받았다. 분양받은 백출 시료를 강원대학교 식물분류학 실험실의 유기억 교수에게 의뢰하여 식물분류학적 동정을 받았다. 본 발명의 백출 시료는 식물분류학 코드번호(BOUCHER NUMBER)를 KWNU80089로 받아 사용하였다.
실시 예 2: 백출 천연정유의 추출
본 발명의 백출 건체 시료는 (주)비엔허브로부터 분양받았을 때 약간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었기에 40℃의 건조기에 넣고 24시간 건조시킨 다음 마쇄기를 이용하여 분말상태로 분쇄한 다음 초임계 추출법으로 천연정유를 추출하였다.
초임계 추출기(ILSHIN, Korea)의 시료용기에 백출 분말시료를 100g 넣고 CO2를 2시간동안 흘려주면 초임계상태에서 천연정유를 추출하였다. 초임계 추출기의 시료용기 온도는 40, 50, 60, 70℃로 하고 초기압력은 400 bar로 고정한 다음 천연정유의 회수율을 계산하였다.
본 실시 예 2에서 압력은 400 bar로 고정한 상태에서 온도를 40, 50, 60, 70℃로 변화를 주면서 온도가 백출 천연정유의 추출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실험한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은 백출 천연정유를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시의 정유 회수율을 나타낸다.
시료용기 온도가 40, 50, 60, 70℃일 때 백출 천연정유의 회수율은 각각 1.60%, 4.20%, 2.60%, 1.10%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초임계추출시 백출 건체 시료의 최적추출조건은 50℃라는 것을 의미한다.
초임계 추출기를 이용하여 백출 시료를 추출하였을 때에는 최적 회수율을 보이는 온도는 70℃이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식물시료마다 최적의 추출 온도조건이 다르다는 것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본 실시 예의 결과를 바탕으로 백출 시료로부터 천연정유를 최대한 추출할 수 있는 압력조건을 탐색하였다. 백출 시료의 최적 추출온도인 50℃에서 압력을 200, 300, 400bar로 다르게 주면서 천연정유를 추출한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는 백출 천연정유를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시의 정유 회수율을 나타낸다.
시료용기 온도를 50℃로 고정한 상태에서 압력을 200, 300, 400 bar로 증가시켰을 때 백출 천연정유의 회수율은 각각 0.03, 2.60, 3.90%으로 압력이 증가할수록 천연정유의 추출효율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2
실시 예 3: 백출 천연정유의 향취평가
상기 실시 예 1에서 얻어진 백출 천연정유의 향취 평가는 후각 훈련이 되어 있는 강원대학교 향수개발동아리 로즈 오브 샤론(ROSE OF SHARON)의 전문가 5명에 의해 수행되었다.
상기 실시 예 1에서 추출된 백출 천연정유 원액(100%)을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을 이용하여 10%, 1%, 0.1%, 0.01% 희석액을 만들었다.
각각의 전문가가 시향지(0.5cm x 5cm)에 0.1%, 1%, 10%, 100% 백출 천연정유를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적신 다음, 코로부터 5cm 위치에서 향의 특징을 향료 평가용어를 이용하여 기술한 후 공통적인 향취만을 결과로 취하였는데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은 백출 정유의 향취 및 강도를 나타낸다.
로즈 오브 샤론에서 사용한 평가표의 향취 타입은 알데하이드(aldehyde), 애니마릭(animalic), 발사믹(balsamic), 시트러스(citrus), 코니퍼로스(coniferous), 얼띠(earthy), 플로랄(floral), 푸루이티(fruity), 그린(green), 허벌(herbal), 메디시날(medicinal), 민티(minty), 마린(marine), 모씨(mossy), 머스키(musky), 오일리(oily), 오리엔탈(oriental), 파우더리(powdery), 스모키(smoky), 스파이시(spicy), 스위트(sweet), 우디(woody)이었으며, 통상적으로 향취 평가 전문가 집단이 사용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본 실시 예 3에서 백출 천연정유의 향취 강도는 가장 강한 향을 10으로 향이 전혀 나지 않는 무향을 0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백출 천연정유 100% 향료는 발사믹 향취가 8로 가장 강하게 났으며, 스파이시 향취가 7, 얼띠 향취가 5, 허벌 향취가 5 및 모씨 향취가 3이었다.
본 실시 예 3의 백출 천연정유 10% 희석액과 1% 희석액에서도 비록 향취의 강도가 낮기는 하였지만 동일한 향취가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백출 천연정유 0.1% 희석액에서는 그 어떠한 향취도 발현되지 않았는데, 이는 백출 천연정유의 역치수준이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3
실시 예 4: 백출 천연정유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성분 분석
상기 실시 예 2에서 추출된 백출 천연정유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성분을 PDMS(polydimethyl siloxane) 섬유가 장착된 SPME(solid phase microextraction) 장치에 흡착시킨 다음,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로 분석하였다.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된 백출 천연정유 1 mL를 'headspace glass vial'(20 mL)에 가한 후, 유리병을 실리콘 격막(septum)으로 밀봉하였다. SPME 주사기를 유리병 내로 삽입하여 60℃에서 30분간 흡착시켰으며, SPME 장치에 흡착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성분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로 분석하였다. 사용한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는 Agilent 사의 7890A이었으며, 질량분석기(MS)는 'Agilent' 사의 5975C이었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의 작동조건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으며, 컬럼(column)은 HP-5MS (30x0.32 mm, 0.25 μm)를 사용하였고, 오븐의 온도는 50℃ (5 min)- 5℃/min - 250℃ (3 min) - 20℃/min - 300℃ (5 min) 조건으로 하였으며, 주입구 온도는 280℃이었다. 질량 분석기(MS)의 작동조건은 이온화에너지를 70 eV로 하였고, 운반기체는 헬륨으로 1분당 1 mL씩 흘려주었다.
GC-MS 분석결과 성분분석은 NIST library의 질량 스펙트럼 데이타(mass spectrum data)를 이용하였다. 하기 표 4는 백출 천연정유 분석에 사용된 GC-MS의 분석조건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한편, 백출 천연정유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GC-MS로 분석한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는 백출 천연정유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본 실시 예 4에서 초임계 추출법으로 백출로부터 추출된 천연정유에는 총 64종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보고된 논문의 결과와는 매우 양상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이종원, 이재곤, 김미주, 도재호, 양재원. 2001. 삽주의 휘발성 향기성분.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4(1):15~19).
본 실시 예 4에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64종 검출되었던 반면, 이 등(2001)은 백출(A. macrocephala Koidz.)로부터 총 30종이 검출되었는데 이러한 차이는 수확장소와 수확시기도 영향을 주었겠지만 무엇보다도 추출방법상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 4에서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CO2를 이용한 초임계 추출법을 사용하였던 반면, 이등(2001)은 수증기 증류법(Likens-Nickerson type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을 사용하였다. 두 방법 간 추출효율에 대해서는 당해업자라면 쉽게 그 차이를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추척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 4에서 백출 천연정유에 함유된 주된 성분으로는 8,9-dehydro-9-formy cycloisolongifolene(11.47%), γ-elemene(10.62%), panasinsene(9.73%), β-selinene(6.69%), longiverbenone(6.42%)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예 3에서 기술하였던 백출 천연정유의 발사믹 향취, 스파이시 향취, 어씨 향취, 허벌 향취, 모씨 향취는 주된 성분뿐만 아니라 다른 성분들이 함께 어우러져 생성되었다고 추론된다.
본 실시 예 4에서 백출 천연정유에 함유되어 있는 β-셀린넨(selinene)은 특히 'artifitialbois de rose oil' 조합 향 제조에 사용되며, 스위티, 우디한 향취를 발현시켜서 퍼퓸에 플로랄, 스파이스, 우디 한 향장품의 고정액(fixative)에 사용된다고 보고된바 있다(Bauer, K., D. Garbe, and H. Surburg. 1990. Common fragrance and flavor materials, 2nd ed., Verlag Chemie, Weinheim). 그러므로 β-셀린넨은 발사믹, 허벌 향취의 발현에 기여했을 것이라 추론된다.
본 실시 예 4에서 백출 천연정유에서 검출된 'hexadecanoid acid'의 향취는 마린, 프로티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백출의 향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본 실시 예 4에서 백출 천연정유에서 검출된 파인(pinene)의 향취는 우디이며, 향취는 따뜻한 수지 향과 상쾌한 소나무향(조민구, 방진기, 채영암. 2003. 참당귀와 일당귀의 부위별 휘발성 정유성분 비교. 한국약용작물학회 11(5):353-357), 잣나무 향(이장원, 천상욱, 한승관, 최동근, 류정. 2007. 양하의 항산화 효과 및 향기성분. 한국약용작물학회 15(3):203-209), grassy, green(민용규, 윤향식, 김지연, 정헌상. 1999. 추출방법에 따른 애플민트의 향기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1(6):1465-1470), 우디, 미티, 파인 향기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파인은 백출 천연정유의 발사믹, 허벌 향취의 발현에 어느 정도는 기여했을 것이라 추론된다. 일반적으로 향료에서 검출되는 파인은 대부분 α-파인과 β-파인인데 그 향취는 약간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α-파인의 향취가 따뜻한 수지 향과 상쾌한 소나무향(조민구, 방진기, 채영암. 2003. 참당귀와 일당귀의 부위별 휘발성 정유성분 비교. 한국약용작물학회 11(5):353-357), 잣나무 향인 반면, β-파인의 향취는 마른 나무냄새와 약한 송진 냄새가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미순, 정미숙. 1998. 섬쑥부쟁이의 휘발성 향미성분 분석. 한국 식품조리과학회 14(5):547-552).
본 실시 예 4에서 백출 천연정유에서 검출된 카리오필렌(caryophyllene)의 향취는 정향, 소나무 냄새가 나는 우디-스파이시(이미순, 최향숙. 1994. 메꽃의 식용부위별 휘발성 풍미 성분. 한국식품과학회 26(4):359-364), 우기, 스파이시 하며, 세균과 곰팡이에 대하여 항균력을 보여서 추잉 검(chewing gum)의 향기성분으로 첨가되고 있다(Akahoshi, G. 1983. Koryonogakkak. Taenpippondosyo, Tokyo, Japan). 또한 카리오필렌은 다양한 화장품이나 합성 향료의 개발에 활용되고 있다.
실시 예 5: 백출 천연정유가 뇌파에 미치는 영향
실시 예 5에서는 백출 천연정유의 흡입이 신경생리학적으로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뇌파분석을 수행하였다. 남녀 각각 5명씩 총 1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뇌파를 측정하였으며, 측정장소는 32.4㎡(9.8평) 크기의 실험실에서 최대한 잡음이 혼입되지 않은 안정적인 상태에서 뇌파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뇌파 측정 장소의 온도는 23℃, 습도는 50%를 유지하였다. 뇌파 측정에 사용된 백출 천연정유는 실시 예 2에서 얻은 정유(0.1, 1, 10, 100%) 중에서 로즈 오브 샤론(ROSE OF SHARON)의 전문가들이 가장 향을 쉽게 인지하였던 100% 정유를 사용하였다.
실시 예 5에서 뇌파측정 시 사용한 기기는 QEEG-8 System(LXE3208, LAXTHA Inc. Korea)이며, 피험자의 뇌파신호 측정은 데이터 수집 장비 및 분석 프로그램(telescan)을 이용하였다. 피험자들에게 10~20 국제표준 전극 부착법을 이용하여 8개의 접지전극에 뇌파전용 무해 접착 풀을 묻혀 전전두엽(Fp1, Fp2), 전두엽(F3, F4), 측두엽(T3, T4), 두정엽(P3, P4) 부분에 부착하고 오른쪽과 왼쪽 귓볼 뒷부분에도 각각 하나씩의 전극을 부착하였다(도 1 참조). 도 1은 국제표준 전극부착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면 지름 5 cm, 높이 4.8 cm, 아랫면 지름 3.5 cm의 종이컵에 가로 3.5 cm, 세로 4 cm의 거즈를 넣고 피펫을 이용해 0.5 mL의 10% 희석 정유를 첨가하여 거즈에 고루 뭍인 후, 피험자의 코로부터 약 3 cm 거리를 유지하고 피험자가 눈을 감은 상태에서 향 흡입 전(무자극)과 흡입상태(향자극)로 하여 각각 1분씩을 측정하였다.
실시 5에서 백출 천연정유의 뇌파측정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 처리는, 피험자의 뇌파신호를 1분간 측정하고, 대표적인 30초간의 뇌파신호만을 추출하여 뇌파일괄처리 프로그램(batch processing)으로 데이터를 처리하였고, 통계분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SPSS (SPSS 18.0 version)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5에서 백출 천연향료를 흡입 전후에 얻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뇌파지표의 종류는 표 6에, 그리고 각각의 뇌파 지표의 의미는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실시 예 5에서 AT(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4~8Hz의 세타파 영역의 절대 파워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백출 쳔연 향료 흡입 전과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채널) 중 F3채널(좌측 전두엽)에서 세타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AT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05)(표 8). 이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시 좌측 전두엽 부위에 유발된 theta파가 감소함으로써 졸리고 멍한 상태의 뇌가 각성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브레인 맵(brain map)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 좌측 전두엽(F3채널) 부위의 자주색이 향 흡입 상태에서 녹색으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도 2), 이는 세타파가 감소하였음을 나타낸다. 도 2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절대 세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며, 표 8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 절대 세타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9
표 8에서,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을 나타낸다.
실시예 5에서 AA(Absolute alpha power spectrum)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8~13Hz의 알파파 영역의 절대 파워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Fp1, Fp2, F3, F4, T3, T4, P3, P4채널) 모두 알파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AA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9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전과 흡입 후, 절대 알파 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전전두엽,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부위에 색깔변화가 미세하거나 약간의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T검정을 통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 전전두엽,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부위에 색깔변화가 미세하거나 약간의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T검정을 통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3 참조). 도 3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절대 알파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10
표 9에서,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이다.
실시예 5에서 AB(Absolute beta power spectrum)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13~30Hz의 베타파 영역의 절대 파워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채널) 중 P4채널(우측 두정엽)에서 베타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AB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10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 절대 베타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으로 우측 두정엽 부위에 유발된 베타파가 감소함으로써 긴장 및 각성 상태가 완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브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 우측 두정엽(P4) 부위의 진한 연두색이 향 흡입 후, 밝은 초록색으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베타파가 감소하였음을 나타낸다(도 4 참조). 도 4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절대 베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11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
AG(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30~50Hz의 감마파 영역의 절대 파워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채널) 중 Fp1채널(좌측 전전두엽), P3채널(좌측 두정엽)에서 감마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AG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11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절대 감마 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시 좌측 전전두엽 및 두정엽 부위에 유발된 감마파가 감소함으로써 정신적 긴장, 불안 또는 흥분상태가 완화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브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 좌측 전전두엽(Fp1채널) 부위의 보라색이 향 흡입 후 좀 더 진한 보라색으로 변하였으며, 좌측 두정엽(P3) 부위 역시 보라색에서 좀 더 진한 보라색으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감마파가 감소하였음을 나타낸다. 도 5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절대 감마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12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
AFA(Absolute fast alpha power spectrum)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11~13Hz의 패스트 알파파 영역의 절대 파워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Fp1, Fp2, F3, F4, T3, T4, P3, P4채널) 모두 패스트 알파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AFA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12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절대 패스트 알파 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브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전전두엽,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부위에 색깔변화가 거의 없거나 약간의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T검정을 통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6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절대 패스트 알파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13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
ASA(Absolute slow alpha power spectrum)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8~11Hz의 슬로우 알파파 영역의 절대 파워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Fp1, Fp2, F3, F4, T3, T4, P3, P4채널) 모두 슬로우 알파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ASA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13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절대 슬로우 알파 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브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전전두엽,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부위에 색깔변화가 거의 없거나 약간의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T검정을 통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7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절대 슬로우 알파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14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
ALB(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12~15Hz의 로우 베타파 영역의 절대 파워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Fp1, Fp2, F3, F4, T3, T4, P3, P4채널) 모두 로우 베타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ALB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14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전과 후, 절대 로우 베타 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브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전전두엽,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부위에 색깔변화가 미세하거나 확연히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T검정을 통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8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절대 로우 베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15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
AMB(Absolute mid beta power spectrum)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15~20Hz의 미드 로우 베타파 영역의 절대 파워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Fp1, Fp2, F3, F4, T3, T4, P3, P4채널) 모두 미드 로우 베타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AMB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15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 절대 미드 로우 베타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브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상태의 전전두엽,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부위에 색깔변화가 미세하거나 확연히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T검정을 통해 유의미하지 않았다. 도 9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절대 미드 베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16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
AHB(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20~30Hz의 하이 로우 베타파 영역의 절대 파워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백출 천연향료 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채널) 중 T3채널(좌측 측두엽)에서 하이 로우 베타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AHB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16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 절대 하이 로우 베타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시 좌측 측두엽 부위에 유발된 하이 로우 베타파가 감소함으로써 정서적인 긴장, 불안, 흥분 상태가 완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브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 좌측 측두엽(T3) 부위의 하늘색이 향 흡입 후 파란색으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하이 로우 베타파가 감소하였음을 나타낸다. 도 10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절대 하이 베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17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
RT(Relative theta power spectrum)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의 절대파워에 대한 세타 대역의 절대파워비로서 세타파 영역(4~8Hz)을 전체 주파수 영역(4~50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Fp1, Fp2, F3, F4, T3, T4, P3, P4채널) 모두 세타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RT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17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 상대 세타 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브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전전두엽,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부위 모두 색깔변화가 확연히 차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T검정을 통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11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상대 세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18
Fp1 : 좌 전전두엽(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Right temporal), P3: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Right parietal)
RA(Relative alpha power spectrum)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의 절대파워에 대한 알파 대역의 절대파워 비로서, 알파파 영역(8~13Hz)을 전체 주파수 영역(4~50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채널) 중 F4채널(우측 전두엽)에서 알파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RA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18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전과 흡입 후, 상대 알파 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시 우측 전두엽 부위에 유발된 알파파가 증가함으로써 정신적 안정 상태에 이르렀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도 12에서 브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 우측 전두엽(F4채널) 부위의 연두색이 향 흡입 상태에서 주황색으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알파파가 증가하였음을 나타낸다. 도 12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상대 알파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19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
RB(Relative beta power spectrum)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의 절대파워에 대한 로우 베타 대역의 절대파워 비로서 로우 베타파 영역(13~30Hz)을 전체 주파수 영역(4~50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Fp1, Fp2, F3, F4, T3, T4, P3, P4채널) 모두 로우 베타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RB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19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전과 흡입 후, 상대 로우 베타 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도 13에서 브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상태의 전전두엽,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부위에 색깔변화가 거의 없거나 약간의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T검정을 통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13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상대 베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20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
RG(Relative gamma power spectrum)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의 절대파워에 대한 감마 대역의 절대파워 비로서, 감마파 영역(30~50Hz)을 전체 주파수 영역(4~50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채널) 중 P3채널(좌측 두정엽)에서 감마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RG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20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전과 흡입 후, 상대 감마 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시 좌측 두정엽 부위에 유발된 감마파가 감소함으로써 정신적 긴장, 불안 또는 흥분상태가 완화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도 14에서 브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 좌측 두정엽(P3) 부위의 진하지 않은 보라색이 향 흡입 후에 진한 보라색으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감마파가 감소하였음을 나타낸다. 도 14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상대 감마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21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
RFA(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의 절대파워에 대한 패스트 알파 대역의 절대파워 비로서, 패스트 알파파 영역(11~13Hz)을 전체 주파수 영역(4~50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Fp1, Fp2, F3, F4, T3, T4, P3, P4채널) 모두 패스트 알파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RFA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21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전과 흡입 후, 상대 패스트 알파 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도 15에서 브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 전전두엽,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부위에 약간의 색깔변화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T검정을 통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15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상대 패스트 알파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22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
RSA(Relative slow alpha power spectrum)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의 절대파워에 대한 슬로우 알파 대역의 절대파워비로서 슬로우 알파파 영역(8~11Hz)을 전체 주파수 영역(4~50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Fp1, Fp2, F3, F4, T3, T4, P3, P4채널) 모두 슬로우 알파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RSA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22는 백출 향 흡입 전과 흡입 후, 상대 슬로우 알파 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도 16에서 브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전전두엽,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부위에 색깔변화가 미세하거나 확연히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T검정을 통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16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상대 슬로우 알파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23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
RLB(Relative low beta power spectrum)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의 절대파워에 대한 로우 베타 대역의 절대파워 비로서, 로우 베타파 영역(12~15Hz)을 전체 주파수 영역(4~50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Fp1, Fp2, F3, F4, T3, T4, P3, P4채널) 모두 로우 베타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RLB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23은 백출 향 흡입 전과 후, 상대 로우 베타 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도 17에서 브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전전두엽,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부위 모두 약간의 색깔변화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T검정을 통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17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상대 로우 베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24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
RMB(Relative mid beta power spectrum)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의 절대파워에 대한 미드 로우 베타 대역의 절대파워 비로서, 미드 로우 베타파 영역(15~20Hz)을 전체 주파수 영역(4~50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Fp1, Fp2, F3, F4, T3, T4, P3, P4채널) 모두 미드 로우 베타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RMB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24는 백출 향 흡입 전과 흡입 후, 상대 미드 로우 베타 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도 18에서 브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상태의 전전두엽,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부위에 색깔변화가 거의 없거나 약간의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T검정을 통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18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상대 로우 베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25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
RHB(Relative high beta power spectrum)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의 절대파워에 대한 하이 로우 베타 대역의 절대파워 비로서, 하이 로우 베타파 영역(20~30Hz)을 전체 주파수 영역(4~50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Fp1, Fp2, F3, F4, T3, T4, P3, P4채널) 모두 하이 로우 베타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RHB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25는 백출 향 흡입 전과 후, 상대 하이 로우 베타 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도 19에서 브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전전두엽,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부위에 색깔변화가 미세하거나 확연히 차이가 나는 부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나 T검정을 통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19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상대 하이 베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26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
RST(Ratio of SMR to theta)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SMR/세타 비로 SMR파 영역(12~15Hz)을 세타파 영역(4~8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하며, 주변상황을 경계하는 주의능력을 나타내는 뇌파분석 지표로 사용된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Fp1, Fp2, F3, F4, T3, T4, P3, P4채널) 모두 SMR 대 세타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RST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26은 백출 향 흡입 전과 후, SMR 대 세타 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도 20에서 브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전전두엽,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부위 모두 색깔변화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T검정을 통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20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SMR 대 세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27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
RMT(Ratio of mid beta to theta)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미드 로우 베타/세타 비로 미드 로우 베타파 영역(15~20Hz)을 세타파 영역(4~8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하며, 정해진 특정대상에만 초점을 맞추어 주의를 기울이는 능력을 나타내는 뇌파분석 지표로 사용된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Fp1, Fp2, F3, F4, T3, T4, P3, P4채널) 모두 미드 로우 베타 대 세타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RMT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27은 백출 향 흡입 전과 후, 미드 로우 베타 대 세타 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도 21에서 브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상태의 전전두엽,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부위 모두 색깔 변화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T검정을 통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21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미드 베타 대 세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28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
RSMT(Ratio of SMR~mid beta to theta)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SMR~미드 로우 베타/세타 비로 SMR~미드 로우 베타파 영역(12~20Hz)을 세타파 영역(4~8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RSMT 지표는 SMR파와 미드 로우 베타파의 대역이 높으면 뇌가 집중하려는 상태이며, 이때 세타파가 같이 높으면 집중력은 떨어지게 된다. 즉, 집중상태에서 세타파는 감소하고 SMR파와 미드 로우 베타파는 증가하며, 이러한 뇌파의 리듬 변화는 신경생리학적 뇌파 집중지표(concentration index)로 사용된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채널) 중 P4채널(우측 두정엽)에서 SMR~미드 로우 베타/세타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RSMT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28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SMR~미드 로우 베타/세타 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시 우측 두정엽 부위에서 SMR~미드 로우 베타/세타파가 유발됨으로써 뇌의 집중상태가 활성화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도 22에서 브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 우측 두정엽(P4채널) 부위의 하늘색이 향 흡입 후 연두색으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SMR~미드 로우 베타/세타파가 증가하였음을 나타낸다. 도 22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SMR~미드 베타 대 세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29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
RAHB(Ratio of alpha to high beta)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알파/하이 로우 베타 비로 알파파 영역(8~13Hz)을 하이 로우 베타파 영역(20~30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Fp1, Fp2, F3, F4, T3, T4, P3, P4채널) 모두 알파 대 하이 로우 베타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RAHB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29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알파 대 하이 로우 베타 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도 23에서 브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전전두엽,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부위에 색깔변화가 미세하거나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T검정을 통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23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알파 대 하이 베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30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
SEF(Spectral edge frequency) 지표는 뇌파의 파워스펙트럼 분포가 저주파에 비해 고주파 쪽으로 얼마나 편향되었는지를 정량화 하는 방법으로 전체 주파수 영역에 대한 면적 비로 사용된다. SEF 50% (SEF50) 지표는 뇌 활성도로 뇌파각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Fp1, Fp2, F3, F4, T3, T4, P3, P4채널) 모두 뇌파분석 지표인 SEF50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30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SEF50 지표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도 23에서 브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전전두엽,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부위에 색깔변화가 거의 없거나 약간의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T검정을 통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23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알파 대 하이 베타파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31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
SEF90(Spectral edge frequency 90%) 지표는 과제를 수행할 때 느끼는 인지부하도 즉, 정신적 스트레스 수준 및 과도한 정신적 각성 수준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Fp1, Fp2, F3, F4, T3, T4, P3, P4채널) 모두 뇌파분석 지표인 SEF90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31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 SEF90 지표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도 24에서 브레인 맵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전전두엽,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부위 모두 약간의 색깔변화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T검정을 통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24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SEF50 지표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32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
ASEF(Spectral edge frequency 50% of alpha spectrum band) 지표는 알파파의 SEF50으로 쾌적성을 나타내는 뇌파지표이다.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Fp1, Fp2, F3, F4, T3, T4, P3, P4채널) 모두 뇌파분석 지표인 ASEF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표 32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 ASEF 지표의 변화를 나타낸다.
브레인 맵에서도 이러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는데 도 25에서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흡입 후의 전전두엽,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부위 모두 약간의 색깔변화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T검정을 통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25는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SEF90 지표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고, 도 26은 백출 천연향료 흡입 전과 후, ASEF 지표 변화를 나타내는 브레인 맵이다.
Figure pat00033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좌 두정엽 (Right parietal)
백출 향 흡입 시 대뇌피질의 일반적인 각성 상태 및 인간의 정신작용인 가장 복잡한 목표 지향적 행동과 주의(attention)를 통제하는 역할을 하는 전두엽(전전두엽 포함) 부위에서 세타파가 감소하고, 여러 피질영역으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입력받고 이 정보들간의 연합이 이루어지는 장소인 두정엽 부위에서 SMR~미드 로우 베타/세타파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 알파파가 증가하고 정신적 긴장, 불안, 흥분상태 및 각성 시 나타나는 감마파, 로우 베타파, 하이 로우 베타파가 감소하였다. 이는 긴장, 불안 상태가 완화됨으로써 뇌가 편안한 상태에 이르렀음을 의미하며 안정적인 상태에서 각성되어 뇌가 집중하는 쪽으로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백출 천연정유는 인간 신체를 치유하는 아로마테라피나 인간 심리ㆍ정신을 치유하는 아로마콜로지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삽주 (Atractylodes ovata (Thunb.) DC.)의 뿌리인 백출로부터 추출된 천연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주 정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출의 천연정유는 초임계 추출법에 의해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주 정유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출의 천연정유를 0.01~100 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주 정유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출의 천연정유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주 정유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8,9-dehydro-9-formy cycloisolongifolene, γ-elemene, panasinsene, β-selinene, longiverbenone, 2-methylene-5-(1-methyl) bicyclo[5.3.0]decane, 2,2-dimethyl-3-methyl-but-2-enoic acid, germacra-1(10),4,11(13)-trien-12-oic acid, 1-ethenyl-7,7-dimethyl bicyclo[2.2.1]heptan-2-one, caryophyllene, 1-heptatriacotanol, octadecanoic acid, 4-(2,6,6-trimethyl-2-cyclohexen-1-ylidene)-2-butanone, estafiatin, α-caryophyllene, guaiene, β-maaliene, cis-Z-bisabolene epoxide, 1,3,3-trimethyl-2-(2-methyl-cyclopropyl), didehydro-cycloisolongifolene, deoxynivalenol, pinene, 12,13-epoxy-3,7,1-trichothec-9-en-8-one, 4-deoxynivalenol, 6,9-octadecadiynoic acid, digitoxigenin, 3,9-dodecadiyne, trans-13-octadecenoic acid, caryophyllene oxide, 2-isopropenyl-4a,8-dimethyl-1,2,3,4,4a,5,6,7-octahydronaphthalene, cis-13-eicosenoic acid, 6-isopropenyl-4,8a-dimethyl-4a,5,6,7,8,8a-hexahydro-1h-naphthalene-2-one, 3-ethyl-5-(2-ethylbutyl)-octadecane, cyperene, 3,7(11)-selinadiene, nerolidyl acetate, methyl stearidonate, phellandrene, (-)-spathulenol, 4-methyl-3,5,5-tris(2-methyl) 2(5H)-furanone, β-sesquiphellandrene, 1,3,4,5,6,7-hexahydro-2,5,5-trimethyl-2H-2,4a-ethanonaphthalene, octahydro-4,4,8,8-tetramethyl-4a,7-methano-4aH-naphth[1,8a-b]oxirene, 1,4-dimethyl-7-(1-methylethyl)-azulen-2-ol, icosapent, n-hexadecanoic acid, α-gurgujene, methyl 4,7,10,13,16,19-docosahexaenoate, 2-methyl-9 bicyclo[4.4.0]dec-2-ene-4-ol, norethynodrel, α-gurjunene, 3-ethyl-4-methyl-3-hepten-2-one, 9-hexadecenoic acid, 1-propyl 5,8,11,14,17-eicosapentaenoate, β-guainene, butyl 6,9,12-hexadecatrienoate, spathulenol, 3,3,5,6,8,8-hexamethyl-tricyclo[5.1.0.0(2,4)]oct-5-ene, decahydro 1H-cyclopenta[a]pentalen-7-ol, ledene oxide, rhodopin, 7-hydroxy-6-methyl-oct-3-enoic acid, 5,9-dimethyl-tricyclo[6.3.0.0(1,5)]undec-2-en-4-one, icosapentaenoic acid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주 정유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출의 천연정유의 향취 타입은 발사믹 향취, 스파이시 향취, 어씨 향취, 허발 향취, 모씨 향취와 허벌 향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주 정유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출의 천연정유는 흡입 후, 흡입 전과 비교하여 뇌파지표 중 AT(absolute θ파), AB(absolute β파), AG(absolute γ파), AHB(absolute high β파), RG(relative γ파)는 감소시키고, RA(relative α파)와 RSMT(relative SMT~미드 β파 to θ파)를 증가시켜, 긴장ㆍ각성ㆍ흥분상태는 완화시키는 반면 뇌의 집중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주 정유 조성물.
  8.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삽주 정유 조성물을 함유하는 향장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향장품은 향수 또는 방향제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장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향장품은 비누 또는 입욕제와 같은 생활용품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장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향장품의 제형은 분말, 과립, 스프레이 또는 액상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장품.
KR1020120045049A 2012-04-30 2012-04-30 삽주 정유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향장품 KR201301220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049A KR20130122043A (ko) 2012-04-30 2012-04-30 삽주 정유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향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049A KR20130122043A (ko) 2012-04-30 2012-04-30 삽주 정유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향장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043A true KR20130122043A (ko) 2013-11-07

Family

ID=4985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049A KR20130122043A (ko) 2012-04-30 2012-04-30 삽주 정유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향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20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871A (ko) * 2019-11-11 2021-05-2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감국꽃 향료의 추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871A (ko) * 2019-11-11 2021-05-2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감국꽃 향료의 추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19322B (zh) 具有缓解压力以及镇静效果的香料组合物以及包含其的化妆品组合物
EP1346726A1 (en) Sympathetic-activating perfume composition
KR101077018B1 (ko)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14543B1 (ko) 오미자 정유 및 참당귀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리적 안정 및 스트레스 완화용 향료 조성물
KR102151761B1 (ko) 두뇌의 긴장을 완화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쿠아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843977B1 (ko) 뇌파 지표 rsmt, rb, rmt, afa를 증가시키는 편백나무, 측백나무, 구상나무 혼합 향료 조성물
KR101434449B1 (ko) 비자나무 잎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항스트레스성 천연 항료 조성물
JP2002265977A (ja) 交感神経活性化香料組成物
KR101533673B1 (ko) 치자꽃생체추출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60957B1 (ko)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딥 포레스트 믹스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60960B1 (ko) 두뇌를 쾌적하고 편안하게 하는 센슈얼 루미너스 플라워 향취의 향료 조성물
KR20130122043A (ko) 삽주 정유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향장품
KR102060958B1 (ko)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트로피칼 패션 플라워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570019B1 (ko) 아로마테라피 효과가 있는 발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1758B1 (ko)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로마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313255B1 (ko) 어수리의 잎으로부터 추출된 어수리 천연정유를 포함하는 향장 조성물
KR101538417B1 (ko) 천궁 정유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향장품
KR101355307B1 (ko) 진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577643B1 (ko) 명감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N110051744A (zh) 一种治疗失眠的复方中药精油
KR102506628B1 (ko) 두뇌의 쾌적성 및 집중력을 증진시키는 아쿠아 그린 구상나무 향료 조성물
KR102506624B1 (ko) 두뇌의 집중력을 증진시키는 프루티 프로랄 구상나무 향료 조성물
KR102244814B1 (ko) 로즈제라늄 정유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KR102570858B1 (ko) 아로마테라피용 피부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
KR102363321B1 (ko) 두뇌의 쾌적 및 활발한 각성상태로 만들어주는 그린 시트러스 향취의 조합향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