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449A -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 - Google Patents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449A
KR20190136449A KR1020180062171A KR20180062171A KR20190136449A KR 20190136449 A KR20190136449 A KR 20190136449A KR 1020180062171 A KR1020180062171 A KR 1020180062171A KR 20180062171 A KR20180062171 A KR 20180062171A KR 20190136449 A KR20190136449 A KR 20190136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eous solution
catalyst
reaction
metal roll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9656B1 (ko
Inventor
김필근
김상명
신동조
이정무
안수경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2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656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06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 C01B3/08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wi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6Controlling the process
    • C01B2203/169Controlling the f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4Recycling of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talysts (AREA)
  • Fuel Cell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파우더, 금속 조각 혹은 펠릿이 아닌 롤링된 판형의 금속 시트를 연속적으로 권출하면서 촉매 수용액 내로 공급함으로써 연속적인 수소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반응이 끝난 금속 시트는 다시 권취시킨 후 새 금속 롤로 교체시킬 수 있으며, 반응액으로부터 촉매 수용액을 분리시킨 후 이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DUCING HYDROGEN USING METAL ROLLS}
본 발명은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속(알루미늄)과 촉매 수용액을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함에 있어, 금속 파우더, 금속 조각 혹은 펠릿이 아닌 롤링된 판형의 금속 시트를 연속적으로 권출하면서 촉매 수용액 내로 공급함으로써 연속적인 수소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반응이 끝난 금속 시트는 다시 권취시킨 후 새 금속 롤로 교체시킬 수 있으며, 반응액으로부터 촉매 수용액을 분리시킨 후 이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 연료를 대체하기 위한 에너지원인 수소를 연료전지에 공급하여 열과 전기를 생산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연료전지에 수소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금속을 이용한 수소 생산 방법은 금속(알루미늄)을 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반응성 향상을 위하여 촉매(수산화나트륨)를 이용하거나, 금속(알루미늄)의 비표면적을 높이기 위해 파우더 형태나 펠릿 등의 형태로 공급하게 된다.
하지만, 촉매와 알루미늄의 연속 주입 방법과 폭발적인 반응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는 단점이 발생된다.
예컨대, 다량의 작은 알갱이 형태의 금속 조각을 반응시킬 경우, 반응성이 너무 폭발적이기 때문에 이를 제어하기에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과, 반응성을 제어하면서 알루미늄과 촉매 수용액(예컨대, 수산화알루미늄 수용액)이 반응함에 따라 수소의 연속 생산이 어렵다는 단점도 발생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33582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금속 파우더, 금속 조각 혹은 펠릿이 아닌 롤링된 판형의 금속 시트를 연속적으로 권출하면서 촉매 수용액 내로 공급함으로써 연속적인 수소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응이 끝난 금속 시트를 권취시킨 후 새로운 금속 롤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응액으로부터 촉매 수용액을 분리시킨 후 이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는 반응조, 상기 반응조 내로 촉매 수용액을 공급하는 촉매 수용액 공급 탱크, 권취된 상태로 상기 반응조 상측에 거치되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말단부가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권출됨에 따라 상기 말단부가 하강하여 상기 촉매 수용액에 침지되는 금속 롤 및 상기 금속 롤과 상기 촉매 수용액 간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제1 반응액으로부터 상기 촉매 수용액을 분리하는 촉매 수용액 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 롤과 상기 촉매 수용액 간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수소 기체는 상기 반응조와 연결된 수소 기체 포집부를 통해 포집되며, 분리된 상기 촉매 수용액은 상기 촉매 수용액 공급 탱크로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금속 롤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회전심 및 상기 회전심의 둘레를 따라 다수 회로 감겨진 판(plate)형의 금속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심의 양측 말단부는 상기 반응조 상측에 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응조는 상기 회전심이 거치되기 위한 거치대, 상기 회전심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반응조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는 상기 금속 시트가 수직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하강하는 상기 금속 시트의 양측과 접하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금속 시트를 하측 방향으로 권출되도록 하며 권출 속도를 제어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일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금속 시트가 상측을 향해 권취되는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응조는 작업자 조작을 통해 상측에 거치된 상기 금속 롤의 회전 방향이 수동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금속 롤 제어 핸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촉매 수용액 분리부는 상기 제1 반응액이 포집되는 제1 반응액 포집 탱크 및 상기 제1 반응액 포집 탱크에 포집된 상기 제1 반응액으로부터 상기 촉매 수용액을 분리하는 원심분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촉매 수용액 분리부는 상기 원심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상기 촉매 수용액을 상기 촉매 수용액 공급 탱크로 공급하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응조 상측에 거치된 상기 금속 롤은 상기 반응조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소 기체 포집부는 센싱 수단을 통해 상기 포집되는 수소 기체량을 센싱하며, 센싱 결과를 토대로 상기 모터의 회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상기 모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금속 시트의 권출속도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방법은 촉매 수용액 공급 탱크 내의 촉매 수용액을 반응조 내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반응조 상측에서 권취된 상태로 거치된 금속 롤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금속 롤의 말단부가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권출되면서 상기 말단부가 하강하여 상기 촉매 수용액에 침지되는 단계, 촉매 수용액 분리부를 통해, 상기 금속 롤과 상기 촉매 수용액 간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제1 반응액으로부터 상기 촉매 수용액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금속 롤과 상기 촉매 수용액 간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수소 기체가 상기 반응조와 연결된 수소 기체 포집부를 통해 포집되는 단계 및 분리된 상기 촉매 수용액이 상기 촉매 수용액 공급 탱크로 유입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금속 파우더, 금속 조각 혹은 펠릿이 아닌 롤링된 판형의 금속 시트를 연속적으로 권출하면서 촉매 수용액 내로 공급함으로써 연속적인 수소 생산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응이 끝난 금속 시트를 권취시킨 후 새로운 금속 롤로 신속한 교체가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응액으로부터 촉매 수용액을 분리시킨 후 이를 재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알루미늄을 연속적으로 주입하여 일정량의 수소 생산이 가능하며, 장시간 운전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응 중인 알루미늄 롤을 되감음으로써 촉매 수용액(NaOH)과의 반응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반응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금속 롤(13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롤을 이용한 금속 수소생산설비(100)는 크게 반응조(110), 촉매 수용액 공급 탱크(120), 하나 이상의 금속 롤(130) 및 촉매 수용액 분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반응조(110)는 촉매 수용액 공급 탱크(120)로부터 공급되는 촉매 수용액(예컨대,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이 일정량 수용되는 용기를 의미할 수 있는데, 상측으로는 후술되는 금속 롤(130)이 안착(혹은 거치)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금속 롤(130)의 구성을 도 2를 통해 먼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금속 롤(13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금속 롤(13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회전심(130a) 및 회전심(130a)의 둘레를 따라 다수 회로 감겨진 판(plate)형의 금속 시트(13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회전심(130a)이라 함은 예컨대 롤 휴지의 내부 심을 의미할 수 있고, 금속 시트(130b)는 얇은 판형의 알루미늄 판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회전심(130a)은 금속 롤(130)의 양측 말단부 보다 양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반응조(110)에 마련되는 거치대(110a)의 상측에 안착 및 거치될 수 있다. 즉, 회전심(130a)은 금속 롤(13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기 위한 회전축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금속 시트(130b)의 말단부가 하측 방향을 향해 권출(언와인딩)되는 경우 회전심(130a)이 그에 상응하게 거치대(110a)에 거치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금속 시트(130b)를 상측 방향을 향해 권취(와인딩) 시켜야 하는 경우 회전심(130a)이 그에 상응하게 거치대(110a)에 거치된 상태에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금속 시트(130b)는 알루미늄(Al)이 적용될 수 있는데, 알루미늄(Al)과 촉매 수용액에 해당하는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이 만나는 경우, 수산화알루미늄(Al(OH)3)과 수소(H2) 기체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수소 기체는 반응조(110)와 연결된 수소 기체 포집부를 통해 포집되게 되며, 수산화알루미늄이 포함된 제1 반응액은 후술되는 촉매 수용액 분리부(140)에 의해 촉매 수용액인 수산화나트륨(NaOH)이 분리되게 된다.
여기에서, 수소 기체 포집부는 포집되는 수소 기체량을 센싱하는 센싱수단(미도시)를 포함하며, 센싱수단을 통해 포집된 수소 기체량을 센싱한 후, 금속 롤(130)의 권출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모터(110c)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10c)는 전송된 신호에 근거하여 그 회전속도가 제어되게 되며, 그에 따라 금속 롤(130)의 회전, 즉 금속 시트(130b)의 권출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이러한 반응조(110)의 상측에는 상술한 회전심(130a)이 거치되기 위한 거치대(110a)가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반응조(110)의 상측에 거치대(110a)가 마련되는 이유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금속 시트(130b)의 말단부가 권출되면서 하측 방향으로 서서히 내려와 촉매 수용액으로 침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다수 개로 마련되는 이유는 반응성을 높여야 하는 경우 다수의 금속 시트를 반응조(110) 내의 촉매 수용액 내로 침지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반응조(110)는 반응조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는 금속 시트(130b)의 양측면과 접한 상태에서, 일측 방향(예컨대, 금속 시트(130b)를 하측으로 내리도록 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금속 시트(130b)를 하측으로 하강시키거나, 또는 반대 방향(예컨대, 금속 시트(130b)를 상측으로 올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금속 시트(130b)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모터(110c)와, 모터(110c)의 동작에 의해 금속 시트(130b)의 말단부가 반응조(110) 내에서 내려오거나 올라가는 경우 금속 시트(130b)가 휘어지지 않고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1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금속 시트(130b)는 회전심(130a)에 권취된 상태이기 때문에, 말단부가 권출되더라도 휘어진 상태로 권출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부(110b)에 의해 이러한 휘어진 금속 시트(130b)가 수직으로 펴지게 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반응조(110)는 작업자의 수동 조작을 통해 금속 롤(130)의 회전심(130a)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금속 롤 제어 핸들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반응조(110) 내에 금속 시트(130b)가 침지된 상태에서 반응을 중지시키거나 제어하여야 하는 경우, 또는 금속 롤(13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작업자가 금속 롤 제어 핸들러를 통해 금속 시트(130b)가 회전심(130a)에 다시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촉매 수용액 분리부(140)는 금속 시트(130b)와 촉매 수용액 간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수산화알루미늄이 포함된 제1 반응액으로부터 다시 촉매 수용액인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을 분리시킨 후, 이를 다시 촉매 수용액 공급 탱크(120) 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촉매 수용액 분리부(140)는 제1 반응액이 포집되는 제1 반응액 포집 탱크(140a) 및 제1 반응액 포집 탱크(140a) 내에 포집된 제1 반응액으로부터 촉매 수용액인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을 분리하는 원심분리기(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원심분리기(140b)에 의해 분리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은 펌프(140c)를 통해 다시 촉매 수용액 공급 탱크(12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촉매 수용액 분리부(140)에 의해 분리되는 수산화알루미늄(Al(OH)3)은 촉매 수용액 분리부(140) 내에 포함된 수산화알루미늄 포집부(미도시)를 통해 별도로 포집 및 침전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3을 통해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과정을 순서대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먼저 촉매 수용액 공급 탱크 내의 촉매 수용액이 반응조 내로 공급됨에 따라, 반응조 내에 촉매 수용액이 충수된다(S301).
그 다음, 반응조의 상측에 마련된 금속 롤의 금속 시트가 모터에 의해 풀려나면서 말단부가 하측 방향으로 내려오게 되고, 그에 따라 금속 시트의 말단부를 시작으로 금속 시트가 서서히 촉매 수용액으로 침지된다(S302).
그 다음, 금속 시트와 촉매 수용액이 서로 반응함에 따라 수소 기체와 제1 반응액이 생성되는데, 제1 반응액은 촉매 수용액 분리부에 포함된 원심분리기에 의해 촉매 수용액이 분리되며, 수소 기체는 수소 기체 포집부를 통해 별도 포집된다(S303).
그 다음, 원심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촉매 수용액은 펌프에 의해 촉매 수용액 공급 탱크로 재유입된다(S304).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
110: 반응조
110a: 거치대
110b: 가이드부
110c: 모터
120: 촉매 수용액 공급 탱크
130: 금속 롤
130a: 회전심
130b: 금속 시트
140: 촉매 수용액 분리부
140a: 제1 반응액 포집 탱크
140b: 원심분리기
140c: 펌프

Claims (9)

  1. 반응조;
    상기 반응조 내로 촉매 수용액을 공급하는 촉매 수용액 공급 탱크;
    권취된 상태로 상기 반응조 상측에 거치되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말단부가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권출됨에 따라 상기 말단부가 하강하여 상기 촉매 수용액에 침지되는 금속 롤; 및
    상기 금속 롤과 상기 촉매 수용액 간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제1 반응액으로부터 상기 촉매 수용액을 분리하는 촉매 수용액 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 롤과 상기 촉매 수용액 간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수소 기체는 상기 반응조와 연결된 수소 기체 포집부를 통해 포집되며, 분리된 상기 촉매 수용액은 상기 촉매 수용액 공급 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롤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회전심; 및
    상기 회전심의 둘레를 따라 다수 회로 감겨진 판(plate)형의 금속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심의 양측 말단부는 상기 반응조 상측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는,
    상기 회전심이 거치되기 위한 거치대;
    상기 회전심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반응조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는 상기 금속 시트가 수직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하강하는 상기 금속 시트의 양측과 접하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금속 시트를 하측 방향으로 권출되도록 하며 권출 속도를 제어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일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금속 시트가 상측을 향해 권취되는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는,
    작업자 조작을 통해 상측에 거치된 상기 금속 롤의 회전 방향이 수동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금속 롤 제어 핸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수용액 분리부는,
    상기 제1 반응액이 포집되는 제1 반응액 포집 탱크; 및
    상기 제1 반응액 포집 탱크에 포집된 상기 제1 반응액으로부터 상기 촉매 수용액을 분리하는 원심분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수용액 분리부는,
    상기 원심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상기 촉매 수용액을 상기 촉매 수용액 공급 탱크로 공급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 상측에 거치된 상기 금속 롤은,
    상기 반응조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기체 포집부는,
    센싱 수단을 통해 상기 포집되는 수소 기체량을 센싱하며, 센싱 결과를 토대로 상기 모터의 회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상기 모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금속 시트의 권출속도가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
KR1020180062171A 2018-05-30 2018-05-30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 KR102579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171A KR102579656B1 (ko) 2018-05-30 2018-05-30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171A KR102579656B1 (ko) 2018-05-30 2018-05-30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449A true KR20190136449A (ko) 2019-12-10
KR102579656B1 KR102579656B1 (ko) 2023-09-15

Family

ID=69003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171A KR102579656B1 (ko) 2018-05-30 2018-05-30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65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279A (ja) * 2002-04-08 2003-10-21 Mitsubishi Gas Chem Co Inc 耐屈曲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箔積層フィルム
KR100481426B1 (ko) * 2004-04-02 2005-04-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알루미늄 층이 포함된 다층 필름의 재활용 방법 및 장치
KR100733582B1 (ko) 2005-04-01 2007-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소생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수소생산방법
KR20120020327A (ko) * 2010-08-30 2012-03-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발생장치 및 수소발생방법
KR20140048953A (ko) * 2011-06-28 2014-04-24 에버레디 배터리 컴퍼니, 인크. 수소 가스 발생기
KR20180019413A (ko) * 2016-08-16 2018-0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금속 연료 수소발생장치용 금속 연료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279A (ja) * 2002-04-08 2003-10-21 Mitsubishi Gas Chem Co Inc 耐屈曲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箔積層フィルム
KR100481426B1 (ko) * 2004-04-02 2005-04-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알루미늄 층이 포함된 다층 필름의 재활용 방법 및 장치
KR100733582B1 (ko) 2005-04-01 2007-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소생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수소생산방법
KR20120020327A (ko) * 2010-08-30 2012-03-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발생장치 및 수소발생방법
KR20140048953A (ko) * 2011-06-28 2014-04-24 에버레디 배터리 컴퍼니, 인크. 수소 가스 발생기
KR20180019413A (ko) * 2016-08-16 2018-0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금속 연료 수소발생장치용 금속 연료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9656B1 (ko) 202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67025A1 (en) Hydrogen generation system
KR20190136449A (ko) 금속 롤을 이용한 연속 수소생산설비
KR20130139490A (ko) 전극시트 압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전극시트 두께 조절방법
KR20190115867A (ko) 레이저를 이용한 권취코어 정밀 식각장치
CN103748737A (zh) 电池系统
CN205941396U (zh) 带有品检系统的模切机
CN202170188U (zh) 片状卷材自动换料机构
CN109650117A (zh) 一种柔性物料上下料装置
US8263271B2 (en) Fuel cell system
CN209567592U (zh) 一种柔性物料上下料装置
CN209298287U (zh) 一种隔膜打标控制换卷的卷绕机系统
CN112201826B (zh) 浸泡池组件及膜材浸泡设备
CN217729995U (zh) 一种用在刮墨机上的刮刀更换结构
CN217387262U (zh) 一种极耳错位调整结构
CN214569389U (zh) 集成式隔膜自动上料及下废料装置
KR101621615B1 (ko)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수소 공급 방법
CA2208203A1 (en) Process for preparing compound
KR101179871B1 (ko) 수소발생장치 및 수소발생방법
CN207312730U (zh) 离型纸自动复卷设备
CN212874547U (zh) 一种补锂卷绕一体机
CN219601733U (zh) 包胶机放卷供料带离心纸回收接带结构
KR102530148B1 (ko) 2차전지 인슐레이터 자동화 공급 장치
CN209753845U (zh) 一种制造钮扣电池壳盖的自动送料及废料回收装置
CN209955305U (zh) 一种大气薄膜卷对卷表面处理机
CN221019244U (zh) 一种基于激光打孔机的套图切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