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070A - 비연속 채널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 - Google Patents

비연속 채널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070A
KR20190136070A KR1020197032932A KR20197032932A KR20190136070A KR 20190136070 A KR20190136070 A KR 20190136070A KR 1020197032932 A KR1020197032932 A KR 1020197032932A KR 20197032932 A KR20197032932 A KR 20197032932A KR 20190136070 A KR20190136070 A KR 20190136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junction
bond
elasticized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4047B1 (ko
Inventor
브래들리 더블유. 스쿤
채드윅 아이. 롬젝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90136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61F13/4901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the elastic means being elastic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8Net structure, e.g. spaced apart filaments bonded at the crossing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being specifically extensible by reason of its structure or arrangement, e.g. by reason of the chemical na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5Interconnection of layers the layers not being connected over the whole surface, e.g. discontinuous connection or patterned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2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2037/009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 which absence of adhesives is explicitly presented as an advan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32B2262/0269Aromatic 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32B2262/067Wood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2Conjugate fibres, e.g. core/sheath o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4Mixture of at least two fibr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10Fibres of continuous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Hydrophob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35/00Medical equipment, e.g. bandage, prostheses, cath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32B2555/02Diapers or napk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32B3/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spaced apart pieces on the surface of a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6Knitted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26Spot bonds connect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9Autogenously bonded nonwoven fabr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탄성화된 물질 및 탄성화된 물질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화된 물질은 제1 물질 층, 복수의 접합부는 접합부 그룹 행들에 정렬된 접합부 그룹에 배열되는, 복수의 접합부에 의해 제1 물질 층에 접합되는, 제2 물질 층, 및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물질 층과 제2 물질 층 사이에 배치된 탄성중합체 가닥으로, 제1 접합부 그룹의 제1 접합부와 제2 접합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제1 접합부 그룹의 제1 접합부와 제2 접합부는 탄성중합체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거리만큼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탄성중합체 가닥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합부 그룹의 일부분은 제1 접합부 그룹과 측방향으로 겹쳐질 수 있으며, 제2 접합부 그룹은 제1 접합부 그룹을 포함하는 행에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행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비연속 채널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
관련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비연속 채널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이라는 명칭으로, 2017년 4월 28일자로 출원된, 공동 계류중인 미국 가출원 번호 "62/491503"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탄성화된 물질,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연속 채널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에 관한 것이다.
탄성화된 물질은 다양한 의복 및 흡수 용품 내부를 비롯하여, 많은 상이한 응용분야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탄성화된 물질은 허리 밴드, 다리 커프스, 배리어 커프스, 또는 의복 및 흡수 용품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일부로 사용되어 이로운 착용감 특성을 제공하거나, 신체 삼출물의 누출을 방지하거나, 또는 다른 이점을 부여할 수도 있다.
많은 현재의 의복 및 흡수 용품은, 물질 층 사이에 위치되고 접착제로 물질 층에 첨부된 탄성체 가닥을 포함하는 탄성화된 물질을 포함한다. 몇몇 선행 기술의 탄성화된 물질은 이산 개별 접합부들을 사용하여 탄성체 가닥을 물질 층에 첨부하는 것을 위한 접착제를 제거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러한 선행 기술의 물질은 탄성체 가닥을 가로질러 접합부들을 탄성체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거리만큼 위치시킨다. 일부 예시적인 선행 기술의 물질은 명칭이 "Ruffling Slide and Method for Making Same"인 미국 특허 제6,291,039호(Cera France Compagnie d'Equipment Robotique Appliquee)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정한 구조적 구성은, 접합부들 사이의 탄성화된 물질 내의 제 자리에 탄성체 가닥들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접착제 없는 탄성화된 물질은 탄성화된 물질 내에 탄성중합체 가닥을 첨부하기 위해 접착제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비용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기능적 이점을 갖는 것 이외에,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는 추가 탄성화된 물질은 흡수 용품의 전체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탄성화된 물질,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연속 채널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탄성화된 물질은, 물질이 이완된 상태에 있을 때 탄성화된 물질에 형성된 채널들이 물질을 통해 연속적으로 연장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완된 물질은 다수의 융기부 및 다수의 골부 - 또는 채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물질은 채널들이 물질을 통해 연속적인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정렬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물질은 흡수 용품이나 의복에 사용되어서 용품이나 의복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탄성화된 물질은 길이방향과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물질은 제1 물질 층, 복수의 접합부에 의해 상기 제1 물질 층에 접합되며, 상기 복수의 접합부는 접합부 그룹 행들에 정렬된 접합부 그룹에 배열되는, 제2 물질 층, 및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물질 층과 제2 물질 층 사이에 배치된 탄성중합체 가닥으로, 제1 접합부 그룹의 제1 접합부와 제2 접합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의 제1 접합부와 제2 접합부는 상기 탄성중합체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거리만큼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기 탄성중합체 가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합부 그룹의 일부분은 제1 접합부 그룹과 측방향으로 겹쳐질 수 있으며, 제2 접합부 그룹은 제1 접합부 그룹을 포함하는 접합부 그룹 행에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접합부 그룹 행에 배치된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제1 접합부 그룹 및 제2 접합부 그룹의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상부 접합부 및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는 제2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상부 접합부와 측방향으로 겹쳐질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제2 실시예의 제1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와 제2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상부 접합부 사이의 측방향 겹침은 제1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의 길이방향 높이의 0% 내지 250%인 겹침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제2 또는 제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제1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와 제2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상부 접합부 사이의 측방향 겹침은 제1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의 길이방향 높이의 0% 내지 100%인 겹침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서, 제2 내지 제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제1 접합부 그룹과 제2 접합부 그룹은 각각 2개의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실시예에서, 제2 내지 추가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제1 접합부 그룹과 제2 접합부 그룹은 각각 3개의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7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6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제1 접합부 그룹은 제1 접합부 그룹 행의 인접한 접합부 그룹으로부터 제1 측방향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고, 제2 접합부 그룹은 제1 접합부 그룹으로부터 제2 측방향 만큼 이격될 수 있고, 제2 측방향 거리는 제1 측방향 거리의 약 10% 내지 약 40%이다.
제8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6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제1 접합부 그룹은 제1 접합부 그룹 행의 인접한 접합부 그룹으로부터 제1 측방향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고, 제2 접합부 그룹은 제1 접합부 그룹으로부터 제2 측방향 만큼 이격될 수 있고, 제2 측방향 거리는 제1 측방향 거리의 약 15% 내지 약 30%이다.
제9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8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접합부 그룹 내의 인접한 접합부들의 각각의 쌍은 탄성중합체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거리만큼 길이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0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9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접합부 그룹 행 내의 인접한 접합부 그룹들은 접합부 그룹 측방향 거리 만큼 이격될 수 있고, 주어진 접합부 그룹 행의 최소 접합부 그룹 측방향 거리는 탄성화된 물질의 각각의 접합부 그룹 행에 대하여, 최대 접합부 그룹 측방향 거리의 15% 이하의 양 만큼 작은 양만큼 주어진 접합부 그룹 행의 최대 접합부 그룹 측방향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제11 실시예에서, 전방 영역, 가랑이 영역, 및 후방 영역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으로, 제1 측면 에지 및 제2 측면 에지를 갖는 흡수 용품은 상기 전방 영역에 배치된 제1 탄성화된 허리 패널, 상기 후방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탄성화된 허리 패널로부터 이격된 제2 탄성화된 허리 패널, 및 외부 커버, 라이너, 및 상기 외부 커버와 상기 라이너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흡수 패널은 상기 제1 탄성화된 허리 패널과 상기 제2 탄성화된 허리 패널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을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제1 탄성화된 허리 패널과 상기 제2 탄성화된 허리 패널 중 하나는 제1 물질 층, 복수의 접합부에 의해 상기 제1 물질 층에 접합되며, 상기 복수의 접합부는 접합부 그룹 행들에 정렬된 접합부 그룹에 배열되는, 제2 물질 층, 및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물질 층과 제2 물질 층 사이에 배치된 탄성중합체 가닥으로, 제1 접합부 그룹의 제1 접합부와 제2 접합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의 제1 접합부와 제2 접합부는 상기 탄성중합체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거리만큼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기 탄성중합체 가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들 중 일부에서, 제2 접합부 그룹의 일부분은 제1 접합부 그룹과 측방향으로 겹쳐질 수 있으며, 제2 접합부 그룹은 제1 접합부 그룹을 포함하는 접합부 그룹 행에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접합부 그룹 행에 배치된다.
제12 실시예에서, 제11 실시예의 탄성중합체 가닥은 흡수체와 겹쳐질 수 있다.
제13 실시예에서, 제11 또는 제12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탄성화된 허리 패널과 상기 제2 탄성화된 허리 패널 중 다른 하나는 제1 물질 층, 복수의 접합부에 의해 상기 제1 물질 층에 접합되며, 상기 복수의 접합부는 접합부 그룹 행들에 정렬된 접합부 그룹에 배열되는, 제2 물질 층, 및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물질 층과 제2 물질 층 사이에 배치된 탄성중합체 가닥으로, 제1 접합부 그룹의 제1 접합부와 제2 접합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의 제1 접합부와 제2 접합부는 상기 탄성중합체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거리만큼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기 탄성중합체 가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들 중 일부에서, 제2 접합부 그룹의 일부분은 제1 접합부 그룹과 측방향으로 겹쳐질 수 있으며, 제2 접합부 그룹은 제1 접합부 그룹을 포함하는 접합부 그룹 행에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접합부 그룹 행에 배치된다.
제14 실시예에서, 제11 내지 제1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제1 접합부 그룹 및 제2 접합부 그룹의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상부 접합부 및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는 제2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상부 접합부와 측방향으로 겹쳐질 수 있다.
제15 실시예에서, 제14 실시예의 제1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와 제2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상부 접합부 사이의 측방향 겹침은 제1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의 길이방향 높이의 0% 내지 250%인 겹침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6 실시예에서, 제14 실시예의 제1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와 제2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상부 접합부 사이의 측방향 겹침은 제1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의 길이방향 높이의 0% 내지 100%인 겹침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7 실시예에서, 제11 내지 제16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제1 접합부 그룹과 제2 접합부 그룹은 각각 2개의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8 실시예에서, 제11 내지 제16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제1 접합부 그룹과 제2 접합부 그룹은 각각 3개의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9 실시예에서, 제11 내지 제18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접합부 그룹 내의 인접한 접합부들의 각각의 쌍은 탄성중합체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거리만큼 길이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0 실시예에서, 제11 내지 제19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제1 허리 패널은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각각은 상이한 접합부 그룹들의 접합부들을 통해 연장되며, 상기 상이한 접합부 그룹들의 접합부들은 통과하는 탄성중합체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거리만큼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요약은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 또는 모든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더욱 완전한 이해와 함께, 이점 및 성과는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을 참조함으로써 명백해지고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다양한 실시예의 하기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더욱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으며, 이때:
도 1은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탄성화된 물질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탄성화된 물질의 일부분의 확대 평면도이고;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탄성화된 물질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흡수 용품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이 다양한 변형 및 대안적인 형태로 될 수 있지만, 이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이 도면에서 예시로써 도시되었고 본원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측면들을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본 의도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형, 균등물 및 대안을 다루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익한 특성을 갖는 접합 패턴을 포함하는 탄성화된 물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예에서, 탄성화된 물질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접합 패턴은 형성 공정에서 탄성중합체 가닥에 대해 임의의 위치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물질 내의 가닥들의 접합을 보장한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접합 패턴은 물질이 이완된 상태에 있을 때 탄성화된 물질의 불균일한 주름짐(ruffling)을 야기할 수도 있다. 불균일한 주름짐은 유체 흐름에 대한 장벽이 되는 것과 또한 물질이 이완된 상태에 있을 때 독특하고 연속적인 융기부 및 골부를 형성하는 대안적인 접합 패턴에 비해 상대적으로 편평한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각 예는,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 또는 도면의 일부로서 예시되거나 기술된 특징들은 여전히 추가적인 실시예를 만들기 위해 또 다른 실시예 또는 도면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수정과 변경을 포함하려는 것이다.
다양한 구성요소, 특징 및/또는 사양에 관한 일부 적절한 치수, 범위 및/또는 값이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해 유발되는,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 중 한 명이라면, 원하는 치수, 범위 및/또는 값이 명시적으로 개시된 것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소들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입할 때, "한", "하나", "그", "상기" 라는 구는 그 요소들의 하나 이상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이라는 용어들은, 포괄적인 것이며, 열거된 요소들 외의 다른 추가 요소들이 존재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많은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정의:
"흡수 용품(absorbent article)"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착용자 신체에 맞대거나 또는 근접하게(즉, 신체에 인접하게) 놓여서 신체로부터 배출되는 다양한 액체, 고체, 반고체 삼출물들을 흡수하여 함유할 수 있는 용품을 의미한다. 이러한 흡수 용품은, 본원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재사용을 위해 세탁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복원되는 것이 아니라 제한된 사용 기간 후 폐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저귀, 기저귀 팬티, 용변 연습용 팬티, 아동 팬티, 수영 팬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일회용 흡수 용품들, 월경 패드 또는 팬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여성 위생 제품, 실금 제품, 성인 기저귀 및 팬티, 의료용 의복, 수술용 패드 및 붕대, 기타 개인 위생 또는 건강 의복, 기타 등등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접합된(bonded)", "부착된(attached)" 또는 "결합된(coupled)"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두 요소의 결합, 접착, 연결, 부착 등을 의미한다. 두 요소는, 그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또는 각각이 중간 요소들에 직접적으로 접합될 때처럼 서로 간접적으로 결합, 접착, 연결, 부착 등이 될 때에 함께 접합되거나 부착되거나 결합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한가지 요소의 다른 것에 대한 접합, 부착 또는 결합은 연속적이거나 단속적 접합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
"카디드 웹"(carded web)은, 본원에서, 통상적으로 섬유 길이가 약 100mm 미만인 천연 또는 합성 주요 길이 섬유를 포함하는 웹을 가리킨다. 단섬유들의 더미는, 섬유들을 분리하도록 개방 공정을 거칠 수 있고, 이어서 이러한 섬유들은, 분리 및 코빙(comb)하여 기계 방향으로 정렬한 후 섬유들을 추가 처리를 위해 이동 와이어 상에 적층되는 카딩(carding)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웹은, 일반적으로, 열 및/또는 압력을 이용하는 열적 접합 등의 일부 유형의 접합 공정을 거친다. 또한 또는 대신, 섬유는, 분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섬유들을 함께 접합하는 접착 공정을 거칠 수도 있다. 카디드 웹은, 섬유들을 더욱 뒤엉키게 하여 카디드 웹의 무결성을 개선하도록 수력엉킴(hydroentangling) 등의 유체 엉킴을 거칠 수도 있다. 카디드 웹은, 기계 방향으로의 섬유 정렬 때문에, 일단 접합되면, 통상적으로 교차 기계 방향 세기보다 큰 기계 방향 세기를 갖는다.
"필름"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주조 필름 또는 블로운 필름 압출 공정 등의 압출 및/또는 형성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된 열가소성 필름을 가리킨다. 상기 용어는 배리어 필름, 충전된 필름, 통기성 필름, 및 배향 필름과 같은 액체를 전달하지 않는 필름뿐만 아니라, 액체 전달 필름을 구성하는 개구화된 필름, 슬릿 필름, 및 기타 다공성 필름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gsm"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제곱 미터당 그램을 가리킨다.
"친수성"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섬유와 접촉하고 있는 수성 액체에 의해 습윤되는 섬유 또는 섬유의 표면을 칭한다. 이에 따라, 물질의 습윤 정도는 연관된 액체 및 물질의 접촉각 및 표면 장력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다. 특정한 섬유 물질들 또는 섬유 물질들의 혼합물의 젖음성을 측정하기 위한 적합한 장비 및 기술은, Cahn SFA-222 표면력 분석기 시스템(Surface Force Analyzer System) 또는 실질적으로 등가의 시스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 시스템으로 측정될 때, 90 미만의 접촉각을 갖는 섬유는 "젖음성" 또는 친수성인 것으로 지정되고, 90 초과의 접촉각을 갖는 섬유는 "비젖음성" 또는 소수성인 것으로 지정된다.
"멜트블로운"(meltblown)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용융된 실(thread) 또는 필라멘트로서 복수의 미세한 일반적으로 원형인 다이 모세관을 통해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마이크로섬유 직경일 수 있는 그 직경을 감소시키기 위해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의 필라멘트를 가늘게 하는 수렴 고속 가열 가스(예를 들어, 공기) 스트림으로 압출함으로써 형성된 섬유를 칭한다. 그런 다음 멜트블로운 섬유는 고속 가스 스트림에 의해 운반되고 수집 표면 위에 쌓여서 무작위 분산된 멜트블로운 섬유 웹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정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참조로 원용되는 Butin 등에 의한 미국특허 제3,849,241호에 개시되어 있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는 마이크로섬유이고, 일반적으로 약 0.6 데니어(denier) 미만이고, 수집면 상에 적층될 때 끈적이면서 자체 접합형일 수 있다.
"부직포"(nonwoven)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직물 직조(weaving) 또는 편직(knitting) 공정의 도움 없이 형성된 물질 및 물질들의 웹을 칭한다. 상기 물질 및 물질들의 웹은, 편직물에서와 같이 식별 가능한 방식은 아니지만 짜일(interlay) 수 있는 개별적인 섬유, 필라멘트, 또는 실(총칭하여 "섬유"라 칭함)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부직포 물질 또는 웹은, 멜트블로잉 공정, 스펀본딩 공정, 카디드 웹 공정, 수력엉킴 공정 등과 같은 많은 공정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 "스펀본드"(spunbond)는 본원에서, 원형 또는 기타 구성을 갖는 스피너레트(spinnerette)의 복수의 미세 모세관으로부터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필라멘트로서 압출함으로써 형성되는 소 직경의 섬유들을 가리키며, 이어서, 압출된 필라멘트들의 직경은 이덕티브 드로잉(eductive drawing)과 같은 종래의 공정에 의해 급속하게 감소되며, 그 예는, Appel 등의 미국특허 제4,340,563호, Dorschner 등의 미국특허 제3,692,618호, Matsuki 등의 미국특허 제3,802,817호, Kinney의 미국특허 제3,338,992호와 제3,341,394호, Hartman의 미국특허 제3,502,763호, Peterson의 미국특허 제3,502,538호, Dobo 등의 미국특허 제3,542,615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원용된다. 스펀본드 섬유는, 일반적으로 연속적이며, 약 0.3보다 큰 평균 데니어를 종종 가지고, 일 실시예에서는, 약 0.6, 5, 10 내지 약 15, 20, 40의 데니어를 갖는다. 스펀본드 섬유는, 수집면 상에 피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끈적거리지 않는다.
물질이나 용품의 일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탄성화된(elasticated)"은 물질이나 용품이 탄성중합체 물질, 예컨대 하나 이상의 탄성중합체 밴드 또는 가닥에 결합된 비탄성 시트 물질로 만들어져서, 물질이나 용품이 탄성 특성을 나타내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열가소성"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열에 노출시 성형될 수 있으며 냉각시 비연성화 상태로 실질적으로 복귀하는 연성화되는 물질을 가리킨다.
용어 "사용자" 또는 "돌보는 사람"은 본원에서, 흡수 용품, 예컨대 기저귀, 기저귀 팬티, 용변 연습용 팬티, 아동 팬티, 실금 제품, 또는 이들 흡수 용품 중 하나의 착용자 주변의 기타 흡수 용품이지만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는 것을 착용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사용자 및 착용자는 한 명이고 동일한 사람일 수 있다.
탄성화된 물질(elasticated material):
도 1은 예시적인 탄성화된 물질(10)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상방 평면도이다. 탄성화된 물질(10)은 일반적으로 상단 시트 에지(11)와 하단 시트 에지(13) 사이에서, 길이방향(31) 및 측방향(32) 양쪽 모두로 연장된다. 탄성화된 물질(10)은 일반적으로 제1 물질 층(12), 제2 물질 층(14), 탄성중합체 가닥(16), 및 접합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접합부(20) 중 적어도 일부는, 접합부(20)가 탄성화된 물질(10) 내의 제 위치에 탄성중합체 가닥(16)의 부분들을, 첨부하거나, "포획하는(entrap)" 방식으로 탄성중합체 가닥(16)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물질 층(12)과 외부 물질 층(14)은, 의복과 흡수 용품의, 허리밴드, 다리 커프스, 또는 임의의 기타 신체 접촉부, 또는 비-신체 접촉부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물질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층들(12, 14)은 동일한 물질 또는 상이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층들(12, 14)은 상이한 고려된 실시예에서 단일 층, 다중 층, 적층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탄성화된 물질(10)을 형성하기 위해 층들(12, 14)은 탄성중합체 가닥(16)의 대향 측면들 상에 위치된 2개의 별개의 물질 웹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탄성화된 물질(10)을 형성하기 위해 층들(12, 14)은 물질 웹의 제1 부분이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제1 측면 상에 위치되고 물질 웹의 제2 부분이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제2 측면 상에 위치되도록 접히는 단일한 물질 웹을 포함할 수 있다.
층들(12, 14)을 위한 예시적인 적합한 물질의 분류로는 합성 섬유(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천연 섬유(예를 들면, 목재 또는 면 섬유), 천연 및 합성 섬유의 조합, 다공성 발포체, 망형(reticulated) 발포체, 개구형 플라스틱 필름 등이 있다. 적합한 물질의 예들은 레이온, 목재, 면,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또는 다른 열 접합 가능한 섬유, 한정되지는 않지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의 코폴리머와 같은 폴리올레핀, 선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락틱산, 미세 천공 필름 웹, 그물 물질과 같은 지방족 에스테르 등, 또한 그들의 조합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다양한 직조 및 부직포 직물이 층들(12, 14)에 사용될 수 있다. 층들(12, 14)은 직조 직물, 부직포 직물, 중합체 필름, 필름-직물 적층체 등 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부직포 직물의 예들은 스펀본드 직물, 멜트블로운 직물, 코폼 직물, 카디드 웹, 본디드 카디드 웹, 이성분 스펀본드 직물, 스펀레이스 등 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층들(12, 14)은 폴리올레핀 섬유의 멜트블로운 또는 스펀본드 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층들(12, 14)은 천연 및/또는 합성 섬유로 구성된 본디드 카디드 웹일 수 있다. 층들(12, 14)은 실질적으로 소수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소수성 물질은 선택적으로 계면활성제로 처리될 수 있거나, 이와 달리 원하는 수준의 습윤성 및 친수성을 부여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분무, 인쇄, 브러쉬 코팅 등과 같은 임의의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가 전체 층들(12, 14)에 도포될 수 있거나, 또는 계면활성제는 층들(12, 14)의 특정 부위들에 선택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층들(12, 14)에 적합한 일부 특정한 예시적인 물질은 5-150gsm 범위에 있는 100% 폴리프로필렌 본디드-카디드 웹을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적절한 물질은 5-150gsm 범위의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웹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층들(12, 14)은 부직포 이성분 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직포 이성분 웹은 스펀본디드 이성분 웹, 또는 본디드 카디드 이성분 웹일 수 있다. 이성분 단섬유의 예는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이성분 섬유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정 이성분 섬유에서, 폴리프로필렌은 코어를 형성하고, 폴리에틸렌은 섬유의 시스(sheath)를 형성한다. 다엽(multi-robe),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side), 말단-대-말단(end-to-end)와 같은, 다른 배향을 갖는 섬유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층들(12, 14)은 약 8 내지 약 50gsm의 평량을 갖는 스펀본드 기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층들(12, 14)은 12gsm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기재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층들(12, 14)은 8gsm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기재일 수 있다.
탄성중합체 가닥(16)을 위한 적합한 탄성화된 물질은 스판덱스 탄성중합체 가닥, 천연 또는 합성 고무의 가닥,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물질 또는 열 활성화 탄성중합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중합체 가닥(16)은 적어도 약 50%, 바람직하게는 약 350% 신장될 수 있으며 약 300% 신장된 후에 원래 길이의 적어도 약 250%, 바람직하게는 약 150% 내로 회복될 수 있는 임의의 탄성중합체 물질일 수 있다. 탄성중합체 가닥(16)은 예를 들어 E. I. DuPont de Nemours and Co.에서 시판중인 LYCRA 실과 같은 스판덱스 탄성중합체 가닥(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탄성중합체 가닥(16)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또는 J.P.S. Elastomerics Corp.에서 시판중인 천연 또는 합성 고무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탄성중합체 가닥(16)은 또한 탄성중합체 가닥(16)이 탄성화된 물질(10) 내에 배치되고 접합부(20)가 형성된 후에 열처리로 활성화될 수 있는, Atochem, Inc.에서 시판중인 PEBAX와 같은 열 활성화 탄성체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탄성중합체 가닥들은 약 10 데니어 내지 약 1500 데니어의 범위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접합부들(20)은 각각의 접합부 그룹(22)이 복수의 접합부들(20)을 포함하고 있는 접합부 그룹들(22)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접합부 그룹들(22)은 3개의 접합부들(20)을 포함하지만, 그 수는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부 그룹들(22)은 이와 달리 2개의 접합부들(20), 4개의 접합부들(20), 5개의 접합부들(20), 6개의 접합부들(20), 7개의 접합부들(20), 8개의 접합부들(20),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의 접합부들(20)을 포함할 수 있다. 접합부 그룹들(22)은 그들의 상대적인 길이방향 및 측방향 간격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가까이에 길이방향 및 측방향 근접하여 위치하는 접합부들(20)은 동일한 접합부 그룹들(22)의 일부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접합부 그룹(22)은 접합부들(20a, 20b, 및 20c)을 포함하는 접합부 그룹(22a)이며, 접합부(20a)는 접합부 그룹(22a)의 길이방향으로 상부(superior) 접합부고 접합부(20c)는 접합부 그룹(22a)의 길이방향으로 하부(inferior) 접합부다. 예시적인 접합부 그룹(22a)의 한 가지 특징부는 서로에 대한 접합부들(20a, 20b, 20c)의 상대적인 측방향 간격이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합부들(20a, 20b, 및 20c)의 각각은 물질(10) 내에 동일한 측방향 간격을 갖는다 - 즉, 접합부들(20a, 20b, 및 20c)의 각각의 중심은 물질(10) 내의 동일한 측방향 위치에 위치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접합부들(20a, 20b, 및 20c)의 각각은 동일한 접합부 폭(42)을 갖기 때문에, 접합부들(20a, 20b, 및 20c)의 각각은 길이방향(31)으로 서로 완전히 겹쳐진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접합부 그룹(22)의 접합부들(20)은 정확히 동일한 측방향 간격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들(20)의 중심이 길이방향(31)으로 정렬되지 않도록 접합부 그룹들(22)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들(20) 사이에 약간의 측방향 어긋남(offset)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측방향 어긋남은 접합부 그룹(22)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들(20) 사이에 길이방향 겹침이 없을 만큼 그렇게 크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룹(22a)의 접합부들(20a 및 20b)과 같은, 접합부 그룹(22)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들(20) 사이의 측방향 어긋남은,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들(20) 사이의 길이방향 겹침이 길이방향으로 상부 접합부(20)-접합부 그룹(22a)의 접합부(20a)임-의 접합부 폭(42)의 10% 이상이거나, 길이방향으로 상부 접합부(20)의 접합부 폭(42)의 20% 이상이거나, 30% 이상이거나, 40% 이상이거나, 50% 이상이거나, 60% 이상이거나, 70%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동일한 접합부 그룹(22)의 일부인 접합부들(20)의 다른 특징부는 그들의 길이방향 간격(33)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합부 그룹(22a)의 접합부들(20a 및 20b, 20b 및 20c) 사이의 길이방향 간격(33)은 접합부들(20a)과 접합부(20a) 위로 다음의 가장 가까운 길이방향으로 겹치는 접합부(20)(존재하지 않음) 사이의 길이방향 간격, 또는 접합부(20c)와 다음의 가장 가까운 길이방향으로 겹치는 접합부(접합부 그룹(22b)의 접합부를 포함함) 사이의 길이방향 간격보다 훨씬 작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며 겹치는 접합부들(20a 및 20b, 20b 및 20c) 사이의 길이방향 간격(33)은, 접합부(20a, 20c)에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며 겹치는 임의의 다른 접합부들(20) 사이의 거리보다 훨씬 작다. 따라서, 가까운 길이방향 및 측방향 간격의 이러한 조합이 접합부 그룹(22)을 정의하는 것이다.
접합부 그룹들(22)은, 반드시 정확한 것은 아니지만, 유사한 길이방향 간격을 갖는 접합부 행(15) 내에 접합부 그룹들(22)을 갖는, 접합부 그룹 행들(15)에 추가로 배치된다. 즉, 동일한 접합부 그룹 행(15) 내의 접합부 그룹들(22)은 길이방향 어긋남없이 위치할 수 있으며, 이때 접합부 그룹들(22)이 동일한 길이방향 위치설정, 또는 작은 길이방향 어긋남을 갖는다. 동일한 접합부 그룹 행(15) 내의 접합부 그룹들(22)이 길이방향 어긋남을 갖는 경우, 길이방향 어긋남은, 측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 그룹(22)에 앞서서 도 1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접합부 그룹(22)의 접합부 그룹 높이(38)의 10% 이상, 또는 측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 그룹(22)에 앞서서 도 1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접합부 그룹(22)의 20% 이상, 또는 30% 이상, 또는 40% 이상, 또는 50% 이상, 또는 60% 이상, 또는 70% 이상인 측방향 겹침 (예를 들어, 접합부 그룹들(22)이 측방향(32)으로 겹쳐지는 길이방향 범위)을 동일한 접합부 그룹 행(15) 내의 측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 그룹들(22)이 여전히 갖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동일한 접합부 그룹 행(15) 내의 접합부 그룹들(22)은 동일한 행 내의 측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 그룹들(22) 사이에 측방향 간격(55)을 더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측방향 간격(55)은 동일한 행(15) 내의 모든 접합부 그룹들(22) 사이에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접합부 그룹 행(15) 내의 측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 그룹들(22) 사이의 간격(55)에 일부 변동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동일한 행(15) 내의 접합부 그룹들(22)의 사이의 측방향 간격(55)의 변동은 동일한 행(15) 내의 접합부 그룹들(22)들 사이의 최대 측방향 간격(55)의 약 25% 미만, 또는 동일한 행(15) 내의 접합부 그룹들(22)들 사이의 최대 측방향 간격(55)의 약 20% 미만, 또는 약 15% 미만, 또는 약 10% 미만, 또는 약 5% 미만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예로서, 동일한 행(15) 내의 측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 그룹들(22) 사이의 최대 간격(55)이 10mm인 경우, 최소 간격(55)은 약 7.5mm 미만일 수 있으며, 2.5mm의 차이는 최대 간격(55)의 25%이다.
접합부 그룹들(22)의 다른 특징부는 물질(10)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직경에 대한 접합부 그룹(22) 내의 접합부들(20) 사이의 밀접한 길이방향 간격(33)의 관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리(33)는 일반적으로 물질(10)을 횡단하는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탄성중합체 가닥(16)이 단일 접합부 그룹(22)의 임의의 접합부들(20) 사이를 지나가는 경우,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어느 한 면에 배치된 접합부들(20)은 탄성중합체 가닥(16)을 "포획"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이 접합부 그룹들(22)의 접합부들(20) 사이의 그들의 길이의 부분들을 따라 포획되는 물질(10)을 형성하기 위하여, 탄성화된 물질(10)은 신축된 상태로 탄성중합체 가닥(16)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이러한 신축은 가닥(16)의 직경을 감소시켜서, 가닥(16)이 이완된 상태에서 이러한 접합부 형성 부분들 사이를 지나가기에 너무 큰 직경을 갖는 경우 패턴이 있는 접합부 형성 장치의 접합부 형성 부분들을 위한 통로를 허용한다.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이 이완될 수 있게 되면, 그것들은 수축되어 또한 탄성화된 물질(10)을 수축시킨다. 이러한 수축은 접합부들(20)이 위치되는 골부들 및 접합부 그룹들(22) 사이의 융기부들이 탄성화된 물질(10) 내에 형성하게 한다. 형성된 융기부들은 일반적으로, 도 1의 실시예에서 측방향(32)으로 있는,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축(28)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특정 패턴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골부들에 대응하게 되는, 임의의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융기부들이 물질(10)에 형성할 수 있게 하지 않는다.
도 1에서의 물질(10)의 접합 패턴의 추가 특징부는 접합부 그룹들(22)의 길이방향 겹침이다. 도 1의 예에서, 주어진 접합부 그룹(22)에 대해서, 주어진 접합부 그룹(22)의 위와 아래에 길이방향으로 2개의 접합부 그룹 행들(15)의 접합부 그룹들(22) 중 어느 것도 상기 주어진 접합부 그룹(22)과 길이방향으로 겹쳐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주어진 접합부 그룹(22)에 대해서, 주어진 접합부 그룹(22)의 위와 아래에 길이방향으로 제3 접합부 그룹 행들(15)의 접합부 그룹들(22)이 상기 주어진 접합부 그룹(22)과 길이방향으로 겹쳐진다. 이러한 길이방향으로 겹쳐지는 관계는 점선(39)에 대하여 더욱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점선(39)은 다른 접합부 그룹(22)에 접촉할 때까지 접합부 그룹(22)의 에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그려진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점선(39)은 다른 접합부 그룹(22)에 접촉하기 전에 두 개의 접합부 그룹 행들(15)을 통과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접한 접합부 그룹 행들(15)의 접합부 그룹들(22)의 측방향 위치설정을 엇갈리게 함으로써, 물질(10)은 이완된 상태에서 비교적 비연속적인 융기부들 및 골부들을 형성한다. 이러한 비연속적인 골부들 및 융기부들의 한 가지 이점은, 물질(10)이 유체 흐름에 대한 장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물질(10)은 흡수 용품 내의 다수의 상이한 위치에서 유용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용품 내에 액체 배설물을 함유하기 위한 시도로 구성된다. 액체 배설물이 생길 때, 액체는 흡수 용품 내에서 확산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물질(10)에 의해 형성된 융기부들 및 골부들의 비교적 비연속적인 성질은 유체가 물질(10)을 쉽게 횡단하고 잠재적으로 함유를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도 1에 개시된 것과 다른 패턴이 비교적 비연속적인 골부들 및 융기부들을 형성하는 것과 관련하여 유사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되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주어진 접합부 그룹(22)에 대해서, 주어진 접합부 그룹(22)의 길이방향으로 위와 아래에 있는 가장 가까운 접합부 그룹(22)의 접합부 그룹들(22) 중 어느 것도 주어진 접합부 그룹(22)과 길이방향으로 겹쳐질 수 없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주어진 접합부 그룹(22)에 대해서, 주어진 접합부 그룹(22)의 길이방향으로 위와 아래에 있는 제2 접합부 그룹 행들(15)의 접합부 그룹들(22)은, 다른 모든 행(15)의 접합부 그룹들(22)이 길이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주어진 접합부 그룹들(22)과 길이방향으로 겹쳐질 수 있다. 또 다른 고려된 실시예들에서, 주어진 접합부 그룹(22)에 대해서, 주어진 접합부 그룹(22)의 길이방향으로 위와 아래에 있는, 주어진 접합부 그룹들(22)과 가장 가까운 3, 4, 또는 5개의 행들(15)의 접합부 그룹들(22) 사이에 길이방향 겹침이 없을 수 있다. 이러한 겹침이 없는 개념을 주어진 접합부 그룹(22)의 어느 한 면 상의 5개 행들(15) 위로 연장하는 것은, 너무 큰 길이만큼 연속적인 융기부들을 형성할 수 있어서, 물질이 유체 흐름에 대한 장벽일 수 있는 능력을 제한한다.
도 2는 도 1의 원(31)의 확대도를 도시하며, 탄성화된 물질(10)의 접합부들(20) 및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2는 가닥들(16)을 포획하는 접합부 쌍들(22)의 접합부들(20) 사이를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이 지나갈 때 그들의 외부 에지들을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의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은 비포획된 부분들(21) 및 포획된 부분들(23)을 가질 수 있다.
비포획된 부분들(21) 및 포획된 부분들(23)을 포함하는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10)과 같은 물질을 형성하기 위해서,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이 제1 물질 층(12)과 제2 물질 층(14) 사이에 위치되기 전에 또는 위치됨에 따라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은 신축될 수 있다.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은 인장되지 않은 외경을 가질 수 있고,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의 외경은 가닥들(16)이 늘어나면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가닥들(16)이 제1 물질 층(12)과 제2 물질 층(14) 사이에 배치되기 전에 또는 그 시점에서,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은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의 인장되지 않은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그런 다음, 물질(10)의 접합부들(20) 중 적어도 일부는, 신축된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의 대향 측면들 상에 배치되고 길이방향 거리(33) 만큼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을 가로질러 길이방향으로 이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탄성화된 물질(10)을 형성하는 결과적인 구조는 접합부들(20a', 20b', 20c')을 포함하는, 접합부 그룹(22c)을 통해 횡단하는 탄성중합체 가닥(16)에 대하여 알 수 있다.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이 이완하도록 되면서,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의 외경은 일반적으로 탄성중합체 가닥들의 인장되지 않은 외경을 향해 다시 증가한다. 그러나, 접합부 그룹(22c)의 맥락 내에서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확장은, 가닥들(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길이방향 거리만큼 가닥들(16)을 가로질러 위치되는 접합부들(22a' 및 22b')에 의해 탄성중합체 가닥(16)의 포획된 부분들(23)에서 억제된다. 탄성중합체 가닥(16)이 접합부들(22a' 및 22b') 사이에 배치되지 않은 경우, 탄성중합체 가닥(16)은 길이방향으로 확장되어(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의 외경이 증가함), 도 2에서 볼 수 있는 구조가 생성되며 탄성중합체 가닥(16)은 포획된 부분들(23)에서보다 비-포획된 부분들(21)에서 더 큰 외경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합부들(20) 사이의 가닥들(16)의 부분은 접합부들(20) 사이에 "포획된(trapped)" 것이고, 가닥들(16)은 접합부들(20) 사이의 측방향(32)으로 슬라이딩할 수 없으므로, 가닥들(16)을 접합부들(20)의 위치에서 물질(10)에 첨부한다.
비-포획된 부분들(21)에서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의 더 큰 직경은, 가닥들(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과 동일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이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가닥(16)에 걸쳐 있는 접합부들(20)의 길이방향 간격(22)과 접합부 그룹들(22) 사이의 측방향 거리 모두에서, 신장된 탄성중합체 가닥(16)에 대하여,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유형, 형성 공정에서의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신장량, 및 접합부 그룹들(22)의 접합부들(20)의 위치에 대한 특이적인 구성은,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의 직경이 비-포획된 부분들(21)에서 인장되지 않은 직경으로 다시 완전히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물질(10)의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의 적어도 일부의 비-포획된 부분들(21)에서의 확장된 직경은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여전히 작을 수 있다.
접합부들(20)이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을 포획하기 위해, 접합부 그룹(22c)의 접합부들(20a' 및 20b')과 같은, 동일한 접합부 그룹(22)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들(20) 사이의 길이방향 간격(33)은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을 필요가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합부들(20a' 및 20b')과 같은, 접합부 그룹(22)의 접합부들(20)의 제1 쌍 사이의 간격(33)은 접합부들(20b' 및 20c')과 같은, 접합부 그룹(20)의 접합부들(20)의 제2 쌍 사이의 간격(33)과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간격들(33)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부 그룹(22d)의 접합부들(20)의 제1 쌍 사이의 간격(33a)은 접합부 그룹(22d)의 접합부들(20)의 제2 쌍 사이의 간격(33b)과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에서, 간격들(33a, 33b) 둘 모두는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접합 패턴의 다른 특징부는 제1 접합부 그룹(22)의 하나 이상의 개별 접합부들(20)이 제2 접합부 그룹(22)의 하나 이상의 개별 접합부들(20)과의 측방향으로 겹치는 것이며, 제1 접합부 그룹(22) 및 제2 접합부 그룹(22)은 인접한 접합부 그룹 행들(15)에 위치한다. 이러한 측방향 겹침은 도 2의 접합부 그룹들(22a, 22d) 사이에서 더욱 상세히 알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접합부(20a")는 겹침 거리(53) 만큼 접합부 그룹(22c)과 측방향으로 겹쳐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겹침 거리(53)는 접합부 높이(44)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접합부들(20c' 및 20a")은 물질(10) 내의 동일한 길이방향 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측방향(32)으로 서로 완전히 겹쳐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겹침 거리(53)는 접합부 높이(44)보다 작을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접합부 그룹(22d)을 포함하는 접합부 그룹 행(15)은 겹침 거리(53)가 접합부 높이(44)와 동일한 실시예들보다 접합부 그룹(22c)을 포함하는 접합부 그룹 행(15) 아래에 더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겹침 거리가 접합부 높이(44)보다 작은 경우, 겹침 거리(53)는 접합부 높이(44)의 약 0% 내지 약 95%, 또는 접합부 높이(44)의 약 0% 내지 약 80%, 또는 약 0% 내지 약 65%, 또는 약 0% 내지 약 50%, 또는 약 0% 내지 약 35%, 또는 약 0% 내지 약 20%, 또는 약 0% 내지 약 5%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0% 겹침을 갖는 것은 접합부(20a'')의 최상부 에지가 접합부(20c')의 최하부 에지와 정렬하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겹침 거리(53)는 접합부 높이(44)보다 훨씬 클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겹침 거리(53)는 접합부 높이(44)의 약 100% 및 접합부 높이(44)와 길이방향 간격(33)의 합의 두 배와 동일한 값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의 맥락에서, 이 범위의 최상부 말단에서, 접합부(20a")는 접합부(20b')와 측방향으로 정렬될 것이다.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행들(15)에 배치되는 상이한 접합부 그룹들(22)의 접합부들(20)이 일부 측방향 겹침을 갖는 접합부 구성의 한 가지 이점은, 탄성중합체 가닥(16)이 제조 동안 임의의 길이방향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물질(10) 내에 포획되게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접합부(20)와 직접적으로 직선을 이루는 외에, 임의의 길이방향 위치에서, 탄성중합체 가닥(16)은 동일한 접합부 그룹(22) 내의 접합부들(20) 사이를 지나가서, 포획되게 된다. 심지어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이 제조 동안 접합부(20)와 직접적으로 직선을 이루어 위치되는 경우이더라도,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은 접합부(20)가 형성됨에 따라 패턴 롤의 접합 형성 요소의 한 측에 종종 눌러지며, 이는 동일한 접합부 그룹(22) 내의 접합부들(20) 사이에 탄성중합체 가닥(16)을 위치시키고 가닥(16)이 포획되게끔 할 것이다. 대조적으로,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이 위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접합부들(20)이 위치된 접합 패턴들은 제조 동안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의 길이방향 위치설정을 엄격하게 제어해서 가닥들(16)이 접합부들(20) 사이로 떨어지고 포획되게 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의 위치설정을 엄격하게 제어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고, 고가의 제어 장비를 요구할 수 있거나 원하는 것보다 작은 제조 속도를 요구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실시예들은 접합기의 패턴 롤을 상이한 접합 패턴을 갖는 패턴 롤로 변경해서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의 길이방향 위치설정이 상이한 경우 상이한 제품 크기들을 생성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반대로, 본 발명의 접합 패턴은 단순히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의 길이방향 위치설정을 변경해서 이러한 상이한 제품 크기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합 패턴은 이러한 단점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행들(15)에 있는 접합부 그룹들(22)의 개별 접합부들(20) 사이에 측방향 겹침이 없을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이는 접합부들(20a'', 20c') 사이에 일정 양의 길이방향 분리가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이러한 길이방향 분리는 접합부 높이(44)와 동일한 거리로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행들(15)에 배치되는 상이한 접합부 그룹들(22)의 접합부들(20)이 몇몇 측방향 겹침을 갖는 본 발명의 접합 패턴들의 설명된 이점을 여전히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접합 패턴들의 추가 특징부는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 그룹 행들(15)의 측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 그룹들(22) 사이의 측방향 어긋남이다. 예를 들어, 주어진 접합부 그룹 행(15)에서 단일 접합부 그룹(22)은, 주어진 접합부 그룹 행(15) 위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행(15)의 2개의 접합부 그룹들(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단일 접합부 그룹(22)은 2개의 접합부 그룹들(22) 사이에 등거리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단일 접합부 그룹(22)은 2개의 접합부 그룹들(22) 중 첫번째로부터의 제1 측방향 거리(56)와 2개의 접합부 그룹들(22) 중 두번째로부터의 제2 측방향 거리(57)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측방향 거리(56)는 동일한 접합부 그룹 행(15) 내에서 2개의 접합부 그룹들(22) 사이의 측방향 간격(55)의, 약 10% 내지 약 40%, 또는 약 15% 내지 약 30%일 수 있다. 제2 측방향 거리는 동일한 접합부 그룹 행(15) 내에서 2개의 접합부 그룹들(22) 사이의 측방향 간격(55)의, 약 50% 내지 약 70%, 또는 약 50% 내지 약 60%일 수 있다. 인접한 접합부 그룹 행들(15) 내에서 접합부 그룹들(22) 사이의 이러한 측방향 간격은 그것을 보장하도록 돕는다
접합부(bonds):
접합부들(20)을 형성하는 것과 관련하여, 접합부들(20)은 열/열(thermal/heat) 접합, 초음파 접합, 압력 접합, 또는 기타 공지된 접합 기술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접합 기술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접합부들(20)은 패턴 구성요소 및 평활한 구성요소의 사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접합부들(20)을 형성하기 위해, 그 사이에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이 배치된, 층들(12, 14)은 패턴 구성요소와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의 임의의 접합부 형성 요소들 사이에 적절한 정렬을 가진 평활한 구성요소와 패턴 구성요소 사이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은, 포획된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을 갖는 물질을 형성하기 위해 패턴 구성요소의, 상승된 돌기와 같은 접합부 형성 요소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열 접합, 압력 접합, 또는 회전식 초음파 접합 기술이 접합부들(20)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패턴 구성요소 및 평활한 구성요소는 각각 패턴 롤 및 평활한 롤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패턴 롤은 패턴 롤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다수의 접합부 형성 요소들, 예를 들어 상승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합부 형성 요소들은, 본 발명의 탄성화된 물질(10)의 다른 실시예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들(20)의 형상과 대략 상응하고 패턴 롤의 표면 상에 정렬되어 접합부들(20)의 길이방향 및 측방향 정렬을 생성할 수 있다. 평활한 롤은 일반적으로 평활한 외부 표면을 갖는 고체 롤일 수 있다.
접합부들(20)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열 접합 기술은 패턴 롤의 상승된 부분을 약 70°C 내지 약 340°C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열 수준은 접합부가 형성중일 때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의 용융을 초래하는 것보다 작아야 한다. 접합부 형성 요소들이 적절한 온도에 있는 동안, 패턴 롤은, 층들(12, 14) 및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이 롤들 사이에 위치된, 평활한 롤 상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일부 예로서, 접합부들(20)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압축력은 약 500Kpa 내지 약 2,750Kpa일 수 있고, 층들(12, 14) 및 탄성중합체 가닥(16)은 약 100m/분(mpm) 내지 약 350mpm의 패턴 및 앤빌 롤 사이를 지나갈 수 있다.
접합부들(20)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회전식 초음파 접합 기술은 접합부들(20)을 형성하기 위해 초음파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들(12, 14) 및 탄성중합체 가닥(16)이 회전식 초음파 접합기의 패턴 롤과 평활한 롤 사이를 지나감에 따라, 평활한 롤은 약 20,000Hz 내지 약 50,000Hz의 주파수에서 진동되어, 층들(12, 14)이 함께 용융되어 접합부들(20)을 형성하는 정도까지 층들(12, 14)의 내부 가열을 유발할 수 있다.
접합부들(20)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압력 접합 기술은, 패턴 롤의 접합부 형성 요소들에 외부 열이 적용될 필요가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열 접합 기술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주변 온도에만 있는 접합부 형성 요소들을 보상하기 위해서, 접합부들(20)을 형성하기 위해 패턴 롤 및 평활한 롤에 인가되는 압축력은 크게 증가되어야 한다. 일부 예에서, 압축력은 약 0.1KN 내지 약 5KN의 닙 힘을 생성하도록 인가되는 한편, 층들(12, 14) 및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은 약 15mpm과 450mpm에서 패턴 롤과 앤빌 롤 사이를 지나간다.
접합부들(20)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비-회전식 초음파 접합 기술에서, 패턴 요소 및 앤빌 요소는 평활한 초음파 혼과 패턴이 있는 앤빌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앤빌 구성요소는 접합부 형성 요소들을 가질 수 있는 한편, 초음파 혼은 일반적으로 평활한 표면을 갖는다. 회전식 초음파 기술에서와 같이, 초음파 혼은, 층들(12, 14) 및 탄성중합체 가닥(16)이 초음파 혼과 패턴이 있는 앤빌 사이를 지나감에 따라, 약 20,000Hz 내지 약 50,000Hz의 주파수에서 진동될 수도 있다. 이러한 초음파 에너지 적용은 층들(12, 14)이 함께 용융되어 접합부들(20)을 형성하는 정도까지 층들(12, 14)의 내부 가열을 유발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열 접합 기술, 초음파 접합 기술, 및 압력 접합 기술은 당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상이한 기술들에 대해 설명된 변수들은 단지 예시적인 적절한 변수들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설명된 기술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다른 적절한 변수들로 동작하는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여 접합부들(20)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METHOD AND APPARATUS FOR BONDING"이라는 명칭의 PCT 특허 출원 WO 2010/068150은, 그 전체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원용되며, 다수의 상이한 적절한 변수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서 설명된 접합 패턴의 접합부들(20)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압력 접합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상세히 다룬다. 접합부들(20)이 형성되는 상이한 방식은, 가능하게는 서로 다른 접합 강도를 초래하는 것 외에도, 탄성화된 물질의 결과적인 구조에 주목할만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이 추가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된 기술들 모두는 파단 없이 접합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중합체 가닥의 직경 확장에 저항하기에 충분히 강한 접합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접합부들(20)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임의의 공지된 접합 기술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탄성화된 물질의 접합부들(20)은 임의의 적절한 크기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접합부들은 약 50μm2 내지 약 20mm2, 또는 약 70μm2 내지 약 10mm2, 또는 약 250μm2 내지 약 5mm2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탄성중합체 가닥들(16)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의 접합부들(20)의 치수는 탄성중합체 가닥들(16)에 대체로 수직이거나 멀리 연장되는 접합부들(20)의 치수보다 약 2배 내지 약 6배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실시예에서, 접합부 폭(42)은 접합부 높이(44)보다 약 2배 내지 약 6배 클 수 있다.
도 2는 접합부들(20)의 추가 특징부들을 상세히 다룬다. 예를 들면, 접합부들(20)은 각각 상단부(34), 상단부(34)에 대향하는 하단부(36), 제1 측면부(35), 및 제1 측면부(35)에 대향하는 제2 측면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들(35 및 37)은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의 측방향 축(28)에 대해 각도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으며, 측면부들(35)은 축(28)에 대하여 각도(40)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탄성중합체 가닥들(16)에 대하여 각도(40)가 90도로 도시되었지만,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합부들(20)의 제1 측면부(35)는 90도 이외의 각도(40)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도(40)는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측방향 축(28)에 대해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도(40)는 약 15도 내지 약 90도, 또는 약 30도 내지 약 89도, 또는 약 50도 내지 약 88도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도(40)는 약 105도 내지 약 180도, 또는 약 120도 내지 약 179도, 또는 약 140도 내지 약 178도의 범위일 수 있다. 대향 측면부들(37)이 축들(28)과 함께 형성할 수 있는 각도는 측면부들(35)에 의해 형성된 각도(40)와 상보적일 수 있다.
접합부들(20)이 90도 이외의 각도(40)를 형성하는 측면부들(35)을 갖는 경우, 접합부 그룹(22) 내의 접합부들(20)은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들(20)의 측면부들(35)이 축(28)에 대하여 각도(40)를 형성하는 선을 따라 정렬되도록 측방향으로 어긋날 수 있다. 일부 추가 실시예에서,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 그룹 행들(15)의 접합부 그룹들(22)은, 제2 행(15)이 제1 행(15)에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경우, 제1 행(15)의 접합부 그룹(22)의 접합부들(20) 및 제2 행(15)의 제2 접합부 그룹(22)의 접합부들(20)의 측면부들(35)이, 축(28)에 대하여 각도(40)를 형성하는 선을 따라 정렬되도록 추가적으로 측방향으로 어긋날 수 있다.
도 2에서 대체로 직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접합부들(20)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부들(20)은 원형, 반원형, 타원형, 반타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마름모꼴, 평행사변형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합부들(20)은 3변, 4변, 5변, 6변,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의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질(10)은, 액체가 물질(10)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비롯한, 다수의 이유로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10)은 흡수 용품 및/또는 의류 의복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 용품의 일차 기능은 용품 내로 배출되는 신체 삼출물을 흡수하고 함유하는 것이다. 물질(10)과 같은 물질을, 사용하거나 전략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은 신체 삼출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접합 패턴은 다른 이유로 유용할 수 있다.
도 3은 일반적으로 교차 기계 방향(CD) 공정이라고 명명되는 것에서 제조되는 흡수 용품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흡수 용품(400)을 도시한다. 그러나, 기계 방향(MD) 공정에서 제조되는 다른 흡수 용품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에 따른 탄성화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흡수 용품(400)은 3-피스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흡수 용품(400)은 전방 허리 에지(401)를 갖는 전방 허리 패널(402), 후방 허리 에지(403)를 갖는 후방 허리 패널(404), 및 전방 허리 패널(402)과 후방 허리 패널(404) 사이에서 연장되는 흡수 패널(409)을 갖는 섀시(406)를 갖는다. 흡수 패널(409)은 일반적으로, 라이너로 불리는, 의복 대향 외부층과 신체 측 대면층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흡수체(40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흡수 패널(409)은 제1 측방향 측면 에지(405) 및 제2 측방향 측면 에지(407)을 가질 수 있으며 전방 허리 패널(402) 및 후방 허리 패널(404)과 중첩될 수 있다. 흡수 패널(409)은 전방 허리 패널(402) 및 후방 허리 패널(404)에 접합될 수 있어서 3-피스 구성을 정의한다. 그러나, 흡수 패널(409)을 둘러싸거나 단순히 흡수 패널(409)의 의복측을 덮을 수 있는 외부 커버 및/또는 신체측 라이너와 같은 허리 패널을 형성하는 통상적으로 연결된 구성요소들을 통하여 전방 허리 패널(402) 및 후방 허리 패널(404)이 서로 일체화됨에 따라 1-피스 구성(미도시)으로도 간혹 지칭되는, 3-피스 구성 의복이 아닌 CD 공정으로 흡수 용품이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전방 허리 패널(402) 및 후방 허리 패널(404)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2개의 물질 층 사이에 배치된 탄성중합체 가닥(41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허리 패널(402) 및 후방 허리 패널(404)은 본원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탄성화된 물질, 예컨대 탄성화된 물질(10)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전방 허리 패널(402) 및/또는 후방 허리 패널(404)은 중앙 영역(421), 및 측면 에지 영역(422, 423)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흡수 용품(400)은 용품(400) 내에 배출되는 신체 삼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돕기 위해 물질(10)과 같은 탄성화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허리 패널(402)의 적어도 일부분은 물질(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방 허리 패널(402)은 중앙 영역(421) 내에 물질(10)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에지 영역들(422, 423)은, 서로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탄성화된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동일한 물질(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추가 실시예에서, 흡수 패널(409)에 근접한 전방 허리 패널(402)의 일부분만이 박스(432)에 의해 한정된 부분과 같은 물질(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허리 패널(402) 또는 전방 허리 패널(402)의 부분들을 갖는,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물질(10)을 포함하고, 전방 허리 패널(402)은 유체 흐름에 대한 장벽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용품(400) 밖으로의 액체의 누출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물질(10)은 흡수 용품(400)의 다른 부분들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리 커프스들(410, 411)은 또한 또는 추가적으로 용품(400)으로부터 액체 누출을 감소시키는 것을 더욱 도울 수 있도록 물질(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장벽 커프스(미도시함)는 동일한 이유로 물질(1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된 모든 문헌은 관련 부분에서,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되며; 임의의 문헌 인용이 본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이라는 점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 내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가 참고로 원용된 문헌에서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와 모순되는 정도까지 본 명세서 내의 용어에 할당된 의미 또는 정의가 적용될 것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본원에서 설명되고 고려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들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실시예 및 도면에 대해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이들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만 적용 가능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각각의 설명된 특징부는, 이들 특징부와 함께 설명된 다른 임의의 특징부들 중 어느 하나와 함께 또는 없이, 다양한 고려된 실시예들에서의 임의의 다른 특징부와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 형태 및 세부사항이 변화될 수 있다.

Claims (20)

  1. 길이방향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화된 물질로,
    제1 물질 층;
    복수의 접합부에 의해 상기 제1 물질 층에 접합되며, 상기 복수의 접합부는 접합부 그룹 행들에 정렬된 접합부 그룹에 배열되는, 제2 물질 층; 및
    상기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물질 층과 상기 제2 물질 층 사이에 배치된 탄성중합체 가닥으로, 상기 탄성중합체 가닥은 제1 접합부 그룹의 제1 접합부와 제2 접합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의 제1 접합부와 제2 접합부는 상기 탄성중합체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거리만큼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기 탄성중합체 가닥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2 접합부 그룹의 일부분은 상기 제1 접합부 그룹과 측방향으로 겹쳐지되, 상기 제2 접합부 그룹은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을 포함하는 상기 접합부 그룹 행에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접합부 그룹 행에 배치되는, 탄성화된 물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그룹 및 상기 제2 접합부 그룹의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상부 접합부 및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는 상기 제2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상부 접합부와 측방향으로 겹쳐지는, 탄성화된 물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상부 접합부 사이의 측방향 겹침은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의 길이방향 높이의 0% 내지 250%인 겹침 거리를 포함하는, 탄성화된 물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상부 접합부 사이의 측방향 겹침은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의 길이방향 높이의 0% 내지 100%인 겹침 거리를 포함하는, 탄성화된 물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그룹과 상기 제2 접합부 그룹은 각각 2개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탄성화된 물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그룹과 상기 제2 접합부 그룹은 각각 3개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탄성화된 물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은 상기 제1 접합부 그룹 행의 인접한 접합부 그룹으로부터 제1 측방향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2 접합부 그룹은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으로부터 제2 측방향 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2 측방향 거리는 상기 제1 측방향 거리의 약 10% 내지 약 40%인, 탄성화된 물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은 상기 제1 접합부 그룹 행의 인접한 접합부 그룹으로부터 제1 측방향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2 접합부 그룹은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으로부터 제2 측방향 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2 측방향 거리는 상기 제1 측방향 거리의 약 15% 내지 약 30%인, 탄성화된 물질.
  9. 제1항에 있어서, 접합부 그룹 내의 인접한 접합부들의 각각의 쌍은 상기 탄성중합체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거리만큼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탄성화된 물질.
  10. 제1항에 있어서, 접합부 그룹 행 내의 인접한 접합부 그룹들은 접합부 그룹 측방향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주어진 접합부 그룹 행의 최소 접합부 그룹 측방향 거리는 상기 탄성화된 물질의 각각의 접합부 그룹 행에 대하여, 최대 접합부 그룹 측방향 거리의 15% 이하의 양 만큼 상기 주어진 접합부 그룹 행의 최대 접합부 그룹 측방향 거리보다 작은, 탄성화된 물질.
  11. 전방 영역, 가랑이 영역, 및 후방 영역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으로, 상기 용품은 제1 측면 에지 및 제2 측면 에지를 가지고,
    상기 전방 영역에 배치된 제1 탄성화된 허리 패널;
    상기 후방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탄성화된 허리 패널로부터 이격된 제2 탄성화된 허리 패널; 및
    외부 커버, 라이너, 및 상기 외부 커버와 상기 라이너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 패널을 더 포함하되, 상기 흡수 패널은 상기 제1 탄성화된 허리 패널과 상기 제2 탄성화된 허리 패널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을 연결시키고,
    여기서 상기 제1 탄성화된 허리 패널과 상기 제2 탄성화된 허리 패널 중 하나는,
    제1 물질 층;
    복수의 접합부에 의해 상기 제1 물질 층에 접합되며, 상기 복수의 접합부는 접합부 그룹 행들에 정렬된 접합부 그룹에 배열되는, 제2 물질 층; 및
    상기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물질 층과 상기 제2 물질 층 사이에 배치된 탄성중합체 가닥으로, 상기 탄성중합체 가닥은 제1 접합부 그룹의 제1 접합부와 제2 접합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의 제1 접합부와 제2 접합부는 상기 탄성중합체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거리만큼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기 탄성중합체 가닥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2 접합부 그룹의 일부분은 상기 제1 접합부 그룹과 측방향으로 겹쳐지되, 상기 제2 접합부 그룹은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을 포함하는 상기 접합부 그룹 행에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접합부 그룹 행에 배치되는, 흡수 용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가닥은 상기 흡수체와 겹쳐지는, 탄성화된 물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화된 허리 패널과 상기 제2 탄성화된 허리 패널 중 다른 하나는
    제1 물질 층;
    복수의 접합부에 의해 상기 제1 물질 층에 접합되며, 상기 복수의 접합부는 접합부 그룹 행들에 정렬된 접합부 그룹에 배열되는, 제2 물질 층; 및
    상기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물질 층과 상기 제2 물질 층 사이에 배치된 탄성중합체 가닥으로, 상기 탄성중합체 가닥은 제1 접합부 그룹의 제1 접합부와 제2 접합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의 제1 접합부와 제2 접합부는 상기 탄성중합체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거리만큼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기 탄성중합체 가닥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2 접합부 그룹의 일부분은 상기 제1 접합부 그룹과 측방향으로 겹쳐지되, 상기 제2 접합부 그룹은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을 포함하는 상기 접합부 그룹 행에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접합부 그룹 행에 배치되는, 탄성화된 물질.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그룹 및 상기 제2 접합부 그룹의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상부 접합부 및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는 상기 제2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상부 접합부와 측방향으로 겹쳐지는, 탄성화된 물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상부 접합부 사이의 측방향 겹침은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의 길이방향 높이의 0% 내지 250%인 겹침 거리를 포함하는, 탄성화된 물질.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상부 접합부 사이의 측방향 겹침은 상기 제1 접합부 그룹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접합부의 길이방향 높이의 0% 내지 100%인 겹침 거리를 포함하는, 탄성화된 물질.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그룹과 상기 제2 접합부 그룹은 각각 2개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탄성화된 물질.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그룹과 상기 제2 접합부 그룹은 각각 3개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탄성화된 물질.
  19. 제11항에 있어서, 접합부 그룹 내의 인접한 접합부들의 각각의 쌍은 상기 탄성중합체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거리만큼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탄성화된 물질.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허리 패널은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각각은 상이한 접합부 그룹들의 접합부들을 통해 연장되며, 상기 상이한 접합부 그룹들의 접합부들은 통과하는 탄성중합체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거리만큼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탄성화된 물질.
KR1020197032932A 2017-04-28 2018-04-27 비연속 채널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 KR102154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91503P 2017-04-28 2017-04-28
US62/491,503 2017-04-28
PCT/US2018/029751 WO2018200933A1 (en) 2017-04-28 2018-04-27 Elasticated material with non-continuous chann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070A true KR20190136070A (ko) 2019-12-09
KR102154047B1 KR102154047B1 (ko) 2020-09-09

Family

ID=6392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932A KR102154047B1 (ko) 2017-04-28 2018-04-27 비연속 채널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00179183A1 (ko)
EP (1) EP3615326A4 (ko)
JP (1) JP6761550B2 (ko)
KR (1) KR102154047B1 (ko)
CN (1) CN110536793B (ko)
AU (1) AU2018258551B2 (ko)
BR (1) BR112019021768B1 (ko)
MX (1) MX2019012440A (ko)
RU (1) RU2717816C1 (ko)
WO (1) WO20182009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73945A (ja) * 2021-05-10 2022-11-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ショーツ型ナプキン、及び、ショーツ型ナプキン群
WO2023065207A1 (en) * 2021-10-21 2023-04-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nt-type wearable article
JP7305861B1 (ja) * 2022-11-21 2023-07-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に用いられる伸縮性シート、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089A (ko) * 2001-07-05 2004-02-1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재체결가능한 흡수성 가먼트
KR20120030107A (ko) * 2009-07-01 2012-03-27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팬츠형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0285B1 (en) * 1994-11-23 2002-07-16 Bba Nonwovens Simpsonville, Inc. Multicomponent fibers and fabrics made using the same
US6942894B2 (en) * 2001-11-05 2005-09-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for producing composite webs with reinforcing discrete polymeric regions
US20060069373A1 (en) * 2004-09-30 2006-03-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Ultrasonic attachment of an elastic strand
US8034431B2 (en) * 2006-01-25 2011-10-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termittently bonded fibrous web laminate
JP5041840B2 (ja) * 2007-03-23 2012-10-03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2214614B1 (en) * 2007-11-19 2017-08-02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one or several patterns
WO2014047160A1 (en) * 2012-09-21 2014-03-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 with soft nonwoven layer
JP6189628B2 (ja) * 2013-05-13 2017-08-30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WO2015143364A1 (en) * 2014-03-21 2015-09-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punbond web material with improved tactile softness attributes
WO2016033226A1 (en) * 2014-08-26 2016-03-03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ecuring elastic to a carrier web
WO2016098848A1 (ja) * 2014-12-19 2016-06-23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0139632B (zh) * 2016-12-27 2022-10-28 尤妮佳股份有限公司 用于吸收性物品的片状构件的制造方法和制造设备
CN110325156B (zh) * 2017-02-23 2022-05-17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的制造方法、制造装置及吸收性物品
CN110290771B (zh) * 2017-02-28 2022-05-13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定向拉伸特性的弹性化材料
JP6503432B1 (ja) * 2017-10-04 2019-04-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伸縮性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
EP3703948A4 (en) * 2017-10-31 2021-08-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 LAMINATES WITH CURVED ELASTIC PART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089A (ko) * 2001-07-05 2004-02-1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재체결가능한 흡수성 가먼트
KR20120030107A (ko) * 2009-07-01 2012-03-27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팬츠형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36793B (zh) 2021-02-05
US20200179183A1 (en) 2020-06-11
AU2018258551B2 (en) 2023-02-23
EP3615326A4 (en) 2021-02-24
AU2018258551A1 (en) 2019-11-28
JP6761550B2 (ja) 2020-09-23
CN110536793A (zh) 2019-12-03
JP2020516409A (ja) 2020-06-11
BR112019021768A2 (pt) 2020-05-05
RU2717816C1 (ru) 2020-03-25
WO2018200933A1 (en) 2018-11-01
EP3615326A1 (en) 2020-03-04
MX2019012440A (es) 2020-02-05
KR102154047B1 (ko) 2020-09-09
BR112019021768B1 (pt) 202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241B1 (ko) 방향성 신축 특성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
KR102209290B1 (ko) 만곡된 탄성체를 갖는 탄성 적층체 및 제조 방법
KR102154047B1 (ko) 비연속 채널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
US20230329923A1 (en) Elastic laminates with curved elastic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