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241B1 - 방향성 신축 특성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 - Google Patents

방향성 신축 특성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241B1
KR102110241B1 KR1020197026081A KR20197026081A KR102110241B1 KR 102110241 B1 KR102110241 B1 KR 102110241B1 KR 1020197026081 A KR1020197026081 A KR 1020197026081A KR 20197026081 A KR20197026081 A KR 20197026081A KR 102110241 B1 KR102110241 B1 KR 102110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strand
angle
strands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162A (ko
Inventor
조셉 디. 코엔엔
로스 티. 카우프맨
켈리 디. 파머
제리 엘. 하메이스터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90107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61F13/1559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having elastic ribbons fixed thereto; Devices for applying the rib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 A61F13/4901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the elastic means being elastic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2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being elastomeric 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2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2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 A61F2013/49026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with variable spac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3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being elastic in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33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being elastic in transversal dir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탄성화된 물질 및 탄성화된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화된 물질은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에 의해 제2 층에 접합된 제1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이 제1 층과 제2 층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는 제1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되고 제1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되며, 제3 접합부 및 제4 접합부는 제2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되고 제2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된다. 제1 접합부는 제1 가닥에 대하여 제1 각도를 형성하고 제3 접합부는 제2 가닥에 대하여 제2 각도를 형성하고, 제1 각도는 제2 각도와 상이하다.

Description

방향성 신축 특성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
관련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7년 2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464,640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탄성화된 물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향성 신축 특성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에 관한 것이다.
탄성화된 물질은 다양한 의복 및 흡수 용품 내부를 비롯하여, 많은 상이한 응용분야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탄성화된 물질은 허리 밴드, 다리 커프스, 배리어 커프스, 또는 의복 및 흡수 용품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일부로 사용되어 이로운 착용감 특성을 제공하거나, 신체 삼출물의 누출을 방지하거나, 또는 다른 이점을 부여할 수도 있다.
많은 현재의 의복 및 흡수 용품은, 물질 층 사이에 위치되고 접착제로 물질 층에 첨부된 탄성체 가닥을 포함하는 탄성화된 물질을 포함한다. 몇몇 선행 기술의 탄성화된 물질은 이산 개별 접합부들을 사용하여 탄성체 가닥을 물질 층에 첨부하는 것을 위한 접착제를 제거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러한 선행 기술의 물질은 탄성체 가닥을 가로질러 접합부들을 탄성체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거리만큼 위치시킨다. 일부 예시적인 선행 기술의 물질은 명칭이 "Ruffling Slide and Method for Making Same"인 미국 특허 제6,291,039호(Cera France Compagnie d'Equipment Robotique Appliquee)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특정한 구조적 구성은, 접합부들 사이의 탄성화된 물질 내의 제 자리에 탄성체 가닥들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접착제 없는 탄성화된 물질은 탄성화된 물질 내에 탄성중합체 가닥을 첨부하기 위해 접착제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비용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기능적 이점을 갖는 것 이외에,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는 추가 탄성화된 물질은 흡수 용품의 전체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탄성화된 물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향성 신축 특성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탄성화된 물질은 특정한 원하는 신축 특성의 세트를 갖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탄성화된 물질은 물질의 제1 길이를 따라 제1 신축 특성 세트 및 제2 길이를 따라 제2 신축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탄성화된 물질은 대칭적인 신축 특성 및/또는 연속적인 신축 특성을 가질 수 있어서, 탄성화된 물질이 모든 방향으로 신축된다. 이러한 상이한 신축 특성은 흡수 용품 또는 의복의 전체적인 착용감 및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허리밴드 또는 다리 탄성체에서와 같이, 흡수 용품 또는 의복의 특정 구역 내에서 타겟팅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탄성화된 물질은 제1 물질 층,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를 포함하는 제1 접합부 쌍 및 제3 접합부 및 제4 접합부를 포함하는 제2 접합부 쌍에 의해 제1 물질 층에 접합된 제2 물질 층, 및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물질 층과 상기 제2 물질 층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는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될 수 있다. 제3 접합부 및 제4 접합부는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될 수 있다. 제1 접합부 및 제3 접합부는 제1 가닥 및 제2 가닥 각각의 제1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제2 접합부 및 제4 접합부는 제1 가닥 및 제2 가닥 각각의 제2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제1 접합부 및 제3 접합부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접합부의 제1 측면부는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에 대하여 제1 각도를 형성하고 제3 접합부의 제1 측면부는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에 대하여 제2 각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각도는 제2 각도와 상이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탄성화된 물질은 제5 접합부 및 제6 접합부를 포함하는 제3 접합부 쌍을 포함할 수 있고, 제5 접합부 및 제6 접합부는 복수의 탄성체 가닥의 제3 탄성체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위치될 수 있고, 제3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될 수 있다. 제1 접합부, 제3 접합부, 및 제5 접합부는 모두 제1 가닥, 제2 가닥, 및 제3 가닥 각각의 제1 측면에 위치될 수도 있고, 제2 접합부, 제4 접합부, 및 제6 접합부는 모두 제1 가닥, 제2 가닥, 및 제3 가닥 각각의 제2 측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제1 접합부, 제3 접합부, 및 제5 접합부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5 접합부의 제1 측면부는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3 가닥에 대하여 제3 각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각도, 제2 각도, 및 제3 각도는 모두 다를 수도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탄성화된 물질은 제5 접합부 및 제6 접합부를 포함하는 제3 접합부 쌍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5 접합부 및 제6 접합부는 복수의 탄성체 가닥의 제3 탄성체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위치될 수 있고, 제3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합부, 제3 접합부, 및 제5 접합부는 모두 제1 가닥, 제2 가닥, 및 제3 가닥 각각의 제1 측면에 위치될 수도 있고, 제2 접합부, 제4 접합부, 및 제6 접합부는 모두 제1 가닥, 제2 가닥, 및 제3 가닥 각각의 제2 측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제1 접합부, 제3 접합부, 및 제5 접합부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5 접합부의 제1 측면부는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3 가닥에 대하여 제3 각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제1 각도 및 제3 각도는 동일할 수도 있는 반면에, 제2 각도는 제1 각도 및 제3 각도와 상이하다.
제4 실시예에서, 제3 실시예의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은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과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3 가닥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제1 각도는 90도보다 작을 수도 있고, 제2 각도는 90도보다 클 수도 있다.
제6 실시예에서, 제5 실시예의 제2 각도는 180에서 제1 각도의 값을 뺀 각도 값을 가질 수 있다.
제7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6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제1 각도는 약 30도 내지 약 89도일 수도 있고, 제2 각도는 약 95도 내지 약 145도일 수도 있다.
제8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7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제1 각도는 약 50도 내지 약 88도일 수도 있고, 제2 각도는 약 115도 내지 약 135도일 수도 있다.
제9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8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제1 물질 층 및 제2 물질 층은 별도의 물질 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0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9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탄성화된 물질은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되고 제1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되는, 제5 접합부 및 제6 접합부를 포함하는 제3 접합부 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합부 쌍과 제3 접합부 쌍은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제1 접합부 및 제5 접합부는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의 제1 측면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접합부 및 제6 접합부는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의 제2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접합부 및 제5 접합부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5 접합부의 제1 측면부는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에 대하여 제3 각도를 형성하고, 제1 각도는 제3 각도와 다를 수도 있다.
제11 실시예에서, 제10 실시예의 탄성화된 물질은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되고, 제2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된 제7 접합부 및 제8 접합부를 포함하는 제4 접합부 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합부 쌍 및 제4 접합부 쌍은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을 따라 이격될 수 있지만, 제3 접합부 및 제7 접합부는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의 제1 측면에 위치하고 제4 접합부 및 제8 접합부는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의 제2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3 접합부 및 제7 접합부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7 접합부의 제1 측면부는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에 대하여 제4 각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제2 각도는 제4 각도와 다를 수도 있고, 제3 각도는 제4 각도와 다를 수도 있다.
제12 실시예에서, 제11 실시예의 제3 각도는 90도보다 작을 수도 있고, 제4 각도는 90도보다 클 수도 있다.
제13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은 전방 허리 에지를 포함하는 전방 허리 영역, 후방 허리 에지를 포함하는 후방 허리 영역, 가랑이 영역, 길이방향 축 및 측방향 축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 용품은, 흡수체, 신체 대향면, 및 의복 대향면을 포함하는 섀시; 상면시트; 및 후방 허리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방 허리밴드는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물질 층과 제2 물질 층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제1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 제1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되고 제1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된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 및 제1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되고 제2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된 제3 접합부 및 제4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합부 및 제3 접합부는 제1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 및 제1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 각각의 제1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제2 접합부 및 제4 접합부는 제1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 및 제1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 각각의 제2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제1 접합부 및 제3 접합부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접합부의 제1 측면부는 제1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에 대하여 제1 각도를 형성하고 제3 접합부의 제1 측면부는 제1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에 대하여 제2 각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추가로, 제1 각도는 제2 각도와 다를 수도 있다.
제14 실시예에서, 제13 실시예의 제1 물질 층 및 제2 물질 층은 섀시의 제1 층 및 섀시의 제2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은 흡수 용품의 후방 허리 영역 내에서 섀시의 제1 층과 섀시의 제2 층 사이에 배치되어 후방 허리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5 실시예에서, 제13 또는 제14 실시예의 흡수 용품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제3 물질 층과 제4 물질 층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제2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 제2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되고 제1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된 제5 접합부 및 제6 접합부, 및 제2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되고 제2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된 제7 접합부 및 제8 접합부를 포함하는, 전방 허리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접합부 및 제7 접합부는 제2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 및 제2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 각각의 제1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제6 접합부 및 제8 접합부는 제2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 및 제2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 각각의 제2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제1 접합부 및 제3 접합부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접합부의 제1 측면부는 제2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에 대하여 제1 각도를 형성하고 제3 접합부의 제1 측면부는 제2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에 대하여 제2 각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추가로, 제1 각도는 제2 각도와 다르다.
제16 실시예에서, 제15 실시예의 제3 물질 층 및 제4 물질 층은 섀시의 제1 층 및 섀시의 제2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은 흡수 용품의 전방 허리 영역 내에서 섀시의 제1 층과 섀시의 제2 층 사이에 배치되어 전방 허리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7 실시예에서, 제13 내지 제16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제1 각도는 90도보다 작을 수도 있고, 제2 각도는 90도보다 클 수도 있다.
제18 실시예에서, 제2 각도는 180에서 제1 각도의 값을 뺀 각도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9 실시예에서, 제13 내지 제18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전방 허리 영역에서의 섀시의 일부분 및 후방 허리 영역에서의 섀시의 일부분은 함께 접합될 수 있다.
제20 실시예에서, 탄성화된 물질은 제1 웹 물질, 복수의 접합부에 의해 상기 제1 웹 물질에 접합된 제2 웹 물질, 및 길이방향에 수직인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웹 물질과 상기 제2 웹 물질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접합부는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를 포함하는 제1 접합부 쌍 및 제3 접합부 및 제4 접합부를 포함하는 제2 접합부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는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 중 제1 탄성중합체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는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 중 제1 탄성중합체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되고, 제3 접합부 및 제4 접합부는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 중 제2 탄성중합체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접합부 및 제4 접합부는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 중 제2 탄성중합체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된다. 또한, 탄성화된 물질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탄성화된 물질의 모든 회전 각도에서 길이방향으로 인가된 힘 하에 길이방향으로 1% 초과의 신장률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요약은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 또는 모든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더욱 완전한 이해와 함께, 이점 및 성과는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을 참조함으로써 명백해지고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다양한 실시예의 하기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더욱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으며, 이때:
도 1은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탄성화된 물질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선 2-2 v를 따라 보았을 때의 도 1의 탄성화된 물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탄성화된 물질의 일부분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탄성화된 물질의 탄성중합체 가닥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를 갖는 다수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신축된 탄성화된 물질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탄성화된 물질의 탄성중합체 가닥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를 갖는 다수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다른 신축된 탄성화된 물질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탄성화된 물질의 탄성중합체 가닥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를 갖는 다수의 접합부 및 상이한 길이방향 간격을 갖는 접합을 갖는 영역들을 포함하는 또 다른 신축된 탄성화된 물질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탄성화된 물질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흡수 용품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흡수 용품의 허리밴드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예시적인 탄성화된 물질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흡수 용품의 허리밴드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탄성화된 물질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흡수 용품의 다리 커프스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예시적인 탄성화된 물질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탄성화된 물질의 탄성중합체 가닥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를 갖는 다수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다른 신축된 탄성화된 물질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탄성화된 물질의 탄성중합체 가닥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를 갖는 다수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또 다른 신축된 탄성화된 물질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탄성화된 물질의 탄성중합체 가닥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를 갖는 다수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또 다른 신축된 탄성화된 물질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7의 흡수 용품의 허리밴드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탄성화된 물질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7의 흡수 용품의 다리 커프스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탄성화된 물질의 평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탄성화된 물질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흡수 용품의 평면도이고; 그리고
도 17은 도 16의 흡수 용품의 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예시적인 탄성화된 물질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이 다양한 변형 및 대안적인 형태로 될 수 있지만, 이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이 도면에서 예시로써 도시되었고 본원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측면들을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본 의도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형, 균등물 및 대안을 다루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방향성 신축 특성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에 관한 것이다. 탄성화된 물질은 물질 내에 물질의 탄성중합체 가닥을 첨부하기 위한 접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원에 개시된 탄성화된 물질이 접착제의 적용으로부터 또한 이익을 얻을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탄성화된 물질의 상이한 부분들을 따라 상이한 신축 특성을 부여하거나, 대칭 및/또는 연속 신축 특성을 물질에 부여하기 위해 접합부의 특정 형상 및/또는 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질의 상이한 부분을 따라 상이한 형상을 가진 접합부를 채택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다수의 상이한 물질, 및 탄성화된 물질이 의복과 흡수 용품에 사용되어 용품의 착용감 및/또는 기능을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상세히 다룬다.
각 예는,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 또는 도면의 일부로서 예시되거나 기술된 특징들은 여전히 추가적인 실시예를 만들기 위해 또 다른 실시예 또는 도면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수정과 변경을 포함하려는 것이다.
다양한 구성요소, 특징 및/또는 사양에 관한 일부 적절한 치수, 범위 및/또는 값이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해 유발되는,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 중 한 명이라면, 원하는 치수, 범위 및/또는 값이 명시적으로 개시된 것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소들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입할 때, "한", "하나", "그", "상기" 라는 구는 그 요소들의 하나 이상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이라는 용어들은, 포괄적인 것이며, 열거된 요소들 외의 다른 추가 요소들이 존재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많은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정의:
"흡수 용품(absorbent article)"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착용자 신체에 맞대거나 또는 근접하게(즉, 신체에 인접하게) 놓여서 신체로부터 배출되는 다양한 액체, 고체, 반고체 삼출물들을 흡수하여 함유할 수 있는 용품을 의미한다. 이러한 흡수 용품은, 본원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재사용을 위해 세탁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복원되는 것이 아니라 제한된 사용 기간 후 폐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저귀, 기저귀 팬티, 용변 연습용 팬티, 아동 팬티, 수영 팬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일회용 흡수 용품들, 월경 패드 또는 팬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여성 위생 제품, 실금 제품, 성인 기저귀 및 팬티, 의료용 의복, 수술용 패드 및 붕대, 기타 개인 위생 또는 건강 의복, 기타 등등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접합된(bonded)", "부착된(attached)" 또는 "결합된(coupled)"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두 요소의 결합, 접착, 연결, 부착 등을 의미한다. 두 요소는, 그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또는 각각이 중간 요소들에 직접적으로 접합될 때처럼 서로 간접적으로 결합, 접착, 연결, 부착 등이 될 때에 함께 접합되거나 부착되거나 결합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한가지 요소의 다른 것에 대한 접합, 부착 또는 결합은 연속적이거나 단속적 접합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
"카디드 웹"(carded web)은, 본원에서, 통상적으로 섬유 길이가 약 100mm 미만인 천연 또는 합성 주요 길이 섬유를 포함하는 웹을 가리킨다. 단섬유들의 더미는, 섬유들을 분리하도록 개방 공정을 거칠 수 있고, 이어서 이러한 섬유들은, 분리 및 코빙(comb)하여 기계 방향으로 정렬한 후 섬유들을 추가 처리를 위해 이동 와이어 상에 적층되는 카딩(carding)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웹은, 일반적으로, 열 및/또는 압력을 이용하는 열적 접합 등의 일부 유형의 접합 공정을 거친다. 또한 또는 대신, 섬유는, 분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섬유들을 함께 접합하는 접착 공정을 거칠 수도 있다. 카디드 웹은, 섬유들을 더욱 뒤엉키게 하여 카디드 웹의 무결성을 개선하도록 수력엉킴(hydroentangling) 등의 유체 엉킴을 거칠 수도 있다. 카디드 웹은, 기계 방향으로의 섬유 정렬 때문에, 일단 접합되면, 통상적으로 교차 기계 방향 세기보다 큰 기계 방향 세기를 갖는다.
"필름"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주조 필름 또는 블로운 필름 압출 공정 등의 압출 및/또는 형성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된 열가소성 필름을 가리킨다. 상기 용어는 배리어 필름, 충전된 필름, 통기성 필름, 및 배향 필름과 같은 액체를 전달하지 않는 필름뿐만 아니라, 액체 전달 필름을 구성하는 개구화된 필름, 슬릿 필름, 및 기타 다공성 필름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gsm"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제곱 미터당 그램을 가리킨다.
"친수성"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섬유와 접촉하고 있는 수성 액체에 의해 습윤되는 섬유 또는 섬유의 표면을 칭한다. 이에 따라, 물질의 습윤 정도는 연관된 액체 및 물질의 접촉각 및 표면 장력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다. 특정한 섬유 물질들 또는 섬유 물질들의 혼합물의 젖음성을 측정하기 위한 적합한 장비 및 기술은, Cahn SFA-222 표면력 분석기 시스템(Surface Force Analyzer System) 또는 실질적으로 등가의 시스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 시스템으로 측정될 때, 90 미만의 접촉각을 갖는 섬유는 "젖음성" 또는 친수성인 것으로 지정되고, 90 초과의 접촉각을 갖는 섬유는 "비젖음성" 또는 소수성인 것으로 지정된다.
"멜트블로운"(meltblown)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용융된 실(thread) 또는 필라멘트로서 복수의 미세한 일반적으로 원형인 다이 모세관을 통해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마이크로섬유 직경일 수 있는 그 직경을 감소시키기 위해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의 필라멘트를 가늘게 하는 수렴 고속 가열 가스(예를 들어, 공기) 스트림으로 압출함으로써 형성된 섬유를 칭한다. 그런 다음 멜트블로운 섬유는 고속 가스 스트림에 의해 운반되고 수집 표면 위에 쌓여서 무작위 분산된 멜트블로운 섬유 웹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정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참조로 원용되는 Butin 등에 의한 미국특허 제3,849,241호에 개시되어 있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는 마이크로섬유이고, 일반적으로 약 0.6 데니어(denier) 미만이고, 수집면 상에 적층될 때 끈적이면서 자체 접합형일 수 있다.
"부직포"(nonwoven)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직물 직조(weaving) 또는 편직(knitting) 공정의 도움 없이 형성된 물질 및 물질들의 웹을 칭한다. 상기 물질 및 물질들의 웹은, 편직물에서와 같이 식별 가능한 방식은 아니지만 짜일(interlay) 수 있는 개별적인 섬유, 필라멘트, 또는 실(총칭하여 "섬유"라 칭함)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부직포 물질 또는 웹은, 멜트블로잉 공정, 스펀본딩 공정, 카디드 웹 공정, 수력엉킴 공정 등과 같은 많은 공정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 "스펀본드"(spunbond)는 본원에서, 원형 또는 기타 구성을 갖는 스피너레트(spinnerette)의 복수의 미세 모세관으로부터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필라멘트로서 압출함으로써 형성되는 소 직경의 섬유들을 가리키며, 이어서, 압출된 필라멘트들의 직경은 이덕티브 드로잉(eductive drawing)과 같은 종래의 공정에 의해 급속하게 감소되며, 그 예는, Appel 등의 미국특허 제4,340,563호, Dorschner 등의 미국특허 제3,692,618호, Matsuki 등의 미국특허 제3,802,817호, Kinney의 미국특허 제3,338,992호와 제3,341,394호, Hartman의 미국특허 제3,502,763호, Peterson의 미국특허 제3,502,538호, Dobo 등의 미국특허 제3,542,615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원용된다. 스펀본드 섬유는, 일반적으로 연속적이며, 약 0.3보다 큰 평균 데니어를 종종 가지고, 일 실시예에서는, 약 0.6, 5, 10 내지 약 15, 20, 40의 데니어를 갖는다. 스펀본드 섬유는, 수집면 상에 피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끈적거리지 않는다.
물질이나 용품의 일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탄성화된(elasticated)"은 물질이나 용품이 탄성중합체 물질, 예컨대 하나 이상의 탄성중합체 밴드 또는 가닥에 결합된 비탄성 시트 물질로 만들어져서, 물질이나 용품이 탄성 특성을 나타내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열가소성"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열에 노출시 성형될 수 있으며 냉각시 비연성화 상태로 실질적으로 복귀하는 연성화되는 물질을 가리킨다.
용어 "사용자" 또는 "돌보는 사람"은 본원에서, 흡수 용품, 예컨대 기저귀, 기저귀 팬티, 용변 연습용 팬티, 아동 팬티, 실금 제품, 또는 이들 흡수 용품 중 하나의 착용자 주변의 기타 흡수 용품이지만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는 것을 착용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사용자 및 착용자는 한 명이고 동일한 사람일 수 있다.
탄성화된 물질(elasticated material):
도 1은 예시적인 탄성화된 물질(10)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상방 평면도이다. 탄성화된 물질(10)은 일반적으로 상단 시트 에지(11)와 하단 시트 에지(13) 사이에서, 길이방향(31) 및 측방향(32) 양쪽 모두로 연장된다. 탄성화된 물질(10)은 일반적으로 제1 물질 층(12), 제2 물질 층(14), 탄성중합체 가닥(16), 및 접합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접합부(20) 중 적어도 일부는, 접합부(20)가 탄성화된 물질(10) 내의 제 위치에 탄성중합체 가닥(16)의 부분들을, 첨부하거나, "포획하는(entrap)" 방식으로 탄성중합체 가닥(16)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탄성화된 물질(10)은 늘어난 상태에서 탄성중합체 가닥(16)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탄성화된 물질(10)이 이완될 수 있게 되면, 탄성중합체 가닥(16)은 포획된 부분들 사이에 수축되어 골부(15)와 융기부(17)가 탄성화된 물질(10) 내에 형성되게 한다. 골부(15) 및 융기부(17)를 포함하는, 탄성화된 물질(10)의 구조가, 도 2에서 더욱 명확하게 볼 수 있으며, 도 2는 선 2-2를 따라 보이는, 도 1의 탄성화된 물질(10)의 단면도이며, 이는 탄성화된 물질(10)의 융기부(15)와 골부(17)에 수직하게 그려진 것이다.
도 3a는 도 1의 원(33)의 확대도를 도시하며, 탄성화된 물질(10)의 접합부(20) 및 탄성중합체 가닥(16) 중 하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가닥(16)을 포획하는 접합부(20a 및 20b)를 포함하여, 접합부(20) 사이를 탄성중합체 가닥(16)이 지나갈 때 그의 외부 에지들을 파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3a의 탄성중합체 가닥(16)은 비포획된 부분(21) 및 포획된 부분(22)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은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측방향 길이를 따라 교번한다.
비포획된 부분(21) 및 포획된 부분(22)을 포함하는 탄성중합체 가닥(16)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10)과 같은 물질을 형성하기 위해서, 탄성중합체 가닥(16)이 제1 물질 층(12)과 제2 물질 층(14) 사이에 위치되기 전에 또는 위치됨에 따라 탄성체 가닥(16)은 신축될 수 있다. 탄성중합체 가닥(16)은 인장되지 않은 외경을 가질 수 있고,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외경은 가닥(16)이 늘어나면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가닥(16)이 제1 물질 층(12)과 제2 물질 층(14) 사이에 배치되기 전에 또는 그 시점에서, 탄성중합체 가닥(16)은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인장되지 않은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그런 다음, 물질(10)의 접합부(20) 중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도 3a의 접합부(20a, 20b)는, 늘어난 탄성중합체 가닥(16)의 대향 측면들 상에 배치되고 길이방향 거리(25) 만큼 탄성중합체 가닥(16)을 가로질러 길이방향으로 이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길이방향 거리(25)는 접합부(20a, 20b)가 형성되는 시점에서 가닥(16)의 외경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길이방향 거리(25)는 접합부(20a, 20b)가 형성되는 시점에서 가닥(16)의 외경보다 클 수 있지만, 가닥(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의 외경보다 적을 수 있다.
탄성중합체 가닥(16)이 이완하도록 되면서,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외경은 일반적으로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인장되지 않은 외경을 향해 다시 증가한다. 그러나, 도 3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확장은, 접합부(20a, 20b) 같은, 가닥(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길이방향 거리만큼 가닥(16)을 가로질러 위치되는 접합부(20)에 의해 탄성중합체 가닥(16)의 포획된 부분(22)에서 억제된다. 도 3a의 탄성체 가닥(16)이 늘어난 상태로부터 이완되고 수축됨에 따라, 탄성중합체 가닥(16)의 비포획된 부분(21)은 길이방향으로 확장하여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외경이 증가함), 도 3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비포획된 부분(21)에서 확장된 외경(23)을 갖는 탄성체 가닥(16)이 보이는 구조가 생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확장된 직경(23)은 탄성체 가닥(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과 동일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것은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탄성체 가닥(16)에 걸쳐 있는 접합부(20) 사이의 길이방향 거리(25)와 접합부(20) 사이의 측방향 거리 모두에서, 탄성체 가닥(16)의 유형, 형성 공정에서의 탄성체 가닥(16)의 신장량, 및 신장된 탄성체 가닥(16)에 대한 접합부(20)의 위치에 대한 특이적인 구성은, 탄성체 가닥(16)의 직경이 비포획된 부분(21)에서 가닥(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으로 다시 완전히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물질(10)의 탄성체 가닥(16)의 적어도 일부의 비포획된 부분(21)에서의 확장된 직경(23)은 탄성체 가닥(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여전히 작을 수 있다.
웹 물질:
일반적으로, 제1 물질 층(12)과 외부 물질 층(14)은, 의복과 흡수 용품의, 허리밴드, 다리 커프스, 또는 임의의 기타 신체 접촉부, 또는 비-신체 접촉부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물질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층들(12, 14)은 동일한 물질 또는 상이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층들(12, 14)은 상이한 고려된 실시예에서 단일 층, 다중 층, 적층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탄성화된 물질(10)을 형성하기 위해 층들(12, 14)은 탄성중합체 가닥(16)의 대향 측면들 상에 위치된 2개의 별개의 물질 웹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탄성화된 물질(10)을 형성하기 위해 층들(12, 14)은 물질 웹의 제1 부분이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제1 측면 상에 위치되고 물질 웹의 제2 부분이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제2 측면 상에 위치되도록 접히는 단일한 물질 웹을 포함할 수 있다.
층들(12, 14)을 위한 예시적인 적합한 물질의 분류로는 합성 섬유(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천연 섬유(예를 들면, 목재 또는 면 섬유), 천연 및 합성 섬유의 조합, 다공성 발포체, 망형(reticulated) 발포체, 개구형 플라스틱 필름 등이 있다. 적합한 물질의 예들은 레이온, 목재, 면,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또는 다른 열 접합 가능한 섬유, 한정되지는 않지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의 코폴리머와 같은 폴리올레핀, 선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락틱산, 미세 천공 필름 웹, 그물 물질과 같은 지방족 에스테르 등, 또한 그들의 조합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다양한 직조 및 부직포 직물이 층들(12, 14)에 사용될 수 있다. 층들(12, 14)은 직조 직물, 부직포 직물, 중합체 필름, 필름-직물 적층체 등 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부직포 직물의 예들은 스펀본드 직물, 멜트블로운 직물, 코폼 직물, 카디드 웹, 본디드 카디드 웹, 이성분 스펀본드 직물, 스펀레이스 등 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층들(12, 14)은 폴리올레핀 섬유의 멜트블로운 또는 스펀본드 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층들(12, 14)은 천연 및/또는 합성 섬유로 구성된 본디드 카디드 웹일 수 있다. 층들(12, 14)은 실질적으로 소수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소수성 물질은 선택적으로 계면활성제로 처리될 수 있거나, 이와 달리 원하는 수준의 습윤성 및 친수성을 부여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분무, 인쇄, 브러쉬 코팅 등과 같은 임의의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가 전체 층들(12, 14)에 도포될 수 있거나, 또는 계면활성제는 층들(12, 14)의 특정 부위들에 선택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층들(12, 14)에 적합한 일부 특정한 예시적인 물질은 5-150gsm 범위에 있는 100% 폴리프로필렌 본디드-카디드 웹을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적절한 물질은 5-150gsm 범위의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웹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물질은 150gsm 위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층들(12, 14)은 부직포 이성분 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직포 이성분 웹은 스펀본디드 이성분 웹, 또는 본디드 카디드 이성분 웹일 수 있다. 이성분 단섬유의 예는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이성분 섬유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정 이성분 섬유에서, 폴리프로필렌은 코어를 형성하고, 폴리에틸렌은 섬유의 시스(sheath)를 형성한다. 다엽(multi-robe),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side), 말단-대-말단(end-to-end)와 같은, 다른 배향을 갖는 섬유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층들(12, 14)은 약 8 내지 약 50gsm의 평량을 갖는 스펀본드 기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층들(12, 14)은 12gsm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기재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층들(12, 14)은 8gsm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기재일 수 있다.
탄성중합체 가닥(elastomeric strands):
탄성중합체 가닥(16)을 위한 적합한 탄성화된 물질은 스판덱스 탄성중합체 가닥, 천연 또는 합성 고무의 가닥,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물질 또는 열 활성화 탄성중합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중합체 가닥(16)은 적어도 약 50%, 바람직하게는 약 350% 신장될 수 있으며 약 300% 신장된 후에 원래 길이의 적어도 약 250%, 바람직하게는 약 150% 내로 회복될 수 있는 임의의 탄성중합체 물질일 수 있다. 탄성중합체 가닥(16)은 예를 들어 E. I. DuPont de Nemours and Co.에서 시판중인 LYCRA 실과 같은 스판덱스 탄성중합체 가닥(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탄성중합체 가닥(16)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또는 J.P.S. Elastomerics Corp.에서 시판중인 천연 또는 합성 고무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탄성중합체 가닥(16)은 또한 탄성중합체 가닥(16)이 탄성화된 물질(10) 내에 배치되고 접합부(20)가 형성된 후에 열처리로 활성화될 수 있는, Atochem, Inc.에서 시판중인 PEBAX와 같은 열 활성화 탄성체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탄성중합체 가닥들은 약 10 데니어 내지 약 1500 데니어의 범위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접합부(bonds):
접합부(20)는 열/열(thermal/heat) 접합, 초음파 접합, 압력 접합, 또는 기타 공지된 접합 기술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접합 기술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접합부(20)는 패턴 구성요소 및 평활한 구성요소의 사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접합부(20)를 형성하기 위해, 그 사이에 탄성중합체 가닥(16)이 배치된, 층들(12, 14)은 패턴 구성요소와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임의의 특징부들 사이에 적절한 정렬을 가진 평활한 구성요소와 패턴 구성요소 사이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가닥(16)은 패턴 구성요소의 융기된 돌기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접합, 압력 접합, 또는 회전식 초음파 접합 기술이 접합부(20)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패턴 구성요소 및 평활한 구성요소는 각각 패턴 롤 및 평활한 롤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패턴 롤은 패턴 롤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다수의 상승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승된 부분은, 본 발명의 탄성화된 물질의 다른 실시예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20)의 형상과 대략 상응하고 패턴 롤의 표면 상에 정렬되어 접합부(20)의 길이방향 및 횡방향 정렬을 생성할 수 있다. 평활한 롤은 일반적으로 평활한 외부 표면을 갖는 고체 롤일 수 있다.
접합부(20)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열 접합 기술은 패턴 롤의 상승된 부분을 약 70℃ 내지 약 340℃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열 수준은 접합부가 형성중일 때 탄성체 가닥(16)의 용융을 초래하는 것보다 작아야 한다. 상승된 부분이 적절한 온도에 있는 동안, 패턴 롤은, 층들(12, 14) 및 탄성중합체 가닥(16)이 롤들 사이에 위치된, 평활한 롤 상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일부 예로서, 접합부(20)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압축력은 약 500Kpa 내지 약 2,750Kpa일 수 있고, 층들(12, 14) 및 탄성중합체 가닥(16)은 약 100m/분(mpm) 내지 약 350mpm의 패턴 및 앤빌 롤 사이를 지나갈 수 있다.
접합부(20)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회전식 초음파 접합 기술은 접합부(20)를 형성하기 위해 초음파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들(12, 14) 및 탄성중합체 가닥(16)이 회전식 초음파 접합기의 패턴 롤과 평활한 롤 사이를 지나감에 따라, 평활한 롤은 약 20,000Hz 내지 약 50,000Hz의 주파수에서 진동되어, 층들(12, 14)이 함께 용융되어 접합부(20)를 형성하는 정도까지 층들(12, 14)의 내부 가열을 유발할 수 있다.
접합부(20)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압력 접합 기술은, 패턴 롤의 상승된 부분에 외부 열이 적용될 필요가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열 접합 기술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주변 온도에만 있는 상승된 부분을 보상하기 위해서, 접합부(20)를 형성하기 위해 패턴 롤 및 평활한 롤에 인가되는 압축력은 크게 증가되어야 한다. 일부 예에서, 압축력은 약 0.1KN 내지 약 5KN의 닙 힘을 생성하도록 인가되는 한편, 층들(12, 14) 및 탄성중합체 가닥(16)은 약 15mpm과 450mpm에서 패턴 롤과 앤빌 롤 사이를 지나간다.
접합부(20)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비-회전식 초음파 접합 기술에서, 패턴 요소 및 앤빌 요소는 평활한 초음파 혼과 패턴이 있는 앤빌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앤빌 구성요소는 상승된 부분을 가질 수 있는 한편, 초음파 혼은 일반적으로 평활한 표면을 갖는다. 회전식 초음파 기술에서와 같이, 초음파 혼은, 층들(12, 14) 및 탄성중합체 가닥(16)이 초음파 혼과 패턴이 있는 앤빌 사이를 지나감에 따라, 약 20,000Hz 내지 약 50,000Hz의 주파수에서 진동될 수도 있다. 이러한 초음파 에너지 적용은 층들(12, 14)이 함께 용융되어 접합부(20)를 형성하는 정도까지 층들(12, 14)의 내부 가열을 유발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열 접합 기술, 초음파 접합 기술, 및 압력 접합 기술은 당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상이한 기술들에 대해 설명된 변수들은 단지 예시적인 적절한 변수들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설명된 기술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다른 적절한 변수들로 동작하는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여 접합부(20)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METHOD AND APPARATUS FOR BONDING"이라는 명칭의 PCT 특허 출원 WO 2010/068150은, 그 전체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원용되며, 다수의 상이한 적절한 변수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서 설명된 접합 패턴의 접합부(20)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압력 접합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상세히 다룬다. 접합부(20)가 형성되는 상이한 방식은, 가능하게는 서로 다른 접합 강도를 초래하는 것 외에도, 탄성화된 물질의 결과적인 구조에 주목할만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이 추가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된 기술들 모두는 파단 없이 접합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중합체 가닥의 확장에 저항하기에 충분히 강한 접합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접합부(20)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임의의 공지된 접합 기술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탄성화된 물질의 접합부(20)는 임의의 적절한 크기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접합부는 약 50μm2 내지 약 20mm2, 또는 약 70μm2 내지 약 10mm2, 또는 약 250μm2 내지 약 5mm2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탄성중합체 가닥(16)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의 접합부(20)의 치수는 탄성중합체 가닥(16)에 대체로 수직인 접합부(20)의 치수보다 약 2배 내지 약 6배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의 실시예에서, 접합부(20)의 측방향 치수는 접합부(20)의 길이방향 치수(31)보다 약 2배 내지 약 6배 클 수 있다.
또한, 접합부는 일반적으로 임의의 길이방향 및/또는 측방향 간격을 가질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3a의 20a와 20b 또는 20a와 20c 등의 접합부(20)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들의 길이방향 간격은, 탄성중합체 가닥(16)이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들 사이에 배치되는지 여부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길이방향 거리(25)로 표현되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20a 및 20b) 사이의 길이방향 간격은, 길이방향 거리(26)로 표현되는,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20b 및 20c) 사이의 길이방향 간격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때 탄성중합체 가닥(16)은 접합부(20a, 20c) 사이에 배치되지 않는다. 예로서,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20a, 20b) 사이의 길이방향 간격은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을 수 있는 한편,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20a, 20c) 사이의 길이방향 간격은 물질(10)의 임의의 탄성중합체 가닥들(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큰 간격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길이방향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탄성중합체 가닥(16)이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예를 들어, 접합부(20a, 20c)) 사이에 배치되지 않는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들의 길이방향 간격은 약 1mm 내지 약 500mm에서 가변될 수 있다.
접합부(20)의 측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들 사이의 측방향 간격은 물질(10) 전반에 걸쳐서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측방향 거리(38)로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중합체 가닥(16)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측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들(예를 들어, 접합부(20a, 20d)) 사이의 측방향 간격은 측방향 거리(39)로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중합체 가닥(16)에 인접하여 위치하지 않는 측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들(예를 들어, 접합부(20c, 20e)) 사이의 측방향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측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들 사이의 측방향 간격은 심지어 탄성중합체 가닥(16)에 인접하지 않은 측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들의 쌍들 사이에서도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복 또는 흡수 용품에 사용되는 경우, 접합부(20)의 측방향 간격은, 의복 또는 용품의 상이한 영역들 전체에 걸쳐 원하는 패턴 또는 연성을 물질에 부여하도록 가변될 수 있다. 일부 비제한적인 예로서, 접합부(20)의 측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들 사이의 측방향 간격은 약 1mm 내지 약 500mm에서 가변될 수 있다.
도 3a는 접합부(20)의 추가 특징부들을 상세히 다룬다. 예를 들면, 접합부(20)는 각각 상단부(34), 상단부(34)에 대향하는 하단부(36), 제1 측면부(35), 및 제1 측면부(35)에 대향하는 제2 측면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접합부(20)의 제1 측면부(35)는 탄성중합체 가닥(16)에 대하여 각을 이룬다. 예를 들어, 접합부(20a)의 제1 측면부(35)는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측방향 축(28)에 대하여 각도(40)를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원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접합부(20)의 제1 측면부(35)의 기울어짐은, 물질(10)에 바람직한 신축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접합부(20)의 측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의 상단부(34) 및 하단부(36)가 일반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측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의 상단부(34) 및 하단부(36)가 일반적으로 정렬되지 않을 수 있고, 대신에 스태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행사변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접합부(20)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부(20)는 원형, 반원형, 타원형, 반타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마름모꼴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합부(20)는 3변, 4변, 5변, 6변,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의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접합부(20)는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부(20)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의 제1 측면부(35)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 접합선(27)을 따라 각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의 제1 측면부(35)와 일치하는 접합선(27)을 형성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도 3a의 실시예는,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측방향 축(28)에 대하여 각도(40)를 형성하는 제1 측면부(35)를 갖는 것으로서 접합부(20)를 도시하며, 이때 접합부(20)의 제1 측면부(35)가 접합선(27)을 따라 정렬된다.
도 1 및 도 3a의 실시예에서, 접합부(20)의 제1 측면부(35)는 접합부(20)의 전체 측면 에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접합부(20)의 제1 측면부(35)는 예를 들면 접합부(20)가 직사각형이고, 탄성중합체 가닥(16)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향되는 경우에 정점(vertices)을 포함하고(도 3c 참조), 또는 접합부(20)가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인 경우에 곡선형 측면 상에 접점(points)을 포함할 수 있다(도 3b 참조). 따라서, 일반적으로, 접합부(20)는 모양에 상관없이, 제1 측면부(35)를 형성하는 접합부(20)의 최측점이 접합선(27)을 형성하도록 정렬되도록 정렬될 수도 있다. 간결함을 위해, 본 발명의 탄성화된 물질의 접합부는 탄성체 가닥에 대하여 각을 형성하는 측면 제1 측면부를 갖는 것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도 3b 및 도 3c의 실시예와 같은 실시예들에서, 접합부(20', 20")의 제1 측면부(35', 35")는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측방향 축(28', 28")에 대해 주목할만한 각도(40', 40")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접합부(20', 20")는 접합선(27')을 따라 정렬될 수 있고, 접합선(27') 자체가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측방향 축(28', 28")에 대해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측방향 축(28', 28")에 대해 접합선(27')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각도(40)에 대하여 본원에서 설명된 값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측면부(35', 35")가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측방향 축(28', 28")에 대하여 주목할만한 각도(40', 40")를 형성하지 않지만, 접합선(27')은 형성하는 이들 실시예들에서, 물질(10)은 여전히 본원에서 설명하는 유리한 신축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b 및 도 3c는 접합부(20', 2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b, 도 3c가 상이한 접합 형상을 갖는 물질(10)을 도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a와 관련하여 물질(10)의 유사한 특징을 도시한다. 따라서, 도 3b, 도 3c에 도시된 접합부(20', 20") 및 물질(10)의 특징부들은 유사한 참조 부호로 도시된 도 3a의 것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도 3a는 참조 번호 16, 20, 20a, 20b, 20c, 20d, 21, 22, 23, 25, 26, 27, 28, 34, 35, 36, 37, 38, 39, 및 40로 표시된 특징부들을 도시하는 한편, 도 3b, 도 3c는 전부 각각 참조 부호 16', 20', 20a', 20a'', 20b', 20b'', 20c', 20c'', 20d', 20d'', 21', 21'', 22', 22'', 23', 23'', 25', 25'', 26', 26'', 27', 28', 28'', 34', 34'', 35', 35'', 36', 36'', 37', 37'', 38', 38'', 39', 39'', 및 40', 40''로 표시된 동일한 특징부들을 도시하며, 따옴표가 있는 숫자와 이중 따옴표가 있는 숫자가 있다.
또한, 물질(10)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유익한 신축 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일련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 내의 모든 단일 접합부(20)가 접합선(27)으로 완전히 정렬될 필요는 없다는 점이 추가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접합부(20)는 접합선(27)을 따라 대체로 정렬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접합부(20) 중 적어도 일부의 제1 측면부(35)는 접합선(27) 상에 정확히 떨어지지 않는다. 이들 예들 중 일부에서, 접합선(27)을 따라 정렬된 접합부의 제1 측면부(35)는 접합선(27) 상에 떨어질 수 있는 반면, 접합선(27)을 따라 미정렬된 접합부의 제1 측면부(35)는 접합선(27)으로부터 이격된다. 예를 들어, 미정렬된 접합부 중 일부는 접합선(27)으로부터 이격된 제1 측면부(35)와 접합선(27)에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고, 비정렬된 접합부는 접합선(27)과 중첩되지 않는다. 다른 예에서, 비정렬된 접합부는 접합선(27)으로부터 이격된 제1 측면부(35)와 접합선(27)에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고, 비정렬된 접합부는 접합선(27)과 중첩된다. 따라서, 접합선(27)을 따라 모든 접합부(20)의 완전한 정렬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잔류할 필요는 없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a 내지 3c의 실시예와 같은,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합부(20)의 제1 측면부(35) (및/또는 접합선(27))는 탄성중합체 가닥(16) (그리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측방향 축(28))에 대하여 각도(40)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각도(40)는 약 0도 내지 약 180도의 어느 범위일 수 있다. 일부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각도(40)는 약 15도 내지 약 90도, 또는 약 30도 내지 약 89도, 또는 약 50도 내지 약 88도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도(40)는 약 105도 내지 약 180도, 또는 약 120도 내지 약 179도, 또는 약 140도 내지 약 178도의 범위일 수 있다.
선택된 특정 각도(40)는 탄성화된 물질(10)의 특정 신축 특성에 영향을 미칠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하나의 특정한 신축 특성은 길이방향(31)으로 인가되는 주어진 힘에서 길이방향(31)으로의 탄성화된 물질(10)의 신장량이다. 이 예에서, 각도(40)가 약 80도 내지 약 100도와 같이, 90도에 가까운 경우, 탄성화된 물질(10)은 길이방향(31)으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을 신장할 것이다. 이는 접합부(20)가 이러한 실시예에서 비교적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라인으로 연장될 것이기 때문이며, 이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인가된 힘에 저항하고 길이방향(31)으로 물질의 신장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각도(40)가 90도에 가깝지 않은 경우, 예를 들면 약 80도보다 작거나 약 100도보다 큰 경우, 탄성화된 물질(10)은 주어진 길이방향으로 인가된 힘 하에서 길이방향(31)으로 상대적으로 큰 양을 신장할 것이다. 이는 각도(40)가 90도에서 벗어날 때, 접합부(20)가 길이방향(31)으로 덜 연장되는 선으로 연장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접합부(20)는 길이방향(31)으로 인가된 주어진 힘에 저항하도록 덜 정렬되어, 길이방향(31)으로의 탄성화된 물질(10)의 길이방향 신장을 초래한다.
도 1 내지 도 3a 내지 도 3c의 예에서, 이러한 특정한 신축 특성은 탄성화된 물질(10)의 길이를 따라 동일할 수도 있는데, 가닥(16)의 특이적인 구성, 제1 및 제2 물질 층(12, 14), 및 각도(40)를 포함한, 접합부(20)가 물질(10)의 상이한 영역 내에서 상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조적으로, 도 4 내지 도 6, 도 8, 도 10 및 도 13 내지 도 15는 그들의 길이를 따라 상이한 신축 특성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화된 물질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늘어난 상태에서 예시적인 탄성화된 물질(110)의 평면도이며 - 이때 탄성화된 물질(110)은 도 4에서 탄성화된 물질(110)의 도해에 존재하는 피크 또는 골이 없도록 측방향(32)으로 늘어났다.
일반적으로, 도 4의 탄성화된 물질(110)은 도 1 내지 도 3a 내지 도 3c와 관련하여 설명된 탄성화된 물질(10)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탄성화된 물질(10)과 달리, 탄성화된 물질(110)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중합체 가닥(116)에 대하여 각도(106)를 형성하는 제1 측면부(111)를 갖는 접합부(101)를 포함하는 제1 영역(102)을 가질 수 있다. 탄성화된 물질(110)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중합체 가닥(116)에 대하여 각도(108)를 형성하는 제1 측면부(113)를 갖는 접합부(103)를 포함하는 제2 영역(104)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합부(101) 및 접합부(103)는, 상이하게 각진 제1 측면부(111, 113) 및/또는 접합부(101, 103)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이하게 각진 접합선들(127a, 127b)을 따라 정렬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 유사할 수 있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합부(101)의 제1 측면부(111) (및/또는 접합선(127a))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중합체 가닥(116)에 대하여 제1 각도(106)를 형성할 수 있는 한편, 접합부(103)의 제1 측면부(113) (및/또는 접합선(127b))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중합체 가닥(116)에 대하여 제2 각도(108)를 형성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접합부(101, 10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측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즉, 접합부(101, 103)는 각각의 접합부 세트(101, 103) 내에서 그리고 상기 접합부 세트(101, 103) 사이에서 동일한 길이방향 간격 및 동일한 측방향 간격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접합부(101, 103)의 길이방향 및/또는 측방향 간격은 접합부 세트(101, 103) 사이에서 및/또는 각 접합부 세트(101, 103) 내에서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부(101 및/또는 103) 세트 내의 적어도 일부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는, 탄성중합체 가닥이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들 사이로 지나가는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들의 길이방향 간격보다, 탄성체 가닥들이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들 사이로 지나가지 않는 더 큰 길이방향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도(106, 108)는 약 0도 내지 약 180도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각도(106, 108)는 약 15도 내지 약 90도, 또는 약 30도 내지 약 89도, 또는 약 50도 내지 약 88도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도(106, 108)는 약 105도 내지 약 180도, 또는 약 120도 내지 약 179도, 또는 약 140도 내지 약 178도의 범위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각도(106, 108)는 상이하고,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각도(106, 108) 중 하나가 90도 미만이고, 각도(106, 108) 중 다른 하나는 90도 초과이다.
이해되어야 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각도(106, 108) 차이는, 측방향 길이를 따라 서로 다른 신축 특성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110)을 초래한다. 예를 들면, 도 4의 실시예에서, 제1 영역(102)은 길이방향(31)으로 인가된 주어진 힘 하에서 제1 양만큼 길이방향(31)으로 신장될 수 있다 -주어진 힘은 화살표 F로 표시되어 있다. 인가된 힘 하에서 제1 영역(102)의 상대적인 신장량은 제1 영역(102)에서 탄성화된 물질(110)의 파선 외곽선(124)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제2 영역(104)에서, 탄성화된 물질(110)은 접합부(101)의 제1 측면부(111)(및/또는 각진 접합선(127a))보다 90도에 더 가깝게 각진 접합부(103)의 상이하게 각진 제1 측면부(113)(및/또는 상이하게 각진 접합선(127a))으로 인해 동일한 인가된 힘 하에서 길이방향(31)으로 그렇게 많이 신장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영역(104)의 상대적인 신장량은 제2 영역(104)에서 탄성화된 물질(110)의 파선 외곽선(126)으로 나타나 있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영역(102)의 상대적 신장은 제2 영역(104)의 상대적 신장보다 크다.
도 5는 평면 뷰로 늘어난 상태에서의 예시적인 탄성화된 물질(210)을 도시하며, 이때 탄성화된 물질(210)은 측방향(32)으로 늘어나서 존재하는 피크 또는 골이 존재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도 5의 탄성화된 물질(210)은 도 1 내지 도 3a 내지 도 3c와 관련하여 설명된 탄성화된 물질(10), 및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탄성화된 물질(110)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탄성화된 물질(110)과 달리, 탄성화된 물질(210)은 제1 영역(202) 및 제2 영역(204)뿐만 아니라, 탄성화된 물질(210)은 제3 영역(206)을 또한 포함한다.
탄성화된 물질(110)에서와 같이, 탄성화된 물질(210)의 제1 영역(202)은 탄성중합체 가닥(216)에 대하여 각도(207)를 형성하는 제1 측면부(211)를 갖는 접합부(201)를 포함하고, 탄성화된 물질(210)의 제2 영역(204)은 탄성중합체 가닥(216)에 대하여 각도(208)를 형성하는 제1 측면부(213)를 갖는 접합부(203)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탄성화된 물질(210)의 제3 영역(206)은 탄성중합체 가닥(216)에 대하여 각도(210)를 형성하는 제1 측면부(215)를 갖는 접합부(205)를 포함한다.
재차, 탄성화된 물질(210)을 설명하는 다른 방식으로, 접합부(201, 203, 및/또는 205)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는 접합선(221, 222, 및 223)과 같은 접합선에서 탄성화된 물질(210) 아래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접합부(201, 203, 및 205)의 제1 측면부(211, 213, 215)는 탄성중합체 가닥(216)에 대하여 각각 각도(207, 208, 및 210)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접합선(221, 222, 및 223)은 탄성중합체 가닥(216)와 관련하여 각각 각도(207, 208, 및 210)를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각도(207, 208 및 210)는 약 0도 내지 약 180도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각도(207, 208 및 210)는 약 15도 내지 약 90도, 또는 약 30도 내지 약 89도, 또는 약 50도 내지 약 88도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도(207, 208 및 210)는 약 105도 내지 약 180도, 또는 약 120도 내지 약 179도, 또는 약 140도 내지 약 178도의 범위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각도(207, 208 및 210)는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고,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각도(207, 208 및 210) 중 하나가 90도보다 작고, 각도(207, 208 및 210) 중 다른 하나는 90도보다 크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도(207, 208, 및 210) 중 2개는 90도보다 작을 수 있는 반면에 각도(207, 208, 210)의 3번째는 90도보다 클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도(207, 208, 및 210) 중 적어도 하나는 90도보다 클 수 있는 반면, 각도(207, 208, 및 210)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90도보다 작고, 추가 실시예에서는 각도(207, 208, 및 210) 중 3번째가 90도보다 작을 수 있는 반면에 각도(207, 208 및 210) 중 2개가 90도보다 클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각도(207, 208, 및 210) 중 적어도 하나는 90도와 동일할 수 있는 반면, 각도(207, 208, 및 210) 중 다른 두 개는 90도보다 작거나, 90도보다 클 수 있고, 또는 각도(207, 208, 및 210) 중 다른 두 개 중 첫번째는 90도보다 작을 수 있는 반면에, 각도(207, 208, 및 210) 중 다른 두 개 중 두번째는 90도보다 클 수 있다.
이해되어야 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각도(207, 208 및 210) 차이는, 측방향 길이를 따라 서로 다른 신축 특성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210)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예에서, 제1 영역(202)은 길이방향(31)으로 인가된 주어진 힘 하에서 제1 양만큼 길이방향(31)으로 신장될 수 있다 -주어진 힘은 화살표 F로 표시되어 있다. 주어진 인가된 힘 하에서 제1 영역(202)의 상대적인 신장량은 제1 영역(202)에서 탄성화된 물질(210)의 파선 외곽선(224)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제2 영역(204)에서, 탄성화된 물질(210)은 접합부(201)의 제1 측면부(211)(또는 각진 접합선(221))보다 90도에 더 가깝게 각진 접합부(203)의 상이하게 각진 제1 측면부(213)(또는 상이하게 각진 접합선(222))으로 인해 주어진 인가된 힘 하에서 길이방향(31)으로 그렇게 많이 신장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영역(204)의 상대적인 신장량은 제2 영역(204)에서 탄성화된 물질(210)의 파선 외곽선(226)으로 나타나 있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영역(202)의 상대적 신장은 제2 영역(204)의 상대적 신장보다 크다.
또한, 제3 영역(206)은 파선 외곽선(228)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어진 인가된 힘 F 하에서 길이방향(31)으로 제1 영역(202) 또는 제2 영역(204) 중 어느 하나보다 상대적으로 큰 양으로 신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3 영역(206)에서의 접합부(205)의 제1 측면부(215)는, 영역(202, 204) 내의 접합부(201, 203)의 제1 측면부(211, 213) (또는, 접합선(221, 222)) 중 어느 하나가 90도에서 멀리 각을 이루는 것보다 큰 양으로 탄성중합체 가닥(216)에 대하여 90도에서 멀리 각을 이룬다. 따라서, 제3 영역(206)에서의 접합부(205)의 길이방향 정렬은 제1 영역(202) 및 제2 영역(204)에서의 접합부(201, 203)의 길이방향 정렬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며, 이에 따라 제1 영역(202)과 제2 영역(204)의 접합부(201, 203)보다 덜 길이방향으로 인가된 힘 F에 저항한다.
도 5의 실시예는 탄성화된 물질, 예를 들어 탄성화된 물질(210)이 그 길이를 따라 3개의 상이한 신축 특성을 갖는 적어도 3개의 상이한 영역을 갖는 것으로 단지 고려된 실시예일 뿐이라는 점을 이해하기 바란다. 다른 고려된 실시예들에서, 탄성중합체 가닥(16)에 대하여, 제1 측면부(211, 213, 215), 또는 접합선(221, 222, 223)의 상이한 각도의 특정 순서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다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른 고려된 실시예들은 전부 90도 미만, 또는 90도 초과의 상이한 각도들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평면 뷰로 늘어난 상태에서의 예시적인 탄성화된 물질(310)을 도시하며, 이때 탄성화된 물질(310)은 측방향(32)으로 늘어나서 탄성화된 물질(310)에 존재하는 피크 또는 골이 존재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도 6의 탄성화된 물질(310)은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탄성화된 물질(210)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탄성중합체 가닥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를 형성하는, 제1 측면부를 갖는 접합부, 또는 접합선을 포함하는 3개의 상이한 영역을 갖는 대신에, 도 6의 탄성화된 물질은 탄성중합체 가닥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를 형성하는, 제1 측면부를 갖는 접합부, 또는 접합선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영역, 및 상기 탄성중합체 가닥들 중 어느 것도 포획된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을 갖는다.
도 6의 실시예에서, 탄성화된 물질(310)은, 탄성중합체 가닥(316)에 대하여 각도(307)를 형성하는, 제1 측면부(311)를 갖는 접합부(301), 또는 접합선(321)을 포함하는 영역(302)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탄성화된 물질(310)은, 탄성중합체 가닥(316)에 대하여 각도(309)를 형성하는, 제1 측면부(315)를 갖는 접합부(305), 또는 접합선(322)을 포함하는 영역(306)을 더 포함한다. 각도(316)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각도(311)와 상이하다. 탄성화된 물질(310)은 접합부(303)를 포함하는 영역(304)을 더 포함한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영역(304)의 접합부(303)는 접합부(301) 및/또는 접합부(305)와 상이한 길이방향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중합체 가닥(316) 중 하나의 대향 측면 상에 배치되는 영역(304) 내의 적어도 한 쌍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303)는 탄성중합체 가닥(3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이상인 거리만큼 길이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중합체 가닥(316)의 대향 측면 상에 배치되는 영역(304) 내의 모든 쌍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303)는 탄성중합체 가닥(3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이상인 거리만큼 길이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탄성체 가닥(16)이 포획되지 않은 영역(304)과 같은 영역을 제공하는 것은 물질의 영역이 비탄성화되어야 하는 경우에 유익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들에서, 탄성체 가닥(16)은 전체 영역(304)을 비탄성화하기 위해, 영역(304)과 같은, 탄성체 가닥(16)이 포획되지 않은 영역 내의 한 지점에서만 절단될 수 있다. 물론, 탄성체 가닥(16)은 영역(304) 내의 다수의 지점에서 절단될 수 있으며, 이는 영역(304)을 더 잘 비탄성화할 수 있다. 일례로서, 때로는 흡수 용품의 흡수성 코어를 가로질러 걸쳐지는 탄성화된 물질의 영역을 비탄성화시키는 것이 유익하다.
따라서, 영역(304) 내의 탄성중합체 가닥(316) 중 적어도 하나는, 영역(304) 내의 접합부(303)의 상이한 길이방향 간격으로 인해, 어떠한 포획된 부분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영역(304) 내의 모든 탄성중합체 가닥은 어떠한 포획된 부분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영역(304) 내의 탄성중합체 가닥(16) 중 적어도 일부는 영역(301, 305)에서 그러한 것처럼, 포획된 부분을 여전히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영역(304)에서 접합부(303)의 측방향 제1 부분(313), 또는 접합선(323)은, 탄성중합체 가닥(316)에 대하여 각도(308)를 형성할 수 있고, 이 각도는 어느 한 각도(307 또는 309)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각도(308)는 각도(307 및 309) 모두와 다를 수 있다. 각도(308)가 어느 한 각도(307 또는 309)와 동일한 경우, 영역(304)은, 화살표 F로 표시된, 길이방향(31)으로 인가된 주어진 힘 하에서, 영역(302) 또는 영역(306)에서와 동일한 양으로, 길이방향(31)으로 신장될 수 있다. 도 6에서의 상이한 영역(302, 304, 및 306)의 상대적인 신장은 파선 외곽선들(324 및 326)로 표시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예컨대 각도(308)가 각도(307 및 309) 모두와 상이한 경우, 영역(304)은 영역(302) 및 영역(306) 중 어느 하나와 상이한 양으로 길이방향(31)으로 인가된 주어진 힘 하에서 길이방향(31)으로 신장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탄성화된 물질 중 임의의 것이 다양한 상이한 의복 및 흡수 용품 내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개시된 탄성화된 물질은 의복 또는 흡수 용품의 허리밴드, 또는 의복 또는 흡수 용품의 탄성 다리 커프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거나, 흡수 용품의 다른 부분 내에서, 예컨대 흡수 용품의 흡수성 코어 내에서, 흡수 용품의 샘방지 플랩의 일부로서, 또는 흡수 용품의 서지층 및/또는 분배층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허리 밴드 및 다리 커프스의 일부로서 탄성화된 물질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흡수 용품(400)을 도시한다.
도 7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교차 기계 방향(CD) 공정이라고 명명되는 것에서 제조되는 흡수 용품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400)을 도시한다. 그러나, 기계 방향(MD) 공정에서 제조되는 다른 흡수 용품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에 따른 탄성화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흡수 용품(400)은 3-피스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흡수 용품(400)은 전방 허리 에지(401)를 갖는 전방 허리 패널(402), 후방 허리 에지(403)를 갖는 후방 허리 패널(404), 및 전방 허리 패널(402)과 후방 허리 패널(404) 사이에서 연장되는 흡수 패널(409)을 갖는 섀시(406)를 갖는다. 흡수 패널(409)은 일반적으로 흡수체(40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흡수 패널(409)은 제1 측방향 측면 에지(405) 및 제2 측방향 측면 에지(407)을 가질 수 있으며 전방 허리 패널(402) 및 후방 허리 패널(404)과 중첩될 수 있다. 흡수 패널(409)은 전방 허리 패널(402) 및 후방 허리 패널(404)에 접합될 수 있어서 3-피스 구성을 정의한다. 그러나, 흡수 패널(409)을 둘러싸거나 단순히 흡수 패널(409)의 의복측을 덮을 수 있는 외부 커버 및/또는 신체측 라이너와 같은 허리 패널을 형성하는 통상적으로 연결된 구성요소들을 통하여 전방 허리 패널(402) 및 후방 허리 패널(404)이 서로 일체화됨에 따라 1-피스 구성(미도시)으로도 간혹 지칭되는, 3-피스 구성 의복이 아닌 CD 공정으로 흡수 용품이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전방 허리 패널(402) 및 후방 허리 패널(404)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2개의 물질 층 사이에 배치된 탄성중합체 가닥(41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허리 패널(402) 및 후방 허리 패널(404)은 본원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탄성화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전방 허리 패널(402) 및/또는 후방 허리 패널(404)은 중앙 영역(421), 및 측면 에지 영역(422, 423)을 가질 수 있다. 중앙 영역(421)은 주어진 길이방향으로 인가된 힘 하에서 길이방향(31)으로 제1 신장량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 한편, 측면 에지 영역들(422, 423)은 주어진 길이방향으로 인가된 힘 하에서 길이방향(31)으로 제2 신장량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심지어 측면 에지 영역들(422, 423)은 서로 다른 신장량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고려된 실시예들은, 다른 신장량을 갖도록 형성된, 추가 측면 에지 영역, 예를 들어, 4개, 6개 또는 8개의 측면 에지 영역을 포함한다. 전방 허리 패널(402) 및/또는 후방 허리 패널(404)의 이 특징은 흡수 용품(400)과 착용자 사이에 더욱 양호한 착용감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에지 영역들(422, 423)은 일부 실시예에서, 중앙 영역(421)보다 길이방향으로 인가된 힘 하에서 길이방향(31)으로 더 큰 신장량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중앙 영역(421)보다 길이방향으로 인가된 힘 하에서 길이방향(31)으로 더 작은 신장량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이한 실시예들은 흡수 용품(400)에 서로 다른 유리한 착용감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8은, 더욱 구체적으로 영역(421, 423)에서 전방 허리 패널(402)의 상이한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 7의 박스(431)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허리 패널(402)은 접합선(425, 427)으로 각각 배향된, 접합부(420) 및 접합부(430)를 포함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합부(420)의, 제1 측면부(426) 또는 접합선(425)은, 접합부(430)의, 제1 측면부(428) 또는 접합선(427)보다, 탄성중합체 가닥(416)에 대하여 상이하게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421)에 존재하는, 접합부(420)의 제1 측면부(426)는 탄성중합체 가닥(416)에 대하여 제1 각도(424)를 형성할 수 있는 한편, 영역(423)에 존재하는, 접합부(430)의 제1 측면부(428)는 탄성중합체 가닥(416)에 대하여 제2 각도(429)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각도와 제2 각도는 상이하다. 따라서, 전방 허리 패널(402)은 상이한 영역(421, 423)에서 주어진 길이방향으로 인가된 힘 하에서 상이한 길이방향 신장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추가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전방 허리 패널(402) 및/또는 후방 허리 패널(404)은, 흡수 패널(409)이 전방 허리 패널(402) 및/또는 후방 허리 패널(404)과 중첩되는 중첩 영역,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중첩 영역(434)을 가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에서, 이들 중첩 영역들을 가로지르는 탄성중합체 가닥(416)의 부분은 포획된 부분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흡수 패널(409)이 전방 허리 패널(402)과 중첩되는 중첩 영역(434)을 포함하는 전방 허리 패널(402)의 특정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는 박스(432)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첩 영역(434) 내의 전방 허리 패널(402)의 접합부(420)는 중첩 영역(434)의 외측에 있는 접합부(420)와는 상이하게 길이방향(31)으로 이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중첩 영역(434) 외부의 접합부(420), 또는 길이방향으로 인접하고 탄성중합체 가닥(416)이 그 사이에 위치하는 중첩 영역(434)의 외부에 있는 적어도 접합부(420)는, 탄성중합체 가닥(4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거리만큼 길이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중첩 영역(434)의 외부에서, 탄성중합체 가닥(416)은 탄성중합체 가닥(416)이 접합부(420) 사이를 통과하는 포획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중첩 영역(434) 내부의 접합부(420), 또는 탄성중합체 가닥(416)이 그 사이에 위치되는 중첩 영역(434) 내의 적어도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420)는, 탄성중합체 가닥(4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이상의 거리만큼 길이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중첩 영역(434) 내의 탄성중합체 가닥(416)은 접합부(420) 사이를 통과하고 접합부(420)에 의해 포획되지 않는 일부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물론, 흡수 패널(409)이 전방 허리 패널(402)과 중첩되는 경우에 기술하는, 중첩 영역(434)은 접합부(420)가 상이한 길이방향 간격을 가질 수 있는 단지 하나의 예시적인 경계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합부(420)는, 접합부(420)가 전체 흡수 패널(409)과 반대로 흡수체(408)와 중첩되는 경우에 탄성중합체 가닥(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큰 길이방향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추가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400)은 그들의 길이를 따라 차등적인 신장 특성을 갖는 탄성화된 다리 커프스(410, 4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화된 다리 커프스(410, 411)가 전방 허리 패널(402) 및/또는 후방 허리 패널(404)에 더욱 가까운 영역에서 측방향(32)으로 더 큰 신장을 가져서 흡수 용품(400)의 착용감을 개선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도 10은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화된 다리 커프스(410, 411)의 상이한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 7의 박스(433)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박스(433)에 의해 강조된 용품(400)의 부분에서의 다리 탄성중합체 가닥을 나타내는, 탄성중합체 가닥(416)이 영역(451 및 452)을 통해 길이방향(31)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영역(451, 452)은 제1 측면부(444, 446)를 갖는 접합선(455, 457) 각각에 배열된 접합부(450, 460)를 포함한다. 접합선(450)의 제1 측면부(444), 및 접합선(455)은 탄성중합체 가닥(416)에 대하여 제1 각도를 형성할 수 있는 한편, 접합부(460)의 제1 측면부(446), 및 접합선(457)은 탄성중합체 가닥(416)에 대하여 상이한 제2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체 다리 커프스(411)는 상이한 영역(451, 452)에서 주어진 측방향으로 인가된 힘 하에서 상이한 측방향 신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착용자의 상부 대퇴부 영역과 둔부 영역 둘레에 다리 커프스(410, 411)의 보다 많은 형태 맞춤을 허용하는데 유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흡수 용품은 상이한 신축 특성을 갖는 허리 패널과 다리 커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리 패널 또는 다리 커프스 내에서 가변하는 허리 패널 또는 다리 커프스의 신축 특성 대신에, 신축 특성은 허리 패널과 다리 커프스 사이에서 다를 수 있다.
도 11은 도 11에서 402'로 라벨링된, 도 7의 전방 허리 패널(402)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 11에서 박스(431')로 라벨링된, 도 7의 박스(431)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허리 패널(402')은 접합선(425')으로 배향된 접합부(420')를 포함한다. 접합부(420')의 제1 측면부(426'), 또는 접합선(425')은 탄성중합체 가닥(416)에 대하여 제1 각도(424')로 각을 이룰 수 있다. 도 12는 도 12에서 410'로 라벨링된, 탄성화된 다리 커프스(41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 12에서 박스(433')로 라벨링된, 도 7의 박스(433)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리 커프스(410')는 접합선(455')으로 배향된 접합부(450')를 포함한다. 접합부(450')의 제1 측면부(444'), 또는 접합선(455')은 탄성중합체 가닥(416)에 대하여 제2 각도(462')로 각을 이룰 수 있다. 제1 각도(424') 및 제2 각도(462')는, 흡수 용품의 상이한 위치에서 상이한 원하는 신축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이들 실시예들에서는 상이하며, 더욱 양호한 착용감을 갖는 용품을 생성하게 된다.
다른 고려된 실시예는 대칭적인 신축 특성 및/또는 연속적인 신축 특성을 갖는 물질을 갖는 물질 및 흡수 용품 및 의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이한 방향으로 인가된 주어진 힘 하에서 동일한 양으로 신축하고/하거나 모든 방향으로 신축하는, 흡수 용품 또는 의복 내에 물질을 제공하거나, 또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는, 물질의 접합부들이 서로 다른 탄성체 가닥들 사이의 탄성체 가닥들에 대하여 배향되는 각도를 가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13은 대칭적인 신축 특성을 갖는 흡수 용품이나 의복에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물질(510)을 도시한다. 도 13의 예에서, 물질(510)은, 탄성중합체 가닥(516)에 대하여 서로 상이하게 각을 이루는 측면부(504, 506)를 각각 갖는, 상단 에지(502) 및 두 세트의 접합부(512, 514)를 갖는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물질들에 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물질(510)의 접합부(512, 514)는 탄성중합체 가닥(516)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를 형성하는 접합선(505, 507)으로 각각 배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합부(512)의 측면부(504), 또는 접합선(505)은, 물질(510)의 영역(50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중합체 가닥(516)에 대하여 제1 각도(511)를 형성할 수 있다. 접합부(514)의 측면부, 또는 접합선(507)은, 물질(510)의 영역(50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각도(511)와 다른 탄성중합체 가닥(516)에 대하여 제2 각도(513)를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질(510)의 접합부(512, 514)는 본 발명의 다른 탄성화된 물질의 접합부에 대하여 설명된 측방향 및 길이방향 간격과 유사한 측방향 및 길이방향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가닥(516)이 사이로 연장되는 접합부(512, 514)는 탄성중합체 가닥(5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길이방향 간격을 가질 수 있다. 탄성체 가닥(516)이 사이로 연장되지 않는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512, 514)는, 본 발명의 다른 탄성화된 물질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중합체 가닥(5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큰 간격을 포함하는, 다양한 상이한 길이방향 간격들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측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512, 514) 사이의 측방향 간격은 본 발명의 다른 탄성화된 물질과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선택사항일 수 있다.
도 13을 더욱 구체적으로 보면, 영역(508)은 탄성중합체 가닥(516)에 대하여 각도(511)를 형성하는 제1 측면부(504)를 갖는 접합부(512)를 포함한다. 영역(508)의 적어도 일부 부분에서, 탄성중합체 가닥(516)이 연장되는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는 탄성중합체 가닥(516)을 포획할 수 있다. 이러한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들, 예를 들어 접합부(512a, 512b)는 탄성중합체 가닥(5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적게 길이방향(31)으로 이격되어 탄성중합체 가닥(516)을 포획할 수 있다. 영역(509)은 탄성중합체 가닥(516)에 대하여 각도(513)를 형성하는 제1 측면부(506)를 갖는 접합부(514)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영역(509)의 적어도 일부 부분에서, 탄성중합체 가닥(516)이 연장되는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는 탄성중합체 가닥(516)을 포획할 수 있다. 이러한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들, 예를 들어 접합부(514a, 514b)는 탄성중합체 가닥(5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적게 길이방향(31)으로 이격되어 탄성중합체 가닥(516)을 포획할 수 있다. 도 4의 탄성화된 물질(110)과는 달리, 접합부(512a, 512b) 사이에서 연장되는 탄성중합체 가닥(516)은, 접합부(514a, 514b) 사이에서 연장되는 탄성중합체 가닥(516)과 상이하다. 따라서, 도 13의 실시예에서, 탄성중합체 가닥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 예컨대 상이한 각도(511, 513)를 형성하는 탄성화된 물질(510)의 접합부는 물질(510)의 탄성중합체 가닥(516) 중 상이한 것들 주위에 배치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탄성중합체 가닥(516)은 2개 영역(508, 509)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탄성중합체 가닥(516)은 접합부(512) 중 하나, 예를 들어, 영역(508)의 일부인 512c를, 접합부(514) 중 하나, 예를 들어, 영역(509)의 일부인 514c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접합부(512c, 514c)는 탄성중합체 가닥(51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적게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탄성중합체 가닥(516)을 포획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접합부(512c)는 탄성중합체 가닥(516)(또는 탄성중합체 가닥(516)에 평행한 선)에 대하여 각도(511)를 형성할 수 있는 한편, 접합부(514c)는 탄성중합체 가닥(516)(또는 탄성중합체 가닥(516)에 평행한 선)에 대하여 각도(513)를 형성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탄성중합체 가닥(516)은 영역(508, 509) 사이에 직접 연장될 수 없다.
일반적으로, 각도(511, 513)는 약 15도 내지 약 90도, 또는 약 30도 내지 약 89도, 또는 약 50도 내지 약 88도, 또는 약 105도 내지 약 180도, 또는 약 120도 내지 약 179도, 또는 약 140도 내지 약 178도의 임의의 적절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각도(511, 513) 중 하나는 90도 미만일 수 있는 반면 각도(511, 513) 중 다른 하나는 90도보다 클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 각도(511, 513)는 동일한 양만큼 90도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511)가 15도, 45도, 또는 75도인 경우, 각도(513)는 각각 105도, 135도, 또는 165도일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각도(513)의 값은 180에서 각도(511)의 값을 뺀 것일 수 있다.
물질(510)은 물질(510)의 탄성중합체 가닥(516)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를 형성하는, 측면부를 갖는 접합부를 갖거나, 또는 접합선을 형성하는, 상이한 영역(508, 509)으로 인해 대칭적인 신축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대칭적인 신축 특성은 형성된 각도의 특정 구성, 각각의 영역(508, 509)의 길이방향 범위, 또는 둘 다로부터 야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영역(508, 509)의 길이방향 범위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도(511, 513)는 또한 약 90도만큼 대칭일 수 있다 - 즉, 각도(511, 513) 중 하나가 90도 미만이고, 각도(511, 513) 중 다른 하나는 90도 초과인 것을 제외하고, 각도(511, 513)는 동일한 양만큼 90도와 상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다른 방식으로, 각도(513)의 값은 180에서 각도(511)의 값을 뺀 것일 수 있다. 영역(508, 509)의 길이방향 범위가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90도에서 가변하는 각도(511, 513)가 또한 대칭적인 신축 특성을 여전히 갖는 물질을 생성하도록 상이할 수 있다.
논의된 대칭적인 신축 특성은, 물질이 길이방향(31)에 대하여 각도로 배향될 때 길이방향(31)으로 주어진 인가된 힘 하에서 길이방향(31)으로 대칭적인 신축량을 갖는 것으로서, 물질(510)과 같은, 물질과 연관된다. 예를 들어, 물질(510)은 화살표 F1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31)으로 인가된 주어진 힘 하에서 길이방향(31)으로 제1 양을 신축할 수 있는 한편, 물질(510)은 힘 F1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다. 또한, 물질(510)은 동일한 주어진 힘 하에서 길이방향(31)으로 제2 양을 신축할 수 있는 한편, 물질(510)은 길이방향(31)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양으로 회전되었다. 예를 들어, 물질(510)은 화살표 F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어진 힘 하에서 제2 양을 신축할 수 있는 한편, 화살표 F2는 길이방향(31)으로 배향된다. 이 예에서, 물질(510)은 길이방향(31)에 대하여 우측 45도로 회전되었다. 또한, 물질(510)은 화살표 F3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어진 힘 하에서 길이방향(31)으로 동일한 제2 양을 신축할 수 있는 한편, 화살표 F3는 길이방향(31)으로 배향된다. 이 예에서, 물질(510)은 길이방향(31)에 대하여 좌측 45도로 회전되었다. 따라서, 물질(510)은, 길이방향(31)에 대하여 거울상 각도로 인가되었거나, 물질(510)이 길이방향(31)에 대하여 양쪽 방향으로 동일한 양으로 회전되었을 때 인가된, 동일한 힘 하에서 동일한 양을 물질(510)이 신축하기 때문에 대칭적인 신축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이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고 기술된 탄성화된 물질과는 대조적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물질은, 길이방향(31)에 대하여 거울상 각도로 인가되었거나, 물질이 길이방향(31)에 대하여 양쪽 방향으로 동일한 양으로 회전되었을 때에 인가된, 주어진 힘 하에서 서로 다른 양의 신축을 나타낸다.
물질(510)과 같은 물질은 연속적인 신축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즉, 물질(510)은, 심지어 물질(510)의 물질 층이 임의의 고유한 탄성 특성을 갖지 않는 때에도, 물질(510)이 길이방향(31)에 대하여 회전되는 모든 각도에서 길이방향(31)으로 인가된, 주어진 힘 하에서 길이방향(31)으로 신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질들은 물질의 접합부들이 정렬되는 방향으로의 신장에 저항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의 물질(10)은 전혀 신장되지 않을 수 있거나, 약 1% 미만과 같은 소량으로만 신장될 수 있으며, 여기서 물질(10)의 물질 층들은 물질(10)이 각도(40)에서와 같이 동일한 각도숫자만큼 길이방향(31)에 대하여 좌측으로 회전될 때 길이방향(31)으로 인가된 주어진 힘 하에서 임의의 고유한 탄성 특성을 갖지 않는다. 이는, 이러한 구성에서, 접합부가 주어진 힘과 동일한 방향인, 길이방향(31)으로 정렬되고, 그 회전 각도에서 길이방향(31)으로 물질(10)의 임의의 신장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반면, 물질(510)은 접합부가 길이방향(31)으로 직접 정렬되는 회전 각도를 갖지 않는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31)에 대한 물질(510)의 모든 회전 각도에서, 접합부(514 및/또는 516) 중 일부는 길이방향(31)으로 정렬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물질(510)은 길이방향(31)에 대한 물질(510)의 모든 회전 각도에서, 심지어 물질(510)의 물질 층들이 고유한 탄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약 1% 초과의 신장량으로, 길이방향(31)으로 몇몇 신장량을 나타낼 것이다.
물론,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탄성화된 물질은 예시적인 물질(110 및 510) 둘 다의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탄성화된 물질은 단일 탄성중합체 가닥을 따라서와 상이한 탄성중합체 가닥들 사이에서 상이한 각도를 형성하는 측면부를 가진 접합부를 가질 수 있다.
도 14는 예시적인 물질들(110, 510)의 특징부들 중 적어도 일부를 조합하는 예시적인 탄성화된 물질(550)을 도시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물질(550)은 제1 측면부(561)를 갖는 접합부(562)를 포함하는 제1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영역은 물질(550)의 제1 측방향 부분(581) 및 제1 길이방향 부분(583)에 의해 경계지어진다. 접합부(562)는 접합선(585), 및 제1 측면부(561)에 배열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접합선(585)은 물질(550)의 탄성중합체 가닥(596)에 대하여 각도(571)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62a, 562b 등의 접합부(562)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중합체 가닥(596)의 대향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탄성중합체 가닥(59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될 수 있다. 즉, 접합부(562a, 562b)는 탄성중합체 가닥(596)의 일부분을 포획할 수 있다. 물질(550)은 제1 측면부(563)를 갖는 접합부(562)를 포함하는 제2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은 물질(550)의 제2 측방향 부분(582) 및 제1 길이방향 부분(583)에 의해 경계지어지고, 접합부(564)는 접합선(587), 및 제1 측면부(563)에 배열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접합선(587)은 물질(550)의 탄성중합체 가닥(596)에 대하여 각도(573)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64a, 564b 등의 접합부(564)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중합체 가닥(596)의 대향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탄성중합체 가닥(59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될 수 있다. 즉, 접합부(564a, 564b)는 탄성중합체 가닥(596)의 일부분을 포획할 수 있다. 각도(571)는, 접합부,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모두를 통해 진행되는, 동일한 탄성중합체 가닥(596)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접합부의 측면부 또는 접합부에 의해 형성된 접합선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573)와 상이하다는 것을 도 14에서 알 수 있다.
예시적인 물질(550)은 제3 및 제4 영역을 더 포함하며, 이들은 제1 측방향 부분(581) 및 제2 길이방향 부분(584) 및 제2 측방향 부분(582) 및 제2 길이방향 부분(584)에 의해 각각 경계지어진다. 제3 영역은 제1 측면부(565)를 갖는 접합부(566)를 포함한다. 접합부(566)는 접합선(589), 제1 측면부(565) 내에 배열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접합선(589)은 물질(550)의 탄성중합체 가닥(596)에 대하여 각도(575)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66a, 566b 등의 접합부(566)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중합체 가닥(596)의 대향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탄성중합체 가닥(59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될 수 있다. 즉, 접합부(566a, 566b)는 탄성중합체 가닥(596)의 일부분을 포획할 수 있다. 제4 영역은 제1 측면부(567)를 갖는 접합부(568)를 포함한다. 접합부(568)는 접합선(591), 제1 측면부(567) 내에 배열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접합선(591)은 물질(550)의 탄성중합체 가닥(596)에 대하여 각도(577)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68a, 568b 등의 접합부(568)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중합체 가닥(596)의 대향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탄성중합체 가닥(596)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 미만의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될 수 있다. 즉, 접합부(568a, 568b)는 탄성중합체 가닥(596)의 일부분을 포획할 수 있다. 각도(575)는, 접합부,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 영역 및 제4 영역 모두를 통해 진행되는, 동일한 탄성중합체 가닥(596)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접합부의 측면부 또는 접합부에 의해 형성된 접합선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577)와 상이하다는 것을 도 14에서 알 수 있다.
각도(571)가 각도(575)와 상이하고 각도(573)가 각도(577)와 상이하다는 것이 도 14에서 더 알 수 있다. 따라서, 물질(550)은, 또한, 접합부,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합부의 측면부 또는 접합부에 의해 형성된 접합선이 탄성중합체 가닥(596)에 대하여, 형성하는 각도가 서로 다른 탄성중합체 가닥(596)에 걸쳐 가변되는 영역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도(571 및 577), 및 각도(573 및 575)는 또한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물질(550)의 상이한 영역의 각도들 전부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각도(571 및 575), 및 각도(573 및 575)는 길이방향(31)을 중심으로 거울상일 수 있다. 즉, 각도(571 및 575), 및 각도(573 및 575)는 각각 동일한 양만큼 90도와 상이할 수 있지만, 각도의 쌍들의 각도 중 하나는 90도보다 작지만, 각도의 쌍들의 각도 중 다른 각도는 90도보다 크다. 일반적으로, 각도(571, 573, 575, 57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탄성화된 물질에서의 각도에 대하여 개시된 것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이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상이한 신축 특성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을 허용할 수 있으며, 이는 이러한 탄성화된 물질을 사용하여 흡수 용품 또는 의복의 더욱 양호한 착용감, 기능 및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탄성화된 물질은, 탄성화된 물질의 탄성중합체 가닥에 대하여, 또는 탄성중합체 가닥에 평행하게 배치된 선에 대하여, 접합부가 형성하는 각도,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합부의 측면부가 형성하는 각도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가변되는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접합부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실제로 연속적으로 가변하는 각도들 대신에, 접합부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3개, 4개, 5개, 6개, 7개, 8개, 9개, 또는 10개,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의 접합부 마다 패턴으로 반복될 수도 있다. 도 15는 상단 에지(602) 및 접합부(602a 내지 602f)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탄성화된 물질(610)을 도시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합부(602a 내지 602f)는 탄성중합체 가닥(616), 또는 물질(610)의 탄성중합체 가닥(616)에 평행한 선에 대하여 각도(611, 613, 615, 617, 619, 및 621)를 형성한다. 각도(611, 613, 615, 617, 619, 및 621)는, 탄성화된 물질(610) 아래로 길이방향으로 연속될 수 있는 패턴의 제1 유닛을 형성하고, 접합부(602a-f)에 의해 형성된 유닛은 물질(610)에 걸쳐 측방향으로 반복될 수 있다.
도 15의 예에서, 각각의 각도(611, 613, 615, 617, 619, 및 621)는 서로 다를 수 있는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도(611) 및 각도(617)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각도들(613, 615)은 각각의 각도들(619, 621)과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거울상일 수 있다. 즉, 각도(613) 및 각도(619)는 각각 90도와 동일한 양만큼 다를 수 있지만, 각도들 중 하나는 90도 미만이고, 각도들 중 다른 하나는 90도보다 크다. 마찬가지로, 각도(615) 및 각도(621)는 각각 90도와 동일한 양만큼 다를 수 있지만, 각도들 중 하나는 90도 미만이고, 각도들 중 다른 하나는 90도보다 크다. 일반적으로, 각도(611, 613, 615, 617, 619, 및 621)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탄성화된 물질에서의 각도에 대하여 개시된 것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탄성중합체 가닥(616)은 단지 도 15에 도시된 곳 대신 임의의 접합부(602a 내지 602f) 사이에 위치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가닥(616)은 반복 단위들 중 하나 내부 대신 각각의 반복 단위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탄성화된 물질은 흡수 용품 내의 측면 패널 물질로서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은 섀시(702) 및 신체 대향면(703)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흡수 용품(700)을 도시한다. 용품(700)은 전방 측면 패널들(709) 및 후방 측면 패널들(7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측면 패널들(709)은 부착 영역(707)을 포함할 수 있는 한편, 후방 측면 패널들(708)은 부착 영역(709)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 영역(707, 709)은 전방 측면 패널들(709)과 후방 측면 패널들(709) 사이의 확실한 연결부로부터 서로 협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용품(700)은 착용 구성 상태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방 측면 패널들(709) 및/또는 후방 측면 패널들(708)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특성을 갖는 것이 유익하고, 보다 특히 길이방향으로 탄성 특성을 갖는 것이 유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방 및 후방 측면 패널들(709, 708)은 용품(700)의 착용자의 둔부 위에 놓일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져서 착용자 위의 용품(700)의 향상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화된 물질을 포함하는, 후방 측면 패널(708) 중 하나를 더 상세히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7의 후방 측면 패널(708)은 측면부(726)를 갖는 접합부(722)를 포함한다. 접합부(720)는 접합선(727)에서 정렬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측면부 및/또는 접합선은 후방 측면 패널(708)의 탄성중합체 가닥(716)에 대하여 각도(722)를 형성할 수 있다. 각도(72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탄성화된 물질에서의 각도에 대하여 개시된 것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7의 후방 측면 패널(708)은 탄성중합체 가닥(716)으로 인해 측방향(32)으로, 그리고 탄성중합체 가닥(716) 및 접합부(720)의 특이적 구성(예를 들어, 접합부(720)의 측면부(726), 또는 접합선(727)이 탄성중합체 가닥(716)에 대하여 90도 이외의 각도를 형성하는 경우)으로 인해, 길이방향(31)으로 신장될 것이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섀시(702)의 대향 측면 상의 후방 측면 패널들(708)은 서로 거울상일 수 있다. 즉, 섀시(702)의 제1 측면 상의 후방 측면 패널(708)의 각도(720)는 섀시(702)의 제2 측면 상의 후방 측면 패널(708)의 각도(720)와 동일한 양만큼 90도와 상이할 수 있지만, 각도(720) 중 하나는 90도 미만이고, 반면에 각도(720) 중 다른 하나는 90보다 크다.
고려된 탄성화된 측면 패널 물질들은 도 17의 특이적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더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되는 탄성화된 측면 패널 물질들은,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6 및 도 13 내지 도 1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설명된 탄성화된 물질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방 측면 패널들(709)은 일부 고려된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탄성화된 물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이한 전방 및 후방 측면 패널 물질의 접합부에 의해 형성된 각도들은 이러한 고려된 실시예들 중 일부에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된 모든 문헌은 관련 부분에서,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되며; 임의의 문헌 인용이 본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이라는 점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 내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가 참고로 원용된 문헌에서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와 모순되는 정도까지 본 명세서 내의 용어에 할당된 의미 또는 정의가 적용될 것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본원에서 설명되고 고려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들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실시예 및 도면에 대해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이들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만 적용 가능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각각의 설명된 특징부는, 이들 특징부와 함께 설명된 다른 임의의 특징부들 중 어느 하나와 함께 또는 없이, 다양한 고려된 실시예들에서의 임의의 다른 특징부와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 형태 및 세부사항이 변화될 수 있다.

Claims (20)

  1. 탄성화된 물질로,
    제1 물질 층;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를 포함하는 제1 접합부 쌍 및 제3 접합부 및 제4 접합부를 포함하는 제2 접합부 쌍에 의해 상기 제1 물질 층에 접합된 제2 물질 층; 및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물질 층과 상기 제2 물질 층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는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되고,
    여기서 상기 제3 접합부 및 상기 제4 접합부는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3 접합부는 상기 제1 가닥 및 상기 제2 가닥 각각의 제1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접합부 및 상기 제4 접합부는 상기 제1 가닥 및 상기 제2 가닥 각각의 제2 측면에 위치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3 접합부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접합부의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에 대하여 제1 각도를 형성하고,
    여기서 상기 제3 접합부의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에 대하여 제2 각도를 형성하고, 그리고
    여기서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2 각도와 상이한, 탄성화된 물질.
  2. 제1항에 있어서, 제5 접합부 및 제6 접합부를 포함하는 제3 접합부 쌍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5 접합부 및 상기 제6 접합부는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3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위치하고, 상기 제3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접합부, 상기 제3 접합부, 및 상기 제5 접합부는 상기 제1 가닥, 상기 제2 가닥, 및 상기 제3 가닥 각각의 제1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접합부, 상기 제4 접합부, 및 상기 제6 접합부는 상기 제1 가닥, 상기 제2 가닥, 및 상기 제3 가닥 각각의 제2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접합부, 상기 제3 접합부, 및 상기 제5 접합부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5 접합부의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3 가닥에 대하여 제3 각도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1 각도, 상기 제2 각도, 및 상기 제3 각도는 모두 상이한, 탄성화된 물질.
  3. 제1항에 있어서, 제5 접합부 및 제6 접합부를 포함하는 제3 접합부 쌍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5 접합부 및 상기 제6 접합부는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3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위치하고, 상기 제3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접합부, 상기 제3 접합부, 및 상기 제5 접합부는 상기 제1 가닥, 상기 제2 가닥, 및 상기 제3 가닥 각각의 제1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접합부, 상기 제4 접합부, 및 상기 제6 접합부는 상기 제1 가닥, 상기 제2 가닥, 및 상기 제3 가닥 각각의 제2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접합부, 상기 제3 접합부, 및 상기 제5 접합부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5 접합부의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3 가닥에 대하여 제3 각도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1 각도 및 상기 제3 각도는 동일하고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각도 및 상기 제3 각도와 상이한, 탄성화된 물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상기 제2 가닥은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과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3 가닥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탄성화된 물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90도보다 작고, 여기서 상기 제2 각도는 90도보다 큰, 탄성화된 물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각도는 180에서 상기 제1 각도의 값을 뺀 각도 값을 가지는, 탄성화된 물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30도 내지 89도이고, 여기서 상기 제2 각도는 95도 내지 145도인, 탄성화된 물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50도 내지 88도이고, 여기서 상기 제2 각도는 115도 내지 135도인, 탄성화된 물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질 층 및 상기 제2 물질 층은 별도의 물질 웹으로 구성되는, 탄성화된 물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되는, 제5 접합부 및 제6 접합부를 포함하는 제3 접합부 쌍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접합부 쌍과 상기 제3 접합부 쌍은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을 따라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5 접합부는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의 제1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접합부 및 상기 제6 접합부는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의 제2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5 접합부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5 접합부의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에 대하여 제3 각도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3 각도와 상이한, 탄성화된 물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상기 제2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되는, 제7 접합부 및 제8 접합부를 포함하는 제4 접합부 쌍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2 접합부 쌍 및 상기 제4 접합부 쌍은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을 따라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3 접합부 및 상기 제7 접합부는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의 제1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4 접합부 및 상기 제8 접합부는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의 제2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접합부 및 상기 제7 접합부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7 접합부의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에 대하여 제4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4 각도와 상이하고, 그리고
    상기 제3 각도는 상기 제4 각도와 상이한, 탄성화된 물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각도는 90도보다 작고, 여기서 상기 제4 각도는 90도보다 큰, 탄성화된 물질.
  13. 전방 허리 에지를 포함하는 전방 허리 영역, 후방 허리 에지를 포함하는 후방 허리 영역, 가랑이 영역, 길이방향 축 및 측방향 축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으로, 상기 흡수 용품은,
    흡수체, 신체 대향면, 및 의복 대향면을 포함하는 섀시;
    상면시트; 및
    후방 허리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후방 허리밴드는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물질 층과 제2 물질 층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제1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
    상기 제1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된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 및
    상기 제1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된 제3 접합부 및 제4 접합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3 접합부는 상기 제1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 및 상기 제1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 각각의 제1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접합부 및 상기 제4 접합부는 상기 제1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 및 상기 제1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 각각의 제2 측면에 위치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3 접합부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접합부의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제1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에 대하여 제1 각도를 형성하고,
    여기서 상기 제3 접합부의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제1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에 대하여 제2 각도를 형성하고, 그리고
    여기서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2 각도와 상이한, 흡수 용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허리밴드는 섀시의 후방 허리 패널인, 흡수 용품.
  15. 제13항에 있어서, 전방 허리밴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방 허리밴드는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제3 물질 층과 제4 물질 층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제2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
    상기 제2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된 제5 접합부 및 제6 접합부; 및
    상기 제2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된 제7 접합부 및 제8 접합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5 접합부 및 상기 제7 접합부는 상기 제2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 및 상기 제2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 각각의 제1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6 접합부 및 상기 제8 접합부는 상기 제2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 및 상기 제2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 각각의 제2 측면에 위치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3 접합부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접합부의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제2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1 가닥에 대하여 제1 각도를 형성하고,
    여기서 상기 제3 접합부의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제2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의 제2 가닥에 대하여 제2 각도를 형성하고, 그리고
    여기서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2 각도와 상이한, 흡수 용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허리밴드는 섀시의 전방 허리 패널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90도보다 작고, 여기서 상기 제2 각도는 90도보다 큰, 흡수 용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각도는 180에서 상기 제1 각도의 값을 뺀 각도 값을 갖는, 흡수 용품.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허리 영역에서의 섀시의 일부분 및 상기 후방 허리 영역에서의 상기 섀시의 일부분은 함께 접합되는, 흡수 용품.
  20. 탄성화된 물질로,
    제1 웹 물질;
    복수의 접합부에 의해 상기 제1 웹 물질에 접합된 제2 웹 물질; 및
    길이방향에 수직인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웹 물질과 상기 제2 웹 물질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접합부는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를 포함하는 제1 접합부 쌍 및 제3 접합부 및 제4 접합부를 포함하는 제2 접합부 쌍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는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 중 제1 탄성중합체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는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 중 제1 탄성중합체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제3 접합부 및 상기 제4 접합부는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 중 제2 탄성중합체 가닥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접합부 및 상기 제4 접합부는 상기 복수의 탄성중합체 가닥 중 제2 탄성중합체 가닥의 인장되지 않은 직경보다 작은 길이방향 거리만큼 분리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탄성화된 물질은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기 탄성화된 물질의 모든 회전 각도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인가된 힘 하에 길이방향으로 1% 초과의 신장률을 나타내는, 탄성화된 물질.
KR1020197026081A 2017-02-28 2017-04-27 방향성 신축 특성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 KR102110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64640P 2017-02-28 2017-02-28
US62/464,640 2017-02-28
PCT/US2017/029861 WO2018160208A1 (en) 2017-02-28 2017-04-27 Elasticated materials with directional stretch propert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162A KR20190107162A (ko) 2019-09-18
KR102110241B1 true KR102110241B1 (ko) 2020-05-13

Family

ID=633709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081A KR102110241B1 (ko) 2017-02-28 2017-04-27 방향성 신축 특성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
KR1020197025545A KR102102227B1 (ko) 2017-02-28 2017-04-27 방향성 신축 특성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545A KR102102227B1 (ko) 2017-02-28 2017-04-27 방향성 신축 특성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10973703B2 (ko)
EP (2) EP3589252A4 (ko)
JP (2) JP6832443B2 (ko)
KR (2) KR102110241B1 (ko)
CN (3) CN110290771B (ko)
AU (2) AU2017401886B2 (ko)
BR (1) BR112019016461B1 (ko)
MX (2) MX2019009713A (ko)
RU (2) RU2709038C1 (ko)
WO (2) WO20181602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3226A1 (en) 2014-08-26 2016-03-03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ecuring elastic to a carrier web
CN110290771B (zh) * 2017-02-28 2022-05-13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定向拉伸特性的弹性化材料
MX2019012440A (es) * 2017-04-28 2020-02-05 Kimberly Clark Co Material elastico con canales no continuos.
BR112020008926B1 (pt) 2017-12-19 2024-02-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rtigo absorvente, e, matriz de artigos absorventes
CA3088550A1 (en) * 2018-01-29 2019-08-01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astic composite structure for an absorbent sanitary product
JP6580183B2 (ja) * 2018-03-19 2019-09-25 大王製紙株式会社 伸縮部材及びこの伸縮部材を有する使い捨て着用物品
US11925538B2 (en) 2019-01-07 2024-03-12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astic composite structure for an absorbent sanitary product
WO2020164060A1 (en) * 2019-02-14 2020-08-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nt-type wearable article
US11173072B2 (en) 2019-09-05 2021-11-16 Curt G. Joa, Inc. Curved elastic with entrapment
JP7362528B2 (ja) * 2020-03-25 2023-10-17 大王製紙株式会社 連結式使い捨て着用物品
JP2021153712A (ja) * 2020-03-25 2021-10-07 大王製紙株式会社 連結式使い捨て着用物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4552B1 (ko) 1991-06-13 2000-02-01 데이비드 엠 모이어 신축성 패널을 포함한 탄성 허리부를 갖는 흡수제품
US20050095942A1 (en) 2003-10-02 2005-05-05 Joerg Mueller Elasticated materials
US20080027406A1 (en) 2004-11-30 2008-01-31 Atsuko Shirai Shorts Type Disposable Diaper
US20130324956A1 (en) 2012-05-15 2013-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texture zones forming background patterns and macro patterns
US20140221956A1 (en) 2013-02-01 2014-08-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with separator sheet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8992A (en) 1959-12-15 1967-08-29 Du Pont Process for forming non-woven filamentary structures from fiber-forming synthetic organic polymers
US3502763A (en) 1962-02-03 1970-03-24 Freudenberg Carl Kg Process of producing non-woven fabric fleece
US3502538A (en) 1964-08-17 1970-03-24 Du Pont Bonded nonwoven sheets with a defined distribution of bond strengths
US3341394A (en) 1966-12-21 1967-09-12 Du Pont Sheets of randomly distributed continuous filaments
US3542615A (en) 1967-06-16 1970-11-24 Monsanto Co Process for producing a nylon non-woven fabric
US3849241A (en) 1968-12-23 1974-11-19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Non-woven mats by melt blowing
DE2048006B2 (de) 1969-10-01 1980-10-30 Asahi Kasei Kogyo K.K., Osaka (Japa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breiten Vliesbahn
DE1950669C3 (de) 1969-10-08 1982-05-13 Metallgesellschaf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Vliesherstellung
US4340563A (en) 1980-05-05 1982-07-20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nonwoven webs
FR2745987B1 (fr) 1996-03-15 1998-06-12 Coulisse de froncag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4116845B2 (ja) * 2002-08-30 2008-07-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WO2005025789A1 (ja) 2003-09-08 2005-03-24 Kao Corporation 複合伸縮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215972A1 (en) * 2004-03-29 2005-09-29 Roe Donald 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zones comprising elastomeric components
WO2008041639A1 (fr) 2006-09-29 2008-04-10 Daio Paper Corporation Couche en papier, procédé destiné à former une partie extensible d'un article absorbant, et dispositif destiné à former la partie extensible
EP2214614B1 (en) * 2007-11-19 2017-08-02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one or several patterns
JP5065881B2 (ja) * 2007-12-27 2012-11-07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着用物品
WO2010068150A1 (en) 2008-12-12 2010-06-17 Sca Hygiene Product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bonding
JP5280277B2 (ja) * 2009-03-31 2013-09-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JP5877958B2 (ja) * 2011-04-06 2016-03-08 カミ商事株式会社 紙おむつ
JP5922391B2 (ja) * 2011-12-13 2016-05-24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N104869955B (zh) * 2012-12-21 2018-08-14 Sca卫生用品公司 弹性层压件及弹性层压件的制造方法
US20150083310A1 (en) * 2013-09-20 2015-03-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extured Laminate Structure, Absorbent Articles With Textured Laminat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JP2015104605A (ja) * 2013-12-02 2015-06-08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US10130522B2 (en) * 2014-02-03 2018-11-20 Zuiko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for disposable worn article
JP5929984B2 (ja) * 2014-08-20 2016-06-0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及びクッションシート
JP5896187B1 (ja) * 2014-08-20 2016-03-30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及びクッションシート
WO2016033226A1 (en) 2014-08-26 2016-03-03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ecuring elastic to a carrier web
PL3028687T3 (pl) 2014-12-05 2017-09-29 Fameccanica.Data S.P.A. Urządzenie oraz sposób do wytwarzania kompozytowej uelastycznionej wstęgi z przerywanymi elastycznymi sekcjami
ITUB20150478A1 (it) * 2015-02-11 2015-05-11 Fameccanica Data Spa Struttura elastica per prodotti sanitari assorbenti, procedimento e apparecchiatura per la sua produzione
US10259165B2 (en) 2015-04-01 2019-04-16 Aurizon Ultrasonics, LLC Apparatus for fabricating an elastic nonwoven material
ITUB20150513A1 (it) * 2015-05-12 2015-08-12 Fameccanica Data Spa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prodotti sanitari assorbenti e prodotto sanitario assorbente
US20170000660A1 (en) * 2015-06-30 2017-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ETCH LAMINATE WITH INCREMENTALLY STRETCHED OR SELFed LAYER,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INCLUDING THE SAME
CN110325156B (zh) * 2017-02-23 2022-05-17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的制造方法、制造装置及吸收性物品
CN110290771B (zh) * 2017-02-28 2022-05-13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定向拉伸特性的弹性化材料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4552B1 (ko) 1991-06-13 2000-02-01 데이비드 엠 모이어 신축성 패널을 포함한 탄성 허리부를 갖는 흡수제품
JP3970316B2 (ja) 1991-06-13 2007-09-0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弾性ウエスト部を備えた吸収体物品
US20050095942A1 (en) 2003-10-02 2005-05-05 Joerg Mueller Elasticated materials
US20080027406A1 (en) 2004-11-30 2008-01-31 Atsuko Shirai Shorts Type Disposable Diaper
US20130324956A1 (en) 2012-05-15 2013-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texture zones forming background patterns and macro patterns
US20140221956A1 (en) 2013-02-01 2014-08-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with separator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401886B2 (en) 2023-01-12
JP2020508733A (ja) 2020-03-26
CN110278705B (zh) 2023-08-22
RU2713366C9 (ru) 2020-06-05
CN115804690A (zh) 2023-03-17
EP3589251A4 (en) 2021-01-06
BR112019016461A2 (pt) 2020-04-07
CN110278705A (zh) 2019-09-24
BR112019016888A2 (pt) 2020-04-14
RU2709038C1 (ru) 2019-12-13
EP3589251B1 (en) 2024-04-17
KR102102227B1 (ko) 2020-04-20
JP2020507412A (ja) 2020-03-12
US20200268567A1 (en) 2020-08-27
RU2713366C1 (ru) 2020-02-04
CN110290771A (zh) 2019-09-27
US20190374398A1 (en) 2019-12-12
JP6893996B2 (ja) 2021-06-23
US10973703B2 (en) 2021-04-13
WO2018160207A1 (en) 2018-09-07
WO2018160208A1 (en) 2018-09-07
US20200206043A1 (en) 2020-07-02
JP6832443B2 (ja) 2021-02-24
US10596047B2 (en) 2020-03-24
MX2019009471A (es) 2019-11-28
KR20190107162A (ko) 2019-09-18
AU2017401885B2 (en) 2023-04-06
BR112019016461B1 (pt) 2023-05-16
EP3589251A1 (en) 2020-01-08
CN110290771B (zh) 2022-05-13
AU2017401886A1 (en) 2019-09-05
EP3589252A1 (en) 2020-01-08
KR20190104443A (ko) 2019-09-09
AU2017401885A1 (en) 2019-09-05
EP3589252A4 (en) 2021-01-06
MX2019009713A (es)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241B1 (ko) 방향성 신축 특성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
KR102226497B1 (ko) 시각적으로 다른 섀시 및 허리밴드를 갖는 흡수 용품
KR102209290B1 (ko) 만곡된 탄성체를 갖는 탄성 적층체 및 제조 방법
KR102154047B1 (ko) 비연속 채널을 갖는 탄성화된 물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