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889A - 도로 배치 부품 - Google Patents

도로 배치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889A
KR20190135889A KR1020180091453A KR20180091453A KR20190135889A KR 20190135889 A KR20190135889 A KR 20190135889A KR 1020180091453 A KR1020180091453 A KR 1020180091453A KR 20180091453 A KR20180091453 A KR 20180091453A KR 20190135889 A KR20190135889 A KR 20190135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road
airbag
light emitting
press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0146B1 (ko
Inventor
웨이 시웅
Original Assignee
츠시 솽웨이 로드 퍼실리티즈 컴머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시 솽웨이 로드 퍼실리티즈 컴머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츠시 솽웨이 로드 퍼실리티즈 컴머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35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1/00Road engineering aspects of Embedding pads or other sensitive devices in paving or other road surfaces, e.g. traffic detectors, vehicle-operated pressure-sensitive actuators, devices for monitoring atmospheric or road cond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7/00Pavement lights, i.e. translucent constructions forming part of the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7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with respect to certain areas, e.g. forbidden or allowed areas with possible alerting when inside or outside bounda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및 기판 상에 설치된 압력을 받았을 때 소리를 내는 적어도 하나의 발성장치를 포함하는 도로 배치 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가 있다: (1)본 발명의 도로 배치 부품은 인도(人道)에 배치되어 점자블럭을 대체하고 행인이 도로 배치 부품에서 걸을 시 발성장치를 밟게 되면 소리를 내며 한편으로 전방 도로상황에 대한 행인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다른 한편으로 주위 행인에게 충돌을 피하도록 주의를 줄 수 있다; (2)본 발명의 도로 배치 부품은 또 기타 잠재적 위험이 있는 지점, 예컨대 연못 가장자리, 도로 가장자리, 전봇대 주위, 계단 주위, 엘리베이터 출입구, 공사장 안전펜스 주위 등에 배치하여 행인이 위험지점에 가까이 왔을 때 우선 상기 도로 배치 부품을 밟고 발성장치를 밟아 소리가 나게 하여 행인의 전방 도로 상황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킨다.

Description

도로 배치 부품{Laid Object on the Road}
본 발명은 도로 배치(鋪設) 분야, 특히 도로 배치 부품에 관한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휴대폰은 이제 사람들에게 없어서는 안되는 도구가 되었다. 사람들은 휴대폰으로 게임, 소설, 동영상, 쇼핑, 친구 사귀기 등을 즐기고 길거리에는 머리를 숙이고 휴대폰을 사용하는 “수그리족”이 날로 늘어나고 있다. 걷는 동안 휴대폰을 사용하면 사고가 일어나기 쉽다. 가볍게는 행인이나 전봇대에 부딪힐 수 있고 심각하면 교통사고를 당하거나 길가의 구덩이에 빠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로 배치 부품을 제공하여 행인이 도로 상황을 주의하도록 경고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실현된다:
도로 배치 부품은 기판 및 기판 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성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발성장치는 일정한 압력을 받았을 때 소리를 낸다.
또한, 상기 기판의 양단에 각각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매칭되어 복수 개의 상기 기판이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앞뒤 연결될 수 있다.
또, 상기 도로 배치 부품은 발광장치와 발전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발전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 되며, 상기 발전장치는 상기 발광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품은 한편으로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경고 효과가 있어 특히 야간에 행인의 안전을 더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전장치는 태양전지판 및 상기 태양전지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축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판은 상기 기판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기판에 설치된 경고등 및 감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등과 상기 감광소자는 신호접속되며, 상기 감광소자는 외부의 빛의 밝기에 따라 상기 경고등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축전지와 상기 경고등 및 상기 감광소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광장치의 온오프 동작은 외부 광선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에너지를 절약하여 상기 축전지가 전력을 저장하여 상기 발광장치가 야간에도 지속적으로 빛을 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전장치는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으며, 상기 발전장치가 행인에게 밟혀 눌렸을 때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발광장치가 발광하는 곳에 공급할 수 있다. 청력이 좋지 않은 사람이 본 발명의 상기 도로 배치 부품을 밟았을 때 상기 발광장치가 내는 빛에 의해 행인에게 경고하여 행인의 안전을 더욱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성장치는 압출식 발성장치로 에어백부 및 발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부는 일정한 탄성이 있는 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에어백부는 하나의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발성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백부는 상기 기판의 상단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출식 발성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실용성이 높다.
또한, 각각의 상기 기판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압출식 발성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부는 긴 막대형이며, 상기 압출식 발성장치의 상기 에어백부는 서로 평행하게 상기 기판의 상단면의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기판에서의 상기 에어백부의 피복면적을 최대한 증가시켜 행인이 상기 기판 위에서 보행하면서 상기 에어백부를 밟지 못하는 확률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판의 상단면에 각각의 상기 에어백부와 대응되는 에어백 장착홈이 있고, 상기 에어백부는 착탈 가능하게 에어백 장착홈에 장착되며, 상기 에어백부의 상반부는 상기 기판의 상단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에어백부의 상반부는 둥근 아치형일 수 있다. 상기 에어백부는 착탈 가능하게 디자인되어, 상기 에어백부가 파손되었을 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상기 도로 배치 부품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성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장치 및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센서장치는 상기 기판의 상단면에 설치되며, 상기 압력센서장치와 상기 스피커는 신호접속될 수 있으며, 상기 압력센서장치는 행인의 압력을 탐지할 수 있어, 상기 압력센서장치가 압력이 설정 값을 초과한 것을 탐지하면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여 소리를 내고 상기 발전장치는 상기 압력센서장치 및 상기 스피커에 전력을 공급한다.
나아가 상기 발광장치와 상기 압력센서장치는 신호접속될 수 있어, 상기 압력센서장치가 압력이 설정 값을 초과한 것을 탐지하면 상기 발광장치를 제어하여 빛을 내게 한다. 즉, 행인이 상기 도로 배치 부품을 밟을 시, 상기 발성장치가 소리를 낼 뿐만 아니라 상기 발광장치도 빛을 내어 행인에게 경고 역할을 더 잘 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의 도로 배치 부품은 인도에 배치되어 점자블럭을 대체하고 행인이 도로 배치 부품 위에서 걸을 시 발성장치를 밟게 되면 소리를 내고 한편으로 전방 도로상황에 대한 행인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다른 한편으로 주위 행인에게 충돌을 피하도록 주의를 줄 수 있다;
(2)본 발명의 도로 배치 부품은 또 기타 잠재적 위험이 있는 지점, 예컨대 연못 가장자리, 도로 가장자리, 전봇대 주위, 계단 주위, 엘리베이터 출입구, 공사장 안전펜스 주위 등에 배치하여 행인이 위험지점에 가까이 왔을 때, 먼저 상기 도로 배치 부품을 밟고 발성장치를 밟아 소리가 나게 하여 행인의 전방 도로 상황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킨다
도 1 은 본 발명의 도로 배치 부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도로 배치 부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개략도로, 도로 배치 부품의 내부를 도시한다.
도 3 은 복수 개의 도로 배치 부품이 앞뒤 연결된 개략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도로 배치 부품의 에어백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도로 배치 부품의 부분적인 개략도로 에어백부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도로 배치 부품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방식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서로 충돌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이하 설명하는 각 실시예 사이 혹은 각 기술 특징은 서로 임의로 결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예컨대 "중심", "횡 방향", "종 방향", "길이", "폭", "두께", "상부", "하부",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탑”, “바텀”, “내부”, “외부”,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은 도면에 기초하여 나타나 있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를 지시 또는 암시하는 것이며, 본 개시의 설명을 편하게 하고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지시하는 장치 또는 제품이 필수적으로 특정의 방향을 가지고, 특정한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하는 것이 아니며, 이로 인해 본 개시의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없다.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 배치 부품을 제공하며 기판(1) 및 적어도 하나의 발성장치(2)를 포함한다. 기판(1)은 노면 혹은 지면에 배치(鋪設))하기에 적합하고 발성장치(2)는 기판(1)에 설치되고 일정한 압력을 받았을 때 소리를 내어 경고 역할을 한다. 발성장치(2)는 소리를 낼 때 한편으로 전방 도로상황에 대한 행인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다른 한편으로 주위 행인에게 충돌을 피하도록 주의를 줄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의 앞뒤 양단에 각각 제1 연결부(11)와 제2 연결부(12)가 설치되고 제1 연결부(11)와 제2 연결부(12)는 매칭되어 여러 개의 기판(1)이 제1 연결부(11)와 제2 연결부가 앞뒤 연결된다. 여러 개의 기판(1)이 앞뒤연결 설치될 때 도로 배치면(100)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결부(11)는 복수 개의 슬롯(111)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연결부(12)는 각 슬롯(111)과 일대일로 대응하여 플러그 유닛(121)을 형성하고 플러그 유닛(121)의 형태는 슬롯(111)의 형태와 일치하며, 각 플러그 유닛(121)은 분리하여 각 슬롯(111) 내에 삽입 가능하다.
도로 배치면(100)은 인도 위에 설치 가능하며 기존 인도 위의 점자블럭을 대체할 수 있다. 맹인이 도로 배치면(100) 위에서 보행할 시, 발성장치(2)를 밟아 소리가 나게 하면 한편으로 맹인에게 정확한 도로에서 걷고 있는지를 알려줄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주위 사람의 주의를 환기시켜 충돌을 피할 수 있다.
또, 도로 배치면(100)은 기타 잠재적 위험이 있는 지점, 예를 들어, 연못 가장자리, 도로 가장자리, 전봇대 주위, 계단 주위, 엘리베이터 출입구, 공사장 안전펜스 주위 등에 배치할 수 있다. 행인이 위험지점에 가까이 할 때 우선 도로 배치면(100)을 지나가게 되므로, 도로 배치면(100)을 밟으면 발성장치(2)를 밟게 되고 발성장치(2)는 소리를 내어 행인의 전방 도로 상황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킨다.
기판(1)은 석재, 벽돌 혹은 고분자 재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판(1)의 재질은 고분자 재료를 사용한다.
기판(1)은 지면에 직접 배치 가능하고 연결부품을 사용하여 분리 가능하게 지면에 고정하여 기판(1)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판(1)에 복수 개의 연결구멍(10)이 있어 연결부품이 연결구멍(10)을 관통하여 기판(1)을 지면에 장착할 수 있게 한다.
기판(1)은 상단면(101) 및 상단면(101) 의 좌우 양측에 각각 경사지게 아래로 연장하는 측면(102)를 포함하고, 기판(1)의 상단면(101)과 측면(102) 사이에 캐비티가 형성되며, 기판(1)의 상단면(101) 아래쪽에 보강 리브(103)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1)은 지면 위에 설치되고, 상단면(101)은 지면에서 돌출되며 지면과 상단면(101) 사이는 측면(102)를 통하여 넘어간다.
나아가, 도로 배치 부품은 발광장치(3) 및 발전장치(4)를 더 포함한다. 발광장치(3)는 기판(1)의 상단면(101)에 설치되어 있고, 발전장치(4)는 발광장치(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장치(3)에 전력을 공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발광장치(3)는 발성장치(2)와 협동하여 발성장치(2)가 소리를 낼 때 발광장치(3)가 동시에 빛을 내어 경고효과를 향상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발광장치(3)와 발성장치(2)를 별도로 제어하며 발광장치(3)는 야간에 지속적으로 빛을 내어 행인에게 교통안전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발광장치(3)는 상단면(101)에 설치된 경고등(31) 및 감광소자(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경고등(31)과 감광소자는 신호접속되며 감광소자는 외부의 빛의 밝기에 따라 경고등(31)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조명 및 경고 역할을 한다. 낮에는 감광소자가 경고등(31)이 오프로 제어하여 전력 에너지를 절약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발전장치(4)는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으며, 상기 발전장치가 행인에게 밟혀 눌렸을 때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발광장치(3)가 발광하는데 공급한다. 기판(1)에 상응한 코일, 자석(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여 행인이 기판(1)을 밟을 시, 코일과 자석에 상대 변위가 발생하여 전류를 발생시킨다. 해당 발전 방식은 선행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 더 이상 상세하게 서술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6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발전장치(4)는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는 발전장치다. 발전장치(4)는 태양전지판(41) 및 태양전지판(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축전지(42)를 포함하고 태양전지판(41)은 기판(1)의 상단면(101)에 설치되어 광선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고; 축전지(42)는 상단면(101)의 하부에 설치된다. 축전지(42)와 감광소자 및 경고등(31)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발성장치(2)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발성장치(2)는 압출식 발성장치이고 도 1 내지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눌렸을 때 소리를 낸다.
발성장치(2)는 에어백부(21)와 발성부재(22)를 포함한다. 에어백부(21)는 고무와 같은 탄성이 있는 재료로 제작되고 에어백부(21)는 압력을 받을 시 변형되고 압력을 없애면 형태가 복구된다. 에어백부(21)는 하나의 개구부를 가지고 발성부재(22)는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어 에어백부(21)가 압력을 받을 때 에어백부(21) 내부의 공기가 발성부재(22)를 통해 배출되어 발성부재(22)가 기류의 작용으로 소리를 낸다; 에어백부(21)가 더 이상 압력을 받지 않을 시, 에어백부(21)의 형태가 복구되어 발성부(22)를 통해 외부의 기체를 빨아들인다.
각각의 기판(1)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압출식 발성장치(2)를 설치하고 각각의 압출식 발성장치(2) 사이의 거리는 성인의 평균 발 길이보다 짧으며 행인이 상기 도로 배치 부품을 밟고 지나갈 때 적어도 하나의 압출식 발성장치(2)의 에어백부를 밟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백부(21)는 긴 막대형이며 각각의 압출식 발성장치(2)의 에어백부(21)는 서로 평행하게 기판(1)의 상단면(101)의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도로 배치 부품을 설치할 때 에어백부(21)와 행인의 보행 방향이 수직되도록 하여 행인이 기판(1) 위에서 걸을 때 기본적으로 에어백부(21)를 밟을 수 있도록 한다.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의 상단면(101)에 각각의 에어백부(21)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에어백 장착홈(13)이 있고, 에어백부(21)는 분리 가능하게 에어백 장착홈(13) 내부에 설치되며, 에어백부(21)의 상반부는 기판(1)의 상단면(101)에서 돌출되어 행인이 기판(1) 위에서 걸을 때 에어백부(21)의 상반부를 압출할 수 있도록 한다.
에어백부(21)의 상반부는 둥근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행인이 발을 디딜 때 발에 닿는 촉감이 좋으며 행인의 부주의로 넘어지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부(21)의 밑면은 바깥 쪽으로 연장되어 장착변(211)을 형성하고 에어백 장착홈(13)의 측벽과 장착변(211)은 대응되게 걸림부(14)를 형성하고 에어백부(21)가 에어백 장착홈(13) 내부에 설치될 시, 장착변(211)은 걸림부(14)의 하부에 위치하여 에어백부(21)를 에어백 장착홈(13) 내부에 있도록 한다. 에어백부(21)에 일정한 탄성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변형 시 장착변(211)과 걸림부(14)를 분리할 수 있다.
발성부재(22)가 압출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성부재(22)는 에어백부(21)의 양측의 단면에 설치한다. 이는 행인이 보행할 때 주로 에어백부(21)의 중간 부위를 밟기 때문이다.
발성장치(2)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서 발성장치(2)는 전자 발성장치이다.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발성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장치(25) 및 스피커(26)를 포함한다. 압력센서장치(25)는 기판(1)의 상단면(101)위에 설치되어 행인이 기판(1) 위에서 걸을 시, 압력센서장치(25)는 행인의 압력을 탐지한다. 압력센서장치(25)와 스피커(26)는 신호접속되고 압력센서장치(25)가 압력이 설정 값을 초과한 것을 탐지하면 스피커(26)를 제어하여 소리를 내어 행인에게 경고를 준다.
발성장치(2)와 발전장치(4)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발전장치(4)에서 압력센서장치(25) 및 스피커(26)에 전력을 공급한다.
바람직하게는 발광장치(3)와 압력센서장치(25)는 신호접속되고, 압력센서장치(25)가 압력이 설정 값을 초과한 것을 탐지하면, 발광장치(3)를 제어하여 빛을 내어 행인에게 경고를 준다. 소리와 빛을 이용하여 이중으로 경고하여 경고의 효과를 더 높이고 청력이 좋지 않은 사람에게도 광선을 이용하여 경고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실시방식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 기판 10: 연결구멍
11: 제1 연결부 111: 슬롯
12: 제2 연결부 121: 플러그 유닛
13: 에어백 장착홈 14: 걸림부
101: 상단면 102: 측면
103: 보강 리브 100: 도로 배치면
2: 발성장치 21: 에어백부
211: 장착변 22: 발성부재
25: 압력센서장치 26: 스피커
3: 발광장치 31: 경고등
4: 발전장치 41: 태양전지판
42: 축전지

Claims (10)

  1. 기판 및 기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성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발성장치는 일정한 압력을 받았을 때 소리를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배치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양단에 각각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매칭되어 복수 개의 상기 기판이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앞뒤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배치 부품.
  3. 제1항에 있어서,
    발광장치와 발전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발전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발전장치는 상기 발광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배치 부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장치는 태양전지판 및 상기 태양전지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축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판은 상기 기판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기판에 설치된 경고등 및 감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등과 상기 감광소자는 신호접속되며, 상기 감광소자는 외부의 빛의 밝기에 따라 상기 경고등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축전지와 상기 경고등 및 상기 감광소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배치 부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장치는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며, 상기 발전장치가 행인에게 밟혀 눌렸을 때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발광장치가 발광하는데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배치 부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성장치는 압출식 발성장치로 에어백부 및 발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부는 상기 기판의 상단면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백부는 일정한 탄성이 있는 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에어백부는 하나의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발성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배치 부품.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기판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압출식 발성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에어백부는 긴 막대형이며, 상기 압출식 발성장치의 상기 에어백부는 서로 평행하게 상기 기판의 상단면의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배치 부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단면에 각각의 상기 에어백부와 대응되는 에어백 장착홈이 있고, 상기 에어백부는 착탈 가능하게 에어백 장착홈에 장착되며, 상기 에어백부의 상반부는 상기 기판의 상단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에어백부의 상반부는 둥근 아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배치 부품.
  9. 제3항 내지 제5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성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장치 및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센서장치는 상기 기판의 상단면에 설치되며 상기 압력센서장치와 상기 스피커는 신호접속되고, 상기 압력센서장치는 행인의 압력을 탐지하게 구성되며, 상기 압력센서장치가 압력이 설정 값을 초과한 것을 탐지하면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여 소리를 낼 수 있으며, 상기 발전장치는 상기 압력센서장치 및 상기 스피커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배치 부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장치와 상기 압력센서장치는 신호접속되고, 상기 압력센서장치가 압력이 설정 값을 초과한 것을 탐지하면, 상기 발광장치를 제어하여 빛을 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배치 부품.
KR1020180091453A 2018-05-29 2018-08-06 도로 배치 부품 KR102190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571866.6 2018-05-29
CN201810571866.6A CN108505416A (zh) 2018-05-29 2018-05-29 一种道路铺设组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889A true KR20190135889A (ko) 2019-12-09
KR102190146B1 KR102190146B1 (ko) 2020-12-14

Family

ID=63403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453A KR102190146B1 (ko) 2018-05-29 2018-08-06 도로 배치 부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592571B1 (ko)
KR (1) KR102190146B1 (ko)
CN (1) CN1085054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2816B (zh) * 2019-11-27 2021-09-10 滁州学院 一种多功能再生混凝土隆声带
CN114188844B (zh) * 2022-02-16 2022-04-22 东营市南方电器有限责任公司 一种防误动油井变频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6783A (ja) * 2001-12-25 2003-07-11 Nippon Road Co Ltd:The 警告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音声情報提供システム
KR20090087609A (ko) * 2008-02-13 2009-08-18 김승진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
JP2012084080A (ja) * 2010-10-14 2012-04-26 Daifuku Co Ltd 警報マット
KR20160092087A (ko) * 2015-01-26 2016-08-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교통약자 노견용 인식등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873B1 (ko) * 2008-12-22 2009-10-20 광주광역시 남구 음향발생 보도블록 및 이를 이용한 보도블록 조립체
CN201686912U (zh) * 2010-03-26 2010-12-29 曾启明 一种声音盲道
CN103669166A (zh) * 2013-12-30 2014-03-26 宁波市鄞州科启动漫工业技术有限公司 可发声的导盲砖
CN205242211U (zh) * 2015-12-18 2016-05-18 李雅涵 一种带语音提示装置的盲道
CN107829346A (zh) * 2017-10-11 2018-03-23 北京交通大学 太阳能步道砖
CN209082296U (zh) * 2018-05-29 2019-07-09 慈溪市双伟道路设施有限公司 一种道路铺设组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6783A (ja) * 2001-12-25 2003-07-11 Nippon Road Co Ltd:The 警告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音声情報提供システム
KR20090087609A (ko) * 2008-02-13 2009-08-18 김승진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발광블럭
JP2012084080A (ja) * 2010-10-14 2012-04-26 Daifuku Co Ltd 警報マット
KR20160092087A (ko) * 2015-01-26 2016-08-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교통약자 노견용 인식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505416A (zh) 2018-09-07
KR102190146B1 (ko) 2020-12-14
JP2019206898A (ja) 2019-12-05
JP6592571B1 (ja)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043B1 (ko) 사고예방을 위한 도로 경계석 커버
KR20190135889A (ko) 도로 배치 부품
KR101590420B1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KR20090125488A (ko) 지하철 보도용 점자블록
KR20210083025A (ko) 인공지능 기반 횡단보도 보행자 검출 및 사고 예방 시스템
KR101119578B1 (ko) 볼라드용 인식장치
KR101327255B1 (ko) 광고기능이 구비된 엘이디비상조명장치
KR101196203B1 (ko) 보도블록을 이용한 위치 안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27573A (ko) Iot 스마트 비상벨장치
KR101200002B1 (ko)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CN209082296U (zh) 一种道路铺设组件
KR101941146B1 (ko) 센서 연동을 통한 보행자 통행 감지 안내 시스템
KR100327138B1 (ko) 전자식교통안내표시장치
JP2010134647A (ja) 自転車の検知警告装置、及び自転車の検知警告方法
KR102625803B1 (ko) 스마트 IoT 기반을 이용한 다양한 영상정보, 조명 및 다양한 음원의 출력 소리정보를 알리는 다양한 멀티장치 표출솔루션 경관조명 멀티브라켓
CN218203969U (zh) 一种声光警示标线装置
KR100794935B1 (ko) 시각장애인 보행안내장치
KR20090035304A (ko) 자전거 표시판이 구비된 신호등
JP2008117206A (ja) 受信器
KR102507859B1 (ko) 안전 유도등을 이용한 과속방지턱 사고방지시스템
KR101367982B1 (ko) 범죄예방용 위험신호 또는 도움요청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 가로등
KR101214403B1 (ko) 태양광 보도블록 장치
CN221079599U (zh) 一种便携式声光警示牌
CN215182891U (zh) 一种用于户外的警示标识牌
KR102227662B1 (ko) 횡단보도 안전 유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