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668A - 발포성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발포 성형체 - Google Patents

발포성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발포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668A
KR20190135668A KR1020180060949A KR20180060949A KR20190135668A KR 20190135668 A KR20190135668 A KR 20190135668A KR 1020180060949 A KR1020180060949 A KR 1020180060949A KR 20180060949 A KR20180060949 A KR 20180060949A KR 20190135668 A KR20190135668 A KR 20190135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weight
foamable resin
parts
aromatic v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6615B1 (ko
Inventor
김동희
김성헌
신환호
이병도
안준환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180060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615B1/ko
Priority to EP19810767.4A priority patent/EP3805297A4/en
Priority to PCT/KR2019/006095 priority patent/WO2019231161A1/ko
Publication of KR20190135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6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61Making or treating expandable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08F212/10Styrene with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C08J9/20Making expandable particles by suspension 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th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32Forming foamed products by sintering expandable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14Saturated hydrocarbons, e.g. butane; Unspecifi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04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foam pores
    • C08J2205/044Micropores, i.e. average diameter being between 0,1 micrometer and 0,1 milli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단열성 물질; 및 발포제;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90 내지 99 중량%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단열성, 가스 차단성(발포제 유지율) 등이 우수하고, 예비 발포 시, 크기가 적절하고 균일한 셀(cell)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발포성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발포 성형체{EXPANDABLE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FOAMED MOLDED ARTICLE}
본 발명은 발포성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발포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열성, 가스 차단성(발포제 유지율) 등이 우수하고, 예비 발포 시, 크기가 적절하고 균일한 셀(cell) 구조를 갖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발포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증기(steam) 등으로 가열 시, 발포제가 외기로 확산, 휘발되는 과정에서 발포되도록 제조된 수지 조성물(입자)이며, 원하는 밀도로 예비 발포 후, 금형에 충진하고, 가열 및 융착시켜 성형품(발포 성형체)으로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성형품은 높은 강도, 경량성, 완충성, 방수성, 보온성 및 단열성 등이 우수하여, 가전제품의 포장재, 농수산물 상자, 부자, 건재용 단열재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현탁중합법에 의해, 반응기에 물,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중합 개시제 및 적당한 현탁 안정제를 투입 및 교반하여 분산시킨 다음, 이를 승온시켜 입자 형태의 방향족 비닐계 수지를 중합하고, 중합 전, 중합 중 또는 중합 후에 발포제를 첨가하여, 입자 형태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최종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단열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지 조성물 제조 시 단열성 물질로서 흑연(graphite), 카본블랙, 알루미나 등을 도입할 수 있다. 그러나, 단열성 물질 도입 시,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가스 차단성(발포제 유지율)이 저하되어, 장기간 저장 및 유통이 어려울 수 있고, 예비 발포체의 셀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단열성, 가스 차단성 등이 우수하고, 예비 발포 시, 크기가 적절하고 균일한 셀(cell) 구조를 갖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9219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성, 가스 차단성(발포제 유지율) 등이 우수하고, 예비 발포 시, 크기가 적절하고 균일한 셀(cell) 구조를 갖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발포 성형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발포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단열성 물질; 및 발포제;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90 내지 99 중량%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 상기 단열성 물질 2 내지 8 중량부; 및 상기 발포제 3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단열성 물질은 흑연, 카본블랙, 알루미나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ASTM E11 규격의 체(sieve)를 사용하여 측정한 평균 입경이 0.5 내지 1.7 mm인 입자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0.2 kgf/cm2 압력의 증기로 예비 발포를 진행한 후, 0.2 내지 0.5 kgf/cm2 압력의 증기를 사용하여, 15 내지 35 kg/m3의 밀도로 발포한 발포 시편을 300 mm × 300 mm × 50 mm 크기로 절단한 후, 60℃에서 48시간 동안 건조하고, KS L 9016에 의거하여 측정한 열전도율이 0.029 내지 0.034 W/m·K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1에 의한 발포제 유지율이 75 내지 95%일 수 있다:
[식 1]
발포제 유지율(%) = (G1/G0) × 100
상기 식 1에서, G0은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직후 측정한 발포제 함량이고, G1은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7일 동안 방치한 후 측정한 발포제 함량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0.2 kgf/cm2 압력의 증기를 5분 동안 공급하여 발포하고, 60℃에서 2시간 동안 건조 후 측정한 발포배율이 79 내지 95배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7일 동안 방치한 후, 0.2 kgf/cm2 압력의 증기를 5분 동안 공급하여 발포하고, 60℃에서 2시간 동안 건조 후 측정한 발포배율이 70 내지 85배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0.2 kgf/cm2 압력의 증기를 5분 동안 공급하여 발포한 발포체 시편의 단면을 200배율의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한 셀(cell)의 평균 크기가 50 내지 40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개시제, 및 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분산질에, 물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분산매를 혼합하여 현탁액을 제조하고; 상기 현탁액을 반응시켜 상기 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에 발포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분산질은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개시제 0.05 내지 0.5 중량부 및 단열성 물질 2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매는 물 100 중량부, 분산제 0.1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산질 및 상기 분산매의 중량비는 1 : 0.8 내지 1 : 2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개시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디큐밀 퍼옥사이드, 터셔리-아밀(2-에틸헥실)모노퍼옥시카보네이트, 터셔리-부틸(2-에틸헥실)모노퍼옥시카보네이트, 및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분산제는 트리칼슘포스페이트, 마그네슘피로포스페이트 및 칼슘카보네이트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반응은 80 내지 1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발포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포 성형체는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예비 발포 후, 금형에 충진하고, 가열 및 융착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열성, 가스 차단성(발포제 유지율) 등이 우수하고, 예비 발포 시, 크기가 적절하고 균일한 셀(cell) 구조를 갖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발포 성형체를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A)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B) 단열성 물질; 및 (C) 발포제;를 포함한다.
(A)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단열성 물질 포함 시에도,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가스 차단성(발포제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지 조성물의 예비 발포 시, 통상적인 발포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방향족 비닐계 수지에 비하여, 크기가 적절하고 균일한 셀(cell)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공지의 중합 방법, 예를 들면, 현탁중합법에 따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외에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는 단량체를 더욱 포함시킬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 중, 90 내지 99 중량%, 예를 들면 92 내지 9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이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 중, 90 중량% 미만일 경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발포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99 중량%를 초과할 경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가스 차단성 등이 저하되고, 예비 발포체 및 발포 성형체의 셀(cell) 크기가 비대하고 균일하지 않아 셀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방향족 비닐계와 공중합 가능한 것으로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 중, 1 내지 10 중량%, 예를 들면 2 내지 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이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 중, 1 중량% 미만일 경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가스 차단성 등이 저하되고, 예비 발포체 및 발포 성형체의 셀(cell)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발포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한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무수말레인산, N-치환말레이미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한 단량체 사용 시, 그 함량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 중, 15 중량% 이하, 예를 들면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다른 물성의 저하 없이, 발포성 수지 조성물에 가공성 및 내열성 등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이 230,000 내지 470,000 g/mol, 예를 들면 250,000 내지 35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B) 단열성 물질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단열성 물질은 발포성 수지 조성물(발포 성형체)의 단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단열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단열성 물질은 흑연(graphite), 카본블랙, 및 알루미나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단열성 물질은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8 중량부, 예를 들면 3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단열성, 발포성, 셀(cell) 품질 등이 우수할 수 있다.
(C) 발포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발포제로는 통상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에 적용되는 휘발성 발포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펜탄, 이소펜탄, 시클로펜탄, 헥산, 이들의 혼합물 등의 탄화수소 화합물, 수소염화불화탄소(HCFC), 수소불화탄소(HFC), 이들의 혼합물 등의 불화탄화수소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발포제는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5 중량부, 예를 들면 4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발포성, 단열성, 셀(cell) 품질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핵제 및 난연제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핵제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예비 발포체 및 발포 성형체가 균일한 셀(cell) 구조를 갖도록 첨가하는 것으로서, 폴리올레핀 왁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올레핀 왁스는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로필렌, 부틸렌, 이소부틸렌, 이들의 혼합물 등의 올레핀 단량체를 중합한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에틸렌을 중합한 폴리에틸렌 왁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왁스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이 500 내지 3,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보다 균일한 셀 구조의 예비 발포체 및 발포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핵제는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2 중량부, 예를 들면 0.3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발포성 수지 조성물이 균일한 셀(cell)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난연제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발포 성형체)의 난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난연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난연제는 헥사브로모 사이클로 도데칸, 1,3-부탄 브로마이네티드 벤젠 에틸 폴리머, 및 1,1'-(이소프로필리덴)비스[3,5-디브로모-4-(2,3-디브로모-2-메틸프로필)벤젠]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난연제는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2 중량부, 예를 들면 0.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난연제의 함량이 0.3 중량부 미만일 경우, 발포성 수지 조성물(발포 성형체)의 난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발포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분자량이 저하되어 발포성 수지 조성물(발포 성형체)의 발포성, 셀(cell) 품질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포함하는 특정 분산질을 적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통상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을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개시제, 및 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분산질에, 물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분산매를 혼합하여 현탁액을 제조하고; 상기 현탁액을 반응시켜 상기 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에 발포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개시제는 열가소성 수지의 현탁 중합 시 사용되는 개시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개시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디큐밀 퍼옥사이드, 터셔리-아밀(2-에틸헥실)모노퍼옥시카보네이트, 터셔리-부틸(2-에틸헥실)모노퍼옥시카보네이트, 및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개시제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0.5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0.4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안정적인 중합 반응을 통한 적절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분산질은 필요에 따라, 상기 핵제 및 상기 난연제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물은 현탁 중합에서 분산매로 사용되는 통상의 물(초순수, 이온교환수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분산제는 트리칼슘포스페이트, 마그네슘피로포스페이트, 및 칼슘카보네이트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리칼슘포스페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분산제는 상기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4 중량부, 예를 들면 0.2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안정적인 현탁계 분산이 가능하고, 발포성 수지 조성물로 적합한 크기의 입자를 얻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분산질에, 상기 분산매를 혼합하여 현탁액을 제조하고; 상기 현탁액을 80 내지 130℃, 예를 들면 90 내지 110℃에서 1 내지 10 시간 동안 반응시켜 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에 발포제를 투입하고, 100 내지 130℃, 예를 들면 110 내지 130℃에서 1 내지 10 시간 동안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적인 탈수 및 건조 공정을 수행하여 입자 형태의 최종품을 얻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분산질 및 상기 분산매의 중량비(분산질 : 분산매)는 1 : 0.8 내지 1 : 2, 예를 들면 1 : 0.9 내지 1 : 1.5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발포성 수지 조성물 입자가 균일한 입도 분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ASTM E11 규격의 체(sieve)를 사용하여 측정한 평균 입경이 0.5 내지 1.7 mm, 예를 들면 0.6 내지 1.4 mm인 입자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입자 성형 시 발생하는 공극을 최소화할 수 있고, 열전도율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0.2 kgf/cm2 압력의 증기로 예비 발포를 진행한 후, 0.2 내지 0.5 kgf/cm2 압력의 증기를 사용하여, 15 내지 35 kg/m3의 밀도로 발포한 발포 시편을 300 mm × 300 mm × 50 mm 크기로 절단한 후, 60℃에서 48시간 동안 건조하고, KS L 9016에 의거하여 측정한 열전도율이 0.029 내지 0.034 W/m·K, 예를 들면 0.030 내지 0.033 W/m·K일 수 있다. 이는 KS M 3808에 규정된 밀도 조건 별 열전도율 기준을 만족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1에 의한 발포제 유지율이 75 내지 95%, 예를 들면 75 내지 90%일 수 있다.
[식 1]
발포제 유지율(%) = (G1/G0) × 100
상기 식 1에서, G0은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직후 측정한 발포제 함량이고, G1은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7일 동안 방치한 후 측정한 발포제 함량이다. 여기서, 상기 발포제 함량은 발포성 수지 조성물(입자) 20 mg을 채취하고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예에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0.2 kgf/cm2 압력의 증기를 5분 동안 공급하여 발포하고, 60℃에서 2시간 동안 건조 후 측정한 발포배율이 79 내지 95배, 예를 들면 82 내지 90배일 수 있다. 여기서, 발포배율의 측정은 메스실린더와 저울을 이용하여 건조된 발포성 수지 조성물 입자의 무게와 부피를 측정하여 입자의 밀도를 계산한 후, 발포 전 발포성 수지 조성물 입자의 밀도 1 g/cm3을 기준 1배로 하여, 발포 배율을 환산하였다.
구체예에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7일 동안 방치한 후, 0.2 kgf/cm2 압력의 증기를 5분 동안 공급하여 발포하고, 60℃에서 2시간 동안 건조 후 측정한 발포배율이 70 내지 85배, 예를 들면 72 내지 80배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0.2 kgf/cm2 압력의 증기를 5분 동안 공급하여 발포한 발포체 시편의 단면을 200배율의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한 셀(cell)의 평균 크기가 50 내지 400 ㎛, 예를 들면 100 내지 25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발포 성형체는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발포하여 형성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예비 발포 후, 금형에 충진하고, 가열 및 융착시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발포 성형체는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비-기밀 금형 내에 충전(도입)하고, 예를 들면, 0.1 내지 0.5 kgf/cm2의 압력에서 고온 공기 또는 수증기를 이용하여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 입자를 금형 내에 융합시킴으로써, 발포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발포 성형체는 균일한 셀 구조를 가지며, 셀 크기가 50 내지 400 ㎛, 예를 들면 100 내지 25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발포 성형체의 발포성, 융착성, 강도, 완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예비 발포(연화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제조된 예비 발포 입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예비 발포는 0.2 kgf/cm2 압력의 증기(steam) 등의 가열 매체를 이용하여, 80 내지 120℃, 예를 들면 90 내지 110℃로 가열함으로써, 소정의 밀도, 예를 들면, 10 내지 35 kg/m3, 구체적으로 15 내지 35 kg/m3로 발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발포성과 강도의 발란스를 잘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예비 발포 입자 및 발포 성형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1의 함량에 따라, 용해조에 (A1)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스티렌) 및 (A2)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아크릴로니트릴)를 포함하는 (A) 단량체 혼합물과 (B) 단열성 물질(흑연, Graphit Kropfm
Figure pat00001
hl社)을 투입하고,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개시제로서, 벤조일 퍼옥사이드 0.3 중량부 및 터셔리-아밀(2-에틸헥실)모노퍼옥시카보네이트 및 터셔리-부틸(2-에틸헥실)모노퍼옥시카보네이트의 혼합물 0.15 중량부, 핵제로서, 폴리에틸렌 왁스(Baker Hughes社) 0.5 중량부, 난연제로서, 1,1'-(이소프로필리덴)비스[3,5-디브로모-4-(2,3-디브로모-2-메틸프로필)벤젠] 0.65 중량부를 투입한 후, 교반하여 분산질을 제조한 다음, 반응기에 물(초순수) 100 중량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산제로서, 트리칼슘포스페이트 0.5 중량부를 넣고 교반하여 분산매를 제조하고, 상기 분산질 및 분산매를 1 : 1.2의 중량비로 반응기에 혼입하여 현탁액을 제조한 다음, 현탁액을 90℃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121℃에서 (C) 발포제(펜탄 혼합 가스)를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8.5 중량부 투입하고 3 내지 5시간 동안 유지하여 발포성 수지 조성물(입자)를 제조하였다. 하기 물성 측정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열전도율(단위: W/m·K):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0.2 kg/cm2 압력의 증기로 예비 발포를 진행한 후, 0.2 내지 0.5 kg/cm2의 압력의 증기를 사용하여, 15 내지 35 kg/m3의 밀도로 발포하여 발포 시편을 제조한 다음, 발포 시편을 300 mm × 300 mm × 50 mm 크기로 절단한 후, 60℃에서 48시간 동안 건조하고, KS L 9016에 의거하여 열전도율을 측정하였다.
(2) 발포제 함량(단위: 중량%) 및 발포제 유지율(단위: %):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발포성 수지 조성물(입자)을 각각 제조 직후,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24시간 방치 후,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7일 동안 방치한 후 채취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를 사용하여, 발포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하기 식 1에 따라, 발포제 유지율을 산출하였다.
[식 1]
발포제 유지율(%) = (G1/G0) × 100
상기 식 1에서, G0은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직후 측정한 발포제 함량이고, G1은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7일 동안 방치한 후 측정한 발포제 함량이다.
(3) 발포배율(단위: 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각각 제조 직후,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24시간 방치 후,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7일 동안 방치한 후 채취하여, 0.2 kgf/cm2 압력의 증기를 5분 동안 공급하여 발포하고, 60℃에서 2시간 동안 건조 후 발포배율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발포배율의 측정은 메스실린더와 저울을 이용하여 건조된 발포성 수지 조성물 입자의 무게와 부피를 측정하여 입자의 밀도를 계산한 후, 발포 전 발포성 수지 조성물 입자의 밀도 1 g/cm3을 기준 1배로 하여, 발포 배율을 환산하였다.
(4) 셀(cell) 평균 크기: 0.2 kgf/cm2 압력의 증기를 5분 동안 공급하여 발포한 발포체 시편의 단면을 200배율의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임의의 셀 10개를 선정하여 각각의 셀 직경(크기)을 측정한 후 셀 직경의 평균 값(평균 크기, 단위: ㎛)을 계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A)
(중량%)
(A1) 스티렌 93 95 97 100 89 95
(A2) 아크릴로니트릴 7 5 3 - 11 5
(B) 흑연 (중량부) 4 4 4 4 4 -
열전도율 (W/m·K) 0.0318 0.0320 0.0323 0.0318 0.0324 0.0363
제조 직후 발포제 함량(중량%) 6.1 6.2 6.0 6.2 6.3 6.5
발포성 (배) 82 87 88 84 75 90
24시간 후 발포제 함량(중량%) 5.8 5.8 5.5 5.3 5.9 6.1
발포성 (배) 79 82 80 75 68 84
7일 후 발포제 함량(중량%) 5.3 5.1 4.9 4.0 5.6 5.6
발포성 (배) 75 75 72 63 63 79
발포제 유지율 (%) 86.9 82.3 81.7 64.5 88.9 86.2
셀 평균 크기(㎛) 125 143 128 457 108 117
* 중량부: 단량체 혼합물(A)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단열성, 가스 차단성(발포제 유지율), 발포성 등이 우수하고, 예비 발포 시, 셀(cell) 평균 크기가 50 내지 400 ㎛ 범위에 있고 크기가 비교적 균일하여 셀 품질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비교예 1), 가스 차단성, 장기간(7일) 방치 후 발포성이 크게 저하되고 셀 크기가 400 ㎛을 벗어난 비대한 셀이 많고 크기가 균일하지 않아 셀 품질이 좋지 않음을 알 수 있고,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를 과량 적용할 경우(비교예 2), 발포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단열성 입자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비교예 3), 단열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5)

  1.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단열성 물질; 및
    발포제;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90 내지 99 중량%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 상기 단열성 물질 2 내지 8 중량부; 및 상기 발포제 3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성 물질은 흑연, 카본블랙, 알루미나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ASTM E11 규격의 체(sieve)를 사용하여 측정한 평균 입경이 0.5 내지 1.7 mm인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0.2 kgf/cm2 압력의 증기로 예비 발포를 진행한 후, 0.2 내지 0.5 kg/cm2의 압력의 증기를 사용하여, 15 내지 35 kg/m3의 밀도로 발포한 발포 시편을 300 mm × 300 mm × 50 mm 크기로 절단한 후, 60℃에서 48시간 동안 건조하고, KS L 9016에 의거하여 측정한 열전도율이 0.029 내지 0.034 W/m·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1에 의한 발포제 유지율이 75 내지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
    [식 1]
    발포제 유지율(%) = (G1/G0) × 100
    상기 식 1에서, G0은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직후 측정한 발포제 함량이고, G1은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7일 동안 방치한 후 측정한 발포제 함량이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0.2 kgf/cm2 압력의 증기를 5분 동안 공급하여 발포하고, 60℃에서 2시간 동안 건조 후 측정한 발포배율이 79 내지 9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7일 동안 방치한 후, 0.2 kgf/cm2 압력의 증기를 5분 동안 공급하여 발포하고, 60℃에서 2시간 동안 건조 후 측정한 발포배율이 70 내지 8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은 0.2 kg/cm2 압력의 증기를 5분 동안 공급하여 발포한 발포체 시편의 단면을 200배율의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한 셀(cell)의 평균 크기가 50 내지 4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
  10.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90 내지 99 중량%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개시제, 및 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분산질에, 물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분산매를 혼합하여 현탁액을 제조하고;
    상기 현탁액을 반응시켜 상기 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에 발포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질은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개시제 0.05 내지 0.5 중량부 및 단열성 물질 2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매는 물 100 중량부, 분산제 0.1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산질 및 상기 분산매의 중량비는 1 : 0.8 내지 1 :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디큐밀 퍼옥사이드, 터셔리-아밀(2-에틸헥실)모노퍼옥시카보네이트, 터셔리-부틸(2-에틸헥실)모노퍼옥시카보네이트, 및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트리칼슘포스페이트, 마그네슘피로포스페이트 및 칼슘카보네이트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80 내지 13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예비 발포 후, 금형에 충진하고, 가열 및 융착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성형체.
KR1020180060949A 2018-05-29 2018-05-29 발포성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발포 성형체 KR102196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949A KR102196615B1 (ko) 2018-05-29 2018-05-29 발포성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발포 성형체
EP19810767.4A EP3805297A4 (en) 2018-05-29 2019-05-21 EXPANDABLE RESIN COMPOSITION,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MOLDED FOAM PRODUCT
PCT/KR2019/006095 WO2019231161A1 (ko) 2018-05-29 2019-05-21 발포성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발포 성형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949A KR102196615B1 (ko) 2018-05-29 2018-05-29 발포성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발포 성형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668A true KR20190135668A (ko) 2019-12-09
KR102196615B1 KR102196615B1 (ko) 2020-12-30

Family

ID=6869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949A KR102196615B1 (ko) 2018-05-29 2018-05-29 발포성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발포 성형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805297A4 (ko)
KR (1) KR102196615B1 (ko)
WO (1) WO201923116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275B1 (ko) * 2006-03-31 2008-02-04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단열 특성이 우수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의 2단계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48704B2 (en) 1997-05-14 2002-06-13 Basf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producing expandable styrene polymers containing graphite particles
JP4843934B2 (ja) * 2004-11-04 2011-12-21 株式会社カネカ 断熱性の改良された熱可塑性樹脂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ES2388687T3 (es) * 2006-12-06 2012-10-1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Espuma de copolímero de estireno y acrilonitrilo con agentes atenuantes de inflarrojos
KR101242744B1 (ko) * 2010-12-17 2013-03-11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발포성 시드 입자를 이용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의 제조방법
US20140200283A1 (en) * 2011-09-30 2014-07-1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meric nanofoam
KR20140085261A (ko) * 2012-12-27 2014-07-07 제일모직주식회사 발포성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체
CA2982347C (en) * 2015-04-15 2023-10-1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Thermally insulating foam with vertically elongated cel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275B1 (ko) * 2006-03-31 2008-02-04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단열 특성이 우수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의 2단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615B1 (ko) 2020-12-30
EP3805297A4 (en) 2022-03-16
WO2019231161A1 (ko) 2019-12-05
EP3805297A1 (en) 202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275B1 (ko) 단열 특성이 우수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의 2단계 제조방법
JP5080226B2 (ja) 発泡性樹脂粒子及びこの製造方法並びに発泡成形体
JP6185872B2 (ja) 高密度ポリエチレン系樹脂粒子、複合樹脂粒子、発泡粒子及び発泡成形体
JP6251103B2 (ja) 直鎖状低密度ポリエチレン系樹脂粒子、複合樹脂粒子、発泡粒子及び発泡成形体
JP3970191B2 (ja) 自己消火型発泡性スチレン系樹脂粒子、予備発泡粒子及び発泡成形体
JP6055687B2 (ja) 難燃性スチレン系樹脂粒子、発泡性粒子、発泡粒子及び発泡成形体
JP6055685B2 (ja) 難燃性スチレン系樹脂粒子の製造方法、発泡性粒子の製造方法、発泡粒子の製造方法及び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KR100884817B1 (ko)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의 2단계 제조방법
KR102196615B1 (ko) 발포성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발포 성형체
JP5731428B2 (ja) スチレン改質ポリエチレン系樹脂粒子、発泡性複合樹脂粒子、予備発泡粒子、発泡成形体及び予備発泡粒子の製造方法
JP2020050784A (ja) 複合樹脂粒子、発泡性粒子、発泡粒子及び発泡成形体
KR101099027B1 (ko) 난연성이 우수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의 제조 방법
KR102119032B1 (ko) 발포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발포체 및 제조방법
KR102242090B1 (ko) 발포성 방향족 비닐계 수지 입자 제조방법
WO2013147040A1 (ja) 複合樹脂粒子、発泡性複合樹脂粒子、予備発泡粒子、発泡成形体及びバンパー用芯材
JP2011208066A (ja) 発泡成形体、車両用内装材、車両用タイヤスペーサおよび車両用ラゲージボックス
JP2013006966A (ja) 複合樹脂粒子、発泡性複合樹脂粒子、予備発泡粒子及び発泡成形体
JP2012077149A (ja) 発泡性樹脂粒子、その製造方法、予備発泡粒子及び発泡成形体
KR20210086753A (ko) 발포성 방향족 비닐계 수지 입자 제조방법
KR20190114615A (ko) 발포성 방향족 비닐계 수지 입자 제조방법
JP3935849B2 (ja) 自己消火型スチレン系樹脂発泡粒子及び自己消火型発泡成形体
EP1745091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composition of an expandable styrene polymer in the form of beads
JPS5858372B2 (ja) 発泡可能な自消性熱可塑性樹脂粒子の製造方法
KR20130071864A (ko)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의 제조 방법
JP5810007B2 (ja) スチレン系樹脂粒子、その製造方法、発泡性粒子、発泡粒子及び発泡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