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348A -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 - Google Patents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348A
KR20190135348A KR1020180060714A KR20180060714A KR20190135348A KR 20190135348 A KR20190135348 A KR 20190135348A KR 1020180060714 A KR1020180060714 A KR 1020180060714A KR 20180060714 A KR20180060714 A KR 20180060714A KR 20190135348 A KR20190135348 A KR 20190135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follicle
capsule
hair
follicl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2917B1 (ko
Inventor
신한종
Original Assignee
신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종 filed Critical 신한종
Priority to KR1020180060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91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5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0Hair or skin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한 식모가 가능한 모낭캡슐은, 모낭이 삽입되는 중공을 구비한 관과, 상기 관에서 상기 모낭이 배출되는 배출구 측을 경사 처리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끝 단을 라운드지게 형성한 라운드부를 구비한 캡슐; 상기 관의 일 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릿; 상기 모낭을 상기 배출구 측으로 밀어내는 것으로서, 상기 슬릿을 따라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 단에서 상기 관통홈을 통과하여 상기 관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모낭이 삽입될 피부 주변에 안착되는 절곡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 단에 위치하는 누름부를 구비한 중심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Follicular capsule and automatic hair transplant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모발 이식을 위해 추출된 모낭을 두피에 이식하기 위한 장치로서, 모낭캡슐을 사용해 쉽고 빠르게 모낭 이식 작업 시 사용할 모낭들을 분류하여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모낭캡슐을 활용하여 모발 이식을 수행할 때, 자동 모발 이식 장치를 활용하여 두피에 절개부위를 절개한 상태에서 절개부위를 벌려 모낭을 삽입하는 작업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모낭 이식 작업의 신속한 작업속도를 기대할 수 있으며, 동시에 기존의 모낭 이식 시술방법과 비교하여 모낭 이식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발 이식은 질병, 사고 등으로 인하여 인체의 피부에 모발이 손실된 경우에 모발이 손실된 부위에 새로운 모발을 이식하는 시술로, 절개식 모발이식(FUSS; Follicular Unit Strip Surgery)방법 혹은 비절개식 모발이식(FUE; Follicular Unit Extraction)을 통해 모낭을 채취할 수 있다.
이렇게 채취된 모낭은 다시 두피에 심는 것으로 모발 이식이 진행되는데, 여기서 일반적으로 모발 이식에 사용되는 장치는 절개부위와 식모기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2 가지 방식은 모발 이식을 진행할 환자의 두피나 모발 상태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선택적으로 활용하게 된다.
먼저 절개부위 방식은 환자 개개인의 머리카락의 방향과 각도에 맞추어 두피에 모낭이 들어갈 자리인 절개부위를 형성한 후 이 절개부위에 모낭을 삽입하는 방식이다. 모낭이 들어갈 자리를 만든 후에 지혈시킨 후 모낭을 삽입하기 때문에 삽입 시 압력이 적어 주변에 이식한 모낭의 튀어오름 현상이 적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모낭을 일일이 절개부위에 집어넣기 위해 포셉을 사용하여 이동시킬 때에 모낭의 손상 우려가 있어 그만큼 시술 이후 모발의 생착률이 낮아진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다음으로 식모기 방식도 환자 개개인의 머리카락 방향과 각도에 맞추어 시술될 수 있되, 두피에 모낭이 들어갈 자리인 절개부위를 형성하는 과정과 모낭을 이식하는 과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는 샤프펜슬과 같은 기구에 방향을 맞추어 머리카락을 끼운 상태에서 기구의 날 부위를 통해 두피에 절개부위를 형성하고 동시에 끼워진 머리카락을 절개부위에 밀어 넣어 식모를 진행하는 것이다.
이 경우 별도로 모낭을 집어 절개부위에 넣기 위한 작업이 줄어들게 되며, 따라서 모낭 주변에 붙은 조직들이 상대적으로 많이 남을 수 있어 이식 이후 모발의 생착률이 절개부위 방식보다 높게 나타나되, 하나의 작업으로 절개부위의 형성과 모발의 이식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모발의 방향이나 각도 결 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높은 숙련도를 요하면서, 나아가 절개부위 방식에 비해 두피를 파고드는 부위의 면적이 넓기 때문에 고 밀도의 이식 작업을 진행하기에는 다소 문제가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나아가, 이러한 절개부위 방식과 식모기 방식의 장점을 추려 활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DNI방식이 존재하는데, DNI는 Dull Needle Implanter(뭉툭한 바늘 끝을 갖는 식모기)의 약자로서, 날카로운 바늘을 사용해 두피에 절개부위를 형성한 상태에서 뭉툭한 바늘을 사용해 절개부위에 모낭을 이식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모낭을 이식할 때에 기존의 절개부위 방식과 달리 식모기 방식처럼 모낭을 이식하므로 모낭 주변 조직의 손실이 적으면서도 절개부위 방식보다 작은 절개부위를 형성하는 것으로도 모낭의 이식이 가능하여 절개부위 방식과 식모기 방식 각각의 장점을 그대로 갖출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DNI방식은 절개부위 방식과 마찬가지로 절개부위를 형성한 후에 모낭 이식을 진행하므로 한 번에 절개부위 형성과 식모가 가능한 식모기 방식과 비교할 때 여전히 더 긴 시술 시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49559호 ‘모발 이식용 식모기’는 손잡이부 또는 슬라이딩 부재의 표면에 베벨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베벨방향 표시부를 구비함으로써, 시술자가 식모침의 베벨 방향을 실제 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그 방향을 확인할 수 있어, 시술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식모기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식모기는 모낭 이식을 절개부위의 형성과 함께 진행하는 것이되, 1개의 모낭을 식모침에 삽입한 상태로 이식을 진행해야 하므로 반복하여 모낭을 삽입하여 사용하거나 혹은 복수의 식모기를 구비한 상태로 모발 이식을 진행할 수 밖에 없어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7-0012697호 ‘자동식 모낭 이식 식모기’의 경우, 모낭 이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모낭 이식 과정에서 시술자의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식 모낭 이식 식모기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식모기는 모낭을 수용한 바늘들을 이식 장치에 복수 개 수용한 상태로 각 바늘을 두피에 심어 모낭을 이식하는 개념에서는 동일하지만, 바늘을 수용하기 위한 절개부위를 형성한 이후 바늘을 욱여넣어야 한다는 단점과, 바늘에 모낭을 주입한 상태에서 바늘을 절개부위에 삽입하여 수용된 모낭을 심고 다시 빈 바늘을 회수하는 프로세스를 갖게 되므로, 결론적으로는 모낭을 하나하나 심어나가기 때문에 여전히 식모기 방식과 같이 숙련도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모낭캡슐을 사용해 쉽고 빠르게 모낭 이식 작업 시 사용할 모낭들을 분류하여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모낭캡슐을 활용하여 모발 이식을 수행할 때, 자동 모발 이식 장치를 활용하여 두피에 절개부위를 절개한 상태에서 절개부위를 벌려 모낭을 삽입하는 작업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모낭 이식 작업의 신속한 작업속도를 기대할 수 있으며, 동시에 기존의 모낭 이식 시술방법과 비교하여 모낭 이식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모발 이식 작업에 있어서 모낭캡슐을 활용하여 복수 개의 모낭을 신속하게 이식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모낭캡슐을 수용한 상태에서 모낭을 이식할 때에 두피를 갈라 절개부위를 형성하고, 이 절개부위를 벌려 모낭캡슐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낭캡슐을 시술부위에 복수 개 삽입한 후 동시에 모낭캡슐을 회수하여 빠른 속도로 모발 이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한 식모가 가능한 모낭캡슐은, 모낭이 삽입되는 중공을 구비한 관과, 상기 관에서 상기 모낭이 배출되는 배출구 측을 경사 처리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끝 단을 라운드지게 형성한 라운드부를 구비한 캡슐; 상기 관의 일 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릿; 상기 모낭을 상기 배출구 측으로 밀어내는 것으로서, 상기 슬릿을 따라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 단에서 상기 관통홈을 통과하여 상기 관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모낭이 삽입될 피부 주변에 안착되는 절곡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 단에 위치하는 누름부를 구비한 중심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한 식모가 가능한 모낭캡슐은, 모낭이 삽입되는 중공을 구비한 관과, 상기 관에서 상기 모낭이 배출되는 배출구 측을 경사처리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끝 단을 라운드지게 형성한 라운드부를 구비한 캡슐; 상기 관의 일 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릿; 상기 관의 양 측부에서 상기 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모낭이 삽입될 피부 주변에 안착되는 중심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중심대에서 모낭이 삽입될 피부 주변에 접하는 면에는, 모낭이 삽입될 피부 주변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미세 바늘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낭캡슐을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는, 복수 개의 상기 모낭캡슐을 길이 방향으로 적층시켜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과, 상기 모낭캡슐을 투입하는 진입구 및, 상기 모낭캡슐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 관 형상의 본체; 상기 배출구 주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두피에 상기 모낭캡슐이 삽입될 절개부위를 형성하는 칼날; 상기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와, 상기 수용공간의 배출구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출구의 내주면에 상기 모낭캡슐의 길이와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인입 및 인출 가능한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구동 매커니즘; 상기 스위치 조작 시 상기 걸림부를 인입 또는 인출시켜 상기 모낭캡슐을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절개부위로 1개씩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에 의하면,
1) 모발 이식 작업에 있어서 모낭캡슐을 활용하여 복수 개의 모낭을 신속하게 이식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2) 모낭캡슐을 수용한 상태에서 모낭을 이식할 때에 두피를 갈라 절개부위를 형성하고, 이 절개부위를 벌려 모낭캡슐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 가능하며,
3) 모낭캡슐을 시술부위에 복수 개 삽입한 후 동시에 모낭캡슐을 회수하여 빠른 속도로 모발 이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강화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낭캡슐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모낭캡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모발 이식 장치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칼날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걸림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걸림부의 구동에 따른 변화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포셉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식모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낭캡슐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모낭캡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모낭캡슐(20)은 자동 모발 이식 장치를 통해 모낭(10)을 두피에 이식할 때에 빠른 속도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모낭캡슐(20)은 다음의 구조를 갖는다.
기본적으로 모낭캡슐(20)은 모낭(10)이 삽입되는 중공을 구비한 관(110)과, 이 관(110)에서 모낭(10)이 배출되는 배출구(420) 측을 경사 처리한 경사부(120) 및 경사부(120)의 끝 단을 라운드지게 처리한 라운드부(130)를 구비한 캡슐(100); 관(110)의 일 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릿(200);을 포함한다. 모낭캡슐(20)의 길이는 1cm정도를 기준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캡슐(100)은 의료용 플라스틱이나 실리콘, zelco 등의 플렉서블한 재질로서, 정맥 혈관 카테터의 재질과 유사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은 모낭(10)이 삽입 보관되는 곳으로서, 이 중공의 일 측에는 중공의 내부로 모낭(10)이 용이하게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연장방향을 따라 슬릿(200)이 형성되고, 이 슬릿(200)에도 모낭(10)의 보다 용이한 투입을 위해 슬릿(200)의 다른 부위의 간격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모낭 투입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캡슐(100)은 기본적으로 상술한 구성만 갖추더라도 모낭캡슐(20)이 절개부위에 투입된 상태에서 별도의 포셉(700)을 사용해 모낭캡슐(20)의 슬릿(200)을 통해 중공에 위치한 모낭(10)을 내려 절개부위에 식모한 후 모낭캡슐(20)을 절개부위에서 빼내는 것으로 작업이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구조는 식모 작업 시 작은 외력이나 마찰에 의해 모낭캡슐(20)이 절개부위로부터 빠져나오거나 이탈해버릴 우려가 존재한다. 특히 고 밀도 이식 작업의 경우에는 수많은 모낭(10)을 작은 사이 간격을 두고 식모하므로, 다른 모낭캡슐(20)의 식모 시 이전에 식모된 모낭캡슐(20)이 압력을 받아 심어진 위치에서 솟아오르거나 혹은 빠져버릴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 하나하나의 모낭캡슐(20)을 일일이 벗겨내야 한다는 점도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요인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심대(300)를 더 포함시킨다.
모낭캡슐(20)은 이 중심대(300)의 형상을 기준으로 2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첫 번째 종류로서, 중심대(300)를 마치 주사기의 피스톤과 같이 활용하여 절개부위에 모낭캡슐(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중심대(300)를 밀어내면 모낭(10)을 절개부위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되는 구조이다.
즉, 앞선 설명에서 캡슐(100)은 중공을 구비한 관(110) 형상으로 연장된 것이라 하였는데, 이 중공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손잡이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누름부(310)와, 누름부(310)로부터 연장되어 중공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연장부(320) 및 연장부(320)의 단부에서 모낭캡슐(20)에 형성된 슬릿(200)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절곡부(330)를 포함하는 중심대(30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절곡부(330)는 걸림턱의 역할을 하게 되는데, 다시 말해 절곡부(330)의 표면에는 복수 개의 미세 바늘(331)이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모낭캡슐(20)을 절개부위에 삽입하게 되면, 이 절곡부(330)가 절개부위 주변의 피부(두피) 표면에 안착될 수 있되, 해당 표면에 미세 바늘(331)로 고정되어 식모된 위치를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중심대(300)는 두 번째 구조로서 다음의 형상을 갖는다.
이 중심대(300)는 앞선 캡슐(100)의 구조를 보조하는 역할로서 구비되는 것인데, 이 때 캡슐(100)에 비행기 날개와 같이 양 측부에 각각 동일한 높이로 중심대(300)가 부착될 수 있다. 이 중심대(300)는 모낭캡슐(20)이 절개부위에서 너무 깊숙하게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중심대(300)의 표면에 미세 바늘(331)을 구비토록 함으로써 바늘을 통해 삽입된 위치를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발 이식 장치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모낭캡슐(20)이 구비된 이후, 모낭캡슐(20)을 자동으로 두피에 식모할 수 있는 자동 모발 이식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자동 모발 이식 장치는 볼펜 정도로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10~20개 정도의 모낭캡슐(20)을 길이 방향으로 적층시켜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진입구(410)와 배출구(420)를 구비한 수용공간(430)을 형성한 본체(400)와, 본체(400)의 일 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500), 본체(400)의 배출구(420) 주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두피를 절개하여 모낭캡슐(20)이 삽입될 절개부위를 형성하는 칼날(800)과, 수용공간(430)의 배출구(420)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배출구(420)의 내주면에 모낭캡슐(20)의 길이와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배출 가이드와, 스위치(500) 조작 시 걸림부의 인입 및 인출을 제어하여 모낭캡슐(20)을 배출구(420)를 통해 절개부위로 1개씩 낙하시키는 배출 구동부를 구비한 구동 매커니즘을 구비한다.
먼저, 본체(400)는 카트리지 연필과 유사한 구성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수용공간(430)에 10 내지 20개 정도의 모낭캡슐(20)들을 길이 방향으로 적층시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카트리지 연필도 1센티 정도의 연필심 카트리지 수십 개를 수용공간(430)에 길이 방향으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연필심 카트리지를 하나하나 뽑아내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모낭캡슐(20)이 이러한 연필심 카트리지처럼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배출구(420)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겠으나, 모낭캡슐(20) 자체가 유연한 재질이고, 모낭(10)을 보호해야할 필요가 있으므로 바람직한 구조는 아니나 고려할 만한 구조로서 활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칼날(800)은 모낭캡슐(20)이 배출되는 배출구(420) 주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고정될 수도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인입 제어를 통해 인입되면서 두피를 절개하여 절개부위를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칼날(800)을 인입제어 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구동부 구성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절개부위를 형성하는 것은 전문의의 숙련된 기술과 경험에 의해 일정한 깊이나 기울기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므로, 자동으로 인입제어가 되는 것을 바람직하지 않고, 사용자의 수동 제어에 의해 인입 제어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추는 것이 좋다고 할 수 있다. 즉, 절개부위를 형성할 때에는 칼날(800)이 최대로 인출되고, 절개부위를 형성한 이후에 모낭캡슐(20)을 배출시켜 절개부위에 삽입할 때에는 칼날(800)이 돌출되어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유입되도록 제어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인입제어와 관련된 구조는 후술할 내용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토록 한다.
이후, 수용공간(430)에 구비된 모낭캡슐(20)을 하나씩 배출하기 위해 배출 가이드와 배출 구동부의 구성이 더 구비되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할 내용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기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를 활용하면, 수개 내지 수십 개의 모낭캡슐(20)을 절개부위에 삽입한 이후,(바람직하게는 일렬로 모발 이식을 진행한 후) 각각의 모낭캡슐(20)에서 모낭(10)은 절개부위에 심은 상태로 모낭캡슐(20)만을 절개부위로부터 빼내기 위한 추가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앞선 모낭캡슐(20)의 설명에서도 언급하였듯이 두 번째 구조의 경우에는 절개부위에 모낭캡슐(20)을 심은 후 별도의 포셉(700)을 사용하여 모낭(10)을 절개부위로 밀어내면서 모낭캡슐(20)을 뽑아야 하지만, 첫 번째 구조의 경우에는 보다 편리한 모낭(10) 식모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즉, 공지된 기구로서, 세발 포셉(700)을 활용할 수 있는데, 이 세발 포셉(700)은 3개의 다리가 달린 포셉(700)으로서, 2개의 다리를 모낭캡슐(20)의 측면에 걸은 상태에서 나머지 1개의 다리는 중심대(300)의 누름부(310)에 위치시켜 누름부(310)를 동시에 눌러줄 수 있다. 이렇게 누름부(310)가 눌리게 되면 라운드부(130)의 중공에 위치한 모낭(10)을 누름부(310)를 통해 눌린 연장부(320)(및 절곡부(330))가 라운드부(130)를 절개부위로부터 빼내더라도 모낭(10)이 절개부위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막아주어 절개부위에 모낭(10)이 심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자동 모발 이식 장치에서 모낭(10)을 이식할 때에 이식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체(400)에서 수용공간(430)의 일 측을 본체(400)의 표면까지 관통시켜 수용공간(430)이 보이도록 구성하고, 이후에 이 관통된 부위를 투명재질로 가려 모낭캡슐(20)은 이 틈새로 빠져나오지 않으면서도 모낭캡슐(20)의 저장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윈도우(441)가 구비될 수 있다.
수용공간(430)의 진입구(410)로 모낭캡슐(20)이 삽입되어 적층된 것, 적층 보관(110)된 모낭캡슐(20)이 배출구(420)로 배출되는 것을 이 윈도우(441)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칼날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걸림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걸림부의 구동에 따른 변화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포셉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식모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다시 모낭(10)을 식모하는 구성으로 돌아가면, 앞서 언급했던 칼날(800)의 경우, 진입구(410) 주변에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구동 매커니즘에는 스위치(500)의 조작 시 칼날(800)을 인입시키는 칼날(800) 구동부를 더 구비토록 하여 칼날(800)의 인입을 제어하는 구조를 갖출 수도 있다.
또한, 본체(400)에서 배출구(420)의 주변이자 칼날(800)이 구비된 부위를 제외한 다른 부위에는, 한 쌍의 파지부(473)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벌어질 수 있게 구비된 포셉(70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 매커니즘은, 스위치(500)의 조작 시 포셉(700)을 벌리는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포셉(700)은, 칼날(800)을 사용하여 생성된 절개부위를 벌려 모낭캡슐(2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것으로서, 보통은 상술한 모낭캡슐(20)에서와 같이 포셉(700)은 모낭(10)을 절개부위에 밀어 넣는 용도로 활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자동 모발 이식 장치에 구비된 포셉(700)은 이와는 약간 다른 역할을 한다.
즉, 포셉(700)은 일종의 스페이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칼날(800)을 찔러 형성된 절개부위에 포셉(700)을 끼운 상태에서 포셉(700)을 벌리게 되면 절개부위의 입구가 확장되어 모낭캡슐(20)의 투입이 용이하게 된다.
가장 적절한 포셉(700)의 구조는 모낭캡슐(20)이 배출되는 배출구(420) 주변에 적어도 2개의 파지부(473)가 구비되며, 이 파지부(473)는 초기 상태에서는 두 개의 파지부(473)가 서로 접촉한 상태로 위치하는 상태에서 칼날(800)을 인출하여 칼날(800)을 통해 절개부위를 형성하고, 다시 칼날(800)을 인입시킨다. 이후 파지부(473)를 절개부위에 넣은 상태에서 두 파지부(473)가 서로 벌어지도록 제어하면 파지부(473)에 의해 절개부위가 벌어져 모낭캡슐(20)이 주입될 수 있는 입구를 넓게 벌릴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상태로 모낭캡슐(20)을 배출구(420)를 통해 배출시켜 절개부위에 삽입하는 것으로 모발 이식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또한, 배출 구동부는 다음의 배출구성을 통해 모낭캡슐(20)을 하나씩 인출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수용공간(430)의 배출구(420) 및 배출구(420)로부터 모낭캡슐(20)의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의 내주면에 아치 형상으로 구비되는 링 고정부(461)와, C형상을 가진 상태로 링 고정부(461)에 각각 장착되어 걸림부를 형성하는 걸림링(462,463)이 구비되되, 이 때, 배출구(420) 측 내주면을 따라 장착되는 걸림링(462)(편의상 제 1 링(462)으로 명명한다.)과, 배출구(420)로부터 모낭캡슐(20)의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의 내주면을 따라 장착되는 걸림링(463)(편의상 제 2 링(463)으로 명명한다.) 및, 본체(400)의 외주면 일 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함입 연장된 것으로서, 제 1,2 링(462,463)이 접하는 부위 중 일부를 관통 처리하여 제 1,2 링(462,463)의 일부가 상기 본체(40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한 관통공(465)이 형성된 슬라이드 홈(466)이 구비되며, 이에 따라 스위치(500)는 스위치(500)의 조작 시 슬라이드 홈(466)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하여, 스위치(500)를 통해(바람직하게는 스위치(500)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된 슬라이드 돌부(464)를 통해) 슬라이드 홈(466)에 노출된 제 1,2 링(462, 463)의 노출된 부위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모두를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500)를 통해 눌린 제 1 링(462) 혹은 제 2 링(463)은 수용공간(430)의 내주면에서 일부가 관통공(465)을 통해 노출되었을 때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걸림 턱의 역할을 하게 되며, 따라서 모낭캡슐(20)은 이 스위치(500)를 통해 눌린 제 1,2 링(462,46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걸리는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즉, 걸림부는 링 고정부(461)를 통해 고정된 C형상의 제 1 링(462)과 제 2 링(463)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며, 링 고정부(461)는 바람직하게는 수용공간(430)의 내주면에 양 단이 고정된 아치형상이나 중력의 반대방향 측이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제 1 링(462) 및 제 2 링(463)이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링 고정부(461)의 연장된 길이는 한정되지는 않으나, 상술한 제 1 링(462)과 제 2 링(463)이 스위치(500)에 의해 눌린 후 다시 복원될 때에 복원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 링 고정부(461)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도 효과적인 구조라 할 수 있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제 1 링(462)과 제 2 링(463)이 링 고정부(461)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에는 각 링에 의해 수용공간(430)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본체(400)에는 스위치(50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의 일 측에서 본체(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입 연장된 슬라이드 홈(466)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때 슬라이드 홈(466) 중 제 1 링(462) 및 제 2 링(463)의 대향 측에 위치한 부위는, 제 1 링(462)과 제 2 링(463)의 일부가 본체(4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한 관통공(465)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제 1 링(462)과 제 2 링(463)이 이러한 관통공(465)을 통과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부위를 라운드 처리 하거나 챔퍼 처리를 통해 노출된 부위가 과도하게 슬라이드 홈(466)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스위치(500)에도 이 슬라이드 홈(466)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돌출된 슬라이드 돌부(464)가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스위치(500)를 슬라이드 홈(466)을 따라 승강시켰을 때 슬라이드 돌부(464)가 제 1 링(462)과 제 2 링(463)의 노출된 부위를 누르게 되어 제 1 링(462)과 제 2 링(463)은 각각 슬라이드 돌부(464)의 위치에 따라 눌림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초기 상태에 스위치(500)가 제 1 링(462)의 노출된 부위를 누르도록 함으로써, 제 1 링(462)은 수용공간(43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턱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턱을 통해 모낭캡슐(20)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슬릿(200)을 생성한 후 이 슬릿(200)에 모낭캡슐(20)을 넣기 위해서는 제 1 링(462)의 노출된 부위로부터 제 2 링(463)의 노출된 부위를 향해 스위치(500)를 올려주게 되면 되는데, 이러한 동작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용공간(430) 내부에 구비된 모낭캡슐(20)이 쏟아져 내려올 우려 없이, 제 1 링(462)과 제 2 링(463) 사이에 위치한 1개의 모낭캡슐(20)만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다시 스위치(500)를 제 1 링(462)을 향해 이동시키면, 제 2 링(463) 부위에 턱이 사라져 다시 모낭캡슐(20)이 제 1 링(462)을 통해 형성된 턱에 걸린 상태로 대기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칼날(800)은 배출구(420) 주변에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배출구(420)의 주변 영역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칼날(80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확장홈(452)과, 확장홈(452)이 본체(4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확장홈(45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도입홈(45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때 스위치(500)는 칼날(800)의 일 측에 결합되어 스위치(500)의 조작 시 도입홈(451)을 따라 칼날(800)을 슬라이딩 시켜 칼날(800)이 확장홈(452)을 따라 인입되도록 한다.
이는 마치 커터칼을 제어하듯이 구성된 스위치(500)를 간단히 상하로 밀어내는 것으로 칼날(800)의 인입과 인출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포셉(700)에 대한 설명을 이어가면, 포셉(700)은 본체(400)에서 배출구(420)의 주변에 한 쌍의 파지부(473,474)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벌어질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며, 스위치(500)의 조작 시 포셉(700)을 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구성으로서 포셉(700)의 파지부(473,474)는, 배출구(420) 주변에 고정되는 고정 파지부(473)와, 힌지(472)를 매개로 상기 고정 파지부(473)에 힌지(472)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파지부(473)에 접촉되거나 벌어지는 이동 파지부(474)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구동 매커니즘은 본체(400)에서 고정 파지부(473)의 주변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함입 연장된 이동 홈(470)과, 이동 홈(470)에 위치하여 힌지(472)와 연결되는 와이어(471)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스위치(500)는 와이어(471)의 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이동 홈(47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스위치(500)의 조작 시 이동 파지부(474)가 고정 파지부(473)와 벌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포셉(700)의 경우에는 두 파지부(473,474)가 서로 벌어지는 구조를 갖추면 되므로, 하나의 파지부(473)는 고정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의 파지부(474)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되면, 쉽게 두 파지부(473,474)의 벌어짐을 통해 절개부위를 벌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동 파지부(474)는 도면에 나타난 예시와 같이 힌지(472)를 매개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된 복수의 바를 통해 와이어(471)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데, 따라서 와이어(471)가 당겨지면 바도 당겨져 이동 파지부(474)가 벌어질 수 있고, 와이어(471)가 밀리면 바도 밀려 이동 파지부(474)가 고정 파지부(473)에 접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들이 수백 내지 수천 개의 모낭(10)을 빠른 시간 동안에 이식해야하는 모발 이식 시술 시, 각각의 별도 스위치(500)로 제어되도록 구성하는 것은 작업의 숙련까지 오랜 시간이 필요하게 될 것이며 작업자의 피로도도 상당해 질 수 있다는 문제를 갖는다.
따라서 되도록 하나의 스위치(500)를 통해 상기한 구성들이 동시에(혹은 순차적으로)구동 제어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추는 것이 좋다고 할 수 있다.
즉, 구동 매커니즘에 하나의 스위치(500)를 통해 통합 제어가 가능한 통합 구동부의 구성을 갖출 수 있는데, 다시 말해 스위치(500)의 조작 시 칼날(800)과 포셉(700), 걸림부가 동시에 구동되는 구성을 갖춘 것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쉽게 예를 들면, 모든 구동 동작이 스위치(500)를 올렸을 때 발생되는 현상과 관련이 있는데,(칼날(800)의 경우, 절개부위를 형성한 이후 스위치(500)를 올려 인입제어 해야 하고, 포셉(700)의 경우에도 절개부위를 벌리려면 스위치(500)를 올려 이동 파지부(474)를 고정 파지부(473)로부터 이격시켜야 하며, 배출 구동부도 스위치(500)를 올려 배출구(420) 측의 링이 오픈되어 걸림부를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배출구(420)로부터 모낭캡슐(20)의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의 제 2 링(463)은 스위치(500)를 통해 눌려 걸림부를 형성해야만 모낭캡슐(20)이 한 번에 쏟아져 내려오지 않고 하나씩만 배출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 동작 이후 다시 스위치(500)를 내리게 되면 모든 구성요소를 원래의 초기 상태로 돌릴 수 있다는 점도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스위치(500)를 통해 3가지 구성을 모두 제어할 수 있도록 하려면, 스위치(500)와 연계되는 부위가 마치 연결고리와 같이 각 구성의 조작이 가능한 부위와 연결되도록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이 때, 나머지 구성들도 일체형 스위치(500)의 각 구동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도록 한다면 하나의 스위치(500)를 통해 세 가지의 구동을 모두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 나아가 본체(400)에는 다음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인입구를 개폐하는 커버(467)와, 커버(467)의 일 측에 구비되는 LED모듈(468) 및, 걸림부에서 본체(400)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면 일 측에 구비되어 걸림부와 본체(400)의 접촉을 감지하는 걸림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구동 매커니즘도 걸림 감지 센서의 접촉 감지 여부에 따라 걸림부의 인입 및 인출을 판단하는 입출판단부와, 걸림부의 인입 판단 시 LED를 점등 제어하는 점등 제어부를 구비토록 하는 것이다.
즉, 본체(400)에 걸림부의 이동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커버(467)는 힌지(472) 등을 매개로 인입구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커버(467)의 일 측에는 LED모듈(468)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LED모듈(468)은 바람직하게는 반투명 재질로 둘러싸여져 있어 과도한 빛의 발생으로 인한 눈부심 방지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걸림부는 본체(400)의 내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인입 및 인출되는 것인 바, 결론적으로는 인입 및 인출되는 것을 판단하려면 본체(400)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걸림부의 접촉을 판단할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는 걸림부와 본체(400)의 접촉을 감지하는 걸림 감지 센서를 통해 인입과 인출을 판단할 수 있으나 더 나아가서는 일종의 엔코더 방식을 활용할 수도 있다. 엔코더는 모터 등의 장치에서 회전수를 파악할 때, 특정 색상을 판단하여 카운팅하는 수단이지만, 이를 활용하여 특정 위치를 지나가는 것을 카운팅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걸림 감지 센서와 입출 판단부를 더 활용한다면, 걸림링(462,463) 각각의 인입 및 인출 판단 시점을 판단하는 입출 판단부와, 판단 시점의 차이를 연산하는 구동 연산부 및, 차이의 고저에 따라 인입 판단 시 점등된 LED 모듈과 다른 색상의 LED 모듈 점등을 결정 제어하는 입출 표시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걸림부(걸림링(462,463)) 및 본체(400)는 기본적으로 인입이나 인출 시 특정 영역을 지나게 되는데, 이러한 지나칠 수밖에 없는 특정 영역의 좋은 예시로서, 본체(400)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면을 들 수 있다. 즉, 걸림부는 앞선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체(400)의 내주면에 접촉한 상태가 기본이 되되, 일부이자 실질적으로 인입 및 인출 구동되는 부위는 인입 구동 시에만 내주면에 접촉하게 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이 부위 및 내주면에서 대응되는 부위에 각각 걸림 감지 센서나 마커를 구비토록 하여, 걸림 감지 센서나 마커를 통해 인입 및 인출을 판단하거나 혹은 마커가 없이도 자체적으로 걸림부를 인식하여 걸림부의 인입과 인출을 판단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출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구동 매커니즘은, 걸림 감지 센서에서 걸림부의 인입 판단 시 LED를 점등 제어하는 점등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어, 이 점등 제어부를 통해 인입된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시각적인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앞선 설명에서도 언급하였듯이 걸림부는 두 개의 걸림링(462,463)이 각각 제 1 링(462)와 제 2 링(463)으로 구성되되, 제 1,2 링(462,463) 각각의 인입 및 인출 판단 시점을 안내할 수 있도록 걸림링(462,463) 각각의 인입 및 인출 판단 시점을 판단하는 입출 판단부와, 판단 시점의 차이를 연산하는 구동 연산부 및, 구동 연산부에서 도출된 차이의 고저에 따라 인입 판단 시 점등된 LED 모듈과 다른 색상의 LED 모듈의 점등을 결정 제어하는 입출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것은 제 1 링(462)와 제 2 링(463)의 구동을 통해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실제 정상적인 조작이 발생하는 경우, 제 1 링(462)와 제 2 링(463)는 1초 이내의 시간으로 각 걸림부의 구동이 번갈아가면서 발생된다. 그러므로 이 시간이 길어진다는 것은 내부에 모낭캡슐(20)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고 어딘가에 걸려있는 등의 문제 상황이 발생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판단하여 안내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일일이 본체(400)를 들어 내부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단순 육안 확인만으로 걸림 상태를 안내받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라 하겠다. 또한, LED 모듈의 경우, 적어도 2가지 색상의 LED를 구비토록 함으로써 이러한 다른 색상의 표시에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모낭 20: 모낭캡슐
100: 캡슐 110: 관
120: 경사부 130: 라운드부
200: 슬릿 300: 중심대
310: 누름부 320: 연장부
330: 절곡부 331: 미세 바늘
400: 본체 410: 진입구
420: 배출구 430: 수용공간
441: 윈도우 451: 도입홈
452: 확장홈 461: 링 고정부
462: 걸림링(제 1링) 463: 걸림링(제 2링)
464: 슬라이드 돌부 465: 관통공
466: 슬라이드 홈 467: 커버
468: LED모듈 470: 이동 홈
471: 와이어 472: 힌지
473: 파지부(고정 파지부) 474: 파지부(이동 파지부)
500: 스위치 700: 포셉
800: 칼날

Claims (13)

  1. 신속한 식모가 가능한 모낭캡슐로서,
    모낭이 삽입되는 중공을 구비한 관과, 상기 관에서 상기 모낭이 배출되는 배출구 측을 경사 처리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끝 단을 라운드지게 형성한 라운드부를 구비한 캡슐;
    상기 관의 일 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릿;
    상기 모낭을 상기 배출구 측으로 밀어내는 것으로서, 상기 슬릿을 따라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 단에서 상기 관통홈을 통과하여 상기 관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모낭이 삽입될 피부 주변에 안착되는 절곡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 단에 위치하는 누름부를 구비한 중심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캡슐.
  2. 신속한 식모가 가능한 모낭캡슐로서,
    모낭이 삽입되는 중공을 구비한 관과, 상기 관에서 상기 모낭이 배출되는 배출구 측을 경사처리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끝 단을 라운드지게 형성한 라운드부를 구비한 캡슐;
    상기 관의 일 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릿;
    상기 관의 양 측부에서 상기 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모낭이 삽입될 피부 주변에 안착되는 중심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캡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대에서 모낭이 삽입될 피부 주변에 접하는 면에는,
    모낭이 삽입될 피부 주변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미세 바늘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캡슐.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모낭캡슐을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로서,
    복수 개의 상기 모낭캡슐을 길이 방향으로 적층시켜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과, 상기 모낭캡슐을 투입하는 진입구 및, 상기 모낭캡슐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 관 형상의 본체;
    상기 배출구 주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두피에 상기 모낭캡슐이 삽입될 절개부위를 형성하는 칼날;
    상기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와, 상기 수용공간의 배출구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출구의 내주면에 상기 모낭캡슐의 길이와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인입 및 인출 가능한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구동 매커니즘;
    상기 스위치 조작 시 상기 걸림부를 인입 또는 인출시켜 상기 모낭캡슐을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절개부위로 1개씩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수용공간이 보이도록 투명 재질의 윈도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은,
    상기 진입구 주변에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의 조작 시 상기 칼날을 인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서 상기 진입구 주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함입된 도입홈과,
    상기 도입홈의 폭보다 큰 폭으로 상기 도입홈의 내측 단으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칼날이 수용되는 확장홈이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도입홈을 지나 상기 칼날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의 조작 시 상기 칼날이 상기 확장홈을 따라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서 상기 배출구의 주변에는,
    한 쌍의 파지부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벌어질 수 있게 구비된 포셉이 포함되어,
    상기 스위치의 조작 시 상기 포셉을 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포셉의 파지부는,
    상기 배출구 주변에 고정되는 고정 파지부와,
    힌지를 매개로 상기 고정 파지부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파지부에 접촉되거나 벌어지는 이동 파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 매커니즘은,
    상기 본체에서 상기 고정 파지부의 주변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함입 연장된 이동 홈과,
    상기 이동 홈에 위치하여 상기 힌지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이동 홈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의 조작 시 상기 이동 파지부가 상기 고정 파지부와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 일 측에 아치형상으로 구비되는 링 고정부와,
    C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링 고정부에 접하도록 배출구 측 내주면에 위치한 걸림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모낭캡슐의 높이만큼 이격된 내주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입된 슬라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의 내측 단에서 상기 걸림링이 접하는 부위에는,
    상기 걸림링의 일부를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시키도록 관통된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의 조작 시 상기 걸림링을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측으로 인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은,
    상기 배출구 주변에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고,
    본체에서 상기 배출구의 주변에는,
    한 쌍의 파지부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벌어질 수 있게 구비된 포셉이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의 조작 시 상기 칼날을 인입시키는 동시에 상기 포셉을 벌리면서 상기 걸림부를 인입 또는 인출시켜 상기 모낭캡슐을 상기 절개부위로 1개씩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인입구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일 측에 구비되는 LED모듈 및,
    상기 걸림부에서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면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와 상기 본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걸림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매커니즘은,
    상기 걸림 감지 센서의 접촉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걸림부의 인입 및 인출을 판단하는 입출판단부와,
    상기 걸림부의 인입 판단 시 LED를 점등 제어하는 점등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 일 측에 아치형상으로 구비되는 링 고정부와,
    C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링 고정부에 접하도록 배출구 측 내주면에 위치한 걸림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모낭캡슐의 높이만큼 이격된 내주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구동 매커니즘은,
    상기 걸림 감지 센서를 매개로 상기 걸림링 각각의 인입 및 인출 판단 시점을 판단하는 입출 판단부와,
    상기 판단 시점의 차이를 연산하는 구동 연산부 및,
    상기 차이의 고저에 따라 상기 인입 판단 시 점등된 LED 모듈과 다른 색상의 LED 모듈 점등을 결정 제어하는 입출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
KR1020180060714A 2018-05-28 2018-05-28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 KR102112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714A KR102112917B1 (ko) 2018-05-28 2018-05-28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714A KR102112917B1 (ko) 2018-05-28 2018-05-28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348A true KR20190135348A (ko) 2019-12-06
KR102112917B1 KR102112917B1 (ko) 2020-05-19

Family

ID=68837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714A KR102112917B1 (ko) 2018-05-28 2018-05-28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9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69527A (zh) * 2022-12-09 2023-06-23 南通科技职业学院 一种多功能组合式鸡毛囊采集存放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7120A (en) * 1997-02-10 1998-10-06 Rassman; William R. Hair implanting instrument
KR20080002243U (ko) * 2006-12-26 2008-07-01 아이-센 시아오 식모기
KR20170056060A (ko) * 2015-11-12 2017-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식모용 바늘에 모낭 유닛을 로딩하는 장치
KR20180001374A (ko) * 2016-06-27 2018-01-04 주식회사 덴티스 다채널 모발 이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7120A (en) * 1997-02-10 1998-10-06 Rassman; William R. Hair implanting instrument
KR20080002243U (ko) * 2006-12-26 2008-07-01 아이-센 시아오 식모기
KR20170056060A (ko) * 2015-11-12 2017-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식모용 바늘에 모낭 유닛을 로딩하는 장치
KR20180001374A (ko) * 2016-06-27 2018-01-04 주식회사 덴티스 다채널 모발 이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69527A (zh) * 2022-12-09 2023-06-23 南通科技职业学院 一种多功能组合式鸡毛囊采集存放设备
CN116269527B (zh) * 2022-12-09 2024-01-23 南通科技职业学院 一种多功能组合式鸡毛囊采集存放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917B1 (ko) 202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1924A (en) Lens forcep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71568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llicular extraction and transplantation
US5989279A (en) Hair implantation device
US5439475A (en) Tissue grafting method using an apparatus with multiple tissue receiving receptacles
US7156815B2 (en) Soft tissue biopsy instrument
US7144406B2 (en) Hair transplant device
US20150305767A1 (en) Follicular extraction punch and method
KR101437253B1 (ko) 피봇 구동하는 고정유지 부재를 가진 모낭 유닛 제거 도구
US20060174898A1 (en) Defibrillator insertion device and method
KR101170757B1 (ko) 캠 작동식 의료용 천공 장치 및 방법
JP2002505605A (ja) 毛の移植方法、移植装置および移植キット
US11284868B2 (en) Multi-function dermatological biopsy instrument
CN111093538A (zh) 用于毛发移植的系统和方法
US5584841A (en) Instrument for implanting hair grafts
US9848866B2 (en) System for implanting an implantable penile prosthetic
KR20190135348A (ko) 모낭캡슐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장치
US10034752B2 (en) Method of implanting a penile prosthetic by capturing a suture in a slot formed through an exterior surface of a needle
KR20210098958A (ko) 모발 이식편들을 이식편 이식 도구 내로 적재하기 위한 디바이스
US20050075580A1 (en) Soft tissue biopsy instrument
EP0511323B1 (en) Adjustable intra-luminal valvulotome
CN107949333A (zh) 植入物移除器
WO2022105781A1 (zh) 一种不损伤毛囊的毛发移植方法及毛发移植系统
KR102226088B1 (ko) 식모 장치
KR100347500B1 (ko) 연골 채취 장치
CZ293573B6 (cs) Chirurgický nástroj pro odstraňování křečové ží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