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193A -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193A
KR20190134193A KR1020180059522A KR20180059522A KR20190134193A KR 20190134193 A KR20190134193 A KR 20190134193A KR 1020180059522 A KR1020180059522 A KR 1020180059522A KR 20180059522 A KR20180059522 A KR 20180059522A KR 20190134193 A KR20190134193 A KR 20190134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comparative example
skin
fin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2177B1 (ko
Inventor
이경록
한병석
방은지
김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80059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17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ON FOR ANTI-POLLUTION CONTAINING EXTRACTS OF BRASSICA OLERACEA}
본 발명은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 모공 내에 잔존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흡착 및 제거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산업화, 자동자 배출가스, 중국으로부터 이동해온 공기덩어리에 의한 중금속 가루 및 미세먼지 등 외부 오염물이 사람들의 피부를 오염시키며, 피부 노화 및 트러블 발생의 큰 원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중금속은 납, 수은, 카드뮴, 아연, 니켈 등 비중 4 이상의 무거운 금속원소를 가리키며, 이러한 중금속은 미량이라도 체내에 축적되면 잘 배설되지 않고 체내에 존재하는 단백질에 쌓여 장기간에 걸쳐 부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중금속은 피부에서 대기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질소 산화물(NO)과 같은 유해물질을 추가로 생성해 피부의 염증, 아토피,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는 지름 10㎛ 이하의 작은 먼지를 가리키며, 황산염, 질산염 등과 같은 독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세먼지는 자동차 매연과 공장 굴뚝에서 나온 유독물질 또는 중금속 등이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만들어지며, 고농도의 미세먼지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기침, 안구 따가움, 피부 트러블, 폐·기도 세포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체내의 중금속을 제거하는 방법은 EDTA(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및 BAL(British anti-lewisite)과 같은 착화합물 형성물질을 주사하여 체내에 축적되어 있는 중금속과 결합하게 하여 중금속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또한, 비타민 B1, 비타민 C 및 비타민 E를 복용하여 중금속의 체내 흡수를 막고 배출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피부 모공 내에 축적되어 있는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으며, 미세먼지는 클렌징으로 어느 정도 제거할 수 있지만, 미세할수록 흡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모공에 깊숙이 스며들어 일반 클렌징으로는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한편, 화장품 업계에서는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제품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천연 재료 기반의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안정성을 제고하면서도,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의 흡착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재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생체 안전성이 우수하며, TRPV1 유전자 발현 억제,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제거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또는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TRPV1(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1)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 균주를 접종하여 수득한 발효 추출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리지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수레국화 추출물, 및 쇠비름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프로폴리스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산양삼 추출물, 황기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천궁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블루라이트 차단 용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 또는 피부 진정 용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므로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하며 특히,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제거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콜리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평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미세먼지 제거 효과를 평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콜리 추출물의 블루라이트 차단 활성을 평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콜리 추출물의 TRPV1 발현 억제 활성을 평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또는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는 배추속에 속하는 양배추의 변종으로 십자화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서구 유럽, 미국 및 극동 아시아 국가에서 샐러드 또는 식품 첨가물로 널리 소비되고 있다. 상기 브로콜리는 다양한 종류의 비타민 및 항산화제의 풍부한 공급원이며 글루코시놀레이트(glucosinolate, GSL)라 불리는 2차 대사산물을 함유하고 있다(Free Radical Research, 1996, 25(1), 75-86;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09, 42, 1561-1572).
상기 브로콜리에 함유된 글루코라파닌(glucoraphanin)은 분해효소와 작용하여 설포라판(Sulforaphane)을 생성하며, 이는 항암물질(Proc. Natl. Acad. Sci. USA, 1997, 94, 10367-10372) 및 헬리코박터 세균을 특이적으로 사멸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다(Proc. Natl. Acad. Sci. USA, 2002, 99, 7610-7615).
본 발명자들은 브로콜리 추출물의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미세먼지로부터 피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상기 브로콜리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법에 의하여 파쇄된 브로콜리를 추출 용매에 침지 및 가열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석유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 농도(v/v)의 에탄올일 수 있으며, 2 이상의 서로 다른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원료에 포함된 유효 성분은 용매의 극성에 따라 추출 비율이 상이해질 수 있으며, 상기 에탄올은 천연 원료의 생리 활성 물질의 추출에 있어서 선택성이 뛰어나므로 상기 에탄올 추출에 의해 최적의 피부 개선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물과 에탄올은 극성이 상이하여, 각 극성에 따라 추출되는 유효성분이 서로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최적의 피부 개선 효과가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에탄올의 농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에탄올은 농도가 75% 초과이면 적정한 수율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65% 미만이면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 성분이 충분하게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알코올의 농도를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정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농도의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TRPV1(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1)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TRPV1(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 단백질은 칼슘 투과성의 비-선택적 양이온 채널 패밀리 중 하나로서, TRPV1의 활성은 Ca2 + 유입을 유도하고 캡사제핀(capsazepine)과 같은 특정 길항제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TRPV1은 캡사이신(capsaicin), 브래디키닌(bradykinin), PGE2, 또는 ATP 등 외부자극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브로콜리 추출물은 미세먼지 등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며, 외부 자극에 의해 발현량이 증가하는 TRPV1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브로콜리 추출물은 발효 균주를 접종하여 제조된 발효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발효”는 미생물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해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미생물을 통한 발효과정을 거친 원료는 발효 전보다 최소 2배에서 최대 수 십배의 효과가 증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효를 거친 대사물질은 피부에 좋은 각종 아미노산, 유기산, 항산화물질을 함유하여 피부대사를 촉진시켜 피부결에 탄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발효 과정에 의해 입자가 작아지고 독성이 분해되어 흡수율이 증진될 수 있으며 피부트러블이나 알레르기 부작용이 완화될 수 있다.
상기 “발효 추출물”은 브로콜리를 자연적으로, 또는 장치, 구체적으로 회전감압농축기 및 동결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시킨 후, 상기 추출물을 용매, 바람직하게는 정제수에 일정 농도로 희석한 후 발효 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발효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 모나스커스 속(Monascus sp .), 비피도박테리아 속(Bifidobacterium sp .), 프레보텔라 속(Prevotella sp .), 푸조박테리아 속(Fusobacterium sp .), 및 유박테리아 속(Eubacterium sp .) 균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 균주를 접종하여 수득한 발효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리지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수레국화 추출물, 및 쇠비름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리지(Borago officinalis)”는 고대 그리스나 로마시대부터 즐겨 애용한 허브로서 꽃이나 잎을 술에 담그었다가 마시면 모든 슬픔이나 시름을 씻어 주어서 기분을 즐겁고 명랑하게 해준다고 "쾌활초(cuphorosium)"라고 불렸다.
상기 보리지 잎에는 미네랄, 칼슘, 칼륨 등이 많이 함유되어서 이뇨, 진통완화, 발한, 정화, 피부연화 작용 등이 뛰어나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상기 보리지의 씨는 "감마리노렌산(힘)" 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월경전에 신경이 날카로워지는 조급증, 습진이나 피부병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상기 보리지의 잎과 꽃을 입욕제로 이용하면 피부를 부드럽고 청결하게 하는 것은 물론 심신의 긴장까지 완화시키므로 최근에는 보리지 종자에서 기름을 짜내어 마사지 오일, 화장용 크림 등으로 이용하고 있다.
상기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ia)”은 인도와 유럽이 원산지인,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약초식물로서 황색의 꽃이 피는 다이어즈 캐모마일, 백색의 꽃이 피는 로만 캐모마일, 저먼 캐모마일, 보데골드 캐모마일 등이 있다.
상기 캐모마일은 피부 살균 효과와 전신미용 효과가 커서 유럽에서는 목욕제로 많이 쓰이고 있고, 여성의 냉증에 효과가 있으며, 방부제, 구충약 및 경련 완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캐모마일은 건위 약제로 발한 작용에 의한 감기 예방, 불면증 해소, 진정 작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상기 “수레국화(Centaurea cyanus)”는 피부에 생기를 부여하고, 특히 건성피부에 효과적이다. 상기 수레국화 꽃의 침출액이 수렴성이 있어 산성 화장수로 쓰이며 눈이 피로하거나 염증이 있을 때에는 잎의 침축액을 안약으로 쓰고 있다.
상기 “쇠비름”은 1년생 잡초로서 오행초(五行草), 장명채(長命采), 마치채(馬齒菜) 등으로 호칭되며, 주로 길가, 텃밭 등에서 자생한다. 상기 쇠비름은 식물체임에도 오메가-3-지방산이나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e), 도파민(dopamine) 같은 물질뿐만 아니라, 왁스나 펙틴질을 포함한 수용성 다당류나 각종 비타민류 및 아미노산, 유기산, 배당체 성분 등을 다량 함유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프로폴리스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폴리스(propolis)”는 꿀벌이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 여러 식물에서 뽑아낸 수지와 같은 물질에 자신의 침과 효소 등을 섞어서 만든 물질로서, 유기물 및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며, 미네랄, 비타민, 아미노산, 지방, 유기산, 플라보노이드 등은 세포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 프로폴리스는 항암성, 화상 치유능, 습진, 아토피성 피부염 및 무좀 등과 같은 진균류에 의한 피부병 치유 효과, 탈모 억제 효과, 미용 효과, 세균성 치과적 질환에 대한 치유 효과가 보고되었으며, 그 외에도, 호르몬 자극 활동, 비타민 p의 작용에 의한 괴혈병 치료, 고혈압 환자의 혈압강하작용, 생체 호르몬의 균형 유지 등 다양한 효과가 규명된 바 있다.
상기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는 가장 인기 있는 허브 중의 하나로 감미롭고 독특한 향을 풍겨 향의 여왕으로 불린다. 상기 라벤더 잎과 씨앗은 진정작용이 뛰어나 심신을 느긋하게 해주고, 자율신경 조절작용이 있어 신경성 위장장애와 불면을 비롯한 스트레스성 이상에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상기 라벤더 는 소염작용과 피부재생에 특유의 작용이 있어 상처 뒤의 자국을 없애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로, 덩굴성 약용식물이다. 강장제, 강정제, 통경제, 양혈제, 진해제로 활용되며, 감기, 토혈, 신경쇠약, 관절염 치료에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산양삼 추출물, 황기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천궁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양삼(Panax ginseng C. A. Meyer)”은 사포닌 배당체로서 파낙사디올, 파낙사트리올, 베타-시스테롤, 올레아놀산 등과 파나센, 파낙시놀, 캠페롤, 트리폴림, 파나세노이드 및 비타민류, 니코틴산, 판토텐산, 폴산, 비오틴 등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하며, 항스트레스, 혈압강하, 혈액순환 개선, 강장작용 등이 우수한 약재로 알려져 있다.
상기 “황기”는 콩과(Legumninos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인 단너삼(Astragalus membranaceus BUNCE)의 뿌리로 한반도 각지에서 자생하는데, 자당, 글루쿠론산, 점액질, 아미노산, 콜린, 베타인, 엽산 등을 함유한다. 상기 황기는 독성과 부작용이 없다고 알려졌으며, 한국, 중국 및 아시아 각지의 전통 의약품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나, 피부 개선 용도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지 않다.
상기 “당귀(Angelica Gigantis Radix)”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한국에서는 이의 뿌리를 건조한 것을 지칭한다. 상기 당귀의 유효성분으로는 coumarin류의 decoursin, decousinol, phthalide류의 ligustilide, butylidene phthalide, butylphthalide 등이 있으며, 뿌리에는 베르갑텐 C12H8O4, 이소핌피넬린, 정유 약 0.2%, β시토스테롤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천궁(Cnidium officinale)”은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중국이 원산지이며, 한방에서 뿌리줄기를 약용으로 이용한다. 상기 천궁은 혈액순환, 두통, 지통, 진정, 항궤양, 혈압 조절, 항균, 보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여성의 생리통, 산후복통에 널리 사용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 또는 피부 진정 용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는 산화를 억제하는 작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체는 산화촉 진물질과 산화억제물질이 균형을 이루고 있으나,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하여 이러한 균형 상태를 잃고 산화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기울게 되면, 생체 내에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가 유발되어 세포손상 및 병리적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산화적 스트레스의 직접적 원인이 되는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높아 DNA, 단백질, 지질 및 탄수화물과 같은 여러 생체물질과 쉽게 반응할 수 있으며, 생체 내 고분자들을 공격하여 세포와 조직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일으키거나 돌연변이, 세포독성 및 암 등을 초래하게 되고, 노화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 활성 산소종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킴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얻어 노화를 방지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항염”은 염증을 억제하는 작용을 의미하며, 염증반응의 조절은 매우 복잡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생체 내 복구체계의 증강 및 손상을 감소시킨다.
반복되는 조직의 손상이나 재생에 의해 염증반응이 지속되면, 염증관련 세포에서 ROS와 RNS가 과다 생성되고 영구적인 유전자의 변형이 야기될 수 있다. 즉, ROS와 RNS는 생체 내 여러 가지 세포의 작용을 조절하는 염증 반응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상기 “피부 진정”은 홍반 또는 자극 받은 피부 부위 등을 완화시키고 가라앉히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피부 진정은 염증 개선 또는 치료, 경피 수분 손실 감소 또는 붉은기 감소를 들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블루라이트 차단 용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라이트(Blue light)”는 가시광선 영역에 속한 푸른색 계열의 빛으로 높은 에너지를 갖는 380 내지 500nm 파장의 빛일 수 있다.
상기 블루라이트는 각성을 유도하는 세로토닌(Serotonin)과 숙면을 유도하는 멜라토닌(Melatonin)의 분비를 조절하여 일상 생활에 유익한 역할을 하지만, 블루라이트에 장시간 노출되면 안구건조증이 유발되거나, 호르몬의 불균형으로 인한 수면장애가 유발될 수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상기 블루라이트는 세포 속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손상시키고 멜라닌 생성을 유도하여 피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블루라이트가 인체에 주는 악영향은 시력 저하와 수면 방해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상기 블루라이트가 피부에 미치는 유해성에 대해 조사되고 있으며, 블루라이트가 피부 세포 속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손상시키고 활성산소를 생성하여 세포의 기능장애, 세포노화 및 종양 발생을 야기한다고 알려진 바 있다.
또한, 상기 블루라이트는 멜라닌 생성을 유도하여 피부색을 어둡게 하고 기미의 원인이 된다. 상기 블루라이트에 의해 피부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블루라이트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방법 및 조성물에 대한 개발은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분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피부 외용제의 제형화에 있어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화에 있어서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의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의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 등의 메이크업 제거제; 또는 클렌징 폼, 비누, 바디워시 등의 세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고, 스프레이의 경우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또는 유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브틸글리콜 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현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제조예 1 : 브로콜리 추출물
파쇄한 브로콜리 100g을 70% 에탄올 1L에 10중량% 비율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원료를 상온에서 7일 동안 침적 추출한 후, 250메쉬 및 0.5㎛ 여과지로 여과하여 액상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액상 추출물을 회전감압농축기 및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브로콜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 브로콜리 발효 추출물
제조예 1의 브로콜리 추출물에 정제수를 이용하여 5중량%로 희석한 뒤, 발효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을 접종하여 발효하였다.
발효 공정이 중료된 후 500메쉬 및 0.2㎛ 필터로 여과하여 발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3 : 식물 추출물의 제조
보리지, 캐모마일, 수레국화, 쇠비름, 프로폴리스, 라벤더, 하수오, 산양삼, 황기, 당귀, 천궁을 각각 수세한 후 상온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분쇄물을 각각 100g씩 수득하였다.
분쇄물 100g에 대해 각각 10배 부피의 에탄올 수용액(70% 질량농도)를 용매로 하여 상온에서 7일 동안 침적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250메쉬 및 0.5㎛ 필터로 여과한 후 잔여 원료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50℃에서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고형분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4 : 제1복합 추출물
제조예 3의 프로폴리스, 라벤더, 및 하수오 추출물을 동일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1복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5 : 제2복합 추출물
제조예 3의 산양삼, 황기, 당귀, 및 천궁 추출물을 동일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2복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수득한 시료의 피부 개선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기와 같이 시료를 혼합하여 실시예(표 1) 및 비교예(표 2)를 설정하였다.
[함량(중량부)]
구분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브로콜리 추출물 60 - 30 30 30 30 12 10 10 -
브로콜리 발효 추출물 - 60 - - - - - - - 10
보리지 추출물 - - 30 - - - 12 10 10 10
캐모마일 추출물 - - - 30 - - 12 10 10 10
수레국화 추출물 - - - - 30 - 12 10 10 10
쇠비름 추출물 - - - - - 30 12 10 10 10
제1복합 추출물 - - - - - - - 10 5 5
제2복합 추출물 - - - - - - - - 5 5
[함량(중량부)]
구분 비교예
1 2 3 4 5 6 7 8 9
브로콜리 추출물 - - - - - - - - -
브로콜리 발효 추출물 - - - - - - - - -
보리지 추출물 60 - - - - - 15 12 10
캐모마일 추출물 - 60 - - - - 15 12 10
수레국화 추출물 - - 60 - - - 15 12 10
쇠비름 추출물 - - - 60 - - 15 12 10
제1복합 추출물 - - - - 60 - - 12 10
제2복합 추출물 - - - - - 60 - - 10
실험예 1 : 피부 안전성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에 대한 피부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섬유아세포(HDF), 멜라닌형성세포(B16F10), 각질세포(HaCaT)에 대한 MTT assay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정제수에 농도별(50 mg/L)로 각각 현탁한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은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는 모스만(Mosmann)의 방법을 변형하여 수행하였다.
섬유아세포(HDF), 멜라닌형성세포(B16F10), 및 각질세포(HaCaT)를 각각 96-웰 플레이트에 1×104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37℃, 5 % CO2 에서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배지에 48 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반복 세척하였다.
MTT를 5 mg/mL로 PBS에 녹여 50 L 첨가하고 37℃, 5 %의 CO2 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DMSO(Dimethyl sulfoxide)를 웰(well) 당 100L 넣고, 10 분 동안 교반한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브로콜리 추출물의 세포 독성은 농도 증가에 따라 거의 증가하지 않았으며, 각 시료는 모든 농도에서 세포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 결과는 상기 시료가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인체 안전성이 우수함을 시사한다.
실험예 2 : 다환방향족탄화수소 제거 효과 시험
미세먼지 중 다량 함유된 유해대기물질인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의 흡착 효과를 시험하였다.
털을 제거한 돼지 외피(1cm x 1cm) 시편을 준비한 후, PBS로 10분간 세척하였다.
세척한 돼지 외피를 나프탈렌(Naphtalene), 아세나프틸렌(Acenaphthylene), 아세나프텐(Acenaphthene), 플루오렌(Fluorene), 벤조피렌(Benzopyrene)을 600ppm 함유하는 용액(pH 11)에 2시간 동안 담지한 후 상온에서 건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을 50 mg/L 농도로 시편에 처리하고 3시간 동안 반응시켰으며, 대조군은 PBS를 도포하고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PBS로 세척한 후 시편을 일정 중량으로 절단하고 호모게나이저로 분쇄하였다.
분쇄된 조직을 anhydrous sodium sulfate(Na2SO4)으로 건조시킨 후 속실렛 추출(Sohxlet extraction) 및 액액 추출(Liquid-liquid extraction) 방법을 통해 조직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를 추출하였고(Husain et al., 1997; Takatsuki et al., 1985), HPLC로 정량하였다. 평가 결과는 실험군 대비 대조군의 비율로 나타내었다(표 3).
[% of control]
구분 나프탈렌 아세나프틸렌 플루오렌 벤조피렌
실시예 1 6.7 6.0 6.6 7.0
실시예 2 7.5 6.5 7.5 8.0
실시예 3 7.6 6.6 7.6 8.1
실시예 4 8.2 7.0 8.2 8.8
실시예 5 8.0 6.9 8.1 8.6
실시예 6 8.1 7.0 8.2 8.7
실시예 7 8.5 7.2 8.7 9.2
실시예 8 8.7 7.3 8.8 9.4
실시예 9 8.8 7.4 9.0 9.1
실시예 10 9.0 7.6 8.4 9.3
비교예 1 4.6 4.7 4.2 4.3
비교예 2 4.5 4.5 4.0 4.2
비교예 3 5.1 5.0 4.8 3.9
비교예 4 4.6 4.7 4.2 4.3
비교예 5 4.6 4.7 4.2 4.3
비교예 6 4.8 4.8 4.4 4.6
비교예 7 5.0 5.0 4.7 4.9
비교예 8 6.5 5.9 6.3 5.7
비교예 9 6.8 6.1 6.7 5.4
표 2를 참조하면, 상기 다환방향족탄화수소는 실시예 1 내지 10 시료의 처리에 의해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상기 결과는 상기 추출물이 미세먼지 및 대기 중 다량 함유되어 피부에 트러블을 야기할 수 있는 유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3 : 미세먼지 제거 효과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제형화한 화장료의 미세먼지 제거 효과를 시험하였다.
미세먼지 모사체 세정력 측정을 위해 우선 전박 부위에 시험제품 사용 부위와 미사용(물 세정) 부위를 구획하고 사진 촬영을 하였다.
미세먼지 모사체를 균일하게 도포하고 시험제품 사용 전, 후 고해상도 디지털카메라(DSLR)로 전박 부위를 촬영하였다(도 2).
촬영한 사진을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인 Image pro plus로 시험제품 사용 부위와 미사용(물 세정) 부위의 피부 밝기(Intensity 값)를 분석하였다.
미세먼지 모사체를 도포하여 어두워진 피부가 제품 사용 후 밝아지는 것을 확인하고 물 세정 부위와 시험제품 사용 부위 피부 Intensity 값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피부 Intensity 값과 피부 밝기 정도는 비례하므로 피부 Intensity 값의 변화율이 클수록 미세먼지 모사체 세정력이 우수하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구분 미세먼지 제거율(%)
실시예 1 82.0
실시예 2 86.9
실시예 3 87.4
실시예 4 91.0
실시예 5 90.1
실시예 6 90.5
실시예 7 92.1
실시예 8 93.1
실시예 9 96.8
실시예 10 98.2
비교예 1 60.3
비교예 2 62.4
비교예 3 63.7
비교예 4 61.4
비교예 5 64.6
비교예 6 66.1
비교예 7 67.6
비교예 8 71.2
비교예 9 70.6
대조군 52.8
표 4를 참조하면, 미세먼지는 실시예 1 내지 10의 시료를 제형화한 클렌징 워터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된 반면, 상기 시료를 포함하지 않는 대조군의 미세먼지 제거 효과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특히, 발효 추출물을 적용한 실시예 2 및 10 시료의 미세먼지 제거 효과는 타 실시예 시료 대비 더욱 개선되었다.
실험예 4 : 미세먼지 흡착방지 효과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제형화한 화장료의 미세먼지 흡착방지 효과를 시험하였다.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전완부에 시료를 도포한 후 미세먼지를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테스트 장치에 노출 시켰다.
진공 챔버 내에 동일한 조건에서 PM2.5 내지 PM10 크기에 해당하는 미세먼지 모사체를 도포한 후 시험시료가 도포된 시험부위 및 시험시료가 도포되지 않은 시험부위를 Image-Pro Plus를 통해 비교하였다(표 5).
구분 흡착량 감소율(%)
실시예 1 37.4
실시예 2 43.4
실시예 3 43.9
실시예 4 48.0
실시예 5 46.8
실시예 6 47.3
실시예 7 49.2
실시예 8 50.2
실시예 9 51.1
실시예 10 57.8
비교예 1 22.3
비교예 2 21.4
비교예 3 25.9
비교예 4 26.3
비교예 5 29.3
비교예 6 31.0
비교예 7 31.4
비교예 8 34.7
비교예 9 34.3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9의 추출물을 도포한 실험군의 경우 미세먼지 흡착량 감소율이 높은 수준이었으나, 대조군의 미세먼지 흡착량 감소 효과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특히, 브로콜리 추출물 및 올리브 유래 스쿠알란을 적용한 실시예 3의 시료는 상어유래 스쿠알란을 적용한 비교예 8 및 올리부나무 열매 추출물을 적용한 비교예 9와 비교하여 미세먼지 흡착방지 효과가 현저히 개선되었다.
실험예 5 : 피부 주름 개선 효과 시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하였다.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 120명을 대상으로 10명씩 12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피시험자는 4주 동안 매일 아침, 저녁 세안 후 크림 타입으로 제형화한 화장료를 안면에 고르게 도포하여 충분히 흡수시켰다.
주름개선 평가를 위하여 ANTERA 3D(Miravex, Ireland)를 적용하였으며, 기기측정은 시험물질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이루어졌다.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왼쪽 눈꼬리부위를 측정하였고, 측정의 재현성을 위하여 시험 물질 사용 전에 측정한 이미지와 오버랩시켜 동일부위를 측정하였다.
촬영된 이미지는 ANTERA 3D 전용 소프트웨어인 ANTERA pro software를 이용하여 매칭시킨 후 일치된 측정부위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값은 측정변수인 Indentation index를 이용하여 피부의 주름을 나타내는 Wrinkles small값을 분석하였다.
표 6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제형화한 화장료 사용에 따른 피시험자의 4주 후의 Wrinkles small값의 변화량을 나타내었다.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할수록 Wrinkles small 값의 변화량은 크다.
구분 Wrinkles small 평균값
실시예 1 1.39
실시예 2 1.44
실시예 3 1.46
실시예 4 1.51
실시예 5 1.49
실시예 6 1.53
실시예 7 1.58
실시예 8 1.65
실시예 9 1.69
실시예 10 1.80
비교예 1 0.68
비교예 2 0.61
비교예 3 0.85
비교예 4 0.68
비교예 5 0.68
비교예 6 0.75
비교예 7 0.83
비교예 8 1.11
비교예 9 1.29
표 6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10의 시료를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였다. 실험예 6 : 항산화 활성 시험
자유라디칼인 DPPH(1, 1-diphenyl-2-picryl hydrazyl)를 이용한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활성산소 분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관에 4mL 메탄올을 넣고 상기 40 μg/mL 농도의 추출물을 첨가하였다. 0.15mM DPPH 용액 1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기질과 DPPH가 없는 Initial(Ai)과 blank(Ab)를 측정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α-tocopherol 및 BHT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DPPH 소거율%
α-tocopherol 76.5
BHT 71.5
실시예 1 62.3
실시예 2 66.8
실시예 3 69.8
실시예 4 72.7
실시예 5 71.5
실시예 6 74.9
실시예 7 76.5
실시예 8 79.3
실시예 9 81.7
실시예 10 83.0
비교예 1 40.9
비교예 2 40.2
비교예 3 43.0
비교예 4 40.9
비교예 5 40.9
비교예 6 41.7
비교예 7 42.7
비교예 8 48.8
비교예 9 52.2
상기 추출물 시료는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α-tocopherol 및 BHT와 동등하거나 높은 수준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즉, 실시예 1 내지 10의 시료에 의해 활성산소의 분해가 촉진될 수 있으며, 상기 결과는 항산화 활성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상태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시사한다.
실험예 7 : 항염 활성 시험
NF-kB reporter assay를 통해 NF-kB 전사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LPS에 의해 유도되는 iNOS, COX-2, IFN-β또는 TNF-α 등은 전사인자인 NF-kB 에 의해 발현된다.
NF-kB는 세포질에서는 IkB와 복합체 상태로 불활성화되어 있다가 I-kB-αkinase에 의해 I-kB-α가 인산화되면 결합되어 있던 복합체가 분해되어 NF-kB로 활성화되어 핵 내로 이동(translocation)한다.
NF-kB의 표적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여 염증작용을 일으킨다.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과 같은 염증질환에 작용하는 TRIF는 인터페론-β를 유발하는 수용체를 가지는 TIP-도메인으로 TLRs(toll-like-receptors)의 활성에 반응하는 수용체로서, 상기 TLRs는 침입 미생물의 특정 구성을 인식하여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을 활성화한다.
상기 수용체는 잘 보존된 병원성 패턴을 인식해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방출을 자극하기 위해 신호를 활성화한다.
IRF-3(인터페론자극유전인자3)은 인터페론α/β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전사 활성화 인자로 대부분 인터페론 유도 유전자의 전사조절영역에 있는 인터페론자극반응순서(ISRE)에 결합하여 그 전사를 활성화한다.
제조자의 프로토콜(Jin et al., 2009)에 따라 12-웰 플레이트에 PEI 방법을 이용하여 β갈락토시다제(β와 같은 수용체 분자(MyD88 및 TRIF)의 존부에 따라 NF-kB-Luc 또는 TRIF 각각을 포함하는 플라스미드 1μg을 HEK293(1×106 cells/ml)세포에 주입(transfection)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LPS(100 ng/ml) 및 20 μg/Ml 농도의 추출물을 처리하고, 24시간 후에 루시퍼라제 분석법(Luciferase assays)을 이용하여 NF-kB 의 활성 및 IRF-3 활성을 측정하였다.
루시퍼라제 분석법은 제조자의 프로토콜(Jung et al., 2009)에 보고된 루시퍼라제 분석 시스템(Promega Co., USA)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하기 표 8과 같다.
구분 NF-kB 활성 IRF-3 활성
대조군(블랭크군) 1.00 1.00
실시예 1 1.55 1.85
실시예 2 1.66 1.93
실시예 3 1.67 1.93
실시예 4 1.76 2.00
실시예 5 1.74 1.99
실시예 6 1.75 1.99
실시예 7 1.81 2.04
실시예 8 1.84 2.05
실시예 9 1.86 2.08
실시예 10 1.93 2.18
비교예 1 0.73 1.28
비교예 2 0.87 1.24
비교예 3 0.92 1.42
비교예 4 0.93 1.28
비교예 5 0.73 1.28
비교예 6 0.85 1.33
비교예 7 0.89 1.39
비교예 8 1.13 1.58
비교예 9 1.38 1.71
[Fold, Luciferase activity]표 8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시료에 의해 NF-kB의 활성 및 IRF-3의 활성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는 상기 추출물 시료가 NF-kB의 전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이를 통해 염증을 저해 또는 완화시킬 수 있으며 염증 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8 : 블루라이트 차단 활성 시험
실시예의 시료의 블루라이트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섬유아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1×104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37℃, 5 % CO2 에서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2회 세척하여 잔존하는 배지를 제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20μg/mL 농도로 조정한 PBS로 교체하고 블루라이트(400nm, 30mJ/cm2)를 30분간 조사하였다.
PBS를 제거하고 잔존하는 시료를 제거한 후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MTT를 5 mg/mL 로 PBS에 녹여 50 L 첨가하고 37℃, 5 %의 CO2에서 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 웰당 100 μL의 디메틸 설폭사이드용액을 가하여 염색된 세포를 용해시킨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로 570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표 9).
블루라이트를 처리하지 않은 실험군(무처리군)은 음성대조군으로 하고, 블루라이트만 처리한 실험군을 양성대조군으로 하였다
구분 세포 생존율(%)
실시예 1 76.4
실시예 2 79.5
실시예 3 81.0
실시예 4 82.2
실시예 5 81.1
실시예 6 82.2
실시예 7 83.7
실시예 8 84.9
실시예 9 85.4
실시예 10 86.5
비교예 1 61.8
비교예 2 60.9
비교예 3 64.5
비교예 4 61.8
비교예 5 61.8
비교예 6 62.9
비교예 7 64.2
비교예 8 68.5
비교예 9 70.2
음성대조군 100.0
양성대조군 60.0
도 3을 참조하면, 브로콜리 추출물 처리에 의해 세포 생존율은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실시예 2 내지 10의 추출물 시료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현저히 개선되었다(표 9). 실험예 9 : TRPV1 발현 억제 활성 시험
루시퍼라아제 리포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미세먼지(UPM)에 의한 TRPV1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청하였다.
자체 개발한 TRPV1-Luciferase Reporter Assay System을 이용하여 Turner Designs TD 20/20 luminometer(Turner Designs, USA)에서 측정하였다.
루시퍼라아제 시약(Steady Glo Reagent) 100μL를 세포가 있는 배양접시에 5분 동안 반응시키고 96-웰 플레이트로 각 샘플을 옮긴 후 형광측정기 (Luminometer)로부터 형광발색 값을 산출하였다.
미세먼지를 처리하지 않은 실험군(무처리군)은 음성대조군으로 하고, 미세먼지만 처리한 실험군을 양성대조군으로 하였다(표 10).
구분 루시퍼라아제 활성
실시예 1 53.8
실시예 2 51.3
실시예 3 48.7
실시예 4 48.3
실시예 5 47.9
실시예 6 47.6
실시예 7 46.1
실시예 8 45.3
실시예 9 43.9
실시예 10 41.9
비교예 1 64.6
비교예 2 67.3
비교예 3 67.9
비교예 4 64.6
비교예 5 64.6
비교예 6 69.0
비교예 7 67.5
비교예 8 57.5
비교예 9 62.1
음성대조군 13.8
양성대조군 73.2
도 4를 참조하면, 브로콜리 추출물 처리에 의해 TRPV1 발현량은 현저히 감소하였다.특히, TRPV1 발현량은 실시예 2 내지 10의 추출물 처리에 의해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상기 결과는 실시예의 시료가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또는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TRPV1(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1)의 발현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 균주를 접종하여 수득한 발효 추출물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보리지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수레국화 추출물, 및 쇠비름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프로폴리스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산양삼 추출물, 황기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천궁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블루라이트 차단 용도를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항산화, 항염 또는 피부 진정 용도를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59522A 2018-05-25 2018-05-25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2092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22A KR102092177B1 (ko) 2018-05-25 2018-05-25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22A KR102092177B1 (ko) 2018-05-25 2018-05-25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193A true KR20190134193A (ko) 2019-12-04
KR102092177B1 KR102092177B1 (ko) 2020-03-23

Family

ID=69004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522A KR102092177B1 (ko) 2018-05-25 2018-05-25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1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717B1 (ko) * 2019-12-18 2020-09-14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mi-1103 균주를 이용한 브로콜리 발효물 제조방법
KR20220083398A (ko) 2020-12-11 2022-06-2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안티폴루션용 조성물
WO2024006751A1 (en) * 2022-06-29 2024-01-04 Isp Investments Llc Method of cosmetic treatment for improving the skin night-time renewal process and for protecting the skin from free radicals associated with blue light expos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152A (ko) * 2015-05-12 2016-11-22 (주)제주사랑농수산 백년초와 브로콜리 발효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152A (ko) * 2015-05-12 2016-11-22 (주)제주사랑농수산 백년초와 브로콜리 발효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선스틱 절대강자 AHC! 지속내수성까지 잡은 신제품 내추럴퍼펙션선스틱 솔직 사용 후기. [online], (2018.04.14. 공개), [2019.09.03. 검색], 인터넷 <URL :https://blog.naver.com/shineheather/221252920117*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717B1 (ko) * 2019-12-18 2020-09-14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mi-1103 균주를 이용한 브로콜리 발효물 제조방법
KR20220083398A (ko) 2020-12-11 2022-06-2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안티폴루션용 조성물
WO2024006751A1 (en) * 2022-06-29 2024-01-04 Isp Investments Llc Method of cosmetic treatment for improving the skin night-time renewal process and for protecting the skin from free radicals associated with blue light expo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177B1 (ko) 202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46492B (zh) 促進源自表皮葡萄球菌之甘油產生的促進劑、促進源自皮膚表皮角化細胞之抗菌胜肽產生的促進劑,及該等於皮膚保護用外用劑之利用
KR101944025B1 (ko) 하늘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57B1 (ko) 백합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42700B1 (ko) 에델바이스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425163B2 (ja) 抗老化化粧料
KR102092177B1 (ko)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2022400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1810229B1 (ko) 티트리 잎 미세침 분말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83567A (ko) 특정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KR101901670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1908975B1 (ko)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2066568B1 (ko) 올리브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rpv1 유전자 발현 억제 및 안티폴루션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30031988A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10130184A (ko) 항 여드름 효능을 갖는 꾸지뽕나무 추출물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1288B1 (ko) 양배추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5377B1 (ko) 드럼스틱나무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20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9684B1 (ko)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KR102598348B1 (ko) 피지 조절 및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102015854B1 (ko) 황금과 후박의 벤질글라이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안티- 풀루션 효과로 피부 트러블 및 염증을 완화시키는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