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186A - Modular dispnsing head unit - Google Patents

Modular dispnsing head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186A
KR20190134186A KR1020180059502A KR20180059502A KR20190134186A KR 20190134186 A KR20190134186 A KR 20190134186A KR 1020180059502 A KR1020180059502 A KR 1020180059502A KR 20180059502 A KR20180059502 A KR 20180059502A KR 20190134186 A KR20190134186 A KR 20190134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module
head
module
unit
ch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5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09447B1 (en
Inventor
민경준
김희근
강규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59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447B1/en
Priority to CN201821921795.XU priority patent/CN209215778U/en
Publication of KR20190134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1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4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7Coating heads with several outlets, e.g. aligned transversally to the moving direction of a web to be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21/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1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dispensing head unit. The dispensing head unit comprises: a head module including a main panel, a liquid discharge module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panel, and an upper end panel coupled to the main panel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base module including a head module support part in which a head module mounting part installed with the head module is formed on an upper end thereof. A head module fixing part for fixing the upper end panel of the head module is provided in the head module mounting part.

Description

모듈형 디스펜싱 헤드유닛 {MODULAR DISPNSING HEAD UNIT}Modular Dispensing Head Units {MODULAR DISPNSING HEAD UNIT}

본 발명은 모듈형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베이스 모듈과 상기 베이스 모듈에 결합되는 헤드 모듈을 포함하는 모듈형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dispensing head uni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dispensing head unit comprising a base module and a head module coupled to the base module.

전자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 기판에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액체를 토출하거나 도포하는 장치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 등의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FPD)의 제조에 있어서 기판 상에 소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디스펜싱 장치가 사용된다. 일례로, 액정 표시 장치는 컬러 필터층이 구비된 컬러 기판과, 구동 소자들이 배열된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을 합착하여 제조된다. 컬러 기판과 TFT 기판 사이에 액정이 도포되고, 컬러 기판과 TFT 기판을 접착시키기 위하여 페이스트(또는 실런트)가 도포된다.In the manufacture of electronic devices, devices for discharging or applying a liquid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on a substrate are used. For example, in the manufacture of a flat panel display (FPD)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OLED display, various dispensing to form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function on a substrate. The device is used. For example, the liquid crystal display is manufactured by bonding a color substrate with a color filter layer and a TFT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on which driving elements are arranged. Liquid crystal is applied between the color substrate and the TFT substrate, and paste (or sealant) is applied to bond the color substrate and the TFT substrate.

액정 표시 장치나 OLED 소자 또는 OLED 디스플레이 등의 제조에 있어서는, 액정층, 페이스트 패턴, 배향막, 스페이서, 도전성 패턴, 컬러 필터, 발광층,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또는 형광체층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디스펜싱 장치가 사용된다. In the manufa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OLED devices or OLED displays, various dispensing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a paste pattern, an alignment film, a spacer, a conductive pattern, a color filter, a light emitting layer, a black matrix, or a phosphor layer. The device is used.

도 1은 종래 디스펜싱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1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ispensing apparatus.

디스펜싱 장치(1)는, 프레임(3)과, 상기 프레임(3)의 상부에 구비되며 소정 액체가 디스펜싱되는 기판(S)이 로딩되는 스테이지(5)와, 상기 스테이지(5)의 상부에 구비되는 헤드 지지대(7)와, 상기 헤드 지지대(7)에 구비되며 소정 액체를 디스펜싱하는 디스펜싱 헤드유닛(9)을 포함한다. 스테이지(5)는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 지지대(7)는 구동 모터(8)에 의해 프레임(3)의 상부에서 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디스펜싱 헤드유닛(9)은 기판과의 상대적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Z축 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수 있으며, X축 또는/및 Y축 방향으로도 구동될 수 있다.The dispensing apparatus 1 includes a frame 3, a stage 5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3 and loaded with a substrate S on which a predetermined liquid is dispensed,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tage 5. And a head support 7 provided in the head support 7 and a dispensing head unit 9 provided in the head support 7 for dispensing a predetermined liquid. The stage 5 may be configured to be driven in the X-axis or Y-axis direction. In addition, the head support 7 may be installed to be linearly movable in the Y-axis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frame 3 by the drive motor (8). The dispensing head unit 9 can be positioned in the Z-axis direction in order to adjust its relative position with the substrate, and can also be driven in the X-axis and / or Y-axis directions.

한편,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양을 기판에 제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잉크젯 방식으로 액체를 토출하는 디스펜싱 장치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01442호는 액정을 빠른 시간에 넓은 면적에 동시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잉크젯 방식 액정 도포 방법을 개시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ovide more precise and accurate quantity to a board | substrate, the use of the dispensing apparatus which discharges liquid by the inkjet method is increasing recently. As an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070,42 discloses an inkjet type liquid crystal coating method for simultaneously applying a liquid crystal to a large area in a short time.

액정 등을 도포하는 디스펜싱 장치의 경우, 액정을 공급하는 액정 저장병의 액정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에는 액정 저장병을 교체하거나 액정 저장병에 액정을 보충하여야 한다. 또한, 잉크젯 토출 방식으로 액체를 도포하는 디스펜싱 장치에 있어서는 잉크젯 노즐을 포함하는 토출 모듈을 교체하거나 세정할 필요가 있다. In the case of a dispensing device for applying a liquid crystal or the like, when the liquid crystal level of the liquid crystal reservoir for supplying the liquid crystal becomes low, the liquid crystal reservoir must be replaced or the liquid crystal reservoir must be replenished. Moreover, in the dispensing apparatus which apply | coats a liquid by the inkjet discharge system, it is necessary to replace or wash the discharge module containing an inkjet nozzle.

그러나, 액정 저장병의 교체나 보충 또는 잉크젯 노즐을 포함한 토출 모듈을 교체하거나 세정할 때 디스펜싱 장치의 작동을 중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pensing device must be stopped when the liquid crystal reservoir bottle is replaced or refilled, or when the discharge module including the ink jet nozzle is replaced or cleaned.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액정과 같은 액체를 디스펜싱하는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일부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 모듈형 디스펜싱 헤드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dular dispensing head unit which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part of a dispensing head unit of a liquid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such as a liquid crystal.

또한, 본 발명은 모듈형 디스펜싱 헤드유닛을 베이스 모듈과 헤드 모듈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헤드 모듈을 베이스 모듈에 견고하게 장착 및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모듈형 디스펜싱 헤드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dular dispensing head unit that is configured by separating the modular dispensing head unit into a base module and a head module, and capable of firmly mounting and fixing the head module to the base module.

본 발명은, 메인 패널과, 상기 메인 패널의 일측의 결합된 상기 액체토출모듈 및 상기 메인 패널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 상단 패널을 포함하는 헤드 모듈; 및 상기 헤드 모듈이 장착되는 헤드 모듈 장착부가 상단에 형성된 헤드 모듈 지지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모듈 장착부에는 상기 헤드 모듈의 상기 상단 패널을 고정하는 헤드 모듈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헤드유닛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module including a main panel, the liquid discharge module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panel, and a top panel coupled to the main panel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base module including a head module support part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head module mounting part on which the head module is mounted. The head module mounting part includes a head module fixing part for fixing the upper panel of the head module. A dispensing head unit is provid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단 패널의 저면에는 척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 모듈 고정부는 상기 척 삽입부에 삽입되어 수평 방향으로 확장되는 척을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anel is formed with a chuck insert, the head module fix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huck insert includes a chuck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상기 척 삽입부는 위쪽으로 폭이 넓어지는 제 1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척의 외측에는 상기 제 1 테이퍼면에 대응되는 제 2 테이퍼면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huck insertion portion may have a first tapered surface that is wider upward, and a second taper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apered surface may be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chuck.

또한, 상기 척 삽입부를 수평 방향으로 구동하는 척 구동부가 상기 헤드 모듈 장착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huck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chuck inse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provided inside the head module mounting portion.

또한, 상기 상단 패널의 저면과 상기 헤드 모듈 장착부의 상부면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핀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는 고정핀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헤드 모듈의 상기 베이스 모듈에의 장착을 가이드할 수 있다. In addition, on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anel and the top surface of the head module moun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fixing pin, and the other is a fixing pi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the fixing pin is formed to mount the head module to the base module Can guide.

또한, 상기 헤드 모듈 장착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단 패널의 장착을 감지하는 헤드 모듈 장착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module mount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head module mount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mounting of the upper panel.

또한, 상기 상단 패널의 저면과 상기 헤드 모듈 장착부의 상부면은 마찰 또는 마모 방지 코팅이나 필름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anel and the top surface of the head module mount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friction or wear protection coating or film.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모듈은, 상기 헤드 모듈 지지부를 지지하여 회전 구동함으로써 상기 헤드 모듈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ase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head module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supporting the head module support to rotate.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펜싱 헤드유닛을 베이스 모듈과 헤드 모듈로 구분하고 베이스 모듈에 헤드 모듈을 간단한 방식으로 결합시키고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조립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ensing head unit is divided into a base module and a head module, and the head module can be easily coupled to and detached from the base module, thereby facilitating assembly and maintenance of the dispensing head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펜싱 헤드유닛을 베이스 모듈과 헤드 모듈을 결함시킴에 있어서 헤드 모듈을 베이스 모듈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ispensing head unit can be fixed firmly to the base module when the base module and the head module are defective.

도 1은 종래 디스펜싱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헤드유닛을 베이스 모듈과 헤드 모듈로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있어서 베이스 모듈과 헤드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있어서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회전을 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있어서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회전 상태에 따른 액체의 토출 피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헤드 모듈의 상단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베이스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헤드 모듈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있어서 헤드 모듈을 베이스 모듈에 고정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ispensing apparatus.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ensing head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pensing head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into a base module and a head module.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se module and the head module in the dispensing hea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for the rotation of the dispensing head unit in the dispensing head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that is rotated by the rotation drive in the dispensing head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the discharge pitch of the liquid according to the rotation state of the dispensing head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p panel of the head module of the dispensing hea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module of a dispensing head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ead module fixing part of the dispensing head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ead module is fixed to the base module in the dispensing head uni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shown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following will describ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헤드유닛을 베이스 모듈과 헤드 모듈로 분리한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ensing head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pensing head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into a base module and a head module.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디스펜싱 헤드유닛(9)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An embodiment of the dispensing head unit 9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디스펜싱 헤드유닛(9)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펜싱 장치(1)의 헤드 지지대(7)에 결합될 수 있고, 액체 주저장부(230)로부터 액체토출모듈(40)로 액체를 전달하여 액체를 토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액체토출모듈(40)은 잉크젯 방식의 노즐부(42)을 포함하고, 잉크젯 방식으로 노즐부(42)을 통해 액체를 토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액체토출모듈(40)의 토출 방식이 잉크젯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펜싱 헤드유닛(9)이 토출하는 액체는 소정 점성을 갖는 액체일 수 있으며, 액정층, 페이스트 패턴, 배향막, 스페이서, 도전성 패턴, 컬러 필터, 발광층,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또는 형광체층 중 어느 하나를 기판 상에 형성하기 위한 액체일 수 있다. The dispensing head unit 9 may be coupled to the head support 7 of the dispensing apparatus 1 as shown in FIG. 1, and transfers liquid from the liquid main reservoir 230 to the liquid discharge module 40. To discharge the liquid. In one embodiment, the liquid discharging module 40 may include an ink jet nozzle 42, and may discharge the liquid through the nozzle 42 in an ink jet method. However, the discharge method of the liquid discharge module 40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nkjet method. The liquid discharged by the dispensing head unit 9 may be a liquid having a predetermined viscosity, and may be a liquid crystal layer, a paste pattern, an alignment layer, a spacer, a conductive pattern, a color filter, a light emitting layer, a black matrix, or a phosphor layer. It may be a liquid for forming either on a substrate.

디스펜싱 헤드유닛(9)은 베이스 모듈(10)과, 상기 베이스 모듈(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헤드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모듈(10)은 헤드유닛 지지부(30)를 통해 디스펜싱 장치(1)의 헤드 지지대(7)에 결합될 수 있다. 헤드유닛 지지부(30)는 헤드 지지대(7)에 결합되는 결합판(32)과 상기 결합판(32)과 베이스 모듈(10)을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 모듈(10)을 적어도 1축 방향(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ensing head unit 9 may include a base module 10 and a head module 20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module 10. In one embodiment, the base module 10 may be coupled to the head support 7 of the dispensing device 1 through the head unit support 30. The head unit support part 30 connects the coupling plate 32 coupled to the head support 7 with the coupling plate 32 and the base module 10, and moves the base module 10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for example,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drive unit 34 for dri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베이스 모듈(1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베이스 패널(100), 상기 베이스 패널(100)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된 고정 패널(102), 상기 고정 패널(102)에 연결된 헤드 모듈 지지대(110), 및 상기 헤드 모듈 지지대(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헤드 모듈 장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패널(100)은 헤드유닛 지지부(30)에 결합될 수 있다. 헤드 모듈 지지대(110) 및 헤드 모듈 장착부(120)는 각각 별개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module 10 includes a base panel 100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 fixed panel 102 fix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he base panel 100, and a head module support 110 connected to the fixed panel 102. , And a head module mounting part 120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ead module support 110. The base panel 100 may be coupled to the head unit support 30. The head module support 110 and the head module mounting unit 120 may be separately configur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or integrally formed.

헤드 모듈 장착부(120)의 상부에는 헤드 모듈(20) 장착시 헤드 모듈(20)을 고정하는 헤드 모듈 고정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헤드 모듈 장착부(120)에는 헤드 모듈(20)이 베이스 모듈(10)에 올려진 것을 감지하는 헤드 모듈 장착 감지부(122)가 구비되고, 헤드 모듈 장착 감지부(122)에서 헤드 모듈(20)이 장착된 것이 감지된 경우, 상기 헤드 모듈 고정부(130)가 작동될 수 있다. 헤드 모듈 장착 감지부(122)는 헤드 모듈(20)이 베이스 모듈(10)에 올려진 경우 온(On)되는 스위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헤드 모듈(20)의 장착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The head module fixing part 130 may be provided on the head module mounting part 120 to fix the head module 20 when the head module 20 is mounted. In addition, the head module mounting unit 120 is provided with a head module mounting detection unit 122 for detecting that the head module 20 is mounted on the base module 10, the head module (in the head module mounting detection unit 122) When it is detected that 20 is mounted, the head module fixing unit 130 may be operated. The head module mounting detection unit 122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witch that is turned on when the head module 20 is mounted on the base module 10. The sensor may detect mounting of the head module 20. Any configuration may be used.

헤드 모듈 지지대(110)에는 핀치 밸브(112)가 구비될 수 있다. 핀치 밸브(112)는 철(凸)부(114a)가 형성된 제 1 핀치 밸브(112a)와 요(凹)부(114b)가 형성된 제 2 핀치 밸브(112b)를 포함한다. 제 1 핀치 밸브(112a)와 제 2 핀치 밸브(112b)의 사이에 액정 공급관(238)을 끼운 상태에서 제 1 핀치 밸브(112a)와 제 2 핀치 밸브(112b)가 근접함으로써 액정 공급관(238)을 통한 액체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The head module support 110 may be provided with a pinch valve 112. The pinch valve 112 includes a first pinch valve 112a having a convex portion 114a and a second pinch valve 112b having a concave portion 114b. The liquid crystal supply pipe 238 is brought into close proximity to the first pinch valve 112a and the second pinch valve 112b while the liquid crystal supply pipe 238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pinch valve 112a and the second pinch valve 112b. The supply of liquid through the can be interrupted.

또한, 베이스 모듈(10)에는 고정 패널(102)에 고정된 상태에서 헤드 모듈 지지대(110)와 헤드 모듈 장착부(120)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기 위한 회전 구동부(5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e module 1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rotation drive unit 50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head module support 110 and the head module mounting unit 120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being fixed to the fixing panel 102. have.

헤드 모듈(2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메인 패널(200)과, 상기 메인 패널(200)의 상단에 형성되는 액체 주저장부 보관부(220)와, 메인 패널(200)의 하단에 결합된 액체토출모듈(40)을 포함한다. 액체 주저장부 보관부(220)는 메인 패널(200)의 상단에 가로 방향으로 결합된 상단 패널(2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액체 주저장부 보관부(220)에는 액체토출모듈(40)로 토출될 액체를 저장하여 공급하는 액체 주저장부(230)가 구비된다. The head module 20 is coupled to a main panel 200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 liquid main storage unit 220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panel 200, and a lower end of the main panel 200. It includes a liquid discharge module 40. The liquid main storage unit 220 may b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anel 210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panel 200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liquid main storage unit 220 includes a liquid main storage unit 230 for storing and supplying liquid to be discharged to the liquid discharge module 40.

액체 주저장부(230)의 상단 개방부에는 캡(232)이 구비될 수 있고, 액체 주저장부(230)에 저장된 액체는 제 1 액체 공급관(234), 상기 제 1 액체 공급관(234)을 통해 공급되는 액체를 필터링하는 필터부(236), 상기 필터부(236)를 통과한 액체를 잉크젯 방식 액체토출모듈(40)로 공급하는 제 2 액체 공급관(238)이 구비될 수 있다. 액체 주저장부(230)의 내부에는 공압이 공급되고(공압 공급 구성은 미도시), 공압에 의해 액체 주저장부(230)에 저장된 액체가 제 1 액체 공급관(234)으로 배출될 수 있다. A cap 232 may be provided at an upper opening of the liquid main storage unit 230, and the liquid stored in the liquid main storage unit 230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liquid supply pipe 234 and the first liquid supply pipe 234. A filter unit 236 for filtering the liquid to be formed, a second liquid supply pipe 238 for supplying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236 to the inkjet liquid discharge module 40 may be provided. Pneumatic pressure may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liquid main storage unit 230 (a pneumatic supply configuration is not shown), and the liquid stored in the liquid main storage unit 230 may be discharged to the first liquid supply pipe 234 by pneumatic pressur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있어서 베이스 모듈과 헤드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있어서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회전을 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se module and a head module are separated in a dispensing head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spensing in a dispensing head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for the rotation of the head unit.

헤드 모듈(20)은 헤드 모듈 장착부(120)에 장착되고 헤드 모듈 고정부(130)에 의해 고정된다. The head module 20 is mounted to the head module mounting part 120 and fixed by the head module fixing part 130.

헤드 모듈 장착부(120)는 헤드 모듈 지지대(110)의 상부에 마련되며, 헤드 모듈 장착부(120)는 헤드 모듈 지지대(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헤드 모듈 장착부(120)는 회전 구동부(50)에 의해 지지되며, 회전 구동부(50)에 의해 헤드 모듈 장착부(120)가 회전 구동될 수 있다. The head module mounting part 120 may be provided on the head module support 110, and the head module mounting part 1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d module support 110. The head module mounting unit 120 may be supported by the rotation driving unit 50, and the head module mounting unit 120 may be rotationally driven by the rotation driving unit 50.

회전 구동부(50)는, 구동 모터(52)와 지지 베어링(54)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52)는 베이스 패널(100)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된 고정 패널(102)에 고정된다. 구동 모터(52)의 고정을 위해 고정 패널(102)과 구동 모터(52)를 체결하는 고정 나사(53)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4와 도 5에서는 구동 모터(52)의 상부가 고정 패널(102)의 하부에 고정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구동 모터(52)는 고정 패널(102)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The rotation drive unit 50 may include a drive motor 52 and a support bearing 54. The drive motor 52 is fixed to the fixed panel 102 fix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base panel 100. In order to fix the driving motor 52, a fixing screw 53 may be provided to fasten the fixing panel 102 and the driving motor 52. Meanwhile, in FIGS. 4 and 5,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motor 52 is illustrated as being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xing panel 102, but the driving motor 52 may be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fixing panel 102. have.

구동 모터(52)는 구동축(56)을 포함하고, 구동축(56)이 헤드 모듈 지지대(110)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축(56)의 회전에 따라 헤드 모듈 지지대(110)가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모터(52)는 직접 구동 방식의 모터(Direct Drive Motor)일 수 있다. The drive motor 52 may include a drive shaft 56, and the drive shaft 56 may be connected to the head module support 110. The head module support 110 may be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56. The drive motor 52 may be a direct drive motor.

일 실시예에 있어서, 헤드 모듈 지지대(110)는 베어링(54)에 의해 지지된다. 베어링(54)의 저면 일부는 고정 패널(102)에 고정된 상태에서 헤드 모듈 지지대(1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54)은 크로스 롤러 베어링일 수 있다. 헤드 모듈 지지대(110)의 저면에는 상기 베어링(54)의 상부 또는 베어링(54)의 일부와 결합되는 안착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head module support 110 is supported by a bearing 54.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earing 54 may support the head module support 110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fixing panel 102. Such bearing 54 may be a cross roller bear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d module support 110 may be formed with a seating portion 116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earing 54 or a portion of the bearing 54.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있어서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that is rotated by the rotation drive in the dispensing head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는 회전 구동부(5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성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 구동부(50)의 구동에 따라 헤드 모듈 지지대(110)와 헤드 모듈 장착부(120)가 회전 구동된다. 헤드 모듈(20)은 헤드 모듈 장착부(120)에 장착되고, 헤드 모듈 장착부(120)의 회전에 따라 헤드 모듈(20)도 함께 회전한다. In FIG. 6, a configuration in which rotation is driven by the rotation driver 50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Referring to FIG. 6, the head module support 110 and the head module mounting part 120 are rotationally drive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rotation driver 50. The head module 20 is mounted to the head module mounting part 120, and the head module 20 also rotates with the rotation of the head module mounting part 120.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회전 상태에 따른 액체의 토출 피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the discharge pitch of the liquid according to the rotation state of the dispensing head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의 (b)는 헤드 모듈 장착부(120)와 이에 결합된 헤드 모듈(20)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의 (a)는 헤드 모듈 장착부(120)와 이에 결합된 헤드 모듈(20)이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θ1)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7의 (c)는 헤드 모듈 장착부(120)와 이에 결합된 헤드 모듈(20)이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θ2)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7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head module mounting unit 120 and the head module 20 coupled thereto are not rotated, and FIG. 7 (a) shows the head module mounting unit 120 and the head module coupled thereto ( 20 shows a state in which the predetermined angle θ1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FIG. 7C illustrates that the head module mounting unit 120 and the head module 20 coupled thereto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Status is displayed.

헤드 모듈(20)의 회전에 따라 헤드 모듈(20)에 구비된 액체토출모듈(40)도 회전하는데, 도 7의 (d), (e), (f)는 도 7의 (a), (b), (c) 각각의 상태에서의 액체토출모듈(40)에 구비된 노즐부(42)에 의한 액체 토출 상태를 나타낸다. As the head module 20 rotates, the liquid discharging module 40 included in the head module 20 also rotates, and FIGS. 7 (d), 7 (e) and 7 (f) are shown in FIGS. b) and (c) show the liquid ejection state by the nozzle unit 42 provided in the liquid ejection module 40 in each state.

노즐부(42)에는 복수의 노즐(44)이 열을 이루며 구비되고, 헤드 모듈(20)의 회전에 따라 디스펜싱 헤드유닛(9)의 도포 방향에 대한 노즐부(42)의 각도도 달라진다. The nozzle unit 42 includes a plurality of nozzles 44 arranged in a row, and the angle of the nozzle unit 42 with respect to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the dispensing head unit 9 also vari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ead module 20.

도 7의 (e)을 참조하면, 헤드 모듈(20)이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포된 액체(1000)의 피치 간격은 d2를 이룬다. 그러나 도 7의 (d)와 (e)를 참조하면, 헤드 모듈(20)의 회전에 따라 도포된 액체(1000)의 피치 간격은 d1 또는 d3로서 도 7의 (e)보다 작다. 예를 들어, 헤드 모듈(20)을 이용하여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기판의 일면에 액정을 도포하는 경우 헤드 모듈(20)을 회전 구동함에 따라 기판에 도포되는 액정의 토출 피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헤드 모듈(20)을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에 따라 필요에 따라 액체의 토출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7E, when the head module 20 is not rotated, the pitch interval of the applied liquid 1000 is d2. However, referring to FIGS. 7D and 7E, the pitch interval of the liquid 1000 appli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ead module 20 is d1 or d3, which is smaller than that of FIG. 7E. For example, when the liquid crystal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constitut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by using the head module 20, the discharge pitch of the liquid crystal applied to the substrate may be easily adjusted by rotating the head module 20.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ischarge characteristic of the liquid as necessary by rotating the head module 20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다음으로, 헤드 모듈(20)과 베이스 모듈(10)을 포함하는 디스펜싱 헤드유닛(9)에 있어서, 헤드 모듈(20)을 베이스 모듈(10)에 고정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Next, in the dispensing head unit 9 including the head module 20 and the base module 10, a configuration of fixing the head module 20 to the base module 10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헤드 모듈의 상단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는 메인 패널(200)에 결합된 상단 패널(210)을 저면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상단 패널(210)의 단면도(도 8(a)의 A-A' 방향 단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p panel of the head module of the dispensing hea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p panel 210 coupled to the main panel 200 in the bottom direction, and FIG. 8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p panel 210 of FIG. 8A. AA 'cross section).

상단 패널(210)의 저면에는 척 삽입부(212)가 형성된다. 척 삽입부(212)는 상단 패널(210)의 저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고 대략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척 삽입부(212)는 위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넓어지는 제 1 테이퍼면(216)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단 패널(210)는 고정핀 삽입공(214)이 형성될 수 있다. A chuck insert 212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op panel 210. The chuck insert 212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a bottom surface of the top panel 210 and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The chuck insert 212 is configured to form a first tapered surface 216 that increases in diameter upward. In addition, the upper panel 210 may have a fixing pin insertion hole 214 is formed.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베이스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헤드 모듈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module of the dispensing head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head module fixing portion of the dispensing head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베이스 모듈(10)의 헤드 모듈 장착부(120)에는 헤드 모듈 고정부(130)가 구비되고, 헤드 모듈 고정부(130)는 외측으로 확장 가능한 척(132)이 구비된다. 상기 척(132)은 적어도 2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척(132)은 120도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된 제 1 척(132a), 제 2 척(132b) 및 제 3 척(132c)을 포함한다. 또한, 헤드 모듈 장착부(120)의 상부에는 돌출 형성된 고정핀(134)이 형성된다. 고정핀(134)은 헤드 모듈(20)의 상단 패널(210) 저면에 형성된 고정핀 삽입공(214)에 삽입된다. 고정핀(134)이 고정핀 삽입공(214)에 삽입됨에 따라 헤드 모듈(20)을 베이스 모듈(10)에 결합시, 헤드 모듈(20)의 결합 위치를 안내 또는 정렬할 수 있다. 고정핀(134)은 적어도 2개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핀(134)에 의해 헤드 모듈(20)이 헤드 모듈 장착부(120)의 상부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삽입공(214)은 헤드 모듈 장착부(120)에 형성되고, 고정핀(134)이 상단 패널(21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The head module mounting part 120 of the base module 10 is provided with a head module fixing part 130, and the head module fixing part 130 is provided with a chuck 132 that extends outward. At least two chucks 132 may be provided. In one embodiment, the chuck 132 includes a first chuck 132a, a second chuck 132b, and a third chuck 132c disposed at an angle of 120 degrees. In addition, a fixing pin 134 protruding from the head module mounting part 120 is formed. The fixing pin 134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insertion hole 21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anel 210 of the head module 20. As the fixing pin 134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insertion hole 214, when the head module 20 is coupled to the base module 10,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head module 20 may be guided or aligned. At least two fixing pins 134 may be provided. The fixing pins 134 may prevent the head module 20 from rotating above the head module mounting unit 120. 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in insertion hole 214 may be formed in the head module mounting unit 120, and the fixing pin 134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anel 210.

도 10을 참조하면, 척(132)은 외주면이 상단에서 아래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제 2 테이퍼면(133)을 형성한다. 척(132)은 척 구동부(136)에 의해 구동된다. 척 구동부(136)는 공압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척 구동부(136)의 구동에 의해 척(132)은 수평 방향으로 확장되고 축소될 수 있다. 즉 척(132)은 수평 방향으로 외측으로 벌어지고 내측으로 좁혀질 수 있다. 이러한 척 구동부(136)와 척(132)의 구성은 로터리 척(rotary chuck)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척 구동부(136)에는 공압에 의해 승강하는 피스톤(미도시)과 척(132)을 확장 또는 축소시키기 위한 웨지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척(132)을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공압 방식 이외에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Referring to FIG. 10, the chuck 132 forms a second tapered surface 133 whos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ecomes smaller in diamet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reof. The chuck 132 is driven by the chuck driver 136. The chuck drive 136 may be operated by pneumatic pressure. The chuck 132 may expand and contrac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driving the chuck driver 136. That is, the chuck 132 may be spread out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narrowed inward. The configuration of the chuck driver 136 and the chuck 132 may be configured as a rotary chuck. The chuck drive unit 136 may include a piston (not shown) that is elevated by pneumatic pressure and a wedge (not shown) for expanding or contracting the chuck 132. However,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huck 132 is configured to expand and contract, it may be possible to configure the motor or solenoid in addition to the pneumatic method.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있어서 헤드 모듈을 베이스 모듈에 고정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ead module is fixed to the base module in the dispensing head uni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의 (a)를 참조하면, 헤드 모듈(20)의 상단 패널(210)이 베이스 모듈(10)의 헤드 모듈 장착부(120)에 장착되기 전 상태에서는, 척(132)은 수평 방향으로 확장되기 전의 상태에 있다. Referring to FIG. 11A, in the state before the top panel 210 of the head module 20 is mounted to the head module mounting part 120 of the base module 10, the chuck 132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in the state before becoming.

헤드 모듈(20)이 헤드 모듈 장착부(120)의 상부로 하강함에 따라 고정핀(134)은 고정핀 삽입공(214)으로 삽입되어 헤드 모듈(20)의 장착 위치를 가이드한다. As the head module 20 descend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 module mounting part 120, the fixing pin 134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insertion hole 214 to guid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head module 20.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상단 패널(210)이 헤드 모듈 장착부(1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척(132)이 확장되어 척(132)의 외주면이 척 삽입부(212)의 제 1 테이퍼면(216)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상단 패널(210)이 헤드 모듈 장착부(12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척 구동부(136)의 구동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헤드 모듈 장착부(120)의 상부에 구비된 헤드 모듈 장착 감지부(122)에 의해 상단 패널(210)이 헤드 모듈 장착부(120)의 장착된 것을 감지한 경우, 척 구동부(136)가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B,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panel 210 is mounted to the head module mounting unit 120, the chuck 132 is extended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uck 132 is the first of the chuck insertion unit 212. It contacts the tapered surface 216. Accordingly, the upper panel 21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module mounting unit 120. The chuck drive 136 may be driven manually or automatically. For example, when the upper panel 210 detects that the head module mounting unit 120 is mounted by the head module mounting detection unit 122 provided above the head module mounting unit 120, the chuck driving unit 136 may be used. It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단 패널(210)의 저면과 헤드 모듈 장착부(120)의 상면은 서로 접촉함에 따라 마모가 있을 수 있다. 마모 또는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단 패널(210)의 저면과 헤드 모듈 장착부(120)의 상면에는 마찰 방지 또는 마모 방지 코팅이나 필름이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anel 210 and the top surface of the head module mounting portion 120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ear. In order to prevent abrasion or fric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anel 210 and the top surface of the head module mounting unit 120 may be provided with an anti-friction or anti-wear coating or film.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9 : 디스펜싱 헤드유닛 10 : 베이스 모듈
20 : 헤드 모듈 30 : 헤드유닛 지지부
40 : 액체토출모듈 50 : 회전 구동부
52 : 구동 모터 54 : 베어링
100 : 베이스 패널 102 : 고정 패널
110 : 헤드 모듈 지지대 120 : 헤드 모듈 장착부
130 : 헤드 모듈 고정부 132 : 척
134 : 고정핀 136 : 척 구동부
200 : 메인 패널 210 : 상단 패널
212 : 척 삽입부 214 : 고정핀 삽입공
216 : 제 1 테이퍼면
9: dispensing head unit 10: base module
20: head module 30: head unit support
40: liquid discharge module 50: rotation drive unit
52: drive motor 54: bearing
100: base panel 102: fixed panel
110: head module support 120: head module mounting portion
130: head module fixing part 132: chuck
134: fixed pin 136: chuck drive
200: main panel 210: top panel
212: chuck insertion portion 214: fixing pin insertion hole
216: first tapered surface

Claims (8)

메인 패널과, 상기 메인 패널의 일측의 결합된 상기 액체토출모듈 및 상기 메인 패널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 상단 패널을 포함하는 헤드 모듈; 및
상기 헤드 모듈이 장착되는 헤드 모듈 장착부가 상단에 형성된 헤드 모듈 지지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모듈 장착부에는 상기 헤드 모듈의 상기 상단 패널을 고정하는 헤드 모듈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헤드유닛.
A head module including a main panel, the liquid discharge module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panel, and a top panel coupled to the main panel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d a base module including a head module support part on which the head module mounting part on which the head module is mounted is formed.
Dispensing head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modul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head modul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upper panel of the head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패널의 저면에는 척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 모듈 고정부는 상기 척 삽입부에 삽입되어 수평 방향으로 확장되는 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헤드유닛.
The method of claim 1,
A dispensing head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anel is formed with a chuck insertion portion, the head module fix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huck insert portion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척 삽입부는 위쪽으로 폭이 넓어지는 제 1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척의 외측에는 상기 제 1 테이퍼면에 대응되는 제 2 테이퍼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헤드유닛.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pensing head unit of claim 1, wherein the chuck insertion portion has a first tapered surface that is widened upwardly, and a second taper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apered surface is formed outside the chuck.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척 삽입부를 수평 방향으로 구동하는 척 구동부가 상기 헤드 모듈 장착부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헤드유닛.
The method of claim 2,
Dispensing head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huck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chuck inse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head module mounting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패널의 저면과 상기 헤드 모듈 장착부의 상부면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핀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는 고정핀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헤드 모듈의 상기 베이스 모듈에의 장착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헤드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fixing pin is formed on one of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anel and an upper surface of the head module mounting part, and a fixing pin insertion hole is formed on the other of the top panel to guide the mounting of the head module to the base module. Dispensing head unit, characterized in tha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모듈 장착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단 패널의 장착을 감지하는 헤드 모듈 장착 감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헤드유닛.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Dispensing head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modul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head module mount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mounting of the upper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패널의 저면과 상기 헤드 모듈 장착부의 상부면은 마찰 또는 마모 방지 코팅이나 필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헤드유닛.
The method of claim 1,
Dispensing head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anel and the top surface of the head modul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riction or wear protection coating or fil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모듈은, 상기 헤드 모듈 지지부를 지지하여 회전 구동함으로써 상기 헤드 모듈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헤드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module further comprises a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head module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supporting and rotating the head module support.
KR1020180059502A 2018-05-25 2018-05-25 Modular dispnsing head unit KR1021094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02A KR102109447B1 (en) 2018-05-25 2018-05-25 Modular dispnsing head unit
CN201821921795.XU CN209215778U (en) 2018-05-25 2018-11-21 Dispensing head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02A KR102109447B1 (en) 2018-05-25 2018-05-25 Modular dispnsing head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186A true KR20190134186A (en) 2019-12-04
KR102109447B1 KR102109447B1 (en) 2020-05-12

Family

ID=6746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502A KR102109447B1 (en) 2018-05-25 2018-05-25 Modular dispnsing head uni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9447B1 (en)
CN (1) CN209215778U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8602A (en) * 1995-10-13 1997-04-28 Mitsutsu Kk Attachable and detachable coating applying head-mounting body and printed circuit board working device having coating applying head
KR100654839B1 (en) * 2005-12-15 2006-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Ink jet printing apparatus
KR100786995B1 (en) * 2005-11-22 2007-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Ink jet printing apparatus
KR20120069141A (en) * 2010-12-20 2012-06-2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Apparatus for cleaning nozzle and paste dispenser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8602A (en) * 1995-10-13 1997-04-28 Mitsutsu Kk Attachable and detachable coating applying head-mounting body and printed circuit board working device having coating applying head
KR100786995B1 (en) * 2005-11-22 2007-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Ink jet printing apparatus
KR100654839B1 (en) * 2005-12-15 2006-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Ink jet printing apparatus
KR20120069141A (en) * 2010-12-20 2012-06-2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Apparatus for cleaning nozzle and paste dispense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447B1 (en) 2020-05-12
CN209215778U (en) 201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8969B2 (en) Film forming apparatus, head cleaning method,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device
CN102717597B (en) Nozzle inspecting method and apparatus
TWI442461B (en) Apparatus of discharging treathing fluid
CN1762708B (en) Liquid droplet ejection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optic device,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2688830A (en) Coating apparatus and coating method
KR20120069141A (en) Apparatus for cleaning nozzle and paste dispenser having the same
KR100903234B1 (en) Liquid droplet spraying and applying head module, liquid droplet spraying and appl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pplied object
TWI533937B (en) Adhesive coating apparatus
KR101107501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hanging syringe and paste dispenser having the same
KR20190134185A (en) Rotatable dispensing head unit and liquid dispen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90134186A (en) Modular dispnsing head unit
JP7419680B2 (en) liquid supply system
KR100550026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forming film,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device
KR101523671B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materials and method for operating using of it
KR100898570B1 (en) Improved Nozzle Dispenser
JP2003270426A (en) Film forming apparatus, head cleaning metho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evice, and device
JP2007152164A (en) Coating apparatus and adjustment method for pitches of nozzles in the apparatus
KR102114030B1 (en) Paste Dispenser
JP4994094B2 (en) Droplet coating apparatus and droplet coating method
WO2010147159A1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droplet application, method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droplet application, and droplet application device employing the same
KR101331577B1 (en) An Improved Slit Die and A Co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096106B2 (en) Droplet applicator
KR102322672B1 (en) Inkjet Head Assembly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having the same
KR100778146B1 (en) Head unit of dispenser for flat panel display
KR102323321B1 (en) Head assembly and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with th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