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153A - 풀림방지용 락킹장치 - Google Patents

풀림방지용 락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153A
KR20190134153A KR1020180059429A KR20180059429A KR20190134153A KR 20190134153 A KR20190134153 A KR 20190134153A KR 1020180059429 A KR1020180059429 A KR 1020180059429A KR 20180059429 A KR20180059429 A KR 20180059429A KR 20190134153 A KR20190134153 A KR 20190134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locking
nut
support
loos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4251B1 (ko
Inventor
유규복
Original Assignee
유규복
주식회사 피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규복, 주식회사 피스텍 filed Critical 유규복
Priority to KR1020180059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25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282Locking by means of special shape of work-engaging surfaces, e.g. notched or toothed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림방지용 락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볼트와 너트의 체결 시에 풀림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락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트에 상기 너트 체결 시 상기 볼트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의 상기 볼트의 머리부분과 반대방향인 후단에 배치되는 락킹지지부; 및 상기 락킹지지부의 방사상의 위치에 삽입 지지되면서 상기 너트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볼트의 바깥둘레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의 중심에서 바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볼트에 가압 접촉되는 위치와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로 이동되면서 풀림 방지 작동을 수행하는 락킹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풀림방지용 락킹장치 {Rocking Device for Preventing Unwinds}
본 발명은 풀림방지용 락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와 너트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 위치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발생되는 가압력으로 체결된 볼트에 바깥둘레에 접촉되면서 풀림이 방지되고, 가압력을 제거하면 풀림이 해제됨에 따라 볼트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풀림방지 작동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풀림방지용 락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및 주요 구조물, 그리고 기계 구조물에는 다수의 나사와 너트가 이용되고 있다. 나사가 너트에 의해 고정되었다 하더라도 몇 가지 형태의 하중이 작용하면 나사가 풀려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최근 들어 나사 풀림의 원인이 점차 밝혀지고 있지만, 스프링 와셔와 더블 너트 등, 각가지 풀림방지 부품의 효과에 대해서는 충분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때문에 풀림 방지 너트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철도 및 토목분야의 각종 이음매부와 분기 부위, 풍력발전소의 날개와 발전기의 연결 부위, 발전소의 터빈 발전기의 고정 부위 등, 충격과 진동이 심한 부위는 풀림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하거나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과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이런, 종래 기술의 풀림방지용 락킹장치는 한국공개특허 제2014-0124595호에서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부, 상기 너트부에 접하여 상기 볼트에 체결되고, 내부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이 상기 볼트에 대한 풀림을 탄성적으로 저지하는 풀림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너트부와 상기 풀림방지부가 접하는 부분에 돌기부와 이에 대응되는 오목 가공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풀림방지용 락킹장치는 풀림방지를 위해 설치된 탄성체인 스프링을 이용한 다양한 풀림방지 너트를 개발하여 생산하고 있으나, 풀림방지 스프링과 볼트의 나사면과의 접촉 마찰력의 한계가 있으므로 견고한 풀림 방지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풀림방지용 락킹장치는 스프링이 볼트의 나사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탄성에 의해 가압하면서 풀림이 방지됨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력이 볼트 나사면에 편중되어 가압됨에 따라 힘이 집중되는 위치에서는 볼트가 훼손되거나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의 풀림방지용 락킹장치는 너트부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이 돌기부에 접하면서 풀림이 방지되도록 작동됨에 따라 풀림방지 위치가 정해져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풀림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볼트와 너트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 위치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발생되는 가압력으로 체결된 볼트에 바깥둘레에 접촉되면서 풀림이 방지되고, 가압력을 제거하면 풀림이 해제됨에 따라 볼트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풀림방지 작동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풀림방지용 락킹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락킹장치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 시에 풀림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락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트에 상기 너트 체결 시 상기 볼트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의 상기 볼트의 머리부분과 반대방향인 후단에 배치되는 락킹지지부; 및 상기 락킹지지부의 방사상의 위치에 삽입 지지되면서 상기 너트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볼트의 바깥둘레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의 중심에서 바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볼트에 가압 접촉되는 위치와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로 이동되면서 풀림 방지 작동을 수행하는 락킹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볼트 머리부분의 상기 너트가 체결되는 방향인 후단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 체결 시 접촉에 풀림이 방지되는 볼트돌출체; 및 상기 너트의 상기 볼트 머리부분 방향인 전단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 체결 시 접촉에 의해 풀림이 방지되는 너트돌출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 후단의 방사상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락킹부의 일부가 각각 삽입되면서 상기 볼트가 체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락킹부가 상기 볼트의 중심에서 바깥 방향으로 이동되는 너트락킹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락킹지지부는,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 체결 시 상기 너트의 후단에 위치하여 중앙에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지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너트의 후단에 접촉된 상태로 풀림을 방지하는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의 방사상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락킹부가 삽입되는 홈 형태로 상기 락킹부가 상기 볼트의 중심과 바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지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락킹지지부의 상기 지지홈 내부에는 상기 락킹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의 중심과 바깥 방향으로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바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락킹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지지부의 상기 지지홈 내부에는 상기 락킹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의 중심과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힌지 결합 형태로 상기 지지홈의 내부에 회전되는 축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락킹부가 상기 볼트의 중심에서 바깥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돌출된 가이드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락킹지지부에 방사상의 위치로 상기 볼트 체결 시 상기 볼트의 중심과 바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일부가 상기 너트에 삽입되어 상기 볼트에 상기 너트 체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하면 상기 너트 내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볼트를 가압 접촉되는 위치와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로 이동되면서 풀림 방지 작동을 수행하는 락킹몸체; 및 상기 락킹몸체의 상기 볼트 체결 시에 상기 볼트 방향인 안쪽 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와의 가압 접촉 시에 상기 볼트의 나사부분과 밀착되는 위치로 나사 형태의 락킹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락킹몸체의 상기 너트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락킹몸체를 상기 볼트의 중심과 바깥 방향으로 풀림 방지 및 방지 해제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홈 형태로 형성된 작동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락킹몸체의 상기 락킹지지부에 삽입되는 위치에 상기 볼트의 중앙에서 바깥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락킹몸체의 이동 시에 가이드되도록 상기 락킹지지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몸체의 상기 락킹지지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락킹나사부가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볼트의 중심과 바깥 방향으로 이동 시 회전 가이드되도록 상기 락킹지지부가 삽입되는 힌지결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락킹장치는 볼트와 너트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 위치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발생되는 가압력으로 체결된 볼트에 바깥둘레에 접촉되면서 풀림이 방지되고, 가압력을 제거하면 풀림이 해제됨에 따라 볼트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풀림방지 작동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락킹장치는 볼트에 너트 체결 시에 너트와 함께 볼트 머리의 반대방향인 후단으로 락킹지지체가 설치되고, 락킹지지체의 방사상 위치에 복수로 체결된 볼트의 중심과 바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락킹부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락킹지지체에 지지된 락킹부를 이동하여 볼트의 가압 접촉되는 작동으로 풀림을 방지함에 따라 면접촉에 의해 풀림이 방지되어 풀림방지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에 의해 풀림 방지 및 방지 해제 작동을 실시할 수 있어 작동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락킹장치는 볼트와 너트 체결 시 너트의 후단에서 락킹지지체에 지지된 락킹부가 일부가 너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볼트와 가압 접촉되면서 풀림이 방지됨에 따라 너트의 후단으로 밀림이 방지되도록 고정되어 풀림이 방지되어 풀림 방지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락킹장치가 볼트와 너트의 체결 위치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풀림방지용 락킹장치와 볼트 및 너트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풀림방지용 락킹장치의 주요 구성인 락킹지지부와, 락킹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풀림방지용 락킹장치의 설치되는 상태 중에서 볼트에 락킹지지부와 락킹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가 체결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풀림방지용 락킹장치의 설치되는 상태 중에서 락킹부가 너트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볼트에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풀림방지용 락킹장치의 설치 상태 중에서 너트가 볼트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풀림방지용 락킹장치의 설치 상태 중에서 락킹부를 작동하여 락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락킹장치의 너트에 볼트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8의 풀림방지용 락킹장치에 락킹장치에 락킹부를 회전 작동에 의해 락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락킹장치가 볼트와 너트의 체결 위치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풀림방지용 락킹장치와 볼트 및 너트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풀림방지용 락킹장치의 주요 구성인 락킹지지부와, 락킹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풀림방지용 락킹장치의 설치되는 상태 중에서 볼트에 락킹지지부와 락킹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가 체결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풀림방지용 락킹장치의 설치되는 상태 중에서 락킹부가 너트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볼트에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풀림방지용 락킹장치의 설치 상태 중에서 너트가 볼트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풀림방지용 락킹장치의 설치 상태 중에서 락킹부를 작동하여 락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락킹장치(100)는 볼트(10)와 너트(20) 체결 시 너트(20)와 함께 볼트(10)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풀림이 방지되는 락킹 작동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다시 조작하면 락킹이 해제되어 풀림되는 락킹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풀림방지용 락킹장치(100)로 락킹을 실시하는 볼트(10)는 바깥 둘레에 볼트나사부(11)를 형성하고, 전단으로 볼트머리(12)를 구비하며, 너트(20)는 볼트(10)가 삽입 체결되는 중앙으로 안쪽면에 너트나사부(22)가 형성된 체결공간(21)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너트(20)는 볼트(10)의 후단에서 전단에 형성된 볼트머리(12) 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나사 결합되어 체결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볼트머리(12)의 후단에는 볼트나사부(11)의 기설정된 바깥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돌출되어 볼트(10)와 너트(20) 체결 시 접촉에 풀림이 방지되는 볼트돌출체(13)가 구비된다.
또한, 너트(20)의 볼트머리(12) 방향인 전단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돌출되어 볼트(10)와 너트(20) 체결 시 접촉에 의해 풀림이 방지되는 너트돌출체(23)가 구비된다.
상술된 볼트돌출체(13)와 너트돌출체(23)는 볼트머리(12)와 너트(20)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돌출되어 체결 시에 체결되는 물체 걸림되어 볼트머리(12) 또는 너트(20)의 회전을 방지하여 풀림을 방지하는 와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풀림장지용 락킹장치(100)는 볼트(10)에 너트(20) 체결 시 너트(20)의 볼트머리(12) 반대방향인 후단에 설치된 락킹지지부(110), 및 락킹부(120)를 포함한다.
락킹지지부(110)는 볼트(10)에 너트(20) 체결 시 볼트(10)에 삽입되어 너트(20)의 볼트머리(12)와 반대방향인 후단에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락킹지지부(110)는 볼트(10)에 삽입된 상태로 너트(20)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지지몸체(111), 지지홈(113), 및 가이드돌기(114)를 포함한다.
지지몸체(111)는 볼트(10)와 너트(20) 체결 시 너트(20)의 후단에 위치하도록 중앙으로 볼트(10)가 삽입되는 지지공간(112)이 형성되고, 너트(20)의 후단에 접촉되어 밀림을 억제하여 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지지몸체(111)는 너트(20)의 후단에 위치하여 락킹부(120)를 지지하면서 너트(20)가 체결된 위치에서 후단으로 밀림되는 것이 억제됨에 따라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홈(113)은 지지몸체(111)의 방사상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락킹부(120)가 삽입되는 홈 형태로 락킹부(120)가 볼트의 중심과 바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지지홈(113)은 방사상 위치에 복수로 설치되는 락킹부(120)가 삽입된 상태로 볼트(10)의 중심과 바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가이드돌기(114)는 락킹지지부(110)의 지지홈(113)의 내부에는 락킹부(120)가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10)의 중심과 바깥 방향으로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바 형태로 돌출되어 락킹부(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된다. 가이드돌기(114)는 락킹부(120)가 이동되는 경로를 가로 질러 배치되어 락킹부(120)가 유동 없이 볼트(10)의 중심과 바깥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락킹부(120)는 지지홈(113)의 방사상의 위치에 삽입 지지되면서 너트(2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볼트(10)의 바깥둘레에 위치한 상태에서 볼트(10)의 중심에서 바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볼트(10)에 가압 접촉되는 위치와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로 이동되면서 풀림 방지 작동을 수행한다.
여기서, 너트(20) 후단으로 방사상 위치에 구비된 락킹부(120)의 일부가 삽입되면서 볼트(10)에 너트(20)가 체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락킹부(120)가 볼트(10)의 중심에서 바깥 방향으로 이동되는 너트락킹공간(24)이 형성된다. 즉, 너트락킹공간(24)에 락킹부(120)가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10)의 중심과 바깥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체결된 볼트(10)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락킹하거나 락킹을 해제하는 공간형태로 구비된다.
이런, 락킹부(120)는 지지몸체(111)에 삽입되어 조작에 의해 풀림 방지 작동되는 락킹몸체(121), 락킹나사부(122), 작동홈(123), 및 가이드홈(124)을 포함한다.
락킹몸체(121)는 지지몸체(111)에 방사상의 위치로 볼트(10) 체결 시 볼트(10)의 중심과 바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일부가 너트락킹공간(24)에 삽입되어 볼트(10)에 너트(20) 체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하면 너트락킹공간(24) 내에서 이동되면서 볼트(10)를 가압 접촉되는 위치와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로 이동되면서 풀림 방지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락킹몸체(121)는 지지홈(113)에 체결되는 볼트(10)의 바깥 둘레서 바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하면서 볼트(10)에 접촉하여 풀림이 방지되도록 구비된다.
락킹나사부(122)는 락킹몸체(121)의 볼트(10) 체결 시에 볼트(10) 방향인 안쪽 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10)와의 가압 접촉 시에 볼트나사부(11)와 밀착되는 위치로 나사 형태로 구비된다. 락킹나사부(122)는 락킹몸체(121)의 작동에 의해 풀림 방지 위치로 이동 시 볼트나사부(11)와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나사 형태로 구비된다.
작동홈(123)은 락킹몸체(121)의 후단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락킹몸체(121)를 볼트(10)의 중심과 바깥 방향으로 풀림 방지 및 방지 해제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홈 형태로 형성된다. 작동홈(123)은 외부로 개방되어 있는 락킹몸체(121)의 후단면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도구를 이용하거나 직접 작동에 의해 풀림 방지를 위한 락킹 작동 시 락킹몸체(121)를 볼트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볼트나사부(11)에 락킹나사부(122)가 밀착되면서 락킹이 실시된다. 또한, 작동홈(123)에 사용자가 도구를 이용하거나 직접 작동에 의해 락킹 해제 시 락킹몸체(121)를 볼트(10)의 바깥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볼트나사부(11)에 락킹나사부(122)가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지면서 락킹이 해제된다.
가이드홈(124)은 락킹몸체(121)의 가이드돌기(114)에 삽입되는 위치에 볼트(10)의 중앙에서 바깥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방향의 양측에 가이드돌기(114)가 삽입 지지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락킹몸체(121)의 이동 시 락킹몸체(121)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된다. 가이드홈(124)은 가이드돌기(114)가 삽입되어 락킹몸체(121)의 이동 시에 가이드되어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볼트(10)의 너트(20)를 체결하면서 너트(20)의 후단에 지지공간(112)으로 볼트가 삽입되면서 락킹부(120)가 삽입된 지지몸체(111)가 너트(20)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설치한다. 이때, 락킹몸체(121)의 전단은 너트(20)의 너트락킹공간(24)에 삽입되고,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124)은 락킹지지부(110)의 지지홈(113)에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돌기(114)에 삽입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락킹부(120)가 설치된 상태에서 락킹 시에 사용자가 작동홈(123)에 사용자가 직접 작동하거나 도구를 이용하여 볼트의 중심 방향으로 락킹몸체(121)를 작동한다. 락킹몸체(121)가 볼트(1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락킹나사부(122)가 볼트나사부(11)에 접촉되면서 가압되어 락킹을 실시한다. 이렇게, 락킹몸체(121)가 볼트(10)에 밀착되면 체결된 너트(20)가 후단으로 밀림이 억제되면서 이동이 방지되어 풀림이 방지할 수 있다. 락킹 해제시 사용자가 락킹몸체(121)를 볼트의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면 락킹몸체(121)가 볼트(10)에서 밀착이 해제되면서 풀림이 가능한 상태로 작동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락킹장치의 너트에 볼트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9은 도 8의 풀림방지용 락킹장치에 락킹장치에 락킹부를 회전 작동에 의해 락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락킹장치(100)는 락킹지지부(110), 및 락킹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락킹지지부(110)와 락킹부(120)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7과 동일하고, 전 실시예에서 가이드돌기(114)와 가이드홈(124)을 대체하는 이동되는 다른 구조를 제시한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하기에는 이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락킹지지부(110)는 볼트(10)와 너트(20) 체결 시 너트(20)의 후단에 위치하는 지지몸체(111), 지지홈(113), 및 가이드힌지(1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몸체(111) 및 지지홈(113)은 도 1 내지 도 7에서 나타낸 풀림방지용 락킹장치(100)와 동일함에 따라 차이가 있는 가이드힌지(115)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이드힌지(115)는 락킹지지부(110)의 지지홈(113) 내부에는 락킹부(120)가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10)의 중심과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힌지 결합 형태로 지지홈(113)의 내부에 회전되는 축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락킹부(120)가 볼트(10)의 중심에서 바깥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돌출된다. 가이드힌지(115)는 락킹부(120)가 지지홈(113)에 삽입 시 힌지 결합되어 락킹부(120)의 볼트머리(12) 방향을 작동하면 너트(20)에 삽입된 위치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풀림 방지하는 락킹 또는 락킹 해제 작동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런, 락킹부(120)는 지지몸체(111)에 삽입되어 조작에 의해 풀림 방지 작동되는 락킹몸체(121), 락킹나사부(122), 작동홈(123), 및 힌지결합홈(125)을 포함한다. 여기서, 락킹몸체(121), 락킹나사부(122) 및 작동홈(123)은 도 1 내지 도 7에서 나타낸 풀림방지용 락킹장치(100)와 동일함에 따라 차이가 있는 힌지결합홈(125)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힌지결합홈(125)은 락킹몸체(121)의 가이드힌지(115)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락킹나사부(122)가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볼트(10)의 중심과 바깥 방향으로 이동 시 회전 가이드되도록 가이드힌지(115)가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락킹몸체(121)의 힌지결합홈(125)에 가이드힌지(115)가 삽입 지지되어 작동홈(123)에 사용자가 작동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10)의 바깥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이드힌지(115)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락킹나사부(122)가 볼트나사부(11)에 밀착하면서 락킹몸체(121)로 볼트(10)에 풀림이 방지되도록 락킹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작동홈(123) 위치가 볼트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이드힌지(115)를 중심으로 반대로 회전되어 락킹이 해제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볼트 11 : 볼트나사부
12 : 볼트머리 13 : 볼트돌출체
20 : 너트 21 : 체결공간
22 : 너트나사부 23 : 너트돌출체
24 : 너트락킹공간
100 : 락킹 장치 110 : 락킹지지부
111 : 지지몸체 112 : 지지공간
113 : 지지홈 114 : 가이드돌기
115 : 가이드힌지 120 : 락킹부
121 : 락킹몸체 122 : 락킹나사부
123 : 작동홈 124 : 가이드홈
125 : 힌지결합홈

Claims (10)

  1. 볼트와 너트의 체결 시에 풀림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락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트에 상기 너트 체결 시 상기 볼트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의 상기 볼트의 머리부분과 반대방향인 후단에 배치되는 락킹지지부; 및
    상기 락킹지지부의 방사상의 위치에 삽입 지지되면서 상기 너트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볼트의 바깥둘레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의 중심에서 바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볼트에 가압 접촉되는 위치와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로 이동되면서 풀림 방지 작동을 수행하는 락킹부;를 포함하는
    풀림방지용 락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머리부분의 상기 너트가 체결되는 방향인 후단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 체결 시 접촉에 풀림이 방지되는 볼트돌출체; 및
    상기 너트의 상기 볼트 머리부분 방향인 전단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 체결 시 접촉에 의해 풀림이 방지되는 너트돌출체;를 더 포함하는
    풀림방지용 락킹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후단의 방사상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락킹부의 일부가 각각 삽입되면서 상기 볼트가 체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락킹부가 상기 볼트의 중심에서 바깥 방향으로 이동되는 너트락킹공간이 형성된
    풀림방지용 락킹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지지부는,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 체결 시 상기 너트의 후단에 위치하도록 중앙으로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지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의 후단에 접촉되어 밀림을 억제하여 풀림을 방지하는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의 방사상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락킹부가 삽입되는 홈 형태로 상기 락킹부가 상기 볼트의 중심과 바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지지홈;을 포함하는
    풀림방지용 락킹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지지부의 상기 지지홈 내부에는 상기 락킹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의 중심과 바깥 방향으로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바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락킹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는
    풀림방지용 락킹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지지부의 상기 지지홈 내부에는 상기 락킹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의 중심과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힌지 결합 형태로 상기 지지홈의 내부에 회전되는 축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락킹부가 상기 볼트의 중심에서 바깥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돌출된 가이드힌지;를 더 포함하는
    풀림방지용 락킹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락킹지지부에 방사상의 위치로 상기 볼트 체결 시 상기 볼트의 중심과 바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일부가 상기 너트에 삽입되어 상기 볼트에 상기 너트 체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하면 상기 너트 내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볼트를 가압 접촉되는 위치와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로 이동되면서 풀림 방지 작동을 수행하는 락킹몸체; 및
    상기 락킹몸체의 상기 볼트 체결 시에 상기 볼트 방향인 안쪽 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와의 가압 접촉 시에 상기 볼트의 나사부분과 밀착되는 위치로 나사 형태의 락킹나사부;를 포함하는
    풀림방지용 락킹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몸체의 상기 너트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락킹몸체를 상기 볼트의 중심과 바깥 방향으로 풀림 방지 및 방지 해제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홈 형태로 형성된 작동홈;을 더 포함하는
    풀림방지용 락킹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몸체의 상기 락킹지지부에 삽입되는 위치에 상기 볼트의 중앙에서 바깥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락킹몸체의 이동 시에 가이드되도록 상기 락킹지지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는
    풀림방지용 락킹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몸체의 상기 락킹지지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락킹나사부가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볼트의 중심과 바깥 방향으로 이동 시 회전 가이드되도록 상기 락킹지지부가 삽입되는 힌지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풀림방지용 락킹장치.
KR1020180059429A 2018-05-25 2018-05-25 풀림방지용 락킹장치 KR102114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429A KR102114251B1 (ko) 2018-05-25 2018-05-25 풀림방지용 락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429A KR102114251B1 (ko) 2018-05-25 2018-05-25 풀림방지용 락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153A true KR20190134153A (ko) 2019-12-04
KR102114251B1 KR102114251B1 (ko) 2020-05-26

Family

ID=6900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429A KR102114251B1 (ko) 2018-05-25 2018-05-25 풀림방지용 락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25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920U (ko) * 1979-07-03 1981-01-26
JPH0814241A (ja) * 1994-07-01 1996-01-16 Shirakawa Neji Seisakusho:Kk 緩み止めナット
JP2005163881A (ja) * 2003-12-01 2005-06-23 Nhk Spring Co Ltd 簡易締結装置
CN200975394Y (zh) * 2006-10-31 2007-11-14 深圳成霖洁具股份有限公司 快速安装螺帽
CN101994744A (zh) * 2009-08-25 2011-03-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螺母及具有锁付装置的设备
JP2014073221A (ja) * 2012-10-04 2014-04-24 Birumateru Kk ロック機構付きスライドアジャスタ
JP2017096298A (ja) * 2015-11-18 2017-06-01 ヘラマンタイトン株式会社 ボルト用留め具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920U (ko) * 1979-07-03 1981-01-26
JPH0814241A (ja) * 1994-07-01 1996-01-16 Shirakawa Neji Seisakusho:Kk 緩み止めナット
JP2005163881A (ja) * 2003-12-01 2005-06-23 Nhk Spring Co Ltd 簡易締結装置
CN200975394Y (zh) * 2006-10-31 2007-11-14 深圳成霖洁具股份有限公司 快速安装螺帽
CN101994744A (zh) * 2009-08-25 2011-03-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螺母及具有锁付装置的设备
JP2014073221A (ja) * 2012-10-04 2014-04-24 Birumateru Kk ロック機構付きスライドアジャスタ
JP2017096298A (ja) * 2015-11-18 2017-06-01 ヘラマンタイトン株式会社 ボルト用留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251B1 (ko)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857B1 (ko) 풀림 방지용 너트
US6786669B2 (en) Positive lock quick release pin
EP2325856B1 (en) Key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US20060099838A1 (en) Locking pins
US9382696B2 (en) Locking fire hydrant
WO2013043367A1 (en) Locking connector
KR101779790B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US20090008949A1 (en) Door Handle Apparatus
KR20190134153A (ko) 풀림방지용 락킹장치
KR101110346B1 (ko) 유격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재절단장치
US5411337A (en) Axially guided locking ring assembly
AU2018375668B2 (en) Deep-water submersible system
US6824470B2 (en) Bi-direction torque-limiting interface
KR20180043692A (ko) 풀림 방지 체결구
CN113588247B (zh) 一种螺栓松断监测装置
TWM592810U (zh) 氣動工具之旋轉固定結構及包括該氣動工具之旋轉固定結構之氣動工具
CN204834468U (zh) 高压隔离开关三工位操作机构的限位装置
KR19990062359A (ko) 과부하 제어 기능을 갖는 커플링
CN110685519B (zh) 锁及挖掘机车门和挖掘机
US7401659B2 (en) Positioning structure of the transmission device of a screw fastening apparatus
KR101826788B1 (ko) 잠금장치가 내장된 볼트구조
CN220117931U (zh) 锁体组件及车载电子装置
KR200482376Y1 (ko)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 및 그 온도 제어기
CN100425847C (zh) 防松螺母
KR100634720B1 (ko) 로드 안테나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