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038A -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038A
KR20190134038A KR1020180059184A KR20180059184A KR20190134038A KR 20190134038 A KR20190134038 A KR 20190134038A KR 1020180059184 A KR1020180059184 A KR 1020180059184A KR 20180059184 A KR20180059184 A KR 20180059184A KR 20190134038 A KR20190134038 A KR 20190134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dryer
server
kio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창배
Original Assignee
손창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창배 filed Critical 손창배
Priority to KR1020180059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4038A/ko
Publication of KR20190134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2Chanc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2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events or environment, e.g. weather or festiv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복수의 세탁기 각각의 용량정보, 세탁에 소요되는 시간정보 및 가격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사용중인 세탁기와 사용가능한 세탁기 및 사용이 불가능한 세탁기를 각각 달리 단말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관리 시스템{LAUNDRY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ANAGING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최근들어, 사회구조가 서구화됨에 따라 현대인의 생활패턴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맞벌이 부부 및 독신남녀의 비중이 증가하고 시간절약과 편리함이 중시됨에 따라 가정에서 이루어지던 세탁활동을 세탁소나 빨래방에서 해결하는 경우가 증가하여, 단시간 내에 세탁과 건조가 가능한 무인빨래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무인빨래방은 빨래방 내에 세탁기와 건조기가 구비되면 운영이 가능하여 상주인력 구축에 대한 부담이 없고, 24시간 운영이 가능하므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인빨래방의 경우, 세탁기와 건조기가 돌아가고 있는 현황파악이 불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세탁기와 건조기가 이미 전부 사용되고 있는 경우 다시 집으로 돌아갈 수 밖에 없게 되어,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인빨래방의 가맹점 점주 입장에서는 빨래방의 소모품이 없어지는 경우에도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자주 빨래방에 직접 방문하여야 하고, 세탁기 또는 건조기에 에러가 발생하는 모든 경우 직접 방문하여야 하므로, 점주의 불편함을 역시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빨래방에 도착하지 않고서도 빨래방 기기의 현황을 쉽게 파악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수의 세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 및 상기 복수의 세탁기 각각의 용량정보, 세탁에 소요되는 시간정보 및 가격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사용중인 세탁기와 사용가능한 세탁기 및 사용이 불가능한 세탁기를 각각 달리 상기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복수의 건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건조기 각각의 용량정보,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정보 및 가격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사용중인 건조기와 사용가능한 건조기 및 사용이 불가능한 건조기를 각각 달리 상기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가 사용가능한 건조기를 선택한 경우, 해당 건조기의 복수의 건조시간에 대한 가격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세탁기; 및 상기 복수의 세탁기의 부근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세탁기 각각의 용량정보, 세탁에 소요되는 시간정보 및 가격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사용중인 세탁기와 사용가능한 세탁기 및 사용이 불가능한 세탁기를 각각 달리 디스플레이하는 키오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상기 키오스크의 부근에 배치되는 복수의 건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복수의 건조기 각각의 용량정보,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정보 및 가격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사용중인 건조기와 사용가능한 건조기 및 사용이 불가능한 건조기를 각각 달리 상기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상기 키오스크의 부근에 배치되는 복수의 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사용자가 사용가능한 라커를 선택하고 세탁대행 서비스의 비용을 지불하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라커를 라킹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세탁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단말; 점주가 소지하는 점주단말; 세탁기 및 건조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장비; 상기 장비의 사용현황과 관련한 정보, 고객현황과 관련한 정보 및 소모품 판매현황과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는 키오스크; 및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상기 장비의 사용현황과 관련한 정보, 고객현황과 관련한 정보 및 소모품 판매현황과 관련한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점주단말로 소정 주기에 따라 매출정보, 소모품 잔여량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고객현황과 관련한 정보를 참조로, 사용자가 일정기간 상기 장비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로 이용장려를 위한 이벤트 쿠폰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장비의 사용현황과 관련한 정보를 참조로, 각 장비의 사용시간 및 각 장비의 소모부품의 가동시간 잔여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점주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장비의 사용현황과 관련한 정보와 기상데이터를 누적하여, 매출이 적어지는 날씨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로 이벤트 쿠폰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는 이동단말을 통해 유휴상태의 세탁기 또는 건조기를 선택하여 세탁 또는 건조를 진행하여, 미리 유휴상태의 세탁기 또는 건조기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한 이동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사용자가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세탁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세탁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중계기(15), 복수의 세탁기(20), 복수의 건조기(30),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서버(40) 및 사용자의 이동단말(5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각각의 세탁기(20) 및 건조기(30)는 기기정보를 중계기(15)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세탁기(20) 및 건조기(30)가 중계기(15)로 제공하는 기기정보는, 현재 상태정보, 동작중인 경우 잔여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15)는 세탁기(20) 및 건조기(3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각 기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세탁기(20) 및 건조기(30)는 이에 따라 동작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중계기(15)와 세탁기(20) 및 건조기(30)는 동일 매장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중계기(15)와 서버(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서버(40)는 중계기(15)와 동일 매장내에 구비될 수도 있겠지만, 서버(40)는 복수의 매장마다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중계기(15)를 관리하기 위해 별도의 장소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의 이동단말(50)은 서버(4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매장내 세탁기(20) 및 건조기(30)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중계기(15) 또는 이동단말(50)을 통해 세탁서비스를 위한 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한 이동단말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한 이동단말(50)은, 제어부(51), 통신부(52), 사용자 입력부(53), 디스플레이부(54) 및 저장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과 직접 관련되는 구성요소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동단말(50)이 이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게 될 것임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통신부(52)는 이동단말(50)과 무선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단말(50)과 이동단말(50)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통신부(52)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으며, 서버(40)로부터 세탁기(20) 및 건조기(30)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53)는 사용자가 이동단말(50)의 동작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4)는 이동단말(5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4)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동작을 감지하는 센서(터치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부(54)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5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지정하여 입력하는 결제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5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서버(40)와 연동하여 세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사용자가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세탁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마켓 운영서버 등,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위해, 별도로 제공되는 회원가입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고 회원가입을 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고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로그인을 수행하면, 도 3a의 (a)와 같이 메인 페이지가 제공될 수 있다.
서버(40)는 결제 아이콘(3A), 사용내역 아이콘(3B), 및 충전 아이콘(3C)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 사용자가 보유하는 모바일카드 이미지(3D)와 함께 잔액현황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결제 아이콘(3A)을 선택하면, 해당 매장에서의 세탁기(20)와 건조기(30)의 실시간 사용현황이 도 3a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a의 (b)를 참조로 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위치하는 매장을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매장을 선택할 수도 있으나, 이동단말(50)의 위치정보부(GPS)를 통해 이동단말(50) 자신이 위치하는 지역에서 가까운 매장을 선택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현재 자신이 위치하는 매장의 아이콘(3E)을 선택하면, 서버(40)는 해당 매장에서 세탁기(20)와 건조기(30)의 사용현황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세탁기(20)의 용량정보, 해당 세탁기(20)의 세탁에 소요되는 시간정보 및 가격정보를 도 3a의 (b)와 같이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현재 사용중인 세탁기를 3F와 같이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세탁기의 세탁 잔여시간을 하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사용가능한 세탁기(3G)에 해당 세탁기의 번호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수리중이어서 사용이 불가능한 세탁기는 3H와 같이 문이 열린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세탁기는 선택이 불가능하다.
또, 서버(40)는 해당 매장에서 건조기(30)의 사용현황을 제공하고, 제어부(51)는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건조기(30)의 용량정보, 해당 건조기(30)의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정보 및 가격정보를 도 3a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또한 현재 사용중인 건조기를 3H와 같이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건조기의 건조 잔여시간을 하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사용가능한 세탁기(3G) 또는 건조기(3J)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사용가능한 세탁기 또는 건조기가 남아있는 것을 확인하고, 세탁을 할 수 있으므로, 잔여 기기가 없는 경우 바로 매장으로 가지 않아도 되므로, 시간낭비의 문제가 없어질 것이다.
만약, 사용중인 건조기(3K)를 사용자가 선택(터치함)하는 경우, 제어부(51)는 해당 건조기가 작동중인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추가건조할 것인지를 문의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건조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경우, 추가시간 및 이에 대응하는 가격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며, 이에 대한 결제를 위한 결제아이콘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사용가능한 세탁기(3G)를 선택한(터치함) 경우, 제어부(51)는 서버(4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세탁기의 용량과 세탁을 위한 가격정보를 도 3a의 (c)와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결제아이콘(3L)을 선택하여, 해당 세탁기를 사용하기 위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도 3a의 (c)에서 사용자가 결제 아이콘(3L)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51)는 서버(4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도 3b의 (d)와 같이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모바일카드 현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는, 사용자의 모바일카드(3M)에 해당하는 잔액과 해당 세탁기의 결제금액을 팝업의 형태로 3N과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결제 후 잔액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결제 아이콘(3L)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51)는 서버(40)에 해당 사용자가 결제를 요청하였음을 알리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인증을 위한 인증번호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SMS)를 사용자의 이동단말(50)로 전송하면, 이에 해당하는 인증번호를 사용자가 윈도우(3O)에 입력하고 확인아이콘(3P)을 선택하면 사용자의 계정에 보유하고 있는 잔액에서 결제금액을 차감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선택한 세탁기가 서버(40)의 제어에 의해 동작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며, 사용자는 세탁기의 동작버튼을 눌러 세탁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아직 매장에 도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서버(40)는 해당 세탁기를 동작하기 시작해야 하는 시간을 팝업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가 집에서 세탁기의 사용현황을 확인하고 매장으로 가고자 하는 경우에는, 결제와 사용에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될 수도 있으나, 무한정 세탁기를 예약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사용자가 결제 이후 사용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선택하고, 이에 대하여 추가요금을 지불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결제 이후 세탁기의 동작은 5분 이내로 시작되어야 하지만, 사용자는 해당 세탁기에 대한 예약비용을 추가로 지급하고 이에 대해 30분의 유예시간을 확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약비용을 지불하고 유예시간을 확보한 경우, 해당 세탁기는 동작이 정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매장에 도착하여 해당 건조기에 대한 동작을 시작할 것임을 이동단말(50)을 통해 서버(40)에 전송하면, 이에 따라 건조기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서버(40)가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도 3a의 (b)의 화면에서 동작가능한 건조기(3J)를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부(54)는 도 3b의 (e)와 같이 선택한 건조기의 이미지와 함께, 해당 건조기의 용량과 선택가능한 건조시간 및 이에 해당하는 가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가능한 건조시간 및 이에 해당하는 가격의 아이콘(3Q)을 선택하고, 결제 아이콘(3R)을 선택하면, 제어부(51)는 도 3b의 (f)와 같이 결제를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어부(51)는 서버(4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건조기의 용량과 건조시간 및 이에 해당하는 가격정보를 도 3b의 (f)와 같이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모바일카드(3M)에 해당하는 잔액과 해당 건조기의 결제금액을 팝업의 형태로 3T과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결제 후 잔액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결제 아이콘(3R)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51)는 서버(40)에 해당 사용자가 결제를 요청하였음을 알리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인증을 위한 인증번호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SMS)를 사용자의 이동단말(50)로 전송하면, 이에 해당하는 인증번호를 사용자가 윈도우(3U)에 입력하고 확인아이콘(3S)을 선택하면 서버(40)는 사용자의 계정에 보유하고 있는 잔액에서 결제금액을 차감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선택한 건조기가 서버(40)의 제어에 의해 동작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며, 사용자는 건조기의 동작버튼을 눌러 건조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아직 매장에 도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서버(40)는 해당 건조기를 동작하기 시작해야 하는 시간을 팝업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가 집에서 건조기의 사용현황을 확인하고 매장으로 가고자 하는 경우에는, 결제와 사용에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될 수도 있으나, 무한정 건조기를 예약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사용자가 결제 이후 사용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선택하고, 이에 대하여 추가요금을 지불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결제 이후 건조기의 동작은 5분 이내로 시작되어야 하지만, 사용자는 해당 건조기에 대한 예약비용을 추가로 지급하고 이에 대해 30분의 유예시간을 확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약비용을 지불하고 유예시간을 확보한 경우, 해당 건조기는 동작이 정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매장에 도착하여 해당 건조기에 대한 동작을 시작할 것임을 이동단말(50)을 통해 서버(40)에 전송하면, 이에 따라 건조기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서버(40)가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a)와 같은 메인 페이지에서 충전 아이콘(3C)을 선택하여 사용자가 보유하는 모바일카드(3D)를 충전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충전 아이콘(3C)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51)는 도 3c의 (g)와 같이 충전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도 3c의 (g)와 같이, 충전할 금액을 선택하도록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충전금액 아이콘(3V)을 선택한 경우, 게이트웨이 서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결제수단을 제공받아, 이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이동단말(50)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이미 널리 알려진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도 3a의 (a)의 메인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사용내역 아이콘(3B)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51)는 도 3c의 (h)와 같이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모바일카드의 이미지(3W)와 함께, 잔액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세탁 및 건조에 사용된 사용내역을 3X와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서버(40)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를 사용한 일시와, 사용시간(이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시간이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및 사용금액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또, 도 3c의 (h)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사용내역 페이지에서, 모바일카드 신규발급 아이콘(3Y)을 선택하여, 신규발급을 위한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을 것이며, 서버(40)는 사용자의 계정에 새로운 모바일카드를 발급할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모바일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는, 도 3c의 (g)와 같은 충전 페이지에 진입하여 해당 모바일카드를 충전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세탁 서비스의 사용을 위한 카드를 '모바일카드'에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40)는 모바일카드에 대응하는 실물카드를 직접 사용자의 주소지로 배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세탁서비스를 위해 제공되는 매장에 가기 전에, 세탁기(20) 또는 건조기(30)가 사용되는 현황을 확인하고, 유휴상태의 세탁기(20) 또는 건조기(30)가 있는 경우 미리 사용할 것을 선택하여, 원하는 작업을 미리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단말(50)을 통해 유휴상태의 세탁기 또는 건조기를 선택하여 세탁 또는 건조를 진행하여, 미리 유휴상태의 세탁기 또는 건조기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이동단말(50)을 통해 세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는 이동단말(50)이 아닌 PC와 같은 고정단말을 통해 본 발명의 서버(40)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서비스를 이용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경우, 도 3에 도시된 모바일 제공화면이 PC 제공화면으로 변경될 수 있을 것임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시스템은, 키오스크(10)와, 복수의 세탁기(20), 복수의 건조기(30) 및 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1의 이동단말(50)을 이용하지 않고, 매장에 직접 방문하여 키오스크(10)를 통해 세탁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키오스크(10)는 복수의 세탁기(20)와 건조기(30)가 구비되는 매장에서 복수의 세탁기(20) 및 건조기(30)의 부근에 제공될 수도 있지만, 그와 별도의 장소에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키오스크(10)는 서버(4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서버(4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세탁기(20) 또는 건조기(30)에 작동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키오스크(10)는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1)가 배치되며, 디스플레이부(11)를 통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키오스크(10)는 회원등록을 안내하고, 사용자의 계정에 소정 금액을 충전하도록 안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키오스크(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세탁기(20) 또는 건조기(30)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세탁기(20) 또는 건조기(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세탁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로서, 도 4의 키오스크(10)의 디스플레이부(11)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만을 편의상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매장에 진입하여 키오스크(10)에 접근하면, 키오스크(10)의 디스플레이부(11)에는 도 5a의 (a)와 같은 메인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키오스크(10)의 메인 페이지에는, 세탁 서비스 이용을 위한 아이콘(5A), 건조 서비스 이용을 위한 아이콘(5B), 소모품 구매를 위한 아이콘(5C), 빨래대행 서비스 이용을 위한 아이콘(5D), 카드발급을 위한 아이콘(5E), 카드충전을 위한 아이콘(5F), 잔액조회를 위한 아이콘(5G) 및 동전교환을 위한 아이콘(5H)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욱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카드발급을 위한 아이콘(5E)을 선택하면, 도 5a의 (b)와 같이 회원등록을 안내하는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등록을 위해 필요한 정보는, 사용자의 이동단말의 번호 및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원등록을 완료하면, 키오스크(10)의 사용을 위한 카드가 발급될 수 있다. 이때 실물카드 형태로 키오스크(10)의 배출구를 통해 발급될 수도 있으나, 모바일카드의 형태로 사용자의 이동단말로 해당 정보가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도 5a의 (a)에서 충전을 위한 아이콘(5F)을 선택하면, 도 5a의 (c)와 같이 충전을 위한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5a의 (c)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에서 충전금액을 선택할 수 있으며, 실물카드를 키오스크(10)의 리더기(도시되지 않음)에 올린 후 투입되는 지폐를 확인하고 해당 카드에 금액을 충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소정 충전금액을 카드에 충전하는 경우, 서버(40)는 해당 충전금액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더 지급하여 충전할 수 있다. 이때 서버(40)는 충전금액과 포인트를 구분하여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가 키오스크(10)를 통해 충전금액을 사용할 때마다 잔여금액과 잔여포인트를 각각 별도로 안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충전된 금액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충전금액에서 사용할 것인지 또는 포인트에서 사용할 것인지를 확인하고, 각 금액중 얼마를 사용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하여, 충전금액을 사용하는 것과 포인트를 사용하는 것을 명확하게 하고 잔여금액 및 잔여포인트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충전금액의 환불을 요구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실물카드를 리더기(도시되지 않음)에 올린 후 환불요청하는 경우, 서버(40)는 키오스크(10)로부터 수신되는 잔액과 서버(40)에 저장된 잔액이 동일한 경우, 키오스크(10)가 해당 잔액을 환불하여 주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키오스크(10)로부터 수신되는 잔액과 서버(40)에 저장된 잔액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서버(40)는 해당 카드에 대한 로그기록을 확인하고, 사용내역을 대조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내역의 대조 이후, 사용자가 해당 대조내역에 동의하는 경우 키오스크(10)를 통해 잔액을 환불하고, 사용자가 동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점주의 점주단말(도시되지 않음)로 사용자가 동의하지 않으며 이에 대해 처리해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도 5a의 (a)에서 세탁 서비스 이용을 위한 아이콘(5A)을 선택하면, 도 5b의 (d)와 같이 복수의 세탁기가 디스플레이되며, 세탁기의 사용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세탁기(20)의 용량정보, 해당 세탁기(20)의 세탁에 소요되는 시간정보 및 가격정보를 도 5b의 (d)와 같이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현재 사용중인 세탁기를 5I와 같이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세탁기의 세탁 잔여시간을 하부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때 현재 동작중인 세탁기는 선택이 불가능하게 처리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사용가능한 세탁기(5J)에 해당 세탁기의 번호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수리중이어서 사용이 불가능한 세탁기는 5K와 같이 문이 열린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세탁기는 선택이 불가능하다.
사용자가 사용가능한 세탁기(5J) 및 지불방법(실물카드)을 선택한 경우, 키오스크(10)는 서버(4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세탁기의 용량과 세탁을 위한 가격정보를 도 5b의 (e)와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카드를 카드리더기에 놓은 후 확인아이콘(5L)을 선택하면, 키오스크(10)는 해당 카드에서 사용가격에 해당하는 금액을 차감하고, 세탁기(5I)는 키오스크(10)에 의해 동작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며, 사용자는 세탁기의 동작버튼을 눌러 해당 세탁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키오스크(10)를 통해 발급된 모바일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도 있다. 즉, 도 5b의 (d)와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가 사용가능한 세탁기(5J) 및 지불방법(모바일카드)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도 5b의 (f)와 같이 결제를 안내하는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모바일카드를 표시하는 이동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키오스크(10)의 바코드리더기(도시되지 않음)에 접근하면, 키오스크(10)는 해당 모바일카드에서 사용가격에 해당하는 금액을 차감하고, 세탁기(5I)는 키오스크(10)에 의해 동작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며, 사용자는 세탁기의 동작버튼을 눌러 해당 세탁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사용자는 현금결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도 5b의 (d)와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가 사용가능한 세탁기(5J) 및 지불방법(현금)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도 5c의 (g)와 같이 현금결제를 안내하는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키오스크(10)의 현금투입구에 현금을 투입하면, 키오스크(10)는 입력되는 현금을 확인하고, 세탁기(5I)는 키오스크(10)에 의해 동작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며, 사용자는 세탁기의 동작버튼을 눌러 해당 세탁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키오스크(10)의 도 5b의 (d)와 같은 화면에서, 건조 서비스 이용을 위한 아이콘(5B)을 선택하면, 도 5c의 (h)와 같이 복수의 건조기가 디스플레이되며, 건조기의 사용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건조기(30)의 용량정보, 해당 건조기(30)의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정보 및 가격정보를 도 5c의 (h)와 같이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현재 사용중인 건조기를 5M와 같이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건조기의 동작 잔여시간을 하부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때 현재 동작중인 건조기는 선택이 불가능하게 처리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사용가능한 건조기(5N)에 해당 건조기의 번호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수리중이어서 사용이 불가능한 건조기는 5O와 같이 문이 열린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세탁기는 선택이 불가능하다.
사용자가 사용가능한 건조기(5M)를 선택한 경우, 해당 건조기의 용량과 건조시간 및 이에 대응하는 가격정보를 도 5c의 (i)와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건조시간과 지불방법을 선택하면, 해당 건조기가 동작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며, 사용자는 해당 건조기의 동작버튼을 눌러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때 지불방법에 따른 결제안내는 세탁기의 결제안내와 같이 (e) 내지 (g)의 방법을 통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5a의 (a)의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가 소모품 구매를 위한 아이콘(5C)을 선택한 경우, 표백제, 유연제, 또는 봉투와 같은 다양한 소모품 구매를 위한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지불방법으로 소모품을 구매할 수 있으며, 구매한 소모품은 키오스크(10)의 배출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사용자는 도 5a의 (a)의 디스플레이에서, 보유한 카드의 잔액을 조회하기 위한 아이콘(5G)을 선택한 경우, 키오스크(10)의 카드리더기에 카드를 놓을 것을 안내할 수 있으며, 카드리더기를 통해 읽은 카드의 잔액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동전교환을 위한 아이콘(5H)을 선택한 경우, 현금투입을 안내할 수 있으며, 해당 현금에 대응하는 동전을 키오스크(10)의 동전배출구를 통해 지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a의 (a)의 세탁대행 서비스를 위한 아이콘(5D)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시스템은, 키오스크(10)와, 복수의 세탁기(20), 복수의 건조기(30), 서버(40) 및 라커(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5a의 (a)와 같은 키오스크(10)의 디스플레이에서, 세탁대행 서비스를 위한 아이콘(5D)을 선택한 경우, 키오스크(10)는 사용가능한 라커가 있는지 조회하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라커(60) 각각에 고유번호가 부여되며, 키오스크(10)를 통해 어떠한 라커가 사용가능한지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한 조회는 키오스크(10)가 아닌 사용자의 이동단말(50)을 통해서도 조회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가능한 라커(60)가 없는 경우에는 매장을 방문하지 않아도 되므로, 헛수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키오스크(10)를 통해 빈 라커(60)를 선택하여 결정하고, 세탁대행 서비스를 위한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이때, 지불방법은 위의 (e) 내지 (g)를 통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지불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세탁물을 선택한 라커에 넣고 도어를 닫으면, 해당 도어는 키오스크(10)의 제어에 의해 라킹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1회용 비밀번호를 키오스크(10)의 화면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이후, 매장의 매니저가 해당 라커를 열고 세탁물을 수거한 후, 매장의 세탁기(20) 및 건조기(30)를 통해 세탁을 완료하고 해당 라커에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넣으면, 사용자는 해당 세탁물을 찾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키오스크(10)는 서버(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세탁이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동단말(50)로 세탁대행 서비스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매장을 방문하여 해당 라커에서 사용자가 키오스크(10)를 통해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도어를 열고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가져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키오스크를 통해 세탁대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사용자 입장에서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세탁 서비스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가맹점 점주 입장에서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세탁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 4의 시스템에서 가맹점 점주단말(80)을 추가하여 도시한 것이다. 가맹점 점주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키오스크(10), 복수의 세탁기(20) 및 복수의 건조기(30)를 운영하는 자로서, 가맹점 점주단말(80)은 예를 들어 휴대폰과 같은 이동단말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C와 같은 고정단말일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가맹점에 키오스크(10), 복수의 세탁기(20) 및 건조기(30)가 배치되며, 가맹점 점주는 점주단말(80)을 소지하고, 서버(40)는 키오스크(10)와 점주단말(80)과 통신을 하고 또한 사용자 이동단말(50)과도 통신할 수 있다. 서버(40)는 복수의 가맹점의 키오스크(10)와 통신할 수 있으며, 각 가맹점 점주단말(80)과도 통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맹점 내에는 소모품을 판매하는 자판기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키오스크(10)가 소모품을 직접 판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자판기에서 판매되는 물품 및 그에 대한 가격정보는 키오스크(10)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판기에서 판매중인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키오스크(10) 상에서 물품(복수물품, 복수수량 선택할 수 있음)을 선택하고, 키오스크(10)를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키오스크(10)를 통해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키오스크(10)는 가맹점내 장비(세탁기(20) 및 건조기(30))의 사용현황과 관련한 정보와 고객(사용자)현황과 관련한 정보, 및 자판기 또는 키오스크(10)가 판매하는 소모품 판매현황과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여, 서버(4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40)는 키오스크(10)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저장하고, 점주단말(80)로 소정 주기에 따라 매출정보, 소모품 잔여량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소모품 잔여량과 관련한 정보와 관련하여, 세제, 섬유유연제, 표백제, 세척제 등의 소모품의 재고가 일정수 이하인 경우, 이를 점주단말(80)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점주단말(80)은 서버(40)로부터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고, 서버(4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매출정보 및 소모품 잔여량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점주는 점주단말(80)을 통해 소모품의 잔여량 정보를 확인하고 자신의 가맹점에 소모품을 보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소모품 잔여량 정보에 포함되는 자동발주 기능이 설정된 경우, 자동으로 해당 물품에 대한 자동발주 메시지가 지사 또는 본사로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점주는 점주단말(80)을 통해 월별 매출에 대한 세무 및 회계자료를 서버(4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간편하게 세무 및 회계신고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서버(40)는 일별, 월별, 분기별, 반기별, 연별 등 특정 기간별 장비의 체크리스트, 점검리스트, 청소리스트 등 다양한 정보를 점주단말(8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점주는 해당 리스트에 대응하여 체크, 점검, 및 청소를 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서버(40)는 해당 가맹점의 직원의 근태관련 사항을 점주단말(80)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고, 점주단말(80)로 이를 리스트업해서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서버(40)가 점주단말(80)로 전송하는 장비의 사용현황과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각 장비의 사용시간 및 각 장비에서 소모되는 부품의 가동시간 잔여정보를 점주단말(8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20)에 사용되는 A 부품이 100시간 사용가능한 경우, 현재 해당 A 부품의 가동시간이 20시간이 남아있음을 점주단말로 알릴 수 있으며, 점주는 점주단말(80)에 디스플레이되는 각 장비의 부품 가동시간 잔여정보를 확인하여, 미리 해당 장비가 고장이 나기 전에 부품을 교체할 수 있을 것이다.
종래의 경우, 점주는 장비의 소모부품의 가동시간이 완료되어 고장이 나는 경우에 한해 해당 부품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고장발생후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기간동안 장비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면, 미리 소모 부품의 가동시간 잔여정보를 확인하게 하여 점주가 미리 부품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장비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 키오스크(10)가 서버(40)로 전송하는 사용자와 관련한 정보는, 사용자 이동단말(50)의 전화번호, 사용현황 정보, 및 잔액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참조로, 서버(40)는 사용자가 일정기간 가맹점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해당 이동단말(50)로 이용을 장려하기 위한 이벤트 쿠폰(예를 들어 가격할인 쿠폰)을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가맹점 장비를 사용하는 중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종래에는 사용자가 점주에게 전화를 걸거나 서버(40)의 운용사에 전화를 거는 등의 방법으로 연락을 취하고, 점주가 직접 가맹점에 방문하여 장비의 에러를 해소하는 방식으로 장비를 유지보수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에서는, 키오스크(10)는 장비의 사용현황과 관련한 정보를 소정 주기에 따라, 또는 실시간으로 수집하게 되므로, 장비에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이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40)가 수집할 수 있다. 서버(40)는 원격으로 에러에 대한 해결이 가능한 경우(즉, 소프트웨어적인 해결이 가능한 경우), 키오스크(10)를 통해 장비에 해결명령을 전송하고, 키오스크(10)는 해당 명령을 장비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서버(40)는 원격으로 에러에 대한 해결이 불가능한 경우(즉, 하드웨어적인 해결이 가능한 경우)에는, 점주단말(80)로 에러의 종류 및 해결방안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장비에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서버(40)는 점주단말(80) 뿐 아니라 지사 및 본사의 매니저의 단말(도시되지 않음)로도 에러의 종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장비의 에러는 코드로 분류되어 서버(40)가 저장할 수 있으며, 장비에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서버(40)는 해당 에러의 코드를 결정하고, 이에 대해 단순 정비가 가능한 에러인지, 또는 고도 정비가 요구되는 에러인지를 결정하여, 이를 각각 점주단말(80), 지사 또는 본사 매니저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단순 정비가 가능한 에러인 경우, 점주단말(80)과 지사 매니저의 단말로 이에 대한 에러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C123'이 발생하였습니다. A지사는 A/S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메시지를 점주단말(80)과 지사 매니저의 단말의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서버(40)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데이터를 누적하고, 키오스크(10)로부터 수신되는 장비의 사용현황과 관련한 정보 및 매출데이터를 누적할 수 있을 것이다.
서버(40)는 날씨예보를 참조로 하여, 매출이 적어지는 경우에 해당하면, 점주단말(80)로 이벤트를 제공할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점주단말(80)로부터 이에 동의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서버(40)는 사용자의 이동단말(50)로 이벤트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동시에 서버(40)는 해당 가맹점의 키오스크(10)를 통해 장비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가 오는 경우 세탁 50% 인하!'라는 메시지를 이동단말(50)로 전송한 경우, 가맹점의 세탁기(20)로 해당 날짜에 세탁을 위한 설정금액이 변동되도록 하는 제어메시지를 키오스크(10)로 전송하고, 키오스크(10)는 이를 세탁기(20)에 각각 전송하여, 세탁기(20)의 설정금액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경우 세탁기나 건조기의 설정변경을 위해 직접 점주가 가맹점에 방문하여 설정을 변경하여야 했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에서는, 원격으로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점주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는, 서버(40)는 장비의 시간대별 사용현황 데이터를 축적하여, 하루중 이용고객이 적은 시간대에 할인을 제공하는 이벤트와 관련하여, 점주단말(80)로 이벤트를 제공할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점주단말(80)로부터 이에 동의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서버(40)는 사용자의 이동단말(50)로 이벤트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동시에 서버(40)는 해당 가맹점의 키오스크(10)를 통해 장비의 설정을 변경하는 메시지를 키오스크(1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세탁 50% 인하!'라는 메시지를 이동단말(50)로 전송한 경우, 가맹점의 세탁기(20)로 해당 일시에 세탁을 위한 설정금액이 변동되도록 하는 제어메시지를 키오스크(10)로 전송하고, 키오스크(10)는 이를 세탁기(20)에 각각 전송하여, 해당 시간에 세탁기(20)의 설정금액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서버(40)는 월별 가맹점의 매출추이를 분석하여, 월 매출이 점주가 설정하여 놓은 매출 이하인 경우 또는 평균 월매출 이하인 경우 점주단말(80)로 가격인하 이벤트, 판촉물 증정 이벤트, 전단지 홍보 등이 필요하다는 매출확대 또는 고객이용 유도 추천방안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점의 매출이 예상치에 도달하지 못하였습니다. 매출확대를 위해, OO 이벤트를 추천하여 드립니다"라는 메시지를 점주단말(8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점주단말(80)로부터 이에 동의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의 이동단말(50)로 이벤트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동시에 서버(40)는 해당 가맹점의 키오스크(10)를 통해 이벤트의 내용에 대응하여 장비의 설정을 변경하는 메시지를 키오스크(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키오스크 20: 세탁기
30: 건조기 40: 서버
50: 사용자단말 60: 라커
80: 점주단말

Claims (11)

  1. 복수의 세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 및
    상기 복수의 세탁기 각각의 용량정보, 세탁에 소요되는 시간정보 및 가격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사용중인 세탁기와 사용가능한 세탁기 및 사용이 불가능한 세탁기를 각각 달리 상기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건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건조기 각각의 용량정보,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정보 및 가격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사용중인 건조기와 사용가능한 건조기 및 사용이 불가능한 건조기를 각각 달리 상기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가 사용가능한 건조기를 선택한 경우, 해당 건조기의 복수의 건조시간에 대한 가격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복수의 세탁기; 및
    상기 복수의 세탁기의 부근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세탁기 각각의 용량정보, 세탁에 소요되는 시간정보 및 가격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사용중인 세탁기와 사용가능한 세탁기 및 사용이 불가능한 세탁기를 각각 달리 디스플레이하는 키오스크를 포함하는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의 부근에 배치되는 복수의 건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복수의 건조기 각각의 용량정보,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정보 및 가격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사용중인 건조기와 사용가능한 건조기 및 사용이 불가능한 건조기를 각각 달리 상기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의 부근에 배치되는 복수의 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사용자가 사용가능한 라커를 선택하고 세탁대행 서비스의 비용을 지불하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라커를 라킹하는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단말;
    점주가 소지하는 점주단말;
    세탁기 및 건조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장비;
    상기 장비의 사용현황과 관련한 정보, 고객현황과 관련한 정보 및 소모품 판매현황과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는 키오스크; 및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상기 장비의 사용현황과 관련한 정보, 고객현황과 관련한 정보 및 소모품 판매현황과 관련한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세탁 서비스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점주단말로 소정 주기에 따라 매출정보, 소모품 잔여량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세탁 서비스 관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고객현황과 관련한 정보를 참조로, 사용자가 일정기간 상기 장비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로 이용장려를 위한 이벤트 쿠폰을 전송하는 세탁 서비스 관리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장비의 사용현황과 관련한 정보를 참조로, 각 장비의 사용시간 및 각 장비의 소모부품의 가동시간 잔여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점주단말로 전송하는 세탁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장비의 사용현황과 관련한 정보와 기상데이터를 누적하여, 매출이 적어지는 날씨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로 이벤트 쿠폰을 전송하는 세탁 서비스 관리 시스템.
KR1020180059184A 2018-05-24 2018-05-24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관리 시스템 KR20190134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184A KR20190134038A (ko) 2018-05-24 2018-05-24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184A KR20190134038A (ko) 2018-05-24 2018-05-24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038A true KR20190134038A (ko) 2019-12-04

Family

ID=69004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184A KR20190134038A (ko) 2018-05-24 2018-05-24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403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425B1 (ko) * 2021-02-26 2022-02-08 이동영 비대면 지향적 공용세탁실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CN114687124A (zh) * 2020-12-31 2022-07-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智能终端推荐外置投放模块配置方法及外置投放模块
KR20220094293A (ko) * 2020-12-28 2022-07-06 주식회사 소셜앤피플 키오스크를 통한 포터 전용 세탁 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40006275A (ko) 2022-07-06 2024-01-15 림스솔루션(주) 키오스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293A (ko) * 2020-12-28 2022-07-06 주식회사 소셜앤피플 키오스크를 통한 포터 전용 세탁 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4687124A (zh) * 2020-12-31 2022-07-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智能终端推荐外置投放模块配置方法及外置投放模块
KR102357425B1 (ko) * 2021-02-26 2022-02-08 이동영 비대면 지향적 공용세탁실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20240006275A (ko) 2022-07-06 2024-01-15 림스솔루션(주) 키오스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4038A (ko)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관리 시스템
US6609102B2 (en) Universal interactive advertizing and payment system for public access electronic commerce and business related products and services
CN107921799A (zh) 供打印材料使用的打印机配置
US10275746B1 (en) Remote controlled washer, dryer, laundry product dispenser and pay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837676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자판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065198A1 (en) Transaction management system and transaction management method
CA2291015C (en) Universal interactive advertising & payment system for public access electronic commerce & business related products and services
JP2002163555A (ja) サービス管理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管理方法
US10078824B2 (en) Platform and method for integrating services in a terminal or kiosk
KR102053251B1 (ko) 스터디카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50068190A1 (en) Personal retail tool and server system
US11455636B2 (en) Transaction management system and transaction management method
JP6167082B2 (ja) 自動販売機を利用した販売促進システム
KR10195058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의 확장이 용이한 자판기 결제 시스템
KR102413169B1 (ko) 아이템 렌탈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KR20170056238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자판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47815A (ko) 자동이송시스템을 이용한 무인 세탁물 위탁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10065199A1 (en) Transaction management system and transaction management method
KR102490432B1 (ko) 키오스크를 통한 포터 전용 세탁 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7406858B2 (ja) 自動サービス装置および管理システム
JP7357376B2 (ja) 実店舗、実店舗決済支援システム、コインランドリー店、及びコインランドリー店決済支援システム
KR102380284B1 (ko) 박매니저 솔루션을 이용한 자동화 디바이스 및 그의 방법
JP2015153038A (ja) アミューズメント施設向けの決済システム、及びその決済制御方法
JP7290377B2 (ja) 駐車場決済システムにおける精算機、中間サーバー、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
JP7219936B2 (ja) 自動販売機決済システム及び自動販売機決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