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581B1 -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의 확장이 용이한 자판기 결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의 확장이 용이한 자판기 결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581B1
KR101950581B1 KR1020170064355A KR20170064355A KR101950581B1 KR 101950581 B1 KR101950581 B1 KR 101950581B1 KR 1020170064355 A KR1020170064355 A KR 1020170064355A KR 20170064355 A KR20170064355 A KR 20170064355A KR 101950581 B1 KR101950581 B1 KR 101950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vending machine
smartphone
settlemen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8795A (ko
Inventor
조호용
Original Assignee
조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호용 filed Critical 조호용
Priority to KR1020170064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581B1/ko
Publication of KR20180128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판기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전이나 지폐를 이용한 결제가 가능한 통상적인 자판기에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모듈과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를 설치하고, 스마트폰과 격지의 사업자 서버 간에 무선통신망 상에서 자판기에서의 물품 구매금액에 대한 결제가 진행된 후, 그 결제결과를 포함하는 결제인증정보와 물품구매정보를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것만으로 자판기에서 물품을 구매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을 자판기에 간편하게 추가할 수 있게 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의 확장이 용이한 자판기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의 확장이 용이한 자판기 결제 시스템{PAYING SYSTEM OF VENDING MACHINE EASY TO ADD OF PAYMENT MEANS USING SMART PHONE}
본 발명은 자판기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전이나 지폐를 이용한 결제가 가능한 통상적인 자판기에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모듈과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를 설치하고, 스마트폰과 격지의 사업자 서버 간에 무선통신망 상에서 자판기에서의 물품 구매금액에 대한 결제가 진행된 후, 그 결제결과를 포함하는 결제인증정보와 물품구매정보를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것만으로 자판기에서 물품을 구매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을 자판기에 간편하게 추가할 수 있게 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의 확장이 용이한 자판기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판매기(Vending Machine)는 자판기라고도 줄여서 불리며, 사람이 없어도 투입되는 동전이나 지폐에 의해 물품의 대금을 정산처리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물품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장치로서, 작은 공간만 있으면 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상주하는 판매원이 없어도 사용자가 원하는 물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어 커피 등 음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스낵류, 생필품류 등 판매 상품이 다양화되고 있는 등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판기에서는 물품 구매대금을 자동판매기에서 자동으로 수령하고 수령한 금액도 인식하여야 하였는바, 종래에는 동전이나 지폐 등 현금형태의 화폐를 동전투입구나 지폐투입구로 투입하여서만 결제가 가능하였으나, 이 경우 소액의 현금을 항상 소지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에 따라, 근래에는 현금보다는 카드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거래 현실을 반영하여, 교통카드처럼 주파수를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RF카드로 자판기에서 결제할 수 있도록 자판기에 RF카드 리더기를 설치하거나, 일반적인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로 자판기에서 결제할 수 있도록 카드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단말기를 설치하기도 하는 등 자판기에 구비된 결제수단을 다양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RF카드나 신용카드 등의 카드결제를 자판기에서 실행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용카드/RF카드 리더기나 단말기에서 획득한 카드정보를 격지의 결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CDMA 모듈 등의 원거리용 유무선 통신모듈을 구비해야 하였고, 카드결제를 위해 통신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단말기 등의 설치비용뿐만 아니라 유료의 통신비용이 지속적으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842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동전 등이 없어도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자판기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판매기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8423호의 경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을 장착하여 메시지 송수신에 의해 결제가 이루어졌음을 자판기에서 인지하고 상품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동전 없이 자판기의 이용이 가능한 장점은 있으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격지의 자동판매기 상품 판매 시스템과 통신 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이를 위한 통신비용이 지속적으로 소요되는 것을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426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사업자 서버에 접속한 후 결제를 수행하면,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로부터 결제가 이루어졌음을 수신한 자판기사업자 서버에서 결제금액에 대한 정보를 해당 자판기로 전송하여, 자판기에서 물품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자판기 결제시스템 및 자판기 결제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4269호의 경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비스사업자 서버에 접속한 후 결제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별도의 예치금이 없어도 UBPay App.과 같은 모바일 결제 어플을 이용하여 결제가 가능하게 하였다는 장점은 있으나, 이 경우에도 여러 지역에 산재하여 설치되어 있는 자판기들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자판기사업자 서버로부터 해당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가 이루어졌음에 관한 정보를 일일이 수신하여야 하였는바, 이처럼 자판기사업자 서버와의 통신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통신수단과 통신비용이 지속적으로 소요되는 것을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또한, 이처럼 종래에 제안되었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판매기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이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자판기 결제시스템 및 자판기 결제방법 등의 경우 외부의 자동판매기 상품 판매 시스템이나 자판기사업자 서버 등과 통신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나 통신수단이 구비되는 형태로 새로이 제작되어야 하였는바, 이미 전국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자판기에는 쉽게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그로 인해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자판기 결제가 널리 보급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842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4269호
본 발명은 동전이나 지폐를 이용한 결제가 가능한 통상적인 자판기에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모듈과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를 설치하고, 스마트폰과 격지의 사업자 서버 간에 무선통신망 상에서 자판기에서의 물품 구매금액에 대한 결제가 진행된 후, 그 결제결과를 포함하는 결제인증정보와 물품구매정보를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것만으로 자판기에서 물품을 구매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을 자판기에 간편하게 추가할 수 있게 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의 확장이 용이한 자판기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의 확장이 용이한 자판기 결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제수단에서의 결제 여부를 인지한 메인 컨트롤러가 결제금액의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물품을 자동 배출하는 자판기; 상기 자판기에 추가 결합되어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블루투스 모듈;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스마트폰과 데이터 통신하며 자판기의 고유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무선통신망 상에서 처리된 결제인증정보를 수신한 후 메인 컨트롤러로 전송하도록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와 데이터 통신하며 자판기와 구매 물품을 선택하고, 무선통신망 상에서 격지의 사업자 서버에 연결되어 자판기의 물품 구매 대금에 대한 결제를 요청한 후, 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하여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에서의 결제 요청에 따라 미리 연결되어 있는 VAN 사업자나 금융기관의 서버로부터 일정 금액에 대한 결제를 승인받은 후, 승인된 결제금액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결제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사업자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로를 형성하고 있는 스마트폰으로 미리 등록되어 있는 자판기 고유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의 결제 수행 후 결제금액의 범위 내에서 생성된 결제인증정보와 물품구매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폰 결제부;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 결제부에서 수신한 결제인증정보와 물품구매정보를 해당 스마트폰에서의 결제정보로서 메인 컨트롤러로 전송하여 선택 물품의 배출을 요청하는 메인 컨트롤러 연결부; 및 상기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통신과 메인 컨트롤러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은,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상기 자판기에 구비된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하며 자판기를 특정하고, 무선통신망 상에서 격지의 사업자 서버에 연결되어 결제를 수행한 후,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인증정보와 물품구매정보를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자판기로 전송하게 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 및 사업자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는 스마트 결제 앱(APP)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은,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폰 결제부와 데이터 통신하면서 자판기 고유코드를 수신하고 자판기를 특정하는 자판기 연결부; 무선통신망상에서 격지의 사업자 서버에 연결되어 특정된 자판기에서 물품 구매에 사용할 금액에 대한 선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사업자 서버에서 선결제된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사업자 서버 결제부; 및 상기 사업자 서버 결제부에서 수신한 결제인증정보와,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조작하여 선택한 물품구매정보를,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구매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판기 연결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출되는 자판기의 고유코드와 물품 목록 및 가격정보를 보고, 사용자가 자판기를 선택하여 특정하면 이러한 사용자의 선택정보를 상기 사업자 서버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로도 전송하여 특정된 자판기와의 데이터 통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업자 서버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가 가능하도록 등록된 자판기의 고유코드와 물품목록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자판기 등록부; 무선통신망 상에서 접속한 상기 스마트폰의 요청에 의해 자판기의 물품 구매에 이용할 금액을 VAN 사업자나 금융기관 서버와 연동하면서 결제를 수행하고, 결제금액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대금결제부; 및 상기 대금결제부에서 수행된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구매요청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자판기의 고유코드와 물품구매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결제금액을 차감 갱신하고, 차감된 금액을 해당 고유코드가 부여된 자판기의 판매대금으로 이동시켜 갱신하는 결제인증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격지의 사업자 서버 간에 무선통신망 상에서 자판기에서의 물품 구매금액에 대한 결제가 진행된 후, 그 결제결과를 포함하는 결제인증정보와 물품구매정보를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것만으로 자판기에서 물품을 구매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속적인 통신비용이 요구되는 CDMA 모듈 등 원거리 통신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자판기 이용시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전 투입구나 지폐 투입구를 결제수단이 구비된 상태로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자판기에,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모듈과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를 설치하여, 스마트폰을 새로운 결제수단으로 손쉽게 추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결제수단으로 추가함으로써, 동전이나 지폐 등 현금을 보유하지 않고도 기존의 자판기를 이용하여 물품을 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판기 결제형태를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의 확장이 용이한 자판기 결제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의 확장이 용이한 자판기 결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자판기에 스마트폰 결제부가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의 확장이 용이한 자판기 결제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의 확장이 용이한 자판기 결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의 확장이 용이한 자판기 결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제수단에서의 결제 여부를 인지한 메인 컨트롤러가 결제금액의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물품을 자동 배출하는 자판기(100)와, 상기 자판기에 추가 결합되어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블루투스 모듈(200)과,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스마트폰과 데이터 통신하며 자판기의 고유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무선통신망 상에서 처리된 결제인증정보를 수신한 후 메인 컨트롤러로 전송하도록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300)와,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와 데이터 통신하며 자판기와 구매 물품을 선택하고 무선통신망 상에서 격지의 사업자 서버에 연결되어 자판기의 물품 구매 대금에 대한 결제를 요청한 후 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하여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스마트폰(400)과, 상기 스마트폰에서의 결제 요청에 따라 미리 연결되어 있는 VAN 사업자나 금융기관의 서버로부터 일정 금액에 대한 결제를 승인받은 후 승인된 결제금액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결제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사업자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판기(100)는, 커피 등 음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스낵류, 생필품류 등 다양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통상적인 자판기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 가능한 물품을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급탄기(Stoker)와, 사용자가 결제한 금액에 대한 정보 등이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수단(Display)과,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의 선택이 가능한 버튼(Button)과, 사용자가 선택한 물품의 선택 여부를 표시하는 램프(Lamp)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물품 구매 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수단으로 현금을 투입할 수 있는 지폐 투입구(120)와 동전 투입구(130) 등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자판기는 결제수단으로 신용카드나 RF카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신용카드 리더기나, RF카드 리더기(140) 등이 더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자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이 적용되어 새로이 제작된 자판기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동전 투입구와 지폐 투입구 등의 통상적인 결제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종래의 자판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현재 여러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 자판기에 상기 블루투스 모듈과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를 추가한 후 자판기의 메인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만으로도, 이미 구비되어 있는 결제수단에 더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을 추가할 수 있게 되므로, 자판기를 이용함에 있어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의 활용도를 급격히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자판기(100)는 동전 투입구(130)나 지폐 투입구(120) 또는 신용카드 리더기나 RF카드 리더기(140)에서 획득하는 결제 정보를 수신하여 물품 구매를 위한 결제가 이루어졌음을 인지한 후, 결제금액의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물품을 자동으로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110)가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메인 컨트롤러(110)는, 무선통신망 상에서 사업자 서버에 접속하여 결제를 수행한 스마트폰(400)으로부터 전송되는 결제인증정보와, 사용자의 선택으로 생성된 후 스마트폰(400)으로부터 전송되는 물품구매정보를,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전달받은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300)로부터 재전송 받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판기 물품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 여부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자판기 자체로서는 스마트폰 결제를 위해 격지의 사업자 서버나 VAN 사업자와의 연결을 위한 CDMA 통신수단이 필요 없게 되어 운영을 위한 통신비용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200)은,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스마트폰(400)과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수단으로서, 자판기의 임의 영역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판기의 메인 컨트롤러(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블루투스 모듈(200)이 메인 컨트롤러(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블루투스 모듈에의 전원공급이 가능하고 블루투스 모듈의 고장 여부 등에 대한 관리와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블루투스 모듈(200)은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의 용이한 전기적 연결과, 자판기 자체 하우징에의 간편한 결합을 위해 동글형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로를 형성하고 있는 스마트폰으로 미리 등록되어 있는 자판기 고유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의 결제 수행 후 결제금액의 범위내에서 생성된 결제인증정보와 물품구매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폰 결제부(310)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 결제부에서 수신한 결제인증정보와 물품구매정보를 해당 스마트폰에서의 결제정보로서 메인 컨트롤러로 전송하여 선택 제품의 배출을 요청하는 메인 컨트롤러 연결부(320)와, 상기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통신과 메인 컨트롤러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폰 결제부(310)는,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연결되는 스마트폰(400)으로 해당 자판기의 고유코드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스마트폰(400)에서 자판기 고유코드를 보고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자판기를 특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결제부(310)는 특정된 자판기에서 구매할 수 있는 물품에 대한 품목과 가격정보도 함께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휴게소 등 특정지역에 다수의 자판기가 밀집 설치됨이 일반적인바, 상기 스마트폰 결제부(310)는 사용자가 자판기를 특정할 수 있도록 각 자판기의 고유코드를 블루투스 통신망으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에 설치되어 있는 자판기에 부착된 별도의 스티커나 인쇄물에 기재된 자판기 고유코드에 의해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선택하는 자판기를 직접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결제부(310)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자판기 선택신호를 수신한 후에는, 해당 스마트폰에서의 물품 구매가 완료되거나, 스마트폰이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되기까지 해당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통신만이 가능하도록 제한함으로써, 여러 사람이 동일 자판기에서 동시에 결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현재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가 진행 중임을 램프의 점등 상태 등으로 외부에 표출시킴으로써, 스마트폰의 결제뿐만 아니라, 동전이나 지폐 등을 이용한 중복 결제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결제부(310)는, 스마트폰에서 격지의 사업자 서버와 통신하며 일정 비용의 결제를 수행한 후 사업자 서버로부터 전달받는 결제인증정보와, 결제금액의 범위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물품의 배출을 요청하는 물품구매정보를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폰(400)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 연결부(3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컨트롤러(110)에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폰 결제부(310)에서 수신한 결제인증정보를 메인 컨트롤러(110)로 전송하면서 결제가 이루어졌음을 알리고, 사용자의 물품구매정보도 메인 컨트롤러(110)로 전송하여 해당 물품의 배출을 요청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러 연결부(320)는, 자판기의 고유코드를 메인 컨트롤러로부터 전달받아 스마트폰 결제부로 전송하는 등 상기 메인 컨트롤러(110)와의 전기적인 연결에 따른 데이터 및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400) 자체의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격지의 사업자 서버(500)와 통신하며 결제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자판기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를 진행하기 위해 CDMA 통신모듈 등 원거리 통신수단이 구비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판기의 물품 구매대금에 대한 결제가 자판기가 아닌 스마트폰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자판기에는 원거리 통신수단 대신 가까운 거리에서 스마트폰과 데이터 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만 구비되어도 무방하게 된다.
그에 따라, 종래 자판기에서 신용카드 결제나 RFID 카드 결제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카드 리더기뿐만 아니라, 획득한 카드정보를 격지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할 수 있는 CDMA 통신모듈 등이 구비되어야 하였으므로 부품가격이 수십 만원에 이르렀으나,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원거리 통신수단 등이 없어도 스마트폰 자체의 통신망으로 결제가 가능하게 되므로 약 10분의 1에 해당하는 비용만으로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마트폰(400)은,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폰 결제부와 데이터 통신하면서 자판기 고유코드를 수신하고 자판기를 특정하는 자판기 연결부(410)와, 무선통신망상에서 격지의 사업자 서버에 연결되어 특정된 자판기에서 물품 구매에 사용할 금액에 대한 선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사업자 서버에서 선결제된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사업자 서버 결제부(420)와, 상기 사업자 서버 결제부에서 수신한 결제인증정보와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조작하여 선택한 물품구매정보를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구매요청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400)은,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상기 자판기에 구비된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300)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하며 자판기를 특정하고, 무선통신망 상에서 격지의 사업자 서버(500)에 연결되어 결제를 수행한 후,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인증정보와 물품구매정보를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특정 자판기(100)로 전송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 및 사업자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인 스마트 결제 앱(APP)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에 기구적인 변경을 가하지 않고 스마트 결제 앱(APP)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것만으로, 스마트폰 자체적으로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과 원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자판기에서의 물품 구매대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판기 연결부(410)는, 상기 스마트 결제 앱(APP)이 활성화되면서 스마트폰에 구비되어 있는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 일정거리 내에 있는 자판기에 구비된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300)와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데이터 통신하며 각 자판기(100)의 고유코드를 수신하여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자판기 연결부(410)는, 자판기의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300)로부터 자판기의 고유코드만을 수신한 후 이를 상기 사업자 서버(500)로 전송하여 각 자판기에서 구매 가능한 물품의 목록과 가격에 관한 정보를 사업자 서버(500)로부터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각 자판기의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300)로부터 자판기의 고유코드와 구매 가능한 물품의 목록과 가격 정보도 함께 제공받아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자판기 연결부(41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출되는 자판기의 고유코드와 물품 목록 및 가격정보를 보고 사용자가 자판기를 선택하여 특정하면, 이러한 사용자의 선택정보를 상기 사업자 서버(500)로 전송하여 추후 결제승인정보에 포함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300)로도 전송하여 특정된 자판기와의 데이터 통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업자 서버 결제부(420)는, 상기 자판기 연결부(410)에서 특정한 자판기에서의 물품 구매에 사용할 금액에 대한 선결제를 상기 사업자 서버(500)로 요청하여, 상기 스마트폰(400)과 사업자 서버(500) 상호 간에 무선통신망상에서의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과 사업자 서버 상호간의 결제는 사용자가 미리 등록해 놓은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통한 카드결제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계좌이체, 또는 모바일 페이를 이용한 결제 등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결제가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자가 자판기를 이용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특정 금액에 대한 결제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자판기에서 구매하는 물품이 1~2천원대의 소액인 경우가 많고, 카드결제시 자판기 사업자가 부담해야 하는 수수료나 계좌이체시 사용자가 부담해야 하는 이체수수료 등을 고려할 때 만원단위의 금액으로 결제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사업자 서버 결제부(420)에서 만원단위의 일정금액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질 경우 해당 결제 내역에 따른 결제금액은 해당 사용자의 결제인증정보로 사업자 서버(400)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게 되며, 추후 잔액의 범위 내에서 다른 자판기를 이용할 때 마다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로서는 데이터베이스에 남아 있는 잔액이 부족할 경우에는 다양한 결제방식을 통해 언제라도 결제할 수 있으며, 잔액의 범위 내에서는 추가 결제 없이 자유롭게 자판기에서의 물품 구매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매요청부(430)는, 상기 사업자 서버 결제부(420)에서 사업자 서버로부터 수신한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인증정보와, 사용자가 특정한 자판기에서 구매하려는 물품을 선택한 물품구매정보를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300)로 전송하여 물품의 구매를 요청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매요청부(430)는 물품구매정보에 자판기의 고유코드를 함께 결합하여 전송함으로써, 물품구매정보를 수신한 해당 자판기에서 물품의 구매가 가능하게 함은 물론, 이러한 자판기의 고유코드와 물품구매정보를 상기 사업자 서버(500)로도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결재금액의 차감 갱신에 적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구매요청부(430)를 통하여 상기 자판기에 구비된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300)로 전송되는 물품구매정보가 사업자 서버(500)로도 전송됨으로써, 사용자가 자판기에서 물품을 구매할 때마다, 상기 사업자 서버(500)에서는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상에 존재하는 결제금액을 차감하여 해당 자판기의 판매대금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자판기에서 해당 물품에 대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될 경우에는 이러한 오류정보를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300)에서 스마트폰(400)으로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전송하고, 상기 구매요청부(430)는 이러한 오류정보를 상기 사업자 서버(500)로 다시 전송하여 결제금액의 차감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사업자 서버(500)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가 가능하도록 등록된 자판기의 고유코드와 물품목록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자판기 등록부(510)와, 무선통신망 상에서 접속한 상기 스마트폰의 요청에 의해 자판기의 물품 구매에 이용할 금액을 VAN 사업자나 금융기관 서버와 연동하면서 결제를 수행하고 결제금액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대금결제부(520)와, 상기 대금결제부에서 수행된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구매요청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자판기의 고유코드와 물품구매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결제금액을 차감 갱신하고 차감된 금액을 해당 고유코드가 부여된 자판기의 판매대금으로 이동시켜 갱신하는 결제인증정보 관리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판기 등록부(510)는,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가 가능하도록 상기 블루투스 모듈과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가 구비된 자판기의 고유코드와, 각 자판기에서 판매되는 물품목록을 가격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자판기의 고유코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결제인증정보 관리부(530)에서 물품구매가 이루어진 자판기를 상기 물품구매정보와 함께 전송되는 자판기의 고유코드에 의해 식별할 수 있게 되므로, 각 자판기마다 판매금액을 누적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가 이루어지는 자판기들이 동일한 사업자의 소유일 필요가 없으므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판기 결제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대금결제부(520)는, 별도의 통신망을 통하여 VAN 사업자나 금융기관의 서버 등에 접속되어 있으며, 무선통신망 상에서 접속하는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사업자 서버 결제부(420)에서 요청하는 금액에 대한 결제를 상기 VAN 사업자나 금융기관 서버에 요청하여 일정 금액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고, 그 결제금액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제인증정보 관리부(530)는, 상기 대금결제부(520)에서 결제가 이루어진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폰(400)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스마트 결제 앱(APP) 상에서 자판기의 물품구매에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스마트폰(400)에서 물품을 선택한 후 물품구매정보를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자판기로 전송함과 동시에, 해당 자판기의 고유코드와 물품구매정보 및 구매에 이용된 구매금액이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사업자 서버(500)로 전송하면, 상기 결제인증정보 관리부(530)에서 이를 수신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결제금액에서 구매금액만큼 차감하여 갱신 저장하고, 차감된 금액만큼 해당 고유코드가 부여된 자판기의 판매대금으로 이동시켜 갱신함으로써, 자판기에서의 물품 구매가 완료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결제 앱(APP)에 의해 자판기의 물품구매가 이루어지고, 그 구매 결과에 따른 구매금액은 스마트폰 자체의 통신수단에 의해 사업자 서버에 접속하여 수행된 결제금액의 범위내에서 차감된 후 각 자판기로 이동되어 판매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결제 앱(APP)은 구매금액이 결제금액의 범위 내일 경우 자판기에서의 물품 배출을 요청하는 물품구매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구매금액이 결제금액을 초과할 경우에는 물품구매정보를 생성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자판기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를 위한 별도의 원거리 통신수단이나 추가적인 통신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스마트폰을 결제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자판기 110 : 메인 컨트롤러
120 : 지폐 투입구 130 : 동전 투입구
140 : 신용카드/RF 리더기
200 : 블루투스 모듀
300 :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 310 : 스마트폰 결제부
320 : 메인 컨트롤러 연결부 330 : 제어부
400 : 스마트폰 410 : 자판기 연결부
420 : 사업자 서버 결제부 430 : 구매요청부
500 : 사업자 서버 510 : 자판기 등록부
520 : 대금결제부 530 : 결제인증정보 관리부

Claims (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제수단에서의 결제 여부를 인지한 메인 컨트롤러가 결제금액의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물품을 자동 배출하며, 구매 가능한 물품을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급탄기(Stoker); 사용자가 결제한 금액에 대한 정보 등이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수단(Display);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의 선택이 가능한 버튼(Button); 사용자가 선택한 물품의 선택 여부를 표시하는 램프(Lamp); 물품 구매 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수단으로 구비된 현금을 투입할 수 있는 지폐 투입구와 동전 투입구; 및 신용카드나 RF카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신용카드 리더기나, RF카드 리더기가 구비되는 자판기;
    상기 자판기에 추가 결합되어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블루투스 모듈;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로를 형성하고 있는 스마트폰으로 미리 등록되어 있는 자판기 고유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의 결제 수행 후 결제금액의 범위 내에서 생성된 결제인증정보와 물품구매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폰 결제부;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 결제부에서 수신한 결제인증정보와 물품구매정보를 해당 스마트폰에서의 결제정보로서 메인 컨트롤러로 전송하여 선택 물품의 배출을 요청하는 메인 컨트롤러 연결부; 및 상기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통신과 메인 컨트롤러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폰 결제부와 데이터 통신하면서 자판기 고유코드를 수신하고 자판기를 특정하는 자판기 연결부; 무선통신망상에서 격지의 사업자 서버에 연결되어 특정된 자판기에서 물품 구매에 사용할 금액에 대한 선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사업자 서버에서 선결제된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사업자 서버 결제부; 및 상기 사업자 서버 결제부에서 수신한 결제인증정보와,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조작하여 선택한 물품구매정보를,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구매요청부;로 구성되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가 가능하도록 등록된 자판기의 고유코드와 물품목록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자판기 등록부; 무선통신망 상에서 접속한 상기 스마트폰의 요청에 의해 자판기의 물품 구매에 이용할 금액을 VAN 사업자나 금융기관 서버와 연동하면서 결제를 수행하고, 결제금액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대금결제부; 및 상기 대금결제부에서 수행된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구매요청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자판기의 고유코드와 물품구매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결제금액을 차감 갱신하고, 차감된 금액을 해당 고유코드가 부여된 자판기의 판매대금으로 이동시켜 갱신하는 결제인증정보 관리부;로 구성되는 사업자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 컨트롤러가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 전원 공급을 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관리와 제어를 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무선통신망 상에서 사업자 서버에 접속하여 결제를 수행한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는 결제인증정보와, 사용자의 선택으로 생성된 후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는 물품구매정보를,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전달받은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로부터 재전송 받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판기 물품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 여부를 인지하며,
    상기 스마트폰 결제부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자판기 선택신호를 수신한 후에는, 해당 스마트폰에서의 물품 구매가 완료되거나, 스마트폰이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되기까지 해당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통신만이 가능하도록 제한하고, 상기 해당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가 진행 중임을 램프의 점등 상태로 외부에 표출되면, 신규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 동전이나 지폐를 이용한 결제 또는 신용카드나 RF카드를 이용한 결제가 제한되며,
    상기 스마트폰은,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상기 자판기에 구비된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하며 자판기를 특정하고, 무선통신망 상에서 격지의 사업자 서버에 연결되어 결제를 수행한 후,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인증정보와 물품구매정보를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자판기로 전송하게 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 및 사업자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는 스마트 결제 앱(APP)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자판기 연결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출되는 자판기의 고유코드와 물품 목록 및 가격정보를 보고, 사용자가 자판기를 선택하여 특정하면 이러한 사용자의 선택정보를 상기 사업자 서버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로도 전송하여 특정된 자판기와의 데이터 통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자판기 연결부는, 상기 스마트 결제 앱(APP)이 활성화되면서 스마트폰에 구비되어 있는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 일정거리 내에 있는 자판기에 구비된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와 블루투스 통신망 상에서 데이터 통신하며 각 자판기의 고유코드를 수신하여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출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자판기의 스마트 결제 컨트롤러로부터 자판기의 고유코드만을 수신한 후 이를 상기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여 각 자판기에서 구매 가능한 물품의 목록과 가격에 관한 정보를 사업자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매요청부는, 자판기의 고유코드와 물품구매정보를 상기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결재금액의 차감 갱신에 적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의 확장이 용이한 자판기 결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064355A 2017-05-24 2017-05-24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의 확장이 용이한 자판기 결제 시스템 KR101950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355A KR101950581B1 (ko) 2017-05-24 2017-05-24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의 확장이 용이한 자판기 결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355A KR101950581B1 (ko) 2017-05-24 2017-05-24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의 확장이 용이한 자판기 결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795A KR20180128795A (ko) 2018-12-04
KR101950581B1 true KR101950581B1 (ko) 2019-02-20

Family

ID=6466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355A KR101950581B1 (ko) 2017-05-24 2017-05-24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의 확장이 용이한 자판기 결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5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006B1 (ko) * 2019-12-18 2022-02-07 정재웅 네트워크 없이 검증 및 동작의 허가가 가능한 무인 장치의 요금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KR102337752B1 (ko) * 2021-02-09 2021-12-09 윤정희 자판기를 위한 결제 서비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판기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663B1 (ko) * 2015-03-04 2016-06-24 (주)솔루션아이티 이동 단말,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판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8423A (ko) 2004-07-22 2006-01-26 (주)와이즈그램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판매기 상품 판매 방법및 시스템
KR101254269B1 (ko) 2012-06-26 2013-04-15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자판기 결제시스템 및 자판기 결제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KR101612943B1 (ko) * 2014-05-29 2016-04-18 이케이웍스 주식회사 근거리 유저 식별을 통한 자동 판매기 시스템
KR20160085144A (ko) * 2015-01-07 2016-07-15 주식회사 케이티 자동판매기 결제 처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663B1 (ko) * 2015-03-04 2016-06-24 (주)솔루션아이티 이동 단말,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판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795A (ko)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3292B1 (en) Adapter device for obtaining payments and monitoring inventory levels of a vending machine
US71315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prepaid account replenishment
US20230222487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loading currency into an electronic wallet
KR20180118495A (ko) 자동판매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2109618A (ja) 自動販売機およびその商品販売システム
KR10195058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수단의 확장이 용이한 자판기 결제 시스템
JP6167082B2 (ja) 自動販売機を利用した販売促進システム
WO2019139124A1 (ja) 取引管理システム及び取引管理方法
KR101402918B1 (ko) 제품 판매 예약 및 판매 금액 지불 시스템, 결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예약 및 지불 방법
JP2020197802A (ja) 精算システム及び精算方法
KR102083303B1 (ko) 적립 포인트를 이용한 자판기 상품 구매 시스템
KR100430035B1 (ko) 무선결제 단말기, 제품판매-무선결제 시스템, 및 이들을이용한 인터넷 기반 제품판매-무선결제 시스템
WO2019139120A1 (ja) 取引管理システム及び取引管理方法
KR100636696B1 (ko) 전자상품권 수발신 모듈 및 그 방법과, 이 모듈과연동되어 전자상품권을 유통하는 전자상품권 서비스시스템 및 전자상품권 유통 방법
JP2002280948A (ja) 無人販売機
JP7219936B2 (ja) 自動販売機決済システム及び自動販売機決済方法
US20230055855A1 (en) Vending machine system
TW201025200A (en) Vending machine control method, vending machine, and transaction system
KR20100027845A (ko) 선불카드 발급 및 충전 시스템과 그 방법
JP2022520303A (ja) 自動販売機の決済額を取得し、在庫量を監視するためのアダプタ装置
KR100619450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전표 현금영수증 발급방법
KR101022791B1 (ko) 신용카드를 이용한 동전지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12320B1 (ko) 커뮤니티에 대응하는 가맹점 선정을 위한 서버
KR20120004584A (ko) 결제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25498A (ko) 교통 요금 결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