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813A - X-선 초점의 위치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 - Google Patents

X-선 초점의 위치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813A
KR20190133813A KR1020180058289A KR20180058289A KR20190133813A KR 20190133813 A KR20190133813 A KR 20190133813A KR 1020180058289 A KR1020180058289 A KR 1020180058289A KR 20180058289 A KR20180058289 A KR 20180058289A KR 20190133813 A KR20190133813 A KR 20190133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tube
ray
rotation
axis
focal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5747B1 (ko
Inventor
노영섭
Original Assignee
메디퓨처(주)
노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퓨처(주), 노영섭 filed Critical 메디퓨처(주)
Priority to KR1020180058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747B1/ko
Priority to PCT/KR2019/005963 priority patent/WO2019225915A1/ko
Priority to EP19807629.1A priority patent/EP3797694B1/en
Priority to US17/057,822 priority patent/US11523787B2/en
Publication of KR20190133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2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reast, i.e. mam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25Tomosynth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021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movement of the focal sp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05Source units specially adapted to modify characteristics of the beam during the data acquisition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3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 A61B6/4441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the rigid structure being a C-arm or U-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61B6/0414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with compress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는, X-선을 발생시키는 X-선 튜브, X-선 튜브를 수용하고, X-선 노출 기간 중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C-암, X-선 튜브로부터 조사되어 유방을 통과한 X-선을 이미지 정보로 변환하는 X-선 검출기 및 C-암의 회전에 의한 상기 X-선 튜브의 이동과 연동하여, X-선 튜브를 C-암 내부에서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X-선 초점의 위치를 제어하는 초점 제어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심플한 구조와 방법으로 X-선 튜브의 초점 위치를 제어하여, 3차원 영상의 품질을 결정하는 프로젝션 이미지의 블러링을 해소하여 선명도를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X-선 초점의 위치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DIGITAL BREAST TOMOSYNTHESIS CAPABLE OF CONTROLLING A POSITION OF X-RAY FOCAL SPOT}
본 발명은 X-선 초점의 위치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X-선 초점의 공간상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블러링을 개선할 수 있는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에 관한 것이다.
세포의 무한 증식으로 발병하는 암(cancer)에는 간암, 대장암, 위암, 폐암 등이 있는데, 특히 여성에게 발병하는 유방암은 매우 치명적인 질환으로 주기적인 진단과 관리가 필요하다. 서구화된 식습관 탓에 아시아의 유방암 발병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각 나라에서는 특정 연령 이상의 여성에 대해 일정 주기로 유방암 진단을 받을 것을 권장하고 있다.
유방암을 진단하는 방법으로, 유방 초음파 검사(Breast Ultrasonography), 유방 자기공명영상(Breast MRI) 등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X-선(X-ray)을 이용한 맘모그래피(Mammography)를 이용한다. 맘모그래피는 자동노출제어장치(Automatic Exposure Control, AEC)로 적정량의 X-선을 피폭한 뒤 이미지 리셉터로부터 유방의 X-선 영상을 획득한다.
유방의 X-선 영상 획득은, 일반적으로 FFDM(Full Field Digital Mammography), DBT(Digital Breast Tomosynthesis), BCT(Breast Computed Tomography)에 의해 이루어진다. FFDM은 2차원 이미지를 획득하고, DBT는 X-선 발생기가 회전하면서 획득된 프로젝션 이미지를 재구성하여 3차원 영상을 구현하고. BCT는 X-선 발생기와 X-선 검출기를 회전시켜 3차원 영상을 구현한다.
3차원 영상을 얻기 위한 DBT는 X-선 튜브가 유방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프로젝션 이미지(projection image)를 획득하는데, 이때 X-선 튜브가 지속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초점의 이동에 의한 블러링(blurring)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획득된 각 프로젝션 이미지는 실제 이미지에 비하여 선명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고, 이를 이용해 영상 재구성(3D Reconstruction)을 수행하면, 최종적으로 획득되는 3차원 영상의 품질이 열악할 수 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었다. 예를 들어, 프로젝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X-선 튜브 초점의 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대부분이 X-선 튜브를 구성하는 양극의 기울기를 달리하거나, 음극의 포커싱 컵을 이동시키거나, 렌즈를 이용하는 등의 수단을 이용했다. 이는 X-선 튜브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해야 하므로 시스템 구현이 쉽지 않고, 정교한 제어 장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영상의 품질을 결정하는 프로젝션 이미지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하여, X-선 튜브의 초점 위치를 간단한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는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는, X-선을 발생시키는 X-선 튜브; 상기 X-선 튜브를 수용하고, X-선 노출 기간 중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C-암; 상기 X-선 튜브로부터 조사되어 유방을 통과한 X-선을 이미지 정보로 변환하는 X-선 검출기; 및 상기 C-암의 회전에 의한 상기 X-선 튜브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X-선 튜브를 상기 C-암 내부에서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상기 X-선의 초점의 위치를 제어하는 초점 제어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초점은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상기 초점의 위치가 상기 X-선 튜브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X-선 검출기를 기준으로 한 상기 초점의 공간상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점 제어기는, 상기 X-선 튜브의 이동 속도에 기초해 상기 초점의 공간상의 위치가 고정되는 회전 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회전 각도에 기초해 상기 X-선 튜브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X-선 튜브 사이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주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점 제어기는, 상기 X-선 튜브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초점이 기설정된 위치보다 앞서도록 상기 X-선 튜브를 회전시켰다가,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초점의 공간상 위치가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는, X-선을 발생시키는 X-선 튜브; 상기 X-선 튜브를 수용하고, X-선 노출 기간 중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C-암; 상기 X-선 튜브로부터 조사되어 유방을 통과한 X-선을 이미지 정보로 변환하는 X-선 검출기; 및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X-선 튜브를, 제1 이동 방향과 반대인 제2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X-선의 초점의 위치를 제어하는 초점 제어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초점 제어기는, 상기 초점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X-선 검출기를 기준으로 한 상기 초점의 공간상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는, X-선을 발생시키는 X-선 튜브; 상기 X-선 튜브를 수용하고, X-선 노출 기간 중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C-암; 상기 X-선 튜브로부터 조사되어 유방을 통과한 X-선을 이미지 정보로 변환하는 X-선 검출기; 및 상기 C-암의 회전에 의한 상기 X-선 튜브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X-선 튜브를 제3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상기 X-선의 초점의 위치를 제어하는 초점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X-선 튜브 사이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초점 제어기는, 상기 초점을 상기 제3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X-선 검출기를 기준으로 한 상기 초점의 공간상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진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에 의하면, 심플한 구조와 방법으로 X-선 튜브의 초점 위치를 제어하여, 3차원 영상의 품질을 결정하는 프로젝션 이미지의 블러링을 해소하여 선명도를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의 일부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에 포함된 X-선 튜브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일반적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에서 프로젝션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종래 기술이 야기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에서 초점 제어기에 의한 초점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에서 초점 제어가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에서 초점 제어기에 의한 초점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에서 초점 제어기에 의한 초점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특정 실시예 이외의 다른 실시예는 서로 상이하지만 상호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아울러, 후술의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수반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읽히게 되며, 도면은 전체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일부로 간주된다. 방향이나 지향성에 대한 언급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의도를 갖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아래, 위, 수평, 수직, 상측, 하측,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나, 이들의 파생어(예를 들어, "수평으로, 아래쪽으로, 위쪽으로" 등)는, 설명되고 있는 도면과 관련 설명을 모두 참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상대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해야 함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또한, "장착된, 부착된, 연결된, 이어진, 상호 연결된" 등의 구성 간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개별 구성들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부착 혹은 연결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이동 가능하게 부착, 연결, 고정된 상태뿐만 아니라, 이동 불가능한 상태까지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즉,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의 사시도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의 일부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에 포함된 X-선 튜브(160)의 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는 X-선 검출기(110), 압박 패들(120), C-암(130), 갠트리(140) 및 회전부(150)를 포함한다.
X-선 검출기(110)는 유방(U)을 통과한 X-선을 이미지 정보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환자의 유방(U)을 올려놓는 벅키(bucky)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X-선 검출기(110)를 수용하는 별도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X-선 검출기(110)는 스크린-필름 검출기, 간접변환 디지털 검출기, 직접변환 디지털 검출기 등 다양한 방식의 검출기 등 다양한 구성과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산란된 X-선을 제거하기 위한 그리드(미도시)가 X-선 검출기(110)의 상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압박 패들(120)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며, X-선 검출기(110) 상부에 구비된다. 압박 패들(120)은 유방(U)의 X-선 이미지 획득에 영향을 주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압박에 의한 손상이 없도록 상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임계치 이상의 압박력이 환자의 유방(U)에 가해지는 경우, 압박 패들(120)의 하방 이동이 정지하거나, 압박력을 줄이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만, 명확한 프로젝션 이미지를 획득하려면, 압박 패들(120)이 환자의 유방(U)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펴지도록 적절한 압박력으로 제어되어야 한다.
C-암(130)은 X-선 튜브(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더 참조하면, X-선 튜브(160)는 기본적으로 캐소드(161), 애노드(162) 및 모터(163)를 포함한다. 캐소드(161)는 필라멘트로 이루어지고, 필라멘트가 가열되면서 전자가 애노드(162)로 방출한다. 애노드(162)는 모터(163)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캐소드(161)에서 방출된 고에너지 전자가 애노드(162)의 텅스텐 원자들과 충돌하면서 X-선 광자를 발생시킨다. 원판형 애노드(162)로부터 방출된 X-선 광자는 콜리메이터(미도시)에 의하여 투사영역이 제한되며, 튜브 포트(미도시)를 통해 방출된다. 그외에 X-선 튜브(160)는 필터(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X-선 검출기(110)의 상면에 환자의 유방(U)을 올려놓은 뒤, 압박 패드(120)로 유방(U)을 압축한 상태에서, X-선 튜브(160)에 의해 조사되는 X-선이 압축된 유방(U)을 통과하여 X-선 검출기(110)에 도달한다. X-선 검출기(110)는 X-선의 위치와 입사량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고, 이 정보는 영상 재구성 알고리즘에 의해 유방(U)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C-암(130)은 X-선 튜브(160)를 내부에 수용한다. C-암(130)에는 회전부(150)가 연결되어, 회전부(150)의 회전축(A1)을 중심으로, C-암(130)이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C-암(130)에 수용된 X-선 튜브(160)도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X-선 튜브의 X-선 초점(focal spot)도 이동하게 된다. 도 1에서는 X-선 검출기(110)와 압박 패들(120)이 C-암(13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C-암(130)의 회전에 의하여 함께 이동 및/또는 회전하게 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C-암(130)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압박 패들(120)과 유방(U), 그리고 유방(U)을 지지하는 X-선 검출기(110)의 외부(예: 벅키(bucky))를 제외한, X-선 검출기(110)와 X-선 튜브(160)만 회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각 구성의 회전은, 선택적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고, 모드의 변환(수동 혹은 자동)을 통해 제어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구성들간의 결합 관계나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일반적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에서 프로젝션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C-암에 수용된 X-선 튜브는 C-암의 회전에 의하여 소정 속도와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4에서 점선은 조사되는 X-선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는 소정 시점마다 프로젝션 이미지를 획득하며, 다양한 각도에서 획득된 다수의 프로젝션 이미지에 의하여 3차원 영상이 구현된다.
다만, 종래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에서 프로젝션 이미지 획득시에는 X-선 튜브가 이동을 계속하므로, 실제 초점(effective focal spot)이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해, X-선 튜브의 이동은 초점의 이동을 수반하므로, 초점이 이동한 만큼 프로젝션 이미지에 블러링(blurring)이 생긴다.
도 5는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선 튜브(3)가 이동함에 따라, 시간 t1에서의 초점 위치(FS_t1)가 t3에서의 초점 위치(FS_t3)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획득된 프로젝션 이미지에서는 실제 초점의 길이가 FS_t1과 FS_t3 사이의 거리(ΔFS)가 된다. 이때, 하나의 프로젝션 이미지 획득시 초점이 이동하면, X-선 검출기(110)와 압박 패들(120) 사이의 유방(U)을 촬영함에 있어서 초점의 이동에 의한 블러링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는 초점 제어기(170)를 이용하여, X-선 튜브(160)의 초점(FS)의 공간적 위치가 일정한 위치에 있을 수 있게 한다. 즉, X-선 검출기(110)의 입장에서 보면 X-선 튜브(160)가 이동하는 중에도 초점(FS)은 고정된 것과 같다. 이에 의하면, X-선 튜브(160)의 이동에 의해 실제 초점이 길어지지 않고, X-선 튜브(160)의 초점(FS)과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블러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에서 초점 제어기(170)는 다양한 방법으로 초점(FS)의 위치를 제어한다.
제1 실시예
도 6 및 7은 X-선 튜브의 초점(FS)의 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X-선 튜브(160)는 하나의 프로젝션 이미지가 획득되는 시간 t1에서 t3까지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상세하게는, C-암(130)의 회전 운동에 의해 C-암(130)의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한 원주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X-선 튜브(160)가 이동)한다. X-선 튜브(160)의 초점(FS)을 제어하기 위해, 초점 제어기(170)는 X-선 튜브(160)를 X-선 튜브(160) 내의 회전축(A2)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초점(FS)의 위치를 제어한다.
이때, 초점 제어기(170)에 의한 X-선 튜브(160)의 회전은 기계적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는 도 3에 도시된 X-선 튜브(160)를 회전축(A2)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기계적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기계적 수단은 베어링, 모터 등 회전을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초점 제어기(170)는 C-암(130)의 회전/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계적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X-선 튜브(160)의 회전을 도모한다.
먼저, 시간 t1점에서 초점 제어기(170)는 초점(FS)의 위치가 X-선 튜브(160)의 진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X-선 튜브(160)를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θ)만큼 이동시킨다.
이후, X-선 튜브(160)의 이동에 대응하여, 시간 t2점에서 초점 제어기(170)는 초점(FS)의 위치가 X-선 튜브(160)의 진행방향의 반대로 이동하도록 X-선 튜브(160)를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θ)만큼 이동시킨다.
다음, X-선 튜브(160)는 이동을 계속하고, 시간 t3점에서 초점 제어기(170)는 초점(FS)의 위치가 다시 X-선 튜브(160)의 진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X-선 튜브(160)를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θ)만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프로젝션 이미지가 획득되는 t1∼t3 구간 동안, X-선 튜브(160)는 C-암(130)에 의해 이동을 계속하지만, 초점 제어기(170)의 초점 제어로 인해 X-선 검출기(110) 측면에서는 초점(FS)이 고정된다. 다시 말해, 영상의 획득에 사용되어진 X-선 초점의 크기가 X-선 튜브(160)가 가지고 있는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해지므로 블러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초점 제어기(170)가 초점(FS)의 이동을 제어할 때, C-암(130)의 회전 속도(즉, X-선 튜브(160)의 이동속도)에 기초해 X-선 검출기(110)를 기준으로 한 초점(FS)의 공간상의 위치가 고정되는 회전 각도를 산출(도 6의 소정 각도(θ))해야 한다.
예를 들어, 스캔 각도가 20°이고, 노출시간이 100msec, 회전 시간이 10초라고 가정하면, 프로젝션 이미지가 획득되는 순간에 초점(FS)의 이동거리는 대략 2.27mm가 된다. 이 경우 X-선 튜브(160)의 총 이동 거리는 대략 227mm가 되며, 초당 이동 속도는 22.7mm/sec이다. 100msec동안의 이동거리는 2.27mm가 되며, 초점(FS)이 X-선 튜브(160) 내의 회전축(A2)을 기준으로 34mm 떨어진 경우, 초점(FS)을 2.27mm 이동시키기 위한 X-선 튜브(160)의 적정 회전 각도는 대략 3.82°정도가 된다. 즉, 초점제어기(170)는 X-선 튜브(160)를 대략 4.225°정도의 크기로 회전시킴으로써 X-선 검출기(110)를 기준으로 한 초점(FS)의 공간상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8은 X-선 튜브(160)의 초점(FS)의 위치를 제어하는 또 다른 방법을 나타낸다. X-선 검출기(110)를 기준으로 한 초점(FS)의 공간적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초점 제어기(170)는 X-선 튜브(160)의 이동 방향인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X-선 튜브(160)를 이동(즉, 초점(FS)의 이동)시킴으로써, X-선 검출기(110)를 기준으로 한 초점(FS)의 공간적 위치를 고정시켜 도 7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회전축(A1)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C-암(130)에 의하여 X-선 튜브(160)가 이동하는 방향을 말하며, 제2 방향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즉, 제1 방향은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한 시계방향이고, 제2 방향은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한 반시계 방향에 해당한다.
이때, 초점 제어기(170)에 의한 X-선 튜브(160)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이나 이동은 기계적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는 X-선 튜브(160)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계적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초점 제어기(170)는 C-암(130)의 회전/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계적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X-선 튜브(160)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도모한다. 다시 말해, 회전축(A1)을 중심으로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도모한다.
예를 들어, 스캔 각도가 20°이고, 노출시간이 100msec, 회전 시간이 10초라고 가정하면, 초점(FS)의 이동거리는 대략 2.27mm가 된다. 이 경우 X-선 튜브(160)의 총 이동 거리는 대략 227mm가 되며, 초당 이동 속도는 22.7mm/sec이다. 100msec동안의 이동거리는 2.27mm가 된다. 즉, 초점제어기(170)는 X-선 튜브(160)를 100msec동안 제2 이동 방향으로 대략 2.27mm 정도 이동시킴으로써 X-선 검출기(110)를 기준으로 한 초점(FS)의 공간상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9는 X-선 튜브(160)의 초점(FS)의 위치를 제어하는 또 다른 방법을 나타낸다. X-선 검출기(110)를 기준으로 한 초점(FS)의 공간적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초점 제어기(170)는 회전축(A3)을 중심으로 X-선 튜브(160)를 회전시켜, 초점(FS)을 X-선 튜브(160)의 이동 방향인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7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X-선 튜브(16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A3)은 C-암(130)의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하고 회전축(A1)과 X-선 튜브(130) 사이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한 원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중심축(A1)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C-암(130)에 의하여 X-선 튜브(160)가 이동하는 방향을 말하며, 제2 방향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즉, 제1 방향은 중심축(A1)을 중심으로 한 시계방향이고, 제2 방향은 중심축(A1)을 중심으로 한 반시계 방향에 해당한다.
이때, 초점 제어기(170)에 의한, 회전축(A3)을 중심으로 하는 X-선 튜브(160)의 회전은 기계적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는 회전축(A3)을 중심으로 하는 X-선 튜브(160)의 회전을 위한 기계적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초점 제어기(170)는 C-암(130)의 회전/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계적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X-선 튜브(160)를 회전축(A3)을 기준으로 제2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초점(FS)을 제2 방향으로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현 방식으로, 제2 실시예에 비해 더욱 적은 힘으로 X선 초점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각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지만, 반드시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및 효과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조합, 수정, 변경, 전환, 대체, 부가, 수정, 변형 및 응용되어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조합, 수정, 변경, 전환, 대체, 부가, 수정된 사항 역시,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100‥‥‥‥‥‥‥‥‥‥‥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
110‥‥‥‥‥‥‥‥‥‥‥X-선 검출기
120‥‥‥‥‥‥‥‥‥‥‥압박 패들
130‥‥‥‥‥‥‥‥‥‥‥C-암
140‥‥‥‥‥‥‥‥‥‥‥갠트리
150‥‥‥‥‥‥‥‥‥‥‥회전부
160‥‥‥‥‥‥‥‥‥‥‥X-선 튜브
170‥‥‥‥‥‥‥‥‥‥‥초점 제어기

Claims (9)

  1. X-선을 발생시키는 X-선 튜브;
    상기 X-선 튜브를 수용하고, X-선 노출 기간 중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C-암;
    상기 X-선 튜브로부터 조사되어 유방을 통과한 X-선을 이미지 정보로 변환하는 X-선 검출기; 및
    상기 C-암의 회전에 의한 상기 X-선 튜브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X-선 튜브를 상기 C-암 내부에서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상기 X-선의 초점 위치를 제어하는 초점 제어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은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상기 초점의 위치가 상기 X-선 튜브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X-선 검출기를 기준으로 한 상기 초점의 공간상의 위치가 고정되는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제어기는, 상기 X-선 튜브의 이동 속도에 기초해 상기 초점의 공간상의 위치가 고정되는 회전 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회전 각도에 기초해 상기 X-선 튜브를 회전시키는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X-선 튜브 사이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주상에 위치하는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제어기는, 상기 X-선 튜브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초점이 기설정된 위치보다 앞서도록 상기 X-선 튜브를 회전시켰다가,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초점의 공간상 위치가 고정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
  6. X-선을 발생시키는 X-선 튜브;
    상기 X-선 튜브를 수용하고, X-선 노출 기간 중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C-암;
    상기 X-선 튜브로부터 조사되어 유방을 통과한 X-선을 이미지 정보로 변환하는 X-선 검출기; 및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X-선 튜브를, 제1 이동 방향과 반대인 제2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X-선의 초점의 위치를 제어하는 초점 제어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제어기는, 상기 초점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X-선 검출기를 기준으로 한 상기 초점의 공간상 위치를 고정시키는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
  8. X-선을 발생시키는 X-선 튜브;
    상기 X-선 튜브를 수용하고, X-선 노출 기간 중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는 C-암;
    상기 X-선 튜브로부터 조사되어 유방을 통과한 X-선을 이미지 정보로 변환하는 X-선 검출기; 및
    상기 C-암의 회전에 의한 상기 X-선 튜브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X-선 튜브를 제3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상기 X-선의 초점의 위치를 제어하는 초점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X-선 튜브 사이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제어기는, 상기 초점을 상기 제3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X-선 검출기를 기준으로 한 상기 초점의 공간상 위치를 고정시키는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
KR1020180058289A 2018-05-23 2018-05-23 X-선 초점의 위치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단층영상합성기 KR102195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289A KR102195747B1 (ko) 2018-05-23 2018-05-23 X-선 초점의 위치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단층영상합성기
PCT/KR2019/005963 WO2019225915A1 (ko) 2018-05-23 2019-05-17 X-선 초점의 위치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
EP19807629.1A EP3797694B1 (en) 2018-05-23 2019-05-17 Digital breast tomosynthesis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position of x-ray focus
US17/057,822 US11523787B2 (en) 2018-05-23 2019-05-17 Digital breast tomosynthesis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position of X-ray foc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289A KR102195747B1 (ko) 2018-05-23 2018-05-23 X-선 초점의 위치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단층영상합성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813A true KR20190133813A (ko) 2019-12-04
KR102195747B1 KR102195747B1 (ko) 2020-12-29

Family

ID=68616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289A KR102195747B1 (ko) 2018-05-23 2018-05-23 X-선 초점의 위치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단층영상합성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23787B2 (ko)
EP (1) EP3797694B1 (ko)
KR (1) KR102195747B1 (ko)
WO (1) WO201922591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351B1 (ko) * 2010-07-22 2012-08-23 한국전기연구원 디지털 x―선 이미징을 위한 단층영상합성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58633A (ko) * 2011-11-25 2013-06-04 (주)코메드메디칼 의료용 3d 디지털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튜브 지지대, 메인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촬영 포지션 조정 방법
KR20160071938A (ko) * 2014-12-12 2016-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장치
KR101836549B1 (ko) * 2010-10-05 2018-03-08 홀로직, 인크. Ct 모드, 다중 단층영상합성 모드들, 및 유방조영술 모드를 갖는 직립형 x-레이 유방 촬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52431B1 (en) * 2008-11-24 2018-08-15 Hologic,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x-ray focal spot characteristics for tomosynthesis and mammography imaging
US8515005B2 (en) 2009-11-23 2013-08-20 Hologic Inc. Tomosynthesis with shifting focal spot and oscillating collimator blades
JP5455446B2 (ja) * 2009-06-02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87714B1 (ko) * 2015-11-24 2017-10-20 메디퓨처(주)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
CN108836373B (zh) * 2018-05-15 2021-09-24 达影医疗(中山)有限公司 具备焦点位移补偿功能的体层成像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351B1 (ko) * 2010-07-22 2012-08-23 한국전기연구원 디지털 x―선 이미징을 위한 단층영상합성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36549B1 (ko) * 2010-10-05 2018-03-08 홀로직, 인크. Ct 모드, 다중 단층영상합성 모드들, 및 유방조영술 모드를 갖는 직립형 x-레이 유방 촬영
KR20130058633A (ko) * 2011-11-25 2013-06-04 (주)코메드메디칼 의료용 3d 디지털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튜브 지지대, 메인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촬영 포지션 조정 방법
KR20160071938A (ko) * 2014-12-12 2016-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97694B1 (en) 2024-03-06
EP3797694A1 (en) 2021-03-31
EP3797694A4 (en) 2022-03-23
US11523787B2 (en) 2022-12-13
WO2019225915A1 (ko) 2019-11-28
US20210298705A1 (en) 2021-09-30
KR102195747B1 (ko)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5378B2 (en) Imaging system and related techniques
JP5792250B2 (ja) 統合型マルチモード・マンモグラフィ/トモシンセシスx線システム及び方法
JP5226523B2 (ja) X線撮像に関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2369995B1 (en) Medical radiography in 3d
US5872828A (en) Tomosynthesis system for breast imaging
US10758195B2 (en) X-ray scatter reducing device for use with 2D mammography and tomosynthesis
US7676021B2 (en) Radiation imaging apparatus
US20120224664A1 (en) Tomosynthesis mammography system with enlarged field of view
KR20190003388A (ko) 가변 거리 영상화
US10881374B2 (en) Mammography imaging arrangement for tomosynthesis
JP2001161674A (ja) X線装置およびx線放射に影響を与えるための方法
JP6475138B2 (ja) 制御装置、放射線画像撮影装置、放射線画像撮影方法、及び放射線画像撮影プログラム
KR101864124B1 (ko) 듀얼 에너지 방식의 콘 빔 컴퓨터 단층촬영장치
KR102195747B1 (ko) X-선 초점의 위치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단층영상합성기
JPH10314162A (ja) 放射線断層撮影方法および装置
KR20180057024A (ko) 분할형 필터를 구비한 듀얼 에너지 방식의 콘 빔 컴퓨터 단층 촬영장치
JP7191235B2 (ja) 適応型ヘリカル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
JP2022037495A (ja) X線ct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4048076A (ja) 光子計数型x線ct装置、撮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159243A (ja) X線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装置
KR20180057015A (ko) 필터를 구비한 듀얼 에너지 방식의 콘 빔 컴퓨터 단층촬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