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116A -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 및 그 커버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 및 그 커버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116A
KR20190133116A KR1020190143886A KR20190143886A KR20190133116A KR 20190133116 A KR20190133116 A KR 20190133116A KR 1020190143886 A KR1020190143886 A KR 1020190143886A KR 20190143886 A KR20190143886 A KR 20190143886A KR 20190133116 A KR20190133116 A KR 20190133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
cover unit
repairing
solvent
c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2250B1 (ko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3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25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3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8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4B41/4884Polyurethanes;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7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masses bonded by inorganic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2Repairing or restoring existing buildings or build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옥상바닥 또는 벽면에서 발생된 균열에 의한 누수를 보수함에 있어 균열이 발생된 부위의 주변 콘크리트를 굴토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보수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적, 물적 자원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공 후에도 균열부위가 벌어지는 틈새의 폭 만큼 균열부위의 틈새가 채워질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 및 그 커버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균열(10) 부위 전체를 커버하여 외부 시선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도록 베이스 패널(100)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상단에는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30)에 도포되는 보수용제(200)를 감싸는 형태에서 양생되도록 하여 견고한 고정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응집부(110)가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응집부(110)의 양측 끝단에는 이음부(120)가 각각 형성 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 및 그 커버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Cover unit for repairing cracked part of concrete structure and maintenance method of cracked part using the cover uni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 및 그 커버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옥상바닥 또는 벽면에서 발생된 균열에 의한 누수를 보수함에 있어 균열이 발생된 부위의 주변 콘크리트를 굴토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보수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적, 물적 자원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공 후에도 균열부위가 벌어지는 틈새의 폭 만큼 균열부위의 틈새가 채워질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 및 그 커버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다세대 주택, 빌라, 아파트, 오피스텔 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커버된 구조물은 도 1의 (가)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옥상 바닥에 발생하기도 하며, 도 1의 (나)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면에 균열(10)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균열(10)은 시간이 지날수록 틈새(20)가 점점 더 벌어져 건물 누수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이러한 균열에 의해 장마철이나 비가 많이 오는 날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또는 지하에 습기가 차거나, 빗물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를 보수할 때에는 균열부분의 틈새(20)에 방수액 또는 실리콘 등을 주입하고, 표면에 방수액을 도포하여 완료한다.
또한, 균열이 발생 된 부분이 큰경우에는 방수액 또는 실리콘을 전용 패커를 이용하여 강제 주입한 다음 마감처리를 하기도하며, 균열이 발생 된 부분이 0.1 내지 1mm 정도로 미세한 틈새 누수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는 방수액 또는 실리콘을 강제 주입할 수 없기 때문에 균열이 발생 된 부분의 주변에 구멍을 낸 다음 그 구멍을 통해 방수액 또는 실리콘을 강제 주입하여 방수 시공을 하기도 하며, 균열 부위에 '∪' 자형으로 절개를 한 다음 그 '∪' 자형 홈에 방수액 또는 실리콘을 주입 하여 방수시공을 하였다.
결국, 균열이 발생 된 부위를 보수할 때는 일반적으로 균열부분의 틈새(20) 또는 구멍을 천공하여 방수액 또는 실리콘 등을 주입한다는 공통점이 있는바, 그 한 예로서 특허출원 제10-2012-0072812호(발명의 명칭: 건물의 균열부분 방수 및 보수 시공방법)를 들 수 있다.
상기 특허출원 제10-2012-0072812호에서는 균열 부위의 주변에 사선 모양의 구멍을 다수 개 천공하여 구멍의 내부에 우레탄, 실리콘, 발포수지, 모르타르 중 어느 하나로 하되, 경화제가 혼합된 방수재를 주입한 다음 목재, 코르크 마개를 이용하여 밀봉처리를 하여 보수 시공을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는 특허등록 제10-1513077호(발명의 명칭 : 틈새 방수용 분사 하우징 및 그 분사 하우징을 이용한 틈새 방수 시공방법)를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등록 제10-1513077호에서는 분사 하우징을 이용하여 틈새를 방수 시공한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극히 작은 틈새에 한해서는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는바, 이 경우는 천공을 하지 않고 보수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원 출원인이 특허권자로 등재된 특허등록 제10-183539호(발명의 명칭 :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 및 그 커버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는 균열 부위를 커버 유닛으로 보수를 한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커버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삽입 공간을 확보하여 하는데 이 과정에서 미세 분진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1. 특허출원 제10-2012-0072812호(발명의 명칭: 건물의 균열부분 방수 및 보수 시공방법) 2. 특허등록 제10-1513077호(발명의 명칭 : 틈새 방수용 분사 하우징 및 그 분사 하우징을 이용한 틈새 방수 시공방법) 3. 특허등록 제10-183539호(발명의 명칭 :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 및 그 커버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균열이 발생된 부위의 주변 콘크리트를 굴토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보수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적, 물적 자원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공 후 균열부위가 벌어지더라도 균열부위가 외부에서는 차단이 되기 때문에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본연의 기능인 누수를 차단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 및 그 커버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S)은 균열(10) 부위 전체를 커버하여 외부 시선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도록 베이스 패널(100)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상단에는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30)에 도포되는 보수용제(200)를 감싸는 형태에서 양생되도록 하여 견고한 고정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응집부(110)가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패널(100)의 양측 끝단에는 이음부(12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음부(120)는 보수용 커버 유닛(S)을 양측방향으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U' 형'V' 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첩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집부(110)는 베이스 패널(100)과 일체형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측에는 보수용제(200)가 유입되는 유입홈(111)이 장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홈(111)의 양측에는 보수용제(200) 유입시 보수용제(200)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하여 응집력을 향상시켜 주는 응집편(112)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응집편(112)은 마주보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아크형(112a) 또는 'T' 자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크형(112a) 응집편(112)의 양측 끝단은 유입홈(111)을 통해 유입된 보수용 도포제(200)가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갈코리 형상의 유출방지편(113)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집편(112)의 주변에는 보수용제(200) 유입시 보수용제(200)와의 응집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응집돌기(114)가 하나 이상 장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은 먼저, 균열(10)이 발생된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30)의 주변을 솔과 수압을 이용하여 청소를 하는 균열 주변 청소 단계(S100),
상기 균열 주변 청소 후 보수용제를 도포하되, 균열 주변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도포를 함과 동시에 보수용 커버 유닛(S)의 응집편(112)의 높이만큼 도포를 하는 보수용제 도포 단계(S200)
상기 보수용제(200)가 도포된 표면에 균열(10) 부위 전체를 커버하여 외부 시선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도록 베이스 패널(100)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상단에는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30)에 도포되는 보수용제(200)를 감싸는 형태에서 양생되도록 하여 견고한 고정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응집부(110)가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응집부(110)의 양측 끝단에는 이음부(120)가 각각 형성된 보수용 커버 유닛(S)을 하나 이상 고정하되, 보수용제(200)가 응집부(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외부에서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30) 방향으로 가압을 하면서 고정을 하는 보수용 커버 유닛 고정 단계(S300)
상기 커버 유닛(S) 고정 후 이음부(120)에 실리콘 또는 방수접착제를 도포하여 기밀을 확보하는 이음부 기밀 확보 단계(S400)
상기 이음부 기밀 확보 후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30)과 보수용 커버 유닛(S)이 견고한 고정상태가 되도록 양생을 시키는 양생 단계(S500)
상기 양생 완료 후 보수 시공한 주변의 표면을 깔끔하게 마감 처리하는 표면 마감 처리 단계(S6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수용제는 경화제성분이 포함된 시멘트, 모르타르, 퍼티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시멘트 및 모르타르에는 플라스틱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가 전체 중량(%) 중 10 중량(%) 이내에서 혼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원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 및 그 커버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은 균열이 발생된 부분은 물론 주변 콘크리트를 굴토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보수 시공을 함으로써 미세 분진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으며, 시공을 한 부분은 향후 표지판으로 대용할 수 있는 등 시공 후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및 벽면에 발생 된 균열 부위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중 또 다른 이음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 정단면도
도 5,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의 보수과정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원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원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S)은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균열(10) 부위 전체를 커버하여 외부 시선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도록 베이스 패널(100)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상단에는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30)에 도포되는 보수용제(200)를 감싸는 형태에서 양생되도록 하여 견고한 고정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응집부(110)가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패널(100)의 양측 끝단에는 이음부(120)가 각각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균열 부위가 길게 발생된 곳에서는 좌, 우 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전면부 즉, 시공 후의 외부 표면은 다양한 색상의 표현은 물론,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각종 무늬 및 돗트(미도시)를 표현할 수 있으며, 벽면에 시공할 경우 도안이나 글자를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음부(120)는 보수용 커버 유닛(S)을 양측방향으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U' 형'V' 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첩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이음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며, 이음 과정에서 방수 접착제 또는 실리콘을 도포하여 방수 기능을 보장할 수 있는 기밀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상기 응집부(110)는 베이스 패널(100)과 일체형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측에는 보수용제(200)가 유입되는 유입홈(111)이 장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홈(111)의 양측에는 보수용제(200) 유입시 보수용제(200)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하여 응집력을 향상시켜 주는 응집편(112)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응집편(112)은 마주보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아크형(112a) 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T' 자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응집부(110)는 커버 유닛(S)과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30)과의 응집력을 향상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수용제(200)를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30)에 도포한 후 굳기 전에 커버 유닛(S)을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30) 방향으로 가압을 하면서 고정시켜 주면 커버 유닛(S)은 보수용제(200)의 내부에 매립되는 형태로 고정되는 것이며, 양생이 된 이후에는 응집부(110)가 보수용제(200)를 감싸 쥐는 듯한 형상이 되기 때문에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보완하기 위해서 상기 아크형 (112a) 응집편(112)의 양측 끝단에 갈코리 형상의 유출방지편(113)이 형성시켜 유입홈(111)을 통해 유입된 보수용 도포제(200)가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이는 작업환경에 따라 활용하여 보수 시공을 하면 된다.
상기 응집편(112)의 주변에는 보수용제(200) 유입시 보수용제(200)와의 응집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응집돌기(114)가 하나 이상 장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 역시 응집력 향상에 그 목적이 있다 하겠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균열(10)이 발생된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30)의 주변을 솔과 수압을 이용하여 청소를 실시한다(S100).
상기 균열 주변 청소 후 보수용제를 도포하되, 균열 주변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도포를 함과 동시에 보수용 커버 유닛(S)의 응집편(112)의 높이만큼 보수용제를 도포한다(S200).
이때 보수용제의 도포 두께는 응집편(112)이 매립될 수 있는 두께여야 하는바, 응집편(112)의 3 내지 7mm 이내가 되기 때문에 그에 준하는 두께로 도포하면 된다.
상기 보수용제(200)가 도포된 표면에 균열(10) 부위 전체를 커버하여 외부 시선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도록 베이스 패널(100)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상단에는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30)에 도포되는 보수용제(200)를 감싸는 형태에서 양생되도록 하여 견고한 고정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응집부(110)가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응집부(110)의 양측 끝단에는 이음부(120)가 각각 형성된 보수용 커버 유닛(S)을 하나 이상 고정하되, 보수용제(200)가 응집부(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외부에서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30) 방향으로 가압을 하면서 고정을 한다(S300).
상기 커버 유닛(S) 고정 후에는 이음부(120)에 실리콘 또는 방수접착제를 도포하여 기밀을 확보하고(S400), 이음부의 기밀성을 확보 한 후에는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30)과 보수용 커버 유닛(S)이 견고한 고정상태가 되도록 양생을 시킨다(S500).
상기 양생 완료 후 보수 시공한 주변의 표면을 깔끔하게 마감 처리(S600) 함으로써 균열 부위에 대한 보수 시공은 완료되는 것이며, 상기 보수용제는 경화제성분이 포함된 시멘트, 모르타르, 퍼티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시멘트 및 모르타르에는 플라스틱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가 전체 중량(%) 중 10 중량(%) 이내에서 혼합될 수 있는바, 이는 당업자의 반복된 과정에 의해 적절하게 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 커버 유닛
10: 균열 부위 20:틈새
30: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
100: 베이스 패널 110: 응집편
111: 유입홈 112: 응집편
112a: 아크형 112b: 'T' 자형
113: 유출방지편 120: 이음부
200: 보수용제
S100: 균열 주변 청소 단계
S200: 보수용제 도포단계
S300: 커버 유닛 고정 단계
S400: 이음부 기밀 확보 단계
S500: 양생 단계
S600: 표면 마감 처리 단계

Claims (7)

  1. 균열(10) 부위 전체를 커버하여 외부 시선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도록 베이스 패널(100)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상단에는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30)에 도포되는 보수용제(200)를 감싸는 형태에서 양생되도록 하여 견고한 고정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응집부(110)가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패널(100)의 양측 끝단에는 이음부(12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120)는 보수용 커버 유닛(S)을 양측방향으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U' 형'V' 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첩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부(110)는 베이스 패널(100)과 일체형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측에는 보수용제(200)가 유입되는 유입홈(111)이 장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홈(111)의 양측에는 보수용제(200) 유입시 보수용제(200)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하여 응집력을 향상시켜 주는 응집편(112)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응집편(112)은 마주보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아크형(112a) 또는 'T' 자형(112b)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형(112a) 응집편(112)의 양측 끝단은 유입홈(111)을 통해 유입된 보수용 도포제(200)가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갈코리 형상의 유출방지편(113)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편(112)의 주변면에는 보수용제(200) 유입시 보수용제(200)와의 응집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응집돌기(114)가 하나 이상 장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
  6. 균열(10)이 발생된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30)의 주변을 솔과 수압을 이용하여 청소를 하는 균열 주변 청소 단계(S100); 와,
    상기 균열 주변 청소 후 보수용제를 도포하되, 균열 주변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도포를 함과 동시에 보수용 커버 유닛(S)의 응집편(112)의 높이만큼 도포를 하는 보수용제 도포 단계(S200); 와,
    상기 보수용제(200)가 도포된 표면에 균열(10) 부위 전체를 커버하여 외부 시선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도록 베이스 패널(100)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상단에는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30)에 도포되는 보수용제(200)를 감싸는 형태에서 양생되도록 하여 견고한 고정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응집부(110)가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응집부(110)의 양측 끝단에는 이음부(120)가 각각 형성된 보수용 커버 유닛(S)을 하나 이상 고정하되, 보수용제(200)가 응집부(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외부에서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30) 방향으로 가압을 하면서 고정을 하는 보수용 커버 유닛 고정 단계(S300); 와,
    상기 커버 유닛(S) 고정 후 이음부(120)에 실리콘 또는 방수접착제를 도포하여 기밀을 확보하는 이음부 기밀 확보 단계(S400); 와,
    상기 이음부 기밀 확보 후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30)과 보수용 커버 유닛(S)이 견고한 고정상태가 되도록 양생을 시키는 양생 단계(S500); 와,
    상기 양생 완료 후 보수 시공한 주변의 표면을 깔끔하게 마감 처리하는 표면 마감 처리 단계(S6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용제는 경화제성분이 포함된 시멘트, 모르타르, 퍼티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시멘트 및 모르타르에는 플라스틱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가 전체 중량(%) 중 10 중량(%) 이내에서 혼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KR1020190143886A 2019-11-12 2019-11-12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 및 그 커버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KR102102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86A KR102102250B1 (ko) 2019-11-12 2019-11-12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 및 그 커버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86A KR102102250B1 (ko) 2019-11-12 2019-11-12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 및 그 커버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116A true KR20190133116A (ko) 2019-12-02
KR102102250B1 KR102102250B1 (ko) 2020-04-20

Family

ID=68847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886A KR102102250B1 (ko) 2019-11-12 2019-11-12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 및 그 커버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2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3539B1 (ko) 1995-06-29 1999-05-01 김주용 광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의 전화 서비스장치
KR200281439Y1 (ko) * 2002-04-20 2002-07-13 주식회사 덕성 건축용 보강판재
KR20120072812A (ko) 2010-12-24 2012-07-04 위은영 수도꼭지
KR101448205B1 (ko) * 2014-01-03 2014-10-15 이승원 건축구조물의 차음 돌출 이음용 아트패널
KR101513077B1 (ko) 2014-09-22 2015-04-17 유지씨 주식회사 틈새 방수용 분사 하우징 및 그 분사 하우징을 이용한 틈새 방수 시공방법
KR20170112956A (ko) * 2016-03-29 2017-10-12 포엠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수보강용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수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3539B1 (ko) 1995-06-29 1999-05-01 김주용 광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의 전화 서비스장치
KR200281439Y1 (ko) * 2002-04-20 2002-07-13 주식회사 덕성 건축용 보강판재
KR20120072812A (ko) 2010-12-24 2012-07-04 위은영 수도꼭지
KR101448205B1 (ko) * 2014-01-03 2014-10-15 이승원 건축구조물의 차음 돌출 이음용 아트패널
KR101513077B1 (ko) 2014-09-22 2015-04-17 유지씨 주식회사 틈새 방수용 분사 하우징 및 그 분사 하우징을 이용한 틈새 방수 시공방법
KR20170112956A (ko) * 2016-03-29 2017-10-12 포엠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수보강용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수보강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250B1 (ko) 202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39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및 그 신축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CN205557856U (zh) 建筑物伸缩缝防渗漏结构
KR102127128B1 (ko) 미관 및 공기단축, 작업환경을 개선한 균열보수공법
CN108868182A (zh) 一种混凝土结构件纵向裂缝修补方法
KR20190133116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 및 그 커버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CN105780940A (zh) 建筑物伸缩缝防渗漏结构
KR10207817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및 그 신축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KR100943296B1 (ko) 무기질 침투성 복합 방수공법
KR102488268B1 (ko) 접착물 배출장치
KR101115082B1 (ko) 삽입방수층과 확장이음부를 갖는 일체형 시멘트몰탈 복합방수패널 및 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0512074B1 (ko) 건축 구조물의 이음부위 방수공법
KR20170057190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패커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CN104060576A (zh) 水工混凝土构件伸缩缝止水带连接结构及连接方法
CN205476133U (zh) 一种女儿墙与屋面结合处的防渗漏结构
KR101434527B1 (ko) 아파트 등의 건물벽체 및 창틀 방수공사 방법
CN208815932U (zh) 一种外墙渗漏水修缮系统
KR20140046806A (ko) 방수층 크랙방지 시공법 및 크랙방지 방수층
KR102091429B1 (ko) 실리콘으로 마감 처리되는 모서리 부분의 강도 향상용 보강 유닛 및 그 보강 유닛을 이용한 모서리 부분 마감 처리 방법
KR20170040146A (ko) 건물 벽면의 콘크리트 탈착 부위 보수용 흙손 겸용 붓 및 그 흙손 겸용 붓을 이용한 탈착 부위 보수 방법
KR10203716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보수 공법
JP3913611B2 (ja) 内外装用タイル貼り面の割れ修復工法
CN218438420U (zh) 一种变形缝渗漏水修缮防水堵漏结构
JPS6363828A (ja) コンクリ−ト構造体の防水接合方法
JPH0238700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クラック・目地等の補修方法
KR100400174B1 (ko) 구조물의 조인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