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992A - 신발 바닥 구조 - Google Patents

신발 바닥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992A
KR20190132992A KR1020197024393A KR20197024393A KR20190132992A KR 20190132992 A KR20190132992 A KR 20190132992A KR 1020197024393 A KR1020197024393 A KR 1020197024393A KR 20197024393 A KR20197024393 A KR 20197024393A KR 20190132992 A KR20190132992 A KR 20190132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idsole
adhered
rubber
shoe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핑 루
Original Assignee
칭위안 글로벌 테크놀러지 서비시즈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칭위안 글로벌 테크놀러지 서비시즈 엘티디. filed Critical 칭위안 글로벌 테크놀러지 서비시즈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132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9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outsole or external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26Composites, e.g. carbon fibre or aramid fibre; the sole, one or more sole layers or sole part being made of a composit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8Net structure, e.g. spaced apart filaments bonded at the crossing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made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32B2437/02Gloves, s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퍼와 조합하기 위한 신발 바닥 구조를 제공한다. 신발 바닥 구조는 아웃솔, 탄소섬유 시트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바닥 시트를 포함한다. 아웃솔의 측변에는 어퍼에 점착되는 사이드 월이 있다. 탄소섬유 시트는 아웃솔에 설치된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바닥 시트는 탄소섬유 시트에 점착되어 어퍼에 점착되는 상층 구조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신발 바닥 구조
본 발명은 신발 바닥 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니트 어퍼에 적용되는 신발 바닥 구조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평소에 신는 신발의 디자인은 외관을 아름답게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신발의 편한 착용감 및 발이 견디는 무게를 분산하는 부분에 대해 연구하여 개선하기도 한다. 발이 견디는 무게를 분산하는 면에 있어서, 현재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주로 신발 본체와 아웃솔 사이에 연질 재료층 또는 공기 완충층을 설치하여 완충작용을 갖도록 함으로써 발이 견디는 충격력을 줄이는 것이다. 또한, 서로 다른 신발 바닥 특성을 사용함으로써 지탱 또는 기타 기능상의 증진을 달성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신발 디자인 및 공정상의 한계로 인해 신발 바닥이 제공할 수 있는 상술한 기능은 항상 신발의 전체 구조의 제한을 받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신발 바닥이 제공해야 할 지지력 또는 완충 효과는 신발 바닥과 어퍼의 대응 구조 관계에 의해 제한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은 운동화의 전체 탄성을 증가하면서 완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신발 바닥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어퍼와 조합하기 위한 신발 바닥 구조를 제공한다. 신발 바닥 구조는 아웃솔, 탄소섬유 시트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바닥 시트를 포함한다. 아웃솔의 측변에는 어퍼에 점착되는 사이드 월이 있다. 탄소섬유 시트는 아웃솔에 설치된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바닥 시트는 탄소섬유 시트에 점착되어 어퍼에 점착되는 상층 구조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는 직물 어퍼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아웃솔은 러버 상부 시트, 미드솔 및 러버 하부 시트를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사이드 월은 상기 러버 하부 시트의 측변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드솔은 메쉬 구조를 가지며, 상기 러버 상부 시트, 상기 미드솔 및 상기 러버 하부 시트는 상하로 열가압하는 방식에 의해 상기 러버 상부 시트가 상기 메쉬 구조를 관통하고 상기 러버 하부 시트와 점착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쉬 구조는 복수개의 메쉬를 가지며, 각 메쉬의 크기 범위는 0.2 mm 내지 4 mm 사이에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드솔은 인체의 발바닥 부위에 대응되는 제1 미드솔 및 인체의 발꿈치 부위에 대응되는 제2 미드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미드솔과 상기 제2 미드솔 사이에는 인체의 족궁 부위에 대응되는 제1간격을 가지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러버 하부 시트는 상기 제1 미드솔의 앞부분에 대응되는 제1 러버 하부 시트, 상기 제1 미드솔의 뒷부분에 대응되는 제2 러버 하부 시트 및 상기 제2 미드솔에 대응되는 제3 러버 하부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러버 하부 시트와 상기 제2 러버 하부 시트 사이에는 제2간격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러버 하부 시트와 상기 제3 러버 하부 시트 사이에는 제3간격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3간격은 상기 제1간격에 대응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간격은 상기 제3간격보다 작고, 상기 제2간격은 대략 상기 제1 미드솔의 중간부분에 대응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러버 하부 시트의 측변에는 제1 사이드 월이 있고, 상기 제2 러버 하부 시트의 측변에는 제2 사이드 월이 있으며, 상기 제3 러버 하부 시트의 측변에는 제3 사이드 월이 있고, 상기 제1 사이드 월, 제2 사이드 월 및 제3 사이드 월은 각각 상기 어퍼에 점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이드 월은 상기 제1 러버 하부 시트의 양 측변으로부터 각각 위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인체의 발끝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호 연결되며, 상기 제2 사이드 월은 상기 제2 러버 하부 시트의 양 측변으로부터 각각 위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 사이드 월은 상기 제3 러버 하부 시트의 양 측변으로부터 각각 위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인체의 발꿈치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호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드솔의 재질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바닥 시트의 재질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 월은 상기 어퍼의 외측 표면에 점착되고, 상기 상층 구조는 상기 어퍼의 내측 표면에 점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 월은 상기 어퍼의 외측 표면에 점착되고, 상기 탄소섬유 시트는 상기 아웃솔과 상기 상층 구조 사이에 연장되는 상기 어퍼의 바닥부에 점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 월은 상기 어퍼의 외측 표면에 점착되고, 상기 상층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라이닝 패브릭에 의해 상기 어퍼에 간접적으로 점착되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이닝 패브릭의 일부는 상기 어퍼의 내측 표면에 점착되고, 다른 부분은 상기 상층 구조의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바닥 시트에 점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소섬유 시트는 점착제에 의해 상기 아웃솔에 점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소섬유 시트는 상기 아웃솔과 점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바닥 구조의 분해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신발 바닥 구조를 가지는 운동화의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층 구조가 어퍼에 점착된 단면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상층 구조가 어퍼에 점착된 단면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상층 구조가 어퍼에 점착된 단면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바닥 구조의 분해 모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바닥 구조의 분해 모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바닥 구조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바닥 구조의 분해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신발 바닥 구조를 가지는 운동화의 모식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바닥 구조(100)는 아웃솔(10), 탄소섬유 시트(20)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바닥 시트(30)를 포함하며, 그 중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바닥 시트(30)의 재질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웃솔(10)은 러버 상부 시트(11), 미드솔(12) 및 러버 하부 시트(13)를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 미드솔(12)의 재질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s, FRP)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러버 하부 시트(13)의 측변에는 사이드 월(15)이 있고, 사이드 월(15)은 어퍼(150)에 점착되어 도 2에 도시된 운동화(200)를 형성하는데, 그 중 어퍼(150)는 유연성 어퍼인 것이 바람직하고, 직물 어퍼, 예를 들어 니트 어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운동화(200)는 농구화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미드솔(12)은 임의의 편직법에 의해 복수개의 메쉬를 가지는 메쉬 구조를 형성한 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는데, 그 중 전술한 임의의 편직법은 경편, 위편, 원편, 태팅 등의 편직법을 포함하며, 각 메쉬의 크기 범위는 0.2 mm 내지 4 mm 사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러버 상부 시트(11), 미드솔(12) 및 러버 하부 시트(13)는 상하로 열가압하는 방식에 의해 러버 상부 시트(11)가 미드솔(12)의 메쉬 구조를 관통하고 러버 하부 시트(13)와 점착되도록 함으로써 아웃솔(10)을 형성하는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시한 아웃솔(10)은 일반적인 얇은 고무와 같이 잡아 당기면 파단되는 문제점이 없기 때문에, 두꺼운 고무창만이 있을 수 있는 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
탄소섬유 시트(20)는 아웃솔(10) 상에 설치되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바닥 시트(30)는 탄소섬유 시트(20)에 점착되어 상층 구조(25)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층 구조(25)는 아웃솔(10)에 점착되지 않는데, 즉 탄소섬유 시트(20)가 아웃솔(10)과 점착되지 않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탄소섬유 시트(20)는 러버 상부 시트(11)를 덮도록 러버 상부 시트 상에 설치되지만 탄소섬유 시트(20)는 러버 상부 시트(11)와 서로 고정되거나 점착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월(15)은 어퍼(150)의 외측 표면(1501)에 점착되고, 상층 구조(25)는 어퍼(150)의 내측 표면(1502)에 점착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월(15)은 어퍼(150)의 외측 표면(1501)에 점착되고, 상층 구조(25)의 탄소섬유 시트(20)는 아웃솔(10)과 상층 구조(25) 사이에 연장되는 어퍼(150)의 바닥부에 점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라이닝 패브릭(300)을 사용하여 상층 구조(25)를 고정시킬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라이닝 패브릭(300)의 일부를 어퍼(150) 측변의 내측 표면(1502)에 점착시킨 후 라이닝 패브릭(300)의 다른 부분을 상층 구조(25)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바닥 시트(30)에 점착시킨다.
본 실시예의 신발 바닥 구조(100)에 따르면, 아웃솔(10)은 상층 구조(25)와 점착되지 않고, 아웃솔(10)과 상층 구조(25)는 각각 어퍼(150)의 서로 다른 부위(예를 들어, 어퍼의 외측 표면 및 어퍼의 바닥부)에 점착되며, 사용자가 운동화(200)를 착용하여 가로 이동하거나 농구를 할 때, 사용자가 갑자기 멈추는 경우에 미끄러움 및 변형을 방지하는 응력이 아웃솔(10)에 작용되도록 하여 상층 구조(25)의 수평 이동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운동화(200)를 착용하여 굽힘 및/또는 점프 동작을 할 경우, 아웃솔(10)은 상층 구조(25)와 상호 점착되지 않으므로 상층 구조(25)가 아웃솔(10)과 함께 만곡되지 않고, 점프, 굽힘에 의한 응력이 탄소섬유 시트(20)에 작용되도록 하면서 완충 응력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바닥 시트(30)에 작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운동화(200)의 전체 탄성을 증가하고 완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드솔(12)은 두 개의 서로 이격된 제1 미드솔(121) 및 제2 미드솔(122)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중 제1 미드솔(121)과 제2 미드솔(122) 사이에는 제1간격(D1)을 가지고 있다. 제1 미드솔(121)은 인체의 발바닥 부위에 대응하게 설치되고, 제2 미드솔(122)은 인체의 발꿈치 부위에 대응하게 설치되며, 제1간격(D1)은 인체의 족궁 부위에 대응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미드솔(121)은 족궁 부위에서 발바닥 부위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틈새(123)를 가질 수 있고, 제2 미드솔(122)은 족궁 부위에서 발꿈치 부위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틈새(124)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미드솔(121) 및 제2 미드솔(122)의 연장성을 증가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러버 하부 시트(13)는 3개의 서로 이격된 제1 러버 하부 시트(131), 제2 러버 하부 시트(132) 및 제3 러버 하부 시트(133)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중 제1 러버 하부 시트(131)와 제2 러버 하부 시트(132) 사이에는 제2간격(D2)을 가지고 있고, 제2 러버 하부 시트(132)와 제3 러버 하부 시트(133) 사이에는 제3간격(D3)을 가지고 있다. 제1 러버 하부 시트(131)는 제1 미드솔(121)의 앞부분에 대응하게 설치되고, 제2 러버 하부 시트(132)는 제1 미드솔(121)의 뒷부분에 대응하게 설치되며, 제3 러버 하부 시트(133)는 제2 미드솔(122)에 대응하게 설치되고, 제3간격(D3)은 제1간격(D1)에 대응된다. 또한, 제2간격(D2)은 제3간격(D3)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제2간격(D2)은 대략 제1 미드솔(121)의 중간부분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러버 하부 시트(131)의 측변에는 제1 사이드 월(151)이 있고, 제2 러버 하부 시트(132)의 측변에는 제2 사이드 월(152)이 있으며, 제3 러버 하부 시트(133)의 측변에는 제3 사이드 월(153)이 있고, 제1 사이드 월(151), 제2 사이드 월(152) 및 제3 사이드 월(153)은 각각 어퍼(150)에 점착되어 도 2에 도시된 운동화(200)를 형성한다. 그 중 제1 사이드 월(151)은 제1 러버 하부 시트(131)의 양 측변으로부터 각각 위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인체의 발끝(160)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사이드 월(152)은 제2 러버 하부 시트(132)의 양 측변으로부터 각각 위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3 사이드 월(153)은 제3 러버 하부 시트(133)의 양 측변으로부터 각각 위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인체의 발꿈치(170)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작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바닥 구조의 분해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는 바람직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며, 그 차이점은 주로 본 실시예의 아웃솔(10)이 상층 구조(25)와 점착되는 것이므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고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아웃솔(10)의 러버 상부 시트(11)는 점착제(80)에 의해 상층 구조(25)의 탄소섬유 시트(20)와 점착되어 상층 구조(25)가 아웃솔(10)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아웃솔(10)과 상층 구조(25)의 점착방식은 압출 점착, 사출 접착 등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바닥 구조의 분해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는 바람직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며, 그 차이점은 본 실시예의 신발 바닥 구조(110)의 아웃솔(50)이 제1 실시예의 아웃솔(10)과 다르는 것이므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고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아웃솔(50)은 사이드 월이 있고, 아웃솔(50)은 상층 구조(25)와 점착되지 않으며, 그 중 아웃솔(50)의 재질은 고무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바닥 구조의 분해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는 바람직한 제3 실시예와 유사하며, 그 차이점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바닥 구조(110)의 아웃솔(50)이 점착제(81)에 의해 상층 구조(25)의 탄소섬유 시트(20)와 점착되어 상층 구조(25)를 아웃솔(50)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아웃솔(50)과 상층 구조(25)의 점착방식은 압출 점착, 사출 접착 등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반면,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정신 및 범위에 대한 수정 및 균등물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50 : 아웃솔
11 : 러버 상부 시트
12 : 미드솔
13 : 러버 하부 시트
15 : 사이드 월
20 : 탄소섬유 시트
25 : 상층 구조
30 :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바닥 시트
80, 81 : 점착제
100, 110 : 신발 바닥 구조
121 : 제1 미드솔
122 : 제2 미드솔
123, 124 : 틈새
131 : 제1 러버 하부 시트
132 : 제2 러버 하부 시트
133 : 제3 러버 하부 시트
151 : 제1 사이드 월
152 : 제2 사이드 월
153 : 제3 사이드 월
160 : 발끝
170 : 발꿈치
200 : 운동화
300 : 라이닝 패브릭
1501 : 외측 표면
1502 : 내측 표면

Claims (17)

  1. 어퍼와 조합하기 위한 신발 바닥 구조에 있어서,
    측변에는 상기 어퍼에 점착되는 사이드 월이 있는 아웃솔과,
    상기 아웃솔에 설치되는 탄소섬유 시트와,
    상기 탄소섬유 시트에 점착되어 상기 어퍼에 점착되는 상층 구조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바닥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는 직물 어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러버 상부 시트, 미드솔 및 러버 하부 시트를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사이드 월은 상기 러버 하부 시트의 측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은 메쉬 구조를 가지며, 상기 러버 상부 시트, 상기 미드솔 및 상기 러버 하부 시트는 상하로 열가압하는 방식에 의해 상기 러버 상부 시트가 상기 메쉬 구조를 관통하고 상기 러버 하부 시트와 점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구조는 복수개의 메쉬를 가지며, 각 메쉬의 크기 범위는 0.2 mm 내지 4 mm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은 인체의 발바닥 부위에 대응되는 제1 미드솔 및 인체의 발꿈치 부위에 대응되는 제2 미드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미드솔과 상기 제2 미드솔 사이에는 인체의 족궁 부위에 대응되는 제1간격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하부 시트는 상기 제1 미드솔의 앞부분에 대응되는 제1 러버 하부 시트, 상기 제1 미드솔의 뒷부분에 대응되는 제2 러버 하부 시트 및 상기 제2 미드솔에 대응되는 제3 러버 하부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러버 하부 시트와 상기 제2 러버 하부 시트 사이에는 제2간격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러버 하부 시트와 상기 제3 러버 하부 시트 사이에는 제3간격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3간격은 상기 제1간격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간격은 상기 제3간격보다 작고, 상기 제2간격은 대략 상기 제1 미드솔의 중간부분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러버 하부 시트의 측변에는 제1 사이드 월이 있고, 상기 제2 러버 하부 시트의 측변에는 제2 사이드 월이 있으며, 상기 제3 러버 하부 시트의 측변에는 제3 사이드 월이 있고, 상기 제1 사이드 월, 제2 사이드 월 및 제3 사이드 월은 각각 상기 어퍼에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월은 상기 제1 러버 하부 시트의 양 측변으로부터 각각 위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인체의 발끝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호 연결되며, 상기 제2 사이드 월은 상기 제2 러버 하부 시트의 양 측변으로부터 각각 위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 사이드 월은 상기 제3 러버 하부 시트의 양 측변으로부터 각각 위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인체의 발꿈치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구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의 재질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구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바닥 시트의 재질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구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월은 상기 어퍼의 외측 표면에 점착되고, 상기 상층 구조는 상기 어퍼의 내측 표면에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구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월은 상기 어퍼의 외측 표면에 점착되고, 상기 탄소섬유 시트는 상기 아웃솔과 상기 상층 구조 사이에 연장되는 상기 어퍼의 바닥부에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구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월은 상기 어퍼의 외측 표면에 점착되고, 상기 상층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라이닝 패브릭에 의해 상기 어퍼에 간접적으로 점착되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이닝 패브릭의 일부는 상기 어퍼의 내측 표면에 점착되고, 다른 부분은 상기 상층 구조의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바닥 시트에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구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 시트는 점착제에 의해 상기 아웃솔에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구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 시트는 상기 아웃솔과 점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구조.
KR1020197024393A 2017-01-25 2018-01-24 신발 바닥 구조 KR201901329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061334.3A CN108338449A (zh) 2017-01-25 2017-01-25 鞋底结构
CN201710061334.3 2017-01-25
PCT/CN2018/074007 WO2018137661A1 (zh) 2017-01-25 2018-01-24 鞋底结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992A true KR20190132992A (ko) 2019-11-29

Family

ID=62963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393A KR20190132992A (ko) 2017-01-25 2018-01-24 신발 바닥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380434A1 (ko)
EP (1) EP3574789A4 (ko)
JP (1) JP2020505157A (ko)
KR (1) KR20190132992A (ko)
CN (1) CN108338449A (ko)
WO (1) WO20181376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5869A (zh) * 2017-08-01 2019-02-12 清远广硕技研服务有限公司 应用于鞋类制品的电力产生装置及其运作方法
CN111770699A (zh) 2018-01-24 2020-10-13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包括聚烯烃板的鞋底结构和由其形成的鞋类物品
NL2023135B1 (en) * 2019-05-15 2020-12-01 Anbo Amersfoort B V Shoe sole assembly, sho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hoe
CN114173600B (zh) 2019-07-19 2024-05-1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包括鞋底结构和延条的鞋类物品
EP3849369B1 (en) * 2019-07-19 2022-03-02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s including polyolefin plates and articles of footwear formed therefrom
CN110916290A (zh) * 2019-11-14 2020-03-27 安徽旭升新材料有限公司 一种新型碳纤维鞋底及其制备方法
US12022909B2 (en) 2021-08-30 2024-07-02 Nike, Inc. Polyolefin-based resins,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and sporting equipment formed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817A (zh) * 1995-12-04 1997-10-15 全球体育技术公司 具有包含至少一个复合材料层的鞋底部件的运动鞋
FI117541B (fi) * 2005-07-01 2006-11-30 Karhu Sporting Goods Oy Urheilujalkineen pohjarakenne
CH702927B1 (de) * 2010-10-26 2011-10-14 Mammut Sports Group Ag Brandsohl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Brandsoh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uhwerks mit einer solchen Brandsohle.
US8713819B2 (en) * 2011-01-19 2014-05-06 Nike, Inc. Composite sole structure
US9204680B2 (en) * 2011-11-18 2015-12-08 Nike, Inc. Footwear having corresponding outsole and midsole shapes
CN202873982U (zh) * 2012-10-10 2013-04-17 富信天伦天(福建)户外体育用品有限公司 新型鞋底结构的休闲鞋
CN104522930B (zh) * 2014-12-17 2016-10-19 中国人民解放军总后勤部军需装备研究所 一种轻质耐用抗刺穿鞋靴结构及其制作方法
CN206744693U (zh) * 2017-01-25 2017-12-15 清远广硕技研服务有限公司 鞋底结构
CN206462502U (zh) * 2017-01-25 2017-09-05 清远广硕技研服务有限公司 鞋底结构
CN206729328U (zh) * 2017-01-25 2017-12-12 清远广硕技研服务有限公司 鞋底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38449A (zh) 2018-07-31
JP2020505157A (ja) 2020-02-20
EP3574789A4 (en) 2020-09-02
WO2018137661A1 (zh) 2018-08-02
US20190380434A1 (en) 2019-12-19
EP3574789A1 (en)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2992A (ko) 신발 바닥 구조
US20230225453A1 (en) Cushioning member for article of footwear
JP6505895B2 (ja)
US8621767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upport structure
TWI722322B (zh) 具有可調適配合度的鞋類物品及製造方法
AU2013318385B2 (en)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plate moderated fluid-filled bladders and/or foam type impact force attenuation members
US10849387B2 (en)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plate moderated fluid-filled bladders and/or foam type impact force attenuation members
US10856612B2 (en)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plate moderated fluid-filled bladders and/or foam type impact force attenuation members
CN107072350B (zh) 鞋底结构具有多个部件的制品
KR20190003005U (ko) 신발 바닥 구조
CN105744851A (zh) 具有带侧部加强件的鞋底结构的鞋类物品
US9241533B2 (en) Footwear including heel spring support members
US20230380543A1 (en) Sole and shoe including same
KR100882849B1 (ko) 마사이워킹 신발
TWI834339B (zh) 具有用於腳尖離地的延伸板的鞋類物品
TW201826960A (zh) 鞋底結構
KR102062802B1 (ko) 쿠션력을 향상시킨 스니커즈 신발
KR20070097751A (ko) 기능성 신발
KR200388748Y1 (ko) 신발밑창
KR20090129547A (ko) 마사이워킹 신발의 미드솔
KR20120116693A (ko) 굴신부가 구비된 구두 중창
GB2515133A (en) Article of footwear, elements thereof,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