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840A -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 - Google Patents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840A
KR20190132840A KR1020180057884A KR20180057884A KR20190132840A KR 20190132840 A KR20190132840 A KR 20190132840A KR 1020180057884 A KR1020180057884 A KR 1020180057884A KR 20180057884 A KR20180057884 A KR 20180057884A KR 20190132840 A KR20190132840 A KR 20190132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joint
corner
pipe member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1534B1 (ko
Inventor
김학노
Original Assignee
김학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노 filed Critical 김학노
Priority to KR1020180057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534B1/ko
Publication of KR20190132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04B1/583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21Socket type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63Connections to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2001/5887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using connectors with sockets

Abstract

본 발명은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에서 좌측 하단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1관부재, 상기 제1몸체에서 우측 하단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2관부재 및 상기 제1몸체에서 중앙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3관부재를 포함하는 제1조인트; 제2몸체, 상기 제2몸체에서 중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관부재, 상기 제2몸체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4관부재와 직각을 이루는 제5관부재 및 상기 제2몸체에 형성된 경사면에 구비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2조인트; 제3몸체, 상기 제3몸체에서 일 측 상단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6관부재, 상기 제3몸체에서 중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7관부재 및 상기 제3몸체에 형성되는 제1고정홈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3조인트;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8관부재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제4조인트; 단면이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삽입홈이 형성되는 고정브릿지 및 상기 고정브릿지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9관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5조인트; 및 상기 제1관부재 내지 제8관부재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조인트 내지 제4조인트를 상호 연결하는 제1각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A FRAME STRUCTURE WITH JOINT}
본 발명은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각관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용이하게 고정되는 제1조인트 내지 제4조인트를 미리 구비함으로써, 현장에서 골조 시공을 하는 경우 미리 구비된 조인트를 이용하여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소재의 각관은 철골 구조용, 건물 기둥용, 외벽 장식용, 기계용 프레임, 계단 손잡이용, 온실용, 펜스용, 주차 설비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각관은 하나를 이용하여 그 용도의 골조를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복수의 각관을 연결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1998-0015707 호에는 철도차량 차체 골조 이음용 연결 조인트가 개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철도차량 차체 골조 이음용 연결 조인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철도차량 차체 골조 이음용 연결 조인트를 설명하자면, 차체의 횡방으로 결합되는 횡방향 골조와 이에 직교되게 결합되는 종방향 골조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고, 이 골조에 연결되는 외판의 평판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철도차량 차체 골조 이음용 연결 조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종래의 철도차량 차체 골조 이음용 연결 조인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ㄷ'자 형 단면을 가지는 횡방향 골조(1)와 종방향 골조(2)를 접합하는 연결구조에 있어서, 종방향 골조(2)의 횡방향 골조(1)와 직교되는 부위에 상부 평판부(2a)의 연결부(2b)만 남기고 횡방향 골조(1)가 삽입되는 삽입홈(2c)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종방향 골조(2)에서 횡방향 골조(1)와 직교되는 부위에 삽입홈(2c)을 형성하기 위하여 날개부(2d)가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종방향 골조(2)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와 관련된 다른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 10-0949768 호에는 비닐하우스 골조가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비닐하우스 골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비닐하우스 골조를 설명하자면, 내구성이 향상된 구조의 비닐하우스 골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종래의 비닐하우스 골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아치형 골조(3)와, 골조연결부재를 매개로 아치형 골조(3)에 고정되어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아치형 골조(3)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용 골조(4)를 갖춘 비닐하우스 골조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골조(3)를 착탈 가능하게 감싸며 조일 수 있도록 둘레면이 절개되어진 밴드부와, 밴드부의 양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체결용 플랜지부를 갖춘 클램프와 ; 별도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클램프의 체결용 플랜지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클램프 체결부와, 클램프 체결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별도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보강용 골조(5)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보강용 골조 체결부를 갖춘 조인트를 매개로 바아 형태의 보강용 골조(5)가 아치형 골조(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인트에 보조 골조 안착부가 구비되어, 보조 골조가 보조 골조 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아치형 골조(3)와 연결용 골조(4)가 단일로 구성된 상태에서 가능한 구조이므로, 골조가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골조를 서로 연결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1998-0015707 호(1998.06.25.) 등록특허공보 제 10-0949768 호(2010.03.19.) 등록특허공보 제 10-1431974 호(2014.08.12.) 공개특허공보 제 10-2015-0111249 호(2015.10.05.)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1각관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용이하게 고정되는 제1조인트 내지 제4조인트를 미리 구비함으로써, 현장에서 골조 시공을 하는 경우 미리 구비된 조인트를 이용하여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에서 좌측 하단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1관부재, 상기 제1몸체에서 우측 하단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2관부재 및 상기 제1몸체에서 중앙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3관부재를 포함하는 제1조인트; 제2몸체, 상기 제2몸체에서 중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관부재, 상기 제2몸체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4관부재와 직각을 이루는 제5관부재 및 상기 제2몸체에 형성된 경사면에 구비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2조인트; 제3몸체, 상기 제3몸체에서 일 측 상단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6관부재, 상기 제3몸체에서 중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7관부재 및 상기 제3몸체에 형성되는 제1고정홈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3조인트;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8관부재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제4조인트; 단면이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삽입홈이 형성되는 고정브릿지 및 상기 고정브릿지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9관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5조인트; 및 상기 제1관부재 내지 제8관부재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조인트 내지 제4조인트를 상호 연결하는 제1각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면이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으로 상기 제1각관부가 삽입되어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체결구; 및 단면이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홈으로 상기 제1각관부가 삽입되어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체결구의 제1삽입홈이 형성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위치에 대칭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각관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른 제1각관부가 삽입되도록 회전되어 구비되는 제2체결구를 포함하는 복수의 앵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각관부는, 일단의 내부에는 상기 제1관부재가 삽입되고 타단의 내부에는 상기 일 측의 제6관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의 사이는 상기 일 측의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제1각관; 일단의 내부에는 제2관부재가 삽입되고 타단의 내부에는 상기 타 측의 제6관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의 사이는 상기 타 측의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제2각관; 일단의 내부에는 상기 일 측의 제4관부재가 삽입되고 타단의 내부에는 상기 타 측의 제4관부재가 삽입되는 제3각관; 일단의 내부에는 상기 일 측의 제7관부재가 삽입되고 타단의 내부에는 상기 타 측의 제7관부재가 삽입되는 제4각관; 일단의 내부에는 상기 제3관부재가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3각관에 지지되는 제9관부재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5각관; 일단의 내부에는 상기 일 측의 제5관부재가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4각관에 지지되는 제9관부재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6각관; 및 일단의 내부에는 상기 타 측의 제5관부재가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4각관에 지지되는 제9관부재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7각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조인트, 제2조인트, 제3조인트, 제4조인트 및 제1각관부는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중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제1각관의 일 측에 지지되는 앵글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복수의 제1각관과 직교되도록 배치되는 제8각관; 상기 복수의 제1각관의 타 측에 지지되는 앵글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복수의 제1각관과 직교되도록 배치되는 제9각관; 상기 복수의 제2각관의 일 측에 지지되는 앵글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복수의 제2각관과 직교되도록 배치되는 제10각관; 상기 복수의 제2각관의 타 측에 지지되는 앵글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복수의 제2각관과 직교되도록 배치되는 제11각관; 상기 일 측의 제3조인트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고정홈에 삽입되는 제12각관; 및 상기 타 측의 제3조인트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고정홈에 삽입되는 제13각관을 포함하는 제2각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각관부에는, 일단은 상기 제12각관을 지지하는 앵글부에 삽입되고 타단에는 상기 일 측의 제8관부재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4각관; 및 타단은 상기 제13각관을 지지하는 앵글부에 삽입되고 타단에는 상기 타 측의 제8관부재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5각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8각관 및 제9각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판넬 및 상기 제10각관 및 제11각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판넬을 포함하는 판넬부; 및 상기 제1판넬 및 제2판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판넬 및 제2판넬의 사이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용마루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조인트에는 상기 제3관부재의 상부에 제2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각관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2고정홈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6각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관부재 내지 제8관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는 내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관부재 내지 제8관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내부에는 상기 제1관부재 내지 제8관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단면이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압축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관부재 내지 제8관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는 내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관부재 내지 제8관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내부에는 상기 제1관부재 내지 제8관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인장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관부재 내지 제8관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에는 상기 제1각관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일단 측의 외부면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자성을 갖는 연질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고무자석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관부재 내지 제8관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는 부식 방지를 위한 코팅제가 도포되며, 상기 코팅제는, 물 40~50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10~20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20~30중량부, 스티렌단량체 10~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을 비온성 유화제 및 중합개시제 존재하에 유화중합하여 얻어지는 유리전이온도 -10℃ 내지 +10℃, 점도 5-20 Poises 범위를 가지는 아크릴 에멀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몸체와 제1관부재의 연결부, 제1몸체와 제2관부재의 연결부, 제1몸체와 제3관부재의 연결부, 제2몸체와 제4관부재의 연결부, 제2몸체와 제5관부재의 연결부, 제3몸체와 제6관부재의 연결부 및 제3몸체와 제7관부재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에는, 상기 제1각관부에 걸리도록 각각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에 의하면, 제1각관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용이하게 고정되는 제1조인트 내지 제4조인트를 미리 구비함으로써, 현장에서 골조 시공을 하는 경우 미리 구비된 조인트를 이용하여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철도차량 차체 골조 이음용 연결 조인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비닐하우스 골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의 제1조인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의 제2조인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의 제3조인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의 제4조인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의 제5조인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의 앵글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의 압축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의 인장돌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의 고무자석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제1각관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용이하게 고정되는 제1조인트 내지 제4조인트를 미리 구비함으로써, 현장에서 골조 시공을 하는 경우 미리 구비된 조인트를 이용하여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의 제1조인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의 제2조인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의 제3조인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의 제4조인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의 제5조인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의 앵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9b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는, 제1몸체(111), 상기 제1몸체(111)에서 좌측 하단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1관부재(112), 상기 제1몸체(111)에서 우측 하단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2관부재(113) 및 상기 제1몸체(111)에서 중앙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3관부재(114)를 포함하는 제1조인트(110), 제2몸체(121), 상기 제2몸체(121)에서 중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관부재(122), 상기 제2몸체(121)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4관부재(122)와 직각을 이루는 제5관부재(123) 및 상기 제2몸체(121)에 형성된 경사면(121a)에 구비되는 브라켓(124)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2조인트(120), 제3몸체(131), 상기 제3몸체(131)에서 일 측 상단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6관부재(132), 상기 제3몸체(131)에서 중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7관부재(133) 및 상기 제3몸체(131)에 형성되는 제1고정홈(131a)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3조인트(130),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판(141) 및 상기 고정판(141)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8관부재(142)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제4조인트(140), 단면이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삽입홈(151a)이 형성되는 고정브릿지(151) 및 상기 고정브릿지(151)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9관부재(152)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5조인트(150) 및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조인트(110) 내지 제5조인트(150)를 상호 연결하는 제1각관부(310)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와 제1각관부(310)는 서로 초음파 접합 등의 방법으로 접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와 상기 제1각관부(310)의 접합은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와 상기 제1각관부(310)가 견고하게 접할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다른 방법으로도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에는, 단면이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삽입홈(211)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211)으로 상기 제1각관부(310)가 삽입되어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체결구(210) 및 단면이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삽입홈(221)이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홈(221)으로 상기 제1각관부(310)가 삽입되어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체결구(210)의 제1삽입홈(211)이 형성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위치에 대칭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삽입홈(211)에 삽입되는 제1각관부(3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른 제1각관부(310)가 삽입되도록 회전되어 구비되는 제2체결구(220)를 포함하는 복수의 앵글부(2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앵글부(200)는 상기 제1체결구(210)의 제1삽입홈(211)과 제2체결구(220)의 제2삽입홈(221)으로 각각 다른 제1각관부(310)가 삽입되어 서로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각관부(310)는, 일단의 내부에는 상기 제1관부재(112)가 삽입되고 타단의 내부에는 상기 일 측의 제6관부재(132)가 삽입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의 사이는 상기 일 측의 브라켓(124)에 의해 지지되는 제1각관(311), 일단의 내부에는 제2관부재(113)가 삽입되고 타단의 내부에는 상기 타 측의 제6관부재(132)가 삽입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의 사이는 상기 타 측의 브라켓(124)에 의해 지지되는 제2각관(312), 일단의 내부에는 상기 일 측의 제4관부재(122)가 삽입되고 타단의 내부에는 상기 타 측의 제4관부재(122)가 삽입되는 제3각관(313), 일단의 내부에는 상기 일 측의 제7관부재(133)가 삽입되고 타단의 내부에는 상기 타 측의 제7관부재(133)가 삽입되는 제4각관(314), 일단의 내부에는 상기 제3관부재(114)가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3각관(313)에 지지되는 제9관부재(152)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5각관(315), 일단의 내부에는 상기 일 측의 제5관부재(123)가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4각관(314)에 지지되는 제9관부재(152)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6각관(316) 및 일단의 내부에는 상기 타 측의 제5관부재(123)가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4각관(314)에 지지되는 제9관부재(152)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7각관(31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인트(110), 제2조인트(120), 제3조인트(130), 제4조인트(140) 및 제1각관부(310)는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에는, 상기 복수의 제1각관(311)의 일 측에 지지되는 앵글부(200)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복수의 제1각관(311)과 직교되도록 배치되는 제8각관(321), 상기 복수의 제1각관(311)의 타 측에 지지되는 앵글부(200)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복수의 제1각관(311)과 직교되도록 배치되는 제9각관(322), 상기 복수의 제2각관(312)의 일 측에 지지되는 앵글부(200)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복수의 제2각관(312)과 직교되도록 배치되는 제10각관(323), 상기 복수의 제2각관(312)의 타 측에 지지되는 앵글부(200)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복수의 제2각관(312)과 직교되도록 배치되는 제11각관(324), 상기 일 측의 제3조인트(13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고정홈(131a)에 삽입되는 제12각관(325) 및 상기 타 측의 제3조인트(13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고정홈(131a)에 삽입되는 제13각관(326)을 포함하는 제2각관부(3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각관부(310)에는, 일단은 상기 제12각관(325)을 지지하는 앵글부(200)에 삽입되고 타단에는 상기 일 측의 제8관부재(142)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4각관(318) 및 타단은 상기 제13각관(326)을 지지하는 앵글부(200)에 삽입되고 타단에는 상기 타 측의 제8관부재(142)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5각관(319)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인트(110)에는 상기 제3관부재(114)의 상부에 제2고정홈(115)이 형성되며, 상기 제2각관부(320)에는 상기 복수의 제2고정홈(115)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6각관(327)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에는, 상기 제8각관(321) 및 제9각관(322)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판넬(410) 및 상기 제10각관(323) 및 제11각관(324)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판넬(420)을 포함하는 판넬부(400) 및 상기 제1판넬(410) 및 제2판넬(4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판넬(410) 및 제2판넬(420)의 사이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용마루(500)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내부 및 외부에는 부식 방지를 위한 코팅제가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2관부재(113)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내부 및 외부에 도포되는 코팅제는, 물 40~50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10~20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20~30중량부, 스티렌단량체 10~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을 비온성 유화제 및 중합개시제 존재하에 유화중합하여 얻어지는 유리전이온도 -10℃ 내지 +10℃, 점도 5-20 Poises 범위를 가지는 아크릴 에멀젼 40~50중량부, 충전재 30~40중량부, 발수제 1~10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는 조성물 내의 소수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노머로서,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의 표면에 불순물이 존재하더라도 접착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특히, 낮은 유리전이온도(Tg)를 사용하는 것이 점착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리전이온도(Tg)가 -25℃ 이하인 것들을 사용하며, 이러한 예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옥틸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는 조성물중 10~20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경우 목적으로 하는 소수성 및 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지만, 상기 범위 밖으로 사용하면, 소수성 및 접착성이 취약하게 될 뿐만 아니라, 내수성이 및 내후성도 취약하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MMA) 수지는 햇빛 등의 날씨 및 기후에 견디는 성질인 내후성이 우수하여 외부 환경 변화(날씨 및 기후 변화)에 의한 부식 등을 억제함과 동시에 포장체로 침투하여 일체화 시켜줌으로써 부착강도 및 인성을 개선하고, 안료 등에 의한 착색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수지는 무색 투명한 액체로, C4 유분을 원료로 하여 제조된 터트-부틸 알코올(Tert-Butyl Alcohol; TBA)을 기체상태에서 산화시켜 메타아크릴산을 제조한 후, 메탄올로 에스테르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수지는 투명성, 내후성, 착색성이 우수하여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고분자 물질은 분자량에 따라 다른 성질을 갖지만,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수지는 경질 타입이면서 유연성도 갖고 있으며, 저온에서 라디칼 중합하면 고분자 사슬구조가 연속된 규칙성을 나타내는 신디오탁틱(Syndiotactic) 구조의 비율이 증가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아크릴 수지는 높은 열팽창 계수를 갖지만,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수지는 안정성이 매우 높은 편에 속한다.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수지는 CH2=C(CH3)CO2CH3의 화학식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는 조성물중 20~30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경우, 경화 시 강한 기계적 강도와 화학적 물성을 나타내고, 특히 약품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압축강도가 높고 습도에 민감하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티렌 단량체는 딱딱한 단량체로 도막경도를 향상시키고, 광택을 부여하며 가격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이들의 함량은 10~20중량부 사용하며, 20중량부 이상 사용하게 되면 도막의 내후성이 저하되어 황변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투입되는 충전재는 미끄럼방지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화산석 분말 : 세라믹 분말 : 규사의 조성중량비가 1:1:1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산석은 화산재의 일종으로 고온의 화산열에 의하여 점토가 타서 생겨난 것으로 화산에 의하여 형성된 지형에서 발견될 수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는 화산섬인 제주도에서 쉽게 발견된다.
화산석은 상온에서 음이온을 발생하며, 상온(40℃ 이하)에서 92%이상의 적외선을 방사하는 이상적인 천연물질로 알려져 있다. 화산석은 다공질로서, 흡수성, 통기성이 다른 암석보다 우수하며, 화산석의 내화도는 1120℃ 내지 1210℃이고, 흡수율은 17.7% 내지 32.5%, 마모율은 47.25% 내지 67.22%라고 알려져 있다. 화산석의 내화도, 흡수율 및 마모율은 일반 자갈이나 모래보다 높다.
화산석은 주로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및 산화철로 이루어지며, 황토, 옥, 맥반석, 및 게르마늄석 등에는 없는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한다. 이산화티타늄은 화산석에 3 내지 7%가 존재하며, 광촉매작용을 수행하는데, 이산화티타늄의 광촉매작용에 의해 활성산소가 생성되며, 이러한 활성산소는 대기오염물질, 수질오염물질, 및 악취물 등을 산화 분해시킨다. 이산화티타늄의 광촉매작용에 따라, 화산석은 항균, 살균, 탈취 및 유기물분해 기능 등을 반영구적으로 가진다.
또한, 화산석은 습도가 높으면 수분을 흡수하며, 습도가 낮으면 수분을 배출하여 인위적인 장치 없이도 자연적으로 습도조절을 할 수 있고, 화산석이 수족관에 투입되면, 수족관에는 이끼가 생기기 않으며, 상처 난 물고기의 상처 치유 능력도 향상되고, 식물의 화분에 투입되면, 일반적인 식물의 생존 기간보다 오래 생존하며, 화산석을 냉장고에 넣어 놓으면, 냉장고의 악취가 제거되는 탈취 기능이 존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코팅제에 첨가되는 상기 화산석은 잔골재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재료보다 비표면적 및 공극율이 훨씬 큰 특징을 갖고 있다. 상기 화산석은 충전재중 중량분율로 1/3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량분율 초과하거나 미만일 경우에는 코팅제의 시공성이 나쁘거나 마찰력이 저하된다.
또한, 세라믹 분말은 도료조성물의 건조속도, 도막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시멘트, 제강슬래그, 황토, 맥반석, 그라스비드, 실리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카오린, 마이카, 토르말린, 제올라이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충전재중 중량분율로 1/3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들의 사용함량이 많으면 상기 물성은 우수하나 소재면과의 부착성, 건조도막의 내마모성과 내수성이 떨어진다.
상기 규사는 미끄럼방지 기능을 하는 충전재로서 입도가 0.2-0.8㎜로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며 충전재중 중량분율로 1/3 사용하며, 상기 사용량 보다 많을 경우에는 건조 도막두께에서 규사가 표면에 많이 노출되기 때문에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와 제1각관부(310)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며, 도막 내에 잘 고착되지 않아 외부의 가벼운 충격에 의해 쉽게 탈락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사용량 보다 작을 경우에는 표면에 요철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요구되는 미끄럼저항 값을 얻을 수 없다.
한편, 상기 충전재중의 화산석 및 규사는 입도가 0.2~0.8mm 정도의 크기로 분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세라믹분말은 입도가 10~20메쉬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입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미끄럼 방지기능이 충분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표면돌출이 과도하여 운동자의 부상을 쉽게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발수제는 도막의 발수성을 보다 향상시켜 우천시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로부터 제1각관부(3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실리콘파우더, 실리카입자, 금속산화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1~10중량부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료조성물은 안료, 침강방지제, 충격 강도 조절제(impact strength modifier), 안정제, 노화방지제(age-protecting agent), 항산화제, 오존화 방지제, 광 보호제(light protection agent), 자외선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111)와 제1관부재(112)의 연결부, 제1몸체(111)와 제2관부재(113)의 연결부, 제1몸체(111)와 제3관부재(114)의 연결부, 제2몸체(121)와 제4관부재(122)의 연결부, 제2몸체(121)와 제5관부재(123)의 연결부, 제3몸체(131)와 제6관부재(132)의 연결부 및 제3몸체(131)와 제7관부재(133)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에는, 상기 제1각관부(310)에 걸리도록 각각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단턱(16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턱(160)은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가 각각 상기 제1각관부(31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걸리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단턱(160)이 없을 경우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가 상기 제1각관부(31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서로 마주하게 되어 서로에게 충격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단턱(160)은 상기 제1각관부(3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관부재(112) 내지 제2관부재(113)의 삽입 정도를 제한하는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의 압축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0a 및 도 10b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는 내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내부에는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단면이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압축판(70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판(700)은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내부에 구비되며, 'ㄷ' 형상에서 날개부(710)에 해당되는 부분의 끝단이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내부에서 압축력이 발생되는 내부와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굽힘 강성을 향상시켜주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압축판(700)이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와 별도로 구성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압축판(700)은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내부에 압축력이 발생되는 면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굽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의 인장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는 내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내부에는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인장돌기(80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장돌기(800)는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내부 중 인장력이 발생되는 내부에 형성되며,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되되 바람직하게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굽힘 강성을 향상시켜주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장돌기(800)가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내부에 단면이 원형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인장돌기(800)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내부 중 인장력이 발생되는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 구비되어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굽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단면이 네모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얼마든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의 고무자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2a 내지 도 12d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에는 상기 제1각관부(3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일단 측의 외부면을 따라 결합홈(91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결합홈(910)에는 자성을 갖는 연질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고무자석(9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무자석(900)은, 상기 결합홈(910)에 결합되어 상기 제1관부재(112)와 제1각관부(310)의 마찰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용도에 따라 등방성 고무자석 또는 이방성 고무자석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방성 고무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 환경에 따라서, 등방성 고무자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홈(910)은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무자석(90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구성되어 상기 고무자석(900)이 결합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부위와 두께 차이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상기 제1각관부(310)에 결합할 당시 상기 결합홈(910)이나 고무자석(900)이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각관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용이하게 고정되는 제1조인트 내지 제4조인트를 미리 구비함으로써, 현장에서 골조 시공을 하는 경우 미리 구비된 조인트를 이용하여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10 : 제1조인트 111 : 제1몸체
112 : 제1관부재 113 : 제2관부재
114 : 제3관부재 115 : 제2고정홈
120 : 제2조인트 121 : 제2몸체
121a : 경사면 122 : 제4관부재
123 : 제5관부재 124 : 브라켓
130 : 제3조인트 131 : 제3몸체
131a : 제1고정홈 132 : 제6관부재
133 : 제7관부재
140 : 제4조인트 141 : 고정판
142 : 제8관부재
150 : 제5조인트 151 : 고정브릿지
151a : 제3삽입홈 152 : 제9관부재
160 : 단턱
200 : 앵글부 210 : 제1체결구
211 : 제1삽입홈 220 : 제2체결구
221 : 제2삽입홈
310 : 제1각관부 311 : 제1각관
312 : 제2각관 313 : 제3각관
314 : 제4각관 315 : 제5각관
316 : 제6각관 317 : 제7각관
318 : 제14각관 319 : 제15각관
320 : 제2각관부 321 : 제8각관
322 : 제9각관 323 : 제10각관
324 : 제11각관 325 : 제12각관
326 : 제13각관 327 : 제16각관
400 : 판넬부 410 : 제1판넬
420 : 제2판넬
500 : 용마루
700 : 압축판 710 : 날개부
800 : 인장돌기
900 : 고무자석 910 : 결합홈

Claims (12)

  1. 제1몸체(111), 상기 제1몸체(111)에서 좌측 하단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1관부재(112), 상기 제1몸체(111)에서 우측 하단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2관부재(113) 및 상기 제1몸체(111)에서 중앙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3관부재(114)를 포함하는 제1조인트(110);
    제2몸체(121), 상기 제2몸체(121)에서 중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관부재(122), 상기 제2몸체(121)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4관부재(122)와 직각을 이루는 제5관부재(123) 및 상기 제2몸체(121)에 형성된 경사면(121a)에 구비되는 브라켓(124)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2조인트(120);
    제3몸체(131), 상기 제3몸체(131)에서 일 측 상단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6관부재(132), 상기 제3몸체(131)에서 중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7관부재(133) 및 상기 제3몸체(131)에 형성되는 제1고정홈(131a)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3조인트(130);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판(141) 및 상기 고정판(141)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8관부재(142)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제4조인트(140);
    단면이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삽입홈(151a)이 형성되는 고정브릿지(151) 및 상기 고정브릿지(151)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9관부재(152)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5조인트(150); 및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조인트(110) 내지 제5조인트(150)를 상호 연결하는 제1각관부(31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단면이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삽입홈(211)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211)으로 상기 제1각관부(310)가 삽입되어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체결구(210); 및
    단면이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삽입홈(221)이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홈(221)으로 상기 제1각관부(310)가 삽입되어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체결구(210)의 제1삽입홈(211)이 형성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위치에 대칭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삽입홈(211)에 삽입되는 제1각관부(3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른 제1각관부(310)가 삽입되도록 회전되어 구비되는 제2체결구(220);
    를 포함하는 복수의 앵글부(2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각관부(310)는,
    일단의 내부에는 상기 제1관부재(112)가 삽입되고 타단의 내부에는 상기 일 측의 제6관부재(132)가 삽입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의 사이는 상기 일 측의 브라켓(124)에 의해 지지되는 제1각관(311);
    일단의 내부에는 제2관부재(113)가 삽입되고 타단의 내부에는 상기 타 측의 제6관부재(132)가 삽입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의 사이는 상기 타 측의 브라켓(124)에 의해 지지되는 제2각관(312);
    일단의 내부에는 상기 일 측의 제4관부재(122)가 삽입되고 타단의 내부에는 상기 타 측의 제4관부재(122)가 삽입되는 제3각관(313);
    일단의 내부에는 상기 일 측의 제7관부재(133)가 삽입되고 타단의 내부에는 상기 타 측의 제7관부재(133)가 삽입되는 제4각관(314);
    일단의 내부에는 상기 제3관부재(114)가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3각관(313)에 지지되는 제9관부재(152)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5각관(315);
    일단의 내부에는 상기 일 측의 제5관부재(123)가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4각관(314)에 지지되는 제9관부재(152)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6각관(316); 및
    일단의 내부에는 상기 타 측의 제5관부재(123)가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4각관(314)에 지지되는 제9관부재(152)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7각관(31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인트(110), 제2조인트(120), 제3조인트(130), 제4조인트(140) 및 제1각관부(310)는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중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1각관(311)의 일 측에 지지되는 앵글부(200)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복수의 제1각관(311)과 직교되도록 배치되는 제8각관(321);
    상기 복수의 제1각관(311)의 타 측에 지지되는 앵글부(200)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복수의 제1각관(311)과 직교되도록 배치되는 제9각관(322);
    상기 복수의 제2각관(312)의 일 측에 지지되는 앵글부(200)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복수의 제2각관(312)과 직교되도록 배치되는 제10각관(323);
    상기 복수의 제2각관(312)의 타 측에 지지되는 앵글부(200)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복수의 제2각관(312)과 직교되도록 배치되는 제11각관(324);
    상기 일 측의 제3조인트(13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고정홈(131a)에 삽입되는 제12각관(325); 및
    상기 타 측의 제3조인트(13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고정홈(131a)에 삽입되는 제13각관(326);
    을 포함하는 제2각관부(32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각관부(310)에는,
    일단은 상기 제12각관(325)을 지지하는 앵글부(200)에 삽입되고 타단에는 상기 일 측의 제8관부재(142)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4각관(318); 및
    타단은 상기 제13각관(326)을 지지하는 앵글부(200)에 삽입되고 타단에는 상기 타 측의 제8관부재(142)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5각관(319);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8각관(321) 및 제9각관(322)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판넬(410) 및 상기 제10각관(323) 및 제11각관(324)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판넬(420)을 포함하는 판넬부(400); 및
    상기 제1판넬(410) 및 제2판넬(4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판넬(410) 및 제2판넬(420)의 사이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용마루(50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인트(110)에는,
    상기 제3관부재(114)의 상부에 제2고정홈(115)이 형성되며,
    상기 제2각관부(320)에는,
    상기 복수의 제2고정홈(115)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6각관(327)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는,
    내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내부에는,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단면이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압축판(7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는,
    내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내부에는,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인장돌기(8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에는,
    상기 제1각관부(3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일단 측의 외부면을 따라 결합홈(91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910)에는,
    자성을 갖는 연질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고무자석(90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부재(112) 내지 제9관부재(15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는,
    부식 방지를 위한 코팅제가 도포되며,
    상기 코팅제는,
    물 40~50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10~20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20~30중량부, 스티렌단량체 10~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을 비온성 유화제 및 중합개시제 존재하에 유화중합하여 얻어지는 유리전이온도 -10℃ 내지 +10℃, 점도 5-20 Poises 범위를 가지는 아크릴 에멀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11)와 제1관부재(112)의 연결부, 제1몸체(111)와 제2관부재(113)의 연결부, 제1몸체(111)와 제3관부재(114)의 연결부, 제2몸체(121)와 제4관부재(122)의 연결부, 제2몸체(121)와 제5관부재(123)의 연결부, 제3몸체(131)와 제6관부재(132)의 연결부 및 제3몸체(131)와 제7관부재(133)의 연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에는,
    상기 제1각관부(310)에 걸리도록 각각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단턱(1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
KR1020180057884A 2018-05-21 2018-05-21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 KR102071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884A KR102071534B1 (ko) 2018-05-21 2018-05-21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884A KR102071534B1 (ko) 2018-05-21 2018-05-21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840A true KR20190132840A (ko) 2019-11-29
KR102071534B1 KR102071534B1 (ko) 2020-01-30

Family

ID=68728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884A KR102071534B1 (ko) 2018-05-21 2018-05-21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5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6693A (zh) * 2020-11-05 2021-02-19 海南大学 一种角件围箍式轻钢结构连接节点
JP2022083849A (ja) * 2020-11-25 2022-06-06 株式会社タイセン工業 連結金具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707U (ko) 1996-09-11 1998-06-25 추호석 철도차량 차체 골조 이음용 연결 조인트
KR100949768B1 (ko) 2009-04-24 2010-05-04 환영산업 주식회사 비닐하우스 골조
KR101289374B1 (ko) * 2012-06-25 2013-07-29 권택주 구조물용 조인트
KR101431974B1 (ko) 2013-05-14 2014-08-19 서현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
KR20150111249A (ko) 2014-03-25 2015-10-05 김교갑 시설하우스용 다단신축식 프레임 골조
KR20160009470A (ko) * 2014-11-21 2016-01-26 안기풍 구조물용 고정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diy 조립식 구조물
KR101838436B1 (ko) * 2017-05-16 2018-03-14 안기풍 조립식 구조물용 프레임 모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707U (ko) 1996-09-11 1998-06-25 추호석 철도차량 차체 골조 이음용 연결 조인트
KR100949768B1 (ko) 2009-04-24 2010-05-04 환영산업 주식회사 비닐하우스 골조
KR101289374B1 (ko) * 2012-06-25 2013-07-29 권택주 구조물용 조인트
KR101431974B1 (ko) 2013-05-14 2014-08-19 서현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
KR20150111249A (ko) 2014-03-25 2015-10-05 김교갑 시설하우스용 다단신축식 프레임 골조
KR20160009470A (ko) * 2014-11-21 2016-01-26 안기풍 구조물용 고정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diy 조립식 구조물
KR101838436B1 (ko) * 2017-05-16 2018-03-14 안기풍 조립식 구조물용 프레임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6693A (zh) * 2020-11-05 2021-02-19 海南大学 一种角件围箍式轻钢结构连接节点
JP2022083849A (ja) * 2020-11-25 2022-06-06 株式会社タイセン工業 連結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534B1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1534B1 (ko) 조인트가 구비되는 골조 구조
Allin Building with hemp
WO2012043292A1 (ja) 水性塗料組成物
JP5070177B2 (ja) 塗膜形成方法
JP4491313B2 (ja) 装飾面の塗装仕上げ方法、及び装飾積層体
JP2009108671A (ja) 壁面化粧構造体
KR20160094072A (ko) 토르마린 소결 담체를 포함하는 규조토 마감재 층을 갖는 석고보드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490818B1 (ko) 수영장용 바닥 마감재 및 방수시공방법
KR101279087B1 (ko) 단열 페인트 조성물
JP2010248711A (ja) 建築物の遮熱・断熱構造及びその施工法
WO2011114966A1 (ja) 板状硬化体
JP2007138503A (ja) 装飾用ルーバー
CN207672908U (zh) 一种室内弹性缓冲装饰墙板
KR101200501B1 (ko) 투수성을 갖고 온도 저감 효과를 갖는 수지계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시공 방법
DE102005000684A1 (de) Bauelement zur ausgezeichneten Wärmedämmung von Wänd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JP6995928B2 (ja) 水性被覆材
KR101980223B1 (ko) 건축용 내/외장재의 제조방법
CN205776853U (zh) 一种用于超高层结构受力钢筒的涂层结构
JP6504687B2 (ja) 積層体
KR100782788B1 (ko) 대리석을 이용한 마감패널
KR100642757B1 (ko) 대나무 숯가루를 함유한 건축용 실내 미장재
KR102234201B1 (ko) 황토를 포함한 친환경 건축재료 조성물
KR100874243B1 (ko) 황토를 함유하는 바닥마감재 조성물
JP6946139B2 (ja) 被膜形成方法
Park et al. A Study on Manufacture standardization of High Strength Concrete to Use Moderate Heat Portland 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