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490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d2d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d2d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490A
KR20190132490A KR1020197032524A KR20197032524A KR20190132490A KR 20190132490 A KR20190132490 A KR 20190132490A KR 1020197032524 A KR1020197032524 A KR 1020197032524A KR 20197032524 A KR20197032524 A KR 20197032524A KR 20190132490 A KR20190132490 A KR 20190132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remote terminal
priority
rela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5433B1 (ko
Inventor
이승민
서한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7024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004B1/ko
Publication of KR20190132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12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 릴레이 단말 및 리모트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우선 순위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 간의 우선 순위 및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와 상기 릴레이 단말 관련 정보 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및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릴레이 단말에 의해 결정된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이한 물리 채널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D2D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D2D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에 관한 것이다.
ITU-R(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Radio communication sector)에서는 3세대 이후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Advanced의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IMT-Advanced는 정지 및 저속 이동 상태에서 1Gbps, 고속 이동 상태에서 100Mbps의 데이터 전송률로 IP(Internet Protocol)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지원을 목표로 한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IMT-Advanced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시스템 표준으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전송방식 기반인 LTE(Long Term Evolution)를 개선한 LTE-Advanced(LTE-A)를 준비하고 있다. LTE-A는 IMT-Advanced를 위한 유력한 후보 중의 하나이다.
최근 장치들 간 직접통신을 하는 D2D (Device-to-Device)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D2D는 공중 안전 네트워크(public safety network)을 위한 통신 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상업적 통신 네트워크는 빠르게 LTE로 변화하고 있으나 기존 통신 규격과의 충돌 문제와 비용 측면에서 현재의 공중 안전 네트워크는 주로 2G 기술에 기반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간극과 개선된 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공중 안전 네트워크를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RELAY UE가 (적어도 사전에 설정된 높은 우선 순위의) NARROW-BAND REMOTE UE의 정보를 신뢰도 높게 전송하는 방법의 예시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D2D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 릴레이 단말 및 리모트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우선 순위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 간의 우선 순위 및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와 상기 릴레이 단말 관련 정보 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및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정보 전송을 수행하되,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릴레이 단말에 의해 결정된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이한 물리 채널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상기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리모트 단말은 한정된 크기 대역의 통신 능력을 가진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가 상기 리모트 단말의 WAN(wide area network) 통신 관련 제어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인 경우,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상기 릴레이 단말의 WAN 통신 관련 데이터 정보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의 WAN(wide area network) 통신 관련 제어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 중 상기 리모트 단말을 위한 사이드링크 통신 관련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를 상기 리모트 단말의 WAN(wide area network) 통신 관련 데이터 정보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을 위한 사이드링크 통신 관련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 중 상기 리모트 단말의 WAN(wide area network) 통신 관련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를 상기 리모트 단말을 위한 사이드링크 통신 관련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의 WAN 통신 관련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WAN 통신 관련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는, 상기 리모트 단말의 WAN 하향링크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WAN 하향링크 HARQ-ACK 정보, 또는 WAN 상향링크 SR(scheduling request)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링크 통신 관련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는, 상기 리모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이드링크 채널에 대한 디코딩 상태 정보, 사이드링크 CSI 정보 또는 사이드링크 측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사전에 정의된 채널을 통해 상기 릴레이 단말의 정보와 함께 전송하고, 사전에 정의된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는 상기 사전에 정의된 채널에 피기백 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이한 베타 오프셋 값을 적용하여 상기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베타 오프셋은 정보 전송에 사용되는 변조 심볼 개수를 조절하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릴레이 단말은 높은 우선 순위의 정보 전송에 더 많은 상기 변조 심볼 개수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이한 전력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상기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릴레이 단말은 높은 우선 순위의 정보 전송에 더 많은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이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값을 적용하여 상기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릴레이 단말은 낮은 우선 순위의 정보 전송에 상대적으로 높은 MCS 값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릴레이 단말은 각각의 리모트 단말에 관련된 정보에 대해 상이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sum)를 부가하고, 상기 각각의 CRC 관련 패리티 비트는 상기 각각의 리모트 단말의 구분 아이디로 스크램블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 릴레이 단말 및 리모트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단말(User equipment; UE)은,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트랜시버 및 상기 트랜시버와 결합하여 동작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 간의 우선 순위 및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와 상기 릴레이 단말 관련 정보 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및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정보 전송을 수행하되,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릴레이 단말에 의해 결정된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이한 물리 채널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상기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RELAY UE가 (적어도 사전에 설정된 높은 우선 순위의) NARROW-BAND REMOTE UE의 정보를 신뢰도 높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radio protocol architecture)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NR이 적용되는 차세대 무선 접속 네트워크(New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G-RAN)의 시스템 구조를 예시한다.
도 5는 NG-RAN과 5GC 간의 기능적 분할을 예시한다.
도 6은 V2X 또는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을 예시한다.
도 7은 V2X/D2D 관련한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 TM)에 따른 단말 동작을 예시한다.
도 8은 자원 단위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단일 방향 릴레이와 양방향 릴레이의 일례를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전송 방법의 순서도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전송 방법의 순서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개의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순서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시나리오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통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는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이는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LTE-A 시스템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E-UTRAN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에게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제공하는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MT(mobile terminal),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20)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 30), 보다 상세하게는 S1-MME를 통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S1-U를 통해 S-GW(Serving Gateway)와 연결된다.
EPC(30)는 MME, S-GW 및 P-GW(Packet Data Network-Gateway)로 구성된다. MME는 단말의 접속 정보나 단말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에 주로 사용된다. S-GW는 E-UTRA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며, P-GW는 PD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 (제1계층), L2 (제2계층), L3(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제1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전송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하며, 제 3계층에 위치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RC 계층은 단말과 기지국간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도 2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radio protocol architecture)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사용자 평면은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이고, 제어 평면은 제어신호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물리계층(PHY(physical) layer)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 계층인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전송채널을 통해 MAC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로 데이터가 이동한다. 전송채널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가 어떻게 어떤 특징으로 전송되는가에 따라 분류된다.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 즉 송신기와 수신기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변조될 수 있고,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자원으로 활용한다.
MAC 계층의 기능은 논리채널과 전송채널간의 맵핑 및 논리채널에 속하는 MAC SDU(service data unit)의 전송채널 상으로 물리채널로 제공되는 전송블록(transport block)으로의 다중화/역다중화를 포함한다. MAC 계층은 논리채널을 통해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RLC SDU의 연결(concatenation), 분할(segmentation) 및 재결합(reassembly)를 포함한다. 무선베어러(Radio Bearer; RB)가 요구하는 다양한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기 위해, RLC 계층은 투명모드(Transparent Mode, TM), 비확인 모드(Unacknowledged Mode, UM) 및 확인모드(Acknowledged Mode, AM)의 세 가지의 동작모드를 제공한다. AM RLC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를 통해 오류 정정을 제공한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제어 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 베어러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1 계층(PHY 계층) 및 제2 계층(MAC 계층, RLC 계층, PDCP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논리적 경로를 의미한다.
사용자 평면에서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의 기능은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및 암호화(ciphering)를 포함한다. 제어 평면에서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의 기능은 제어 평면 데이터의 전달 및 암호화/무결정 보호(integrity protection)를 포함한다.
RB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RB는 다시 SRB(Signaling RB)와 DRB(Data RB) 두가지로 나누어 질 수 있다. SRB는 제어 평면에서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되며, DRB는 사용자 평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된다.
단말의 RRC 계층과 E-UTRAN의 RRC 계층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ion)이 확립되면, 단말은 RRC 연결(RRC connected) 상태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 아이들(RRC idle) 상태에 있게 된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링크 전송채널로는 시스템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과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링크 SCH(Shared Channel)이 있다. 하향링크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메시지의 경우 하향링크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링크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와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은 시간 영역에서 여러 개의 OFDM 심벌과 주파수 영역에서 여러 개의 부반송파(Sub-carrier)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Sub-frame)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벌(Symbol)들로 구성된다. 자원블록은 자원 할당 단위로, 복수의 OFDM 심벌들과 복수의 부반송파(sub-carrier)들로 구성된다. 또한 각 서브프레임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즉, L1/L2 제어채널을 위해 해당 서브프레임의 특정 OFDM 심벌들(예, 첫번째 OFDM 심볼)의 특정 부반송파들을 이용할 수 있다.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서브프레임 전송의 단위시간이다.
이하, 새로운 무선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 new RAT)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새로운 무선 접속 기술은 NR(new radio)라 약칭할 수도 있다.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기존의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 비해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mobile broadband) 통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기기 및 사물들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시브 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역시 차세대 통신에서 고려될 주요 이슈 중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신뢰도(reliability) 및 지연(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단말을 고려한 통신 시스템 디자인이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확장된 모바일 브로드밴드 커뮤니케이션(enhanced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 massive MTC,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을 고려한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해당 기술(technology)을 new RAT 또는 NR이라고 부른다.
도 4는 NR이 적용되는 차세대 무선 접속 네트워크(New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G-RAN)의 시스템 구조를 예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NG-RAN은, 단말에게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termination)을 제공하는 gNB 및/또는 eN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gNB만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gNB 및 eNB는 상호 간에 Xn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있다. gNB 및 eNB는 5세대 코어 네트워크(5G Core Network: 5GC)와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과는 NG-C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UPF(user plane function)과는 NG-U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도 5는 NG-RAN과 5GC 간의 기능적 분할을 예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gNB는 인터 셀 간의 무선 자원 관리(Inter Cell RRM), 무선 베어러 관리(RB control), 연결 이동성 제어(Connection Mobility Control), 무선 허용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측정 설정 및 제공(Measurement configuration & Provision), 동적 자원 할당(dynamic resource allocation)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AMF는 NAS 보안, 아이들 상태 이동성 처리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UPF는 이동성 앵커링(Mobility Anchoring), PDU 처리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는 단말 IP 주소 할당, PDU 세션 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V2X 또는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을 예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V2X/D2D 통신에서 단말(UE)이라는 용어는 주로 사용자의 단말을 의미한다. 하지만, 기지국(eNB)과 같은 네트워크 장비가 단말 사이의 통신 방식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역시 일종의 단말로 간주될 수도 있다.
단말 1(UE 1)은 일련의 자원의 집합을 의미하는 자원 풀(resource pool) 내에서 특정한 자원에 해당하는 자원 단위(resource unit)를 선택하고, 해당 자원 단위를 사용하여 D2D 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수신 단말인 단말 2(UE 2)는, 단말 1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자원 풀을 설정 받고, 해당 자원 풀 내에서 단말 1의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1이 기지국의 연결 범위에 있는 경우, 기지국이 자원 풀을 알려줄 수 있다. 반면, 단말 1이 기지국의 연결 범위 밖에 있는 경우, 다른 단말이 자원 풀을 알려주거나 혹은 사전에 정해진 자원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자원 풀을 복수의 자원 단위로 구성되며, 각 단말은 하나 혹은 복수의 자원 단위를 선정하여 자신의 D2D 신호 송신에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V2X/D2D 관련한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 TM)에 따른 단말 동작을 예시한다.
도 7(a)는 전송 모드 1, 3에 대한 것이고, 도 7(b)는 전송 모드 2, 4에 대한 것이다. 전송 모드 1/3에서는, 기지국이 단말 1에게 PDCCH(보다 구체적으로 DCI)를 통해 자원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단말 1은 해당 자원 스케줄링에 따라 단말 2와 D2D/V2X 통신을 수행한다. 단말 1은 단말 2에게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을 전송한 후, 상기 SCI에 기반한 데이터를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전송 모드 1은 D2D에, 전송 모드 3은 V2X에 적용될 수 있다.
전송 모드 2/4는, 단말이 스스로 스케줄링을 하는 모드라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송 모드 2는 D2D에 적용되며, 설정된 자원 풀 내에서 단말이 자원을 스스로 선택하여 D2D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송 모드 4는 V2X에 적용되며, 센싱/SA 디코딩 과정 등을 거쳐 선택 윈도우 내에서 단말이 스스로 자원을 선택한 후 V2X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1은 단말 2에게 PSCCH을 통해 SCI을 전송한 후, 상기 SCI에 기반한 데이터를 PSSCH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전송 모드를 모드로 약칭할 수 있다.
기지국이 PDCCH를 통해 단말에게 전송하는 제어 정보를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이라 칭하는데 반해, 단말이 PSCCH를 통해 다른 단말에게 전송하는 제어 정보를 SCI라 칭할 수 있다. SCI는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SCI에는 여러가지 포맷이 있을 수 있는데, 예컨대, SCI 포맷 0과 SCI 포맷 1이 있을 수 있다.
SCI 포맷 0은 PSSCH의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CI 포맷 0에는, 주파수 홉핑 플래그(1 비트), 자원 블록 할당 및 홉핑 자원 할당 필드(사이드링크의 자원 블록 개수에 따라 비트 수가 달라질 수 있음), 시간 자원 패턴(time resource pattern, 7 비트),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5 비트), 시간 어드밴스 지시(time advance indication, 11비트), 그룹 목적지 ID(group destination ID, 8 비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CI 포맷 1은 PSSCH의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CI 포맷 1에는, 우선권(priority, 3 비트), 자원 유보(resource reservation, 4 비트), 초기 전송 및 재전송의 주파수 자원 위치(사이드링크의 서브 채널 개수에 따라 비트 수가 달라질 수 있음), 초기 전송과 재전송 간의 시간 갭(time gap between initial transmission and retransmission, 4 비트), MCS(5 비트), 재전송 인덱스(1 비트), 유보된 정보 비트(reserved information bit) 등을 포함한다. 유보된 정보 비트를 이하 유보된 비트라고 약칭할 수 있다. 유보된 비트는 SCI 포맷 1의 비트 사이즈가 32비트가 될 때까지 추가될 수 있다. 즉, SCI 포맷 1은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필드들을 포함하는데, 상기 SCI 포맷 1의 고정된 총 비트 개수(32 비트)에서 상기 복수의 필드들의 총 비트 개수를 제외한 나머지 개수의 비트들을 유보된 비트라 칭할 수 있다.
SCI 포맷 0은 전송 모드 1, 2에 사용될 수 있고, SCI 포맷 1은 전송 모드 3, 4에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자원 단위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자원 풀의 전체 주파수 자원이 NF개로 분할될 수 있고, 자원 풀의 전체 시간 자원이 NT개로 분할되어, 자원 풀 내에서 총 NF*NT 개의 자원 단위가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는, 해당 자원 풀이 NT 서브프레임을 주기로 반복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하나의 자원 단위(예컨대, Unit#0)는 도 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나타날 수 있다. 또는, 시간이나 주파수 차원에서의 다이버시티(diversity) 효과를 얻기 위해서, 하나의 논리적인 자원 단위가 맵핑되는 물리적 자원 단위의 인덱스가 시간에 따라 사전에 정해진 패턴으로 변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자원 단위 구조에 있어서, 자원 풀이란 D2D 신호를 송신하고자 하는 단말이 송신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 단위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자원 풀은 여러 종류로 세분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자원 풀에서 전송되는 D2D 신호의 내용(content)에 따라서 구분될 수 있다. 각 자원 풀은 다음과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자원 풀에서 다음 D2D 신호의 내용은 전송될 수 있다.
1) 스케줄링 할당(Scheduling assignment: SA) 자원 풀 또는 D2D (sidelink) 제어 채널: 각 송신 단말이, 후행하거나 또는 같은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D2D 데이터 채널의 자원 위치 및 그 외 데이터 채널의 복조를 위해서 필요한 정보들(예: 변조 및 코딩 기법(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나 MIMO 전송 방식,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등의 정보)을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자원 풀.
상기 1)에서 설명한 신호는 동일 자원 단위 상에서 D2D 데이터와 함께 다중화(multiplex)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SA 자원 풀이란 SA가 D2D 데이터와 다중화되어 전송되는 자원 풀을 의미할 수 있다. SA 자원 풀은 D2D (sidelink) 제어 채널로 불릴 수도 있다.
2) D2D 데이터 채널: SA를 통하여 지정된 자원을 사용하여 송신 단말이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자원 풀. 만일 동일 자원 단위 상에서 D2D 데이터와 SA 정보가 함께 다중화되어 전송되는 것도 가능한 경우에는, D2D 데이터 채널을 위한 자원 풀에서는 SA 정보를 제외한 형태의 D2D 데이터 채널만이 전송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SA 자원 풀 내의 개별 자원 단위 상에서 SA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었던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를 D2D 데이터 채널 자원 풀에서는 여전히 D2D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3) 디스커버리 채널(Discovery channel): 송신 단말이 자신의 ID(identity) 등의 정보를 전송하여, 인접 단말로 하여금 자신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를 위한 자원 풀.
이상에서 설명한 D2D 신호의 내용이 동일한 경우에도, D2D 신호의 송수신 속성에 따라서 상이한 자원 풀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동일한 D2D 데이터 채널이나 디스커버리 메시지라 하더라도 D2D 신호의 송신 타이밍 결정 방식(예를 들어, 동기 기준 신호의 수신 시점에서 송신되는지 아니면 상기 수신 시점에서 일정한 타이밍 어드밴스를 적용하여 전송되는지)이나 자원 할당 방식(예를 들어, 개별 신호의 전송 자원을 기지국이 개별 송신 단말에게 지정해주는지 아니면 개별 송신 단말이 자원 풀 내에서 자체적으로 개별 신호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지), 신호 포맷(예를 들어 각 D2D 신호가 한 서브프레임에서 차지하는 심볼의 개수나, 한 D2D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의 개수),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 세기, D2D 단말의 송신 전력 세기 등에 따라서 다시 상이한 자원 풀로 구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D2D 통신에서 기지국이 D2D 송신 단말의 송신 자원을 직접 지시하는 방법을 모드 1(Mode 1), 전송 자원 영역이 사전에 설정되어 있거나 기지국이 전송 자원 영역을 지정하고, 단말이 직접 송신 자원을 선택하는 방법을 모드 2(Mode 2)라 부를 수 있다.
D2D 발견(discovery)의 경우에는, 기지국이 직접 자원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타입 2(Type 2), 사전에 설정된 자원영역 혹은 기지국이 지시한 자원 영역에서 단말이 직접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경우는 타입 1(Type 1)이라 부를 수 있다.
한편, 상기 D2D는 사이드링크(sidelink)라고 불릴 수도 있다. SA는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CCH), D2D 동기 신호(D2D synchronization signal)는 사이드링크 동기 신호(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SLSS 또는 SSS)라 칭할 수도 있다. D2D 통신 이전에, 가장 기본적인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을 물리 사이드링크 방송 채널(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 PSBCH)라 칭하며, PSBCH는 SSS와 함께 전송될 수 있으며, 혹은 다른 이름으로 PD2DS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 특정 단말이 자신이 주변에 있음을 알리기 위한 신호에는 상기 특정 단말의 ID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신호가 전송되는 채널을 물리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채널(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 PSDCH)라 부를 수 있다.
D2D에서는 D2D 통신 단말만이 PSBCH를 SSS와 함께 전송하였고, 이로 인하여, SSS의 측정은 PSBCH의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커버리지 바깥(out-coverage)의 단말은 PSBCH의 DMRS를 측정하고, 이 신호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등을 측정하여 자신이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가 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이드링크 RSSI(Sidelink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S-RSSI), PSSCH 참조 신호 수신 전력(PSSCH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PSSCH-RSRP), 채널 번잡 비율(CHANNEL BUSY RATIO; CBR), 채널 점유 비율(CHANNEL OCCUPANCY RATIO; CR)에 대하여 설명한다.
<S-RSSI>
사이드링크 RSSI(S-RSSI)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의 1, 2, ... , 6 SC-FDMA 심볼들 및 두 번째 슬롯의 0, 1, ..., 5 SC-FDMA에서 설정된 서브채널에서만 단말에 의해 관측된 SC-FDMA 당 전체 수신된 전력([W] 단위)의 선형 평균(linear average)으로 정의될 수 있다(Sidelink RSSI (S-RSSI) may be defined as the linear average of the total received power (in [W]) per SC-FDMA symbol observed by the UE only in the configured sub-channel in SC-FDMA symbols 1, 2, ..., 6 of the first slot and SC-FDMA symbols 0,1,..., 5 of the second slot of a subframe).
여기서, S-RSSI의 레퍼런스 포인트는 단말의 안테나 커넥터일 수 있다.
만약, 리시버 다이버시티가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경우, 보고된 값은 임의의 개별 다이버시티 브랜치의 대응하는 S-RSSI보다 낮지 않을 수 있다.
S-RSSI는 RRC_IDLE 인트라 주파수, RRC_IDLE 인터 주파수, RRC_CONNECTED 인트라 주파수, 및/또는 RRC_CONNECTED 인터 주파수에서 적용될 수 있다.
<PSSCH-RSRP>
PSSCH-RSRP는 관련된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에 의해 지시된 PRB(Physical Resource Block)들 내에서, PSSCH와 관련된 복조 기준 신호를 운반하는 자원 요소의 전력 기여분([W] 단위)에 대한 선형 평균으로 정의될 수 있다(PSSCH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PSSCH-RSRP) may be defined as the linear average over the power contributions (in [W]) of the resource elements that carry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associated with PSSCH, within the PRBs indicated by the associated PSCCH).
여기서, PSSCH-RSRP에 대한 레퍼런스 포인트는 단말의 안테나 커넥터일 수 있다.
만약, 리시버 다이버시티가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경우, 보고된 값은 임의의 개별 다이버시티 브랜치의 대응하는 PSSCH-RSRP보다 낮지 않을 수 있다.
PSSCH-RSRP는 RRC_IDLE 인트라 주파수, RRC_IDLE 인터 주파수, RRC_CONNECTED 인트라 주파수, 및/또는 RRC_CONNECTED 인터 주파수에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자원 요소 당 전력은 CP를 제외한, 심볼의 유용한 부분에서 수신된 에너지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채널 번잡 비율(CHANNEL BUSY RATIO; CBR)>
서브프레임 n에서 측정된 CBR은 아래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CBR은, PSSCH에 대하여, 서브프레임 [n-100, n-1] 동안 단말에 의해 측정된 S-RSSI가 기 설정된 문턱 값을 넘는 것으로 감지된 리소스 풀에서의 서브 채널의 포션(Portion)을 의미할 수 있다.
CBR은, PSSCH에 대하여,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가 PSCCH에 대응하는 PSSCH와 함께 인접하지 않은 자원 블록들에서 전송될 수 있도록 설정된 풀에서, 서브프레임 [n-100, n-1] 동안 단말에 의해 측정된 S-RSSI가 기 설정된 문턱 값을 넘는 것으로 감지된 리소스 풀에서의 서브 채널의 포션(portion)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PSCCH 풀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2 개의 연속적인 PRB(Physical Resource Block) 쌍들의 크기를 갖는 자원들로 구성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CBR은 RRC_IDLE 인트라 주파수, RRC_IDLE 인터 주파수, RRC_CONNECTED 인트라 주파수, 및/또는 RRC_CONNECTED 인터 주파수에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프레임 인덱스는 물리적 서브프레임 인덱스(Physical Subframe Index)에 기초할 수 있다.
<채널 점유 비율(CHANNEL OCCUPANCY RATIO; CR)>
서브프레임 n에서 평가된 CR은 아래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n-a, n-1]에서 그리고 서브프레임 [n, n+b]에서 허가된(granted), 단말의 전송에 사용되는 서브 채널들의 개수를, [n-a, n+b] 동안 전송 풀에서 설정된 서브 채널들의 개수로 나눈 것을 의미할 수 있다.
CR은 RRC_IDLE 인트라 주파수, RRC_IDLE 인터 주파수, RRC_CONNECTED 인트라 주파수, 및/또는 RRC_CONNECTED 인터 주파수에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a는 양의 정수일 수 있으며, b는 0 또는 양의 정수를 의미할 수 있다. a 및 b는 단말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때, 'a+b+1=1000', 'a>=500', 'n+b는 현재 전송에 대한 허가의 최종 전송 기회를 넘지 않을 것(n+b should not exceed the last transmission opportunity of the grant for the current transmission)'을 충족할 수 있다.
여기서, CR은 각각의 (재)전송에 대해 평가될 수 있다.
여기서, CR을 평가할 때, 단말은 서브프레임 n에서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가 패킷 드롭 없이 서브프레임 [n+1, n+b]에서의 기존 허가에 따라 재사용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프레임 인덱스는 물리적 서브프레임 인덱스에 기초할 수 있다.
여기서, CR은 우선 순위 레벨마다 계산될 수 있다.
< FeD2D(Further enhancement Device-to-Device)>
이하에서는 FeD2D(Further enhancement Device-to-Device)에 대해 설명한다.
근접 서비스(Proximity Services)를 활성화하는 표준 RAN 작업은 LTE Rel. 12에서 공공 안전 애플리케이션에 중점을 두고 시작되었다. 이하에서 LTE Rel. 12에서 표준화된 주요 기능을 설명한다.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서 장치 대 장치 간 발견(discovery) (상업적 및 공공 안전 사용 사례 모두)
-장치 간(Device-to-Device) 브로드 캐스트 통신에서, 상위 계층(higher layers)은 주로 공공 안전 사용 사례를 타겟팅하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부분,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 대한 그룹캐스트(groupcast) 및 유니캐스트(unicast) 통신을 지원한다.
LTE 기술을 사용하여 저렴한 MTC 장치를 연결하고 관리하는 데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러한 저비용 기기의 중요한 한 가지 예는 웨어러블 기기(wearable)이며, 거의 항상 릴레이 역할을 할 수 있는 스마트 폰(smartphone)에 근접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에, 비-3GPP(non-3GPP) 단거리 기술을 포함하여, D2D를 그러한 장치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D2D가 지원되는 웨어러블과 MTC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LTE 기술이 더욱 강화되어야 하는 두가지 주요한 측면이 있다(In particular there are two main aspects to be further enhanced in LTE technology to enable D2D aided wearable and MTC applications).
-단말-네트워크 릴레잉 기능의 강화(Enhancement of UE-to-Network relaying functionality): ProSe에서 UE와 네트워크 간 중계 구조는 액세스(access) 계층에서 중계 단말(또는 릴레이 단말, Relay UE)의 트래픽과 리모트 단말(혹은 원격 UE)(Remote UE)의 트래픽을 구별하지 않는다. 이 모델은 네트워크 및 운영자가 리모트 UE를 과금(billing) 또는 보안(security) 등을 위한 개별 서비스로서 별도의 장치로 취급하는 능력을 제한한다. 특히, 3GPP 보안 연계는 절대로 네트워크와 리모트 단말 간의 엔드 투 엔드(end-to-end)에 도달하지 않으며, 이는 중계 단말이 리모트 단말의 통신에 대한 클리어 텍스트 액세스(clear text access)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릴레이 링크, 서비스 연속성, 가능한 경우 E2E QoS, 다중 리모트 단말과의 효율적인 동작, Uu 및 D2D 무선 인터페이스 간 효율적인 경로 전환을 통해 엔드 투 엔드(end-to-end) 보안을 지원하기 위해서 UE-네트워크 릴레잉이 강화되어야 한다. D2D를 이용한 릴레잉은 Bluetooth 및 Wi-Fi와 같은 비-3GPP 기술을 기반으로 할 수도 있다. 서비스 연속성과 같은 일부 향상된 기능은 상업적 사용 사례(commerclai use cases)에서 이러한 기술에 대한 릴레잉을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에 근접한 사용 패턴 및 직접 Uu 연결을 실용적이지 않게 만드는 폼 팩터(form-factor) 제한(예를 들어, 배터리 크기 제한)으로 인해 웨어러블에 특히 유용 할 수 있다. 릴레잉은 (중계된 트래픽을 획득하는) 리모트 UE들에 대해 상당한 전력 절감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딥 커버리지 시나리오들(deep coverage scenarios)에서 특히 그러하다. 릴레잉을 도입하는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는 원격 장치들과 릴레이 장치들 간의 단방향 D2D 링크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중계 단말(Relay UE)은 리모트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만을 중계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의 이점은 D2D 수신을 리모트 UE에 추가하기 위한 추가적인 RF 기능이 없다는 것이다.
-저전력, 저속 및 낮은 복잡도/비용 장치를 최소한으로 지원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는 유니캐스트 PC5 링크를 활성화하는 기능 강화(Enhancements to enable reliable unicast PC5 link to at least support low power, low rate and low complexity/cost devices): 저비용 D2D 장치들은 NB-IoT(Narrow Band-IoT) 및 eMTC 연구 중에 개발된 아이디어를 재사용함으로써 가능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NB-IoT/eMTC 상향링크 파형은 D2D에 재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잠재적으로 인터넷/클라우드와 통신하고, 근거리 장치들(proximal devices)과 통신하기 위해 단일 모뎀을 사용할 것이다. 공공 안전 사용 사례에 의해 주도되는 브로드캐스트 지향 디자인으로부터 계승된 현재의 PC5 링크 디자인은, 링크 적응과 피드백 메커니즘의 부재 때문에, 저전력 및 안정적인 D2D 통신을 방해하는 병목 현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단점은 전력 소비, 스펙트럼 효율 및 장치 복잡도 측면에서 웨어러블 및 MTC 사용 사례들의 목표 성능 메트릭(target performance metrics)을 달성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전력 소비 감소 및 낮은 복잡도는 일반적으로 작은 폼 팩터(small form factors) 및 긴 배터리 수명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및 MTC 사용 사례의 핵심 속성이다.
<UNI-DIRECTIONAL RELAY>
일례로, UNI-DIRECTIONAL RELAY 란, 기지국에 멀리 떨어진 REMOTE UE가 상대적으로 기지국에 근접한 RELAY UE가 제공하는 중계 동작을 통해, 자신의 DATA를 기지국에게 전달하는 상황에서, REMOTE UE에서 생성된 DATA는 중계 과정을 거치지만, 네트워크에서 생성되어 기지국에 도달한 DATA는 중계 과정 없이 직접 REMOTE UE로 전달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즉, REMOTE UE는 전송할 DATA를 SIDELINK를 통하여 RELAY UE에게 전송하고, RELAY UE는 이를 다시 UPLINK를 통하여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기지국은 전송할 DATA를 DOWNLINK를 통하여 중계 동작 없이 곧바로 REMOTE UE에게 전송한다. 이런 UNI-DIRECTIONAL RELAY 동작은 REMOTE UE가 근접한 RELAY UE에게 낮은 전력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DOWNLINK는 지속적으로 수신하게 되어 DOWNLINK DATA의 시간 지연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SIDELINK는 UPLINK와 동일한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혹은 유사한 WAVEFORM으로 구성되는데, UPLINK 전송 기능을 갖춘 UE가 SIDELINK 전송 기능을 추가로 갖추는 것은 간단하지만, DOWNLINK 수신 기능에 더하여 별도로 SIDELINK 수신 기능을 갖추는 데는 상당한 구현 비용이 들 수 있다. 이 때 UNI-DIRECTIONAL RELAY를 수행한다면 REMOTE UE는 SIDELINK 수신 기능을 갖출 필요가 없으므로 구현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일례로, 한편 기지국과 REMOTE UE 사이의 DOWNLINK 및 REMOTE UE와 RELAY UE 사이의 SIDELINK를 원활하게 동작하기 위해서는 해당 LINK에 대한 FEEDBACK 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FEEDBACK 정보로는 아래의 것들이 가능하다.
- 데이터 디코딩 결과(DATA DECODING RESULT): LINK를 통하여 수신된 DATA의 DECODING 성공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 HARQ-ACK이 대표적인 예. 수신단이 이 정보를 송신단으로 FEEDBACK하면 송신단은 DECODING 실패한 DATA에 대한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 측정 결과(MEASUREMENT RESULT):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CHANNEL STATUS INFORMATION (CSI), PATHLOSS 등 해당 LINK의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 수신단이 이를 측정하여 송신단으로 FEEDBACK하면 송신단은 그 정보를 활용하여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의 양이나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을 해당 LINK 품질에 최적인 것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UNI-DIRECTIONAL RELAY의 경우에는 이러한 FEEDBACK에 대한 적절한 설계가 필요한데, 한 DEVICE가 다른 DEVICE에게 전송하는 경우 그 반대 방향의 전송은 허용되지 않으며 제 3의 DEVICE를 통한 RELAYING만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가령 DOWNLINK의 경우 REMOTE UE가 생성한 FEEDBACK 정보를 직접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가 없어서 RELAY UE를 통한 전달만이 가능하다.
이하, 이해의 편의를 위해, 단일 방향 릴레이와 양방향 릴레이의 일례를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단일 방향 릴레이와 양방향 릴레이의 일례를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a)는 양방향 릴레이(bidirectional relay)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a)에 따르면, 기지국과 중계(릴레이) 단말은 Uu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중계 단말과 리모트 단말은 PC5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사이드링크 통신이 상호간 가능하다. 즉, 중계 단말은 리모트 단말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단말 특정적 데이터 모두를 중계한다.
도 9(b)는 단일 방향 릴레이(uni-directional relay)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b)에 따르면, 전술한 양방향 릴레이의 경우와 같이, 기지국과 중계 단말은 Uu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통신이 가능하다. 여기서, 리모트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직접 하향링크 통신이 가능하나, 상향링크 통신의 경우에는 중계 단말을 통한 중계가 요구된다. 즉, 중계 단말은 리모트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중계한다.
별도로 도시화하지는 않았으나, 도 9(b)와 달리, 단일 방향 릴레이는 리모트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만을 위한 중계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이하에서는 단일 방향/양방향(Uni-Directional/Bi-Directional) 릴레잉(Relaying) 동작 관련 단말의 능력(UE Capability)에 대한 예시, 혹은 이와 같은 릴레잉(Relaying) 동작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메커니즘(Mechanism)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다.
진화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단말은 모든 하향링크/상향링크/사이드링크 시스템 대역폭 능력을 지원할 수 있다(즉, 1.4MHz 이상의 시스템 대역폭이 지원될 수 있다.)(Evolved UE-to-NW Relay UEs support all DL/UL/SL system bandwidth capabilities (i.e. system BW from 1.4MHz and above is supported)).
또한, 두 가지 타입의 리모트 단말들이 고려될 수 있다.
- 타입 1: 하향링크 및 사이드링크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들(UEs that have DL and SL reception capabilities).
- 타입 2: 사이드링크 수신 능력을 갖지 않는 단말들(UEs that do not have SL reception capabilities).
또한, 복잡도가 낮은 리모트 단말들은 단일 수신 체인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단일 방향 릴레잉의 경우, 상기 체인은 하향링크로 고정되거나 또는 발견(discovery)을 위해 사이드링크로 스위칭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양방향 릴레잉의 경우, 상기 수신 체인은 발견(discovery) 및 통신(communication)을 위해 하향링크와 사이드링크 간 스위칭될 수 있다(Low complexity Remote UEs can have single RX chain. In unidirectional relaying case, the chain can be fixed to DL or FFS switched to SL for discovery. In bidirectional relaying case, the receiver chain may be switched between DL and SL for discovery and communication).
또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 중계 단말은 커버리지 내에 있는 리모트 단말을 위한 동기화 소스로 이용될 수 있다(In-coverage Relay UE can serve as a synchronization source for in-coverage Remote UE).
또한, 다음과 같은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통신이 고려될 수 있다.
- 중계 단말과 리모트 단말 간 통신을 위해 eNB에 의해 제어되는 자원 할당과 설정. 여기서, 자원 할당에 대한 eNB의 결정은 중계 단말에 의한 리모트 단말에 연결된다(eNB controlled resource allocation and configura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Relay and Remote UE. eNB decision on resource allocation is relayed to Remote UE by Relay UE).
- eNB에 의해 제어되는 중계 단말 지원 자원 할당 및 설정(Relay UE assisted resource allocation and configuration under eNB control).
- 자원 할당 지원 리모트 단말(Remote UE assisted resource allocation).
또한, 오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사이드링크 물리 채널은 없을 수 있다. 여기서, 기존 채널들에서의 피기백은 제외되지 않을 수 있다(No new sidelink physical channel to be introduced solely to provide feedback. Piggyback in existing channels is not precluded).
또한, 사이드링크 링크 적응을 위한 수신 및 전송 단말들 간 이하의 피드백 정보가 고려될 수 있다(Study the following feedback information to be exchanged between the receiving and transmitting UEs for sidelink link adaptation).
-복잡도 및 리모트 단말의 전력 소모에 대한 영향을 고려한 디코딩 상태(Decoding status,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s on complexity and Remote UE power consumption).
-MCS, (재)전송의 횟수 및 전송 자원의 적응(Adaptation of MCS, number of (re)transmissions and resource for transmission). 여기서, 사이드링크 CSI 피드백이 고려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RSSI/RSRP/RSRQ 측정(SL measurements e.g. SL-RSSI/RSRP/RSRQ).
또한, 중계 단말과 리모트 단말 간 전파 특성을 고려한 사이드링크 전력 조절이 고려될 수 있다. 여기서, 전파 특성은 사이드링크 경로 손실, 수신 신호 품질, 간섭 레벨 등을 포함할 수 있다(Sidelink power control taking into account propag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Relay UE and Remote UE is further studied. Propagation characteristics can include sidelink pathloss, received signal quality, interference level etc.).
또한, 사이드링크 자원 설정에 대한 다음 3가지 옵션이 고려될 수 있다(Three sidelink resource configuration options are further analysed).
-Rel-12와 유사한, 단말과 시스템 관점에서의 PSCCH/PSSCH 간의 TDM(TDM between PSCCH / PSSCH from UE and system perspective (Similar to R12)).
-Rel-14와 유사한, 단말과 시스템 관점에서의 PSCCH/PSSCH 간의 FDM(FDM between PSCCH / PSSCH from UE and system perspective (Similar to R14)).
-시스템 관점에서의 PSCCH/PSSCH 간의 FDM, 그러나 단말 관점에서는 TDM(FDM between PSCCH / PSSCH from system perspective but TDM from UE perspective).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협대역 리모트 단말(NARROW-BAND REMOTE UE)이 자신의 정보 (예, WAN 통신 관련 정보)를, 릴레이 단말(RELAY UE)의 사이드링크 릴레잉(SIDELINK RELAYING) 동작을 통해 기지국에게 전달하는 것은, NARROW-BAND REMOTE UE가 직접 WAN(wide area network) 상향링크(UL)를 통해 기지국에게 전달하는 것보다, 신뢰도/베터리 소모 측면에서 이득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취지 하에서, RELAY UE가 (적어도 사전에 설정된 높은 우선 순위의) NARROW-BAND REMOTE UE의 정보를 신뢰도 높게 전송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NARROW-BAND REMOTE UE의 정보의 불필요한 재전송이 발생되어, 상기 설명한 이득 (특히, 베터리 세이빙(BATTERY SAVING))을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RELAY UE의 SIDELINK RELAYING 동작의 동기(MOTIVATION) 또한 약화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취지를 고려하여, RELAY UE가 (적어도 사전에 설정된 높은 우선 순위의) NARROW-BAND REMOTE UE의 정보를 신뢰도 높게 전송하는 방법의 예시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례로, 아래 제안 방식들은 (SIDELINK RELAYING 환경하에서) WAN 통신 그리고/혹은 SL 통신 관련 (제어/피드백/데이터)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여기서, 일례로, 본 발명에서 “REMOTE-UE” 워딩은 (RELAY-UE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정된 크기 대역 (예를 들어, 6(/1) RB)의 송신 (그리고/혹은 수신) 능력을 가진 단말로 (최소한) 해석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D2D(/V2X) 통신 모드는 (대표적으로) (A) ((기지국(/네트워크)으로부터)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D2D(/V2X) 자원 풀 상에서) D2D(/V2X) 메시지 송(/수신) 관련 스케줄링 정보를 기지국이 시그널링(/제어)하는 모드 (예를 들어, 기지국 통신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그리고/혹은 RRC_CONNECTED 상태의) 단말이 주된 대상임) 그리고/혹은 (B) ((기지국(/네트워크)으로부터)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D2D(/V2X) 자원 풀 상에서) D2D(/V2X) 메시지 송(/수신) 관련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이 (독자적으로) 결정(/제어)하는 모드 (예를 들어, 기지국 통신 커버리지 내/밖에 위치한 (그리고/혹은 RRC_CONNECTED/IDLE 상태의) 단말이 주된 대상임)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본 발명에서 “센싱 동작” 워딩은 (디코딩 성공한 PSCCH가 스케줄링하는) PSSCH DM-RS SEQUENCE 기반의 PSSCH-RSRP 측정 동작 그리고/혹은 (D2D(/V2X) 자원 풀 관련 서브채널 기반의) S-RSSI 측정 동작 등으로 해석 (표 3.1 참조) 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본 발명에서 “수신” 워딩은 (A) D2D(/V2X) 채널(/시그널) (예를 들어, PSCCH, PSSCH, PSBCH, PSSS/SSSS 등) 디코딩(/수신) 동작 (그리고/혹은 WAN DL 채널(/시그널) (예를 들어, PDCCH, PDSCH, PSS/SSS 등) 디코딩(/수신) 동작) 그리고/혹은 (B) 센싱 동작 그리고/혹은 (C) CBR 측정 동작 중에 (최소한) 한가지로 (확장) 해석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본 발명에서 “송신” 워딩은 D2D(/V2X) 채널(/시그널) (예를 들어, PSCCH, PSSCH, PSBCH, PSSS/SSSS 등) 송신 동작 (그리고/혹은 WAN UL 채널(/시그널) (예를 들어, PUSCH, PUCCH, SRS 등) 송신 동작)으로 (확장) 해석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본 발명에서 “CARRIER” 워딩은 (A)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CARRIER SET(/GROUP) 그리고/혹은 (B) D2D(/V2X) 자원 풀 등으로 (확장) 해석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본 발명에서 “RS” 워딩은 DM-RS로 (최소한) 해석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본 발명에서 “스크램블링” 워딩은 PSSCH(/PSCCH) 스크램블링으로 (최소한) 해석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서, 아래와 같은 상황이 고려될 수 있다.
(1) 우선, NARROW-BAND REMOTE-UE (M-UE) (예, 6RB)가 SIDELINK (SL) (예, PSSCH, PSCCH, PSDCH)를 통해 RELAY-UE (R-UE)에게, 아래 나열된 정보 중 최소한 하나를 전송하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 각각의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는 아래와 같을 수 있다.
- M-UE의 WAN 통신 관련 피드백/제어/데이터 정보:
예컨대, (자신의) WAN DL HARQ-ACK 정보, WAN DL CSI 정보, WAN UL DATA 정보, WAN UL SR 정보
- (M-UE/R-UE 간의) SL 통신 관련 피드백/제어 정보:
예컨대, R-UE가 전송한 (특정) SL CHANNEL/SIGNAL 수신 관련 DECODING STATUS 정보,
또는 예컨대, (M-UE가 측정한) SL MEASUREMENT (예, SL-RSSI/RSRP/RSRQ) 정보 혹은 SL CSI FEEDBACK 정보
또는 예컨대, R-UE의 (특정) SL CHANNEL/SIGNAL 전송 관련 SL LINK ADAPTATION 정보 (예, MCS, RE-TRANSMISSION NUMBER, TX RESORUCE, SL TX POWER CONTROL (TPC) PARAMETER (예, P_O, ALPAH) 등)
일례로, 상기 SL LINK ADAPTATION 정보는 (M-UE가 도출/측정한 혹은 R-UE로부터 피드백 받은) SL DECODING STATUS, SL MEASUREMENT, SL CSI FEEDBACK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M-UE 혹은 기지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2) R-UE가 WAN UL (예, PUSCH, PUCCH)를 통해 기지국에게, 아래 나열된 정보 중 최소한 하나를 전송하는 경우(예, R-UE가 전송하는 해당 정보는 기지국을 통해서 M-UE에게 (최종) 전달될 수 도 있음)가 고려될 수 있다. 각각의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는 아래와 같을 수 있다.
- R-UE의 WAN 통신 관련 피드백/제어/데이터 정보
- M-UE의 WAN 통신 관련 피드백/제어/데이터 정보:
예컨대, (M-UE로부터 SL 통해 수신된) M-UE 관련 WAN DL HARQ-ACK 정보, WAN DL CSI 정보, WAN UL DATA 정보, WAN UL SR 정보
- (M-UE/R-UE 간의) SL 통신 관련 피드백/제어 정보 (예, 해당 정보는 R-UE가 SL 통해 M-UE에게, 직접 전송할 수 도 있음):
예컨대, M-UE가 전송한 (특정) SL CHANNEL/SIGNAL 수신 관련 DECODING STATUS 정보,
또는 예컨대, (R-UE가 측정한) SL MEASUREMENT 정보 혹은 SL CSI FEEDBACK 정보,
또는 예컨대, M-UE의 (특정) SL CHANNEL/SIGNAL 전송 관련 SL LINK ADAPTATION 정보. 일례로, 상기 SL LINK ADAPTATION 정보는 (R-UE가 도출/측정한 혹은 M-UE로부터 피드백 받은) SL DECODING STATUS, SL MEASUREMENT, SL CSI FEEDBACK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R-UE 혹은 기지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설명한 일부 경우는 UNI-DIRECTIONAL RELAYING (혹은 BI-DIRECTIONAL RELAYING) 환경하에서만 (한정적으로) 발생될 수 도 있다.
일례로, SL RELAYING 이득/유용성을 최대화시키거나, 혹은 SL 통신 품질 향상을 위해서, 상기 설명한 “SL 통신” 혹은 “WAN DL/UL 통신” 관련 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신뢰도 높게 전송(/릴레이)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할 수 있다. 예컨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피기백” 용어는 상기 정보를 PUNCTURING (혹은 RATE-MATCHING) 형태로, 사전에 정의된 채널/시그널을 통해서, 전송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고려 상황에서, RELAY UE가 (적어도 사전에 설정된 높은 우선 순위의) NARROW-BAND REMOTE UE의 정보를 신뢰도 높게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도면들을 통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전송 방법의 순서도다.
도 10에 따르면, 릴레이 단말은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10). 여기서, 상기 리모트 단말은 한정된 크기 대역의 통신 능력을 가진 단말일 수 있다.
상기 릴레이 단말이 획득한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의 예시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는 리모트 단말이 사이드링크 채널을 통해 릴레이 단말에게 전송한 것일 수 있으며, 일례로, 리모트 단말의 WAN 통신 관련 피드백/제어/데이터 정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이는 릴레이 단말이 리모트 단말을 위해 전송하는 사이드링크 통신 관련 피드백/제어 정보일 수 도 있으며, 일례로, 리모트 단말이 전송한 사이드링크 채널에 대한 수신/디코딩 성공 여부 정보, 사이드링크 CSI/측정 정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사이드링크 통신 관련 피드백/제어 정보는 릴레이 단말이 리모트 단말에게 사이드링크 채널을 통해 직접 전송할 수 도 있다. 이하, 구체적인 예들은 앞서 설명하였기에,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본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UNI-DIRECTIONAL RELAY 상황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리모트 단말은 상기 릴레이 단말의 중계 과정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게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는 정보를 상기 릴레이 단말의 중계과정 없이 (WAN 하향링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말일 수도 있다.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 간의 우선 순위 및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와 상기 릴레이 단말 관련 정보 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S1020).
일례로,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와 상기 릴레이 단말의 정보 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가 상기 리모트 단말의 WAN(wide area network) 통신 관련 제어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인 경우,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상기 릴레이 단말의 WAN 통신 관련 데이터 정보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의 WAN(wide area network) 통신 관련 제어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하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 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 중 상기 리모트 단말을 위한 사이드링크 통신 관련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를 상기 리모트 단말의 WAN(wide area network) 통신 관련 데이터 정보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을 위한 사이드링크 통신 관련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예컨대,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 중 상기 리모트 단말의 WAN(wide area network) 통신 관련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를 상기 리모트 단말을 위한 사이드링크 통신 관련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의 WAN 통신 관련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WAN 통신 관련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는, 상기 리모트 단말의 WAN 하향링크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WAN 하향링크 HARQ-ACK 정보, 또는 WAN 상향링크 SR(scheduling request)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링크 통신 관련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는, 상기 리모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이드링크 채널에 대한 디코딩 상태 정보, 사이드링크 CSI 정보 또는 사이드링크 측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하도록 한다.
이후, 릴레이 단말은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정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S1030). 이때,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릴레이 단말에 의해 결정된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이한 물리 채널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상기 정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릴레이 단말은 특정 정보를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리모트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사전에 정의된 채널을 통해 상기 릴레이 단말의 정보와 함께 전송하고, 사전에 정의된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는 상기 사전에 정의된 채널에 피기백 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하, 본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하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이한 베타 오프셋 값을 적용하여 상기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베타 오프셋은 정보 전송에 사용되는 변조 심볼 개수를 조절하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릴레이 단말은 높은 우선 순위의 정보 전송에 더 많은 상기 변조 심볼 개수를 할당할 수 있다. 이하, 본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하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이한 전력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상기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릴레이 단말은 높은 우선 순위의 정보 전송에 더 많은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이하, 본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하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이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값을 적용하여 상기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릴레이 단말은 낮은 우선 순위의 정보 전송에 상대적으로 높은 MCS 값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하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릴레이 단말은 각각의 리모트 단말에 관련된 정보에 대해 상이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sum)를 부가하고, 상기 각각의 CRC 관련 패리티 비트는 상기 각각의 리모트 단말의 구분 아이디로 스크램블링될 수 있다. 이하, 본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하도록 한다.
도 10의 순서도는, 주로 릴레이 단말의 관점에서 서술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릴레이 단말이 주체가 되는 동작을 서술한 것일 뿐이다. 예컨대, 도 10의 순서도는 리모트 단말(또는 기지국)의 관점에서 동작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릴레이 단말이 주체가 되는 방법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리모트 단말이 주체가 되는 방법의 실시예 또한 지원된다.
이하, 도 1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예시들을 설명한다.
(규칙#1) 상기 (일부) 정보가 사전에 정의된 채널/시그널을 통해 (피기백) 전송될 때, 해당 정보의 우선 순위 혹은 타입 등에 따라, 상이한 (혹은 독립적인) BETA OFFSET 값 (예, INFORMATION 전송에 사용되는 MODULATION CODED SYMBOL (CM_SYMBOL) 개수를 조절하는 파라미터)이 설정(/시그널링)될 수 있음 (예, 높은 우선 순위의 정보 전송에 더 많은 CM_SYMBOL 개수를 할당시킴으로써 (예, EFFECTIVE CODING RATE를 낮추는 효과), 수신 성공률을 더 향상시킬 수 있음)
예) 상기 (일부) 정보 간의 우선 순위는 아래 (일부) 규칙에 따라 정의될 수 도 있음 (예, “X > Y” 표현은 X가 Y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다는 의미하며, 또한, 기술하지 않았지만, 부호 방향이 반대 (혹은 등호)인 경우도 본 발명의 제안으로 커버됨을 명시함)
- WAN 통신 관련 정보 > SL 통신 관련 정보, 혹은 SL 통신 관련 제어/피드백 정보 > WAN 통신 관련 데이터 정보, WAN 통신 관련 제어/피드백 정보 > SL 통신 관련 제어/피드백 정보,
- SL DECODING STATUS 정보 > SL CSI FEEDBACK(/SL MEASUREMENT/SL LINK ADAPTATION) 정보, 혹은 SL LINK ADAPTATION(/SL MEASUREMENT) > SL DECODING STATUS 정보 > SL CSI FEEDBACK 정보, 혹은 SL COMMUNICATION 관련 정보 > SL DISCOVERY 관련 정보, 혹은 긴 전송/보고 주기의 정보 > 짧은 전송/보고 주기의 정보
- WAN DL HARQ-ACK 정보 (= WAN UL SR 정보) > WAN DL CSI 정보 (> WAN UL DATA 정보)
- 자신 (예, R-UE)의 WAN 통신 관련 정보 > (릴레이하는) 다른 UE (예, M-UE)의 WAN 통신 관련 정보 (혹은 자신의 SL 통신 관련 정보 > (릴레이하는) 다른 UE의 SL 통신 관련 정보), 혹은 (릴레이하는) 다른 UE의 WAN 통신 (혹은 SL 통신) 관련 제어/피드백 정보 > 자신의 WAN 통신 관련 데이터 정보, 자신의 WAN 통신 관련 제어/피드백 정보 > (릴레이하는) 다른 UE의 WAN 통신 관련 데이터 정보
예컨대, 상기 (일부) 정보가 (피기백) 전송될 때, 해당 정보의 우선 순위 혹은 타입 등에 따라,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상이한 (혹은 독립적인) MCS 값이 적용되도록 할 수 도 있음 (예, 낮은 우선 순위의 정보 전송에 더 높은 MCS 값을 적용시킴으로써, 해당 정보의 피기백으로 인한 영향을 줄일 수 있음)
예컨대, 상기 우선 순위는, 상이한 (CA) CELL 상의 (일부 혹은 모두) 겹치는 정보 전송 간에, 파워 할당 (혹은 전송 생략) 우선 순위 결정을 위해서도 확장 이용될 수 있음 (예, POWER LIMITED CASE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 도 있음)
(규칙#2) 상기 (일부) 정보가 사전에 정의된 채널/시그널을 통해 (피기백) 전송될 때,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상이한 (혹은 독립적인) POWER CONTROL PARAMETER (예, OPEN-LOOP TPC PARAMETER (예, P_O, ALPHA), MAX TX POWER 값, MIN. GUARANTEED POWER 등) (혹은 추가적인 TX POWER OFFSET 값)을 적용하도록 할 수 있음 (예, 짧은 시간 내에, 혹은 적은 (재)전송 횟수로 송/수신 성공을 달성하기 위한 목적)
예컨대, 해당 POWER CONTROL PARAMETER (혹은 추가적인 TX POWER OFFSET 값)은, (규칙#1)에서 설명한, 정보 별 우선 순위 혹은 타입 등에 따라, 상이하게 (혹은 독립적으로) 설정(/시그널링)될 수 도 있음 (예, 높은 우선 순위의 정보 전송에 더 많은 전력을 할당하도록 함으로써, LOWER LATENCY/DELAY, HIGHER RELIABILITY 전송이 가능해짐)
(규칙#3) 상기 (일부) 정보 (예, (특히) SL DECODING STATUS 정보, WAN DL HARQ-ACK 정보 등)가 사전에 정의된 채널/시그널을 통해 (피기백) 전송될 때, SPATIAL(/TIME) BUNDLING 적용 여부가 설정(/시그널링)될 수 있음 (예, SPATIAL(/TIME) BUNDLING이 적용될 경우, 송/수신 성공 신뢰도는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지만, 반면에 해당 정보의 피기백으로 인한 영향을 줄일 수 있음)
예컨대, 해당 SPATIAL(/TIME) BUNDLING 적용 여부도, (규칙#1)에서 설명한, 정보 별 우선 순위 혹은 타입 등에 따라, 상이하게 (혹은 독립적으로) 설정(/시그널링)될 수 도 있음 (예, 낮은 우선 순위의 정보 전송에 SPATIAL(/TIME) BUNDLING이 적용되는 형태)
(규칙#4) 특정 UE (예, R-UE)로 하여금, 상기 (일부) 정보 (예, M-UE의 WAN 통신 관련 피드백/제어 정보, SL 통신 관련 피드백/제어 정보 등)를 사전에 정의된 채널/시그널 (예, PUSCH)을 통해 (피기백) 전송할 때, 자신의 (WAN 통신 관련) CONTROL (피기백) 전송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자신의) “CONTROL DATA SENT VIA PUSCH WITH (OR WITHOUT) UL-SCH” (혹은 “PUCCH W/ HARQ-ACK (OR CSI)”)와 동일 우선 순위 (예, POWER ALLOCATION/DROPPING PRIORITY)로 간주하도록 할 수 있음 (예, 다른 UE 관련 제어/피드백 정보임에도 불구하고, 효율적으로 PROTECTION 해주기 위함임)
예컨대, 해당 규칙 적용 여부는, (규칙#1)에서 설명한, 정보 별 우선 순위 혹은 타입 등에 따라, 상이하게 (혹은 독립적으로) 설정(/시그널링)될 수 도 있음 (예, 높은 우선 순위의 정보 전송을 위해서만 적용되는 형태)
예컨대, 상기 (일부) 정보가 SL 채널/시그널을 통해 (피기백) 전송될 때, 해당 SL 채널/시그널 전송은 (A)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특정) WAN UL 전송보다 높은 우선 순위로 설정(/시그널링) (예, COLLISION(/(TIME) OVERLAPPING) 발생시, WAN UL 전송이 생략됨) 되거나, 혹은 (B)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특정 SL 채널/시그널 (예, SLSS) 전송을 제외한) 다른 (나머지) SL 채널/시그널 전송보다 높은 우선 순위로 설정(/시그널링) (예, COLLISION(/(TIME) OVERLAPPING) 발생시, 다른 (나머지) SL 채널/시그널 전송이 생략됨)될 수 도 있음. 여기서, 일례로, 해당 규칙 적용 여부는, (규칙#1)에서 설명한, 정보 별 우선 순위 혹은 타입 등에 따라, 상이하게 (혹은 독립적으로) 설정(/시그널링)될 수 도 있음 (예, 높은 우선 순위의 정보 전송을 위해서만 적용되는 형태)
앞서 설명한 제안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앞서 설명한 내용들을 다른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전송 방법의 순서도다.
도 11에 따르면, 릴레이 단말은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110). 여기서, 본 내용에 대한 예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 간의 우선 순위 및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와 상기 릴레이 단말 관련 정보 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S1120). 여기서, 본 내용에 대한 예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릴레이 단말은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릴레이 단말에 의해 결정된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이한 물리 채널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정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S1130). 여기서, 본 내용에 대한 예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앞서 복수의 도면들을 통해 설명한 RELAY UE가 (적어도 사전에 설정된 높은 우선 순위의) NARROW-BAND REMOTE UE의 정보를 신뢰도 높게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는, 아래와 같은 구성들이 추가적으로(혹은 별도로) 고려될 수 있다.
- (특정 UE (예, R-UE)에 의해, 자신 뿐만 아니라 다른 UE (예, M-UE) 관련) 상기 (일부) 정보가 사전에 정의된 채널/시그널을 통해 (피기백) 전송될 때, 상이한 UE 정보 (혹은 상이한 타입(/종류) 정보 혹은 상이한 PRIORITY 정보) 간에 (A) SEPARATE (CHANNEL) CODING를 적용하도록 하거나, 혹은 (B)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상이한 (혹은 독립적인) BETA OFFSET 값 (혹은 MCS 값)을 적용하도록 할 수 도 있음
예) 또 다른 일례로, 상기 경우에, 사전에 정의된 동일 (CHANNEL) CODING를 적용하도록 하거나, 혹은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동일 BETA OFFSET 값 (혹은 MCS 값)을 적용하도록 할 수 도 있음
예) 또 다른 일례로, 상기 경우에, 상이한 UE 정보의 CM_SYMBOL (혹은 상이한 타입(/종류) 정보의 CM_SYMBOL 혹은 상이한 PRIORITY 정보의 CM_SYMBOL)이 인터리빙되어, FREQUECY-FIRST (혹은 TIME-FIRST) 맵핑되도록 할 수 도 있음
예) 또 다른 일례로, 상기 경우에, 상이한 UE 정보 (혹은 상이한 타입(/종류) 정보 혹은 상이한 PRIORITY 정보) 간에 CRC가 각각 (독립적으로) GENERATION/ADD 되도록 할 수 도 있음. 여기서, 일례로, CRC PARITY BIT는 사전에 정의된 “정보 타입(/종류) 구분 지시자” (혹은 “정보 PRIORITY 구분 지시자” 혹은 “UE 구분 아이디(/지시자)”)로 SCRAMBLING (혹은 MASKING) 될 수 도 있음
- PUCCH/PUSCH 동시 전송이 가능한 UE (예, R-UE)의 경우, 자신의 WAN 통신 (그리고/혹은 SL 통신) 관련 제어/피드백 정보 (예, WAN DL HARQ-ACK(/CSI) 등)는 (항상) PUCCH로 전송하도록 하고, 다른 UE 관련 상기 (일부) 정보 (그리고/혹은 자신의 SL 통신 관련 정보)는 (항상) PUSCH로 (피기백) 전송하도록 설정(/시그널링)될 수 도 있음
- R-UE로부터 수신(/릴레이)된 (복수개의) IN-COVERAGE M-UE 관련 상기 (일부) 정보를 기지국이 M-UE한테 (WAN DL을 통해) (재)전송할 경우, 아래 (일부) 규칙이 적용될 수 있음
예) 복수개의 M-UE에게, 공통된 하나의 GROUP-RNTI 값을 설정(/시그널링)해주고, 해당 GROUP-RNTI 값으로 (블라인드) 디코딩되는 DCI (예, CSS 상의 DCI 0(/1A)와 동일 패이로드 길이로 SIZE-FITTING 될 수 있음)가 스케줄링하는 PDSCH 상에, 해당 복수개의 M-UE 관련 정보가 (함께) 포함/전송될 수 있음 (예, 일종의 MAC CE 형태로 볼 수 있으며, 또한, “M-UE 구분 아이디(/지시자) 필드”가 정의될 수 있음)
이해의 편의를 위해, 기지국이, 릴레이 단말로부터 수신(/릴레이)된 (복수개의) IN-COVERAGE 리모트 단말 관련 상기 (일부) 정보를 리모트 단말한테 (WAN DL을 통해) (재)전송하는 예를 도면을 통해 다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개의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순서도다.
도 12에 따르면, 기지국은 복수개의 리모트 단말들에게, 공통된 하나의 그룹 RNTI 시그널링할 수 있다(S1210).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락한다.
이후, 기지국은, 상기 그룹 RNTI 값으로 디코딩되는 DCI가 스케줄링하는 PDSCH 상에, 상기 복수개의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220). 여기서, 기지국이 리모트 단말에게 전송하는 정보는, 릴레이 단말로부터 수신(/릴레이)된 (복수개의) IN-COVERAGE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 (예를 들어, 리모트 단말이 전송한 사이드링크 채널에 대한 수신/디코딩 성공 여부 정보 등)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지국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서술했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릴레이 단말, 혹은 리모트 단말 관점에서 설명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리모트 단말 관점에서 도 12의 예를 설명하면, 리모트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그룹 RNTI를 시그널링받을 수 있다. 이후, 상기 리모트 단말은 상기 그룹 RTNI 값으로 디코딩되는 DCI가 스케줄링하는 PDSCH 상에,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룹 RNTI에 기초하여, 릴레이 단말로부터 수신(/릴레이)된 (복수개의) IN-COVERAGE 리모트 단말 관련 상기 (일부) 정보를 기지국이 리모트 단말한테 (WAN DL을 통해) (재)전송할 경우, 기지국이 복수의 리모트 단말들에게 신속하게 해당 정보를 스케줄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도 12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도 10 내지 도 11의 실시예와 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리모트 단말이 릴레이 단말에게 (사이드링크 채널을 통해) 특정 정보를 전송하고, 릴레이 단말은 상기 기지국에게 상기 특정 정보 관련 피드백/제어 정보를,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이한 물리 채널 파라미터를 적용한 뒤) 중계할 수 있다. 이후, 리모트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특정 정보 관련 피드백/제어 정보를, (사전에 설정된) 상기 그룹 RNTI 값으로 디코딩되는 DCI가 스케줄링하는 PDSCH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리모트 단말이 릴레이 단말의 중계 동작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서 설명한 내용의 반복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임계값 이하의 패이로드 길이를 가지는 정보, 혹은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임계값 이상의 PRIORITY를 가지는 정보, 혹은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타입(/종류)의 정보는 (상대적으로 중요한) “CONTROL(/FEEDBACK)” 정보로 간주 (예, 피기백 전송) 하도록 하고, 그 외의 나머지 정보 (예, UE 구분 아이디(/지시자) 정보 등)는 “DATA” 정보로 간주 (예, MAC CE 형태로 전송) 하도록 할 수 도 있음
- 상기 (일부) 정보가 사전에 정의된 채널/시그널을 통해 (피기백) 전송될 때, (전체) 패이로드 길이가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에 따라,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상이한 BETA OFFSET 값 (혹은 MCS 값)이 적용되도록 할 수 도 있음 (예, 임계값 초과시, 상대적으로 큰 BETA OFFSET 값이 적용되는 형태)
- 사전에 정의된 채널/시그널을 통해, 상기 (일부) 정보가 (피기백) 전송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간에 “SEPARATE TPC ACCUMULATION”이 설정(/시그널링)될 수 도 있음
예) DCI 3/3A (예, UE-GROUP TPC DCI)의 경우, 특정 UE에게, 전자와 후자를 위한 (독립된) 두 개의 “TPC 필드 인덱스 정보”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지정될 수 도 있음
- 상기 (일부) 정보의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서, (WAN UL) SPS 자원이 독립적으로 (혹은 추가적으로) 설정(/시그널링)될 수 도 있음
예) DCI 3/3A의 경우, 특정 UE에게, 상기 (새로운 용도의) SPS 관련 TX POWER CONTROL을 위한 “TPC 필드 인덱스 정보”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추가적으로 지정될 수 도 있음
예) 상기 (새로운 용도의) SPS 관련 BSR(/SR) 전송이 추가적으로 지정될 수 도 있음
- 기존 APERIODIC CSI ONLY (W/O UL-SCH) TRIGGERING DCI와 유사하게, 상기 (일부) 정보 전송만을 위한, TRIGGERING(/SCHEDULING) DCI (예, SAME SEARCH SPACE 상의 DCI 0(/1A)와 동일 패이로드 길이로 SIZE-FITTING 될 수 있음)가 새롭게 정의될 수 도 있음 (예, 해당 용도의 (새로운) DCI 블라인드 검출을 위한, 추가적인 RNTI 값이 설정(/시그널링)될 수 도 있음)
- 전송될 상기 (일부) 정보의 패이로드 크기 (AC_PAYSIZE)가, 사용될 채널/시그널 (예, PUCCH)이 허용하는 (혹은 지원하는) 최대 패이로드 크기 값 (MAX_PAYSIZE) (예,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PER UE) CODE RATE 값과 사용 가능한 PHYSICAL CHANNEL BIT의 곱으로 계산될 수 있음) 보다 크다면, (A) (MAX_PAYSIZE 대비 AC_PAYSIZE가 작거나 같아질 때까지) (규칙#1)에서 설명한 낮은 우선 순위의 정보 (혹은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특정 타입(/종류) 정보 (혹은 특정 PRIORITY 정보 혹은 특정 UE 정보))를 우선적으로 DROPPING (혹은 SPATIAL(/TIME) BUNDLING) 하도록 하거나, 혹은 (B)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특정 타입(/종류) 정보 (혹은 특정 PRIORITY 정보 혹은 특정 UE 정보)만을 (한정적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 도 있음
예) UE (예, R-UE)로 하여금, PUCCH FORMAT ADAPTATION(/SELECTION)은 자신의 WAN(/SL) 통신 관련 (피드백/제어) 정보량만을 고려하여 (혹은 다른 UE의 WAN(/SL) 통신 관련 (피드백/제어) 정보량(/전송 여부)도 함께 고려하여) 수행하도록 할 수 도 있음
예) 상기 (PER UE) CODE RATE 값은 POWER LIMITED CASE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시그널링)될 수 도 있음 (예, POWER LIMITED CASE인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값으로 지정될 수 있음)
- 일례로, R-UE로 하여금, 상기 (일부) 정보를 사전에 정의된 채널/시그널 (예, PUSCH(/PUCCH))을 통해서 기지국에게 보고하도록 하고, 해당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은 “SL POWER LEVEL/PARAMETER” (예, P_O, ALPHA, MAX TX POWER 값)를 결정할 수 있음. 여기서, 일례로, 해당 결정된 “SL POWER LEVEL/PARAMETER”는 (A) 기지국이 WAN DL를 통해서 (관련) M-UE에게 (직접) 시그널링하거나, 혹은 (B) 기지국이 R-UE에게 (WAN DL를 통해서) 시그널링하고, 다시 R-UE가 SL를 통해 (관련) M-UE에게 시그널링할 수 도 있음
- PUCCH/PUSCH 동시 전송 능력이 없는 특정 UE (예, M-UE)가 PUCCH/PUSCH 전송 타이밍이 겹쳐서 PUCCH 정보를 PUSCH로 피기백해야 할 경우 (혹은 PUCCH/PUSCH 동시 전송 능력이 있는 특정 UE (예, M-UE)가 PUCCH/PUSCH 동시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만약 SL RELAYING 기반의 전송(/도움)을 선택한다면, PUSCH 정보 (예, DATA (UL-SCH))는 SL로 (R-UE에게) 전송하고, PUCCH 정보 (예, UCI)는 (TDM시켜) WAN UL로 (기지국에게) 전송하도록 할 수 도 있음
- 일례로, (동일 POOL 내의) SUBBAND-SPECIFIC (혹은 POOL-SPECIFIC) SL MEASUREMENT (예, SL-RSSI/RSRP/RSRQ) 그리고/혹은 REPORT 동작은, SUBBAND (혹은 POOL) 별 (일부) 상이한 간섭 환경을 고려한, 상대적으로 좋은 상태(/품질) (예, LOWER INTERFERENCE LEVEL)의 SUBBAND (혹은 POOL) 선택을 가능하게 함. 여기서, 일례로, 해당 측정/보고 동작은 아래 (일부) 규칙을 따르도록 정의될 수 있음.
예) R-UE가 M-UE에게 (혹은 기지국이 UE에게) 상기 측정(/보고) 관련 설정 정보 (예, (SUBBAND-SPECIFIC) 측정(/보고) 주기(/패턴) (예, INTER-SUBBAND 측정(/보고) 주기(/패턴)), (SUBBAND-SPECIFIC) 측정(/보고) 관련 서브프레임 오프셋, (SUBBAND-SPECIFIC) (최소) 측정 시간 길이(/구간) 정보 등)를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링 (예, PSCCH(/PSSCH), PSDCH(/PBCH), SIB(/RRC))을 통해서 알려줄 수 도 있음
예) 상기 측정(/보고) 형태는 SUBBAND-SPECIFIC 하면서, 동시에, SUBFRAME-SET SPECIFIC하게 설정(/시그널링)될 수 도 있음
예) 상기 측정 (예, SL-RSSI)은 SUBBAND 스위칭(/송수신 스위칭/AGC SETTLING)에 사용되는 심벌 그리고/혹은 DM-RS 심벌을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심벌 상에만 수행되도록 설정(/시그널링)되거나, 혹은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특정 채널(/시그널) (예, PSSCH(/PSCCH), PSDCH(/PBCH))에 대해서만 수행되도록 할 수 도 있음
예) M-UE가 R-UE에게 상기 측정 관련 설정 정보를 시그널링할 수 도 있음 (예, UNI-DIRECTIONAL RELAYING 경우)
예) M-UE가 (자신이 수행한) 측정 자원 위치/패턴/평균화 시킨 구간 길이 등의 정보를, R-UE에게 보고 할 수 도 있음 (예, 측정 값 보고시, 함께, 보고할 수 있음)
예) 상기 측정을 수행한 UE가 ((SIDELINK를 통해) 다른 UE가 아니라) 기지국한테 (사전에 정의된 채널을 통해서) 직접 보고하도록 할 수 도 있음.
예) 상기 측정/보고 수행시,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상위 K 개 (예, 간섭 레벨이 낮은 K 개)의 정보만을 보고하도록 할 수 도 있음 (예, 오버헤드 감소 효과)
- 상기 (일부) 규칙은 POWER LIMITED CASE (혹은 NON-POWER LIMITED CASE)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 도 있음
- 상기 (일부) 규칙의 적용 여부, 혹은 관련 정보는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링 (예, PSCCH(/PSSCH), PSDCH, SIB(/RRC) 등)을 통해서, (A) 특정 (TX) UE가 다른 UE에게 알려주거나, 혹은 (B) 네트워크가 UE들에게 (PRE)CONFIGURATION (예, POOL(/CARRIER)-SPECIFIC 형태) 할 수 도 있음
상기 설명한 제안 방식에 대한 일례들 또한 본 발명의 구현 방법들 중 하나로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일종의 제안 방식들로 간주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또한, 상기 설명한 제안 방식들은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도 있지만, 일부 제안 방식들의 조합 (혹은 병합) 형태로 구현될 수 도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3GPP LTE 시스템을 기반으로 제안 방식을 설명하였지만, 제안 방식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범위는 3GPP LTE 시스템 외에 다른 시스템으로도 확장 가능하다.
일례로, 본 발명의 제안 방식들은 D2D 통신을 위해서도 확장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일례로, D2D 통신은 UE가 다른 UE와 직접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서, 일례로 UE는 사용자의 단말을 의미하지만, 기지국과 같은 네트워크 장비가 UE 사이의 통신 방식에 따라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역시 일종의 UE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본 발명의 제안 (일부) 방식들은 MODE 1(/3) D2D(/V2X) 동작 (그리고/혹은 MODE 2(/4) D2D(/V2X) 동작)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 도 있다.
또한, 일례로, 본 발명의 제안 (일부) 방식들은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특정) D2D(/V2X) 채널(/시그널) 전송 (예를 들어, PSSCH (그리고/혹은 (연동된) PSCCH 그리고/혹은 PSBCH))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 도 있다.
또한, 일례로, 본 발명의 제안 (일부) 방식들은 PSSCH와 (연동된) PSCCH가 (주파수 영역 상에서) 인접 (ADJACENT) (그리고/혹은 이격 (NON-ADJACENT))되어 전송될 경우 (그리고/혹은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MCS (그리고/혹은 코딩레이트 그리고/혹은 RB) (값(/범위)) 기반의 전송이 수행될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 도 있다.
또한, 일례로, 본 발명의 제안 (일부) 방식들은 MODE#1(/3) (그리고/혹은 MODE#2(/4)) D2D(/V2X) CARRIER (그리고/혹은 (MODE#1(/2)(/4(/3))) SL(/UL) SPS (그리고/혹은 SL(/UL) DYNAMIC SCHEDULING) CARRIER) 간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 도 있다. 또한, 일례로, 본 발명의 제안 (일부) 방식들은 CARRIER 간에 동기 시그널 (송신 (그리고/혹은 수신)) 자원 위치 그리고/혹은 개수 (그리고/혹은 D2D(/V2X) 자원 풀 관련 서브프레임 위치 그리고/혹은 개수 (그리고/혹은 서브채널 크기 그리고/혹은 개수))가 동일한 (그리고/혹은 (일부) 상이한)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 도 있다.
또한, 일례로, 본 발명의 (일부) 제안 방식들은 UNI-DIRECTIONAL RELAYING (그리고/혹은 BI-DIRECTIONAL RELAYING) 관련 REMOTE UE (그리고/혹은 RELAY UE)에게만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 도 있다.
또한, 일례로, 본 발명의 (일부) 제안 방식들은 (D2D) COMMUNICATION 동작 (그리고/혹은 (D2D) DISCOVERY 동작)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 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시나리오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에 따르면, D2D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차량(1310) 및 상기 차량 내 탑승자의 단말(UE, 1320), 상기 단말과 상기 차량이 각각 연결될 수 있는 기지국(1330)이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전술한 중계 단말(RELAY UE)은 상기 차량일 수 있고, 전술한 리모트 단말(REMOTE UE)은 상기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기 탑승자의 단말에게 전송되는 메시지가 일단 상기 차량(구체적으로, 차량의 모뎀)으로 전송되고, 상기 차량이 사이드링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3에서는 단말과 차량 간의 D2D 동작을 일례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구현되는 예는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단말과 웨어러블 기기 간의 D2D 동작의 경우 등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 가능한 예시들은 다양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통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기지국(100)은 프로세서(processor, 110), 메모리(memory, 120) 및 트랜시버(transceiver, 13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트랜시버(130)는 프로세서(1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단말(200)은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RF부(23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2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트랜시버(230)는 프로세서(2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단말(200)은 다른 단말에게 전술한 방법에 따라 D2D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21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베이스밴드 신호 및 무선 신호를 상호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22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130,230)는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120,22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0,2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20,220)는 프로세서(110,21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110,21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5는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정보 획득부(1510), 우선 순위 결정부(1520), 정보 전송부(153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도 14의 프로세서(210)일 수 있다.
여기서, 정보 획득부(1510)는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우선 순위 결정부(1520)는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 간의 우선 순위 및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와 상기 릴레이 단말 관련 정보 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전송 수행부(1530)는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정보 전송을 수행하되,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릴레이 단말에 의해 결정된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이한 물리 채널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상기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재한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장치에 대한 설명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고, 프로세서는 다른 기능적인 요소 내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한 각 기능적인 장치가 수행하는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Claims (13)

  1. 기지국, 릴레이 단말 및 리모트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우선 순위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 간의 우선 순위 및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와 상기 릴레이 단말 관련 정보 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및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정보 전송을 수행하되,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릴레이 단말에 의해 결정된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이한 물리 채널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상기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단말은 한정된 크기 대역의 통신 능력을 가진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가 상기 리모트 단말의 WAN(wide area network) 통신 관련 제어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인 경우,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상기 릴레이 단말의 WAN 통신 관련 데이터 정보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의 WAN(wide area network) 통신 관련 제어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 중 상기 리모트 단말을 위한 사이드링크 통신 관련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를 상기 리모트 단말의 WAN(wide area network) 통신 관련 데이터 정보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을 위한 사이드링크 통신 관련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 중 상기 리모트 단말의 WAN(wide area network) 통신 관련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를 상기 리모트 단말을 위한 사이드링크 통신 관련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의 WAN 통신 관련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WAN 통신 관련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는, 상기 리모트 단말의 WAN 하향링크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WAN 하향링크 HARQ-ACK 정보, 또는 WAN 상향링크 SR(scheduling request)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링크 통신 관련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는, 상기 리모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이드링크 채널에 대한 디코딩 상태 정보, 사이드링크 CSI 정보 또는 사이드링크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사전에 정의된 채널을 통해 상기 릴레이 단말의 정보와 함께 전송하고,
    사전에 정의된 제어 정보 혹은 피드백 정보는 상기 사전에 정의된 채널에 피기백 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이한 베타 오프셋 값을 적용하여 상기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베타 오프셋은 정보 전송에 사용되는 변조 심볼 개수를 조절하는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단말은 높은 우선 순위의 정보 전송에 더 많은 상기 변조 심볼 개수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이한 전력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상기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릴레이 단말은 높은 우선 순위의 정보 전송에 더 많은 전력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이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값을 적용하여 상기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릴레이 단말은 낮은 우선 순위의 정보 전송에 상대적으로 높은 MCS 값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단말은 각각의 리모트 단말에 관련된 정보에 대해 상이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sum)를 부가하고,
    상기 각각의 CRC 관련 패리티 비트는 상기 각각의 리모트 단말의 구분 아이디로 스크램블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기지국, 릴레이 단말 및 리모트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단말(User equipment; UE)은,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트랜시버; 및
    상기 트랜시버와 결합하여 동작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 간의 우선 순위 및 상기 리모트 단말 관련 정보와 상기 릴레이 단말 관련 정보 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및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정보 전송을 수행하되,
    상기 릴레이 단말은 상기 릴레이 단말에 의해 결정된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이한 물리 채널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상기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단말.
KR1020197032524A 2017-05-01 2018-05-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d2d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102285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24101A KR102427004B1 (ko) 2017-05-01 2018-05-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d2d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92941P 2017-05-01 2017-05-01
US62/492,941 2017-05-01
PCT/KR2018/005106 WO2018203669A1 (ko) 2017-05-01 2018-05-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d2d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101A Division KR102427004B1 (ko) 2017-05-01 2018-05-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d2d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490A true KR20190132490A (ko) 2019-11-27
KR102285433B1 KR102285433B1 (ko) 2021-08-04

Family

ID=640165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524A KR102285433B1 (ko) 2017-05-01 2018-05-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d2d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1020217024101A KR102427004B1 (ko) 2017-05-01 2018-05-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d2d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101A KR102427004B1 (ko) 2017-05-01 2018-05-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d2d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006481B2 (ko)
EP (1) EP3618555B1 (ko)
JP (1) JP2020519166A (ko)
KR (2) KR102285433B1 (ko)
CN (1) CN110692279B (ko)
WO (1) WO20182036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608A1 (ko) * 2020-07-20 2022-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릴레이 단말의 업링크 mac pdu에 대한 전송 우선 순위 결정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6481B2 (en) 2017-05-01 2021-05-11 Lg Electronics Inc. D2D operation method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method
WO2019019014A1 (zh) * 2017-07-25 2019-01-3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NB-IoT设备绑定方法和一种物联网控制系统
WO2019028905A1 (en) * 2017-08-11 2019-02-14 Zte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NG PARAMETERS IN LATERAL BINDING COMMUNICATIONS
CN109474937A (zh) * 2017-09-08 2019-03-15 索尼公司 无线通信方法和无线通信设备
CN109905215B (zh) * 2017-12-08 2021-04-2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传输方法和设备
WO2019128261A1 (zh) * 2017-12-27 2019-07-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CN110381599B (zh) * 2018-04-13 2021-05-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Sidelink的传输方法和终端
CN110808817B (zh) * 2018-08-06 2021-01-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资源配置方法和装置
US11812449B2 (en) * 2018-08-10 2023-11-07 Qualcomm Incorporated Active beam management, configuration, and capability signaling
WO2020055184A1 (ko) * 2018-09-14 2020-03-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링크 측정 방법 및 장치
JP2022500935A (ja) * 2018-09-20 2022-01-04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リソースの割り当て方法および装置、端末
KR20200054034A (ko) * 2018-11-09 2020-05-19 주식회사 아이티엘 Nr v2x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피드백 절차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US20220014338A1 (en) * 2018-12-27 2022-01-13 Ntt Docomo, Inc.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hannel state information measuring method
US20220095279A1 (en) * 2019-01-11 2022-03-24 Lg Electronics Inc. Method by which terminal transmits sidelink feedback to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995987B2 (ja) * 2019-01-23 2022-01-1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Nr v2xの2ステップsci送信
CN111526488B (zh) * 2019-02-03 2021-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接收控制信息的方法及装置
CN111436118A (zh) * 2019-02-15 2020-07-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资源检测方法、传输资源确定方法和通信设备
WO2020171675A1 (ko) * 2019-02-22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데이터 링크를 기반으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MX2021010191A (es) 2019-02-25 2021-12-10 Lg Electronics Inc Metodo y dispositivo para determinar la potencia de transmision de enlace alterno en nr v2x.
WO2020190068A1 (ko) * 2019-03-19 2020-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링크 csi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44066B2 (en) 2019-03-19 2021-06-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transmitting sidelink CSI
EP4156763B1 (en) * 2019-03-19 2024-05-08 LG Electronics, Inc. Sl csi report
US20200322897A1 (en) * 2019-04-02 2020-10-08 Mediatek Inc. Harq feedback and sidelink rsrp report of groupcast v2x
CN113169830B (zh) * 2019-04-18 2022-06-24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配置nr v2x资源分配中的资源感测的方法和设备
US11233607B2 (en) 2019-04-18 2022-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of resource sensing in NR V2X resource allocation
CN111615184B (zh) * 2019-04-22 2023-12-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处理方法及终端
US11324017B2 (en) 2019-06-17 2022-05-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delink feedback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003122A (ko) * 2019-06-27 2022-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사이드링크 재전송 자원을 릴리즈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1010773A1 (ko) * 2019-07-17 2021-01-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채널 상태 측정 및 보고 방법 및 장치
CN112333836A (zh) * 2019-08-05 2021-02-05 夏普株式会社 用户设备的控制方法以及用户设备
US11638269B2 (en) * 2019-08-13 2023-04-25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 aggregation and uplink control information multiplexing for sidelink communications
US11432277B2 (en) * 2019-08-26 2022-08-3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etermining resources for transmitting wireless communications
WO2021068159A1 (en) * 2019-10-10 2021-04-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sidelink feedback signaling
CN112788668B (zh) * 2019-11-06 2022-08-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传输处理方法和终端
CN112788729A (zh) * 2019-11-07 2021-05-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号传输的方法和通信设备
US11818737B2 (en) * 2019-12-18 2023-11-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ata retransmission using sidelink diversity
US11595160B2 (en) 2020-04-08 2023-02-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sidelink communication based on feedback
CN111901840A (zh) * 2020-04-09 2020-1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启动、重选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2023525374A (ja) * 2020-05-15 2023-06-15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装置の方法
WO2021232362A1 (en) * 2020-05-21 2021-11-25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s and apparatus of sidelink relay based data communication
CN113747537A (zh) * 2020-05-28 2021-12-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优先级确定方法和设备
CN113973285A (zh) * 2020-07-24 2022-01-25 夏普株式会社 用户设备执行的方法以及用户设备
US20220046527A1 (en) * 2020-08-04 2022-02-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utilizing side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445529B2 (en) * 2020-08-05 2022-09-1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relaying in sidelink communications
EP4191922A4 (en) * 2020-08-07 2023-09-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EP4280498A1 (en) * 2021-01-14 2023-11-22 Sony Group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WO2022157900A1 (ja) * 2021-01-21 2022-07-28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及び通信方法
US11711816B2 (en) * 2021-02-01 2023-07-25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for additional control capacity
US20230049962A1 (en) * 2021-08-13 2023-02-1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joint sidelink relay schedul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CN117835299A (zh) * 2022-09-28 2024-04-0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基于信号的优先级测量信号的方法和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2026A1 (en) * 2001-06-05 2006-08-17 Nortel Networks Limited Adaptive coding and modulation
US20130178221A1 (en) * 2006-07-31 2013-07-1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ransmit Power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WO2016182601A1 (en) * 2015-05-14 2016-11-17 Intel Corporation Reduction of concurrent signaling in a relay user equipment (ue)
US20160381596A1 (en) * 2015-06-25 2016-12-29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Intelligent multi-beam medium access control in ku-band for mission-oriented mobile mesh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1215A (zh) * 2008-01-02 2015-05-06 交互数字技术公司 中继节点、网络节点及在中继节点中使用的方法
KR20100099655A (ko) * 2009-03-03 2010-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데이터 수신방법 및 장치
US8861430B2 (en) * 2011-08-11 2014-10-14 Mediatek Inc. Methods of point association for cooperative multiple point transmission
FR3003711B1 (fr) * 2013-03-21 2015-04-17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ysteme de communication cooperatif a strategie de retransmission de paquets adaptive
WO2015178648A1 (ko) 2014-05-18 2015-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6576354B (zh) * 2014-07-07 2020-03-03 Lg电子株式会社 在支持设备对设备通信的无线接入系统中通过中继终端发送和接收d2d信号的方法和装置
CN112637961B (zh) * 2014-08-06 2024-05-07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设备到设备(d2d)先占和接入控制
US10701714B2 (en) * 2015-03-19 2020-06-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US10506649B2 (en) * 2015-04-10 2019-12-10 Lg Electronics Inc. Method, carried out by terminal, for transmitting PSBC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tilizing the method
US10057021B2 (en) * 2015-04-24 2018-08-21 Ubiquiti Networks, Inc.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182294A1 (ko) * 2015-05-08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통신 단말의 디스커버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3295757B1 (en) * 2015-05-14 2022-04-27 Apple Inc. Ue-to-network relay initiation and configuration
US10581512B2 (en) * 2015-05-15 2020-03-03 Zt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placing relay, d2d user equipment and control node
JPWO2017026463A1 (ja) * 2015-08-13 2018-07-05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信号送信方法
DE112015006819T5 (de) * 2015-08-20 2018-05-03 Intel IP Corporation Maschinentypkommunikationsweiterleitung
EP4037403A1 (en) * 2016-01-27 2022-08-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side device, and terminal
US10439682B2 (en) * 2016-08-19 2019-10-08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Access mechanism for proximity-based service UE-to-network relay service
US11165532B2 (en) * 2016-11-02 2021-11-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ling the impact of SRS switching on uplink transmissions
CN110073690B (zh) * 2016-12-14 2021-02-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方法和装置
US10667267B2 (en) * 2016-12-22 2020-05-26 Qualcomm Incorporated Traffic-priority-based transmission power fallback for interference mitigation
US11330624B2 (en) * 2017-03-24 2022-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listen-before-talk (LBT) related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unlicensed band
US11006481B2 (en) 2017-05-01 2021-05-11 Lg Electronics Inc. D2D operation method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method
US11172452B2 (en) * 2017-05-05 2021-11-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sidelink signal by relay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2026A1 (en) * 2001-06-05 2006-08-17 Nortel Networks Limited Adaptive coding and modulation
US20130178221A1 (en) * 2006-07-31 2013-07-1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ransmit Power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WO2016182601A1 (en) * 2015-05-14 2016-11-17 Intel Corporation Reduction of concurrent signaling in a relay user equipment (ue)
US20160381596A1 (en) * 2015-06-25 2016-12-29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Intelligent multi-beam medium access control in ku-band for mission-oriented mobile mesh network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608A1 (ko) * 2020-07-20 2022-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릴레이 단말의 업링크 mac pdu에 대한 전송 우선 순위 결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8555B1 (en) 2021-10-13
US11006481B2 (en) 2021-05-11
JP2020519166A (ja) 2020-06-25
US11716786B2 (en) 2023-08-01
US20200163155A1 (en) 2020-05-21
EP3618555A4 (en) 2020-04-15
KR20210097831A (ko) 2021-08-09
CN110692279B (zh) 2023-08-25
US20210235544A1 (en) 2021-07-29
WO2018203669A1 (ko) 2018-11-08
CN110692279A (zh) 2020-01-14
EP3618555A1 (en) 2020-03-04
KR102285433B1 (ko) 2021-08-04
KR102427004B1 (ko)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6786B2 (en) D2D operation method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method
US11956783B2 (en) D2D operation method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method
KR10218815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KR10223466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v2x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10227909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신호 수신 전력 측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EP3592023B1 (en) Method for performing a v2x communication, and v2x ue
KR10225113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의 블라인드 디코딩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CN111972030A (zh) 用于在通信系统中控制终端接入的方法
KR10218721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상태 정보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2019012378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통신을 위한 단말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10203483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10257933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24001047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조정 정보의 송수신 방법및 그 장치
KR20210011880A (ko)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의 획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4003733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예약 자원의 충돌과 관련된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