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730A - 판부재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판부재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730A
KR20190131730A KR1020180056482A KR20180056482A KR20190131730A KR 20190131730 A KR20190131730 A KR 20190131730A KR 1020180056482 A KR1020180056482 A KR 1020180056482A KR 20180056482 A KR20180056482 A KR 20180056482A KR 20190131730 A KR20190131730 A KR 20190131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late member
connector
groove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기
Original Assignee
조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승기 filed Critical 조승기
Priority to KR1020180056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1730A/ko
Publication of KR20190131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5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groov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Abstract

본 발명은 판부재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두께를 갖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과 타단에 각각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는 판부재; 및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판부재의 제1결합돌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결합홈이 형성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돌기는 상기 판부재의 일단과 타단의 장축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홈은 상기 제1결합돌기에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판부재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연결구에는 제1결합돌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결합홈이 형성되며, 판부재의 제1결합돌기가 연결구의 제1결합홈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판부재와 다른 판부재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판부재 결합 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PLATE MEMBER}
본 발명은 판부재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판부재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연결구에는 제1결합돌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결합홈이 형성되며, 판부재의 제1결합돌기를 연결구의 제1결합홈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판부재와 다른 판부재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판부재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구 블록은 장방형, 원통형 등 다양한 입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조립체들을 상호 조립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조립에 의해 어린이들에게 각종 교육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각종 모형을 조립함으로써 어린이들의 지능 및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완구블럭은 일반적으로 일 측이 개구된 통 형상의 블록본체와 상기 블록본체의 개구와 대응되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블록본체는 다양한 크기와 색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블록본체를 자유롭게 결합시키고 쌓아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하여 유아나 어린이들의 창의력 개발을 겸한 놀이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실용신안 제 20-0440386 호에는 조립 블럭이 개시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조립 블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종래의 조립 블럭을 설명하자면, 조립 내지 분해가 용이하고 보다 다양한 형상의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조립 블럭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수의 조립공(11)을 구비하고, 다수의 면(12)을 가지며, 각 면(12)에는 조립공(11)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공(11)의 내경면에는 상호 마주보게 한 쌍의 반구형 조립홈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조립체(10); 및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양단부에 상기 제1조립체(10)의 조립공(1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립돌기(21)를 구비하며, 상기 조립돌기(21)는 구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조립체(10)의 반구형 조립홈에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제2조립체(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립체(10)는 한 쌍의 단위체(15, 16)가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단위체(15, 16)는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 결합홈(15a, 16a)을 개별적으로 구비하며, 각 결합홈(15a, 16a)에 인접한 부분에는 결합돌기(15b, 16b)를 개별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각 단위체(15, 16)는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17, 18)가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17, 18)는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 결합돌기(17a, 18a) 및 결합홈(17b, 18b)을 구비하며,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17, 18)는 상호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기 조립공(11)을 형성하는 반원형 홈부(17c, 18c)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고, 각 반원형 홈부(17c, 18c)는 반구형의 조립홈(17d, 18d)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단위체(15, 16)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5b, 16b)에 의해 한 쌍의 단위체(15, 16)가 서로 결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반복적인 조립과 분리에 의해 결합돌기(15b, 16b)가 마모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단위체(15, 16)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40386 호(2008.06.03.) 등록특허공보 제 10-0132210 호(1997.12.08.) 등록특허공보 제 10-0559439 호(2006.03.03.)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판부재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연결구에는 제1결합돌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결합홈이 형성되며, 판부재의 제1결합돌기를 연결구의 제1결합홈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판부재와 다른 판부재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판부재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부재 결합 구조는, 일정 두께를 갖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과 타단에 각각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는 판부재; 및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판부재의 제1결합돌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결합홈이 형성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돌기는 상기 판부재의 일단과 타단의 장축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홈은 상기 제1결합돌기에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적어도 상기 판부재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결합홈은 상기 연결구의 각 면에 하나 씩 형성되되, 서로 이웃하는 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결합홈은 상기 연결구의 각 면에 하나 씩 형성되되, 서로 대칭되는 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홈은, 상기 연결구의 장축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홈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제1결합홈의 양 끝 부분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커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홈의 중앙 부분에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홈에는 일 측에는 상기 제2결합홈에 대응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홈에 결합되고 타 측에는 상기 제1결합홈에 대응되는 제3결합홈이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탄성고정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돌기는 상기 제1결합돌기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제1결합돌기의 양 끝 부분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돌기는 상기 제1결합홈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의 양 측 말단에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구의 말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감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부재 결합 구조에 의하면, 판부재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연결구에는 제1결합돌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결합홈이 형성되며, 판부재의 제1결합돌기가 연결구의 제1결합홈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판부재와 다른 판부재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립 블럭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판부재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부재 결합 구조의 연결구의 제1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부재 결합 구조의 연결구의 제2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판부재 결합 구조의 연결구의 제1결합홈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판부재 결합 구조의 탄성고정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판부재 결합 구조의 제1결합돌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판부재 결합 구조의 마감구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판부재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연결구에는 제1결합돌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결합홈이 형성되며, 판부재의 제1결합돌기를 연결구의 제1결합홈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판부재와 다른 판부재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판부재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판부재 결합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판부재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부재 결합 구조의 연결구의 제1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부재 결합 구조의 연결구의 제2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2a 내지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판부재 결합 구조는, 일정 두께를 갖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과 타단에 각각 제1결합돌기(110)가 형성되는 판부재(100) 및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판부재(100)의 제1결합돌기(110)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결합홈(210)이 형성되는 연결구(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돌기(110)는 상기 판부재(100)의 일단과 타단의 장축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210)은 상기 제1결합돌기(110)에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판부재(100)는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구(200)의 제1결합홈(210)으로 상기 복수의 판부재(100)의 제1결합돌기(110)를 각각 슬라이드 결합하여 상기 연결구(200)가 상기 복수의 판부재(100)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판부재(100)는 실시 환경에 따라서, 목재, 플라스틱(Plastic) 및 스테인리스(Stainless)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판부재(100)의 소재는 상기 연결구(200)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면 얼마든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200)는 적어도 상기 판부재(100)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판부재(100)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연결구(200)가 상기 복수의 판부재(100)의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하중을 견디며 상기 하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결합홈(210)은, 상기 연결구(200)의 각 면에 하나 씩 형성되되, 서로 이웃하는 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결합홈(210)이 상기 연결구(200)의 이웃하는 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판부재(100)가 90ㅀ 각도(직각)를 이루면서 연결되는 형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판부재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정사각 형상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결합홈(210)이 서로 이웃하는 면에 형성되는 4개의 연결구(200)와 4개의 판부재(100)를 서로 연결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결합홈(210)은, 상기 연결구(200)의 각 면에 하나 씩 형성되되, 서로 대칭되는 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결합홈(210)이 상기 연결구(200)의 대칭하는 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판부재(100)가 동일 선상에서 연결되는 형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판부재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직사각 형상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결합홈(210)이 서로 대칭하는 면에 형성되는 2개의 연결구(200), 상기 복수의 제1결합홈(210)이 서로 이웃하는 면에 형성되는 4개의 연결구(200) 및 6개의 판부재(100)를 서로 연결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판부재 결합 구조의 연결구의 제1결합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5a 및 도 5b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연결구(200)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210)은 상기 연결구(200)의 장축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홈(210)의 중앙 부분(A)에서 상기 제1결합홈(210)의 양 끝 부분(B)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홈(210)의 양 끝 부분(B)의 크기가 너무 커지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결합홈(210)에 슬라이드 이동되어 결합된 판부재(100)가 용이하게 고정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제1결합홈(210)의 중앙 부분(A)의 크기와 상기 제1결합홈(210)의 양 끝 부분(B)의 크기는 1 : 1.1 ~ 1.3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구(200)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210) 중앙 부분(A)의 크기는 상기 제1결합돌기(11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결합홈(210)의 중앙 부분(A)의 크기와 상기 제1결합돌기(110)의 크기는 1 : 1.1 ~ 1.3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제1결합홈(210)의 양 끝 부분(B)의 크기는 적어도 상기 제1결합돌기(110)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구(200)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210)의 양 끝 부분(B)의 크기는 상기 제1결합홈(210)의 중앙 부분(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210)의 중앙 부분(A)의 크기는 상기 제1결합돌기(11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홈(210)의 양 끝 부분(B)의 크기는 상기 제1결합돌기(11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200)의 제1결합홈(210)에 상기 판부재(100)의 제1결합돌기(110)가 용이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고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판부재(100)와 연결구(200)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판부재 결합 구조의 탄성고정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6a 내지 도 6c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연결구(200)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210)의 중앙 부분(A)에는 제2결합홈(22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결합홈(220)에는 일 측에는 상기 제2결합홈(220)에 대응되는 제2결합돌기(310)가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홈(220)에 결합되고 타 측에는 상기 제1결합홈(210)에 대응되는 제3결합홈(320)이 형성되며 탄성을 재질로 구성되는 탄성고정체(30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고정체(300)는 상기 제1결합홈(210)의 중앙 부분(A)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220)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제1결합홈(210)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판부재(100)의 제1결합돌기(110)의 슬라이드 이동을 방해하면서 상기 제1결합돌기(110)를 압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판부재(100)는 상기 제1결합돌기(110)가 상기 탄성고정체(300)에 의해 압박되어 슬라이드 이동된 판부재(100)가 연결구(20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판부재 결합 구조의 제1결합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7a 및 도 7b에 따르면, 본 발명의 판부재(100)에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110)는 상기 제1결합돌기(110)의 중앙 부분(C)에서 상기 제1결합돌기(110)의 양 끝 부분(D)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돌기(110)의 양 끝 부분(D)의 크기가 너무 작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결합홈(210)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고정이 어려우므로, 상기 제1결합돌기(110)의 중앙 부분(C)의 크기와 상기 제1결합돌기(110)의 양 끝 부분(D)의 크기는 1: 1.1 ~ 1.3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부재(100)에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110) 중앙 부분(C)의 크기는 상기 제1결합홈(210)의 크기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결합돌기(110)의 중앙 부분(C)의 크기와 상기 제1결합홈(210)의 크기는 1.1 ~ 1.3 : 1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제1결합돌기(110)의 양 끝 부분(D)의 크기는 적어도 상기 제1결합홈(210)의 크기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판부재(100)에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110)의 양 끝 부분(D)의 크기는 상기 제1결합돌기(110)의 중앙 부분(C)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돌기(110)의 중앙 부분(C)의 크기는 상기 제1결합홈(21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돌기(110)의 양 끝 부분(D)의 크기는 상기 제1결합홈(21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200)의 제1결합홈(210)에 상기 판부재(100)의 제1결합돌기(110)가 용이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고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판부재(100)와 연결구(200)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판부재 결합 구조의 마감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8a 및 도 8b에 따르면, 본 발명의 판부재(100)는 본 발명의 연결구(20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구(200)의 양 측 말단에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구(200)의 말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감구(40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마감구(400)는 상기 연결구(200)의 양 측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결합돌기(110)가 상기 제1결합홈(2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판부재(100)가 상기 연결구(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상기 제1결합홈(210)의 날카로운 형상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마감구(400)에는 상기 연결구(200)의 제1결합홈(210)에 대응되도록 하는 복수의 제3결합돌기(4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결합돌기(410)는 상기 연결구(200)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210)의 개수 및 형상에 따라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판부재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연결구에는 제1결합돌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결합홈이 형성되며, 판부재의 제1결합돌기가 연결구의 제1결합홈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판부재와 다른 판부재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판부재 110 : 제1결합돌기
200 : 연결구 210 : 제1결합홈
220 : 제2결합홈
300 : 탄성고정체 310 : 제2결합돌기
320 : 제3결합홈
400 : 마감구 410 : 제3결합돌기

Claims (8)

  1. 일정 두께를 갖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과 타단에 각각 제1결합돌기(110)가 형성되는 판부재(100); 및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판부재(100)의 제1결합돌기(110)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결합홈(210)이 형성되는 연결구(200);
    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돌기(110)는 상기 판부재(100)의 일단과 타단의 장축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홈(210)은 상기 제1결합돌기(110)에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부재 결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0)는,
    적어도 상기 판부재(100)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부재 결합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결합홈(210)은,
    상기 연결구(200)의 각 면에 하나 씩 형성되되, 서로 이웃하는 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부재 결합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결합홈(210)은,
    상기 연결구(200)의 각 면에 하나 씩 형성되되, 서로 대칭되는 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부재 결합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홈(210)은,
    상기 연결구(200)의 장축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홈(210)의 중앙 부분(A)에서 상기 제1결합홈(210)의 양 끝 부분(B)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커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부재 결합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홈(210)의 중앙 부분(A)에는,
    제2결합홈(220)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홈(220)에는,
    일 측에는 상기 제2결합홈(220)에 대응되는 제2결합돌기(310)가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홈(220)에 결합되고 타 측에는 상기 제1결합홈(210)에 대응되는 제3결합홈(320)이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탄성고정체(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부재 결합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110)는,
    상기 제1결합돌기(110)의 중앙 부분(C)에서 상기 제1결합돌기(110)의 양 끝 부분(D)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부재 결합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100)는 상기 연결구(20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200)의 양 측 말단에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구(200)의 말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감구(400);
    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부재 결합 구조.
KR1020180056482A 2018-05-17 2018-05-17 판부재 결합 구조 KR20190131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482A KR20190131730A (ko) 2018-05-17 2018-05-17 판부재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482A KR20190131730A (ko) 2018-05-17 2018-05-17 판부재 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730A true KR20190131730A (ko) 2019-11-27

Family

ID=6872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482A KR20190131730A (ko) 2018-05-17 2018-05-17 판부재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173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210B1 (ko) 1990-12-11 1998-04-18 아이. 글리크맨 조엘 조립식 완구
KR100559439B1 (ko) 2005-09-30 2006-03-10 전동인 조립식 입체모형
KR200440386Y1 (ko) 2006-11-29 2008-06-10 박건찬 조립 블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210B1 (ko) 1990-12-11 1998-04-18 아이. 글리크맨 조엘 조립식 완구
KR100559439B1 (ko) 2005-09-30 2006-03-10 전동인 조립식 입체모형
KR200440386Y1 (ko) 2006-11-29 2008-06-10 박건찬 조립 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6716B2 (en) Doll that can be assembled in various ways
RU2525359C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ния деталей
US3442044A (en) Construction set with modular elements
US9266030B2 (en) Modular systems for the construction of three-dimensional structures of arbitrary size and shape
US9579589B1 (en) Block assembly
JP2019524317A (ja) 玩具組立要素
KR20130129952A (ko) 완구 조립 세트
US3660928A (en) Modular building blocks with interfitting grooved surfaces
US8808051B2 (en) Coupling structure
CN203899150U (zh) 一种积木及其连接结构
WO2017080483A1 (zh) 多功能拼接积木构件
CN109173288A (zh) 中国智慧榫卯玩具拼搭模块系统
KR20190131730A (ko) 판부재 결합 구조
US20170151506A1 (en) Large assembly block for toys
KR20160128798A (ko) 조립용 교구
KR200440386Y1 (ko) 조립 블럭
WO2008082271A1 (en) Building block
KR20120038842A (ko) 블록교구
CN209092718U (zh) 智慧榫卯玩具
JP2009000139A (ja) 知的創造を惹起する遊戯具用組み立てブロック
KR100870371B1 (ko) 완구용 조립블록
KR200361777Y1 (ko) 로봇 교육용 프레임
KR20170028770A (ko) 탄성체로 이루어진 체결구를 갖는 조립식 블록
KR20160142536A (ko) 한글을 알리기 위한 특정 구조를 만드는 블럭 세트
JP2017006605A (ja) 組立ブロックおもちゃ用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WITR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