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777Y1 - 로봇 교육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로봇 교육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777Y1
KR200361777Y1 KR20-2004-0000178U KR20040000178U KR200361777Y1 KR 200361777 Y1 KR200361777 Y1 KR 200361777Y1 KR 20040000178 U KR20040000178 U KR 20040000178U KR 200361777 Y1 KR200361777 Y1 KR 2003617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bot
convex
sphere
educa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열
Original Assignee
김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열 filed Critical 김창열
Priority to KR20-2004-0000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7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7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7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62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with clip or snap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2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형 교육용 구성부재에 관한 것으로 플라스틱의 재질로 쉽게 제조할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 만큼 구부리거나 절단하여 쉽게 조립이 가능하도록 되어진 로봇 블록이다.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홈이 있어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구조체 내부에 철심이 들어 있어 원하는 길이, 모양에 따라 구부려 사용할 수도 있다.
뿐만아니라 기본 프레임부의 볼록형과 오목형의 끼워맞춤이 가능하도록 되어있어 넓이, 길이를 자유자재로 응용이 가능하다. 기본 프레임의 옆면은 볼록형 원형과 원형홀이 있어 써포터형 프레임의 좌측 원형면과 결합이 가능, 부재 연결 프레임 구성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로봇 교육용 프레임{Robot Educational Frame}
본 고안은 로봇 교육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 로봇 교육시 각 구성 부재들을사용함에 있어 로봇조립 및 제작시 본 구성부재 형태 및 구성부재를 다양하게 변형 시킬수 있어 다양한 구성 및 구조형태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완성된 구성부재를 분해하여 재 사용할 수 있어 교육에 따른 교구비 지출을 줄일 수 있는 로봇 교육용 구성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잇는 로봇 교육 동 부재들의 종류는 다양하나 구성부재의 자체적인 변형이 힘들어 다양한 구성물 연출이 불가능하여 정해져 있는 몇가지의 로봇 구조물을 제작 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다양한 로봇을 제작하려면 추가적인 구성 부재가 소요되므로 교구비 지출이 늘어남으로써 로봇 교육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성 부재를 이용한 로봇 교육은 이론적인 전기, 전자, 기계의 기초적인 지식을 전달될지 모르나 가장 중요한 감각발달, 즉 창의성 발달에는 효과가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새로운 구성부재, 즉 변형이 가능하며 재사용이 가능한 로봇교육용 구성부재가 요구되어 본 구성부재를 고안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되어진 것으로 로봇교육용 구성 부재의 조립과정을 단순화하고 교육용 구성부재의 단순화, 최적화시킴으로서 로봇교육 부재의 사용에 있어 분해하거나 조립이 쉽게 간편하게 할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로봇 교육용 부재의 블록 프레임의 내부철심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로봇 교육용 부재의 블록 프레임의 외형도
도 3은 써포터 프레임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구 삽입 프레임과 구 프레임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로봇 교육용 부재의 보조 프레임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결합부 2,7 : 볼록형부
3,5 : 결합부 탭 및 탭홀 4,11,12 : 볼록형 프레임 오목 결합부
6 : 오목 도킹부 8 : 결합홀
9 : 볼록 도킹부 10 : 절단 및 구부림부
13 : 볼록형 프레임의 내부 철심 14 : 구 삽입 프레임
15,16 : 구 프레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조립이 가능하고 상호 블록 프레임 연결을 할 수 있는 오목도킹부(6)과 볼록도킹부(9)으로 사용자는 원하는 길이와 크기를 조립할수 있다. 또한 끼워맞춤이 가능한 볼록원형(7)로서 도 5의 보조프레임, 도 3의 써포터 프레임, 도 2의 블록 프레임과 결합이 이루어진다. 원형홀(8)은 도 3의 탭홀(3)(5)과 볼트결합이 이루어 진다. 탭홀(3)(5)과 끼워맞춤이 가능한 볼록 원형(2) 그리고 원형삽입부(1)로 구성된 써포터 프레임, 구 삽입 프레임(14)과 구형 프레임(15), 커넥터 프레임(11)들의 상호 조립으로 로봇 교육 부재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성을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로봇 교육 부재를 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서 블록프레임은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길이, 크기, 넓이를 만들어 절단하거나 구부리거나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측면방향으로 볼록 원형(7)을 통해 써포터 프레임, 커넥터 프레임과도 연결할 수도 있고 홀을 통해 볼트로 체결이 가능이 하여 써포터 프레임이나 커넥터 프레임을 이용하여 ㄱ형, ㄷ형, ㄴ형 등의 다양하고 복잡한 어느 형태든지 조립 연결이 가능하다.
뿐만아니라 블록 프레임에는 내부에 철심(13)이 들어있어 쉽게 구부리거나 펼수 있고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되어있어 길이방향으로의 유연한 변형성을 가지고 있다.
블록 프레임의 오목 도킹부(6)과 또 하나의 블록 프레임의 볼록 도킹부(9)의 결합으로 원하는 길이, 폭을 조립할 수 있다. 오목도킹부(6)과 볼록 도킹부(9)는억지 끼워맞춤형이라 쉽게 풀어지지는 않는다.
써포터 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양측면에 탭홀(5)이 있고 폭 방향측으로도 탭홀(3)이 있어 어느 방향에서건 볼트체결이 가능하고 폭방향으로는 블록프레임의 볼록 원형(7)과 끼워맞춤이 가능하다.
써포터 프레임의 폭방향의 다른면의 볼록 원형(2)은 블록프레임의 원형홀(8)과도 끼워맞춤 형태의 조립이 가능하고 써포터 프레임의 홈 결합부(1)과도 조립이 이루어 진다.
오목결합부(4)는 블록프레임의 볼록원형(7)과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원형홀(8)을 통해 탭홀(5)로 볼트체결 또한 가능하다.
구 삽입 프레임(14)은 구 프레임(15)과 억지 끼워맞춤형 탁찰식 결합이 가능하여 로봇의 각 관절의 유연함을 더할 수 있고 로봇의 변신, 변형에 적합하도록 되어있다.
구 삽입 프레임(14)과 구 프레임(15)은 써포터 프레임의 탭홀(3)(5)에 끼워 사용이 가능하고 단독으로 블록 프레임의 원형홀(8)이나 커넥터 프레임의 원형홀(11)(12) 등으로 볼트와 체결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조립로봇의 어떤 위치 어디에도 결합과 조립이 가능하도록 되어져 있다.
커넥터 프레임은 각 연결프레임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측면 원형(12)은 블록 프레임의 볼록원형(7)과 억지 끼워맞춤이 가능하고 측면의 장홀(11)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볼록원형(7)과 억지 끼워맞춤이 가능하도록 되어있어 크기, 길이의 변형이 쉽도록 되어져 있다.
이러한 다기능적인 성격을 갖는 프레임을 통해 적은수의 프레임만으로 충분히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의 로봇제작에 적합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설명한것과 같이 본 고안의 교육용 구성부재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변형이 손쉬울 뿐만아니라 원하는 크기로도 가능하여 한정되어 있는 기존의 로봇교육 구성 부재를 사용 할때보다 교육적 활용 범위를 넓고 다양하게 로봇을 조립해 볼 수 있으며 창의적인 로봇을 제작할 수 있다.
프레임의 절단이나 인위적인 프레임의 변형이 없이 사용자가 간편하게 구부릴수도 있고 힘들이지 않고 프레임간의 연결이 원만하게 진행할 수 있다.
더욱이 구 삽입 프레임(14)과 구 프레임(15)의 형태는 다양한 로봇변신을 꽤할 수 있어 사용자들에게 보다 흥미로운 상상력과 창조성을 부여할 수 있는 교육적 부재로서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로봇 교육 부재에 있어서 블록 프레임의 오목 도킹부와 블록 도킹부의 형태를 가진 프레임
  2. 상기 로봇 교육 부재의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어 측면 탭홀과 일면측 오목원형 결합부로 구성되면 상측면에 볼록원형과 하측면 홈삽입부로 구성되어진 써포터형 프레임
  3. 상기 로봇 교육 부재의 여러 형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 삽입 프레임과 구 프레임의 연결부재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고 탭으로서 결합을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구 삽입 프레임과 구 프레임.
  4. 상기 로봇 교육 부재는 플라스틱 재료에 철심이 삽입된 프레임으로서의 특징이 있는 프레임
KR20-2004-0000178U 2004-01-05 2004-01-05 로봇 교육용 프레임 KR2003617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178U KR200361777Y1 (ko) 2004-01-05 2004-01-05 로봇 교육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178U KR200361777Y1 (ko) 2004-01-05 2004-01-05 로봇 교육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777Y1 true KR200361777Y1 (ko) 2004-09-14

Family

ID=49437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178U KR200361777Y1 (ko) 2004-01-05 2004-01-05 로봇 교육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7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4834A3 (ko) * 2009-12-15 2011-09-22 Han Gyo-Tae 원활한 단계적 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립 완구
KR102263235B1 (ko) 2020-08-13 2021-06-14 남주선 오픈소스하드웨어용 로봇, 피지컬컴퓨팅 및 ai융합프레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4834A3 (ko) * 2009-12-15 2011-09-22 Han Gyo-Tae 원활한 단계적 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립 완구
KR101129446B1 (ko) * 2009-12-15 2012-03-26 천선우 원활한 단계적 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립 완구
KR102263235B1 (ko) 2020-08-13 2021-06-14 남주선 오픈소스하드웨어용 로봇, 피지컬컴퓨팅 및 ai융합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8661B2 (ja) 組み付け玩具
US20070077854A1 (en) Sectional three-dimensional model
US20170014727A1 (en) Joint brick for building block
US20180229146A1 (en) Assembling toy block
US9433872B2 (en) Building block construction system
US6439945B1 (en) Octopus-shaped built-up toy
US20180250605A1 (en) Assembly toy
WO2017080483A1 (zh) 多功能拼接积木构件
KR200361777Y1 (ko) 로봇 교육용 프레임
KR101563632B1 (ko) 완구용 조립블록
WO2003063993A1 (en) Building block toy set
KR101336672B1 (ko) 기하학적 조립식 완구 및 그 연결방법
KR20160128798A (ko) 조립용 교구
KR101250530B1 (ko) 블록교구
CN207085341U (zh) 一种可多种变形的玩具组合插件
KR200324391Y1 (ko) 조립식 블록
US11684867B2 (en) 3D tile
CN219743898U (zh) 积木系统和拼拆积木结构以及母头积木
CN210698797U (zh) 磁性积木及积木玩具
KR101303303B1 (ko) 꺽임홈을 갖는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학습용 조립식 입체모형
CN205613052U (zh) 一种组合式积木的连接件
KR200186381Y1 (ko) 조립완구
KR200179488Y1 (ko) 완구용 골격프레임
KR20060117656A (ko) 조립완구용 연결로드
KR200251926Y1 (ko) 조립식 건축모형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