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706A - 강화된 하향 및 상향전환 방출 특성을 갖는 능동소자용 불소인산염계 유리 - Google Patents
강화된 하향 및 상향전환 방출 특성을 갖는 능동소자용 불소인산염계 유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31706A KR20190131706A KR1020180056420A KR20180056420A KR20190131706A KR 20190131706 A KR20190131706 A KR 20190131706A KR 1020180056420 A KR1020180056420 A KR 1020180056420A KR 20180056420 A KR20180056420 A KR 20180056420A KR 20190131706 A KR20190131706 A KR 201901317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
- baf
- glass
- ybf
- erf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12—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 C03C3/23—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halogen and at least one oxide, e.g. oxide of boron
- C03C3/247—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halogen and at least one oxide, e.g. oxide of boron containing fluorine and phosphoru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ser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2b,2c는 Al(PO3)3-BaF2-(Sr, Ca, Mg)F2계의 열적 특성 평가에 대한 실험결과를 보인 도면이다.
도 3a,3b,3c는 ErF3-Al(PO3)3-BaF2-(Sr, Ca, Mg)F2계의 열적 특성 평가에 대한 실험결과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Al(PO3)3-BaF2-(Sr, Ca, Mg)F2계의 조성 변화에 따른 열기계적 특성 평가에 대한 실험결과를 보인 도면이다.
도 5a,5b,5c는 Al(PO3)3-BaF2-(Sr, Ca, Mg)F2계의 유리조성 설계에 따른 기계적 특성 평가에 대한 실험결과를 보인 도면이다.
도 6a,6b,6c는 ErF3-Al(PO3)3-BaF2-(Sr, Ca, Mg)F2계의 유리조성 설계에 따른 기계적 특성 평가에 대한 실험결과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Al(PO3)3-(40-x)BaF2-SrF2-(0.03)ErF3/(x)YbF3 (x=0.03:ASB3E3Y, 0.04:ASB3E4Y, 0.05:ASB3E5Y)계 유리의 이터븀(Yb) 농도에 따른 흡수 스펙트럼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Al(PO3)3-(40-x)BaF2-SrF2-(0.03)ErF3/(x)YbF3 계 유리의 이터븀(Yb) 농도에 쥬드-오펠트 파라미터의 변화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Al(PO3)3-(40-x)BaF2-SrF2-(0.03)ErF3/(x)YbF3 (x=0.01, 0.02, 0.03, 0.04, 0.05)계 유리의 이터븀(Yb) 농도에 따른 상향전이 스펙트럼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Al(PO3)3-(40-x)BaF2-SrF2-(0.03)ErF3/(x)YbF3 (x=0.01, 0.02, 0.03, 0.04, 0.05)계 유리의 이터븀(Yb) 농도에 따른 근적외선 방출 스펙트럼을 보인 도면.
도 11은 Al(PO3)3-(40-x)BaF2-SrF2-(0.03)ErF3/(x)YbF3 (x=0.04)계 유리의 파장에 따른 4I13 /2 → 4I15 /2 전이의 흡수(ACS) 및 방출(ECS) 단면적 변화에 대한 실험결과를 보인 도면.
도 12는 Al(PO3)3-(40-x)BaF2-SrF2-(0.03)ErF3/(x)YbF3 (x=0.04)계 유리의 파장과 반전분포비율에 따른 이득상수 변화에 대한 실험결과를 보인 도면.
도 13은 Al(PO3)3-(40-x)BaF2-SrF2-(0.03)ErF3/(x)YbF3 (x=0.01, 0.02, 0.03, 0.04, 0.05)계 유리의 이터븀(Yb) 농도에 따른 4I13 /2 에너지 준위에서의 캐리어 감쇄곡선을 보인 도면.
도 14a는 Al(PO3)3-(1-x)BaF2-SrF2-(0.03)ErF3/(x)YbF3 (x=0.01, 0.02, 0.03, 0.04, 0.05)계 유리의 sample composition 8번에서 이터븀(Yb) 농도에 따른 캐리어 형광단면적 변화에 대한 실험결과를 보인 도면이다.
도 14b는 Al(PO3)3-(1-x)BaF2-SrF2-(0.03)ErF3/(x)YbF3 (x=0.01, 0.02, 0.03, 0.04, 0.05)계 유리의 sample composition 9번에서 이터븀(Yb) 농도에 따른 캐리어 형광단면적 변화에 대한 실험결과를 보인 도면이다.
도 14c는 Al(PO3)3-(1-x)BaF2-SrF2-(0.03)ErF3/(x)YbF3 (x=0.01, 0.02, 0.03, 0.04, 0.05)계 유리의 sample composition 10번에서 이터븀(Yb) 농도에 따른 캐리어 형광단면적 변화에 대한 실험결과를 보인 도면이다.
도 15a는 Er/Yb 시스템에서 광자의 흡수 및 하향전이에 따른 광자 방출현상을 설명하는 에너지 준위(energy level) 도면이다.
도 15b는 Er/Yb 시스템에서 광자의 흡수 및 상향전이에 따른 광자 방출현상을 설명하는 에너지 준위(energy level) 도면이다.
도 16은 Al(PO3)3-(1-x)BaF2-SrF2-(0.03)ErF3/(x)YbF3 (x=0.05)계 유리의 저온 상향전이 방출 스펙트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a는 Al(PO3)3-(1-x)BaF2-SrF2-(0.03)ErF3/(x)YbF3 (x=0.05)계 유리의 녹색 방출(green emissions)의 불소화 강도비율(FIR)의 온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b는 도 17a의 유리계의 감도(sensitivity, S)의 온도에 따른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Claims (11)
- Al(PO3)3 포함하는 메타인산염(metaphosphate) 조성물;
BaF2 및 SrF2를 포함하는 불소(fluoride) 조성물; 및
ErF3 및 YbF3로 마련되는 도펀트(dopant);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강화된 하향 및 상향전환 방출 특성을 갖는 능동소자용 불소인산염계 유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YbF3는 약 3mol% 내지 약 5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된 하향 및 상향전환 방출 특성을 갖는 능동소자용 불소인산염계 유리.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ErF3는 약 3mol%이며, 상기 YbF3는 약 3mol% 내지 약 5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된 하향 및 상향전환 방출 특성을 갖는 능동소자용 불소인산염계 유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l(PO3)3는 약 20mol% 내지 약 30mol%이며,
상기 BaF2는 약 10mol% 내지 약 60mol% 이며,
상기 SrF2는 약 10mol% 내지 약 70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된 하향 및 상향전환 방출 특성을 갖는 능동소자용 불소인산염계 유리.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Al(PO3)3는 약 20mol%이며,
상기 BaF2는 약 40mol% 내지 약 60mol% 이며,
상기 SrF2는 약 20mol% 내지 약 40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된 하향 및 상향전환 방출 특성을 갖는 능동소자용 불소인산염계 유리.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ErF3는 약 3mol%이며, 상기 YbF3는 약 3mol% 내지 약 5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된 하향 및 상향전환 방출 특성을 갖는 능동소자용 불소인산염계 유리.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Al(PO3)3는 약 20mol%이며,
상기 BaF2는 약 60mol%이며,
상기 SrF2는 약 20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된 하향 및 상향전환 방출 특성을 갖는 능동소자용 불소인산염계 유리.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ErF3는 약 3mol%이며, 상기 YbF3는 약 3mol% 내지 약 5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된 하향 및 상향전환 방출 특성을 갖는 능동소자용 불소인산염계 유리.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Al(PO3)3는 약 20mol%이며,
상기 BaF2는 약 50mol%이며,
상기 SrF2는 약 30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된 하향 및 상향전환 방출 특성을 갖는 능동소자용 불소인산염계 유리.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ErF3는 약 3mol%이며, 상기 YbF3는 약 3mol% 내지 약 5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된 하향 및 상향전환 방출 특성을 갖는 능동소자용 불소인산염계 유리.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Al(PO3)3는 약 20mol%이며,
상기 BaF2는 약 40mol%이며,
상기 SrF2는 약 40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된 하향 및 상향전환 방출 특성을 갖는 능동소자용 불소인산염계 유리.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6420A KR102075439B1 (ko) | 2018-05-17 | 2018-05-17 | 강화된 하향 및 상향전환 방출 특성을 갖는 능동소자용 불소인산염계 유리 |
JP2019529610A JP6901560B2 (ja) | 2017-05-19 | 2018-05-19 | 能動素子用フッ素リン酸塩系ガラス |
US16/465,432 US10941072B2 (en) | 2017-05-19 | 2018-05-19 | Fluorophosphate glasses for active device |
PCT/KR2018/005756 WO2018212631A2 (ko) | 2017-05-19 | 2018-05-19 | 능동소자용 불소인산염계 유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6420A KR102075439B1 (ko) | 2018-05-17 | 2018-05-17 | 강화된 하향 및 상향전환 방출 특성을 갖는 능동소자용 불소인산염계 유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1706A true KR20190131706A (ko) | 2019-11-27 |
KR102075439B1 KR102075439B1 (ko) | 2020-02-10 |
Family
ID=68729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6420A Active KR102075439B1 (ko) | 2017-05-19 | 2018-05-17 | 강화된 하향 및 상향전환 방출 특성을 갖는 능동소자용 불소인산염계 유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5439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57068A (ja) * | 1992-11-20 | 1994-06-03 | Ohara Inc | 弗燐酸塩光学ガラス |
KR100946728B1 (ko) | 2009-07-21 | 2010-03-12 |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 반도체 제조공정의 배기용 댐퍼 |
JP2014091650A (ja) * | 2012-11-02 | 2014-05-19 | Sumita Optical Glass Inc | 透明結晶化ガラス |
-
2018
- 2018-05-17 KR KR1020180056420A patent/KR10207543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57068A (ja) * | 1992-11-20 | 1994-06-03 | Ohara Inc | 弗燐酸塩光学ガラス |
KR100946728B1 (ko) | 2009-07-21 | 2010-03-12 |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 반도체 제조공정의 배기용 댐퍼 |
JP2014091650A (ja) * | 2012-11-02 | 2014-05-19 | Sumita Optical Glass Inc | 透明結晶化ガラス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Structure property relations in new fluorophosphate glasses(Materials Chemistry and Physics 157 (2015) 45-55)*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5439B1 (ko) | 2020-0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86850B2 (en) | Aluminophosphate glass composition | |
US6410467B1 (en) | Antimony oxide glass with optical activity | |
US6589895B2 (en) | Thulium-doped germanate glass composition and device for optical amplification | |
Tanabe | Optical properties and local structure of rare-earth-doped amplifier for broadband telecommunication | |
WO2003002477A1 (en) | Borosilicate cladding glasses for germanate core thulium-doped amplifiers | |
Lakshminarayana et al. | Spectral analysis of RE3+ (RE= Er, Nd, Prand Ho): GeO2–B2O3–ZnO–LiF glasses | |
US6859606B2 (en) | ER3+ doped boro-tellurite glasses for 1.5 μm broadband amplification | |
US20030002142A1 (en) | Optical amplifier incorporating therein holmium-doped optical fiber | |
JP6901560B2 (ja) | 能動素子用フッ素リン酸塩系ガラス | |
US6821917B2 (en) | Tellurite glass and applications thereof | |
EP1732856B1 (en) | Glass for optical amplifier fiber | |
Zhou et al. | Broadband near-infrared photoluminescence and energy transfer in Tm3+/Er3+-codoped low phonon energy gallate bismuth lead glasses | |
Yinggang et al. | Effect of alkali metal oxides R2O (R= Na, K) on 1.53 μm luminescence of Er3+-doped Ga2O3-GeO2 glasses for optical amplification | |
KR102075439B1 (ko) | 강화된 하향 및 상향전환 방출 특성을 갖는 능동소자용 불소인산염계 유리 | |
JP2755280B2 (ja) | 光増幅用希土類ドープ光ファイバ | |
KR102022976B1 (ko) | 형광 장수명 특성을 갖는 능동소자용 불소인산염계 유리 | |
KR102022975B1 (ko) | 높은 형광단면적 특성을 갖는 능동소자용 불소인산염계 유리 | |
JP2772349B2 (ja) | 光増幅器用光ファイバ | |
CN102211871A (zh) | 镱铋共掺无碱硼磷酸盐光学玻璃及其制备方法 | |
KR100322129B1 (ko) | 광증폭기용 광섬유 | |
Malaysia | Near infrared 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 of bismuth doped fiber | |
Heo | Novel Photonic Glasses for Fiber-Optic Amplifiers | |
Menke | Novel Er-doped PbO and B 2 O 3 based glasses: investigation of quantum efficiency and non-radiative transition probability for 1.5 μ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