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538A - 암 환자의 치료 효과의 예측 및/또는 재발 모니터링 - Google Patents

암 환자의 치료 효과의 예측 및/또는 재발 모니터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538A
KR20190131538A KR1020197031269A KR20197031269A KR20190131538A KR 20190131538 A KR20190131538 A KR 20190131538A KR 1020197031269 A KR1020197031269 A KR 1020197031269A KR 20197031269 A KR20197031269 A KR 20197031269A KR 20190131538 A KR20190131538 A KR 20190131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treatment
behavior
urine
therapeutic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아키 히로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로츠 바이오 사이언스
고에키샤단호진가고시마교사이카이 난푸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로츠 바이오 사이언스, 고에키샤단호진가고시마교사이카이 난푸병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로츠 바이오 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217037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54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5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11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for testing antineoplastic acti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ur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for testing non-proliferative effects
    • G01N33/5029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for testing non-proliferative effects on cell moti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82Supracellular entities, e.g. tissue, organisms
    • G01N33/5085Supracellular entities, e.g. tissue, organisms of invertebr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8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 G01N33/5748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involving compounds identifable in body fl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43504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 G01N2333/43526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from worms
    • G01N2333/4353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from worms from nematodes
    • G01N2333/43534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from worms from nematodes from Caenorhabdit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4Determining the risk of relap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nc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 환자의 치료 효과의 예측 및/또는 재발 모니터링의 수법을 제공한다. 암 환자에 있어서 암 치료의 치료 효과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암 환자의 치료 전의 소변과 치료 중 또는 치료 후의 소변의 각각에 대한 선충의 주성 행동을 평가하는 것, 및 치료 전의 소변에 대한 주성 행동의 평가 결과와 치료 중 또는 치료 후의 소변에 대한 주성 행동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고, 치료 후에 유인 행동이 약해졌을 경우 또는 기피 행동이 강해졌을 경우에는 치료 효과가 검출되는, 방법.

Description

암 환자의 치료 효과의 예측 및/또는 재발 모니터링
본 발명은, 암 환자의 치료 효과의 예측 및/또는 재발 모니터링의 수법에 관한 것이다.
암은, 다양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정해진 치료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고, 개개의 환자에게 맞춘 고유의 치료법을 특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고 있다. 그 때문에, 암 치료의 치료 효과의 평가는, 암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이다. 또한, 암은, 치료에 의해 일시적으로 암이 제거된 것처럼 보여도, 수술로 절제되지 않은 암이 잔존하고 있는 경우가 있어, 이들을 평가하는 것은, 재발 방지, 또는 재발에 대비한 치료법 선택의 관점에서 중요하다.
암의 존재를 나타내는 바이오마커가 개발되어 왔다. 그렇지만, 암의 다양성 때문에 그 검출력, 감도에는 마커 고유의 한계가 있어, 암의 존재를 나타내는 다른 지표도 필요하다. 또한, 화상 진단에서는, 암이 일정 이상의 크기로 성장하지 않으면 검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WO2015/088039
본 발명은, 암 환자의 치료 효과의 예측 및/또는 재발 모니터링의 수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암 환자의 치료 효과의 예측 및/또는 재발 모니터링이, 암 환자의 소변에 대한 선충(線蟲)의 주성(走性) 행동 평가에 의해 가능함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지견에 기초하는 발명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발명이 제공된다.
(1) 암 환자에 있어서 암 치료의 치료 효과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암 환자의 치료 전의 소변과 치료 중 또는 치료 후의 소변의 각각에 대한 선충의 주성 행동을 평가하는 것, 및
치료 전의 소변에 대한 주성 행동의 평가 결과와 치료 중 또는 치료 후의 소변에 대한 주성 행동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는 것
을 포함하고,
치료 후에 유인(誘引) 행동이 약해졌을 경우 또는 기피 행동이 강해졌을 경우에는 치료 효과가 검출되는, 방법.
(2) 상기 (1)에 기재된 방법으로서,
치료 전의 소변에 대해서 유인 행동을 나타내고, 또한 치료 후의 소변에 대해서 기피 행동을 나타냈을 경우에는, 치료 효과가 검출되는, 방법.
(3) 상기 (1)에 기재된 방법으로서,
치료 전의 소변에 대해서 유인 행동을 나타내고, 또한 치료 후의 소변에 대해서 기피 행동을 나타내지 않았던 경우에는, 치료 효과가 없었음, 또는 치료 효과가 부족했음이 나타나는, 방법.
(4) 치료 후의 암 환자에 있어서 암의 증식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암 환자의 소변의 시계열 각각에 대해서 선충의 주성 행동을 평가하는 것과,
얻어진 평가 결과의 시계열에 있어서, 암 환자의 소변에 대한 기피 행동이 약해졌을 경우 또는 유인 행동이 강해졌을 경우에는, 암의 증식이 검출되는, 방법.
(5) 상기 (4)에 기재된 방법으로서,
얻어진 평가 결과의 시계열에 있어서, 암 환자의 소변에 대한 주성 행동이 기피 행동으로부터 유인 행동으로 변화했을 경우에, 암의 증식이 검출되는, 방법.
(6) 암 환자에 있어서 암 치료의 치료 효과와 그 후의 암의 증식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암 환자의 치료 전의 소변과 치료 중 또는 치료 후의 소변의 각각에 대한 선충의 주성 행동을 평가하는 것, 및
치료 전의 소변에 대한 주성 행동의 평가 결과와 치료 중 또는 치료 후의 소변에 대한 주성 행동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는 것
을 포함하고,
치료 후에 유인 행동이 약해졌을 경우 또는 기피 행동이 강해졌을 경우에는 치료 효과가 검출되고, 또한,
치료 후의 암 환자의 소변의 시계열 각각에 대해서 선충의 주성 행동을 평가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고,
얻어진 평가 결과의 시계열에 있어서, 암 환자의 소변에 대한 기피 행동이 약해졌을 경우 또는 유인 행동이 강해졌을 경우에는, 암의 증식이 검출되는, 방법.
(6B) 암의 증식 모니터링 또는 암의 재발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으로서,
치료 중 또는 치료 후의 암 환자의 소변의 시계열 각각에 대해서 선충의 주성 행동을 평가하는 것을 포함하고,
얻어진 평가 결과의 시계열에 있어서, 암 환자의 소변에 대한 기피 행동이 시간 경과와 함께 약해졌을 경우 또는 유인 행동이 시간 경과와 함께 강해졌을 경우에는, 암의 증식이 검출되거나, 또는 암의 재발이 검출되는, 방법.
(6C) 암의 증식 모니터링 또는 암의 재발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으로서,
치료 중 또는 치료 후의 암 환자의 소변의 시계열 각각에 대해서 선충의 주성 행동을 관찰하는 것과,
암 환자의 소변에 대한 기피 행동이 시간 경과와 함께 약해진 것을 검출하고, 및/또는 유인 행동이 시간 경과와 함께 강해진 것을 검출하고, 이것에 의해, 암이 증식되었다고 결정하거나, 또는 암이 재발되었다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7) 암 치료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것에 이용하기 위한, 선충을 포함하는 조성물.
(8) 치료 후의 암의 재발을 예측 또는 모니터링하는 것에 이용하기 위한, 선충을 포함하는 조성물.
도 1은, 선충을 이용한 소변 검사에 의한, 암 환자의 수술 전후 경과와 재발 모니터링의 결과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는, 「대상」이란, 포유동물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영장류(예를 들어, 원숭이, 침팬지, 고릴라, 보노보, 오랑우탄, 마모셋, 및 인간), 예를 들어, 인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대상은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대상」에는, 건상자(健常者), 암이라고 의심되는 대상 및 암으로 이환하고 있는 대상이 포함되는 의미로 이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암」은, 악성 종양을 의미한다. 암에는, 조혈기 종양, 상피암(카르시노마), 및 비상피성의 육종(사르코마)으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 조혈기 종양으로서는, 백혈병, 악성 림프종, 및 골수종 등을 들 수 있다. 상피암으로서는, 폐암, 유방암, 위암, 대장암, 자궁암, 난소암, 두경부암, 및 설암을 들 수 있다. 육종으로서는, 골육종, 연골육종, 횡문근육종, 평활근육종, 섬유육종, 지방육종, 및 혈관육종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암」은, 스테이지 0의 조기 암, 및 스테이지 1의 조기 암 등의 조기 암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암 치료의 치료 효과를 검출한다」는, 「암 치료의 치료 효과를 평가한다」, 「암 치료의 치료 효과를 예측한다」, 「암 치료의 치료 효과를 진단한다」, 또는 「암 치료의 치료 효과의 진단을 비진단적으로 보조한다」로 바꿔 읽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암의 증식을 검출한다」란, 수술 후의 문맥에서는, 「재발의 가능성을 검출한다」, 「재발을 예측한다」, 「재발의 가능성을 예측한다」, 또는 「재발의 가능성을 평가한다」로 바꿔 읽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재발」이란, 치료가 효과를 발휘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 후, 동일 장소 또는 다른 장소에 암이 출현하는 것을 말한다. 즉, 재발에는, 전이가 포함되는 의미로 이용된다. 「재발」은, 「재연(再燃)」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선충」이란, 카에노라브디티스 엘레간스(Caenorhabditis elegans)를 의미한다. 선충은, 미국 미네소타 대학의 생물과학부의 Caenorhabditis Genetics Center(CGC)에 다양한 환경으로부터 단리된 주(株)가 등록 및 공개되어, 분양 가능하다. 따라서, 당업자이면, 알려져 있는 대부분의 주를 CGC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자가 수정에 의해 번식할 수 있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자웅동체가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주성 행동」이란, 유인 행동 또는 기피 행동을 의미한다. 유인 행동이란, 어느 물질로부터의 물리적 거리를 좁히는 행동을 의미하고, 기피 행동이란, 어느 물질로부터의 물리적 거리를 벌리는 행동을 의미한다. 유인 행동을 유발하는 물질을 유인 물질이라고 하고, 기피 행동을 유발하는 물질을 기피 물질이라고 한다. 선충은 후각에 의해 유인 물질에 대해서 유인하고, 기피 물질로부터 기피한다고 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유인 물질에 대해서 유인하는 행동을 유인 행동(본 명세서에서는 「양성」(陽性)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이라고 하고, 기피 물질로부터 기피하는 행동을 기피 행동(본 명세서에서는 「음성」(陰性)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이라고 한다. 또한, 유인 행동과 기피 행동을 합쳐 주성 행동이라고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야생주」란, 선충의 야생주이며, 예를 들어, 일반적인 야생주인 N2 Bristol주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야생주는, 암을 갖는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소변에는 유인 행동을 나타내고, 암을 갖지 않는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소변에는 기피 행동을 나타내는 주로 할 수 있다.
선충의 주성 행동 평가계를 이용한 소변의 분석 방법
선충의 주성 행동 평가계를 이용한 소변의 분석 방법은,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피검 시료(예를 들어, 소변)와 선충을 일정 거리 떼어서 배치하여, 선충이 피검 시료에 대해서 유인 행동을 나타내는지, 기피 행동을 나타내는지를 관찰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유인 행동을 나타냈을 경우에는, 대상은, 암으로 이환하고 있다, 또는 그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WO2015/088039에서는, 242검체의 중규모 시험에 의해, 암 환자를 100%의 감도 및 95%의 특이도로 검출할 수 있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충의 주성 행동 평가계를 이용한 소변의 분석 방법은 예를 들어,
샬레(예를 들어, 고형 배지를 도입한 샬레)에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피검 시료(예를 들어, 소변)를 배치하는 것과,
피검 시료가 배치된 샬레에, 피검 시료와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선충을 배치하는 것과,
배치 후, 선충에게 행동시키는 것과,
선충이 피검 시료에 대해서 주성 행동을 나타냈을 경우에는, 대상이 암으로 이환하고 있다, 또는 암으로 이환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하는 것
을 포함할 수 있다.
선충의 주성 행동은, 피검 시료에 가까워진 선충수와 피검 시료로부터 멀어진 선충수의 차나 비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선충수의 차에 기초하는 평가의 경우에는, 차가 양의 값인 경우에는, 전체로서 피검 시료는, 유인 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암 환자에서 유래하는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고, 음의 값인 경우에는, 전체로서 피검 시료는, 기피 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건상자에서 유래하는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선충의 주성 행동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주성 인덱스를 지표로 하여 평가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A는, 피검 시료에 대해서 유인 행동을 나타낸 선충의 수이고, B는, 피검 시료에 대해서 기피 행동을 나타낸 선충의 수이다.}
주성 인덱스가 양의 값인 경우에는, 전체로서 피검 시료는, 유인 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암 환자에서 유래하는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고, 음의 값인 경우에는, 전체로서 피검 시료는, 기피 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건상자에서 유래하는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주성 인덱스는, 1에 가까울수록 선충이 유인 행동을 나타내는 비율이 큼을 의미하고, -1에 가까울수록 선충이 기피 행동을 나타내는 비율이 큼을 의미하고, 0에 가까울수록 선충은 유인 행동도 기피 행동도 나타내지 않음을 의미한다. 주성 인덱스의 절대치가 클수록, 행동 평가 결과는 명확해진다.
본 발명자들은, 암 치료 전후에서 치료를 받은 암 환자의 소변에 대한 선충의 주성 행동이 예민하게 변화함을 발견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자들은, 치료 전후의 암 환자의 소변에 대한 선충의 주성 행동에 기초하여 암 치료의 치료 효과를 평가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치료 후의 암 환자의 소변에 대한 선충의 주성 행동에 기초하여, 암의 재발을 예측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암 환자에 있어서 암 치료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또는 예측하는 방법, 검출하는 방법, 혹은 진단하는 방법, 혹은, 치료 효과의 기초적 정보를 얻는 방법)으로서, 암 환자의 치료 전후의 소변 각각에 대한 선충의 주성 행동에 기초하여 암 치료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또는 예측하는 방법, 검출하는 방법, 혹은 진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는, 암 환자의 치료 전의 소변과 치료 중 또는 치료 후의 소변의 각각에 대한 선충의 주성 행동을 평가하는 것, 및 치료 전의 소변에 대한 주성 행동의 평가 결과와 치료 중 또는 치료 후의 소변에 대한 주성 행동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선충의 주성 행동이 치료 전후에서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관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치료 전후의 주성 행동의 평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치료 전」이란, 평가하는 대상이 되는 암 치료의 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3개월의 치료에 있어서, 치료 1개월 후∼2개월 후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경우, 평가하는 대상이 되는 암 치료는, 「치료 1개월 후∼2개월 후의 치료」이다. 따라서, 이 경우의 「치료 전」이란, 치료 1개월 후를 가리키고, 치료 전의 소변이란, 치료 1개월 후의 소변이다. 즉, 「치료 전」이라고 하는 용어는, 반드시 일련의 치료가 개시되기 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치료 중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어, 평가하는 대상이 되는 암 치료가 개시되기 전을 의미하는 상대적인 용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치료 중」이란, 평가하는 대상이 되는 암 치료의 한중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치료 후」란, 평가하는 대상이 되는 암 치료의 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3개월의 치료에 있어서, 치료 1개월 후∼2개월 후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경우, 평가하는 대상이 되는 암 치료는, 「치료 1개월 후∼2개월 후의 치료」이다. 따라서, 이 경우의 「치료 후」란, 치료 2개월 후를 가리키고, 치료 후의 소변이란, 치료 2개월 후의 소변이다. 즉, 「치료 후」라고 하는 용어는, 반드시 일련의 치료가 종료된 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치료 중을 의미하는 경우(예를 들어, 치료 후, 다른 암 치료를 계속 중인 경우)도 있어, 평가하는 대상이 되는 암 치료가 종료된 후를 의미하는 상대적인 용어이다.
관찰의 결과, 치료 후에 유인 행동이 약해졌을 경우 또는 기피 행동이 강해졌을 경우에는, 치료 효과가 있었다고 평가된다(또는 예측된다, 검출된다, 혹은, 진단된다). 또한, 관찰의 결과, 치료 전의 소변에 대해서 유인 행동을 나타내고, 또한 치료 후의 소변에 대해서 기피 행동을 나타냈을 경우에는, 치료 효과가 있었다고 평가된다(또는 예측된다, 검출된다, 혹은, 진단된다). 혹은, 관찰의 결과, 치료 전의 소변에 대해서 유인 행동을 나타내고, 또한 치료 후의 소변에 대해서 기피 행동을 나타내지 않았던 경우에는, 치료 효과가 없었다, 또는 치료 효과가 부족했다고 평가된다(또는 예측된다, 검출된다, 혹은, 진단된다).
예를 들어, 암 치료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경우에, 어느 때까지는 치료법 A로 치료를 행하고, 도중부터 치료법 B로 전환하거나, 또는 치료법 B의 병용을 개시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치료법을 변경하는 경우에, 변경 전후에서 치료 효과를 비교하여, 어느 치료법이 바람직한지를 결정하는 것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는, 본 발명에서는, 치료법의 우열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1] 제 1 치료법의 전후에서 암 환자의 치료 전의 소변과 치료 중 또는 치료 후의 소변의 각각에 대한 선충의 주성 행동을 평가하는 것, 및 치료 전의 소변에 대한 주성 행동의 평가 결과와 치료 중 또는 치료 후의 소변에 대한 주성 행동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는 것과,
[2] 제 2 치료법의 전후에서 암 환자의 치료 전의 소변과 치료 중 또는 치료 후의 소변의 각각에 대한 선충의 주성 행동을 평가하는 것, 및 치료 전의 소변에 대한 주성 행동의 평가 결과와 치료 중 또는 치료 후의 소변에 대한 주성 행동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는 것과,
[3] 제 1 치료법의 치료 효과와 제 2 치료법의 치료 효과를 대비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치료 후의 암 환자의 체내에서의 암의 증식(또는, 암의 양)을 평가하는 방법(또는, 결정하는 방법, 예측하는 방법, 검출하는 방법, 혹은 진단하는 방법)으로서, 암 환자의 소변의 시계열 각각에 대한 선충의 주성 행동에 기초하여 암의 증식(또는, 암의 양)을 평가하는 방법(또는, 결정하는 방법, 예측하는 방법, 검출하는 방법, 혹은 진단하는 방법, 혹은, 치료 효과의 기초적 정보를 얻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는, 치료 후의 암 환자에게서 채취한 소변의 시계열을 준비하여, 각각의 소변에 대한 선충의 주성 행동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관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소변의 시계열에 대한 주성 행동의 평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관찰의 결과, 상기 소변 시료의 시계열에 있어서, 암 환자의 소변에 대한 기피 행동이 약해졌을 경우 또는 유인 행동이 강해졌을 경우에는, 암이 증식되었다(또는, 암의 양이 증가했다)고 평가된다(또는, 결정된다, 예측된다, 검출된다, 혹은 진단된다). 혹은, 관찰의 결과, 상기 시계열에 있어서, 암 환자의 소변에 대한 주성 행동이 기피 행동으로부터 유인 행동으로 변화했을 경우에는, 암이 증식되었다(또는, 암의 양이 증가했다)고 평가된다(또는, 결정된다, 예측된다, 검출된다, 혹은 진단된다).
소변 시료의 시계열은, 암의 증식 모니터링 및 암의 재발 모니터링의 관점에서는, 정기적으로 취득된 시계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변 시료는, 1주간∼1년의 인터벌로, 예를 들어, 1주간 간격으로, 2주간 간격으로, 3주간 간격으로, 4주간 간격으로, 1개월 간격으로, 2개월 간격으로, 3개월 간격으로, 4개월 간격으로, 5개월 간격으로, 6개월 간격으로, 또는 1년 간격으로 취득될 수 있다. 혹은, 부정기로, 예를 들어, 암의 증식 혹은 재발이 의심되었을 때에, 또는 확인하고 싶을 때에 소변을 채취해도 된다. 정기적인 소변의 채취에 더하여, 암의 증식이나 재발이 의심되었을 때에 소변을 채취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시계열」은, 2 이상의 상이한 시기에 채취된 복수의 시료를 향해서 이용된다. 따라서, 시계열에서는, 소변 시료를 2개 이상, 3개 이상, 4개 또는 그 이상 포함할 수 있다. 3개 이상의 소변 시료에 대한 주성 행동 평가 결과를 비교하면, 주성 행동의 변화의 동향(예를 들어, 변화율)을 알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의 암 치료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또는, 예측하는 방법, 검출하는 방법, 혹은 진단하는 방법, 혹은, 치료 효과의 기초적 정보를 얻는 방법)은, 추가로 치료 후의 암 환자의 체내에서의 암의 증식(또는, 암의 양)을 평가하는 방법(또는, 결정하는 방법, 예측하는 방법, 검출하는 방법, 혹은 진단하는 방법, 혹은, 치료 효과의 기초적 정보를 얻는 방법)과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치료 전의 암 환자의 소변 시료와 치료 후의 암 환자의 소변 시료로부터, 암 치료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고, 그 후, 당해 암 환자의 체내에서의 암의 증식이나 암의 양을 소변 시료의 시계열로부터 평가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 참조).
본 발명에 의하면, 암 치료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것에 이용하기 위한, 선충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 조성물은, 상기 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료 후의 암의 재발을 예측 또는 모니터링하는 것에 이용하기 위한, 선충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실시예
실시예 1: 수술에 의한 종양의 적출 및 재발
본 발명자들은, 암 환자의 소변에 대해서 선충이 유인 행동을 나타냄을 지금까지 분명히 해 왔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암 환자에 있어서의 종양의 적출 및 재발과, 선충의 유인 행동의 관계를 추가로 조사했다.
암 환자로서는, 종양 마커의 수치가 매우 낮고, 종양 마커 검사에서는 음성을 나타내는 암 환자를 모니터링했다.
상기 암 환자의 종양 적출과 재발은, 이하의 경과를 따랐다.
Figure pct00002
2015년 4월의 수술 전후로부터 약 1월 간격으로 상기 환자로부터 소변을 샘플링하여, 동결 보존했다.
상기 환자에서 유래하는 소변과 선충의 주성 행동의 관계를 조사했다. 주성 행동은, WO2015/088039에 기재되는 대로 평가했다. 결과는 도 1에 나타나는 대로였다.
도 1에 나타나듯이, 수술에 의해 종양을 절제하면, 암 환자의 소변에의 유인 행동이 보이지 않게 되고, 기피 행동이 나타나게 되었다. 특히, 수술 직후에 이미 소변에의 선충의 주성 행동에 큰 변화가 확인되었다. 또한, CT에 의해 암의 재발이 확인된 것은, 2016년 2월 28일이었지만, 선충은 그 약 5개월 전인 2015년 9월말에는 상기 환자의 소변에의 유인 행동을 나타냈다. 더욱이, 재발 전인 2015년 5월부터 8월에 걸쳐 기피 행동이 약해지고 있는 양상도 확인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암 환자의 소변에 있어서의 선충의 유인 물질의 농도는, 암의 절제와 함께 극히 신속하게 변동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것에 의해, 수술에 의한 암의 절제의 정도를 선충을 이용한 소변 검사에 의해 예민하게 확인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선충은, CT에 의해 재발이 확인되기 수개월 이상도 전부터 소변 중의 유인 물질을 검지하여, 환자의 재발을 예지할 수 있었다. 이것으로부터, 선충을 이용한 암 환자의 소변 검사는, 암의 재발이나 예후의 평가에 유용함이 분명해졌다.
실시예 2: 수술 및 화학요법의 전후에 있어서의 선충을 이용한 소변 검사
본 실시예에서는, 검체수를 대폭으로 늘려 실시예 1의 추가시험을 행했다.
대장암, 위암, 췌장암, 식도암, 담관암, 및 담낭암의 환자로부터, 각각 수술 및 화학요법의 전후에서 소변을 채취하여, 동결 보존했다. 치료 1개월 후는, 45검체로부터 소변을 회수했다. 치료 3개월 후는, 15검체로부터 소변을 회수했다.
회수한 소변에 대한 선충의 주성 행동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했다.
그 결과, 치료 1개월 후에서는, 45검체 중 31검체(68.9%)에서 음성화(즉, 유인 행동으로부터 기피 행동으로의 변화)가 보였다. 또한, 치료 3개월 후에는, 15검체 중 10검체(66.7%)에서 음성화가 보였다.
이와 같이, 다양한 암의 환자에 있어서, 치료 전후에서 선충은, 유인 행동으로부터 기피 행동으로 주성 행동을 변화시켰다. 이 주성 행동의 변화는, 암 환자의 소변에 포함되는 유인 물질이 치료 전후에서 변화한 것을 선충이 예민하게 검지하여 반응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상기 환자에 있어서는, 치료에 의해 암조직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던 예나 벌써 암의 전이가 일어나고 있는 경우가 포함된다.
상기 결과로부터, 치료 평가에 선충을 이용한 암 환자의 소변 검사가 유효함이 분명해졌다.

Claims (8)

  1. 암 환자에 있어서 암 치료의 치료 효과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암 환자의 치료 전의 소변과 치료 중 또는 치료 후의 소변의 각각에 대한 선충의 주성 행동을 평가하는 것, 및
    치료 전의 소변에 대한 주성 행동의 평가 결과와 치료 중 또는 치료 후의 소변에 대한 주성 행동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는 것
    을 포함하고,
    치료 후에 유인 행동이 약해졌을 경우 또는 기피 행동이 강해졌을 경우에는 치료 효과가 검출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치료 전의 소변에 대해서 유인 행동을 나타내고, 또한 치료 후의 소변에 대해서 기피 행동을 나타냈을 경우에는, 치료 효과가 검출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치료 전의 소변에 대해서 유인 행동을 나타내고, 또한 치료 후의 소변에 대해서 기피 행동을 나타내지 않았던 경우에는, 치료 효과가 없었음, 또는 치료 효과가 부족했음이 나타나는, 방법.
  4. 치료 후의 암 환자에 있어서 암의 증식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암 환자의 소변의 시계열 각각에 대해서 선충의 주성 행동을 평가하는 것과,
    얻어진 평가 결과의 시계열에 있어서, 암 환자의 소변에 대한 기피 행동이 약해졌을 경우 또는 유인 행동이 강해졌을 경우에는, 암의 증식이 검출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얻어진 평가 결과의 시계열에 있어서, 암 환자의 소변에 대한 주성 행동이 기피 행동으로부터 유인 행동으로 변화했을 경우에, 암의 증식이 검출되는, 방법.
  6. 암의 증식 모니터링 또는 암의 재발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으로서,
    치료 중 또는 치료 후의 암 환자의 소변의 시계열 각각에 대해서 선충의 주성 행동을 평가하는 것을 포함하고,
    얻어진 평가 결과의 시계열에 있어서, 암 환자의 소변에 대한 기피 행동이 시간 경과와 함께 약해졌을 경우 또는 유인 행동이 시간 경과와 함께 강해졌을 경우에는, 암의 증식이 검출되거나 또는 암의 재발이 검출되는, 방법.
  7. 암 치료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것에 이용하기 위한, 선충을 포함하는 조성물.
  8. 치료 후의 암의 재발을 예측 또는 모니터링하는 것에 이용하기 위한, 선충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97031269A 2017-03-31 2018-03-30 암 환자의 치료 효과의 예측 및/또는 재발 모니터링 KR201901315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37957A KR102517548B1 (ko) 2017-03-31 2018-03-30 암 환자의 치료 효과의 예측 및/또는 재발 모니터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69733 2017-03-31
JP2017069733 2017-03-31
PCT/JP2018/013578 WO2018181881A1 (ja) 2017-03-31 2018-03-30 がん患者の治療効果の予測および/または再発モニタリン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957A Division KR102517548B1 (ko) 2017-03-31 2018-03-30 암 환자의 치료 효과의 예측 및/또는 재발 모니터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538A true KR20190131538A (ko) 2019-11-26

Family

ID=636782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957A KR102517548B1 (ko) 2017-03-31 2018-03-30 암 환자의 치료 효과의 예측 및/또는 재발 모니터링
KR1020197031269A KR20190131538A (ko) 2017-03-31 2018-03-30 암 환자의 치료 효과의 예측 및/또는 재발 모니터링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957A KR102517548B1 (ko) 2017-03-31 2018-03-30 암 환자의 치료 효과의 예측 및/또는 재발 모니터링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00400653A1 (ko)
EP (1) EP3605087B1 (ko)
JP (1) JP6782949B2 (ko)
KR (2) KR102517548B1 (ko)
CN (2) CN110446924A (ko)
AU (1) AU2018245602B2 (ko)
CA (1) CA3058129C (ko)
WO (1) WO20181818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5811A1 (ko) 2018-10-26 2020-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황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40275B (zh) * 2021-05-07 2023-03-24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肝癌靶向治疗疗效的监测系统及方法
WO2023028114A1 (en) * 2021-08-24 2023-03-02 Vetoncodx, Llc Cancer screening in companion anima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8039A1 (ja) 2013-12-10 2015-06-18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線虫の嗅覚を用いた癌検出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2521A1 (en) * 2004-03-10 2005-09-15 Albert Crum Methods of assessing the need for and the effectiveness of therapy with antioxidants
CA2584565A1 (en) * 2004-10-28 2006-05-04 Naoki Urushihata Disease diagnosing system
WO2007002535A2 (en) * 2005-06-24 2007-01-04 Ciphergen Biosystems, Inc. Biomarkers for ovarian cancer
CN101421622A (zh) * 2006-02-17 2009-04-29 儿童医学中心公司 作为癌症生物标志物的游离ngal
EP2079484A4 (en) * 2006-09-07 2010-03-17 Stemline Therapeutics Inc MONITORING OF CANCER STEM CELLS
US10011481B2 (en) * 2007-07-24 2018-07-03 Technion Research And Development Foundation Ltd. Chemically sensitive field effect transistors and uses thereof in electronic nose devices
WO2009113674A1 (ja) * 2008-03-14 2009-09-17 学校法人北里研究所 膀胱癌の診断
JP2010266386A (ja) 2009-05-18 2010-11-25 Kobe Univ 患者由来の代謝物を使用したがんの検査方法
US20160377624A1 (en) * 2014-02-05 2016-12-29 Fujirebio Diagnostics Ab Composi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malignant neoplastic disease
CN103882118A (zh) * 2014-02-13 2014-06-25 绍兴市人民医院 用于检测前列腺癌的miRNAs
CN106999576B (zh) * 2014-09-08 2021-09-03 国立癌症研究中心 癌细胞特异性抗体、抗癌剂、及癌症的检查方法
CN107076749B (zh) * 2014-09-16 2020-12-29 瑞泽恩制药公司 转移性结直肠癌抗血管发生治疗相关预测和预后生物标志
JP2016095233A (ja) * 2014-11-14 2016-05-26 国立研究開発法人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早期肝細胞がん患者の再発リスクの予測を補助する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JP6778449B2 (ja) * 2017-03-31 2020-11-04 株式会社Hirotsuバイオサイエンス 線虫変異体を含むがんの診断薬および該変異体を用いた走性行動評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8039A1 (ja) 2013-12-10 2015-06-18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線虫の嗅覚を用いた癌検出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5811A1 (ko) 2018-10-26 2020-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황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58129C (en) 2023-04-18
US20200400653A1 (en) 2020-12-24
AU2018245602A1 (en) 2019-10-17
CA3058129A1 (en) 2018-10-04
WO2018181881A1 (ja) 2018-10-04
JPWO2018181881A1 (ja) 2019-11-07
EP3605087A1 (en) 2020-02-05
JP6782949B2 (ja) 2020-11-11
KR102517548B1 (ko) 2023-04-03
EP3605087A4 (en) 2021-03-03
KR20210146420A (ko) 2021-12-03
CN117347612A (zh) 2024-01-05
AU2018245602B2 (en) 2021-07-22
EP3605087B1 (en) 2022-09-14
CN110446924A (zh)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pana-Agusti et al. Loss of PBRM1 rescues VHL dependent replication stress to promote renal carcinogenesis
Rogers et al. Comparison of methods in the detection of ALK and ROS1 rearrangements in lung cancer
Horst et al. The cancer stem cell marker CD133 has high prognostic impact but unknown functional relevance for the metastasis of human colon cancer
Ellis et al. A systematic review and Canadian consensus recommendations on the use of biomarkers in the treatment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Park et al. Immunohistochemical screening for anaplastic lymphoma kinase (ALK) rearrangement in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Bode-Lesniewska et al. EWSR1-NFATC2 and FUS-NFATC2 gene fusion-associated mesenchymal tumors: clinicopathologic correlation and literature review
Nakajima et al. Nuclear size measurement is a simple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hepatocellular aging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mparison with telomere‐specific quantitative FISH and p21 immunohistochemistry
KR20190131538A (ko) 암 환자의 치료 효과의 예측 및/또는 재발 모니터링
JP2011528442A5 (ko)
Saltman et al. Patterns of expression of cell cycle/apoptosis genes along the spectrum of thyroid carcinoma progression
Watanabe et al. The cellular level of histone H3 lysine 4 dimethylation correlates with response to adjuvant gemcitabine in Japanese pancreatic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surgery
Maros et al. In situ cell cycle analysis in giant cell tumor of bone reveals patients with elevated risk of reduced progression-free survival
Bertolo et al. Low rate of cancer events after partial nephrectomy for renal cell carcinom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994 cases with emphasis on definition of “recurrence”
Salami et al. Serial molecular profiling of low-grade prostate cancer to assess tumor upgrading: a longitudinal cohort study
JP2012531612A (ja) ヒストンマクロh2aアイソフォームに基づいて癌再発のリスクを予測する診断方法
Honda et al. Overexpression of a disintegrin and metalloproteinase 21 is associated with motility, metastasis, and poor prognosis in hepatocellular carcinoma
JP6778449B2 (ja) 線虫変異体を含むがんの診断薬および該変異体を用いた走性行動評価方法
Talmon et al. Characterization of epithelial apoptosis in biopsies of small-bowel allografts using cleaved caspase 3 immunostaining
Erbersdobler Pathologic evaluation and reporting of carcinoma of the penis
Sternberg Carcinoma of the colon: margins of resection
Browning Hereditary renal tumours: a review
JP6788921B2 (ja) 線虫の嗅覚の感度を向上させる化合物
Costa et al. Correlation between immunoexpression of BCL-2 protein family with apoptosis index, cellular proliferation and survival in colorectal carcinomas
Broggi et al. Concordance between CDKN2A homozygous deletion and MTAP immunohistochemical loss in fluoroedenite-induced pleural mesothelioma: An immunohistochemical and molecular study on a single-institution series
Osathanunkul et al. An eDNA‐based assessment of Garra cambodgiensis (stonelapping minnow) distribution on a megadiverse river, the Meko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295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1122

Effective date: 2022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