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216A -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216A
KR20190131216A KR1020180055807A KR20180055807A KR20190131216A KR 20190131216 A KR20190131216 A KR 20190131216A KR 1020180055807 A KR1020180055807 A KR 1020180055807A KR 20180055807 A KR20180055807 A KR 20180055807A KR 20190131216 A KR20190131216 A KR 20190131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locking
string
uni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3635B1 (ko
Inventor
유지환
이성준
가포노프 이고르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63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18Location of the latch inside the rail
    • B60N2002/02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시트(110)는 레일 어셈블리(20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시트(110)가 상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시트(110)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리브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시트(110)의 위치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록킹 어셈블리(300)가 설치된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200)에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00)가 설치된다. 상기 록킹 어셈블리(300)는 일측이 상기 록킹 어셈블리(3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부(50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5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길이가 신축하는 동력전달부(600)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구동부(500)에는 상기 구동부(500)를 제어하여 상기 동력전달부(60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시트의 위치조절을 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종래에 비해 간단한 구조만으로 제어가 가능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높은 구동력을 가지면서도 부피 및 중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A positioning apparatus for seat}
본 발명은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꼬거나 풀어져 길이가 가변되는 스트링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록킹 어셈블리가 고정되거나 해제되어 좌석의 위치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로 앉을 수 있도록 좌석이 설치되는데, 상기 좌석은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각각 편안한 상태를 갖기 위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좌석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수동식과 자동식이 있는데, 수동식으로 좌석을 이동시키는 방식은 차량에 좌석 프레임이 래치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레버의 수동 조작에 의해 걸림을 해제하여 필요한 적정 위치로 힘을 가하는 방법으로 위치이동이 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동식 좌석 위치 조절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갖도록 할 뿐만 아니라 운전 중에 좌석을 이동하여야 할 경우에는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스위치 조작으로 간단히 위치 조절되는 자동식 좌석 이동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자동식 좌석 이동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바닥(1)의 상부에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시트(1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시트(10)는 그 하부 양측단에 위치되는 시트받침대(11)를 매개로 바닥(1)에 설치된다.
상기 시트받침대(11)는 상기 시트(10)가 바닥(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며, 상기 시트(10)가 시트받침대(11)의 상부에서 시트받침대(11)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전후방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해 준다.
상기 시트(10)의 하부에는 시트레일(12)이 차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이는 상기 시트(10)가 차량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시트레일(12)은 두 개의 시트받침대(11)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시트레일(12)의 상부에는 랙기어(13)가 형성된다. 상기 랙기어(13)는 아래에서 설명될 피니언기어(22)와 치합된다.
상기 시트(10)의 내부에는 모터(14)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14)는 상기 시트(10)가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모터(14)가 내장된 시트(10)의 일측에는 상기 시트레일(12) 측으로 연장되는 가동부(20)가 형성된다. 상기 가동부(20)는 상기 모터(14)에서 상기 시트레일(12) 측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동부(20)에는 상기 모터(14)에서 상기 시트레일(12)을 향하여 연장되는 회전축(21)이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21)은 대략 직각으로 각도 변화를 하여 피니언기어(22)와 연결되는데, 상기 피니언기어(22)는 상기 시트레일(12)의 랙기어(13)와 치합된다.
한편, 상기 모터(14)는 스위치(1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차량의 일측에 설치된 스위치(15)를 이용하여 시트(1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게 되면, 상기 모터(14)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어 상기 피닌언기어(22)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고, 상기 피니언기어(22)는 상기 랙기어(13)에 맞물려 있는 상태이므로 랙기어(13)를 따라 어느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모터 구동방식은 일정 이상의 견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소형 액추에이터 및 감속기를 포함한 구동계에 최소한의 출력 토크(output torque)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소형 액추에이터는 감속기 등을 사용하여 큰 토크를 얻을 수 있지만 감속기 그 자체가 동력전달장치의 중량을 증가시키므로, 차량의 무게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탑승자의 하중이 시트에 가해진 상태에서 이동되므로, 기어가 파손될 위험이 있고, 기어가 회전될 때 기어끼리의 치합부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편리하게 좌석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것과 동시에 자동으로 좌석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에 따르면, 시트; 상기 시트가 지지된 상태로 상기 시트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리브가 구비되는 레일 어셈블리;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의 위치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록킹 어셈블리;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일측이 상기 록킹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길이가 신축하면서 상기 록킹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동력전달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시트가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 및 상기 슬라이딩 리브가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리브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 리브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돌기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 어셈블리는, 상기 슬라이딩 리브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 리브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하단에 상기 걸림돌기 사이에 걸어지는 걸이돌기가 구비되는 록킹부재, 상기 록킹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부재를 상기 슬라이딩 리브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리브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록킹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 리브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가압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압레버가 상기 록킹부재를 가압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걸이돌기가 상기 걸림돌기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리브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접촉편 및 상기 접촉편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리브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걸이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이돌기는 상기 걸이편의 하단 양측으로부터 상기 걸림돌기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레버에 각각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연결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작동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레버 및 상기 가압레버는 서로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끈으로 이루어져 양단부가 각각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작동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꼬여 길이가 수축되면서 상기 작동레버를 회전시키는 스트링, 및 상기 스트링의 외측에 상기 스트링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스트링의 길이가 변하는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복수 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탄성력을 가지는 주름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복원력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슬라이딩 리브의 상부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모터, 상기 스트링의 일단이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모터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동력전달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에는 텐션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텐션센서로부터 검출된 회전각 변위값 또는 직선 변위값을 전달받아 기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에 따르면,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꼬거나 풀어져 길이가 가변되는 스트링을 이용하여 스트링과 연결된 록킹 어셈블리를 해제 또는 고정시켜 시트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시트의 위치조절을 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종래에 비해 간단한 구조만으로 제어가 가능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과 동시에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에 따르면, 소형 모터 및 복수 개의 연결끈을 이용하여 록킹 어셈블리를 해제 또는 고정시킬수 있다. 따라서, 높은 구동력을 가지면서도 부피 및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좌석 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100)에는 시트(110)가 구비된다. 상기 시트(110)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분이다. 상기 시트(110)는 아래에서 설명될 레일 어셈블리(200)에 의해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시트(110)의 하방에는 레일 어셈블리(200)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200)는 한 쌍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200)는 상기 시트(110)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시트(110)의 전방 또는 후방, 즉, 도 2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 어셈블리(200)는 슬라이딩 리브(210)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딩 리브(210)의 상부에는 상기 시트(110)가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딩 리브(210)는 상기 시트(110)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딩 리브(210)는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 레일(220)을 따라 상기 시트(110)와 함께 상기 시트(110)의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기 슬라이딩 리브(210)의 상부에는 지지브래킷(2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래킷(212)은 상기 시트(110)의 하부와 상기 슬라이딩 리브(210)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브래킷(212)은 상기 슬라이딩 리브(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브래킷(212)은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구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리브(210)의 상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리브(210)의 양측에는 가이드 레일(22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220)은 상기 슬라이딩 리브(21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 레일(220)은 상기 슬라이딩 리브(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220)은 상기 슬라이딩 리브(2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220)의 내측에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2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230)는 상기 가이드 레일(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돌기(230)는 기어 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230)는 아래에서 설명될 록킹부재(310)의 걸이돌기(316)가 선택적으로 걸어져 고정되는 부분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 어셈블리(200)에는 록킹 어셈블리(300)가 설치된다. 상기 록킹 어셈블리(300)는 상기 시트(110)의 위치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록킹 어셈블리(300)에는 록킹부재(310)가 구비된다. 상기 록킹부재(310)는 상기 슬라이딩 리브(210)의 상부에 상기 슬라이딩 리브(2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재(3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ㄱ' 자 형상으로, 상기 슬라이딩 리브(210)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접촉편(312) 및 상기 접촉편(312)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리브(210)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걸이편(3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편(312)은 아래에서 설명될 가압레버(350)와 접촉되는 부분으로, 가압레버(350)와 면접촉 되도록 상부가 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편(314)의 하단에는 걸이돌기(3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316)는 상기 걸이편(314)의 하단 양측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316)는 상기 걸림돌기(230) 사이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부재(310)의 하부에는 탄성부재(34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340)는 상기 록킹부재(310)를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340)는 코일 스프링으로, 상기 록킹부재(310)를 상기 슬라이딩 리브(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 어셈블리(300)에는 가압레버(3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레버(350)는 상기 슬라이딩 리브(21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된다. 즉, 상기 가압레버(350)는 상기 록킹부재(310)를 향해 힌지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리브(210)의 상부에는 상기 가압레버(350)가 힌지 결합되는 레버 결합편(미도시)이 일체로 또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레버(350)는 상기 록킹부재(310)를 상기 슬라이딩 리브(210)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가압레버(350)가 상기 록킹부재(310)를 가압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록킹부재(310)의 걸이돌기(316)는 상기 걸림돌기(2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벗어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 어셈블리(200) 사이는 연결바(4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바(400)는 대략 바(bar) 형상이다. 상기 연결바(400)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가압레버(350)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연결바(400)는 상기 가압레버(350)를 서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바(400)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에는 작동레버(4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레버(410)의 일단은 상기 연결바(400)가 관통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바(40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작동레버(410)는 아래에서 설명될 동력전달부(600)의 구동에 따라 회전된다. 상기 작동레버(410)는 상기 가압레버(350)와 연동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레버(4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레버(350)가 작동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작동레버(410)와 가압레버(350) 사이에는 텐션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텐션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작동레버(410)와 가압레버(350)가 서로 연동되는 것과 동시에 항상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레일 어셈블리(200)에는 구동부(50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500)는 아래에서 설명될 동력전달부(6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500)에는 하우징(5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0)은 상기 슬라이딩 리브(21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510)은 볼트 등의 체결부재 등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리브(2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0)은 아래에서 설명될 모터(520)가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510)에는 모터(5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520)는 볼트(미도시) 등에 의해 상기 하우징(510)에 고정된다. 상기 모터(520)는 아래에서 설명될 동력전달부(6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터(520)에는 회전축(미도시)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부재(530)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520)의 최대 토크값은 아래에서 설명될 스트링(610)의 길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520)의 회전에 의해 원상태의 스트링(610)이 꼬이기 시작한 후 최대로 꼬여 더 이상 길이가 수축되지 못할 때 까지만 구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모터(520)의 회전에 의해 스트링(610)이 덜 꼬이거나 너무 많이 꼬아져서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520)의 최대 토크값은 아래에서 설명될 스트링(610)의 길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520)의 회전에 의해 원상태의 스트링(610)이 꼬이기 시작한 후 최대로 꼬여 더 이상 길이가 수축되지 못할 때 까지만 구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모터(520)의 회전에 의해 스트링(610)이 덜 꼬이거나 너무 많이 꼬아져서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520)는 소형 DC 모터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에는 연결부재(5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30)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트링(610)의 일단이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530)는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부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520)와 상기 연결부재(530) 사이에는 지지부재(5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40)는 상기 모터(520)의 회전축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540)는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이다.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은 축방향 하중을 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540)는 스러스트 베어링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앵귤러 베어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100)에는 동력전달부(600)가 구비된다. 상기 동력전달부(600)는 상기 록킹 어셈블리(30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600)에는 스트링(6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트링(610)은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끈으로 이루어져 양단부가 각각 상기 작동레버(410) 및 연결부재(53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링(610)은 두 개의 연결끈으로 이루어졌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링(6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520)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서로 꼬여 길이가 수축되면서 상기 작동레버(41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작동레버(410)가 회전되면서 상기 작동레버(410)와 연동된 가압레버(350)가 상기 록킹부재(310)를 가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링(610)은 원사 또는 직조 직물 또는 합사된 꼬임-스펀(spun) 원사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된 연결끈으로 이루어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트링(610)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탄소 나노튜브(CNTs)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링(610)의 외측에는 상기 스트링(610)을 감싸도록 가이드 부재(62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620)는 상기 스트링(610)의 길이가 변하는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620)는 복원력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620)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탄성력을 가지는 주름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링(610) 및 가이드 부재(620)는 상기 모터(520)의 반대방향 회전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터(520)의 구동이 정지되면, 즉, 모터(520)에 공급되는 전원이 끊기게 되면, 모터(520)의 회전축이 회전에 대하여 구속된 상태에서 자유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520)가 정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리브(210)가 원위치로 오도록 사용자가 시트(110)를 밀게 되면, 모터(520)의 회전축이 자유회전하면서 꼬여 있던 스트링(610)이 풀리고, 이로써 스트링(610)의 길이가 증가하여 시트(110)가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트링(610)의 길이가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모터(520)는 구동을 멈출 수 있다. 여기서, 모터(420)의 회전축의 회전이 구속되면 상기 작동레버(320)가 고정되고, 모터(420)의 회전축이 자유 상태가 되면 스트링(510)이 풀어지면서 작동레버(3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트링(510)은 모터(420)의 토크 및 작동레버(3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100)에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500)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작부로부터 입력된 설정값을 저장하고, 상기 구동부(500)를 제어하여 상기 동력전달부(60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텐션센서(미도시)로부터 감지된 회전각 변위값 또는 직선 변위값을 전달받아 기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모터(5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각 변위값 또는 직선 변위값이 기설정값보다 큰 경우 상기 모터(520)의 구동을 정지시키거나 상기 동력전달부(600)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100)에는 텐션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텐션센서는 상기 스트링(610)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스트링(610)의 회전각 변위 또는 직선 변위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텐션센서로부터 검출된 회전각 변위값 또는 직선 변위값은 상기 제어부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100)에는 탄성식 압력 센서(mechanical-type pressure sensor)(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식 압력 센서는 상기 스트링(610)의 탄성률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탄성식 압력 센서로부터 탄성률 값을 전달받아 기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모터(520)를 제어한다. 이는 스트링(510)이 끊어지거나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100)에는 조작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시트(110)의 일측 또는 차량 내부 일측 등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온/오프 스위치는 상기 구동부(500)의 동작을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100)가 작동 전 상태에서는 가압레버(350)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부재(310)의 걸이돌기(316) 사이에 걸어져 고정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트(110)에 안착한 후,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구동부(500)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모터(52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모터(520)의 구동에 따라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링(610)이 꼬이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되면,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상기 스트링(610)의 길이가 수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레버(410)는 상기 연결바(400)를 중심으로 상기 구동부(500)를 향해 즉,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작동레버(410)와 연동되는 가압레버(350)가 상기 록킹부재(310)를 향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레버(350)가 상기 록킹부재(310)를 가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록킹부재(310)의 걸이돌기(316)가 상기 걸림돌기(230)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시트(110)를 상기 시트(1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당기거나 밀게 되면 상기 시트(110)가 상기 가이드 레일(2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하게 된다.
상기 시트(110)가 원하는 위치에 오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구동부(500)를 다시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520)는 역회전, 즉, 상기 스트링(610)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트링(610)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작동레버(410)도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가압레버(350)도 상기 록킹부재(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록킹부재(310)도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걸이돌기(316)가 걸림돌기(230) 사이에 걸어져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110)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100)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5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꼬거나 풀어져 길이가 가변되는 상기 스트링(610)을 이용하여 상기 스트링(610)과 연결된 록킹 어셈블리(300)를 해제 또는 고정시켜 시트(11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시트(100)의 위치조절을 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종래에 비해 간단한 구조만으로 제어가 가능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과 동시에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500)는 소형 모터(520) 및 무게가 가벼운 복수 개의 연결끈으로 이루어진 스트링(610)으로 구성되므로, 높은 구동력을 가지면서도 부피 및 중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 110: 시트
200: 레일 어셈블리 210: 슬라이딩 리브
220: 가이드 레일 230: 걸림돌기
300: 록킹 어셈블리 310: 록킹부재
312: 접촉편 314: 걸이편
316: 걸이돌기 340: 탄성부재
350: 가압레버 400: 연결바
410: 작동레버 500: 구동부
510: 하우징 520: 모터
530: 연결부재 540: 지지부재
600: 동력전달부 610: 스트링
620: 가이드 부재

Claims (13)

  1. 시트;
    상기 시트가 지지된 상태로 상기 시트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리브가 구비되는 레일 어셈블리;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의 위치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록킹 어셈블리;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일측이 상기 록킹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길이가 신축하면서 상기 록킹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동력전달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시트가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 및
    상기 슬라이딩 리브가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리브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 리브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돌기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어셈블리는,
    상기 슬라이딩 리브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 리브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하단에 상기 걸림돌기 사이에 걸어지는 걸이돌기가 구비되는 록킹부재,
    상기 록킹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부재를 상기 슬라이딩 리브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리브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록킹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 리브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가압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압레버가 상기 록킹부재를 가압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걸이돌기가 상기 걸림돌기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리브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접촉편 및
    상기 접촉편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리브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걸이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이돌기는 상기 걸이편의 하단 양측으로부터 상기 걸림돌기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레버에 각각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연결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작동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레버 및 상기 가압레버는 서로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끈으로 이루어져 양단부가 각각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작동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꼬여 길이가 수축되면서 상기 작동레버를 회전시키는 스트링, 및
    상기 스트링의 외측에 상기 스트링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스트링의 길이가 변하는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복수 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탄성력을 가지는 주름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복원력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슬라이딩 리브의 상부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모터,
    상기 스트링의 일단이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모터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은,
    상기 모터의 토크 및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 각도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동력전달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에는 텐션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텐션센서로부터 검출된 회전각 변위값 또는 직선 변위값을 전달받아 기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KR1020180055807A 2018-05-16 2018-05-16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 KR102133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807A KR102133635B1 (ko) 2018-05-16 2018-05-16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807A KR102133635B1 (ko) 2018-05-16 2018-05-16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216A true KR20190131216A (ko) 2019-11-26
KR102133635B1 KR102133635B1 (ko) 2020-07-13

Family

ID=6873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807A KR102133635B1 (ko) 2018-05-16 2018-05-16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6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7737A (zh) * 2020-11-09 2021-01-29 淮北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座椅调节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2475A (ja) * 2003-06-30 2005-01-27 Nippon Cable Syst Inc 電動スライドシートおよびそれに用いるロック装置
JP2008120223A (ja) * 2006-11-10 2008-05-29 Namba Press Works Co Ltd 摺動して移動可能なレール同士のロック機構
KR20130013362A (ko) * 2011-07-28 2013-02-06 주식회사다스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2475A (ja) * 2003-06-30 2005-01-27 Nippon Cable Syst Inc 電動スライドシートおよびそれに用いるロック装置
JP2008120223A (ja) * 2006-11-10 2008-05-29 Namba Press Works Co Ltd 摺動して移動可能なレール同士のロック機構
KR20130013362A (ko) * 2011-07-28 2013-02-06 주식회사다스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7737A (zh) * 2020-11-09 2021-01-29 淮北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座椅调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635B1 (ko) 202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0186B2 (en) Support assembly and corresponding seat structure
US8360523B2 (en) Adjusting device for a lumbar support and method of adjusting a lumbar support
EP2222204B1 (en) Support assembly and corresponding seat structure
KR101326904B1 (ko) 자동차 시트용 하부 프레임
CN103909845B (zh) 一种用于折叠座椅的致动系统
US7770972B2 (en) Seat lumbar actuator
US8991923B2 (en) Adjusting device for a lumbar support and method of adjusting a lumbar support
CN106028873B (zh) 家具配件、具有两个家具配件的结构以及家具配件的用途
KR101839131B1 (ko) 시트조절을 위한 액츄에이터 어셈블리와 그 방법
JP4432591B2 (ja) ヘッドレスト高さ調整装置
CN105266459A (zh) 一种可电动调节的支撑装置
WO2015018893A1 (en) Latch release actuator and method of actuating a seat latch
US8985687B2 (en) Infant chair apparatus
US20070239090A1 (en) Massage System
KR20190131216A (ko)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
CN112188972B (zh) 具有动力返回的手动俯仰容易进入座椅
US5868470A (en) Recliner for automotive seat
KR101590017B1 (ko) 의자의 틸팅강도 조절 장치
KR102085423B1 (ko)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CN108851698B (zh) 枢转配件和家具
JP4242348B2 (ja) 二方向ケーブル調節による人間工学的支持装置および方法
JPH07271464A (ja) 前後調節可能な操作ペダル装置
JP5498125B2 (ja) 可逆式回転伝達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椅子の可動構造物
EP1712154A1 (en) Mechanism for seating furniture with reclining back, seat and leg supports
KR20230153592A (ko) 차량용 레그레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